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691B1 - 공급방향 조절이 가능한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공급방향 조절이 가능한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691B1
KR101453691B1 KR1020130136693A KR20130136693A KR101453691B1 KR 101453691 B1 KR101453691 B1 KR 101453691B1 KR 1020130136693 A KR1020130136693 A KR 1020130136693A KR 20130136693 A KR20130136693 A KR 20130136693A KR 101453691 B1 KR101453691 B1 KR 101453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gas
drive
passage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유리
Original Assignee
변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유리 filed Critical 변유리
Priority to KR1020130136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7/00Cutting, scarfing, or desurfacing by applying fl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2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using a mixture of gaseous fuel and pure oxygen or oxygen-enrich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8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 F23D14/42Torches, e.g. for brazing or heating for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용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산소가 공급되는 산소유입부, 절단용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유입부, 상기 산소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일부를 배출시키기 위한 산소배출부, 상기 가스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 상기 산소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나머지를 에어모터로 공급하기 위한 구동공급부, 및 상기 구동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상기 에어모터의 제1통로와 제2통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 산소를 배출시키되, 상기 산소를 제1통로 또는 제2통로로 변경하여 공급하는 전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을 위한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산소와 가스의 공급량을 각각 조절하여 공급하여 불꽃의 발생 크기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산소 중 일부를 에어모터로 분기시켜 공급 후, 다시 불꽃 발생용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에어모터의 동력원으로 사용됨은 물론, 에어모터에 산소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에어모터의 회전력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급방향 조절이 가능한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Feed direction adjustable gas distribution device for Gas Cutter}
본 발명은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용 불꽃 발생을 위한 산소와 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하되, 산소 중 일부를 에어모터로 선회시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하여 절단용 불꽃의 발생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에어모터의 동력원으로 사용되어 전기 공급 없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에어모터로 공급되는 산소의 방향을 조절하여 일방향 회전은 물론 타방향 회전도 가능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절단기는 본체 내부로 산소와 절단용 가스를 주입하여 혼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가열 화염을 만들고, 이 화염으로 철판 등의 모재를 예열시킨 후 고압산소를 분사하여 모재를 임의 형태로 절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가스 절단기는 산소 및 절단용 가스가 일정 압력으로 내재되어 있는 저장탱크로부터 호스나 파이프를 개재하여 본체로 가스를 공급하게 되며, 이 본체의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각각의 조작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토치헤드로 가스를 공급하여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치헤드로부터 분출되는 혼합가스에 불꽃을 점화하여 모재를 예열시킨 후 모재의 온도가 대략 800∼900℃에 도달하였을 때 본체 측의 조작밸브를 적절히 조절하여 산소를 고압으로 공급시킴에 따라 모재의 절단부위가 연소되면서 절단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 절단기는 그 기능상 토치헤드로부터 분출되는 가스 화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가스 압력이 불안정하거나 이물질에 의한 절단팁의 막힘 또는 과열 등으로 인해 화염이 불안정하게 되고, 이로 인해 가스의 역화 혹은 역류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자가 화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에는 가스 폭발을 야기하여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0044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본체 후방에 저장탱크로부터 호스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접속니플이 장착되어 있고, 이들 접속니플로부터 연이어지는 관로를 따라 각각의 밸브 조작에 의한 가스가 공급되는 토치헤드 및 이 토치헤드의 선단에 조임너트에 의해 장착되어 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절단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토치헤드 내에는 산소와 에틸렌 가스의 흐름 경로를 구분하여 혼합시킴과 동시에 가스의 역화 및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가스유도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이 가스유도수단에는 몸체의 축선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분배공을 포함하여 몸체의 외주면 쪽으로 관통하는 제2 및 제3분배공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불꽃 전화를 보다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가스 절단기는 작업자가 직접 파지하여 모재를 절단시킴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한번에 절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모재를 따라 이동되면서 절단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더 나아가,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스절단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가스절단기는 공급되는 산소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에어모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자동가스절단기의 경우, 산소를 에어모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산소탱크를 사용하여 구성품이 더 증가되어 무게와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절단을 위한 산소를 분배하여 공급하지만, 단순히 토치헤드로 공급되는 산소를 분배하여 공급하는 정도여서, 공급된 산소의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재활용을 위해 다시 순환시키더라도 토치헤드로 공급되는 산소보다 압력이 낮아 쉽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산소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일부를 배출시키기 위한 산소배출부와 가스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 산소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나머지를 에어모터로 공급하기 위한 구동공급부 및 구동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에어모터의 제1통로와 제2통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 산소를 배출시키되, 산소를 제1통로 또는 제2통로로 변경하여 공급하는 전환공급부로 구성되어 산소와 가스의 공급량을 각각 조절하여 공급하여 불꽃의 발생 크기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산소 중 일부를 에어모터로 분기시켜 공급 후, 다시 불꽃 발생용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에어모터의 동력원으로 사용됨은 물론, 에어모터에 산소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에어모터의 회전력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절단용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산소가 공급되는 산소유입부, 절단용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유입부, 상기 산소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일부를 배출시키기 위한 산소배출부, 상기 가스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 상기 산소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나머지를 에어모터로 공급하기 위한 구동공급부, 및 상기 구동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상기 에어모터의 제1통로와 제2통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 산소를 배출시키되, 상기 산소를 제1통로 또는 제2통로로 변경하여 공급하는 전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환공급부는, 전환밸브, 상기 구동공급공을 제1구동통로 또는 제2구동통로와 연통시키도록 상기 전환밸브의 일단 내부에 형성되어 에어모터로 산소를 유입시키는 전환공급공, 및 상기 전환공급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전환밸브의 외주 일부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전환공급공과 연통되지 않은 제1구동통로 또는 제2구동통로를 상기 구동배출부와 연통시켜 산소를 배출시키는 전환배출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산소배출부는, 산소조절밸브, 상기 산소조절밸브가 구비되는 산소조절공간부, 산소를 배출하기 위한 산소배출공간부, 상기 산소유입부와 상기 산소조절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1산소배출공, 및 상기 산소조절공간부와 상기 산소배출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2산소배출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산소조절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제2산소배출공으로 배출되는 산소량을 조절한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부는, 가스조절밸브, 상기 가스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가스조절공간부, 토치로 가스를 공급하는 공급호스가 구비되는 가스배출공간부, 상기 가스유입부와 상기 가스조절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1가스배출공, 및 상기 가스조절공간부와 상기 가스배출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2가스배출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조절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제2가스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공급부는, 상기 산소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나머지를 에어모터로 유입시키는 구동유입부, 상기 에어모터의 제1통로와 연통되는 제1구동통로, 상기 에어모터의 제2통로와 연통되는 제2구동통로, 및 상기 에어모터를 통과한 산소를 배출시키기 위한 구동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구동유입부는, 상기 산소유입부에서 공급되는 산소량을 1차 조절하여 공급하는 제1구동조절부, 및 상기 제1구동조절부에서 1차 조절된 산소 공급량을 2차 조절하여 공급하는 제2구동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조절부는, 상기 산소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구동공급공, 상기 제1구동공급공과 연통되는 제1구동조절공간부, 상기 제1구동조절공간부와 상기 제2구동조절부를 연통시키는 제2구동공급공, 및 상기 제1구동조절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공급공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1차 조절하는 제1구동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구동조절부는, 상기 제2구동공급공과 연통되는 제2구동조절공간부, 상기 제2구동조절공간부와 상기 전환공급부를 연통시키는 제3구동공급공, 및 상기 제2구동조절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구동공급공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2차 조절하는 제2구동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입부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 중 일부를 에어모터를 거치지 않고, 상기 구동배출부로 공급하여 배출되는 산소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압력조절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구동유압부의 산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바이패스, 상기 제1바이패스를 따라 공급된 산소를 상기 구동배출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바이패스, 상기 제1바이패스와 제2바이패스를 연통시키기 위한 압력조절공간부, 및 상기 압력조절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이패스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바이패스를 개폐 및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하기 위한 절단압력조절밸브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에 의하면, 절단을 위한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산소와 가스의 공급량을 각각 조절하여 공급하여 불꽃의 발생 크기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고, 산소 중 일부를 에어모터로 분기시켜 공급 후, 다시 불꽃 발생용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에어모터의 동력원으로 사용됨은 물론, 에어모터에 산소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에어모터의 회전력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발생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의 산소유입부와 산소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의 가스유입부와 가스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의 구동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공급부의 구동유입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공급부의 전환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에 압력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부에 절단압력조절밸브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의 분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의 산소유입부와 산소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의 가스유입부와 가스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의 구동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공급부의 구동유입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공급부의 전환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에 압력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10)는 산소유입부(100)와 가스유입부(200), 산소배출부(300), 가스배출부(400), 구동공급부(500) 및 전환공급부(55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스'의 의미를 기체 적체가 아닌 절단용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해 산소와 함께 사용되는 연소가스이며, 일 실시 예로, 아세틸렌이나 수소, 천연가스, 석탄가스, 프로페인가스 등이 사용된다.
산소유입부(100)는 절단용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산소가 공급되고, 가스유입부(200)는 절단용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가 공급된다.
그리고 산소배출부(300)는 산소유입부(100)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일부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가스배출부(400)는 가스유입부(200)와 연통되어 유입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구동공급부(500)는 산소유입부(100)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를 에어모터(2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전환공급부(550)는 구동공급부(500)와 에어모터(20) 사이에 구비되어 구동공급부(500)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에어모터(20)의 제1통로(22)와 제2통로(24)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 산소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구동공급부(500)는 산소유입부(100)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제1통로(22) 또는 제2통로(24)로 변경하여 공급할 수 있다.
먼저, 전환공급부(550)에 의해 산소가 제1통로(22)를 통해 에어모터(20)로 공급될 경우, 에어모터(20)는 회전력이 일방향으로 발생시킨 후, 제2통로(24)를 통해 배출된다.
반대로, 전환공급부(550)에 의해 산소가 제2통로(24)를 통해 에어모터(20)로 공급될 경우, 에어모터(20)는 회전력이 타방향으로 발생시킨 후, 제1통로(22)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에어모터(20)의 회전력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배출부(300)는 산소조절밸브(310)와 산소조절공간부(320), 산소배출공간부(330), 제1산소배출공(340) 및 제2산소배출공(350)으로 구성된다.
산소조절공간부(320)는 산소조절밸브(310)가 구비되고, 산소배출공간부(330)는 산소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1산소배출공(340)은 산소유입부(100)와 산소조절공간부(320)를 연통시키고, 제2산소배출공(350)은 산소조절공간부(320)와 산소배출공간부(330)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산소배출부(300)는 산소조절밸브(310)를 조절함에 따라, 제2산소배출공(350)으로 배출되는 산소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가스배출부(4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조절밸브(410)와 가스조절공간부(420), 가스배출공간부(430), 제1가스배출공(440) 및 제2가스배출공(450)으로 구성된다.
가스조절공간부(420)는 가스조절밸브(410)가 구비되고, 가스배출공간부(430)는 가스를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가스배출공(440)은 가스유입부(200)와 가스조절공간부(420)를 연통시키고, 제2가스배출공(450)은 가스조절공간부(420)와 가스배출공간부(430)를 연통시키게 된다.
이러한 가스배출부(400)는 가스조절밸브(410)를 조절하여 제2가스배출공(450)으로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공급부(5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유입부(510)와 제1구동통로(520), 제2구동통로(530) 및 구동배출부(540)로 구성된다.
구동유입부(510)는 산소유입부(100)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나머지를 에어모터(20)로 유입시키게 된다.
또한 제1구동통로(520)는 에어모터(20)의 제1통로(22)와 연통되고, 제2구동통로(530)는 에어모터(20)의 제2통로(24)와 연통된다.
구동배출부(540)는 에어모터(20)를 통과한 산소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공급부(500)와 연계하여 전환공급부(550)는 구동유입부(510)를 제1구동통로(520) 또는 제2구동통로(530) 중 어느 하나로 연통시키도록 구비되어 에어모터(20)로 산소를 유입시키고, 에어모터(20)로 유입된 산소가 다른 하나를 통해 구동배출부(540)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에, 에어모터(20)의 회전력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구동유입부(51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구동조절부(512)와 제2구동조절부(514)로 구성된다.
제1구동조절부(512)는 산소유입부(100)에서 공급되는 산소량을 1차 조절하여 공급하게 되고, 제2구동조절부(514)는 제1구동조절부(512)에서 1차 조절된 산소 공급량을 2차 조절하여 공급하게 된다.
먼저, 제1구동조절부(512)는 제1구동공급공(512a)과 제1구동조절공간부(512b), 제2구동공급공(512c) 및 제1구동조절밸브(512d)로 구성된다.
제1구동공급공(512a)은 산소유입부(100)와 연통되고, 제1구동조절공간부(512b)는 제1구동공급공(512a)과 연통된다.
그리고 제2구동공급공(512c)은 제1구동조절공간부(512b)와 제2구동조절부(514)를 연통시키고, 제1구동조절밸브(512d)는 제1구동조절공간부(512b)에 구비되어 제2구동공급공(512c)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1차 조절하게 된다.
또한 제2구동조절부(514)는 제2구동조절공간부(514a)와 제3구동공급공(514b) 및 제2구동조절밸브(514c)로 구성된다.
제2구동조절공간부(514a)는 제2구동공급공(512c)과 연통되고, 제3구동공급공(514b)은 제2구동조절공간부(514a)와 전환공급부(550)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구동조절밸브(514c)는 제2구동조절공간부(514a)에 구비되어 제3구동공급공(514b)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2차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전환공급부(55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밸브(552)와 전환공급공(554) 및 전환배출로(556)로 구비된다.
전환공급공(554)은 제3구동공급공(514b)을 제1구동통로(520) 또는 제2구동통로(530)와 연통시키도록 전환밸브(552)의 일단 내부에 형성되어 에어모터(20)로 산소를 유입시키게 된다.
전환배출로(556)는 전환공급공(554)이 형성되지 않은 전환밸브(552)의 외주 일부를 따라 형성되되, 전환공급공(554)과 연통되지 않은 제1구동통로(520) 또는 제2구동통로(530)를 구동배출부(540)와 연통시켜 산소를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환공급부(55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환공급공(554)이 제1구동통로(520)와 연통되고, 전환배출로(556)가 제2구동통로(530)와 연통되도록 전환밸브(552)가 위치된다.
이에, 전환공급공(554)으로 이동된 산소가 제1구동통로(520)를 통해 에어모터(20)의 제1통로(22)로 공급되며, 에어모터(20)를 거친 산소는 연통된 제2통로(24)와 제2구동통로(530) 및 전환배출로(556)를 따라 구동배출부(540)로 배출된다.
반대로, 전환공급공(554)이 제2구동통로(530)와 연통되고, 전환배출로(556)가 제1구동통로(520)와 연통되도록 전환밸브(552)가 위치된다.
이에, 전환공급공(554)으로 이동된 산소가 제2구동통로(530)를 통해 에어모터(20)의 제2통로(24)로 공급되며, 에어모터(20)를 거친 산소는 연통된 제1통로(22))와 제1구동통로(520) 및 전환배출로(556)를 따라 구동배출부(540)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유입부(100)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 중 일부를 에어모터(20)를 거치지 않고, 구동배출부(540)로 공급하여 배출되는 산소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압력조절부(60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압력조절부(600)는 제1바이패스(610)와 제2바이패스(620), 압력조절공간부(630) 및 압력조절밸브(640)로 구성된다.
제1바이패스(610)는 구동유압부(100)의 산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제2바이패스(620)는 제1바이패스(610)를 따라 공급된 산소를 구동배출부(540)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압력조절공간부(630)는 제1바이패스(610)와 제2바이패스(620)를 연통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압력조절밸브(640)는 압력조절공간부(730)에 구비되어 제2바이패스(620)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 압력조절부(600)는 산소유입부(100)에서 공급된 산소를 공급하게 됨에 따라 고압의 산소를 공급하는 것으로, 구동공급부(500)에 의해 에어모터(20)를 거친 저압의 산소를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압력조절부(600)의 제2바이패스(620)는 구동배출부(540)에 일정 경사지게 연통되는 것으로, 구동배출부(540)의 산소 배출방향으로 갈수록 구동배출부(540)와 점차적으로 근접하게 연통된다.
이에, 압력조절부(600)를 따라 배출되는 고압의 산소가 구동공급부(500)의 저압 산소를 함께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바이패스(610)를 개폐 및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하기 위한 절단압력조절밸브(650)가 더 구비된다.
이러한 절단압력조절밸브(650)를 조절함에 따라, 고압의 산소가 제1바이패스(610)와 제2바이패스(620)를 통해 구동배출부(540)로 공급되어 에어모터(20)를 통과한 저압의 산소와 함께 토치로 공급되어 절단용 불꽃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10 : 분배장치 20 : 에어모터
100 : 산소유입부 200 : 가스유입부
300 : 산소배출부 310 : 산소조절밸브
320 : 산소조절공간부 330 : 산소배출공간부
340 : 제1산소배출공 350 : 제2산소배출공
400 : 가스배출부 410 : 가스조절밸브
420 : 가스조절공간부 430 : 가스배출공간부
440 : 제1가스배출공 450 : 제2가스배출공
500 : 구동공급부 510 : 구동유입부
520 : 제1구동통로 530 : 제2구동통로
540 : 구동배출부 550 : 전환공급부
600 : 압력조절부 610 : 제1바이패스
620 : 제2바이패스 630 : 압력조절공간부
640 : 압력조절밸브 650 : 절단압력조절밸브

Claims (11)

  1. 절단용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산소가 공급되는 산소유입부;
    절단용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유입부;
    상기 산소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일부를 배출시키기 위한 산소배출부;
    상기 가스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
    상기 산소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나머지를 에어모터로 공급하기 위한 구동공급부; 및
    상기 구동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산소를 상기 에어모터의 제1통로와 제2통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 산소를 배출시키되, 상기 산소를 제1통로 또는 제2통로로 변경하여 공급하는 전환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공급부는,
    상기 산소유입부와 연통되어 유입된 산소 중 나머지를 에어모터로 유입시키는 구동유입부;
    상기 에어모터의 제1통로와 연통되는 제1구동통로;
    상기 에어모터의 제2통로와 연통되는 제2구동통로; 및
    상기 에어모터를 통과한 산소를 배출시키기 위한 구동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전환공급부는,
    전환밸브;
    구동공급공을 제1구동통로 또는 제2구동통로와 연통시키도록 상기 전환밸브의 일단 내부에 형성되어 에어모터로 산소를 유입시키는 전환공급공; 및
    상기 전환공급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전환밸브의 외주 일부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전환공급공과 연통되지 않은 제1구동통로 또는 제2구동통로를 구동배출부와 연통시켜 산소를 배출시키는 전환배출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배출부는,
    산소조절밸브;
    상기 산소조절밸브가 구비되는 산소조절공간부;
    산소를 배출하기 위한 산소배출공간부;
    상기 산소유입부와 상기 산소조절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1산소배출공; 및
    상기 산소조절공간부와 상기 산소배출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2산소배출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산소조절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제2산소배출공으로 배출되는 산소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는,
    가스조절밸브;
    상기 가스조절밸브가 구비되는 가스조절공간부;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공간부;
    상기 가스유입부와 상기 가스조절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1가스배출공; 및
    상기 가스조절공간부와 상기 가스배출공간부를 연통시키는 제2가스배출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조절밸브를 조절하여 상기 제2가스배출공으로 배출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입부는,
    상기 산소유입부에서 공급되는 산소량을 1차 조절하여 공급하는 제1구동조절부; 및
    상기 제1구동조절부에서 1차 조절된 산소 공급량을 2차 조절하여 공급하는 제2구동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조절부는,
    상기 산소유입부와 연통되는 제1구동공급공;
    상기 제1구동공급공과 연통되는 제1구동조절공간부;
    상기 제1구동조절공간부와 상기 제2구동조절부를 연통시키는 제2구동공급공; 및
    상기 제1구동조절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구동공급공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1차 조절하는 제1구동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조절부는,
    상기 제2구동공급공과 연통되는 제2구동조절공간부;
    상기 제2구동조절공간부와 상기 전환공급부를 연통시키는 제3구동공급공; 및
    상기 제2구동조절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구동공급공으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2차 조절하는 제2구동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입부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 중 일부를 에어모터를 거치지 않고, 상기 구동배출부로 공급하여 배출되는 산소의 압력을 높이기 위한 압력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부는,
    상기 구동유입부의 산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바이패스;
    상기 제1바이패스를 따라 공급된 산소를 상기 구동배출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바이패스;
    상기 제1바이패스와 제2바이패스를 연통시키기 위한 압력조절공간부; 및
    상기 압력조절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바이패스로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이패스를 개폐 및 공급되는 산소량을 조절하기 위한 절단압력조절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KR1020130136693A 2013-11-12 2013-11-12 공급방향 조절이 가능한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KR101453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693A KR101453691B1 (ko) 2013-11-12 2013-11-12 공급방향 조절이 가능한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693A KR101453691B1 (ko) 2013-11-12 2013-11-12 공급방향 조절이 가능한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3691B1 true KR101453691B1 (ko) 2014-10-22

Family

ID=5199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693A KR101453691B1 (ko) 2013-11-12 2013-11-12 공급방향 조절이 가능한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6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974B1 (ko) * 2020-07-27 2020-12-18 엠아이케이티(주) 무전원 유체 절단기
KR102265467B1 (ko) * 2021-04-12 2021-06-15 엠아이케이티(주) 공압 구동식 가스 절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268A (ja) * 1994-09-28 1996-04-30 Ado Sogo Kikai:Kk 金属溶断機
JP2001232463A (ja) * 1999-12-27 2001-08-28 La Soudure Autogene Fr 単一のバルブ制御装置を備えた酸素を燃料にした形式のトーチ
KR20130090284A (ko) * 2012-02-03 2013-08-13 강세연 가스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8268A (ja) * 1994-09-28 1996-04-30 Ado Sogo Kikai:Kk 金属溶断機
JP2001232463A (ja) * 1999-12-27 2001-08-28 La Soudure Autogene Fr 単一のバルブ制御装置を備えた酸素を燃料にした形式のトーチ
KR20130090284A (ko) * 2012-02-03 2013-08-13 강세연 가스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974B1 (ko) * 2020-07-27 2020-12-18 엠아이케이티(주) 무전원 유체 절단기
KR102265467B1 (ko) * 2021-04-12 2021-06-15 엠아이케이티(주) 공압 구동식 가스 절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833B2 (en) Gas regulator for thermal energy machining
US200800234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a plasma cutter
US20060157459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uxiliary/weld power outputs of a welding-type apparatus
KR101453691B1 (ko) 공급방향 조절이 가능한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CA2457908A1 (en) Fuel cell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exhaust
JP2005527065A5 (ko)
ITMI20021793A1 (it) Sistema di alimentazione e controllo perfezionato di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alimentato da due diversi combustibili
US10279417B2 (en) Controlling and delivering gases in a plasma arc torch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3783014B2 (ja) プラズマアークトーチ及びその作動方法
CN102149498A (zh) 气体切割方法及气体切割装置
JP3162339U (ja) 燃焼動力式装置で使用する液体燃料を蒸発させるための燃料蒸発器システム
US6326581B1 (en) Torch for cutting processes
KR101453690B1 (ko) 가스절단기용 분배장치
CN107110505A (zh) 具有多流体燃料供应的燃气轮机单元和供应燃气轮机单元的燃烧器的方法
CA2694337A1 (en) Fuel cell with variable impurity content based on driving mode
US20100301018A1 (en) Welding control apparatus
EP3436213A1 (en) Controlling and delivering gases in a plasma arc torch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20170067933A (ko) 공기 주입식 가스버너
JP2007329104A5 (ko)
KR101497880B1 (ko) 니들밸브 및 혼합기 일체형 가스세이버
JP6168965B2 (ja) 混焼システム及び燃料ガス混合ユニット
WO2004081450A1 (ja) ガス燃焼制御方法及びガス燃焼装置
US5393223A (en) Cutting torch machine having an internal ignition device
JP5971970B2 (ja) 燃焼装置とその運転方法
US2870825A (en) Blow tor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