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472B1 -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472B1
KR101454472B1 KR1020130000786A KR20130000786A KR101454472B1 KR 101454472 B1 KR101454472 B1 KR 101454472B1 KR 1020130000786 A KR1020130000786 A KR 1020130000786A KR 20130000786 A KR20130000786 A KR 20130000786A KR 101454472 B1 KR101454472 B1 KR 10145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ion
weight
layer
ground
excav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812A (ko
Inventor
이승영
이종석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0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4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8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2Steel; Iron in sheet form, i.e. bent or deformed plate-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을 계단식으로 층별로 굴착함에 있어서 각 굴착층의 외곽을 중량체를 이용하여 지탱함으로써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굴착된 지층에 공극부재를 포설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은 지반(10)을 굴착하여 굴착층(12)을 형성하는 굴착층 형성 단계(S10); 굴착층(12)의 외곽에 중량체(20)를 설치하는 굴착층 지지 단계(S20); 및 지반(10)을 더 굴착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량체(20)가 설치된 내곽 지반에 대해 상기 굴착층 형성 단계(S10) 및 굴착층 지지 단계(S20)를 반복하고, 더 이상 지반(10)을 굴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을 종료하는 반복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에 따른 지반 굴착 단계(S100); 및 굴착층에 공극부재를 포설하는 공극부재 포설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CASCADING GROUND EXCAVATION METHOD USING WEIGHTS AND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WATER-TREATMENT FACILITIE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을 계단식으로 층별로 굴착함에 있어서 각 굴착층의 외곽을 중량체를 이용하여 지탱함으로써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굴착된 지층에 공극부재를 포설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 시 상부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 또는 지하 공간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건축물 시공 부지를 굴착하는, 소위 터파기 공사라고 하는 지반 굴착 작업이 수행된다.
이러한 지반 굴착 작업은 굴착지 주변 지층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흙막이를 굴착하고자 하는 지층에 설치한 후에 수행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지반 굴착 방법이 ‘특허문헌 1’에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반 굴착 방법에 따른 흙막이가 설치된 공사현장을 도시한 것으로, 굴착지(1) 외곽을 따라 제1열 흙막이 벽체(2) 및 제2열 흙막이 벽체(3)를 형성하고, 제1열 흙막이 벽체(2)와 제2열 흙막이 벽체(3)의 사이 공간에 토류(4)를 되메워 다짐함으로써 굴착지 주변 지층(5)이 붕괴되어 굴착지(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열 흙막이 벽체(3)를 보강하기 위해 경사 보강재(6)를 더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반 굴착 방법은 제1열 흙막이 벽체(2) 및 제2열 흙막이 벽체(3)를 형성하기 위하여 파일(7)을 지중에 입설한 후에 파일(7) 사이를 토류판(8)으로 막기 때문에, 시공 과정이 복잡하고 파일 타공기 등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제1열 흙막이 벽체(2) 및 제2열 흙막이 벽체(3)의 견고성을 위해 토류(4)에 콘크리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콘크리트의 경화까지 장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2-0115704 A (2012. 10. 1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흙막이 벽체의 설치 없이 지반을 굴착하는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지반을 굴착한 후에 굴착지에 공극부재를 채울 수 있는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은 지반을 굴착하여 굴착층을 형성하는 굴착층 형성 단계; 굴착층의 외곽에 중량체를 설치하는 굴착층 지지 단계; 지반을 더 굴착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량체가 설치된 내곽 지반에 대해 상기 굴착층 형성 단계 및 굴착층 지지 단계를 반복하고, 더 이상 지반을 굴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을 종료하는 반복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에 따른 지반 굴착 단계; 및 굴착층에 공극부재를 포설하는 공극부재 포설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은 중량체를 굴착지의 외곽에 위치시킴으로써 굴착지 주변의 지반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 기간이 단축되며, 파일 타공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성이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에 의해 지반을 굴착한 후에 굴착된 공간에 공극부재를 포설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좋고, 공사 기간이 짧으므로 도심 등 공사 기간을 충분히 가질 수 없는 환경에서도 지중 수처리 시설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반 굴착 방법에 따른 흙막이가 설치된 공사현장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이 수행되는 현장의 예시도
도 4는 토목섬유를 이용하는 굴착층 지지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 5는 도 4의 굴착층 지지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이 수행되는 현장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이 수행되는 현장의 예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이 수행되는 현장의 예시도, 도 4는 토목섬유를 이용하는 굴착층 지지 단계의 세부 흐름도, 도 5는 도 4의 굴착층 지지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이 수행되는 현장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은 지반(10)을 굴착하여 굴착층(12)을 형성하는 굴착층 형성 단계(S10), 굴착층(12)의 외곽에 중량체(20)를 설치하는 굴착층 지지 단계(S20) 및 굴착된 지반의 깊이가 소정의 목표 굴착 깊이가 될 때까지 상기 중량체(20)가 설치된 내곽 지반에 대해 상기 굴착층 형성 단계(S10) 및 굴착층 지지 단계(S20)를 반복하는 반복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굴착층 지지 단계(S20)는 상기 굴착층(12)의 외곽을 따라 토목섬유(30)를 설치하는 토목섬유 설치 단계(S22) 및 상기 설치된 토목섬유(30) 위에 중량체(20)를 설치하는 중량체 설치 단계(S24)로 구성될 수 있다.
① 굴착층 형성 단계(S10): 지반(10)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굴착층(12)을 형성한다. 굴착층(12)은 지반이 붕괴하지 않는 적절한 높이로 굴착되는데, 가급적 중량체(2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낮은 높이로 굴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에 있어서, 중량체(20)는 굴착층(12) 외곽을 하방으로 압박하여 지반을 다지는 동시에, 굴착층(12) 외곽에 연직으로 형성된 지반이 절단된 면(이하 ‘절단면’이라 한다)이 붕괴하여 토사가 굴착층(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굴착층(12)의 높이가 중량체(20)의 높이 보다 큰 경우에 중량체(20) 위로 형성된 굴착층(12)의 측면이 붕괴되어 토사가 일부 굴착층 내부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굴착층 지지 단계(S20): 굴착층의 외곽이 붕괴되지 않도록 굴착층 형성 단계(S10)에서 형성된 굴착층(12)의 외곽을 따라 중량체(2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중량체(20)에 의해 절단면이 지지되기 때문에 절단면의 표면과 중량체(20)의 표면이 서로 맞물려 빈틈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 절단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중량체(20)가 절단면에 접하는 면도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중량체(20)의 형상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가령, 중량체(20)의 표면 형상이 절단면의 표면 형상과 대응되지 못하여 접합부에 공극이 생기더라도 상기 공극을 토사나 자갈 등으로 메워 절단면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량체(20)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로는 소정의 틀에 소형 중량체를 넣은 개비온(gabion)이 있다. 개비온은 철근, 철판 등에 의해 형성된 틀에 바위나 자갈 등의 소형 중량체를 채워 넣은 구조물로서, 설치가 용이하고 이동이 자유로우며, 표면 형상을 비교적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을 바위나 자갈을 구하기 쉬운 환경에서 실시하는 경우와 같이 실시 환경에 따라서는 현장에서 개비온을 제작할 수도 있어, 작업 현장에 틀만 공급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을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없다. 이 밖에도 중량체(20)는 콘크리트 블럭, 바위, 금속체 등 절단면을 지지하는데 충분한 중량을 가지는 구조물이라면 그 구체적인 실시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굴착층 지지 단계(S20)는 아래의 2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② - 1 토목섬유 설치 단계(S22): 굴착층(12)의 외곽에 중량체(20)를 설치하기 전에 토사가 굴착층(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량체(20)가 설치될 굴착층(12)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니트릴,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를 직조하여 형성된 다공성 지오텍스타일, 차수용 지오멤브레인 또는 고강도의 지오그리드 재질의 토목섬유(30)를 먼저 설치한다.
토목섬유(30)는 배수, 방수, 여과, 지지, 분리, 보강, 균열방지 등의 목적으로 토목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섬유로서, 재질 및 구조에 따라 구체적인 효과는 차이가 있으나 공통적으로 토사가 쉽게 통과하지 못한다. 토목섬유 설치 단계(S22)에서 굴착층(12)의 외곽에 토목섬유(30)를 먼저 설치하여 절단면이 일차적으로 토목섬유(30)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절단면이 붕괴되더라도 토사가 굴착층(12) 내부로 유입되기 어렵게 된다. 토목섬유(30)는 절단면 및 절단면에 접하는 굴착층(12)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설치된다.
② - 2 중량체 설치 단계(S24): 굴착층(12)의 바닥면 위에 설치된 토목섬유(30) 위에 중량체(20)를 설치함으로써, 절단면 및 굴착층(12)의 바닥면과 중량체(20) 사이에 토목섬유(30)가 개재되도록 한다. 이때 중량체(20) 아랫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토목섬유(30)를 중량체(20) 위로 감아올려 추후 반복되는 굴착층 형성 단계(S10)에서 지반 굴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③ 반복 단계(S30): 반복 단계(S30)는 상기 굴착층 형성 단계(S10) 및 굴착층 지지 단계(S20)를 반복하여 굴착된 지반의 깊이가 소정의 목표 굴착 깊이가 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굴착층 형성 단계(S10) 및 굴착층 지지 단계(S20)에 의해 굴착층(12)이 형성 및 지지된다. 만약 추가적인 굴착이 필요하다면 상기 중량체(20)가 설치된 내곽 지반에 대해 상기 굴착층 형성 단계(S10) 및 굴착층 지지 단계(S20)를 반복 수행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단 굴착층(14), 3 단 굴착층(16) 등을 형성하고, 추가적인 굴착이 필요하지 않다면 굴착을 종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은 반복 단계(S30)에서 굴착층 형성 단계(S10) 및 굴착층 지지 단계(S20)를 몇 번 반복하도록 하는지에 따라 1 단의 굴착층(12)만 형성할 수도 있고, 2 단 굴착층(14), 3 단 굴착층(16), …, n 단 굴착층까지 형성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예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굴착이 필요한 지면을 선정하고{도 3(a)}, 1 단 굴착층(12)을 형성한다{도 3(b)}. 1 단 굴착층(12)의 외곽을 따라서 중량체(20)를 설치하고{도 3(c)}, 중량체(20)가 설치된 내측으로 2 단 굴착층(14)을 형성한다{도 3(d)}. 도 3(b) 및 3(c)에 도시된 과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단수의 계단식 지반 굴착층을 형성한다{도 3(e)}.
만약 굴착층(12, 14, 16)과 중량체(20) 사이에 토목섬유(30)를 개재시킨다면, 굴착이 필요한 지면을 선정하고{도 5(a)}, 1 단 굴착층(12)을 형성한 후 토목섬유(30)를 설치한다{도 5(b)}. 1 단 굴착층(12)의 외곽으로 설치된 토목섬유(30) 위에 중량체(20)를 설치하고 중량체(20) 아래로 돌출된 토목섬유(30)는 중량체(20) 위로 넘긴다{도 5(c)}. 중량체(20) 및 토목섬유(30)가 설치된 내측으로 2 단 굴착층(14)을 형성한 후 1 단 중량체(20) 위로 넘어가 있는 토목섬유(30)를 내려서 설치하고, 그 위에 중량체(20)를 설치한 후 중량체(20) 아래로 돌출된 토목섬유(30)는 다시 중량체(20) 위로 넘긴다{도 5(d)}. 도 5(b) 및 5(c)에 도시된 과정을 반복하여 원하는 단수의 계단식 지반 굴착층을 형성한다{도 5(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이 수행되는 현장의 예시도로서, 도 7(a)는 중량체 제거 단계(S200)가 없는 경우의 예시도이고, 도 7(b)는 중량체 제거 단계(S200)를 포함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은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단계(S100) 및 굴착층에 공극부재를 포설하는 공극부재 포설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극부재 포설 단계(S300) 전에 중량체(20)를 제거하는 중량체 제거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극부재 포설 단계(S300) 이후에 공극부재 위에 지표층을 형성하는 지표층 형성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단계(S100): 지반(10)을 소정 깊이로 굴착하는 굴착층 형성 단계(S10), 굴착층 지지 단계(S20) 및 반복 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 대해서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 중량체 제거 단계(S200):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단계(S100)를 거쳐 계단식으로 형성된 굴착층에서 중량체(20)를 제거하는 단계로서, 개비온 등의 중량체(20)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수거하는 단계이다. 또한, 지중 수처리 시설은 굴착층의 용적이 클수록 활용성이 높기 때문에, 중량체(20)를 제거 후 굴착층 전체를 공극부재를 채워 넣기 위한 단계이기도 하다. 단, 개비온 등 공극이 있는 중량체(20)의 경우 중량체(20)가 공극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본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중량체(20)를 제거하더라도 기 형성된 굴착층이 붕괴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 공극부재 포설 단계(S300):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단계(S100)를 통해 굴착된 굴착층에 공극부재를 포설한다. 지중에 굴착층을 형성하고 내부를 빈 공간으로 두게 되면 사방의 압력에 의해 굴착층이 유지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은 공극부재를 굴착층 내부 공간에 충진시킴으로써 일반적인 지반보다 공극률이 훨씬 높은 지중 수처리 시설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극부재는 자갈과 같은 골재(40)에, 아크릴 판과 같은 공극 형성물(50)이 혼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갈과 같은 골재(40)에 의한 공극률은 35 ~ 45%인데, 골재(40) 사이에 공극 형성물(50)를 혼합하면 공극 형성물(50)이 골재(40)에 지지되어 공극률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은 지중에 수처리 시설을 형성하기 위한 것인데, 골재(40) 사이에 공극 형성물(50)를 혼합하여 굴착층에 포설함으로써 수처리 시설의 공극률을 더욱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지표층 형성 단계(S400): 공극부재로 충진된 굴착층 위에 지표층(6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은 학교 운동장, 도로 등 사람이 왕래하는 공간에 실시될 수 있어, 공극부재로 굴착층을 포설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있다. 이때, 굴착층에 포설된 공극부재 위에 지표층(60)을 형성함으로써 운동장이나 도로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지표층(60)의 구체적인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이 실시되는 환경에 따라 공지의 방법을 다양하게 채택하여 구현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된 지중 수처리 시설은 토목섬유(30)가 설치되지 않거나 다공성 지오텍스타일 등 통수성 재질의 토목섬유(30)가 설치된 경우, 지중에 스며든 우수 등을 장시간에 걸쳐 지하수로 침투시키는 지하수 함양 시설로 활용될 수 있으며, 지오멤브레인 등 차수성 재질의 토목섬유(30)가 설치된 경우, 우수를 지중에 저장하는 저장시설로 활용될 수 있다.
S10: 굴착층 형성 단계 S20: 굴착층 지지 단계
S22: 토목섬유 설치 단계 S24: 중량체 설치 단계
S30: 반복 단계
S100: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단계
S200: 중량체 제거 단계 S300: 공극부재 포설 단계
S400: 지표층 형성 단계
10: 지반 12, 14, 16: 굴착층
20: 중량체 30: 토목섬유
40: 골재 50: 공극 형성물
60: 지표층

Claims (10)

  1. 지반(10)을 굴착하여 굴착층(12)을 형성하는 굴착층 형성 단계(S10);
    상기 굴착층(12)의 외곽에 중량체(20)를 설치하는 굴착층 지지 단계(S20) 및
    굴착된 지반의 깊이가 소정의 목표 굴착 깊이가 될 때까지 상기 중량체(20)가 설치된 내곽 지반에 대해 상기 굴착층 형성 단계(S10) 및 굴착층 지지 단계(S20)를 반복하는 반복 단계(S30)를 포함하며,
    상기 굴착층(12)의 높이는 상기 중량체(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되고,
    상기 중량체(20)는 소정의 틀에 소형 중량체를 넣은 개비온이고,
    상기 굴착층 지지 단계(S20)는 상기 굴착층(12)의 외곽을 따라 토목섬유(30)를 설치하는 토목섬유 설치 단계(S22) 및 상기 토목섬유(30) 위에 중량체(20)를 설치하는 중량체 설치 단계(S24)로 구성되고,
    상기 토목섬유(30)는 상기 굴착층(12) 외곽에 연직으로 형성된 지반이 절단된 면 및 상기 절단된 면에 접하는 상기 굴착층(12)의 바닥면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중량체 설치 단계(S24)에서 상기 중량체(20) 아랫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는 상기 토목섬유(30)를 상기 중량체(20) 위로 감아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의 방법에 따른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단계(S100) 및
    굴착층에 공극부재를 포설하는 공극부재 포설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재 포설 단계(S300) 전에 상기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단계(S100)를 거쳐 계단식으로 형성된 굴착층에서 중량체(20)를 제거하는 중량체 제거 단계(S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재 포설 단계(S300) 다음에 상기 공극부재로 충진된 굴착층 위에 지표층(60)을 형성하는 지표층 형성 단계(S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극부재는 골재(40)에 공극 형성물(50)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KR1020130000786A 2013-01-03 2013-01-03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KR10145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86A KR101454472B1 (ko) 2013-01-03 2013-01-03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0786A KR101454472B1 (ko) 2013-01-03 2013-01-03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812A KR20140088812A (ko) 2014-07-11
KR101454472B1 true KR101454472B1 (ko) 2014-10-23

Family

ID=5173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0786A KR101454472B1 (ko) 2013-01-03 2013-01-03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4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92A (ja) * 1998-08-07 2000-02-22 Nisshoku Corp 間詰材およびかごマットならびにかごマットを用いた緑化工法
KR20020054135A (ko) * 2000-12-27 2002-07-06 이동원 배수성 무지보 구체식 연약지반 터파기공법
KR20120051483A (ko) * 2010-11-12 2012-05-22 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우수 저류조용 블록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4392A (ja) * 1998-08-07 2000-02-22 Nisshoku Corp 間詰材およびかごマットならびにかごマットを用いた緑化工法
KR20020054135A (ko) * 2000-12-27 2002-07-06 이동원 배수성 무지보 구체식 연약지반 터파기공법
KR20120051483A (ko) * 2010-11-12 2012-05-22 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우수 저류조용 블록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812A (ko) 2014-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6119B (zh) 土工格栅加筋墙体及其施工方法
KR101205783B1 (ko) 지하구조물의 철거와 신축을 동시에 진행하는 복합 시공방법
CN104264688A (zh) 人工挖孔变截面桩支护施工工艺
CN109750571B (zh) 一种道路塌方应急与永久支挡一体化结构及施工方法
CN105464074B (zh) 一种人工挖孔桩高聚物注浆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CN212866028U (zh) 河道边污水管网结合桩板式挡墙布置结构
KR101531799B1 (ko) 수변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CN102493485B (zh) 一种填方边坡防护挡土墙构筑方法
KR20080008494A (ko) 등입도 투수성 콘크리트 보강 쇄석말뚝
CN101748735A (zh) 软土地区减少桩偏斜的基坑开挖方法
KR101459703B1 (ko) 준설토 투기장의 표층수 건조 및 표층 보강 공법
KR101454472B1 (ko) 중량체를 이용한 계단식 지반 굴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수처리 시설의 시공 방법
JP5975726B2 (ja) 地盤構造および地盤改良方法
CN206368375U (zh) 一种输电铁塔用基础
KR100414435B1 (ko) 배수성 무지보 구체식 연약지반 터파기공법
KR101235826B1 (ko)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KR101021913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0297436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뒷채움 시공 방법
JP4423115B2 (ja) 既設盛土直下の地盤沈下低減改良工法
JP2016145500A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KR10065497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 및이의 시공 방법
JP3799284B2 (ja) 地下構造物の製造方法
CN114164726B (zh) 一种局部深开挖回填结构性路基及快速施工方法
CN217922839U (zh) 一种深厚杂填土区高速铁路埋式高路堤结构
KR100536429B1 (ko) 무기질 투수재 블록 구조와 무기질 투수재를 이용한 성토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