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993B1 -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993B1
KR101452993B1 KR1020130032914A KR20130032914A KR101452993B1 KR 101452993 B1 KR101452993 B1 KR 101452993B1 KR 1020130032914 A KR1020130032914 A KR 1020130032914A KR 20130032914 A KR20130032914 A KR 20130032914A KR 101452993 B1 KR101452993 B1 KR 101452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usb port
interface device
por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936A (ko
Inventor
홍의준
강경표
김봉철
권성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앰투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앰투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앰투앰넷
Priority to KR1020130032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993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1Employing a record carrier using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06F2212/214Solid state disk
    • G06F2212/2146Solid state disk being detachable, e.g.. USB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는 USB 포트의 데이터 핀과 연결 가능한 제1 인터페이스 장치,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과 연결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1 시점에서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결하되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다른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비연결하고, 상기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에서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비연결하되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Device and method for using USB port as dual port}
본 발명은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 장치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는 충전용 또는 호스트와의 통신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같은 전자 장치의 USB 포트는 물리적인 하나의 포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전자 장치가 복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복수의 포트가 전자 장치의 외부에 형성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물리적인 하나의 USB 포트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용 포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물리적인 하나의 USB 포트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용 포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의 일 태양은 USB 포트의 데이터 핀과 연결 가능한 제1 인터페이스 장치,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과 연결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1 시점에서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결하되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다른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비연결하고, 상기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에서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비연결하되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VBUS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시점은 외부로부터 상기 USB 포트의 상기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 때이고, 상기 제2 시점은 외부로부터 상기 USB 포트의 상기 VBUS 핀에 전원이 비공급되는 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상기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OTG ID 핀과 연결가능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상기 OTG ID 핀과 연결 가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USB 포트의 상기 OTG ID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결하되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비연결하고,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USB 포트의 상기 OTG ID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비연결하되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과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1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2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온하되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오프하고,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되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GND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상기 GND 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는 단일 프로세서 장치 내에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핀은 DATA+ 핀과 DATA-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USB 포트는 Micro USB 포트 또는 Mini USB 포트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의 일 태양은 외부로부터 USB 포트의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USB 포트의 상기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을 제1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USB 포트의 상기 VBUS 핀에 전원이 비공급되는 경우,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다른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과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을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USB 포트의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USB 포트의 데이터 핀을 제1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므로, 물리적인 하나의 USB 포트를 둘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용 포트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의 포트 인터페이스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제2 인터페이스 장치가 서로 다른 프로세서 장치 내에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제2 인터페이스 장치가 단일 프로세서 장치 내에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듀얼(dual)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의 포트 인터페이스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1)는, USB 포트(410),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 Interface Device A),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 Interface Device B), 컨트롤러(420; Controller), 제1 스위치(430), 제2 스위치(440)를 포함한다.
USB 포트(410)는 VBUS 핀, DATA- 핀, DATA+ 핀, OTG(On-The-Go) ID 핀, GND 핀을 포함한다. VBUS 핀을 통해서 외부로부터 전원(예를 들어, 5V)이 공급된다. GND 핀은 상기 전원과 접지를 위함이다. DATA- 핀과 DATA+ 핀은 차동형의 데이터 핀을 구성한다. OTG ID 핀은 호스트(host) 또는 슬레이브(slave)를 선택하기 위함이다.
USB 포트(410)는 일 예로 Micro USB 포트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USB 포트(410)는 다른 예로 Mini USB 포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는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과 연결 가능하다.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와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은 제1 스위치(4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는 USB 포트(410)의 VBUS 핀과 GND 핀과 연결된다.
제1 스위치(430)는 USB 포트(410)의 DATA- 핀과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 사이, DATA- 핀과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 사이, OTG ID 핀과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430)가 턴온(turn-on)되는 경우,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과 연결 가능하다.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와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은 제2 스위치(4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USB 포트(410)의 GND 핀과 연결된다.
제2 스위치(440)는 USB 포트(410)의 DATA- 핀과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 사이, DATA- 핀과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 사이, OTG ID 핀과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440)가 턴온되는 경우, USB 포트(410)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포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USB 인터페이스와 다른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RS-232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USB 포트(410)의 DATA- 핀, DATA+ 핀, OTG ID 핀은 RS-232C의 규격에 따라 다른 신호(예를 들어, Received Data, Transmitted Data, Ring Indicator 등) 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USB 포트(410)는 통신용 외에도 디버깅 또는 개발용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컨트롤러(420)는 제1 스위치(430) 및 제2 스위치(440)를 제어하여,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을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 또는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컨트롤러(420)는 제1 스위치(4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S_SW1을 제1 스위치(430)에 제공하고, 제2 스위치(4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S_SW2를 제2 스위치(440)에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420)는 제1 시점에서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을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와 연결하고,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와는 비연결한다. 컨트롤러(420)는 제1 시점에서 제1 스위치(430)를 턴온(turn-on)하고, 제2 스위치(440)는 턴오프(turn-off)한다. 컨트롤러(420)는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에서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을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와 연결하고,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와는 비연결한다. 컨트롤러(420)는 제1 시점에서 제1 스위치(430)를 턴오프하고, 제2 스위치(440)는 턴온한다.
컨트롤러(420)는 외부로부터 USB 포트(410)의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 때에,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을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에 연결한다. 컨트롤러(420)는 외부로부터 USB 포트(410)의 VBUS 핀에 전원이 비공급되는 때에는,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을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에 연결한다. 이를 위해, 센서(421; Sensor)가 USB 포트(410)의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센서(421)는 전압 센서 또는 전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일 예로 센서(421)는 컨트롤러(420)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센서(421)는 별도의 구성으로 장치(1)에 포함되어, 상기 검출 결과를 컨트롤러(4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제2 인터페이스 장치가 서로 다른 프로세서 장치 내에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와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서로 다른 프로세서 장치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는 제1 프로세서 장치(210; Processor A)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되고,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제2 프로세서 장치(220; Processor B)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는 제1 프로세서 장치(210)의 입출력 핀을 포함하고 제1 프로세서 장치(210)의 내부에 구성되어, 제1 프로세서 장치(210)가 외부와 인터페이싱 하도록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는 USB 포트(410)의 VBUS 핀, DATA- 핀, DATA+ 핀, OTG ID 핀, GND 핀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제2 프로세서 장치(220)의 입출력 핀을 포함하고 제2 프로세서 장치(220)의 내부에 구성되어, 제2 프로세서 장치(220)가 외부와 인터페이싱 하도록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USB 포트(410)의 DATA- 핀, DATA+ 핀, OTG ID 핀, GND 핀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제2 인터페이스 장치가 단일 프로세서 장치 내에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와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단일 프로세서 장치(200; Processor) 내에 구성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와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동일한 프로세서 장치(200)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와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는 프로세서 장치(200)의 입출력 핀을 포함하고 프로세서 장치의 내부에 구성되어, 프로세서 장치(200)가 외부와 인터페이싱 하도록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장치(200)는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를 통해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하거나,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를 통해 USB 인터페이스와 다른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RS-232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1)는, 프로세서 장치(200; Processor), 입출력 장치(300; I/O), 포트 인터페이스 장치(400; Port Interface), 메모리 장치(500; Memory), 전원 공급 장치(600; Power Supply)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장치(200), 입출력 장치(300), 포트 인터페이스 장치(400), 메모리 장치(500), 전원 공급 장치(600)는 버스(700)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버스(700)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에 해당한다.
프로세서 장치(200)는 하나의 프로세서 코어(Single Core)를 포함하거나, 복수의 프로세서 코어들(Multi-Core)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장치(200)는 듀얼 코어(Dual-Core), 쿼드 코어(Quad-Core), 헥사 코어(Hexa-Core) 등의 멀티 코어(Multi-Core)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300)는 버튼, 터치 스크린, 마이크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력 장치, 및/또는 스피커,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인터페이스 장치(400)는 각종 포트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USB 포트(410), 컨트롤러(420), 제1 스위치(430), 제2 스위치(440)는 포트 인터페이스 장치(400)의 일부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포트 인터페이스 장치(400)는 USB 포트(410) 외에도, CAN 포트, GPIO 포트 등의 다른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500)는 프로세서 장치(20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프로세서 장치(200)의 동작 메모리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500)는 DDR SDRAM(Double Data Rate Static DRAM), SDR SDRAM(Single Data Rate SDRAM)과 같은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EEPROM(Electrical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과 같은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60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변환하여, 각 구성 요소(200~5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도 3의 프로세서 장치(200)를 도시하였으나, 도 2의 제1 프로세서 장치(210)와 제2 프로세서 장치(220)가 버스(700)에 연결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명확하게 도시하지 않았으나, 장치(1)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엔진과 이동통신 모뎀 등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S 엔진은 GPS를 이용하여 장치(1)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뎀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방식으로 외부와 이동통신할 수 있다. 또한, 장치(1)는 RF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RF 리더기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신호를 수신하고 식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장치(1)는 텔레매틱스 단말, 위치 전송 단말 또는 비접촉식 결재 단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장치(1)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10)와 버튼(32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장치(1)의 일 측면에는 USB 포트(4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 USB 포트(410)는 B 시리즈의 Micro USB 포트를 도시한 것이나, USB 포트의 타입은 Mini USB 포트로, 핀 구조도 A 시리즈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장치(1)의 포트 인터페이스 구성을 이용하여,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은, 먼저 센서(421)가 외부로부터 USB 포트(410)의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S810), 컨트롤러(420)는 센서(421)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USB 포트(410)의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판단한다(S820).
이어서, USB 포트(410)의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컨트롤러(420)는 제1 스위치(430)를 턴온하고(S830), 제2 스위치(440)를 턴오프하여(S840),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을 제1 인터페이스 장치(211)에 연결한다.
한편, USB 포트(410)의 VBUS 핀에 전원이 비공급되는 경우, 컨트롤러(420)는 제1 스위치(430)를 턴오프하고(S850), 제2 스위치(440)를 턴온하여(S860), USB 포트(410)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을 제2 인터페이스 장치(221)에 연결한다.
이어서, 장치(1)는 USB 포트(410)를 통해 외부와 통신한다(S870). 장치(1)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하거나, USB 인터페이스와 다른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RS-232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모듈,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에 연결되며, 그 프로세서는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를 독출할 수 있고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기록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기록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구성 요소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11: 제1 인터페이스 장치
221: 제2 인터페이스 장치
410: USB 포트
420: 컨트롤러
421: 센서
430: 제1 스위치
440: 제2 스위치

Claims (11)

  1. USB 포트의 데이터 핀과 연결 가능한 제1 인터페이스 장치;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과 연결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1 시점에서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결하되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다른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비연결하고, 상기 제1 시점과 다른 제2 시점에서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비연결하되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OTG ID 핀과 연결가능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상기 OTG ID 핀과 연결 가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USB 포트의 상기 OTG ID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결하되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비연결하고,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USB 포트의 상기 OTG ID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비연결하되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과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1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2 스위치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온하되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오프하고,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되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온하는,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VBUS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시점은 외부로부터 상기 USB 포트의 상기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 때이고, 상기 제2 시점은 외부로부터 상기 USB 포트의 상기 VBUS 핀에 전원이 비공급되는 때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SB 포트의 상기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GND 핀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USB 포트의 상기 GND 핀에 연결되는,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는 단일 프로세서 장치 내에 구성되는,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핀은 DATA+ 핀과 DATA- 핀을 포함하는,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포트는 Micro USB 포트 또는 Mini USB 포트인,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10. 외부로부터 USB 포트의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USB 포트의 상기 VBUS 핀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USB 포트의 데이터 핀 및 OTG ID 핀을 제1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USB 포트의 상기 VBUS 핀에 전원이 비공급되는 경우,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와 다른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을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과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장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을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USB 포트의 상기 데이터 핀 및 상기 OTG ID 핀과 상기 제2 인터페이스 장치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턴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
  11. 삭제
KR1020130032914A 2013-03-27 2013-03-27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 KR101452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14A KR101452993B1 (ko) 2013-03-27 2013-03-27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914A KR101452993B1 (ko) 2013-03-27 2013-03-27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936A KR20140117936A (ko) 2014-10-08
KR101452993B1 true KR101452993B1 (ko) 2014-10-22

Family

ID=5199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914A KR101452993B1 (ko) 2013-03-27 2013-03-27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487B1 (ko) 2016-01-04 2017-11-20 (주)컴플래쉬 오티지 메모리가 내장된 보조배터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291A (ja) 2004-09-30 2006-04-13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アダプタ
KR100905795B1 (ko) 2008-01-17 2009-07-02 (주)블루버드 소프트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15742A (ko) * 2009-08-10 201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JP2013011989A (ja) 2011-06-28 2013-01-17 Fujitsu Component Ltd 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1291A (ja) 2004-09-30 2006-04-13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アダプタ
KR100905795B1 (ko) 2008-01-17 2009-07-02 (주)블루버드 소프트 단일 커넥터로 uart 및 usb 통신을 지원하는 휴대용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15742A (ko) * 2009-08-10 201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에스비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JP2013011989A (ja) 2011-06-28 2013-01-17 Fujitsu Component Ltd 通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487B1 (ko) 2016-01-04 2017-11-20 (주)컴플래쉬 오티지 메모리가 내장된 보조배터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936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4508B2 (en) Electronic device
RU2682911C2 (ru) Двусторонний разъем для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WO2016011971A1 (zh) 双频多协议多功能近场通信集成系统和应用方法
US7376773B2 (en) Multi-standard protocol storage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8544752B2 (en) Nonvolatile memory card adaptable to plural specifications
EP2696309B1 (en) Universal access device
KR2021004402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멀티 윈도우를 이용한 팝업 윈도우를 처리하는 방법
CN112041827B (zh) 自动usb主机检测和端口配置方法及装置
US201300973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d programming a secure element
CN102857631A (zh) 一种手机利用耳机插孔读取rfid/nfc标签的方法与系统
US20160309590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multi pin-out smart card device
US20130225074A1 (en) Non-volatile memory for nfc router
KR20140081343A (ko) 전자 장치, 커넥터, 이어폰, 전자 장치의 주변 장치 연결 방법 및 이어폰 연결 방법
KR101221895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터치펜을 이용한 기능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이동 단말기
KR20170001475A (ko) 모드에 따라 신호 세기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93508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dual-wire protocol
KR101452993B1 (ko)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장치 및 usb 포트를 듀얼 포트로 사용하는 방법
WO2016065821A1 (zh) 一种多功能便携数据卡和数据传输方法
US20150331502A1 (en) Pen switching between active and passive status
KR101599905B1 (ko) 네트워크의 자동 구성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방법
US8954622B1 (en) Embedded programmable logic for logic stacking on application processor
CN105635873A (zh) Nfc蓝牙耳机、系统及其控制方法
JP4525488B2 (ja) 無線接続システム,非接触icタグ,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3641488B1 (en) Power sharing logic in a mobile terminal using a batter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20220023640A (ko) 직렬 인터페이스를 운영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