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543B1 - 광파 오븐의 안정장치 - Google Patents

광파 오븐의 안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543B1
KR101454543B1 KR1020130058461A KR20130058461A KR101454543B1 KR 101454543 B1 KR101454543 B1 KR 101454543B1 KR 1020130058461 A KR1020130058461 A KR 1020130058461A KR 20130058461 A KR20130058461 A KR 20130058461A KR 101454543 B1 KR101454543 B1 KR 101454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haft
safety device
handle
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진
배종회
김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to KR102013005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05B3/0071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 H05B3/0076Heating devices using lamps for domestic applications for cooking, e.g. in ovens

Abstract

본 발명은 광파오븐이 안전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구성되는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안전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바텀글래스와, 하면이 개구되고 상기 바텀글래스 상부에 결합되어 가열실을 형성하며 상부 중앙에 장착공이 형성된 메인볼과,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며 가열용 램프를 구비하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이다. 그리고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케이스 하면으로 돌출하도록 탄성지지되고, 본체가 메인볼에 완전하게 장착되면 상방으로 이동하는 샤프트와; 중심축이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심축의 양측에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형성된 작동레버;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과 연동하도록 형성되고, 손잡이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단부를 눌러서 제1단부가 스위치와 접촉하여 온 상태로 하는 작동돌기부를 포함한다. 샤프트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손잡이가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만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파 오븐의 안정장치{Safety device for light wave oven}
본 발명은 광파 오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파 오븐에서 전체적으로 완전하게 조립되지 않거나 가열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발열을 위한 부분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광파 오븐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가열을 위한 조리 기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방식과 가스 등의 연소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편의상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기를 이용한 조리기기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가열대상물을 가열하는 전자레인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기본적으로 마이크로웨이브에서 발생하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가열대상물을 가열하는 장치이나, 가열 방식의 단일성 때문에 여러 가지 조리에 사용되기에는 부족한 점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이외에 다른 다양한 히터를 내장시키는 제품이 제안되고 현재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기 위한 마그네트론 이외에, 가열대상물의 가열을 위하여 다른 형태의 발열장치를 내장시키게 되면, 전체적인 구조도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생산성에서도 더욱 불리하게 되며, 제조 비용도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음은 당연하다.
현재에는 광파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광파오븐이 시판중에 있는데, 이러한 광파오븐은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충분한 가열온도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로겐램프를 이용하는 광파오븐의 경우, 할로겐램프에서는 상당한 고온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온을 이용하여 컨벡션 방식으로 가열하게 되면 여러 가지 종류의 조리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광파 오븐의 경우에는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실현될 수 있어서, 저렴하면서도 충분한 가열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상당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할로겐램프와 같은 발열장치는 전원의 인가에 의하여 상당한 고온까지 온도가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안전의 측면에서 매우 유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어 광파 오븐에 내장되어 있는 발열장치가 동작하게 되면 단시간에 고온으로 되기 때문에, 발열장치는 광파오븐이 정확하게 조립된 상태 및 가열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만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로겐램프가 내장된 부품이, 가열실을 형성하기 위한 메인볼에 정확하게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할로겐램프에 전원이 인가되면 조리도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음은 물론이고 열원이 외부로 노출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광파오븐의 경우, 열원을 포함한 부품 전체가 정확하게 조립 또는 세팅된 상태에서만 램프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한 것으로, 광파오븐에서 각 부분이 정확하게 세팅되지 않으면 발열장치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의 공급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기구적으로 이중으로 제어되는 광파오븐의 안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광파오븐의 안전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바텀글래스와, 하면이 개구되고 상기 바텀글래스 상부에 결합되어 가열실을 형성하며 상부 중앙에 장착공이 형성된 메인볼과,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며 가열용 램프를 구비하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로써;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케이스 하면으로 돌출하도록 탄성지지되고, 본체가 메인볼에 완전하게 장착되면 상방으로 이동하는 샤프트와; 중심축이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심축의 양측에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형성된 작동레버;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과 연동하도록 형성되고, 손잡이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단부를 눌러서 제1단부가 스위치와 접촉하여 온 상태로 하는 작동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샤프트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손잡이가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만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는 본체의 케이싱에 형성된 안내리브에 의하여 상하 운동이 안내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형성된 원통형 보스와 상기 보스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한 작동레버의 중심축에 의하여, 작동레버가 샤프트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면이 개구된 바텀글래스와, 하면이 개구되고 상기 바텀글래스 상부에 결합되어 가열실을 형성하며 상부 중앙에 장착공이 형성된 메인볼과,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며 가열용 램프를 구비하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로써;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케이스 하면으로 돌출하도록 탄성지지되고, 본체가 메인볼에 완전하게 장착되면 상방으로 이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작동돌기부; 상기 샤프트의 상방 이동에 의하여 온 상태로 되는 제1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작동돌기부의 회동에 의하여 온 상태로 되는 제2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스위칭수단 및 제2스위칭수단이 같이 온 상태로 되어야, 램프에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오븐은 열을 발생하는 램프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가 메인볼에 완전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접어야만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파오븐이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가열을 위하여 손잡이를 정확한 위치에 세팅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온을 발생하는 램프에는 전원이 공급될 수 없는 상태로 제어된다. 따라서 광파오븐의 불안전한 동작이 발생할 수 없으며, 램프를 포함하는 본체가 분리된 상태에서 발열할 수 없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파오븐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파오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요부 단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안전장치가 적용되는 광파오븐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광파오븐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광파오븐은, 메인볼(main bowl)(10)과 바텀글래스(20)에 의하여 가열실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메인볼(10)은 하면이 개구된 대략 반구상 또는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바텀글래스(20)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반구상 또는 부분 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볼(10)과 바텀글래스(20)가 결합하여, 그 내부에는 가열대상물을 넣어놓고 가열을 수행할 수 있는 가열실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볼(10)은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가열되는 가열대상물의 상태를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에 의해서도 유해성 물질이 생성되지 않는 합성수지로 성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바텀글래스(20)의 저면은 바텀플레이트(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바텀플레이트(30)는 바닥면 등에 광파오븐을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면은 바텀글래스(20)의 밑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서 바텀글래스(20)를 그 상부에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플레이트(30)의 양측에는 손잡이(32)를 형성하고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32)는 바텀플레이트(30)의 해당 부분을 양측으로 더욱 연장하여 성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손잡이(32)는 사람이 손으로 파지하여 들 수 있도록 성형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 가지 형상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인볼(10)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장착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12)에는 본체(40)가 결합되어 밀폐된다. 상기 본체(40)는, 외형상으로 상기 장착공(12)에 삽입되는 삽입부(42)와, 상기 삽입부(42) 보다 외측으로 연장된 헤드(44)로 구성되고, 케이스(41)에 의하여 전체적인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즉,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케이스(41)가 본체(40)의 외형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40)의 하부측에는 전원의 인가에 의하여 발열하는 램프(46)와 상기 램프(47)에서 발생하는 빛과 열을 가열대상물에 전달하기 위한 공기흐름을 형성하는 팬(4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램프(46)는 예를 들면 할로겐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48)은, 메인볼(10)과 바텀글래스(20)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열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가열대상물이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에어플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40)의 헤드(44)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다수개의 입력버튼과 가열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40)에는 손잡이(5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50)는 광파오븐의 이동시 사용자가 잡고 들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손잡이(50)가 후술하는 안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50)는 본체(40)의 양측면에, 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직립한 상태 및 양측(전방 및 후방)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40)는, 삽입부(42)가 장착공(12)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메인볼(10)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0)는 본체(40)를 기준으로 할 때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잡지 않는 경우에는, 전방 또는 후방의 일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체(40)가 메인볼(10)에 완전하게 장착되어 있고, 손잡이(50)가 일측(전방)으로 접힌 상태에서만 램프(46)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안전장치는, 본체(40)가 메인볼(10)에 완전하게 장착된 제1조건과, 손잡이(50)가 일측으로 회동하여 접힌 상태라는 제2조건을 동시에 만족해야, 램프(46)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치를 온상태로 조작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본체(40)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는 입력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램프에 전원이 인가되어 가열이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제1조건과 제2조건을 감지하여 안전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기구적으로 설계하고 있다. 기구적으로 안전장치를 설계한다는 것은, 전자식으로 센서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비하여, 고온화에 따른 오동작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먼저 본 발명의 안전장치에서 본체(40)가 메인볼(10)에 정확하게 장착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기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의 내부 일부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본체(40)와 메인볼(10)이 결합부분의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 본체(40)의 케이싱(41) 저면에는 수직방향으로 샤프트(5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52)는, 케이싱(41)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리브(51)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52)는 탄성부재(54)에 의하여 항상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있다. 즉, 본체(40)가 메인볼(1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샤프트(52)의 하단부는 본체(40)의 케이스(4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52)의 상단부에는 작동레버(56)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작동레버(56)의 중심축(56c)이, 샤프트(5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중심축(56c)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형의 보스(52a)에 삽입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56)는 샤프트(52)의 상승 또는 하강와 연동하여 승하강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본체(40)가 메인볼(10)에 정확하게 장착되면, 샤프트(52)의 하단부는, 메인볼(10)의 상단플랜지(14)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단플랜지(14)는 장착공(12)과 인접한 메인볼(10)의 테두리부분을 의미하고, 실질적으로 메인볼(10)과 본체(40)가 완전하게 장착되면 가장 밀착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볼(10)과 본체(40)의 결합 방식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단순하게 끼워서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고, 본체(40)를 메인볼(10)의 장착공(12) 내부로 삽입하여 일정 구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고정되는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결합 방식에 의하여 한정될 수 없고, 어떠한 방식에 의하더라도 본체(40)가 메일볼(10)의 장착공(12)에 완전하게 결합되면 실질적으로 본체(40)의 헤드부(44) 저면에 해당하는 케이스(41) 부분이 상기 상단플랜지(14)에 밀착될 것이고, 이렇게 밀착되면 샤프트(52)는 상단플랜지(14)와 접촉하게 될 것이다.
상기 샤프트(52)의 하단부가 상단플랜지(14)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샤프트(52)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레버(56)도 샤프트(52)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함은 당연하다. 또한 만약 본체(40)가 메인볼(10)에 정확하게 장착되지 않거나, 본체(40)가 메인볼(10)에서 분리된 상태라면, 상기 샤프트(52) 및 작동레버(56)는 스프링에 의하여 하방에 위치하게 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56)는, 중심축(56c)를 중심으로 양측에 스위치(60)를 조작하기 위한 제1단부(56a)와, 손잡이(50)와 연동하기 위한 제2단부(56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부(56a)와 제2단부(56b)는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꺽여 있는 형상, 삿갓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단부(56a)는 인접한 위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60)를 누르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스위치(60)는 램프(46)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로써, 예를 들면 마이크로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작동레버(56)가 중심축(56c)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제1단부(56a)는 상방으로 올라가서 마이크로스위치를 온시키는 동작, 즉 마이크로스위치의 액츄에이터를 밀어서 스위치를 온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램프(46)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는 준비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버튼의 조작에 의하여 실제 램프가 온상태로 되어 발열하게 될 것이다.
상기 손잡이(50)의 양단부는 본체(40)의 케이스(41)의 측면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본체(4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즉, 손잡이(50)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손잡이축(58)에는, 상기 작동레버(56)의 제2단부(56b)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돌기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돌기부(59)는 손잡이축(58)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손잡이(50)와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50)를 전방으로 접게 되면, 상기 작동돌기부(59)도 같이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제2단부(56b)를 누르게 된다.
다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안전장치의 구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위치(60)는 실질적으로 가열대상물에 대하여 열 및 빛을 발생하는 열원인 램프(46)으로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스위치(60)가 오프되면 램프(46)에는 전원이 공급될 수 없는 상태이고, 램프(46)에 전원이 공급되기 위해서는 상기 스위치(60)가 온 상태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60)가 온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두 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즉 본체(40)가 메인볼(10)에 정확하게 장착되어야 함과 동시에, 손잡이(50)가 전방으로 접혀져야 한다. 이는, 상기 샤프트(52)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작동레버(56)가 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제1조건), 작동레버(56)가 중심축(56c)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해야만(제2조건), 제1단부(56a)가 스위치(60)를 온 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체(40)가 메인볼(10)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샤프트(52)가 스프링에 의하여 하방으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50)와 연동하는 작동돌기부(59)가 회동하여 작동레버(56)의 제2단부(56b)를 누르더라도, 작동레버의 제1단부(56a)는 스위치(60)를 온시키지 못한다. 그리고 샤프트(52)가 상방으로 올라가 있는 상태(본체가 메인볼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손잡이(50)가 상방으로 직립한 상태 또는 후방으로 접힌 상태라면 스위치(60)를 온 상태로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광파오븐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두 가지 조건이 만족되어야 램프(46)에 전원이 연결될 수 있는 상태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안전장치를 구현하고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두 개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안전장치를 구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40)가 메인볼(10)에 완전하게 장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방으로(또는 어느 일측으로) 운동하는 샤프트(52)에 의하여 온되는 제1스위치와, 손잡이(50)를 전방으로 접는 것에 의하여 손잡이와 연동하는 작동돌기부(59)에 의하여 온되는 제2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직렬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두 개의 스위치가 동시에 온상태가 되어야 램프(46)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기구적으로 동작하는 두 개의 메카니즘에 의하여 한 쌍의 스위치에 의하여 램프(46)로의 전원공급의 여부가 제어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체(40)의 장착여부 및 손잡이(50)의 위치와 연동하는 부재를 이용하여, 램프로의 전원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기본적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 메인볼
12 ..... 장착공
14 ..... 상단플랜지
20 ..... 바텀글래스
30 .... 바텀플레이트
40 ...... 본체
41 ..... 케이스
51 ..... 안내리브
52 ..... 샤프트
52a ..... 원통형 보스
56 ..... 작동레버
56a ..... 제1단부
56b .....제2단부
56c ..... 중심축
59 ..... 작동돌기부

Claims (7)

  1. 상면이 개구된 바텀글래스와, 하면이 개구되고 상기 바텀글래스 상부에 결합되어 가열실을 형성하며 상부 중앙에 장착공이 형성된 메인볼과,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며 가열용 램프를 구비하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로써;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케이스 하면으로 돌출하도록 탄성지지되고, 본체가 메인볼에 완전하게 장착되면 상방으로 이동하는 샤프트와;
    중심축이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중심축의 양측에 제1단부 및 제2단부가 형성된 작동레버;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과 연동하도록 형성되고, 손잡이가 전방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2단부를 눌러서 제1단부가 스위치와 접촉하여 온 상태로 하는 작동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손잡이가 전방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만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가 온 상태로 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메인볼의 장착공 주위에 형성된 상단플랜지에 접촉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본체의 케이싱에 형성된 안내리브에 의하여 상하 운동이 안내되고, 탄성부재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형성된 원통형 보스와 상기 보스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한 작동레버의 중심축에 의하여, 작동레버가 샤프트의 상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
  5. 상면이 개구된 바텀글래스와, 하면이 개구되고 상기 바텀글래스 상부에 결합되어 가열실을 형성하며 상부 중앙에 장착공이 형성된 메인볼과, 상기 장착공에 장착되며 가열용 램프를 구비하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로써;
    하단부가 상기 본체의 케이스 하면으로 돌출하도록 탄성지지되고, 본체가 메인볼에 완전하게 장착되면 상방으로 이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손잡이의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동하는 작동돌기부;
    상기 샤프트의 상방 이동에 의하여 온 상태로 되는 제1스위칭수단; 그리고
    상기 작동돌기부의 회동에 의하여 온 상태로 되는 제2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스위칭수단 및 제2스위칭수단이 같이 온 상태로 되어야, 램프에 전원 공급이 가능한 광파오븐의 안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수단 및 제2스위칭수단은 일체로 구성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볼과 바텀글래스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광파오븐의 안전장치.












KR1020130058461A 2013-05-23 2013-05-23 광파 오븐의 안정장치 KR101454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61A KR101454543B1 (ko) 2013-05-23 2013-05-23 광파 오븐의 안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461A KR101454543B1 (ko) 2013-05-23 2013-05-23 광파 오븐의 안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543B1 true KR101454543B1 (ko) 2014-10-28

Family

ID=5199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461A KR101454543B1 (ko) 2013-05-23 2013-05-23 광파 오븐의 안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5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63Y1 (ko) 1999-06-29 2001-09-29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안전장치
KR200315708Y1 (ko) 2003-03-22 2003-06-09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도어 안전장치
KR100734360B1 (ko) 2005-11-22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
WO2011039362A1 (de) 2009-10-02 2011-04-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hausgerät mit einer derartigen tü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tür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63Y1 (ko) 1999-06-29 2001-09-29 구자홍 가스오븐레인지의 안전장치
KR200315708Y1 (ko) 2003-03-22 2003-06-09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의 도어 안전장치
KR100734360B1 (ko) 2005-11-22 2007-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레인지
WO2011039362A1 (de) 2009-10-02 2011-04-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hausgerät mit einer derartigen tür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tür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5167B2 (ja) 家電製品の制御された開扉
CN101502171B (zh) 具有开门控制的家用器具
EP0342307B1 (en) Cooker
US8530797B2 (en) Cooking appliance
GB2376623A (en) Electric fryer with socket having sliding cover
US8666233B2 (en) Gas range usable as electric range
KR100272367B1 (ko) 전자레인지의 도어 개폐구조
EP3282817B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101454543B1 (ko) 광파 오븐의 안정장치
CN205102189U (zh) 微波炉
KR100691058B1 (ko) 가스 풍로
KR20050081374A (ko) 전기오븐의 록킹구조
KR101804887B1 (ko) 오븐 제빵기
KR10051666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도어 인터락 시스템
TWI596306B (zh) 瓦斯開關結構及其控制方法
JP2966817B2 (ja) 電子レンジ
JPS6220152Y2 (ko)
KR101963656B1 (ko) 조작감도 개선형 전기레인지의 온도제어장치
KR100826713B1 (ko) 가스오븐레인지
KR200464392Y1 (ko) 체결 기능을 갖는 전열기의 조절기
JP3795119B2 (ja) 電子レンジの作動スイッチ装置
KR100765337B1 (ko) 전기밥솥용 모드 전환장치
KR100562105B1 (ko) 전기오븐의 도어 락킹 시스템
KR100420359B1 (ko) 전자레인지용 토스터부 도어개폐장치
KR101015872B1 (ko) 전자레인지의 통합 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