KR101455207B1 -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 - Google Patents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5207B1 KR101455207B1 KR1020120152909A KR20120152909A KR101455207B1 KR 101455207 B1 KR101455207 B1 KR 101455207B1 KR 1020120152909 A KR1020120152909 A KR 1020120152909A KR 20120152909 A KR20120152909 A KR 20120152909A KR 101455207 B1 KR101455207 B1 KR 1014552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electrocardiogram signal
- user
- electrodes
-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using specific filters therefor, e.g. Kalman or adaptive fi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09—Special features of electrodes classified in A61B5/24, A61B5/25, A61B5/283, A61B5/291, A61B5/296, A61B5/05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로서,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각각 구성된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 3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와 상기 제 3 전극에 연결되는 접지(Ground)와 상기 접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심전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제공하지 않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심전도 신호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제공하지 않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심전도 신호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이질감을 제공하지 않고 경제적인 비용으로 심전도 신호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의학계에서는 심장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해서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여 측정된 심전도 신호를 그래프의 형태로 표시하여 환자의 심장에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법은 소위 표준 12 유도 심전도(The 12-Lead ECG)라고 불린다.
이 표준 12 유도 심전도는 다시 양극 표준 유도(I, II, III)와 단극 증폭 유도(aVR, aVL, aVF)와 단극 흉부 유도(V1 내지 V6)로 구성되어 12 개의 심전도(electrocardiogram) 신호의 그래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양극 표준 유도와 단극 증폭 유도는 사지(팔과 다리)에 부착된 전극 간의 전위 차를 기록하는 것이기에 사지 유도라고 하고, 단극 흉부 유도는 심장을 수평면에서 바라보는 유도 방식으로서 우측 흉골과 좌측 흉골의 지정된 지점에서 심장의 활동을 동적으로 보여준다.
이러한 단극 흉부 유도에 이용되는 V1은 우측 흉골단 위, 제 4 늑간에, V2는 좌측 흉골단 위, 제 4 늑간에, V3는 V2와 V4를 잇는 직선 위의 중앙 지점에, V4는 쇄골중앙선 위, 제 5 늑간에, V5는 V4와 수평선상의 전액와선 위에, V6는 V4와 V5와 수평선상 중앙액와선 위에 위치하여, 각 위치에서의 심장의 전기 신호를 측정하고 다른 전기 신호의 차이를 이용하는, 단극 흉부 유도는 V1 내지 V6에 대하여 계산된 심전도 신호를 그래프 형태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금속성 전극을 사람의 피부에 밀착시키고 이 전극으로부터 미세한 신호를 증폭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심전도 신호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포츠 업계에서는 스포츠용 의류나 스포츠용 의류 내에 착용할 수 있고 사람의 피부에 밀착될 수 있는 밴드를 이용하여, 심장으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미세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이의 차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을 시판하거나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표준 12 유도 심전도나 심전도 신호를 이용할 수 있는 스포츠 의류는, 금속성 전극을 이용하거나 혹은 사람의 피부 등에 밀착되도록 하는 밴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착용상의 불편감을 제공하거나 혹은 이질감을 제공한다.
또한 표준 12 유도 심전도에서 두 지점에서의 측정된 전기 신호만을 이용하는 스포츠 웨어는, 두 개의 지점에서 측정된 전기 신호의 차이를 제대로 계산하지 못하여 오동작을 하거나 이 신호의 차이를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요하여 실용적으로 이용될 수 없고, 또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복잡한 회로의 구성을 요한다.
한편 도전성 섬유를 이용한 다양한 의류가 개발되고 양산되고 있다. 이러한 도전성 섬유는, 전기를 통할 수 있도록 하는 도전성이 있고, 이 도전성 섬유를 하나의 전기적 연결 통로로 이용하여 의류 상에서 다양한 회로의 구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전성 섬유는, 의류에 착탈가능하도록 하는 섬유 패드의 형태로 혹은 의류의 다른 천과 함께 같이 직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이질감이나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도록 하며 또한 경제적인 비용으로 배포될 수 있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의류를 제공한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된 심전도 신호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면, 의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갑작스러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다양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여 비 이질적이고 경제적이며 사용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 측정에서 야기되는 사용자의 이질감과 불편함을 제거하도록 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의 측정시에 야기되는 다양한 잡음(noise)를 제거하여 보다더 안정적인 심전도 신호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제적이고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심전도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심전도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특히 수면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필요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는,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각각 구성된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 3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와 상기 제 3 전극에 연결되는 접지(Ground)와 상기 접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심전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각각 구성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아날로그 접지를 기준으로 하여, 수신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신호를 각각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접지는,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구성된 제 3 전극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는, 도전성 섬유로 구성된 제 1 전극, 제 2 전극, 제 3 전극 및 제 4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전극은 상기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의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 4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의 신호와 상기 제 2 전극의 신호 사이의 차이를 증폭할 때 이용되는 상기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의 기준 전원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는,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 측정에서 야기되는 사용자의 이질감과 불편함을 제거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는,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면서도 심전도 신호의 측정시에 야기되는 다양한 플로팅, 트렁케이션, 잡음을 제거하여 보다더 안정적인 심전도 신호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는, 경제적이고 단순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심전도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는, 심전도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상태 특히 수면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필요한 대응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도전성 섬유 전극을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예시적인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의 상위 레벨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신호 처리부의 예시적인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어 유닛의 예시적인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예시적인 아날로그 심전도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의 상위 레벨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신호 처리부의 예시적인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어 유닛의 예시적인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예시적인 아날로그 심전도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도전성 섬유 전극을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예시적인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와 각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의류(200)와 하나 이상의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에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망(400)으로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은, 그 실시예에 따라 특정 구성 장치가 생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300)는 특정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은, 병원에서 구축되거나 노인들이 주거하는 요양원 등에 구축될 수 있다. 또는 이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은 개인(사용자)이 주거하는 가정 환경 내에 구축되거나 운동 중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이 가정 환경 내나 운동 중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장치(300)는 이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에서 생략될 수 있다.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에 포함되는 각각의 구성 장치를 살펴보면, 의류(200)는,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복으로서, 예를 들어 병상복, 잠옷, 내의 또는 운동 중이나 외출 시에 착용하는 상의 등일 수 있다.
이 의류(200)는, 도전성 섬유로 구성된 도전성 섬유 전극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4개 이상의 도전성 섬유 전극을 포함한다.
이 의류(200)에 포함되는 도전성 섬유 전극은, 의류(200)의 다른 비도전성 섬유와 같이 직조하여 의류(200)의 천 상에 포함되거나 또는 의류(200)의 비도전성 섬유로 된 천 상에 탈부착할 수 있는 섬유 패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의류(200)는 4개 이상의 도전성 섬유 전극을 포함하여, 하나의 도전성 섬유 전극(이하 '제 1 전극(210)'이라 한다)은 심장의 박동에 의해서 생성된(출력된) 전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또 다른 도전성 섬유 전극(이하 '제 2 전극(220)'이라 한다)은 제 1 전극(210)과는 다른 위치에 위치하여 심장의 박동에 의해서 생성된 전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이 두 전극 사이의 차이 신호를 이용하여 심전도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은 예를 들어 단극 흉부 유도의 V1과 V6에 대응된다.
또한 이 의류(200)는, 또 다른 하나의 도전성 섬유 전극(이하 '제 3 전극(230)'이라 한다)을 포함하여, 이 도전성 섬유 전극은 연결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의 접지(150)에 연결되고, 또 다른 하나의 도전성 섬유 전극(이하 '제 4 전극(240)'이라 한다)은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에서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의 차이를 증폭하기 위한 기준 전원(12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 3 전극(230) 및 제 4 전극(240)은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과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제 3 전극(230)과 제 4 전극(240)은 실험을 통해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에서 측정되는 심전도 신호는 신호의 레벨이 작은 미약한 신호이고 이 미약한 신호로부터 노이즈와 심전도 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 자체를 구분하기가 용이치 않다. 더욱이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기에 도전성 섬유로부터 유도되는 노이즈를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제 3 전극(230)과 제 4 전극(240)은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의 접지(150) 및 기준 전원(121)에 연결되어 제 1 전극(210) 및 제 2 전극(220)의 인근에 제공된다. 그 정확한 이유를 알 수 없으나, 실험을 통하여 확인된 바, 제 1 전극(210) 및 제 2 전극(220)으로부터의 신호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정확히 증폭이 될 수 있도록 하며, 신호의 플로팅을 제거하는 효과를 획득하고, 신호의 단절(truncation)없이 안정적으로 잡음 등을 제거하는 효과를 획득하며, 노이즈 성분과 신호 성분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전극(240)은 바람직하게는 의류(200)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등'과 접촉될 수 있는 의류(200)의 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면 중에는 '등'을 침대나 바닥 등에 밀착하여 취침을 하므로, 제 1 내지 제 4 전극(240)이 등에 밀착될 수 있고 또한 이로부터 용이하게 사용자의 수면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류(200)는, 이러한 제 1 내지 제 4 전극(240)을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선로(250)를 더 포함하고, 이 연결 선로(250)는 바람직하게 도전성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연결 선로(250)는 직조 형태로 의류(200) 내에 포함되거나 혹은 의류(200)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 1(210) 내지 제 4 전극(240)은 반드시 특정 위치로 고정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서는 각 전극의 역할이 변경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은 서로 역할이 변경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 3 전극(230)은 기준 전원(121)에 연결되고 제 4 전극(240)은 접지(150)에 연결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의류(200)는, 연결 선로(250)를 통해 연결된 제 1 내지 제 4 전극(240)을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포트(26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포트(260)는 예를 들어 커넥트(connector)와 같은 형태를 띠거나 또는 금속성으로 된 연결부재(예를 들어 4개의 전극을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금속성 단추나 금속성 지퍼 등...)일 수 있고 이 연결 포트(260)는 의류(200)의 특정 위치(예를 들어, 의류의 앞부분, 또는 옷깃이나 소매 등)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의류(200)를 통해, 사용자에게는 이질감이나 불편함을 제거하면서도 사용자의 심전도 신호를 편리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는, 의류(200)의 연결 포트(260)에 연결되어 제 1 전극(210) 내지 제 4 전극(240)을 이용하여 의류(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상태를 결정하거나 측정한다.
이러한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는, 결정된 상태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알리거나 혹은 결정된 상태를 원격 또는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에 대한 보다더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모니터링 장치(300)는, 하나 이상의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에 연결되어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로부터의 심전도 신호 또는 심전도 신호로부터 결정된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심전도 신호나 상태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장치(30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메모리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태에 따라 이상 상태를 감지한 경우 이 이상 상태를 이 모니터링 장치(300)를 관리하는 관리자(예를 들어 병원 관리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취침 중에 심전도 신호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수면 상태일 수 있고, 이러한 수면 상태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흡을 하지 않고 있는 지(무호흡 상태)나 사용자가 취침 중에 뒤척임(뒤척임 상태)이 자주 발생하고 있는지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면 상태 정보에 따라 관리자는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미연의 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와 모니터링 장치(3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망(400)으로서 예를 들어 근거리 유선 통신망(RS232, RS485, 유선 랜 등)이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망(무선 랜, 블루투스, 지그비 등)일 수 있다.
도 2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의 상위 레벨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는, 전극 연결부(110)와 전원 생성부(120)와 신호 처리부(130)와 제어 유닛(140)과 접지(150)를 포함한다.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의 각 구성 블록을 살펴보면, 전극 연결부(110)는, 의류(200)의 적어도 제 1 전극(210) 내지 제 4 전극(240)에 연결되어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제 3 전극(230)과 제 4 전극(240)을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의 접지(150)나 차이 신호의 증폭에 이용된 기준 전원(121)에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전극 연결부(110)는, 제 1 전극(210)에 연결하기 위한 제 1 전극 연결 포트(111)와 제 2 전극(220)에 연결하기 위한 제 2 전극 연결 포트(113)와 제 3 전극(230)에 연결하기 위한 제 3 전극 연결 포트(115)와 제 4 전극(240)에 연결하기 위한 제 4 전극 연결 포트(117)를 포함하고 의류(200)의 연결 포트(260)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전원 생성부(120)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의 각 블록에서 필요한 전원을 생성한다. 이러한 전원 생성부(120)는 내장된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지정된 전원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원 생성부(120)는, 신호 처리부(130)에서 필요한 하나 이상의 전원을 생성하고, 제어 유닛(140)에서 처리를 위해서 필요한 하나 이상의 전원을 생성한다.
즉 전원 생성부(120)는, 신호 처리부(130) 내부의 블록이 필요로 하는 제 1 전원(123)을 생성하고 또한 신호 처리부(130) 내부에서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 사이의 차이 신호를 생성할 때 기준이 되는 기준 전원(121)(예를 들어 2.5 V)을 생성하고, 또한 제어 유닛(140)에서 필요로 하는 제 2 전원(125)(예를 들어 5 V)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되는 기준 전원(121)은, 예를 들어 제 2 전원(125)의 전원 레벨의 절반의 전원 레벨이거나 혹은 제 1 전극(210)이나 제 2 전극(22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차이를 증폭하면서도 안정되는 신호를 수신시에 증폭된 신호가 전원 레벨에 따라 절단되지 않도록 설정된 전원 레벨일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전원(121)은 또한 제 4 전극(240)에 연결된다. 이 연결을 위해서 제 4 전극(240)과 기준 전원(121) 사이에는 노이즈 등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안정적인 기준 전원(121)의 유지를 위해 필터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30)는,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심전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제어 유닛(140)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 처리부(130)는, 접지(150)에 연결되고 연결된 접지(150)를 기준으로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예를 들어 아날로그의 심전도 신호를 제어 유닛(140)으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30)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설명은 도 3과 도 6을 통해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어 유닛(140)은, 신호 처리부(130)로터의 심전도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이러한 필요한 조치는 예를 들어 외부 모니터링 장치(300)로 상태를 전송하거나 혹은 사용자에게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140)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내지 도 5를 통해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접지(150)는, 아날로그 접지와 디지털 접지를 포함할 수 있고, 각 아날로그 접지는 아날로그 블록의(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130)) 접지(150)로 이용될 수 있고, 디지털 접지는 디지털 블록(예를 들어 제어 유닛(140))의 접지(150)로 이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와 디지털 접지는 예를 들어 비드(bead)를 통해 분리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 접지와 디지털 접지를 반드시 분리할 필요는 없고 하나의 접지(150)가 아날로그와 디지털 접지를 위해 공통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지(150)는 예를 들어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의 다층의 PCB 보드 상의 특정 층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접지(150)는 또한, 의류(200)의 제 3 전극(230)에 연결된다. 이 연결을 위해서 제 3 전극(230)과 접지(150) 사이에는 노이즈 등의 유입을 방지하거나 안정적인 접지(150)의 유지를 위해 필터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만일 아날로그 접지(15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 3 전극(230)은 이 아날로그 접지(15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접지(150) 및/또는 기준 전원(121)에 제 3 전극(230) 및/또는 제 4 전극(240)을 연결한다.
도 3은, 신호 처리부(130)의 예시적인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신호 처리부(130)는, 두 개 이상의 저역 필터(131)와 차동 증폭기(133)와 대역 통과 필터(135)와 증폭부(137)와 고역 필터(139)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의 블록은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대역 통과 필터(135)나 증폭부(137)나 고역 필터(139)는 생략되거나 혹은 다른 등가 블록으로 치환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30)의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각 저역 필터(131)(LPF : Low Pass Filter)는, 입력되는 제 1 전극(210) 또는 제 2 전극(220)의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접지(150)를 기준으로 하여 지정된 주파수 이하로만 통과시키도록 필터링하고 이러한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저역 필터(131)는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하고 제 3 전극(230)이 접지(150)를 통해 의류(200)에 연결되어, 저역 필터(131)가 제 1 전극(210)의 신호와 제 2 전극(220)의 신호가 플로팅(floating)되지 않도록 하여 지정된 주파수(예를 들어 169Hz)에 따라 필터링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접지(150)는 다른 블록들이 이용하는 접지(150)에 또한 연결될 수 있다.
차동 증폭기(133)(Differential Amplifier)는, 적어도 두 개의 저역 필터(131)를 통해 출력된 필터링된 신호 사이의 차이를 오피 앰프(OpAmp) 등을 이용하여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차동 증폭기(133)는, 예를 들어 저역 필터(131)를 통해 출력된 필터링된 신호 사이의 차이를 전원 생성부(120)를 통해 입력된 기준 전원(121)을 중심으로 하여 지정된 증폭율(예를 들어 50배)에 따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기준 전원(121)은 또한 제 4 전극(240)에 연결되는데, 제 4 전극(240)이 기준 전원(121)에 연결됨에 따라 차등 증폭기로 입력되는 필터링된 신호 각각의 차이를 이 기준 전원(121)을 중심으로 하여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 3 전극(230)만을 접지(150)에 연결할 때 보다 제 4 전극(240)을 기준 전원(121)에 더 연결하는 경우에 보다더 안정적으로 심전도 신호를 신호 처리부(130)나 제어 유닛(140)이 처리할 수 있는 전원 범위 내에서 출력할 수 있다는 것이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제 3 전극(230)과 제 4 전극(240)을 같이 사용할 때 심전도 신호를 안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대역 통과 필터(135)(BPF : Band Pass Filter)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 내의 차동 증폭기(133)로부터의 증폭된 차이 신호를 통과시킨다. 예를 들어 이러한 지정된 주파수 대역은 1.6 Hz 에서 169 Hz 사이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고, 이 주파수 대역은 실험에 의해서 혹은 다른 예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증폭부(137)는, 대역 통과 필터(135)를 통해 통과된 차동 증폭기(133)의 차이 신호를 지정된 증폭율에 따라 증폭한다.
여기서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은, 각각 단극 흉부 유도에 이용되는 V1과 V6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의류(200)에는, 이 V1과 V6 로부터의 신호를 등으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전면에서 측정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달리 '등'으로부터 수신하기에 여기서의 증폭율은 기존 방식과는 달리 더 큰 증폭율(예를 들어 800배)로 증폭한다.
고역 필터(139)(HPF: High Pass Filter)는, 증폭부(137)에 의해서 증폭된 차이 신호를 다시 지정된 주파수 이상만을 통과시키도록 필터링한다. 여기서의 지정된 주파수는 예를 들어 1.6 Hz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 과정을 통해서 신호 처리부(130)는, 두 개의 전극 사이의 차이 신호를 제어 유닛(1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처리 과정에서 신호 처리부(130)에서 이용되는 접지(150)와 기준 전원(121)을 제 3 전극(230)과 제 4 전극(240)에 연결하여 입력되는 전극의 신호에 대한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측정방식에 비해서 안정적으로 심전도 신호(차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살펴본 바와 같이 간단한 회로 구조로 이러한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도 3에 따른 신호 처리부(130)는, 다양한 필터를 통해서 출력된다. 이러한 다양한 필터의 적용은, 또한 도전성 섬유의 특성으로 인해 부가될 수 있는 다양한 잡음(노이즈)를 제거하고 보다더 안정적으로 심전도 신호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고역 필터(139)를 통해 출력되는 심전도 신호는 기준 전원(121)을 중심으로 증폭되고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다. 이 기준 전원(121)은 바람직하게 제어 유닛(140)에서 처리할 수 있는 디지털 전원 레벨의 절반의 전원 레벨이거나 혹은 임의로 지정된 전원 레벨일 수 있다.
도 4는, 제어 유닛(140)의 예시적인 상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제어 유닛(14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1)와 메모리(142)와 입력부(143)와 출력부(144)와 송수신부(145)와 제어부(146)와 각 블록 간의 데이터를 제어부(146)를 중심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47)를 포함한다.
이 중 일부의 블록은 그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입력부(143)나 출력부(144)나 송수신부(145)는 구체적인 응용 사례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유닛(140)은, 하나의 칩셋에 구현되거나 혹은 복수의 칩셋에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MPU) 또는 마이컴의 형태로 하나의 단일 칩셋 내에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140)의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1)(ADC: Analog-Digital Converter)는, 신호 처리부(130)를 통해 출력된 아날로그의 심전도 신호를 지정된 비트 수(예를 들어 8 비트나 16 비트)로 된 디지털의 심전도 신호로 변환한다.
메모리(142)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제어부(146)에서 수행될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임시로 저장될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이다. 이러한 메모리(142)는 예를 들어 노어 플래쉬(Nor Flash) 타입의 메모리이거나 낸드 플래쉬(Nand Flash) 타입의 메모리이거나 또는 이에 더하여 디램(DRAM) 타입의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3)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는 버튼(도면 미도시)이나 스위치(도면 미도시) 등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예를 들어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포트일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43)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출력부(144)는, 제어부(146)의 제어에 따라 알람이나 경고 등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어 출력부(144)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에 구비될 수 있는 스피커(도면 미도시)나 부저(도면 미도시) 또는 다이오드(Diode)(도면 미도시) 등에 연결되어 이상 상태 등을 사용자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출력부(144)는 예를 들어 GPIO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145)는, 제어부(146)의 제어하에 제어부(146)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통신망(400)의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또는 원격의 모니터링 장치(300)로 전송하고, 모니터링 장치(3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46)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송수신부(145)는, 지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필요한 구성 블록을 포함한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47)는, 제어 유닛(140)에 포함된 각 블록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하기 위한 버스이다. 이러한 버스는 병렬 버스이거나 시리얼 버스일 수 있고, 이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47)는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46)의 제어하에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버스이다.
제어부(146)는, 제어 유닛(14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하도록 하는 실행 유닛이다. 이러한 제어부(146)는, 메모리(142)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 패치 유닛, 명령어 실행 유닛 등을 포함하는 실행 유닛이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로직(Logic)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6)는,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300)나 입력부(143)를 통해 입력된 제어에 따라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6)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1)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의 심전도 신호로부터 이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가 연결된 의류(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상태를 입력부(143)나 외부의 모니터링 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6)에서 이루어지는 예시적인 제어를 특히 수면 중에 파악할 수 있는 수면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를 도 5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도 5는, 신호 처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예시적인 아날로그 심전도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의류(200)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침대 등에서 의류(200)에 배치되어 있는 제 1(210) 내지 제 4 전극(240)과 등이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신호 처리부(130)에서 아날로그의 심전도 신호가 출력되는 파형을 나타내고, 반면에 도 5의 (b)는, 사용자의 뒤척임 등을 통해서 제 1(210) 내지 제 4 전극(240)이 제대로 밀착되지 못하여(예를 들어 오픈(open)되어) 파형이 제어 유닛(14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전원 레벨의 최대치와 최소치 사이를 스윙하고 있는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5의 도면에 기초하여, 제어부(146)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1)를 통해 변환된 지정된 전원 레벨에 대응하는 디지털 값을 지정된 주기(예를 들어 심전도 신호의 파형을 복원할 수 있는 주기, 수십 KHz ~ 수백 KHz)에 따라 수신하고, 메모리(142) 등에 저장한다.
제어부(146)는, 저장된 메모리(142)의 연속적으로 변환된 디지털 값으로부터 의류(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면 상태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숨을 못 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무호흡 상태와 사용자가 수면 중에 움직임 등으로 인한 상태인 뒷척임 상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무호흡 상태와 뒷척임 상태 모두 연속적으로 변환되어 메모리(142)에 저장된 디지털 값으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6)는, 제어부(146)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전원 범위 내에서(예를 들어 기준 전원(121)을 중심으로 해서 일정한 범위 내의 디지털 값) 안정적으로 변환된 디지털 값이 존재(도 5의 (a) 참조)하는 경우에는, 변환된 디지털 값으로부터 박동 주기를 결정(예를 들어 심전도 신호의 피크값 사이의 시간 주기)하고, 각각의 결정된 박동 주기에 따라 사용자의 심박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심박수는 일정한 범위 내에 유지되어야 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수면 중에 무호흡 상태에 빠지는 경우에는 숨을 쉬지 못함에 따라 심박수가 높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6)는, 이렇게 결정된 심박수가 지정되어 있는 임계 심박수(예를 들어 160회 등) 이상인 경우에는, 수면 상태를 무호흡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무호흡 상태에 대해서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 제어부(146)는 출력부(144)를 통해 알람이나 경고나 다이오드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수면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46)는 또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뒷척임 상태로 결정할 수 있는 데, 연속적으로 변환된 디지털 값들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1)에 변환할(또는 가질) 수 있는 최대값과 최소값을 지정된 개수 이상 포함하는 경우에 뒷척임 상태로 결정(도 5의 (b) 참조)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뒷척임 상태는 여러가지 형태로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 5의 (b)와 같이 안정적으로 심전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에서 최대값이나 최소값으로 변하고, 이후 다시 안정적으로 심전도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1회의 뒷척임 상태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뒷척임 상태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1)에서 생성된 디지털의 변환 값이 최대값(8비트의 경우 255)이나 최소값(8비트의 경우 0)을 가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즉 주기적으로) 변환된 디지털 값이 최대값 및/또는 최소값이고 지정된 일정 개수 이상인 경우에 뒷척임 상태로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최대값이나 최소값이 발생하는 이유는, 제 1(210) 내지 제 4 전극(240)이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지 못함으로써, 즉 움직임에 의해서 전극과 등이 떨어져서, 신호 처리부에서의 정상적인 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그 처리 결과가 극한값(최대값이나 최소값)으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안정적으로 심전도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지정된 기준 전원(121)(예를 들어 5V 전체 레벨에 대해서 2.5V)을 기준으로 해서, 심전도 신호가 측정되고 이후 디지털의 신호 값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로부터 사용자의 심박수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수면 상태는 이러한 무호흡 상태나 뒷척임 상태 외에도 심전도 신호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상태도 더 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수면 상태 외에도, 사용자가 운동 중에 측정된 심박수에 따라 심박수가 임의의 지정된 심박수를 더 넘어가는 경우에 출력부(144)를 통해 경고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46)의 제어에 의해서, 수면 중에 사용자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심장과 관련된 임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또한 제어부(146)는, 연결된 원격의 모니터링 장치(300)로 수면 상태(무호흡 상태 및/또는 뒷척임 상태)를 전달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은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에 의해서 수행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4의 블록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미 도 2 내지 도 5를 통해서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100)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았으므로 대응하는 본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간단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S100에서, 전원 인가에 따라 또는 입력부(143)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 혹은 모니터링 장치(300)를 통한 제어에 따라 본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을 시작한다.
단계 S101에서,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각각 구성된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S103에서 각각의 저역 필터(131)를 이용하여, 단계 S101에서 수신된 제 1 전극(210)과 제 2 전극(220)을 지정된 주파수에 따라 각각 필터링 한다. 여기서 이 아날로그 접지(150)는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된 의류(200)의 제 3 전극(230)에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단계 S105에서, 차동 증폭기(133)를 이용하여, 각각의 저역 필터(131)로부터의 필터링된 신호 사이의 차이를 지정된 기준 전원(121)을 중심으로 지정된 증폭율에 따라 증폭한다. 여기서 이 지정된 기준 전원(121)은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된 의류(200)의 제 4 전극(240)에 연결되어 안정적인 증폭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단계 S107에서 단계 S105에서 증폭된 차이 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135)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 단계 S109에서 필터링된 차이 신호를 다시 지정된 증폭율에 따라 증폭하고 이후 단계 S111에서 증폭된 차이 신호를 고역 필터(139)를 이용하여 필터링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단계 S111에서 필터링된 차이 신호인 심전도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1)를 통해 주기적으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이러한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신호값은 메모리(142)에 저장된다.
이후 단계 S115에서, 제어부(146)는 주기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환되어 저장된 디지털의 심전도 신호값으로부터 도전성 섬유 전극이 포함된 의류(200)를 착용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결정한다.
이러한 수면 상태에는 무호흡 상태나 뒷척임 상태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결정은 연속적으로 변환되어 저장된 디지털의 신호 값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결정된 수면 상태는 제어부(146)의 제어하에 통신망(400)을 통해 연결된 모니터링 장치(300)로 전송(단계 S117)하거나 혹은 출력부(144)를 통해 경고 등을 출력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부(143)를 통한 제어를 통해 혹은 모니터링 장치(300)를 통한 제어를 통해 종료(S200)될 수 있다.
물론 단계 S101 내지 단계 S113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반복적으로 수행될 결과에 대해서 단계 S115와 단계 S117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을 통해서, 도전성 섬유를 이용하여 비 이질적이고 경제적이며 또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간단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110 : 전극 연결부 111 : 제 1 전극 연결 포트
113 : 제 2 전극 연결 포트 115 : 제 3 전극 연결 포트
117 : 제 4 전극 연결 포트
120 : 전원 생성부 121 : 기준 전원
123 : 제 1 전원 125 : 제 2 전원
130 : 신호 처리부
131 : 저역 필터 133 : 차동 증폭기
135 : 대역 통과 필터 137 : 증폭부
139 : 고역 필터
140 : 제어 유닛
141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142 : 메모리
143 : 입력부 144 : 출력부
145 : 송수신부 146 : 제어부
147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150 : 접지
200 : 의류
210 : 제 1 전극 220 : 제 2 전극
230 : 제 3 전극 240 : 제 4 전극
250 : 연결 선로 260 : 연결 포트
300 : 모니터링 장치 400 : 통신망
110 : 전극 연결부 111 : 제 1 전극 연결 포트
113 : 제 2 전극 연결 포트 115 : 제 3 전극 연결 포트
117 : 제 4 전극 연결 포트
120 : 전원 생성부 121 : 기준 전원
123 : 제 1 전원 125 : 제 2 전원
130 : 신호 처리부
131 : 저역 필터 133 : 차동 증폭기
135 : 대역 통과 필터 137 : 증폭부
139 : 고역 필터
140 : 제어 유닛
141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142 : 메모리
143 : 입력부 144 : 출력부
145 : 송수신부 146 : 제어부
147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150 : 접지
200 : 의류
210 : 제 1 전극 220 : 제 2 전극
230 : 제 3 전극 240 : 제 4 전극
250 : 연결 선로 260 : 연결 포트
300 : 모니터링 장치 400 : 통신망
Claims (22)
-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의류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 3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전극에 연결되는 전극 연결부; 상기 제 3 전극에 연결되는 접지(Ground); 및 상기 접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심전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의류는 병상옷, 잠옷 또는 내의로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의류를 착용하는 사용자와 접촉하도록 하되 상기 사용자의 등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수면 중 등을 침대 또는 바닥에 밀착하여 취침할 때 상기 복수의 전극이 상기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수면중 뒤척일 때 상기 복수의 전극이 상기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지 못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과 상기 사용자의 등이 떨어지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뒤척임을 적어도 식별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구성된 제 4 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접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에 각각 연결되어 필터링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저역 필터와 제 2 저역 필터; 및
상기 제 1 저역 필터와 제 2 저역 필터로부터 출력된 필터링된 신호 사이의 차이를 상기 제 4 전극에 연결된 기준 전원을 중심으로 증폭하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는,
심전도 신호가 가질 수 있는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지정된 개수 이상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뒷척임 상태로 결정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전극은,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의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 대해 상기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서의 기준을 설정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시스템. -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의류에 배치되는 제 1 전극, 제 2 전극 및 제 3 전극을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의 전극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로부터 심전도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아날로그 접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수신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부터의 신호를 각각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접지는 상기 제 3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의류는 병상옷, 잠옷 또는 내의로서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의류를 착용하는 사용자와 접촉하도록 하되 상기 사용자의 등과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가 수면 중 등을 침대 또는 바닥에 밀착하여 취침할 때 상기 복수의 전극이 상기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는,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수면중 뒤척일 때 상기 복수의 전극이 상기 사용자의 등에 밀착되지 못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과 상기 사용자의 등이 떨어지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뒤척임을 적어도 식별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부터의 신호 사이의 차이를 지정된 기준 전원을 중심으로 증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극은 도전성 섬유 전극으로 구성된 제 4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정된 기준 전원은 상기 제 4 전극에 연결되는,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 삭제
- 삭제
- 제13항에 있어서,
심전도 신호가 가질 수 있는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지정된 개수 이상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뒷척임 상태로 결정하는,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2909A KR101455207B1 (ko) | 2012-12-26 | 2012-12-26 |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2909A KR101455207B1 (ko) | 2012-12-26 | 2012-12-26 |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4408A KR20140084408A (ko) | 2014-07-07 |
KR101455207B1 true KR101455207B1 (ko) | 2014-11-04 |
Family
ID=5173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2909A KR101455207B1 (ko) | 2012-12-26 | 2012-12-26 |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520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9285493U (zh) * | 2017-01-19 | 2019-08-23 | 山东医联万家健康科技有限公司 | 一种实时心电图信号监测仪 |
KR20220112992A (ko) * | 2021-02-05 | 2022-08-12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허리밴드형 웨어러블 심전도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박 측정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28187A (ja) * | 1997-10-24 | 1999-05-18 | Gunze Ltd | 心電図用電極、心電図測定用着衣及び心電図測定システム |
JP2002159458A (ja) * | 2000-11-24 | 2002-06-04 | Fukuda Denshi Co Ltd | 生体電気信号誘導センサ、生体電気信号記録システム及び生体電気信号記録方法 |
JP2007517553A (ja) * | 2004-01-16 | 2007-07-05 | コンプメディクス リミテッド | 心電図から導出された睡眠呼吸障害の監視、検出及び分類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
KR100760594B1 (ko) * | 2006-08-21 | 2007-10-04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극 내장형 의복 |
-
2012
- 2012-12-26 KR KR1020120152909A patent/KR1014552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28187A (ja) * | 1997-10-24 | 1999-05-18 | Gunze Ltd | 心電図用電極、心電図測定用着衣及び心電図測定システム |
JP2002159458A (ja) * | 2000-11-24 | 2002-06-04 | Fukuda Denshi Co Ltd | 生体電気信号誘導センサ、生体電気信号記録システム及び生体電気信号記録方法 |
JP2007517553A (ja) * | 2004-01-16 | 2007-07-05 | コンプメディクス リミテッド | 心電図から導出された睡眠呼吸障害の監視、検出及び分類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
KR100760594B1 (ko) * | 2006-08-21 | 2007-10-04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극 내장형 의복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4408A (ko) | 2014-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62030B2 (en) | Electrocardiography device for garments | |
Vuorela et al.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ortable long-term physiological signal recorder | |
KR101725239B1 (ko) |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스마트 웨어 | |
US20160128594A1 (en) | Wearable fetal monitoring system having textile electrodes | |
KR20160074437A (ko) | 치료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독립형 웨어러블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 |
JP6215637B2 (ja) | 生体情報収集装置 | |
EP3672481A2 (en) | Enhancing optical cardiac activity measurement | |
JP2018504192A (ja) | 複数のケーブルレス医療センサ用汎用ディスプレイユニット | |
KR20140146344A (ko) | 착탈형 용량성 결합 능동전극을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 및 방법 | |
CA2839954A1 (en) | Independent non-interfering wearable health monitoring and alert system | |
CN105125207A (zh) | 一种移动式心电监测终端 | |
Kim et al. | Influence of contact pressure and moisture on the signal quality of a newly developed textile ECG sensor shirt | |
JP7277970B2 (ja) | ウエアラブルデバイスを利用する心電図測定方法及びシステム | |
JP7303534B2 (ja) | スマートウェア | |
Agezo et al. | Battery-free RFID heart rate monitoring system | |
CN104027107A (zh) | 一种穿戴式心电测量装置 | |
CN204379276U (zh) | 一种带导电布电极的心电感测服装 | |
CN104173041A (zh) | 一种便携式心电监测系统 | |
KR101455207B1 (ko) |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 심전도 신호 측정 방법 및 심전도 신호 측정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의류 | |
CN219578897U (zh) | 一种基于物联网与柔性显示技术的心电监测衣 | |
JP2006247075A (ja) | 生体電気信号測定装置、及び電極装置 | |
KR20140082314A (ko) | 침대에서 획득된 심전도신호에 의한 피험자 상태분석장치 및 방법 | |
US20230263468A1 (en) | A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a Controller for an Electronics Module, and a Wearable Article Incorporating an Electronics Module | |
EP426254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recovery score for a user | |
WO2022106833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eaks in a biosig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