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013B1 - Water saving closet without water tank - Google Patents
Water saving closet without water ta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3013B1 KR101453013B1 KR1020140092064A KR20140092064A KR101453013B1 KR 101453013 B1 KR101453013 B1 KR 101453013B1 KR 1020140092064 A KR1020140092064 A KR 1020140092064A KR 20140092064 A KR20140092064 A KR 20140092064A KR 101453013 B1 KR101453013 B1 KR 1014530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discharge pipe
- water
- discharge
- waste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1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combined with movable closure elements in the bowl 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직수 사용이 가능한 직수형 절수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양변기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오물이 일정량 이상 되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수조가 필요없이 직수를 공급하여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직수형 절수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water-saving water-saving toilet seat which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a certain amount of dirt stored in a storage space of a toilet can be discharg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rect water-saving toilet seat.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분뇨배출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분뇨의 원활한 세척을 위해 변기 보울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가 이용되고 있다.Generally, the principle of siphon is used to store a certain amount of water in the toilet bowl to smoothly wash the odor or manure coming from the outlet of the manure.
이러한 사이펀 원리는 역 U자관내의 수위와 변기내의 수위가 평형을 이룰 때는 물이 정체상태인 반면, 변기 보울내의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면 변기 보울내의 압력상승이 동반 되면서 상대적으로 저압상태인 사이펀 관과의 압력차에 의해 변기 보울내의 물이 배출되는 원리를 말한다.This siphon principle is that when the water level in the inverted U-tube and the water level in the toilet are in equilibrium, the water is stagnant while when the water level in the toilet bowl suddenly increases, the pressure in the toilet bowl is accompanied, And the water in the toilet bowl is discharg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toilet bowl.
통상의 양변기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는 보울(bowl)(2)과, 상기 보울(2) 보다 높은 위치에서 소정량의 수세용 물을 저수하고 있으면서 상기 보울(2)에 대하여 급수구 패킹(5)에 의해 닫혀진 공급로(2a)를 통하여 연결되는 저수탱크(1)로 이루어져, 상기 저수탱크(1)에 설치된 배수레버(3)의 조작으로, 그 배수레버(3)에 연동하는 상기 급수구 패킹(5)이 급수구(10)를 개방하여 저수탱크(1)의 물이 그 공급로(2a)를 통해 보울(2)에 급속히 공급됨으로써, 보울(2) 내 수위 증가에 따라 보울(2) 내에서 발생하는 수압과 그 수압에 의해 상기 보울의 배수로(2b)를 따라 배수되는 물이 생성하는 사이펀 효과에 의해 보울 내 침전된 대, 소변을 배수트랩(2c)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A conventional toilet bowl comprises a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양변기는 보울 내에 악취 등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배수트랩(2c) 높이 이상의 수위를 항상 유지해야 하고 또 수세시에 상기 배수트랩(2c) 높이의 수압을 이길 수 있는 양의 물이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물의 소비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oilet bowl as described above must always maintain a water level higher than the level of the
더욱이 기존의 변기는 보울 배출관 직경이 원활한 오물의 배출을 위해 KS규격 등을 통해 정해진 45mm 이상, 즉 통상 45~55mm 정도가 되어야 함에 따라, 보울내 오물을 세척하기 위해선 일명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켜야 흡인력에 의해 세척이 되며, 이러한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키기 위해선 최소한 일시에 60mm 이상의 물을 보울 내부로 공급하여야 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변기는 수조를 설치하고 평상시 수조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다가 사용시 수조내부에 설치된 약 65mm 전후의 배수관 구경에 부착된 개폐마개의 개방으로 수조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를 통해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함으로서 사이펀 현상이 발생하여 세척이 이루어진다.Further, since the existing toilet bowl should have a diameter of 45 mm or more, which is normally set to 45 to 55 mm, which is determined by the KS standard or the like, for discharging the dirt of the bowl discharge tube, it is necessary to generate a siphon phenomenon in order to clean the dirt in the bowl. In order to generate such a siphon phenomenon, at least 60 mm of water must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wl at a tim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ventional toilet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and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tank. The siphon phenomenon occurs and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wl through the water channel which communicates with the water tank and the bowl.
따라서 기존의 변기는 구경 약 15mm 정도의 수도관 직수로는 아무리 보울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도 보울 배출관 직경이 통상 45~55mm 정도라서 사이펀 현상을 발생시킬 수가 없고 그대로 보울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어 보울 내 오물을 세척 시킬 수 없다.Therefore, even if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wl, the diameter of the bowl discharge pipe is usually 45 to 55 mm, so that the siphon phenomenon can not be generated, and the bowl is discharged through the bowl discharge pipe. Can not be cleaned.
때문에 그동안 남자 소변기의 경우 수도직결을 사용함으로서 감지기 등으로 자동세척이 일반화 되어 있지만, 대변기의 경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수도관 직결로는 오물세척이 불가능하여 자동 대변기는 일반화 할 수 없었다.In the case of the male urinal, the automatic urinal can not be generalized because the dirty water can not be cleaned by the direct connection of the water pipe for the above-mentioned reason, although the automatic urinal cleaning is generalized by the detector using the water direct connection.
아울러, 기존 변기는 필수적으로 수조기능을 갖추어야 세척이 가능하기 때문에 디자인의 한계와 수조로 인해 변기 크기를 줄일 수 없어 공간적인 제약도 있다. 또한, 수조와 좌대를 일체형으로 도기를 제작(일명 "원피스형 변기)할 때 불량률이 많아 생산수율이 떨어져 결과적으로 도기 단가의 상승요인이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xisting toilet has to have the function of the water tank, it can be cleaned. Therefore, there are space limitations because the design can not be reduced due to the design limitation and the water tank. In addition, when making a pottery (a so-called "one piece type toilet)" with a tank and a seat integrally formed, the defective rate is high and the yield of production is decreased,
아울러, 수조내부에 설치된 급배수관의 불량 등으로 누수가 발생하여도 사용자가 쉽게 감지하기 어려워 상하수도 비용 청구서를 보고서야 인지할 경우도 있다. 또한, 공동 화장실이나 사무빌딩 등 공공의 장소에 사용하는 일명 플래쉬 변기의 경우는 수조가 없기 때문에 직수로 사용하기 위해 일시에 많은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수도관과 별도로 직경 25mm(1 in)관을 추가로 설비하여야 함으로서 막대한 설비비용이 추가되며, 레바 작동시 일명 "워터함마"라는 현상으로 심한 소음이 수반된다.In addition, even if water leakage occurs due to a failure of the water supply pipe installed in the water tank,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easily detect the water leakag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public toilet, such as a public toilet, a so-called flash toilet, there is no water tank, so a separate 25 mm (1 in) diameter pip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water pipe There is an enormous amount of equipment cost due to the installation, and the phenomenon called "water hammer" is accompanied by severe noise when the lever is operated.
이러한 문제점의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한국특허등록 제10-1131810호(발명의 명칭: 가변 이중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에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some of such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31810 entitled " Variable Double Line Tubular Water Saving Toilet Seat "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has been disclosed.
그러나, 상기 가변 이중 직선관은 기존의 급수유로와 보울 림의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수도 직수공급 시 보울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면 가변 직선관이 하향되어 오물배출은 가능하지만, 수도압력이 수조와 보울로 통하는 내부의 수로와 보울 림 내부의 수로에서 급격히 떨어져 결과적으로 수도압력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보울 내부 오물세척에 문제가 있고, 오물배출 시 가변 직선관의 하향 지연 시간조절이 어려워 일부 오물의 역류가 가끔 발생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variable double-rectilinear tube can operate in a conventional water supply channel and a bowl rim, when the water level in the bowl rises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he variable rectilinear pipe is downward, It is impossible to use the water pressure as a result, and there is a problem in washing the inside of the bowl,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ownward delay time of the variable linear tube when discharging the dirt, Backflow occurs occasionally.
따라서, 상기 특허에 개시된 양변기 또한 수조를 사용하지 않고 수도 직수공급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므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조를 구비하여야만 한다. 이와 같이, 수조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며, 수조가 차지하는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supplying the water supply directly to the toilet without using the water tub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accompani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water tank must be provid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tank is provided,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water tank is not utilized.
아울러, 상기 가변 이중 직선관은 길이가 길어져야만 중량에 의한 상기 가변 이중 직선관의 회전이 이루어져 오물배출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 이중 직선관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상기 가변 이중 직선관의 회전반경 또한 커지게 되며, 이를 수용하는 커버부의 공간이 커져야 하므로 결국 변기가 커지게 되고, 협소한 공간에서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length of the variable double-rectilinear tube is long, rotation of the variable double-rectilinear tube by weight may be performed to discharge the dirt. As the length of the variable double rectilinear tube becomes longer,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variable double rectilinear tube becomes larger, and the space of the cover portion accommodating the variable double rectilinear tube becomes larger. As a result, the toilet becomes bigger and the installation becomes difficult in a narrow space .
또한, 가변 이중 직선관이 오물배출을 전의 상태, 즉 대기중일 때에는 45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여 보울 내부에 저수물을 저장해야 하므로 가변 이중 직선관의 하중을 부담하기 위해 일정한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유지해야만 한다. 또한, 오물 세척시 90도 이상으로 회전한 가변 이중 직선관이 오물배출을 전의 상태인 원위치로 복원되기 위해서는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이 더욱 커져야 한다. 이에 따라 인장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큰 중량을 갖도록 세척수를 적정량 이상 사용하지 않으면, 인장스프링의 복원력이 강하게 되며 오물배출시 가변 이중 직선관이 오물 배출을 위하여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결국 오물의 일부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ariable double-rectilinear tube is required to store a low water content inside the bowl by maintaining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when the dirt is discharged, that is, in the air, the elastic force of the constant tension spring You must keep it. In addition, the elasticity of the tension spring must be further increased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of the variable double-rectilinear tube rotated at 90 degrees or more during the dirt washing to the original state before the discharge of the dirt. Therefore, if the washing water is not used more than the proper amount to have a larger weight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becomes strong and the variable double linear tube does not rotate over a certain angle for discharging the dirt. There is a problem of backflow.
아울러, 가변 이중 직선관과 결합되는 인장스프링의 일측은 브라켓에 고정되게 되는데, 이 브라켓은 도자기에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브라켓은 도자기로 된 보울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게 되는데, 도자기 특성상 나사 등에 의한 부착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므로 생산성과 안정적인 품질관리에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tension spring coupled with the variable dual straight tube is fixed to the bracket, which is attached to the pottery. In order to attach the bracket to a bowl made of ceramics, it is attached using screws or the like.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attach the bracket due to the nature of ceramics, there is a problem in productivity and stable quality control.
본 발명의 목적은, 양변기의 오수 저장부에 저장된 직수를 사용하여 오수 저장부의 배출구에 자바라로 연결되는 배출 유닛을 하방으로 탄성 유동시켜 순차적으로 오수를 배출하고, 오수가 모두 배출된 이후에 탄성적으로 배출 유닛을 원위치로 할 수 있는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age collecting system and a sewage collecting system which are capable of discharging sewage water sequentially by discharging the discharged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waste water storage unit by a bellows downward, So that the discharge uni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오수 저장 공간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saving water-saving toilet bowl which can drain water desalinated in a water storage room of a toilet without using a water tank, by using direct water directly supplied from a water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출 유닛의 길이를 줄여 회전반경을 적게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saving water-saving toilet bowl which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by reducing the length of the discharge unit to reduce the turning radiu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부의 제 1, 2 걸침부재를 연결관과 오수배출관에 복원스프링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걸침부재의 일측을 도자기로 된 보울에 부착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생산성 향상과 품질관리가 원활하도록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nitary washing apparatu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tretching members of the elastic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by connecting the restoration spring to prevent the one side of the straining member from being attached to the bowl made of porcelain, And a water-saving water-saving toilet seat which can be managed smoothl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바닥이나 벽체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유입관(50)이 수용되는 직수유입관 수용부(101a)가 형성되고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01)이 구비되며, 상기 보울(101)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0)이 구비되고, 상기 보울(101)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03)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02)가 구비된 양변기 몸체부(100); 상기 연결관(110)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01)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휨이 가능한 주름관(200); 상기 주름관(200)에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주 배출 유로를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오수 일부를 설정된 양으로 저장 후 보조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주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오수 배출관(400); 및 상기 연결관(110)과 상기 오수 배출관(40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 미만이 되면 상기 오수 배출관(40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500);를 포함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rect-fluid-feeding
이때,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연결관(1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결관(110) 외부에서 상기 연결관(110)의 오수 유동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연결관(110)의 외측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각각 제 1걸침홀(511a)이 형성된 돌출부(511)가 구비된 한 쌍의 제 1걸침 부재(510)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 제 2걸침홀(5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511a)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530)를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주름관(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는 악취 방지부(3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odor prevention part (300) installed inside the corrugated pipe (200), which is opened by the flow of the wastewater when the wastewater flows and is closed when the wastewater does not flow .
이때, 상기 악취 방지부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비닐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일단은, 상기 주름관(200)의 오수유입측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타단은, 상기 주름관(200)의 오수배출측을 따라 자유단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름관(200)으로 오수가 유동되며, 유동되는 상기 오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악취 방지부재를 개방시키고,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오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의 타단은 서로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외형이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malodor prevention part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is made of flexible vinyl, one end of the malodor prevention member is fixed to one end of the wastewater inlet side of the
아울러, 상기 오수 배출관(400)은, 상기 주름관(200)의 오수배출측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주 배출관(410)과, 상기 주 배출관(410)의 일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주에 설치되어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보조 배출관(420)을 구비하되, 상기 주 배출관(410)과 상기 보조 배출관(420)은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를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오수배출측 단부에는,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내부로 배출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 배출홀(421)이 형성된다.The
이때, 상기 배수홀(411)은 상기 주 배출관(410)을 둘러싼 상기 보조 배출관(420)과 접하는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양단부위에 위치한 상기 주 배출관(410)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각각의 상기 배출홀(411)은, 설정된 면적을 이루고, 상기 면적 내에서 천공되는 다수의 단위 배출홀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위 배출홀의 크기는,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오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점점 더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이때, 상기 한 쌍의 배출홀(411)은, 다각형, 타원형 및 원형 형상으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아울러, 상기 제 1걸침 부재(510)는, 상기 연결관(110)이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110)에 고정되는 연결관 결합부(512)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또한,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제 1걸침홀(511a)은,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각각의 돌출부(511)에서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는, 판상을 이루고,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2걸침홀(521)은,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 각각에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이때,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는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 유입측 단부부위에서 상기 연결관(110)의 상부와 가깝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유입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air of second squeezing
아울러, 상기 직수유입관(50) 상에는 보울(101) 내에서 배출되는 오수와 상응하는 직수를 공급하도록 제어가 가능한 지수밸브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index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eed of the direct water corresponding to the wastewater discharged in the
본 발명은, 오수 배출관을 주 배출관과 보조 배출관으로 형성하되, 이들의 단부를 일자형으로 형성하여, 전체적인 양변기 부피를 줄여 설치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wage discharge pipe is formed as a main discharge pipe and an auxiliary discharge pipe, and the end portions thereof are formed in a straight shape,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entire toilet bowl, thereby providing ease of installation.
아울러, 주 배출관의 일부 외주연을 보조 배출관이 둘러싸도록 오수 배출관이 제작되므로 오수 배출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오수 배출관의 회전 작동 반경이 짧아 전체적인 양변기의 길이 방향으로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변기 설치가 자유로운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sewage discharge pipe is formed so that the secondary discharge pipe surrounds a part of the main discharge pipe, the length of the sewage discharge pipe can be reduced, and the rotation operation radius of the sewage discharge pipe is short, The toilet can be installed freely even in a narrow space.
또한, 본 발명은, 오수 유입 중량에 의한 오수 배출관의 회전작동을 탄성력에 의해 지연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오수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한꺼번에 손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되고, 변기에 오물 찌꺼기가 남지 않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tard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due to the weight of wastewater inflow by the elastic force, so that when the amount of wastewater becomes a certain amount or more, it can be easily discharged at once, So that a clean state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은, 주름관 내에 중공의 비닐이나 얇은 고무 등을 설치하여 오수 배출 후, 악취가 양변기 몸체부의 저장 공간으로 역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backflow of odor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toilet body after the discharge of waste water by providing hollow vinyl or thin rubber or the like in the corrugated pipe.
또한, 본 발명은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므로 수조 가 필요없이 양변기의 오수 저장 공간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다. 아울러, 수조가 필요없으므로 변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기존에 수조가 차지하는 공간을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수조가 필요없고 양변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양변기의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고 제작기간이 적게 소요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rect water directly supplied from the water pipe is used,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in the desalinated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toilet without needing a water tank.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water tank, the space occupied by the toilet can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water tank can be utilized positively. In addition, since a water tank is not required and the volume of the toilet can be reduce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toilet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의 제 1, 2 걸침부재를 연결관과 오수배출관에 복원스프링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걸침부재의 일측을 도자기로 된 보울에 부착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생산성 향상과 품질관리가 원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stretching members of the elastic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and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by connecting the restoration spring, so that one side of the straining member is not attached to the bowl made of porcelain, .
도 1은 종래의 양변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의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오수 배출관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oilet bowl.
2 is a view showing a direct water-saving toilet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direct water-saving toilet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sewage is discharged.
5 is an enlarged view of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ewage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irect water-saving toilet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로서 오수가 배출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오수가 배출되는 상태의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wastewater is discharged as a direct water-saving toilet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showing a direct water-saving toilet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wastewater is discharged.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직수형 절수양변기는 크게 양변기 몸체부(100)와, 주름관(200)과, 악취 방지부(300)와, 오수 배출관(400)과, 탄성부(500)로 구성된다.2 and 4, the direct water-saving toilet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르는 양변기 몸체부(100)는 화장실의 바닥 또는 벽체에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화장실의 바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는 수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변기의 중량이 가볍고 후술하겠지만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길이가 짧아도 되므로 변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화장실의 벽체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The
상기 양변기 몸체부(100)는 오수가 일정량 저장되는 보울(101)과, 상기 보울(101)로부터 오수를 배출시키는 연결관(110) 및 상기 보울(101)의 후방을 덮는 커버부(102)로 구성된다.The
상기 보울(101)은 상부가 개구되고 개구된 외주연에 외부로부터 직수가 유입되는 직수유입관(50)이 수용되는 직수유입관 수용부(101a)가 형성되고 직수가 일정량 저장된다. 상기 보울(101)은 일반적인 좌변기에 적용되는 것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나, 일반적인 좌변기에서는 수조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는 형태이고, 본 발명의 보울(101)은 수조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개구된 외주연에 직수유입관(50)이 수용되는 형태이므로 서로가 다르다.The
상기 연결관(110)은 상기 보울(101)에 저장되는 오수를 상기 커버부(102)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보울(101)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상기 커버부(102)는 상기 보울(101)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연결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을 변기 외부로 배출하는 바닥관(103)으로 유도되도록 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주름관(200)은 상기 보울(101)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연결관(11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주름관(200)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110)의 단부에 연결된다.The
상기 주름관(200)의 일단은 연결관(110)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고, 스크류 방식으로 스크류 체결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One end of the
상기 주름관(200)은 가요성을 갖는 관으로 외력에 의해 휨이 가능하다.The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악취 방지부(300)는 상기 주름관(200)에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된다.3, the malodor-preventing
상기 악취 방지부(300)는 상기 주름관(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비닐이나 얇은 고무로 형성되는 악취 방지 부재(310)를 포함한다.The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는 중공을 이루고 유연성을 갖는 비닐이나 고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lodor-preventing member 310 is preferably made of a flexible or flexible vinyl or rubber.
여기서,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일단은, 상기 주름관(200)의 오수유입측 일단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의 방식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One end of the odor prevention member 310 is fixed to one end of the wastewater inlet side of the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상기 주름관(200)의 오수배출측을 따라 자유단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주름관(200)의 내부에서 고정되지 않는다.The other end of the malodor-preventing member 310 is arranged to form a free end along the waste water discharge side of the
이에 따라, 저장 공간(101)에 저장되는 오수가 연결관(110)을 통해, 주름관(200)으로 유동되면, 유동되는 오수는 악취 방지 부재(310)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를 개방할 수 있다.When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이때. 악취 방지 부재(310)의 둘레는 주름관(200)의 내주에 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riphery of the malodor-preventing member 31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그리고,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오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서로 밀착되도록 외형이 가변된다.When the wastewater flows from the
즉, 오수가 모두 배출된 이후,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서로 밀착되어 폐쇄된다.That is, after all the wastewater is discharged, the other end of the odor preventing member 310 is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어느 정도 폐쇄 상태를 이루고, 이에 따라 오수가 배출되는 측으로부터의 악취는 저장 공간(101) 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odor prevention member 310 is closed to some extent, and thus, the odor from the side from which the waste water is discharged can be minimized to flow back to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오수 배출관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showing a sewage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오수 배출관(400)은 상기 주름관(200)에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오수를 외부로 배출한다.2 to 6, the waste
상기 오수 배출관(400)은 상기 주름관(200)의 오수배출측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주 배출관(410)과, 상기 주 배출관(410)의 일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주에 설치되어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보조 배출관(420)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주 배출관(410)의 단부와,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단부는 서로 동일 선상을 따르도록 절개된다. 즉, 서로 일자 형상의 단면을 이룬다.The end of the
여기서, 상기 보조 배출관의 전단은 폐쇄되도록 형성되고, 후단 즉 오수배출측 단부에는 보조 배출홀(421)이 형성된다.Here,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discharge pipe is formed to be closed, and the
상기 주 배출관(410)을 둘러싼 상기 보조 배출관(420)과 접하는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양단부위에 위치한 상기 주 배출관(410) 양측부에는, 상기 주 배출관(410)과 상기 보조 배출관(420)은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를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한 쌍의 배수홀(411)이 형성된다.The
상기 한 쌍의 배출홀(411) 각각은, 설정된 면적을 이루고, 상기 면적 내에서 천공되는 사각 또는 원 형상의 다수의 단위 배출홀로 형성된다.Each of the pair of discharge holes 411 has a predetermined area and is formed of a plurality of unit discharge holes each having a square or circular shape to be drilled in the area.
상기 다수의 단위 배출홀의 크기는,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오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점점 더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plurality of unit discharge holes may be gradually increased along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wastewat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stewater from the
상기 한 쌍의 배출홀(411)은, 다각형, 타원형 및 원형 형상으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discharge holes 411 may be formed in any shape selected from polygonal, elliptical, and circular shapes.
상기 구성을 참조하면, 오수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오수 배출관(400)은 직립되는 상태를 유지한다.Referr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wastewater is not discharged, the
이어, 저장 공간(101)에 저장된 오수가 연결관(110) 및 주름관(200)을 통해 유동되면, 유동되는 오수는 주 배출관(410)으로 유동된다.When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이때, 주 배출관(410)으로 유동되는 오수는 상기 주 배출관(410)을 둘러싼 상기 보조 배출관(420)과 접하는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양단부위에 위치한 상기 주 배출관(410) 양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배출홀(411)을 통해 주 배출관(410)의 하단에 연결된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main discharge pipe (410) flows into the main discharge pipe (410) through the pair of the main discharge pipe (41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auxiliary discharge pipe Is discharged to the inside of the
이때, 보조 배출관(420)의 전단은 밀폐되는 상태로, 주 배출관(410)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도 3에서와 같이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에 저장된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이어,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에 일정의 오수가 저장되면, 이의 중량에 의해 전체 오수 배출관(400)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되고, 보조 배출관(420)에 저장된 오수는 보조 배출관(420)의 후단, 즉 오수배출측 단부에 형성되는 보조 배출홀(4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하방으로 낙하하여 배출된다.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stewater is stored in the
보조 배출관(420) 저장공간의 오수가 상기 보조 배출홀(421)을 통해 모두 배출되면, 오수 배출관(400)은 후술되는 탄성부에 의해 직립되는 상태인 원 위치로 복귀되어 도 2 및 도 3의 상태가 되게 된다.When the wastewater in the storage space of the
이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해, 주 배출관(410)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가 본 발명에 따르는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 저장공간에 저장되고, 이 오수 중량으로 인해 주 배출관(410)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이에 따라, 주 배출관(410)을 통해 오수가 배출되는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오수의 잔량 없이 완전히 배출하여 세척의 효율을 상승시키고, 보조 배출관(420) 후단에 형성되는 보조 배출홀(421)을 통해 오수가 일정량 배출되면, 오수 배출관(400)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By thus delaying the discharge time of the wastewater through th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7 and 8 are views showing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탄성부(500)는 상기 연결관(110)과 상기 오수 배출관(40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 미만이 되면 상기 오수 배출관(40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다.7 and 8, the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연결관(1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결관(110) 외부에서 상기 연결관(110)의 오수유동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연결관(110)의 외측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각각 제 1걸침홀(511a)이 형성된 돌출부(511)가 구비된 한 쌍의 제 1걸침 부재(510)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 제 2걸침홀(5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511a)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530)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제 1걸침홀(511a)은,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돌출부(511)에서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된다.The first engaging
상기 제 1걸침 부재(510)는, 상기 연결관(110)에 볼트체결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관(110)에 삽입고정시킬 수 있다. 양변기가 대부분 도기(陶器)로 제작되므로 상기 제 1걸침 부재(510) 고정시에 볼트체결방식의 경우에는 양변기의 연결관(110)이 손상될 수 있어 끼움고정식이 유리하다.The first strapping
끼움고정식의 경우에는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에 상기 연결관(110)이 끼워져 상기 연결관(110)에 고정되는 연결관 결합부(51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 결합부(512)는 링형태의 파이프로 된다.In the case of the fitting type, a coupling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는, 판상을 이루고,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된다.The pair of
상기 제 2걸침홀(521)은,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 각각에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hooking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제 1걸침홀(511a)과 상기 제 2걸침 부재(520)의 제 2걸침홀(521)이 다수로 설치되는 것은 탄성 부재(530)의 탄성력 조정을 하기 위함이다. 상기 탄성 부재(530)의 탄성력 조정은 보울(101) 내에서의 오수의 유입량에 따른 오수 배출을 위한 오수의 설정량 조절과 연관된다. 상기 탄성 부재(530)의 탄성력을 크게 하면 보울(101) 내에서의 오수의 유입량이 많은 경우에 오수 배출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530)의 탄성력을 적게 하면 보울(101) 내에서의 오수의 유입량이 적은 경우에도 오수 배출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오수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상기 탄성 부재(530)의 탄성력이 적당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는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 유입측 단부부위에서 상기 연결관(110)의 상부와 가깝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유입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second squeezing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가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 유입측 단부부위에서 상기 연결관(110)의 상부와 가깝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유입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도록 하게 되면, 오수 배출후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직립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가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 유입측 단부부위에서 상기 연결관(110)의 상부와 멀리 구비되면 오수 배출후 상기 오수 배출관(400)이 상부로 회전되지 않고 하부로 회전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오수 배출후 보울(101) 내에 직수를 공급하여도 오수 배출관(400)을 통해 전부 배출되게 되므로 보울(101) 내에는 설정된 오수가 저장되지 않게 되는 오작동이 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가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 유입측 단부부위에서 상기 연결관(110)의 상부와 가깝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유입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오수 배출후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직립회전이 곧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pair of second squeezing
한편, 본 발명의 양변기는, 상기 직수유입관(50) 상에 보울(101) 내에서 배출되는 오수와 상응하는 직수를 공급하도록 제어가 가능한 지수밸브(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수밸브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개폐시간을 제어하는 공지된 것을 사용한다. 기계식의 일예로는 누름스위치에 의해 개폐작동을 하는 볼이 눌리면 개방되고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볼이 폐쇄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원되도록 작동되는 체크밸브형태가 있다. 전자식의 일예로는 누름스위치에 의해 시간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밸브형태가 있다. 상기 직수유입관(50) 상에 상기 지수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울(101)내에는 오수의 수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ilet bowl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includes an index valve (not shown) that can be controlled to supply the direct water corresponding to the wastewater discharged i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상수관에서 직접적으로 공급되는 직수를 이용하여 수조 없이도 양변기의 보울(101)에 담수된 오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lso,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rain wastewater desiccated in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보조 배출관의 후단에 형성되는 보조 배출홀(421)의 홀면적을 가변조절하여 주 배출관(410)의 오수 배출에 걸리는 시간을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홀 면적의 조절은 서로 다른 홀 사이즈를 갖는 보조 배출홀(421)이 형성되는 부재를 오수 배출관(400)의 후단에 탈착시킴으로서 가능할 수 있다. 탈착은 오수 배출관(400)의 후단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time taken to discharge the sewage to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양변기 몸체부 101 : 저장 공간
110 : 연결관 120 : 직수 유입관
11 : 배수홀 200 : 주름관
300 : 악취 방지부 310 : 악취 방지 부재
400 : 오수 배출관 410 : 주 배출관
411 : 배출홀 420 : 보조 배출관
500 : 탄성부 510, 540, 550 : 제 1걸침 부재
511 : 제 1걸침홀 520 : 제 2걸침 부재
521 : 제 2걸침홀 530 : 탄성 부재100: toilet body part 101: storage space
110: connector pipe 120: direct water inlet pipe
11: Drain hole 200: Corrugated pipe
300: odor preventing member 310: odor preventing member
400: sewage discharge pipe 410: main discharge pipe
411: discharge hole 420: auxiliary discharge pipe
500:
511: first hanging hole 520: second hanging member
521: second hanging hole 530: elastic member
Claims (11)
상기 연결관(110)에 연결되며, 상기 보울(101)로부터 배수되는 오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휨이 가능한 주름관(200);
상기 주름관(200)에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하방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주 배출 유로를 통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함과 아울러, 배출되는 오수 일부를 설정된 양으로 저장 후 보조 배출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주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오수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는 오수 배출관(400); 및
상기 연결관(110)과 상기 오수 배출관(40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 미만이 되면 상기 오수 배출관(400)이 직립되는 상태를 이루도록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500); 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500)는,
상기 연결관(1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연결관(110) 외부에서 상기 연결관(110)의 오수유동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연결관(110)의 외측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며 각각 제 1걸침홀(511a)이 형성된 돌출부(511)가 구비된 한 쌍의 제 1걸침 부재(510)와,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 제 2걸침홀(5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와,
일단이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1걸침홀(511a)에 연결되는 한 쌍의 탄성 부재(5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101a) for receiving a direct milk infusion inlet (50) for introducing direct water from the outside is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an opened upper side and a bottom of the bowl (101 And a connection pipe 110 for discharging waste water to be stored in the bowl 101. The wast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10 covers the rear of the bowl 101, And a cover part (102) adapted to be guided to a bottom pipe (103)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the bottom pipe (103).
A corrugated pipe 20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110 and forming a flow path of wastewater drained from the bowl 101 and capable of being bent;
When the wastewater flowing from the bellows pipe 200 has a predetermined amount, the wastewater flows elastically along the downward direction, discharges the wastewat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in discharge channel, A waste water discharge pipe 400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nd discharging the waste wat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auxiliary discharge flow path to delay the discharge time of the wast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main discharge flow path; And
The connection pipe 110 elastically connects the wastewater discharge pipe 400. When the amount of wastewater flowing from the wrinkle pipe 200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n elastic part (500); , ≪ / RTI &
The elastic part (500)
The first connecting pipe 110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110 are fixed to the connecting pipe 110 and protrude from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ipe 110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pipe 110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of flow of the connecting pipe 110, A pair of first stretching members 510 provided with protrusions 511 formed with the protrusions 511a,
A pair of second spacing members 520 provided outside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400 and each having a second hooking hole 521,
And a pair of elastic members (530)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air of second squeezing members (5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hooking hole (511a) .
상기 주름관(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오수가 유동되는 경우 오수의 유동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오수가 유동되지 않는 경우 폐쇄되는 악취 방지부(30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dor prevention part (300) installed inside the corrugated pipe (200) and opened by the flow of the wastewater when the wastewater flows, and closed when the wastewater does not flow Water saving water toilet.
상기 악취 방지부(30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비닐로 형성되며,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일단은, 상기 주름관(200)의 오수 유입측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상기 주름관(200)의 오수 배출측을 따라 자유단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름관(200)으로 오수가 유동되며, 유동되는 상기 오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중공으로 유입되어 상기 악취 방지부재를 개방시키고,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오수의 유동이 완료되면, 자유단으로 배치되는 상기 악취 방지 부재(310)의 타단은 서로 밀착되어 밀폐되도록 외형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malodor prevention part 300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is formed of flexible vinyl,
One end of the odor prevention member 310 is fixed to one end of the wastewater inlet side of the bell pipe 200,
The other end of the malodor-preventing member 310 is disposed to form a free end along the waste water discharge side of the corrugated pipe 200,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corrugated pipe 200 and flows into the hollow of the odor prevention member 310 to open the odor prevention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malodor preventing member (310) disposed at the free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odor prevention member (310) when the wastewater flows from the corrugated pipe (200).
상기 오수 배출관(400)은,
상기 주름관(200)의 오수배출측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주 배출관(410)과,
상기 주 배출관(410)의 일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주에 설치되어 저장공간을 구비하는 보조 배출관(420)을 구비하되,
상기 주 배출관(410)과 상기 보조 배출관(420)은 서로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주름관(200)으로부터 유동되는 오수를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내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홀(41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오수배출측 단부에는, 상기 오수 배출관(400)의 내부로 배출되는 오수가 설정된 양을 이루면 외부로 배출하는 보조 배출홀(4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4. The compoun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waste water discharge pipe (400)
A main discharge pipe 41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connected to the waste water discharge side end of the bellows pipe 200,
And an auxiliary discharge pipe (420)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discharge pipe (410)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main discharge pipe (410)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 main discharge pipe 410 and the auxiliary discharge pipe 4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drain hole 411 for discharging the wastewater flowing from the corrugated pipe 200 into the auxiliary discharge pipe 420,
Wherein an auxiliary discharge hole (421) is formed at an end of the auxiliary discharge pipe (420) on the discharge side of the sewage discharge pipe (400) to discharge the sewage to the outsid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sewage is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pipe A toilet.
상기 배수홀(411)은 상기 주 배출관(410)을 둘러싼 상기 보조 배출관(420)과 접하는 상기 보조 배출관(420)의 양단부위에 위치한 상기 주 배출관(410)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rain hole 4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discharge pipe 410 located on both ends of the auxiliary discharge pipe 420 contacting the auxiliary discharge pipe 420 surrounding the main discharge pipe 410. Water saving water toilet.
각각의 상기 배출홀(411)은,
설정된 면적을 이루고, 상기 면적 내에서 천공되는 다수의 단위 배출홀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위 배출홀의 크기는,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보올의 필요 저수량을 담수할 수 있는 위치에서 오수가 배출되는 방향을 따라 점점 더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6. The method of claim 5,
Each of the discharge holes (411)
And a plurality of unit discharge holes formed in the area,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unit discharge holes,
Is formed to be gradually larger along a discharge direction of sewage water at a position capable of draining a required storage amount of the wat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wage of the main discharge pipe (410) flows.
상기 한 쌍의 배출홀(411)은,
다각형, 타원형 및 원형, 기타 형상으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air of discharge holes (411)
Polygonal, elliptical, circular, and other shapes.
상기 제 1걸침 부재(510)는,
상기 연결관(110)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관(110)에 고정되는 연결관 결합부(51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 양변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stretching member 510 may be formed as a single-
And a connection pipe coupling part (512)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pe (110) and fixed to the coupling pipe (110).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제 1걸침홀(511a)은, 상기 제 1걸침 부재(510)의 각각의 돌출부(511)에서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는,
판상을 이루고,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 2걸침홀(521)은,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 각각에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어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hooking holes 511a of the first stretching member 5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protrusions 511 of the first stretching member 510,
The pair of second stretching members 520,
And is protruded outside the main discharge pipe 410,
Wherein the second hooking holes (521) are formed at a plurality of intervals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n each of the pair of second stretching members (520).
상기 한 쌍의 제 2걸침 부재(520)는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 유입측 단부부위에서 상기 연결관(110)의 상부와 가깝도록 상기 주 배출관(410)의 오수유입방향과 직각되게 상기 주 배출관(410)의 외측으로 각각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air of second squeezing members 520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110 on an end of the main discharge pipe 410 on the inflow side of the main discharge pipe 41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inflow direction of the main discharge pipe 410. And is protruded outside the main discharge pipe (410).
상기 직수 유입관(50) 상에는 보울(101) 내에서 배출되는 오수와 상응하는 직수를 공급하도록 제어가 가능한 지수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수형 절수양변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index valve is provided on the direct water inflow pipe (50) so as to control the supply of direct water corresponding to the wastewater discharged in the bowl (10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2064A KR101453013B1 (en) | 2014-07-21 | 2014-07-21 | Water saving closet without water tank |
PCT/KR2014/007198 WO2015137574A1 (en) | 2014-03-13 | 2014-08-05 | Direct water-saving toil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2064A KR101453013B1 (en) | 2014-07-21 | 2014-07-21 | Water saving closet without water tan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3013B1 true KR101453013B1 (en) | 2014-11-26 |
Family
ID=5229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2064A KR101453013B1 (en) | 2014-03-13 | 2014-07-21 | Water saving closet without water ta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301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0834B1 (en) | 2017-06-20 | 2018-05-25 | 주식회사 와와 | Wastewater Discharge Apparatus of Variable Type Water Saving Toilet Bowl |
CN108603369A (en) * | 2015-12-30 | 2018-09-28 | (株)黎明科技 | Water-saving toilet pa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9069B1 (en) * | 2003-06-10 | 2005-08-18 | 전영세 | Toilet bowl having variablenes type syphon pipe |
KR101016248B1 (en) * | 2010-09-29 | 2011-02-25 | 인터바스 주식회사 |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 |
KR101046319B1 (en) * | 2009-06-08 | 2011-07-04 | 인터바스 주식회사 | Natural drain toilet |
KR101131810B1 (en) * | 2010-12-14 | 2012-03-30 | 이종인 |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double straight tube |
-
2014
- 2014-07-21 KR KR1020140092064A patent/KR10145301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09069B1 (en) * | 2003-06-10 | 2005-08-18 | 전영세 | Toilet bowl having variablenes type syphon pipe |
KR101046319B1 (en) * | 2009-06-08 | 2011-07-04 | 인터바스 주식회사 | Natural drain toilet |
KR101016248B1 (en) * | 2010-09-29 | 2011-02-25 | 인터바스 주식회사 |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 |
KR101131810B1 (en) * | 2010-12-14 | 2012-03-30 | 이종인 |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double straight tub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03369A (en) * | 2015-12-30 | 2018-09-28 | (株)黎明科技 | Water-saving toilet pan |
KR101860834B1 (en) | 2017-06-20 | 2018-05-25 | 주식회사 와와 | Wastewater Discharge Apparatus of Variable Type Water Saving Toilet Bow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643844B1 (en) |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 |
WO2007090039A2 (en) | Water recycling device | |
KR101638427B1 (en) | Ultra water saving closet | |
US20160289945A1 (en) | Combination toilet and urinal | |
WO2007110595A2 (en) | Floor drain | |
WO2000050700A1 (en) | A water efficient toilet | |
KR101453013B1 (en) | Water saving closet without water tank | |
KR20150003341A (en) | Water-saving toilet bowl | |
KR101442624B1 (en) | Water saving closet | |
KR20170106528A (en) | Water saving closet | |
KR100756933B1 (en) | Apparatus for protection of odor treatment | |
KR20170073263A (en) | Water saving for toilet bowl | |
KR100530575B1 (en) | Toilet for water saving | |
KR101860833B1 (en) | Wastewater Discharge Apparatus of Variable Type Water Saving Toilet Bowl | |
KR200449978Y1 (en) | Draining trap for sink | |
JP2006291496A (en) | Water drain structure of hand-wash basin for flush toilet | |
KR100841794B1 (en) | Smelless toilet stool | |
KR101594899B1 (en) | A draining trap apparatus for a washstand | |
KR100453128B1 (en) | Supply and drain equipment for toilet bowl | |
KR200249076Y1 (en) | A draining trap for anti bad smell | |
KR102133230B1 (en) | Ultra Water Saving Closet | |
KR200330363Y1 (en) | A bed smell removal device of drain pipe for washbowl | |
KR102084159B1 (en) |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 |
KR20140075235A (en) | Water-supply apparatus for toilet bowl without water tank | |
KR200464474Y1 (en) | An apparatus for blocking offensive odor from waste pipe dra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