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248B1 -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 - Google Patents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248B1
KR101016248B1 KR1020100094319A KR20100094319A KR101016248B1 KR 101016248 B1 KR101016248 B1 KR 101016248B1 KR 1020100094319 A KR1020100094319 A KR 1020100094319A KR 20100094319 A KR20100094319 A KR 20100094319A KR 101016248 B1 KR101016248 B1 KR 10101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riable
bracket
water bag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3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인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인터바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바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터바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4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2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248B1/en
Priority to PCT/KR2011/003206 priority patent/WO201204395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PURPOSE: A variable siphon tube type water saving toilet bowl is provided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using an tension spring of low elastic force and to improve the washing efficiency of a bowl. CONSTITUTION: A variable siphon tube type water saving toilet bowl comprises a toilet bowl body(10), a water bag(20), a bracket(30), a tension spring(40), a guide unit(70), and a variable siphon tube(50). The water bag is branched from a water supply flow path(13) of the toilet bowl body. The bracket comprises a mounting unit, a lower hanger, and an extension unit. The tension spring is accepted to the water bag. The guide unit guides the elevation of the bracket to the inside of a cover unit.

Description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Variable straight tube water saving toilet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

본 발명은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 보울의 배출구와 자바라로 연결된 가변 직선관의 경사각도에 의해 보울 내의 오물이 자연 배출되도록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to naturally discharge dirt in the bowl by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variable straight pipe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toilet bowl and bellows.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분뇨배출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나 분뇨의 원활한 세척을 위해 변기요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수하는 사이펀(siphon)의 원리가 이용되고 있다.In general, a toilet siphon (siphon) is used to store a certain amount of water in the potty for smooth cleaning of the odor or manure coming from the manure discharge.

이러한 사이펀 원리는 역 U자관내의 수위와 변기내의 수위가 평형을 이룰 때는 물이 정체상태인 반면, 변기내의 수위가 갑자기 높아지면 변기내의 압력상승이 동반 되면서 상대적으로 저압상태인 사이펀관과의 압력차에 의해 변기내의 물이 배출되는 원리를 말한다.This siphon principle is that when the water level in the inverted U-tube and the water level in the toilet are in equilibrium, the water is stagnant. It is a principle that water in toilet is discharged by car.

양변기의 가변 사이펀관 구동장치의 기존 구성은 보울의 분뇨배출관에 각각 자바라 관을 매개로 연결되며 역 U자형으로 된 가변 사이펀관과, 상기 보울의 급수유로와 연통됨과 동시에 보조관을 매개로 가변 사이펀관과도 연통된 물주머니와; 보울 내 수위상승과 물주머니에 유입된 물의 중량에 의해 가변 사이폰관이 하향하여 보울 내의 물이 분뇨배출관을 통해 배출된 후 물주머니 및 가변 사이펀관을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수단으로 구성된다.The existing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siphon tube driving device of the toilet is connected to the manure drainage pipe of the bowl via a bellows tube, and is inverted U-shaped variable siphon tube, and the bowl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and at the same time the variable siphon via the auxiliary pipe. A water bag in communication with the tube; The variable siphon tube is lowered by the water level rise in the bowl and the weight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bag, and then the water bag and the variable siphon tube are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after the water in the bowl is discharged through the manure discharge pipe.

상기 복원수단의 일예로는 신축이 가능한 가이드 바(101)와, 상기 가이드 바(101) 상부에 구비되며 가변 사이펀관(102)의 하부에 안착되는 롤러(103)와, 보울(104) 내의 물이 분뇨배출관(105)을 통해 배출된 후 상기 가변 사이펀관(102)을 원상태로 복원시켜줌으로써 물주머니(106)를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복원스프링(107)으로 구성되는 형태가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As an example of the restoring means, a flexible guide bar 101, a roller 103 provided on the guide bar 101 and sea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variable siphon tube 102, and water in the bowl 104. After the discharge through the manure discharge pipe 105 there is a form consisting of a recovery spring 107 to restore the water bag 106 to the original state by restoring the variable siphon tube 102 to its original state, 1 is shown.

전술한 복원수단을 갖는 양변기의 가변 사이펀관 구동장치는 복원스프링(107)이 작동되는 도중 엉킴현상의 발생에 따라 원활한 복원이 되지 않아 물주머니(106) 내의 물이 모두 배출된 이후에도 가변 사이펀관(102)이 원상태로 상승되지 않는 동작오류의 발생, 가이드 바(101)의 설치 곤란, 역U자형으로 된 가변 사이펀관(102)의 절곡단(102a)이 회동할 때 설치벽면(W)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보울(104)의 뒷부분을 충분히 길게 하는 데에 따른 양변기 슬림화의 곤란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The variable siphon tube driving apparatus of the toilet having the above-mentioned restoring means is not smoothly restored due to entanglement while the restoring spring 107 is operated, and thus the variable siphon tube even after all the water in the water bag 106 is discharged ( Occurrence of an operation error in which the 102 does not rise to its original state, difficulty in installing the guide bar 101, and the installation wall surface W when the bent end 102a of the variable siphon tube 102 in the inverted U shape rotates. There is a problem such as difficulty in slimming down the toilet according to lengthening the rear portion of the bowl 104 sufficiently to avoid being disturbed.

이러한 복원수단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479678호(발명의 명칭: 양변기의 가변 사이펀관 구동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2에 도시하였다.Patent Registration No. 10-479678 (name of the invention: variable siphon tube driving device of the toilet) has been disclosed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restoration means, which is shown in FIG.

상기 양변기의 가변 사이펀관 구동장치는 급수유로의 연결목에 조임 결합되는 조임링(201); 물주머니(202)의 바닥면에 결합되며 가변 사이펀관(203)과 힌지결합되는 브라켓(204); 상기 조임링(201)과 상기 브라켓(204)을 연결하여 보울(205) 내의 물이 분뇨배출관(206)을 통해 배출된 후 상기 가변 사이펀관(203) 및 상기 물주머니(202)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207)으로 구성된다.Variable toilet siphon driving device of the toilet bowl is tightening ring 201 is fastened to the coupling neck of the water supply passage; A bracket 204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ag 202 and hinged to the variable siphon tube 203; After connecting the tightening ring 201 and the bracket 204, the water in the bowl 205 is discharged through the manure discharge pipe 206, and then the variable siphon pipe 203 and the water bag 202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 It is composed of a restoring spring (207).

상기 양변기의 가변 사이펀관 구동장치는 가변 사이펀관(203)이 U자형으로 되어 있어 길이가 길고, 바닥관과 하위 주름관(208)에 의해 연결되므로 복원스프링(207)은 탄성력이 큰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여야 하며, 탄성력이 큰 인장스프링 사용에 따라 물주머니(202)의 용량이 커지게 되며, 대용량 물주머니(202) 사용에 따라 상대적으로 보울(205)로 투입되는 물의 양이 적어져 세척효율이 낮아지고, 가변 사이펀관(203)의 하강운동시 하위 주름관(208)이 바닥면과의 접촉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variable siphon tube driving device of the toilet, the variable siphon tube 203 is U-shaped and has a long length and is connected by the bottom tube and the lower corrugated tube 208, so that the restoring spring 207 uses a tension spring having a large elastic force. The capacity of the water bag 202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use of a tension spring having a large elastic force, and the amount of water injected into the bowl 205 is relatively low according to the use of the large-capacity water bag 202. The lower corrugated pipe 208 has a problem in that the life of the variable siphon tube 203 is reduced by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0-714961호(발명의 명칭: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3에 도시하였다.Patent Registration No. 10-714961 (name of the invention: variable manure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has been disclosed to improve this problem, which is shown in FIG.

상기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은 보올(301)의 후방부에 수조의 급수유로(302)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신축형의 물주머니(303)와, 상기 물주머니(303)를 수축시키는 탄성력을 발휘하는 인장스프링(304)과, 상기 물주머니(303)와 브라켓(304)을 매개로 연결된 채 물주머니(303)의 신축운동에 의해 승강 동작되면서 보울(301) 내의 오물을 토출되게 하며 상기 보울(301)의 배출구와 주름관(306)을 매개로 연결되고 직선관형태로 된 가변식 배출관(305)과, 상기 물주머니(303)와 가변식 배출관(305)을 연결하는 미세관(307)으로 이루어진다.The variable manure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bowl has a stretchable water bag 303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302 of the tank at the rear of the bowl 301, and the elastic force to shrink the water bag 303 While exerting the tension spring 304 to be exerted, an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he water bag 303 while being connected via the water bag 303 and the bracket 304, the dirt in the bowl 301 is discharged. A variable discharge pipe 305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301 and the corrugated pipe 306 in the form of a straight tube, and a micro-pipe 307 connecting the water bag 303 and the variable discharge pipe 305. Is done.

이에 더하여, 상기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시스템의 일부 외곽을 감싸는 제 1 하우징(308a)과 나머지 외곽을 감싸는 제 2 하우징(308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08)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가변식 배출관(305)은 그 일단이 보울(301)과 연통되게 설치되는 반면, 다른 일단은 하우징(308)의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인장스프링(304)은 상기 물주머니(303)에 내장되며, 그 상단은 상기 급수유로(302)의 배출구(302a)에 설치된 상위 걸이대(302b)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물주머니(303)의 바닥면 또는 브라켓(304)에 구비되는 하위 걸이대(304a)에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the variable manure drainage system of the toilet includes a housing 308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first housing 308a surrounding a part of the system and a second housing 308b surrounding the other outer part as shown in FIG. 4. Equipped. At this time, the variable discharge pipe 305 is one end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bowl 301, the other end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308, the tension spring 304 is the water bag ( 303,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hanger 302b installed in the outlet 302a of the water supply passage 302, the lower en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r bracket 304 of the water bag 303 It is fixedly installed to the lower hanger 304a.

상기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은 가변 직선관을 사용하여 U자형으로 된 가변 사이펀 관의 크기를 대폭 줄임으로써 인장스프링(304)의 탄성력을 줄이고, 물주머니(303)의 용량을 줄이며, 상대적으로 보울(301)로 투입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게 되고, 가변 사이펀 관의 하강운동시 바닥면과의 접촉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하위 주름관을 제거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장점이 있다.The variable manure drainage system of the toilet uses a variable straight tub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size of the U-shaped variable siphon tube to reduce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304, and to reduce the capacity of the water bag 303, and relatively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bowl 301 is increased, and the durability is improved by removing the lower corrugated pipe whose life is shortened by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during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variable siphon tube.

상기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은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The variable manure discharge system of the toilet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첫째, 물주머니에 사용되는 작동수의 양이 많아서 세척효율이 저하된다.First, the amount of operating water used in the water bag is large, the washing efficiency is lowered.

상기 시스템은 종래의 U자형으로 된 가변 사이펀 관과 마찬가지로 가변식 배출관(305)의 걸이부(305a)(종래의 U자형으로 된 가변 사이펀 관은 절곡부에 해당)에 걸린 상태로 브라켓(304)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보울(301) 내의 오물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가변식 배출관(305)을 충분히 하강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은 가변식 배출관(305)의 충분한 하강을 위해서는 브라켓(304)과 연결된 물주머니(303)의 상하 변위량이 커야 한다. 물주머니(303)의 상하 변위량이 크다는 것은 물주머니(10)의 길이가 길어야 하며,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결국 물주머니(303)의 용량이 커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이로 인해 가변식 배출관(305)의 하강을 위해 물주머니(303)로 투입되는 작동수의 양도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대용량의 물주머니(303)를 사용할 경우 물주머니 자체의 재료비 상승은 물론 물주머니(303)의 수축에 필요한 인장스프링(304)의 탄성력도 커야 하므로 고가의 인장스프링(304)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The system is similar to a conventional U-shaped variable siphon tube. The bracket 304 is caught on the hook portion 305a of the variable discharge tube 305 (the conventional U-shaped variable siphon tube corresponds to the bent portion). Connected with Accordingly, in order to discharge the dirt in the bowl 301, the variable discharge pipe 305 must be sufficiently lowered. In order to sufficiently descend the variable discharge pipe 305 as described above,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water bag 303 connected to the bracket 304 should be large. The greater the amount of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water bag 303,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water bag 10,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water bag 303 will result in an increase in the capacity of the water bag 303, thereby changing the variable discharge pipe 305 In order to lower the amount of the operating water is injected into the water bag 303 is also increased.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 large-capacity water bag 303, the elastic force of the tension spring 304 necessary for contraction of the water bag 303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 material cost of the water bag itself should be large. Therefore, an expensive tension spring 304 should be used. There are disadvantages.

보다 심각한 것은, 수조에서 배출되는 물 중 일부는 물주머니(303)로 유입되어 물주머니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로 사용되고, 나머지 물은 보울(301)로 유입되어 보울의 내부 세척수로 사용되는데, 물주머니(303)로 유입되는 작동수의 양이 많아지면 상대적으로 보울(301)로 유입되는 물의 양은 감소되므로 보울(301) 내부의 세척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More seriously, some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bag 303 and used as the operating water for operating the water bag, and the remain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bowl 301 to be used as the inner washing water of the bowl. When the amount of the operating water flowing into the 303 increases,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bowl 301 is relatively reduced, so that the washing effect inside the bowl 301 is lowered.

둘째, 주름관의 처짐에 의한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Second, clogging due to sagging of the corrugation tube is frequently generated.

상기 시스템은 종래의 U자형으로 된 가변 사이펀 관과 마찬가지로 주름관(306)을 사용하는데, 상기 주름관(306)은 가변식 배출관(305)의 승하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유연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만약 경질의 주름관을 사용하게 되면 상하변위를 위해 물주머니 용량이 커야한다. 따라서 상기 주름관(306)을 유연한 재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주름관(306)의 처짐에 의한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system uses a corrugated pipe 306 similar to a conventional U-shaped variable siphon tube, and the corrugated tube 306 should use a flexible material to smoothly raise and lower the variable discharge tube 305. If you use a hard corrugated tube, the water bag capacity should be large for vertical displacement. Therefore, since the corrugated pipe 306 is used as a flexible material, clogging due to sagging of the corrugated pipe 306 is frequently caused.

셋째, 미세관(도1의 108, 도3의 307)의 조립작업에 어려움이 있다.Third, there is a difficulty in assembling the microtubes (108 of FIG. 1, 307 of FIG. 3).

상기 물주머니(303)와 가변식 배출관(305)를 연결하는 미세관(307) 설치시 양변기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조립에 어려움이 있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어려움이 있다.When installing the micro pipe 307 connecting the water bag 303 and the variable discharge pipe 305, there is a difficulty in assembling due to the spatial constraints of the toilet bowl, which reduces work efficiency.

넷째, 하우징의 조립작업 효율이 저하된다.Fourth, the assembly work efficiency of the housing is lowered.

하우징(308)은 바닥관(309)에서 역류되는 악취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가 완벽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308)의 상부와 하부가 완벽하게 밀폐되어야 한다.The housing 308 should be fully sealed to prevent odors that flow back from the bottom tube 309. To this end, the top and bottom of the housing 308 should be completely sealed.

따라서, 상기 하우징(308)은, 상기 하우징(308)의 상부인 보울(301)의 후방에 급수유로(302)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신축형의 물주머니(303) 외부와, 보울(301)의 출수구 외부와, 상기 양변기의 가변식 분뇨배출 시스템의 일부 외곽을 감싸는 제 1 하우징(308a)과 나머지 외곽을 감싸는 제 2 하우징(308b)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08)의 결합부, 그리고 상기 하우징(308)의 하부인 바닥관(309)에 정확하게 끼움 조립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도자기로 된 양변기의 제작 특성상 조립위치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조립작업에 어려움이 있어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품질의 안정성 확보에도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the housing 308, the outside of the telescopic water bag 303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assage 302 in the rear of the bowl 301,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08, the bowl 301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ousing 308 made of a combination of the water outlet outside, the first housing 308a surrounding a part of the variable manure drainage system of the toilet and the second housing 308b surrounding the remaining outside, and the housing ( 308) It must be assembled to the bottom tube 309, which is the lower part of the assembly. In general, due to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the toilet bowl made of porcelain, the assembly position is often not accurate, which causes difficulty in assembling, thereby significantly lowering productivity and ensuring quality stability. There is also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주머니의 용량을 감소시켜 물주머니 자체 및 저탄성력의 인장스프링 사용으로 인한 재료비를 절감하며, 보울의 세척효율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water bag to reduce the material cost due to the use of the water bag itself and the tension spring of the low elastic force, improving the washing efficiency of the bow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that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선관과 연결되는 주름관의 처짐을 방지하여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clogging by preventing sagging of the corrugated pipe connected to the straight pipe.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주머니와 가변식 배출관을 연결하는 미세관을 제거하여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양변기 내 부품의 조립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micro-tubes connecting the water bag and the variable discharge pipe to improve the installation work efficiency, to provide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to improve the assembly work efficiency of the parts in the toilet bowl. There is.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대신 도자기로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카바로 밀폐시켜 바닥관에서 역류되는 악취를 방지함으로서 설치와 조립작업의 효율을 향상 시키도록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stallation and assembly work by preventing the odor flowing back from the bottom tube by sealing the cover with a cover made of ceramic instead of a housing. have.

본 발명의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는 보울(11)과, 상기 보울(11)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수조(12)와, 상기 수조(12)로부터 보울(11)의 후방과 연결되는 급수유로(13)와, 상기 수조(12)의 하부 및 상기 보울(11)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보울(11)로부터 배출된 오물을 바닥관(15)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4)가 구비된 변기 본체(10); 보울(11)의 후방측과 연결되는 급수유로(13)로부터 일부 분기되는 배출구(13a)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배출공(21)이 형성된 신축형의 물주머니(20); 상기 물주머니(20)의 하단이 안착되며 상기 물주머니(20)의 배출공(21)과 연통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안착부(31)와, 상기 안착부(3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물주머니(20) 내부로 설치되는 하위 걸이대(32)와, 상기 안착부(31)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31)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대칭되어 이격되는 연장부(33)가 구비된 브라켓(30); 상기 물주머니(20)에 수용되며, 상단은 상기 급수유로(13)의 배출구(13a)에 설치되는 상위 걸이대(13b)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브라켓(30)의 하위 걸이대(32)에 고정되어 상기 물주머니(20)를 수축시키는 탄성복원력을 발휘하는 인장스프링(40); 상기 보울(11)의 배출구(11a)와 주름관(6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축운동에 의한 상기 브라켓(30)이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보울(11) 내의 오물을 배출되게 하며, 직선관으로 된 가변 직선관(50);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14) 내에서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축운동에 의한 상기 브라켓(3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riable linear tubular water-saving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wl 11, a water tank 12 provided at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owl 11, and a wate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bowl 11 from the water tank 12 ( 13) and a toilet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14 which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water tank 12 and the rear of the bowl 11 and directs the dirt discharged from the bowl 11 to the bottom pipe 15. Main body 10; An elastic water bag 20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 discharge port 13a partially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13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bowl 11 and having a discharge hole 21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lower end of the water bag 20 is seated and a seating portion 31 having a through hole 31a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21 of the water bag 20, and in the upper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31. A lower hook stand 32 provided in the water bag 20 and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seating part 31 to a lower part, and an extension part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a center of the seating part 31; A bracket 30 provided with 33; It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bag 20,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hanger 13b installed in the outlet 13a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3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lower hanger 32 of the bracket 30 A tension spring 40 which exhibit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contract the water bag 20; The outlet 11a of the bowl 11 and the corrugated pipe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inged to the extension part 33 of the bracket 30, and the bracket is formed by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water bag 20. A variable straight pipe (50) made of a straight pipe to discharge the dirt in the bowl (11) while the lifting operation (30); A guide part 70 which is hinged to the extension part 33 of the bracket 30 and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racket 30 by the elastic movement of the water bag 20 in the cover part 14;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또한, 상기 가이드부(70)는, 일측이 개구된 "ㄷ"자형으로 되며, 전단부위가 상기 가변 직선관(50)과 힌지결합되며 중앙부위가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는 좌우 플레이트(71)와,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과 근접되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위에 결합공(72a)이 형성된 후방 플레이트(72)와, 후방 플레이트(72) 결합공(72a)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10)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과 접하여 상기 브라켓(30)의 승하강시 상기 가이드부(70)가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7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70 has a "c" shape with one side opened, a front end portion is hinged to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the center portion is an extension 33 of the bracket 30 and The hinged left and right plates 71 and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ortion 14 of the toilet body 10. The bracket 30 is coupled to the rear plate 72 formed with the back plate 72 and the rear plate 72 coupling hole 72a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14 of the toilet body 10. Whe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guide portion 70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guide roller 73 to be guided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ortion 14.

아울러, 각각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는, 전단부위에 상기 가변 직선관(50)과 힌지결합되는 핀결합공(71a)이 형성되고 중앙부위에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는 핀체결공(71b)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연장부(33)는 핀결합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상기 가변 직선관(50)과 연결되는 상기 주름관(60)과 근접되는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하부 양측에 핀삽입공(51)이 형성된 핀결합부(52)가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결합공(71a)과 각각의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핀삽입공(51)에 결합되어 힌지결합시키는 제 1 힌지핀(74)과, 각각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체결공(71b)과 각각의 상기 연장부(33)의 핀결합공(33a)에 결합되어 힌지결합시키는 제 2 힌지핀(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is formed with a pin coupling hole 71a hinged to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t a front end portion and an extension portion 33 of the bracket 30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pin fastening hole 71b that is hinged is formed, and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s 33 is formed with a pin coupling hole 33a, and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Pin coupling portions 52 having pin insertion holes 51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djacent to the corrugated pipe 60, respectively, and pin coupling hole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respectively. A first hinge pin 74 coupled to the pin insertion hole 51 of each of the variable straight pipes 50 and hinged to the 71a, and pin fastening holes 71b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respectively. And a second hinge pin 80 coupled to the pin coupling hole 33a of each of the extension parts 33 and hinged.

또한, 상기 좌우 플레이트(71)는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방 플레이트(72)가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과 근접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좌우 플레이트(71)가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may allow the rear plate 72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to be close to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14 of the toilet body 10. The rear end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is inclined upward, so that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form an obtuse angle.

아울러, 상기 브라켓(30)의 각각의 연장부(33)는 서로 이격된 2개의 플레이트로 되며 상기 플레이트 사이로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가 각각 끼워져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가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extension parts 33 of the bracket 30 may be two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art 70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plates, respectively. The plate 7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is coupled to the extension 33 of the bracket (30).

또한, 상기 연장부(33)의 핀결합공(33a)과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핀삽입공(51)과 상기 가이드부(70)의 핀체결공(71b)은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 내부 공간 크기에 상응하여 힌지결합위치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n coupling hole 33a of the extension part 33, the pin insertion hole 51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nd the pin fastening hole 71b of the guide part 70 are the toilet body 10. The cover portion 14 of th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able a change in the hinge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inner space.

또,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 후방 내벽면(14b)에는 상기 브라켓(30)과 상기 가변 직선관(50) 및 상기 가이드부(70)를 힌지결합된 상태로 삽입가능한 크기의 개구부(16)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6)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6)를 밀폐시키는 밀폐부(17)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acket 14,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and the guide portion 70 is inserted into the hinged state to the cover inner portion 14 of the rear wall 14b of the toilet body (10). The opening 16 is further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aling portion 17 is coupled to the opening 16 to seal the opening 16.

아울러,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단부는 하향 경사진 개구부(54)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1)에 형성된 관통공(31a)은 상기 물주머니(20) 수축시 상기 물주머니(20)의 배출공(21)과 이와 연통된 관통공(31a)을 통해 물주머니(20)에 수용된 물이 상기 개구부(54)를 통해 상기 가변 직선관(50)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개구부(54)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formed with a downwardly inclined opening 54, the through hole 31a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31 is the water bag 20 when the water bag 20 shrinks The water received in the water bag 20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 and the through hole 31a in communication with the discharge hole 21 of the opening 54 to discharge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through the opening 54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located at the top.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는 물주머니의 용량을 감소시켜 물주머니 자체 및 저탄성력의 인장스프링 사용으로 인한 재료비를 절감하며, 보울의 세척효율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reduce the capacity of the water bag to reduce the material cost due to the water bag itself and the use of a tension spring of low elastic force, variable straight line to improve the washing efficiency of the bowl To provide a tubular toile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선관과 연결되는 주름관의 처짐을 방지하여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clogging by preventing sagging of the corrugated pipe connected to the straight pipe.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주머니와 가변식 배출관을 연결하는 미세관을 제거하여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며, 양변기 내 부품의 조립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micro-tubes connecting the water bag and the variable discharge pipe to improve the installation work efficiency, to provide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to improve the assembly work efficiency of the parts in the toilet bowl. There is.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대신 도자기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카바를 밀폐시켜 바닥관에서 역류되는 악취를 방지함으로서 설치와 조립작업의 효율을 향상 시키도록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installation and assembly work by preventing the odor flowing back from the bottom pipe by sealing the cover by making a ceramic unit instead of the housing. .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가변 사이펀 타입 양변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물주머니와 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힌지핀 및 지지핀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다른 형태의 가변식 사이펀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 to 4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ariable siphon type toilet.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straight tube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bag and a bracket of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the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inge pin and the support pin of the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siphon tube of another type of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ariable straight tube water-saving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물주머니와 브라켓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힌지핀 및 지지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다른 형태의 가변식 사이펀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bag and bracket of the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ariable straight-tubular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hinge pin and a support pin of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ariable siphon tube of another type of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는, 보울(11)과, 수조(12)와, 상기 수조(12)로부터 보울(11)의 후방과 연결되는 급수유로(13)와, 상기 수조(12)의 하부 및 상기 보울(11)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보울(11)로부터 배출된 오물을 바닥관(15)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4)가 구비된 변기 본체(10); 급수유로(13)로부터 일부 분기되는 급수되는 물주머니(20); 상기 물주머니(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31)와, 상기 물주머니(20) 내부로 설치되는 하위 걸이대(32)와, 안착부(31) 하부로 각각 연장된 연장부(33)가 구비된 브라켓(30); 상기 물주머니(20)에 수용되며, 상위 걸이대(13b)와 하위 걸이대(32)에 고정되어 상기 물주머니(20)를 수축시키는 탄성복원력을 발휘하는 인장스프링(40);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14) 내에서 상기 브라켓(3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70); 상기 보울(11)의 배출구(11a)와 주름관(6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70)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축운동에 의해 상기 보울(11) 내의 오물을 배출되게 하는 가변 직선관(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the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wl 11, the water tank 12, the water supply passage 13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bowl 11 from the water tank 12, The toilet body 10 is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14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2 and the rear of the bowl 11 and guide the dirt discharged from the bowl 11 to the bottom tube 15. ; A water bag 20 which is partially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13; A seating portion 31 on which the lower end of the water bag 20 is seated, a lower hanger 32 installed into the water bag 20, and an extension part 33 extending to the bottom of the seating part 31, respectively. Bracket 30 is provided; A tension spring (40) accommodated in the water bag (20) and fixed to an upper hanger (13b) and a lower hanger (32) to exert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contract the water bag (20); A guide part 70 which is hinged to the extension part 33 of the bracket 30 and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racket 30 in the cover part 14; The outlet 11a of the bowl 11 and the corrugated pipe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inged to the guide unit 70, and the dirt in the bowl 11 by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water bag 20. Variable straight pipe 50 to discharge the; It is made, including.

상기 변기 본체(10)는, 일반적인 변기 본체와 마찬가지로, 도 5,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보울(11)과, 상기 보울(11)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수조(12)와, 상기 수조(12)로부터 보울(11)의 후방과 연결되는 급수유로(13)와, 상기 수조(12)의 하부 및 상기 보울(11)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보울(11)로부터 배출된 오물을 바닥관(15)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4)가 구비된다.The toilet main body 10, like the general toilet main body, the bowl 11, the water tank 12 provided in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owl 11, and the water tank as shown in Figs. Covering the water supply passage 13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bowl 11 from the (12),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12 and the rear of the bowl 11, the soil discharged from the bowl 11 A cover portion 14 is provided to guide the tube 15.

상기 커버부(14)의 내부에는 후술할 상기 물주머니(20), 브라켓(30), 가변 직선관(50), 주름관(60), 가이드부(70)가 결합된 상태로 수용되는데, 이를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부(14)의 후방 내벽면(14a)에는 상기 브라켓(30)과 상기 가변 직선관(50) 및 상기 가이드부(70)가 결합된 상태로 삽입가능한 크기의 개구부(16)가 형성되도록 한다.The water bag 20, the bracket 30,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the corrugated pipe 60, and the guide part 70 are accommodated in the cover part 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 5, the rea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ortion 14 has an opening having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30,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nd the guide portion 70 are coupled to each other. 16) to be formed.

또한, 상기 브라켓(30)과 상기 가변 직선관(50) 및 상기 가이드부(70)가 결합된 상태로 삽입하고 설치한 후에, 상기 개구부(16)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16)에 결합되어,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커버부(14) 후방 내벽면(14a)과 함께 동일면을 이루는 밀폐부(17)가 구비되도록 한다.In addition, after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bracket 30,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nd the guide part 70 in a coupled state, the bracket 30 is coupled to the opening 16 to seal the opening 16. 11 and 12, the sealing part 17 forming the same plane together with the rea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art 14 is provided.

상기 물주머니(20)는 보울(11)의 후방측과 연결되는 급수유로(13)로부터 일부 분기되는 배출구(13a)와 연통되게 설치되며(도 11 및 도 12 참조), 하부에는 배출공(21)이 형성된다(도 6 참조). 상기 배출공(21)은 후술할 브라켓(30)의 안착부(31)에 형성된 관통공(31a)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물주머니(20) 내부에는 인장스프링(40)이 상기 물주머니의 신축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기 물주머니(20)의 하부에는 브라켓(30)이 설치된다.The water bag 20 is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let 13a partially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13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bowl 11 (see FIGS. 11 and 12), and the discharge hole 21 in the lower portion thereof. ) Is formed (see FIG. 6). The discharge hole 21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 hole 31a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31 of the bracket 3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water bag 20, the tension spring 40 is installed long in the stretching direction of the water bag,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bag 20 is a bracket 30 is installed.

상기 물주머니(20)는 EPDM으로서, 형태는 도 6에서와 같이, (a)에 도시된 자바라 타입이나 상하방향으로 접철이 가능한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될 수 있다. 특히, (a)에 도시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자바라 타입의 경우에는 물주머니(20)의 신장시에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water bag 20 is an EPDM, the shape may be a bellows type shown in (a) or a telescope type that can be fol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a).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bellows type whose diameter increases toward the lower portion shown in (a),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state at the time of expansion of the water bag 20.

상기 보울(11) 내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수조(12)에 저수된 물을 배수시키게 되면 극히 소량의 물은 급수유로(13)로부터 일부 분기되는 배출구(13a)를 통해 소용량의 물주머니(2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접혀져 있던 물주머니(20)가 유입된 물의 무게에 의해 펼쳐지면서 길이가 신장되게 된다.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 is drained to discharge the dirt in the bowl 11, a very small amount of water is a small amount of water bag 20 through an outlet 13a partially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13 Flows into. As a result, the folded water bag 20 is expanded by the weight of the introduced water, and the length thereof is extended.

상기 브라켓(30)은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물주머니(20)의 하단에 안착되며, 상기 물주머니(20)의 배출공(21)과 연통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안착부(31)와, 상기 안착부(3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물주머니(20) 내부로 설치되는 하위 걸이대(32)와, 상기 안착부(31)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31)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대칭되어 이격되는 연장부(33)가 구비된다.The bracket 30 is seat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bag 20, as shown in Figures 6 to 8, the mounting portion formed with a through hole 31a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21 of the water bag 20 31 and a lower hook 32 provid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seating part 31 and installed into the water bag 20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art 31, respectively, Extensions 33 are provided which are symmetr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the center of the part 31.

상기 하위 걸이대(32)는 상기 물주머니(20)에 삽입결합되며, 상기 하위 걸이대(32)에는 인장스프링(40)의 하단이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물주머니(20)에 유입된 물의 무게에 의해 물주머니(20)가 펼쳐지면서 길이가 신장될 때, 인장스프링(40) 또한 인장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연장부(33)에는 후술할 가변 직선관(50)과 가이드부(70)가 힌지결합되게 된다.The lower hanger 32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water bag 20, and the lower end of the tension spring 40 is fixed to the lower hanger 32. Accordingly, when the water bag 20 is extended while the water bag 20 is extended by the weigh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bag 20, the tension spring 40 is also in a tensioned state. The extension portion 33 is hinged to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nd the guide portion 7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인장스프링(40)은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물주머니(20)에 수용되며, 상단은 상기 급수유로(13)의 배출구(13a)에 설치되는 상위 걸이대(13b)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브라켓(30)의 하위 걸이대(32)에 고정되어 상기 물주머니(20)를 수축시키는 탄성복원력을 발휘한다.The tension spring 40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bag 20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hanger 13b installed in the outlet 13a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3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lower hanger 32 of the bracket 30 exhibit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shrink the water bag 20.

상기 인장스프링(40)은 물주머니(20)에 유입된 물의 무게에 의해 물주머니(20)가 펼쳐지면서 길이가 신장될 때 인장되며, 물주머니(20)에 유입된 물이 배출되면 상기 인장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물주머니(20)를 수축시킨다.The tension spring 40 is stretched when the water bag 20 is extended while the water bag 20 is unfolded by the weigh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bag 20, and whe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bag 20 is discharged, the tension spring is discharged. The water bag 20 is contrac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40.

상기 가이드부(70)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고 후술할 가변 직선관(50)과 별도로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14) 내에서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축운동에 의한 상기 브라켓(30)의 승강을 안내한다.7 and 8, the guide part 70 is hinged to the extension part 33 of the bracket 30 and hinged separately from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guide to the lifting of the bracket 30 by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water bag 20.

상기 가이드부(70)는 도 8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ㄷ"자형으로 되며, 중앙부위가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는 좌우 플레이트(71)와,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과 근접되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위에 결합공(72a)이 형성된 후방 플레이트(72)와, 후방 플레이트(72)의 결합공(72a)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 상부 내벽면(14a)과 접하여 상기 브라켓(30)의 승하강시 상기 가이드부(70)가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을 따라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7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the guide part 70 has a “c” shape with one side open, a left and right plate 71 hinged with an extension part 33 of the bracket 30, and left and right sides. A rear plate 72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late 71 and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ortion 14 of the toilet body 10 and having a coupling hole 72a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It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72a of the rear plate 72 and in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ortion 14 of the toilet body 10, the guide portion 70 is covered when the bracket 30 is raised and lowered It is preferably made of a guide roller 73 to be guided along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portion 14.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의 전단부위는 후술할 가변 직선관(50)과 별도로 힌지결합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ortion 70 is hinged separately from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가이드 롤러(73)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70)가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안내되게 되면서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축운동에 의한 상기 브라켓(30) 승하강시 상기 브라켓(30)을 수직 승하강시키게 되며 상기 가이드부(70)와 힌지결합되는 가변 직선관(50)의 승하강 및 회동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part 70 is guided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art 14 by the guide roller 73, and thus the bracket by the stretching motion of the water bag 20 ( 30) When raising and lowering, the bracket 30 is vertically raised and lowered,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smoothly move up and down the variable linear tube 50 hinged to the guide unit 70.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도 7, 도 8,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보울(11)의 배출구(11a)와 주름관(6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70)와 힌지결합된다.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connected to the outlet 11a of the bowl 11 and the corrugated pipe 60 as shown in FIGS. 7, 8, 11 and 12, and the guide unit 70 and Hinged.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상기 가이드부(70)와 힌지결합되므로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축운동에 의한 상기 브라켓(30)의 승강작동에 의해 하강되면서 상기 가이드부(70)와의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하향 경사지게 되며, 상기 보울(11) 내의 오물과 보울(11) 내로 유입된 물을 배출되도록 한다.Since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hinged to the guide unit 70, the hinge coupling with the guide unit 70 is lowered by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bracket 30 due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water bag 20. It rotates around the site and is inclined downward, and discharges the dirt in the bowl 11 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bowl 11.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종래의 U자형으로 된 가변식 사이펀관과는 달리 직선관으로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 직선관(50)이 직선관으로 되면 상기 보울(11) 내의 오물과 보울(11) 내로 유입된 물 배출시 바로 배출하게 되므로 변기의 막힘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오물의 세척효율도 향상시키게 된다.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a straight tube unlike the conventional U-shaped variable siphon tube. As such, when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a straight tube, the wastes in the bowl 11 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bowl 11 are immediately discharged, thereby preventing clogging of the toilet and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soil. Let's go.

종래의 U자형 가변식 사이펀관은 물주머니의 하부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하단부가 U자형 가변식 사이펀관의 절곡부위에 결합되고(도 2 참조), 종래의 직선관으로 된 가변식 직선관은 브라켓의 하단부가 직선관의 단부에 형성된 걸이부에 걸리는 형태로 결합된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보울 내 오물 배출을 위하여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축운동에 의한 상기 브라켓(30)의 승강작동으로 가변식 직선관이 회동되어 하향 경사지게 될 때, 브라켓의 승강작동 변위량이 크게 된다. 이와 같이 브라켓의 승강작동 변위량이 크게 되면 길게 신축되는 대용량 물주머니를 사용하여야 하고, 대용량 물주머니 사용에 따라 물주머니로 투입되는 물의 양이 많아 상대적으로 보울 내로 투입되는 물의 양이 적게 되어 세척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U-shaped variable siphon tube,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bag is coupled to the bent portion of the U-shaped variable siphon tube (see FIG. 2). The lower end of the is coupled in the form of hanging on the hook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straight pipe (see Fig. 3). Accordingly, when the variable straight pipe is rotated and tilted downward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bracket 30 due to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water bag 20 to discharge the soil in the bowl, the lifting operation displacement amount of the bracket becomes large. In this way, when the displacement of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bracket is large, a large-capacity water bag that can be stretched and used must be used, and according to the use of a large-capacity water bag, a large amount of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bag. Will be degraded.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상기 가변 직선관(50)과 연결되는 상기 주름관(60)과 근접되는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하부 양측에 핀삽입공(51)이 형성된 핀결합부(52)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70) 좌우 플레이트(71)의 전단부위와 힌지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핀결합부(52)가 상기 가변 직선관(50)과 연결되는 상기 주름관(60)과 근접되는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면, 상기 가변 직선관(50)이 상기 가이드부(70) 좌우 플레이트(71)의 전단부위와의 힌지결합부위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하향 경사지게 될 때,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축운동에 의한 상기 브라켓(30)의 승강작동 변위량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상기 물주머니(20)의 용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소용량 물주머니(20) 사용에 따라 물주머니(20)로 투입되는 물의 양이 적어 상대적으로 보울(11) 내로 투입되는 물의 양이 많게 되어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has a pin insertion hole at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djacent to the corrugated pipe 60 connected to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51 is provided with a pin coupling portion 52 is formed so as to be hing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guide plate 70,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Thus, when the pin coupling portion 5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n close proximity to the corrugated pipe 60 connected to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When the pivot 70 rotates arou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ortion 70, the lifting operation displacement amount of the bracket 30 due to the stretching movement of the water bag 20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apacity of the water bag 20, an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mall-capacity water bag 20, the amount of water to be injected into the water bag 20 is relatively small, the amount of water injected into the bowl (11) This will increase the cleaning efficiency.

또한, 소용량 물주머니(20) 사용에 따라 물주머니(20)의 수축 또한 신속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상승 및 회동시기도 빨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대용량 물주머니를 사용하여 가변 직선관(50)의 회동시기가 늦어져 오물 배출이 완료된 후에도 세척수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종래의 가변식 양변기와는 달리 본 발명은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상승 및 회동시기가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물주머니(20) 내부 잔수와 오물 배출이 완료된 후 미처 배수하지 못한 보울(11) 내부의 물이 보울(11)의 잔수(저수물)로 남아 있게 되므로 보울(11)내 저수물량이 많아 오물이 보울(11)내 도자기 면에 부착될 우려가 적어 별도의 청소솔이 필요없다.In addition, the shrinkage of the water bag 20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mall-capacity water bag 20 is also rapid, so that the rise and rotation timing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also faster.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variable toilet bowl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continuously discharged even after the waste discharge is completed due to the delayed rotation time of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using the large-capacity water ba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By allowing the ascending and rotating time to accelerate, the water inside the water bag 20 and the water inside the bowl 11 that could not be drained after the discharge of the dirt are completed remain as the water remaining in the bowl 11 (reserved water). 11) Because there is a large amount of water in the reservoir,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dirt will adhere to the ceramic surface in the bowl (11),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leaning brush.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의 전단부위와 힌지결합된다.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hing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ortion 70.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중앙부위는 서로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전단부위와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서로 힌지결합되는데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는, 전단부위에 상기 가변 직선관(50)과 힌지결합되는 핀결합공(71a)이 형성되고 중앙부위에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는 핀체결공(71b)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연장부(33)는 핀결합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상기 가변 직선관(50)과 연결되는 상기 주름관(60)과 근접되는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하부 양측에 핀삽입공(51)이 형성된 핀결합부(52)가 각각 구비되도록 하고, 각각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결합공(71a)과 각각의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핀삽입공(51)에 결합되어 힌지결합시키는 제 1 힌지핀(74)과, 각각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체결공(71b)과 각각의 상기 연장부(33)의 핀결합공(33a)에 결합되어 힌지결합시키는 제 2 힌지핀(80)이 구비되도록 한다.The extension portion 33 of the bracket 30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re hinged to each other,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nd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are hinged to each other. It is preferred to be hinged by pins. To this end, each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has a pin coupling hole 71a hinged to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t a front end portion thereof, and an extension portion 33 of the bracket 30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 pin fastening hole 71b that is hinged is formed, and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s 33 is formed with a pin coupling hole 33a, and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is connected to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The pin coupling portions 52 having pin insertion holes 51 are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djacent to the corrugated pipe 60, respectively, and pin coupling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is performed. A first hinge pin 74 coupled to the ball 71a and the pin insertion hole 51 of each of the variable straight pipes 50 and hinged, and a pin fastening hole 71b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 And a second hinge pin (80) hinged to the pin coupling hole (33a) of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 (33).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브라켓(30) 상승시에는 상기 브라켓(30)과 제 2 힌지핀(80)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가이드부(70)가 상부로 이동되어야 되는데, 상기 가이드부(70)가 제 2 힌지핀(80)에 의해 상기 브라켓(30)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전단부위에 형성된 핀결합공(71a)과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핀삽입공(51)에 제 1 힌지핀(74)이 결합되어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와 상기 가변 직선관(50)이 서로 힌지결합되므로, 상기 가이드부(70)는 상기 브라켓(30) 상승에 의한 상부 이동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체결공(71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방 플레이트(72)에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73)가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도 11 참조). 이때, 상기 가이드부(70)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결합공(71a)과 제 1 힌지핀(74)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상기 가이드부(70)의 상승 이동 및 반시계방향 회동에 의해 상승이동되면서 핀삽입공(5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동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보울(11) 내 오물 및 물의 배출이 중단된 상태이며, 상기 브라켓(30)과 힌지결합된 가이드부(70)에 별도로 힌지결합되는 가변 직선관(50)과 주름관(60)에 물이 차 있는 상태이다.When the bracket 30 is raised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guide portion 70 hinged by the bracket 30 and the second hinge pin 80 should be moved upward, and the guide portion 70 A pin coupling hole 71a and a pin insertion hole 51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which are hinged to the bracket 30 by a second hinge pin 80 and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The first hinge pin (74)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nd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is hinged to each other, the guide portion 70 is moved upward by the bracket (30) While maintaining the center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round the pin fastening hole (71b)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ccordingly, the guide roller 73 coupled to the rear plate 72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is moved backward along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4 (see FIG. 11). At this time,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which is hinged by the pin coupling hole 71a and the first hinge pin 74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art 70 is the guide part 70 of the guide part 70. As it moves upward by the upward movement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it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pin insertion hole 51. 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of dirt and water in the bowl 11 is stopped,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and the corrugated pipe 60 is hinged separately to the guide portion 70 hinged to the bracket (30). The water is full.

이와는 반대로 상기 브라켓(30) 하강시에는 상기 브라켓(30)과 제 2 힌지핀(80)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가이드부(70)가 하부로 이동되어야 되는데, 상기 가이드부(70)가 제 2 힌지핀(80)에 의해 상기 브라켓(30)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전단부위에 형성된 핀결합공(71a)과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핀삽입공(51)에 제 1 힌지핀(74)이 결합되어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와 상기 가변 직선관(50)이 서로 힌지결합되므로, 상기 가이드부(70)는 상기 브라켓(30) 하강에 의한 하부 이동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체결공(71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방 플레이트(72)에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73)가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도 12 참조). 이때, 상기 가이드부(70)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결합공(71a)과 제 1 힌지핀(74)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상기 가이드부(70)의 하강 이동 및 시계방향 회동에 의해 상승이동되면서 핀삽입공(5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회동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보울(11) 내 오물 및 물이 배출되는 상태이며, 상기 브라켓(30)과 힌지결합된 가이드부(70)에 별도로 힌지결합되는 가변 직선관(50)과 주름관(60)에 물이 배출되는 상태이다.On the contrary, when the bracket 30 descends, the guide portion 70 hinged by the bracket 30 and the second hinge pin 80 should be moved downward, and the guide portion 70 is hinged. It is hinged to the bracket 30 by the pin 80, the pin coupling hole (71a) formed in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left and right plate 71 and the pin insertion hole 51 of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1 hinge pin 74 is coupl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nd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hinged to each other, the guide portion 70 while maintaining the lower movement state by the bracket 30 descending It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pin fastening hole 71b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ccordingly, the guide roller 73 coupled to the rear plate 72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is moved forward along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4 (see FIG. 12). At this time,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which is hinged by the pin coupling hole 71a and the first hinge pin 74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art 70 is the guide part 70 of the guide part 70. As it moves up and down by the downward movement and the clockwise rotation, it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pin insertion hole 51. This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dirt and water in the bowl 11 is discharged, the water in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and the corrugated pipe 60 is hinged separately to the guide portion 70 hinged to the bracket 30. This is a discharged state.

아울러, 상기 좌우 플레이트(71)는 도 7, 도 8,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방 플레이트(72)가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과 근접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좌우 플레이트(71)가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plate 71 is a rear plate 72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left and right plate 71 as shown in Figs. 7, 8, 11 and 12 is the cover portion of the toilet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end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re inclined upwardly so as to be close to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14 to form an obtuse angle.

상기 좌우 플레이트(71)는 상기 브라켓(30)과 힌지결합되는데, 상기 물주머니(20) 신축에 의한 상기 브라켓(30) 승강시 상기 브라켓(30)과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에 힌지결합된 가변 직선관(50)이 승하강되면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될 때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방 플레이트(72)가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과 근접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좌우 플레이트(71)가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re hinged to the bracket 30, and when the bracket 30 is elevated by stretching the water bag 20,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re hinged to the bracket 30 and hinged to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The rear plate 72 connecting the rear end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when the coupled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inclined upward or downward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portion 14 of the toilet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end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re inclined upwardly so as to be close to the wall surface 14a to form an obtuse angle.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단부는 하향 경사진 개구부(54)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30)의 안착부(31)에 형성된 관통공(31a)은 상기 물주머니(20)의 배출공(21)과 연통되며, 상기 관통공(31a)은 상기 물주머니(20) 수축시 상기 물주머니(20)의 배출공(21)과 이와 연통된 관통공(31a)을 통해 물주머니(20)에 수용된 물이 상기 개구부(54)를 통해 상기 가변 직선관(50)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개구부(54)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nd portion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formed with an inclined downward opening 54, and a through hole 31a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31 of the bracket 30 is an outlet hole of the water bag 20. 21 and the through-hole 31a is in the water bag 20 through the through-hole (31a) and the discharge hole 21 and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water bag 20 when the water bag 20 shrinks. Preferably, the received water is positioned above the opening 54 so that the received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through the opening 54.

물주머니(20)에 유입된 물이 상기 물주머니(20)의 배출공(21)과 상기 관통공(31a)를 통해 상기 가변 직선관(50)으로 배출되면, 상기 물주머니(20)가 인장스프링(40)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브라켓(30)을 상승시키게 되며, 상기 브라켓(30)에 힌지결합된 가이드부(70)가 상승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되고 상기 가이드부(70)와 힌지결합된 가변 직선관(50)은 상승되면서 핀삽입공(5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동되어 상향 경사지게 되어 상기 보울(11) 내 오물 및 물의 배출이 중단되게 된다.When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bag 20 is discharged into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 and the through hole 31a of the water bag 20, the water bag 20 is tensioned It is contracted by a spring 40 to raise the bracket 30, the guide portion 70 hinged to the bracket 30 is raised and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hinged with the guide portion 70 The coupled variable straight pipe 50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pin insertion hole 51 while being raised to be inclined upward, thereby discharging the waste and water in the bowl 11.

본 발명은 물주머니와 가변관을 연결하는 미세관이 구비된 종래의 가변식 사이펀 또는 직선관이 적용된 양변기와는 달리 미세관을 구비하지 않고 물주머니(20) 수축시 물주머니(20)의 배출공(21)과 연통된 관통공(31a)으로부터 물주머니(20)에 수용된 물을 가변 직선관(50)으로 바로 배출하도록 하여 미세관의 막힘에 따른 오작동과 조립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방지하고, 재료비도 절감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variable siphon or straight tube is equipped with a micro-tube connecting the water bag and the variable tube is not provided with a micro tube without draining the water bag 20 when shrinking the water bag 20 By discharg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bag 20 directly from the through-hole (31a) in communication with the ball 21 to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the blockage of the microtube and decrease in productivity due to assembly, Material costs are also reduced.

상기 브라켓(30)의 각각의 연장부(33)는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의 내측 또는 외측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물주머니(20) 신축에 의한 상기 브라켓(30) 승하강시 상기 가이드부(70)와 힌지결합된 상기 가변 직선관(50)이 승하강하면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될 때 상기 가변 직선관(50)이 상기 좌우 플레이트(71)를 후방 플레이트(72) 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작용되어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Each of the extension parts 33 of the bracket 30 may be hinge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art 70. In this case, when the bracket 3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water bag 20,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hinged to the guide unit 70 is tilted upward or downward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A force for pressing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toward the rear plate 72 may be applied to cause deformation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30)의 각각의 연장부(33)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서로 이격된 2개의 플레이트로 되며 상기 플레이트 사이로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가 각각 끼워져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가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is, each of the extension parts 33 of the bracket 30 may be two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art 70 are interposed between the plates.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art 70 are hinged to the extension part 33 of the bracket 30 respectively.

이렇게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가 상기 브라켓(30) 연장부(33)의 플레이트로 사이로 각각 끼워져 결합되면 상기 브라켓(30) 연장부(33)의 플레이트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의 양쪽을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가변 직선관(50)이 상기 좌우 플레이트(71)를 후방 플레이트(72) 방향으로 누르는 힘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게 된다.When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art 70 ar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lates of the bracket 30 extension part 33, the guide parts (plated by the plate of the bracket 30 extension part 33) are combined. Since both side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70 are supported,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is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by a force pushing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toward the rear plate 72.

한편, 상기 변기 본체(10)는 화장실의 크기 및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일정규격의 크기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 내부 공간의 크기도 다양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커버부(14) 내부 공간의 다양한 크기에 상응하여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상기 가변 직선관(50) 및 가이드부(70)의 힌지결합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연장부(33)의 핀결합공(33a)과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핀삽입공(51)과 상기 가이드부(70)의 핀체결공(71b)은 힌지결합위치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toilet body 10 is produced in a variety of sizes according to the size and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toilet. Therefore, the size of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portion 14 of the toilet body 10 is also varied. Thu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hinge coupling positions of the extension part 33 of the bracket 30 and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and the guide part 70 according to various sizes of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part 14. To this end, as shown in FIG. 8, the pin coupling hole 33a of the extension part 33, the pin insertion hole 51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nd the pin fastening hole 71b of the guide part 70 are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hing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change the position.

이때, 상기 제 2 힌지핀(80) 및 제 1 힌지핀(74)은 도 9에서와 같이 핀 본체(74a,81)의 양단 내부에 스프링(74b,82)이 탄지되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결합봉(74c,8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cond hinge pin (80) and the first hinge pin (74) as shown in Figure 9 the springs (74b, 82) is held in both ends of the pin body (74a, 81) is coupled and can be pulled out and withdraw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ds 74c and 83 be formed.

아울러,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핀결합부(52) 내측에는 각각 상기 제 1 힌지핀(74)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 1 힌지핀(74)의 이동을 안내하는 핀가이드(53)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in guide 53 which prevents the first hinge pin 74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side the pin coupling portion 52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first hinge pin 74. It is preferable that further be provided.

또한,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 내측에도 상기 제 2 힌지핀(8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핀가이드(53)와 동일 형태로 핀가이드(미도시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핀결합공(33a) 주위에 형성되도록 한다.
In addition, a pin guid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pin guide 53 to prevent the second hinge pin 8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extension part 33 of the bracket 30. It is to be formed around the pin coupling hole (33a).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 11은 작동되기 전의 상태로 수조(12)에 저수된 물이 급수유로(13)를 통해 보울(11)에 급수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물주머니(20)에 수용되었던 물이 배수되면서 상기 인장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물주머니(20)를 수축되도록 하고 상기 물주머니(20)의 수축에 의한 상기 브라켓(30)의 상승에 의해 상기 가변 직선관(50)이 상승되면서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의 핀결합공(71a)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향 경사지게 되어 상기 보울(11) 내 물의 배출이 중단된 상태이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부(70)는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 상부 내벽면(14a)과 접하는 가이드 롤러(73)에 의해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을 따라 안내되어 상승된 상태이다.11 is a state in which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 in a state before operation is supplied to the bowl 11 through the water supply passage 13. This state allows the water bag 20 to be contract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40 while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bag 20 is drained, and the bracket by the contraction of the water bag 20. As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is lifted by the rising of 30,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is rotated about the pin coupling holes 71a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art 70 to be inclined upwardly so that water of the water in the bowl 11 is increased. The discharge is stopped. 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70 is along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ortion 14 by a guide roller 73 in contact with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ortion 14 of the toilet body 10. It is guided and raised.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보울(11) 내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수조(12)에 저수된 물을 배수시키게 되면 극히 소량의 물은 급수유로(13)로부터 일부 분기되는 배출구(13a)를 통해 소용량의 물주머니(2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접혀져 있던 물주머니(20)가 유입된 물의 무게에 의해 펼쳐지면서 길이가 신장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인장스프링(40)도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장에 의해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물주머니(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브라켓(30)이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장에 의해 하강하게 되고 상기 브라켓(30)의 하강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70)는 상기 브라켓(30) 하강에 의한 하부 이동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체결공(71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방 플레이트(72)에 결합되는 가이드 롤러(73)가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70)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결합공(71a)과 제 1 힌지핀(74)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상기 가이드부(70)의 하강 이동 및 시계방향 회동에 의해 상승이동되면서 핀삽입공(5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회동되게 되어 하향 경사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수조(12)에서 배출되는 대부분의 물은 급수유로(13)를 따라 보울(11)의 내부로 공급되어 보울 내부에 있던 오물이 배출되게 되어 도 12와 같은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 is drained in order to discharge the dirt in the bowl 11, a very small amount of water passes through the outlet 13a partially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13. Inflow to (20). As a result, the folded water bag 20 is expanded by the weight of the introduced water, and the length thereof is extended. At the same time, the tension spring 40 is also tensioned by the elongation of the water bag 20. Accordingly, the bracket 30 positioned below the water bag 20 is lowered by the extension of the water bag 20, and the guide part 70 is lowered by the bracket 30 by the lowering of the bracket 30. 30) It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pin fastening hole 71b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while maintaining the lower movement state by the lowering. Accordingly, the guide roller 73 coupled to the rear plate 72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is moved forward along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4. At this time,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which is hinged by the pin coupling hole 71a and the first hinge pin 74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art 70 is the guide part 70 of the guide part 70. As it moves up and down by the downward movement and the clockwise rotation, it rotates counterclockwise around the pin insertion hole 51 and is inclined downward. At the same time, most o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tank 12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owl 11 along the water supply passage 13 so that the dirt inside the bowl is discharged, and thus the state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물주머니(20)에 유입된 물은 상기 수조(12)에서 배수가 중단되면 상기 브라켓(30)의 안착부(31)에 형성된 관통공(31a)을 통해 상기 가변 직선관(50) 내부로 배출된다. 상기 물주머니(20) 내의 물이 관통공(31a)을 통해 상기 가변 직선관(50)으로 배출됨에 따라 물주머니의 무게는 점차 감소하게 되고 물주머니(20)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면 점차적으로 상기 인장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물주머니(20)가 원래대로 수축되며 상기 브라켓(30)의 상승,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상승과 시계방향 회동 및 상기 가이드부(70)의 상승과 반시계방향 회동시켜 도 11과 같은 상태로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bag 20 stops draining in the water tank 12,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31a formed in the seating part 31 of the bracket 30. ) It is discharged inside. As the water in the water bag 20 is discharged to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through the through hole 31a, the weight of the water bag is gradually reduced and the weight of the water bag 20 is gradually decreased. The water bag 20 is retract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ension spring 40, and the bracket 30 rises,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rises and rotates clockwise, and the guide portion 70 rises. It rotates counterclockwise with and it will be in the state like FIG.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The technical idea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t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변기 본체 11: 보울
12: 수조 13: 급수유로
13a: 배출구 13b: 상위 걸이대
14: 커버부 14a: 내벽면
15: 바닥관 16: 개구부
17: 밀폐부 20: 물주머니
30: 브라켓 31: 안착부
32: 하위 걸이대 33: 연장부
33a: 핀결합공 40: 인장스프링
50: 가변 직선관 51: 핀삽입공
52: 핀결합부 53: 핀가이드
60: 주름관 70: 가이드부
71: 좌우 플레이트 71a: 지지핀 결합공
71b: 핀체결공 72: 후방 플레이트
72a: 결합공 73: 가이드 롤러
74: 지지핀 80: 힌지핀
74a,81: 핀 본체 74b,82: 스프링
74c,83: 결합봉
10: toilet seat 11: bowl
12: tank 13: water supply
13a: outlet 13b: upper hanger
14: cover portion 14a: inner wall surface
15: bottom tube 16: opening
17: seal 20: water bag
30: bracket 31: seating part
32: lower hanger 33: extension part
33a: pin coupling hole 40: tension spring
50: variable straight tube 51: pin insertion hole
52: pin coupling portion 53: pin guide
60: corrugated pipe 70: guide part
71: left and right plate 71a: support pin coupling hole
71b: pin fastener 72: rear plate
72a: coupling hole 73: guide roller
74: support pin 80: hinge pin
74a, 81: pin body 74b, 82: spring
74c, 83: binding rod

Claims (8)

보울(11)과, 상기 보울(11)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수조(12)와, 상기 수조(12)로부터 보울(11)의 후방과 연결되는 급수유로(13)와, 상기 수조(12)의 하부 및 상기 보울(11)의 후방을 덮으며 상기 보울(11)로부터 배출된 오물을 바닥관(15)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커버부(14)가 구비된 변기 본체(10);
보울(11)의 후방측과 연결되는 급수유로(13)로부터 일부 분기되는 배출구(13a)와 연통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관통공(31a)이 형성된 신축형의 물주머니(20);
상기 물주머니(20)의 하단에 안착되며 상기 물주머니(20)의 배출공과 연통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안착부(31)와, 상기 안착부(31)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며 상기 물주머니(20) 내부로 설치되는 하위 걸이대(32)와, 상기 안착부(31)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각각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31)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대칭되어 이격되는 연장부(33)가 구비된 브라켓(30);
상기 물주머니(20)에 수용되며, 상단은 상기 급수유로(13)의 배출구(13a)에 설치되는 상위 걸이대(13b)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브라켓(30)의 하위 걸이대(32)에 고정되어 상기 물주머니(20)를 수축시키는 탄성복원력을 발휘하는 인장스프링(40);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며 상기 커버부(14) 내에서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축운동에 의한 상기 브라켓(3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70);
상기 보울(11)의 배출구(11a)와 주름관(60)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부(70) 전단부에 있는 지지핀 결합공(71a)과 힌지 결합되며, 상부에 내부로 관통된 관통공(54)이 형성되고, 상기 물주머니(20)의 신축운동에 의한 상기 브라켓(30)이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보울(11) 내의 오물을 배출되게 하며, 직선관으로 된 가변 직선관(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Bowl 11, the water tank 12 provided in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owl 11, the water supply passage 13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bowl 11 from the water tank 12, and the water tank 12 A toilet body (10) having a cover portion (14)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bowl and a rear portion of the bowl (11) and directing dirt discharged from the bowl (11) to the bottom pipe (15);
A stretchable water bag 20 installed in communication with a discharge port 13a partially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passage 13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bowl 11 and having a through hole 31a formed therein;
It is seated on the lower end of the water bag 20 and the seating portion 31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31a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of the water bag 20, and is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seating portion 31 and the water The lower hook stand 32 is installed in the pocket 20 and the extension part 33 which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art 31 to the bottom and is spaced symmetrically from each other from the center of the seating part 31 is provided. Bracket 30;
It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bag 20,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hanger 13b installed in the outlet 13a of the water supply passage 13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lower hanger 32 of the bracket 30 A tension spring 40 which exhibit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contract the water bag 20;
A guide part 70 which is hinged to the extension part 33 of the bracket 30 and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bracket 30 by the elastic movement of the water bag 20 in the cover part 14;
The outlet 11a of the bowl 11 and the corrugated pipe 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support pin coupling hole 71a of the front end of the guide unit 70 is hinged and penetrated into the upper part. Ball 54 is formed, while the bracket 30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 of the water bag 20 is lifted and operated to discharge the dirt in the bowl 11,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made of a straight pipe ;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70)는, 일측이 개구된 "ㄷ"자형으로 되며, 전단부위가 상기 가변 직선관(50)과 힌지결합되며 중앙부위가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는 좌우 플레이트(71)와,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과 근접되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위에 결합공(72a)이 형성된 후방 플레이트(72)와, 후방 플레이트(72) 결합공(72a)에 결합되며 상기 변기 본체(10)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과 접하여 상기 브라켓(30)의 승하강시 상기 가이드부(70)가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7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portion 70 has a "c" shape of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a front end portion is hinged to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nd a center portion is hinged to an extension 33 of the bracket 30. Being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plate 71, the rear end of the left and right plate 71 and is installed to be close to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ortion 14 of the toilet body 10 and the coupling hole 72a in the central portion ) Is coupled to the rear plate 72 and the rear plate 72 coupling hole 72a and the upper and lower inner wall surfaces 14a of the cover 14 of the toilet body 10 are raised and lowered. The variable linear tubular water-saving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ortion (70) consists of a guide roller (73) to be guided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ortion (14).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는, 전단부위에 상기 가변 직선관(50)과 힌지결합되는 핀결합공(71a)이 형성되고 중앙부위에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는 핀체결공(71b)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연장부(33)는 핀결합공(33a)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 직선관(50)은 상기 가변 직선관(50)과 연결되는 상기 주름관(60)과 근접되는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하부 양측에 핀삽입공(51)이 형성된 핀결합부(52)가 각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결합공(71a)과 각각의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핀삽입공(51)에 결합되어 힌지결합시키는 제 1 힌지핀(74)과, 각각의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핀체결공(71b)과 각각의 상기 연장부(33)의 핀결합공(33a)에 결합되어 힌지결합시키는 제 2 힌지핀(8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has a pin coupling hole 71a hinged to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t a front end portion thereof, and an extension portion 33 and a hinge coupling portion of the bracket 30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Pin fastening hole 71b is formed,
Each of the extension part 33 is formed with a pin coupling hole (33a),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has a pin coupling portion 52 in which pin insertion holes 51 are formed at both lower sides of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adjacent to the corrugated pipe 60 connected to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 Are each provided,
A first hinge pin 74 coupled to a pin coupling hole 71a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and a pin insertion hole 51 of each of the variable straight pipes 50 and hinged to each other; Variable straight l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inge pin 80 is coupled to the pin fastening hole (71b) of the left and right plate 71 and the pin coupling hole (33a) of each of the extension portion 33 is hinged Tubular toilet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플레이트(71)는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를 연결하는 후방 플레이트(72)가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의 상부 내벽면(14a)과 근접될 수 있도록 상기 좌우 플레이트(71)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상기 좌우 플레이트(71)가 둔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may have a rear plate 72 connecting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so as to be close to the uppe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ortion 14 of the toilet body 10. The rear end portion of the plate 71 is inclined upward so that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form an obtuse ang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0)의 각각의 연장부(33)는 서로 이격된 2개의 플레이트로 되며 상기 플레이트 사이로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가 각각 끼워져 상기 가이드부(70)의 좌우 플레이트(71)가 상기 브라켓(30)의 연장부(33)와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Each of the extension parts 33 of the bracket 30 may be two plat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plates 71 of the guide part 70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plates, respectively. The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is coupled to the extension portion (33) of the bracket (30).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33)의 핀결합공(33a)과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핀삽입공(51)과 상기 가이드부(70)의 핀체결공(71b)은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 내부 공간 크기에 상응하여 힌지결합위치의 변화가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pin coupling hole 33a of the extension part 33, the pin insertion hole 51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and the pin fastening hole 71b of the guide part 70 are formed of the toilet body 10. The cover 14 is a variable straight tubular water-saving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plural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able a change in the hing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ternal space size.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본체(10)의 커버부(14) 후방 내벽면(14a)에는 상기 브라켓(30)과 상기 가변 직선관(50) 및 상기 가이드부(70)를 힌지 결합된 상태로 삽입 가능한 크기의 개구부(16)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6)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6)를 밀폐시키는 밀폐부(17)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 opening having a size capable of inserting the bracket 30,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and the guide part 70 in a hinged state to a rear inner wall surface 14a of the cover part 14 of the toilet body 10. 16 is further formed,
The variable linear tubular water-saving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portion 17 is further coupled to the opening 16 to seal the opening 1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직선관(50)의 단부는 하향 경사진 개구부(54)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31)에 형성된 관통공(31a)은 상기 물주머니(20) 수축시 상기 물주머니(20)의 배출공(21)과 이와 연통된 관통공(31a)을 통해 물주머니(20)에 수용된 물이 상기 개구부(54)를 통해 상기 가변 직선관(50)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개구부(54)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직선관식 절수양변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 end portion of the variable straight tube 50 is formed with a downwardly inclined opening 54,
The through hole 31a formed in the seating part 31 is the water bag 20 through the through hole 31a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21 of the water bag 20 when the water bag 20 shrinks. Variable linear tubular water-saving toilet,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54) so that the water received in the discharge through the opening (54) to the variable straight pipe (50).
KR1020100094319A 2010-09-29 2010-09-29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 KR101016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319A KR101016248B1 (en) 2010-09-29 2010-09-29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
PCT/KR2011/003206 WO2012043953A1 (en) 2010-09-29 2011-04-29 Variable straight pipe-type water-saving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4319A KR101016248B1 (en) 2010-09-29 2010-09-29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248B1 true KR101016248B1 (en) 2011-02-25

Family

ID=4377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319A KR101016248B1 (en) 2010-09-29 2010-09-29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16248B1 (en)
WO (1) WO2012043953A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372B1 (en) 2010-11-08 2013-06-25 박희범 Rotation Discharge Pipe system for Toilet Bowl
KR101453013B1 (en) * 2014-07-21 2014-11-26 (주)여명테크 Water saving closet without water tank
KR101638427B1 (en) * 2015-12-30 2016-07-12 (주)여명테크 Ultra water saving closet
WO2018236044A1 (en) * 2017-06-20 2018-12-27 주식회사 와와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WO2018236043A1 (en) * 2017-06-20 2018-12-27 주식회사 와와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KR102032988B1 (en) * 2018-10-18 2019-10-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KR20210073729A (en) * 2019-12-11 2021-06-21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3280B1 (en) * 2013-03-15 2016-07-08 Tarek Shaaban TOILET WITH DOUBLE HOMES WC
KR102111661B1 (en) * 2019-11-13 2020-05-15 백성화 Toilet Bowl With A Blocking-Releas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78B1 (en) * 2004-04-20 2005-03-31 원종칠 Moving siphon pipe driving device in a flushing pot
KR100714961B1 (en) * 2006-06-01 2007-05-04 이종인 Moving siphon pipe driving device for water closet
KR100909403B1 (en) * 2009-04-16 2009-07-24 박철웅 Toilet stool having siphon tube
KR20100006594U (en) * 2008-12-19 2010-06-29 이재모 Toilet bowl with cleansing water saving type rapidly drainag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3962B2 (en) * 1998-01-26 2005-01-26 松下電工株式会社 Flush toilet
KR100509069B1 (en) * 2003-06-10 2005-08-18 전영세 Toilet bowl having variablenes type syphon pi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678B1 (en) * 2004-04-20 2005-03-31 원종칠 Moving siphon pipe driving device in a flushing pot
KR100714961B1 (en) * 2006-06-01 2007-05-04 이종인 Moving siphon pipe driving device for water closet
KR20100006594U (en) * 2008-12-19 2010-06-29 이재모 Toilet bowl with cleansing water saving type rapidly drainage
KR100909403B1 (en) * 2009-04-16 2009-07-24 박철웅 Toilet stool having siphon tube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372B1 (en) 2010-11-08 2013-06-25 박희범 Rotation Discharge Pipe system for Toilet Bowl
KR101453013B1 (en) * 2014-07-21 2014-11-26 (주)여명테크 Water saving closet without water tank
KR101638427B1 (en) * 2015-12-30 2016-07-12 (주)여명테크 Ultra water saving closet
WO2017115964A1 (en) * 2015-12-30 2017-07-06 (주)여명테크 Highly efficient water-saving flush toilet
CN108603369A (en) * 2015-12-30 2018-09-28 (株)黎明科技 Water-saving toilet pan
WO2018236044A1 (en) * 2017-06-20 2018-12-27 주식회사 와와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WO2018236043A1 (en) * 2017-06-20 2018-12-27 주식회사 와와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CN110914504A (en) * 2017-06-20 2020-03-24 株式会社Wawa Sewage discharge device of variable water-saving toilet
KR102032988B1 (en) * 2018-10-18 2019-10-17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KR20210073729A (en) * 2019-12-11 2021-06-21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KR102278315B1 (en) * 2019-12-11 2021-07-16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43953A1 (en)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248B1 (en)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siphon tube
KR101131810B1 (en) Water-saving toilet bowl having variable double straight tube
KR100776045B1 (en) Excretion exhaust apparatus of water closet
US20150040303A1 (en) Toilet provided with urine splash prevention apparatus
KR100909403B1 (en) Toilet stool having siphon tube
JP2010503783A (en) Western style toilet with variable waste discharge system
JP4374052B2 (en) Variable siphon tube drive device for western toilet
JP3189917U (en) Manhole-connected disaster toilet set
CN212104417U (en) Folding toilet
JP6900018B1 (en) Splash shield
CN104746612B (en) A kind of structure-improved being applicable to water tank
KR100354527B1 (en) Toilet bowl of Water closet
JP4979032B2 (en) Flush toilet
CN209636926U (en) A kind of Folding toilet closet
JPH04285227A (en) Flush toilet stool
KR100318821B1 (en) Water-saving toilet
KR102084159B1 (en)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CN2921121Y (en) Water-saving closet bowl
KR102032988B1 (en) Variable trap structure of toilet bowl
JP7468256B2 (en) Wall-mounted toilet mounting device and toilet device
JP2011115388A5 (en)
KR200243465Y1 (en) Automatic valve switchgear using seat of chamber pot
KR200266667Y1 (en) Water-saving toilet
JPH09209427A (en) Vertically movable sink device
CN220620342U (en) Lifting type toilet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