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107B1 - 냉각반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냉각반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107B1
KR101455107B1 KR1020130047759A KR20130047759A KR101455107B1 KR 101455107 B1 KR101455107 B1 KR 101455107B1 KR 1020130047759 A KR1020130047759 A KR 1020130047759A KR 20130047759 A KR20130047759 A KR 20130047759A KR 101455107 B1 KR101455107 B1 KR 101455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 furnace
variable
cooling
faste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중
김정회
박재상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7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0Cool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2Casings; Linings; Walls; Roofs incorporating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00Cooling of furnaces or of charges therein
    • F27D2009/0002Cooling of furn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로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와, 고로에 내장된 냉각반에 결합되는 체결부와, 체결부에 설치되는 피가압부와,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길이가 변화되어 피가압부를 밀어내는 가변부를 포함하여, 손상된 냉각반을 고로에서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반 제거장치{REMOVAL DEVICE OF STAVE COOLER}
본 발명은 냉각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형에 의해 고로에 고착된 냉각반을 고로에서 안정적으로 분리시키는 냉각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반은 고로 본체의 철피 내측에 설치되는 정형 내화물인 연와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냉각시스템으로서 사용된다.
냉각반은 고로의 철피 안쪽으로 축조된 연와 사이에 매설되고, 냉각수 공급라인을 통해 냉각수가 통수되어 고로 본체의 연와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냉각반의 주위를 다수의 연와가 둘러싸며, 전체 연와는 냉각반의 보호를 위해 냉각반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49018호(2004.06.11 공개, 발명의 명칭 : 고로에 사용되는 돌기형 보조 냉각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변형된 냉각반을 고로에서 분리시키는 냉각반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는: 고로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고로에 내장된 냉각반에 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설치되는 피가압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피가압부를 밀어내는 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고로에 결합되고, 상기 냉각반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피가압부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대; 및 상기 고정대의 내측을 연결하는 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제2너트부; 및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너트부와 상기 제2너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피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홀은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간격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체결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중앙부가 저점을 형성하도록 경사를 갖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에 안착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피가압부를 밀어내는 가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는 가변부의 길이변화에 따라 피가압부를 밀어내면, 손상된 냉각반을 고로에서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는 중앙부가 저점을 형성하도록 경사를 갖는 받침대에 가변체가 안착되므로, 가변체의 위치 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는 피가압판에 장방형 관통홀이 형성됨으로써, 크기가 상이한 다양한 냉각반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에서 베이스부가 고로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체결부가 냉각반과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피가압부가 체결부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가변부가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에서 베이스부가 고로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체결부가 냉각반과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피가압부가 체결부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서 가변부가 피가압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1)는 베이스부(10)와, 체결부(20)와, 피가압부(30)와, 가변부(4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는 고로(100)에 장착된다. 베이스부(10)는 고로(100)의 철피 외측에 위치되고, 용접에 의해 고로(100)에 가고정된다(도 2 참조).
고로(100)에는 냉각반(200)이 내장되어 고로(100)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냉각반(200)에는 냉각관(210)과 출입관(220)이 구비된다(도 3과 도 4 참조).
냉각관(210)은 고로(100)에 내장된다. 이러한 냉각관(210)에는 냉각수가 고로(100)와 골고루 접촉되어 고로(100)를 냉각시키도록 유로가 형성된다.
출입관(220)은 냉각관(210)의 유로 양단부에서 연장되고, 고로(100) 외부로 노출되어 급수관과 배수관에 각각 연결된다.
체결부(20)는 고로(100)에 내장된 냉각반(2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체결부(20)는 출입관(220)과 연결된다.
피가압부(30)는 체결부(20)에 설치되고, 가변부(40)는 베이스부(10)에 장착된다. 가변부(40)는 피가압부(30)와 베이스부(10) 사이에 배치되고, 가변부(40)의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가변부(40)가 피가압부(30)를 밀어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0)에는 고정대(11)와, 연결대(12)와, 보강대(13)가 구비된다(도 2 참조).
고정대(11)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며, 냉각반(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대(11)는 용접에 의해 고로(10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냉각반(200)은 수평 길이가 수직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고정대(11)는 냉각반(200)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배치된다(도 1 참조).
연결대(12)는 고정대(11)의 단부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대(12)는 피가압부(30)와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보강대(13)는 고정대(11)의 내측을 연결한다. 또한, 보강대(13)는 연결대(12)와 연결되어 고정대(11)와 연결대(12)의 강성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가압부(30)에는 제1,제2너트부(31,32)와, 피가압판(33)이 구비된다(도 3과 도 4 참조).
제1너트부(31)와 제2너트부(32)는 체결부(20)에 나사 결합되고, 피가압판(33)은 제1너트부(31)와 제2너트부(32) 사이에 고정되고, 연결대(12)와 직교한다.
예를 들어, 체결부(20)의 일단부는 출입관(220)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체결부(20)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너트부(31)가 체결부(20)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고, 피가압판(33)이 제1너트부(31)에 밀착된 후, 제2너트부(32)가 체결부(20)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면서 피가압판(33)에 밀착된다.
피가압판(33)에는 체결부(20)가 관통되도록 관통홀(34)이 형성된다. 한 쌍의 체결부(20)가 통과하도록 피가압판(33)에는 한 쌍의 관통홀(34)이 형성되되, 관통홀(34)은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도 1 참조).
즉, 피가압판(33)이 가로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관통홀(34)의 가로 길이가 세로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냉각반(200)의 크기가 달라 각 냉각반(200)마다 출입관(220) 간의 간격이 상이하더라도, 출입관(220)과 결합되는 체결부(20)가 관통홀(34)을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40)에는 받침대(41)와, 가변체(42)가 구비된다(도 1과 도 2 참조).
받침대(41)는 베이스부(10)에 결합되고, 중앙부가 저점을 형성하도록 경사를 갖는다.
예를 들어, 받침대(41)는 연결대(12)에 용접되거나, 별도의 플랜지에 의해 연결대(12)에 조립될 수 있다.
가변체(42)는 받침대(41)에 안착된다. 이러한 가변체(42)는 받침대(41)의 경사에 의해 받침대(41)의 중앙부에 위치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피가압부(30)를 밀어낸다.
예를 들어, 가변체(42)로는 유압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거는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쟈키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각반(20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베이스부(10)를 고로(100)에 결합시키고, 베이스부(10)에 가변부(40)를 설치한다(도 2 참조).
베이스부(10)에 가변부(40)를 장착한 후, 체결부(20)를 냉각반(200)의 각 출입관(220)에 결합한다(도 3 참조).
체결부(20)가 출입관(220)에 결합되면, 피가압부(30)를 체결부(20)에 결합시킨다. 이때, 가변부(40)는 피가압부(30)와 베이스부(1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가변부(40)의 가변체(42)가 구동되어 가변체(42)의 길이가 늘어나면, 피가압부(30)가 가변체(42)에 밀려 이동된다(도 5 참조).
피가압부(30)가 이동되면, 피가압부(30)와 연결된 체결부(20)와 냉각반(200)이 이동되므로, 궁극적으로 냉각반(200)이 고로(100)에서 인출된다.
한편, 손상된 냉각반(200)이 고로(100)에서 인출되면, 피가압부(30)를 체결부(20)에서 분리시키고, 베이스부(10)에서 가변부(40)를 제거하며, 베이스부(10)를 고로(100)에서 분해한 다음, 교체용 냉각반(200)을 고로(100)에 장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1)는 가변부(40)의 길이변화에 따라 피가압부(30)를 밀어내면, 손상된 냉각반(200)을 고로(100)에서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1)는 중앙부가 저점을 형성하도록 경사를 갖는 받침대(41)에 가변체(42)가 안착되므로, 가변체(42)의 위치 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반 제거장치(1)는 피가압판(33)에 장방형 관통홀(34)이 형성됨으로써, 크기가 상이한 다양한 냉각반(200)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베이스부 11 : 고정대
12 : 연결대 13 : 보강대
20 : 체결부 30 : 피가압부
31 : 제1너트부 32 : 제2너트부
33 : 피가압판 34 : 관통홀
40 : 가변부 41 : 받침대
42 : 가변체 100 : 고로
200 : 냉각반 210 : 냉각관
220 : 출입관

Claims (5)

  1. 고로에 장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고로에 내장된 냉각반에 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설치되는 피가압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피가압부를 밀어내는 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중앙부가 저점을 형성하도록 경사를 갖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에 안착되고,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피가압부를 밀어내는 가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반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고로에 결합되고, 상기 냉각반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단부를 연결하고, 상기 피가압부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연결대; 및
    상기 고정대의 내측을 연결하는 보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반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체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제2너트부; 및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너트부와 상기 제2너트부 사이에 배치되는 피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반 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가로의 길이가 세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간격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체결부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반 제거장치.
  5. 삭제
KR1020130047759A 2013-04-29 2013-04-29 냉각반 제거장치 KR101455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59A KR101455107B1 (ko) 2013-04-29 2013-04-29 냉각반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759A KR101455107B1 (ko) 2013-04-29 2013-04-29 냉각반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107B1 true KR101455107B1 (ko) 2014-10-27

Family

ID=5199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759A KR101455107B1 (ko) 2013-04-29 2013-04-29 냉각반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1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875U (ko) * 1997-01-24 1998-10-15 송경섭 고로의 냉각반 취외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875U (ko) * 1997-01-24 1998-10-15 송경섭 고로의 냉각반 취외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25320A (zh) 管材及板材的固定夹具
FR2992887A1 (fr) Procede de fixation d'un renfort metallique structurel sur une partie d'une aube de turbine a gaz en materiau composite et moule d'injec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n tel procede
KR101026393B1 (ko) 금속배관용 축관기
KR101455107B1 (ko) 냉각반 제거장치
CN107695432A (zh) 一种不锈钢管的全自动切割设备
CN211137614U (zh) 离心混凝土桩模具及用以搁置该模具的平板车
KR20140122543A (ko) 금속 열처리용 냉각장치 및 이를 갖는 금속 열처리장치
CN106685153A (zh) 定子热套支撑工具
JP2010120028A (ja) プレス素材の位置決めゲージ
KR102099302B1 (ko) 타공장치
KR20110010462A (ko) 냉각기를 구비하는 압연장치
KR101442660B1 (ko) 가이드 롤의 베어링 제거장치
CN108057731A (zh) 铜线生产设备
CN106592621A (zh) 钢柱地脚螺栓安装方法及定位固定装置
KR20110122627A (ko) 성형품 생산 장치
KR20210064523A (ko) 금속 열처리용 냉각장치 및 이를 갖는 금속 열처리장치
KR20110059454A (ko) 압연기의 스트리퍼 장착 장치
CN203636313U (zh) 一种喷射阀阀芯抽取装置
CN216029053U (zh) 一种用于机架焊接横梁的固定工装
CN206952142U (zh) 一种液压脱模装置
KR101435044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CN108262375A (zh) 一种钢材矫直装置
KR101510277B1 (ko) 슬라브의 측면을 지지하는 롤러장치
KR101372504B1 (ko) 형강류 고주파 밴딩장치
KR101126531B1 (ko) 고주파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