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927B1 -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927B1
KR101452927B1 KR1020130012945A KR20130012945A KR101452927B1 KR 101452927 B1 KR101452927 B1 KR 101452927B1 KR 1020130012945 A KR1020130012945 A KR 1020130012945A KR 20130012945 A KR20130012945 A KR 20130012945A KR 101452927 B1 KR101452927 B1 KR 10145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path
cable
trays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0116A (ko
Inventor
이건호
김원삼
정선경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2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9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0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8Network design, e.g. design based on topological or interconnect aspects of utility systems, piping,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HVAC] or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3/00Details relating to the application field
    • G06F2113/16Cables, cable trees or wire harn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은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가 케이블 포설의 통로 및 목적지가 되는 기기 데이터 및 트레이 데이터를 사용해 트레이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가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 모델링을 위한 케이블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점 트레이와 종착점 트레이 사이에 존재하는 각 트레이들의 트레이 길이 및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가 검출된 각 트레이들의 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 상에서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및 장치{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tecting optimized cable routing}
본 발명은 원자력발전소를 포함한 플랜트에서 사용되는 케이블, 케이블 트레이, 기기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케이블 포설경로 모델링에 있어서, 케이블 포설경로 모델에서 케이블이 최적으로 포설할 수 있는 경로를 요구조건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 등 대형 플랜트에는 기기와 기기를 연결하는 수십만개의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필요하다. 이러한 케이블을 기기 사이에 포설하기 위하여 전선로(Raceway)가 있다. 케이블이 어느 전선로를 경유하여 포설되어야 하는지를 설계하는 것이 케이블 포설경로 설계이며 케이블 포설경로 설계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지키며 설계되어야 한다. 케이블이 최단거리로 포설되도록 설계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특정 전선로에 많은 케이블이 과포설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케이블 특성에 따라 반드시 지켜야 할 기준이 정해져 있으며 이를 준수하며 포설되도록 설계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의 기술은 (가) 일반적인 2차원 설계도면 (예: 케이블 목록, 전선로 설치도면)를 설계하고 이 도면을 육안으로 보고 포설경로를 수동으로 선정하여 설계한다. (나) 또는, CAD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축한 플랜트 전체 3차원 모델에서 전선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포설경로를 수동으로 선정하여 설계한다. (다) 또는, 컴퓨터 처리를 이용하여 케이블, 기기, 트레이를 데이터화 하고, 트레이의 노드를 기준으로 하는 최적경로를 자동 탐색 하여 설계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 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가)항의 문제점은 2차원 도면에서 육안검사로 포설경로를 선정하고 이를 수작업으로 검산함으로써 최단경로를 선정에 많은 반복작업이 필요하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나)항의 문제점은 기존 상용 CAD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3차원 모델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용되며, 이 모델을 보고 포설경로를 수작업으로 선정함으로써 (가)항과 마찬가지로 많은 반복작업이 필요하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다)항과 같이 컴퓨터 처리를 통한 포설경로설계를 실시하고 있으나, 또한 종래의 기술은 데이터의 양이 방대해 질수록 처리속도가 현저히 저하되며, 또한 (가),(나) (다)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최단거리 포설, 과포설 방지, 케이블 특성에 따른 이격거리 준수 등의 포설경로 설계의 다양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최적화된 자동 포설경로 설계를 실시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포설경로 설계에 필요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케이블 포설경로를 위한 트레이 포설경로 모델을 생성한 후에, 트레이 경로 상에서 최단경로와 과포설방지와 각종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최적 케이블 포설경로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은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가 케이블 포설의 통로 및 목적지가 되는 기기 데이터 및 트레이 데이터를 사용해 트레이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가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 모델링을 위한 케이블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점 트레이와 종착점 트레이 사이에 존재하는 각 트레이들의 트레이 길이 및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가 검출된 각 트레이들의 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 상에서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기 데이터는 상기 케이블이 포설되는 기기의 기기명, 기기 식별번호, 기기의 공간 좌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데이터는 트레이 식별번호, 트레이 분류코드, 트레이 폭, 트레이 높이, 트레이 시작 위치좌표, 트레이 종료 위치좌표, 트레이 굴곡점 위치좌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데이터는 케이블 식별번호, 케이블 분류코드, 케이블 사양, 상기 케이블이 시작되는 출발점 기기의 식별번호, 상기 출발점 기기의 공간 좌표, 상기 케이블이 끝나는 종착점 기기의 식별번호, 상기 종착점 기기의 공간 좌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가 상기 경로 함수값에 따라 케이블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점 기기의 공간좌표 및 상기 종착점 기기의 공간좌표를 사용해, 상기 케이블에 대응하는 상기 출발점 기기 및 상기 종착점 기기의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출발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상기 출발점 트레이로 설정하고, 상기 종착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상기 종착점 트레이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상기 출발점 트레이부터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단계; 순차적으로 검출된 트레이들 중 상기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순차적으로 검출된 트레이들 중 상기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한다면, 상기 종착점 트레이로부터 역순으로 상기 출발점 트레이까지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상기 출발점 트레이부터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단계는, 각 구간의 트레이들 별로 진행할 수 있는 다음 트레이들의 경로 중에서 상기 경로 함수값이 가장 낮은 값에 해당하는 트레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로 함수값은 다음의 수학식을 사용해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학식]
F(n) = G(n)*W(n) + H(n)
F(n)은 상기 경로 함수값을 의미하고, G(n)은 상기 출발점 트레이로부터 트레이 n까지의 가는데 소요되는 총 트레이 길이이고, W(n)는 상기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가중치이고, H(n)는 트레이 n으로부터 상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값이다.
상기 경로 가중치는 상기 트레이에서의 기 설치된 다른 케이블들에 따른 부피점유율, 상기 다른 케이블들에 따른 무게 점유율, 상기 트레이의 크기, 상기 트레이의 회피구간으로서의 값 및 상기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사이의 분류코드 일치여부에 따른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은,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를 검출한 후에, 포설경로 표시부가 상기 검출된 케이블의 포설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은,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2차원 포설경로 및 3차원 포설경로 중 어느 하나의 포설경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는 케이블 포설의 통로 및 목적지가 되는 기기 데이터 및 트레이 데이터를 사용해, 트레이 경로를 생성하는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 모델링을 위한 케이블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점 트레이와 종착점 트레이 사이에 존재하는 각 트레이들의 트레이 길이 및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각 트레이들의 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 상에서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검출하는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 상기 기기 데이터, 상기 트레이 데이터 및 상기 케이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는, 상기 케이블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출발점 기기의 공간좌표 및 상기 종착점 기기의 공간좌표를 사용해, 상기 케이블에 대응하는 상기 출발점 기기 및 상기 종착점 기기의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모듈; 상기 출발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상기 출발점 트레이로 설정하고, 상기 종착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상기 종착점 트레이로 설정하는 트레이 설정모듈; 상기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상기 출발점 트레이부터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순차적으로 검출된 트레이들 중 상기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트레이 순차검출모듈; 및 순차적으로 검출된 트레이들 중 상기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한다면, 상기 종착점 트레이로부터 역순으로 상기 출발점 트레이까지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각 트레이들의 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 상에서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검출하는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 순차검출모듈은, 각 구간의 트레이들 별로 진행할 수 있는 다음 트레이들의 경로 중에서 상기 경로 함수값이 가장 낮은 값에 해당하는 트레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 순차검출모듈은, 전술한 수학식을 사용해 상기 경로 함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는, 상기 검출된 케이블의 포설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와 함께 표시하는 포설경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는,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2차원 포설경로 및 3차원 포설경로 중 어느 하나의 포설경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포설경로의 최단거리를 시행착오 없이 한번에 찾을 수 있어 빠른 실행이 가능하고 컴퓨터가 느려지거나 다운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최단거리 찾기 단계에서부터 트레이의 과적율을 최단거리 찾기의 가중치로 고려하여 최단거리를 찾기 때문에, 과포설 구간을 최초 검색단계부터 고려하므로 검색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소/플랜트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조건을 만족하는 최적의 포설경로를 자동선정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며, 포설경로 선정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며, 포설경로 모델에서 빠르고 자유롭게 시각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2는 트레이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3은 트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상에 모델링한 트레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4는 기기 데이터 및 트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 모델링한 전체 트레이 경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0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출발점 트레이와 종착점 트레이를 포함하는 다수의 트레이들(a ~ j)에 대한 트레이 경로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7은 출발점 트레이 a에서 포설 가능한 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8은 트레이 h에서 포설 가능한 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9는 트레이 c에서 포설 가능한 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10은 트레이 d에서 포설 가능한 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11은 트레이 g에서 포설 가능한 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12는 최적의 케이블 포설 경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는 케이블 포설의 통로 및 목적지가 되는 기기 데이터 및 트레이 데이터를 사용해 트레이 경로를 생성한다(제100 단계). 여기서, 기기 데이터는 케이블이 포설되는 기기의 기기명, 기기 식별번호, 기기의 공간 좌표 등을 포함한다. 또한, 트레이 데이터는 트레이 식별번호, 트레이 분류코드, 트레이 폭, 트레이 높이, 트레이 시작 위치좌표, 트레이 종료 위치좌표, 트레이 굴곡점 위치좌표 등을 포함한다. 도 2는 트레이 데이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로서, 트레이 식별번호(tray_no), 트레이 공간 좌표(point_x, point_y, point_z) 등을 포함하고 있다.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는 케이블이 포설되는 트레이의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공간상에 생성(모델링)한다. 최소한의 트레이 데이터만 데이터에 기록되어 있기에 트레이 형상을 2차원 또는 3차원에 모델링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여 트레이의 실제 형상을 자동 재구성한다. 표시되는 트레이는 그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색상을 달리 적용하여 시인성을 높인다. 도 3은 트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상에 모델링한 트레이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고, 도 4는 기기 데이터 및 트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상에 모델링한 전체 트레이 경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참조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의 휘어짐, 연결부, 크기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으로 구현한다. 이렇게 구현된 3차원 케이블 포설경로 모델은 복잡한 구조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회전/확대/축소/이동/을 자유롭고 빠르게 실행된다.
제100 단계 후에,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는 케이블의 포설경로 모델링을 위한 케이블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점 트레이와 종착점 트레이 사이에 존재하는 각 트레이들의 트레이 길이 및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최적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한다(제102 단계). 여기서, 케이블 데이터는 케이블 식별번호, 케이블 분류코드, 케이블 사양, 상기 케이블이 시작되는 출발점 기기의 식별번호, 상기 출발점 기기의 공간 좌표, 상기 케이블이 끝나는 종착점 기기의 식별번호, 상기 종착점 기기의 공간 좌표 등을 포함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02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출발점 기기의 공간좌표 및 종착점 기기의 공간좌표를 사용해, 케이블에 대응하는 출발점 기기 및 종착점 기기의 위치를 지정한다(제200 단계). 케이블의 출발점 기기에 대한 공간좌표와 종착점 기기의 공간좌표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를 제100 단계에서 생성한 트레이 경로 상에 지정한다.
제200 단계 후에, 상기 출발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상기 출발점 트레이로 설정하고, 상기 종착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상기 종착점 트레이로 설정한다(제202 단계). 케이블의 출발점 기기에서 가장 가깝고, 케이블의 포설이 허용되는 종류의 트레이를 케이블 포설경로 상의 출발점 트레이로 설정한다. 이때, 출발점 기기와 설정된 출발점 트레이와의 거리도 함께 산출한다. 또한, 케이블의 종착점 기기에서 가장 가깝고, 케이블의 포설이 허용되는 종류의 트레이를 케이블 포설경로 상의 종착점 트레이로 설정한다. 이때, 종착점 기기와 설정된 종착점 트레이와의 거리도 함께 산출한다.
제202 단계 후에, 경로 함수값에 따라, 케이블의 최적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출발점 트레이부터 순차적으로 검출한다(제204 단계).
경로 함수값은 다음의 수학식 1을 사용해 산출한다.
Figure 112013010820795-pat00001
F(n)은 경로 함수값을 의미하고, G(n)은 출발점 트레이로부터 트레이 n까지의 가는데 소요되는 총 트레이 길이이고, W(n)는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가중치이고, H(n)는 트레이 n으로부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값이다.
여기서, 트레이 n은 출발점 트레이와 종착점 트레이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의 트레이에 해당한다. G(n)은 출발점 트레이로부터 각각의 트레이를 거쳐서 트레이 n까지의 가는데 소요되는 트레이 길이의 총합을 의미한다.
경로 가중치 W(n)는 트레이에서의 기 설치된 다른 케이블들에 따른 부피점유율, 다른 케이블들에 따른 무게 점유율, 트레이의 크기, 트레이의 회피구간으로서의 값 또는 트레이와 케이블 사이의 분류코드 일치 여부에 따른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을 반영한 것이다. 다음의 수학식 2는 경로 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한 일 예의 수식이다.
Figure 112013010820795-pat00002
Figure 112013010820795-pat00003
Figure 112013010820795-pat00004
부피점유율은 트레이에 케이블이 채워져 있는 부피를 나타내는 값으로, 값이 클수록 부피가 큰 케이블들이 포설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무게점유율은 트레이에 케이블이 채워져 있는 무게를 나타내는 값으로, 값이 클수록 무거운 케이블들이 포설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트레이 크기는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트레이의 부피를 의미하는 것으로, 값이 클수록 많은 트레이가 포설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회피구간값은 가능하면 회피해야 하는 트레이일 경우에 큰 값으로 할당되는 값이다. 분류코드 대응값은 트레이와 이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전압등급 등의 일치 여부에 따른 값으로, 전압등급이 일치할수록 값은 작아지고, 전압등급이 차이가 있을수록 높은 값을 갖는다(예를 들어, 전압등급이 일치할 경우에는 "1"의 값을 갖으며, 전압등급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20"이라는 값을 갖는다).
전술한 경로 함수값은 작을수록 최적의 트레이 경로에 해당한다. 즉, 현재 트레이에서 진행할 수 있는 다음 트레이들의 경로 중에서 경로 함수값이 가장 낮은 값에 해당하는 트레이를 최적의 트레이로서 검출한다. 경로 함수값의 구성요소가 전술한 바와 같이, 출발점 트레이부터 트레이 n까지의 거리, 트레이 n부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거리, 그리고, 경로 가중치(부피점유율, 무게 점유율, 트레이의 크기, 회피구간값 또는 분류코드 대응값)에 의해 정해지는데, 이러한 각각의 값들은 크기가 작을수록 최적의 트레이 경로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므로, 최적의 트레이 경로를 찾기 위해서는 경로 함수값이 가장 낮은 값의 트레이를 찾아야 한다.
H(n)는 트레이 n으로부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100 단계에서 생성된 트레이 경로가 2차원 트레이 경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트레이 n으로부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최단거리 즉, 직선거리를 의미한다. 한편, 제100 단계에서 생성된 트레이 경로가 3차원 트레이 경로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H(n)는 트레이 n으로부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직선거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트레이 n으로부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직선거리를 빗변으로 하는 직각 삼각형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이 직각 삼각형을 이루는 다른 두 변 길이의 합이 H(n)의 값에 해당한다.
본원발명에서는 이러한 경로 함수값을 사용해서 최적의 케이블 경로를 찾기 위해, 초기 노드에서 목표 노드까지의 경로를 찾는 탐색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A 스타(A*)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A 스타(A*) 알고리즘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최적의 케이블 경로의 후보군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검출한다고 했을 때, 아직 조사하지 않은 트레이 명칭 또는 식별기호를 오픈 셋(open_set) 테이블 목록에 기재하고, 이미 조사한 트레이 명칭 또는 식별기호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재한다.
도 6은 출발점 트레이와 종착점 트레이를 포함하는 다수의 트레이들(a ~ j)에 대한 트레이 경로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6에서 식별기호 a는 출발점 트레이라 가정하고, 식별기호 i는 종착점 트레이라 가정한다. 또한, 각 트레이들 사이의 숫자는 각 트레이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출발점 트레이 a부터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최적의 케이블 경로의 후보군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검출한다고 했을 때, 출발점 트레이 a를 시작으로 케이블 경로를 탐색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점 트레이 a가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된다.
도 7은 출발점 트레이 a에서 포설 가능한 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점 트레이 a에서 포설될 가능성이 있는 트레이들은 직관적으로 트레이 b, 트레이 d, 및 트레이 h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b, 트레이 d, 및 트레이 h의 출발점 트레이 a가 오픈 셋(open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되어 있다. 트레이 b, 트레이 d, 및 트레이 h 각각에 대한 포설 경로를 지정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경로 함수값을 수학식 1을 사용해 검출하면, 도 7에서 경로 함수값(F_score)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b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orm: a->b)할 경우에, G(b)값 즉,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b까지의 거리(G_score:4)와 H(b)값 즉, 트레이 b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7.3)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b)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b)=4*1+7.3= 11.3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h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rom: a->h)할 경우에, G(h)값 즉,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h까지의 거리(G_score:1)와 H(h)값 즉, 트레이 h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7)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h)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h)=1*1+7= 8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d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rom: a->d)할 경우에, G(d)값 즉,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d까지의 거리(G_score:2.5)와 H(d)값 즉, 트레이 d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6)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d)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d)=2.5*1+6=8.5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는 계산의 편의를 위해, 경로 가중치를 "1"로 설정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발 트레이 a에서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트레이를 찾아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추가해서 넣고, 그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있는 트레이들을 거쳐갈 경우에 예상되는 경로 함수값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함수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경로를 선택하면, 트레이 a에서 트레이 h로 포설되는 경우에 경로 함수값이 "8"로서 다른 경로 함수값들(11.3 및 8.5)에 비해 가장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a에서 트레이 h로 포설 경로를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트레이 h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제204 단계 후에, 검출된 트레이들 중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제206 단계). 예를 들어, 전술한 도 7에 도시된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204 단계로 복귀하여, 도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트레이 경로를 검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 8은 트레이 h에서 포설 가능한 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h에서 포설될 가능성이 있는 트레이들은 트레이 b 및 트레이 c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는 이미 케이블 경로로서 지정된 트레이 a와 트레이 h가 기록되어 있으며, 트레이 b 및 트레이 c는 트레이 d와 함께 오픈 셋(open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되어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트레이 b 및 트레이 c 각각에 대한 포설 경로를 지정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경로 함수값을 수학식 1을 사용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h로부터 트레이 b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rom: h->b)할 경우에, G(b)값 즉,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h를 거쳐서 트레이 b까지의 총 거리(G_score:1+1=2)와 H(b)값 즉, 트레이 b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7.3)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b)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b)=2*1+7.3=9.3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h로부터 트레이 c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rom: h->c)할 경우에, G(c)값 즉,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h를 거쳐서 트레이 c까지의 총 거리(G_score:1+1=2)와 H(c)값 즉, 트레이 c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5.5)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c)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c)=2*1+5.5= 7.5를 산출할 수 있다.
도 8의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는 도 7에서의 트레이 a에서 트레이 b로 가는 포설 경로 대신에 트레이 h에서 트레이 b로 가는 포설 경로에 대한 데이터로 업데이트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출발점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b로 가는데 소요되는 경로 함수값들 중에서, 트레이 a, 트레이 h를 거쳐서 트레이 b로 가는 경로 함수값(9.3)이 트레이 a에서 직접 트레이 b로 가는 경로 함수값(11.3)보다 작기 때문에, 트레이 a로부터 직접 트레이 b로 가는 경로의 데이터 대신에 경로 함수값이 작은 경로(트레이 h에서 트레이 b로 가는 포설 경로)의 데이터로 업데이트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트레이 h에서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트레이들을 찾아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추가해서 넣고, 그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있는 트레이들을 거쳐갈 경우에 예상되는 경로 함수값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함수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경로를 선택한다. 트레이 h에서 트레이 c로 포설되는 경우에 경로 함수값이 "7.5"로서 다른 경로 함수값(9.3)에 비해 가장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h에서 트레이 c로 포설 경로를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트레이 c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그 후, 검출된 트레이들 중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204 단계로 복귀하여, 도 9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트레이 경로를 검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 9는 트레이 c에서 포설 가능한 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c에서 포설될 가능성이 있는 트레이들은 트레이 b, 트레이 e, 트레이 f 및 트레이 d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는 이미 케이블 경로로서 지정된 트레이 a, 트레이 h 및 트레이 c가 기록되어 있으며, 트레이 e 및 트레이 f는 트레이 b 및 트레이 d와 함께 오픈 셋(open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트레이 b, 트레이 e, 트레이 f 및 트레이 d 각각에 대한 포설 경로를 지정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경로 함수값을 수학식 1을 사용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c로부터 트레이 b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rom: c->b)할 경우에, G(b)값 즉,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b까지의 총 거리(G_score:1+1+1=3)와 H(b)값 즉, 트레이 b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7.3)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b)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b)=3*1+7.3=10.3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c로부터 트레이 e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rom: c->e)할 경우에, G(e)값 즉,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e까지의 총 거리(G_score:1+1+3=5)와 H(e)값 즉, 트레이 e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7)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e)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e)=5*1+7=12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c로부터 트레이 f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rom: c->f)할 경우에, G(f)값 즉,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f까지의 총 거리(G_score:1+1+3=5)와 H(f)값 즉, 트레이 f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4.5)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f)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f)=5*1+4.5=9.5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c로부터 트레이 d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rom: c->d)할 경우에, G(d)값 즉,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d까지의 총 거리(G_score:1+1+1=3)와 H(d)값 즉, 트레이 d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6)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d)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d)=3*1+6=9를 산출할 수 있다.
도 9의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는 트레이 c에서 트레이 b로 가는 포설 경로에 대한 데이터 및 트레이 c에서 트레이 d로 가는 포설 경로에 대한 데이터가 기재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출발점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b로 가는데 소요되는 경로 함수값들 중에서, 트레이 a, 트레이 h를 거쳐서 트레이 b로 가는 경로 함수값(9.3)이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b로 가는 경로 함수값(10.3)보다 작기 때문에,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b로 가는 데이터는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배제된 것이다. 또한, 출발점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d로 가는데 소요되는 경로 함수값들 중에서, 트레이 d로 직접 가는 경로 함수값(8.5)이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d로 가는 경로 함수값(9)보다 작기 때문에,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d로 가는 데이터는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배제된 것이다.
이와 같이, 트레이 c에서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트레이들을 찾아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추가해서 넣고, 그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있는 트레이들을 거쳐갈 경우에 예상되는 경로 함수값을 각각 산출하면, 도 9의 came_from 테이블 목록 중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 a에서 트레이 d로 포설되는 경우에 경로 함수값이 "8.5"로서 포설 가능성이 있는 다른 트레이들(트레이 b, 트레이 e, 및 트레이 f)의 경로 함수값들(9.3, 12, 9.5)에 비해 가장 작다는 값(8.5)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d로 포설 경로를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트레이 d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그 후, 검출된 트레이들 중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204 단계로 복귀하여, 도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트레이 경로를 검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 10은 트레이 d에서 포설 가능한 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d에서 포설될 가능성이 있는 트레이는 트레이 g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는 이미 케이블 경로로서 지정된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 및 트레이 d가 기록되어 있으며, 트레이 g는 트레이 b, 트레이 e 및 트레이 f와 함께 오픈 셋(open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트레이 g에 대한 포설 경로를 지정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경로 함수값을 수학식 1을 사용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d로부터 트레이 g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rom: d->g)할 경우에, G(g)값 즉,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 트레이 d를 거쳐서 트레이 g까지의 총 거리(G_score:1+1+1+1=4)와 H(g)값 즉, 트레이 g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2)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g)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g)=4*1+2=6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 d에서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트레이 g를 찾아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추가해서 넣고, 그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있는 트레이들을 거쳐갈 경우에 예상되는 경로 함수값을 각각 산출하면, 도 10의 came_from 테이블 목록 중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 d에서 트레이 g로 포설되는 경우에 경로 함수값이 "6"으로서 포설 가능성이 있는 다른 트레이들(트레이 b, 트레이 e, 및 트레이 f)의 경로 함수값들(9.3, 12, 9.5)에 비해 가장 작다는 값(6)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g로 포설 경로를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트레이 g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그 후, 검출된 트레이들 중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204 단계로 복귀하여, 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트레이 경로를 검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 11은 트레이 g에서 포설 가능한 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g에서 포설될 가능성이 있는 트레이들은 트레이 f 및 트레이 i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는 이미 케이블 경로로서 지정된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 트레이 d 및 트레이 g가 기록되어 있으며, 트레이 i는 트레이 b, 트레이 e 및 트레이 f와 함께 오픈 셋(open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트레이 f 및 트레이 i 각각에 대한 포설 경로를 지정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경로 함수값을 수학식 1을 사용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 g로부터 트레이 f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rom: g->f)할 경우에, G(f)값 즉,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 트레이 d, 트레이 g를 거쳐서 트레이 f까지의 총 거리(G_score:1+1+1+1+3=7)와 H(f)값 즉, 트레이 f로부터 트레이 i까지의 거리(H_score:4)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f)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f)=7*1+4=11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g로부터 트레이 i로 포설경로를 지정(came_form: g->i)할 경우에, G(i)값 즉,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 트레이 d, 트레이 g를 거쳐서 트레이 i까지의 총 거리(G_score:1+1+1+1+2=6)와 H(i)값=0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경로 가중치에 해당하는 W(i)가 "1"이라고 가정하면, 경로 함수값 F(i)=6*1+0=6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1의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는 트레이 g에서 트레이 f로 가는 포설 경로에 대한 데이터가 기재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출발점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f로 가는데 소요되는 경로 함수값들 중에서,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f로 가는 경로 함수값(9.5)이 트레이 g를 거쳐서 트레이 f로 가는 경로 함수값(11)보다 작기 때문에, 트레이 g를 거쳐서 트레이 f로 가는 데이터는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배제된 것이다.
이와 같이, 트레이 g에서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트레이들을 찾아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추가해서 넣고, 그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있는 트레이들을 거쳐갈 경우에 예상되는 경로 함수값을 각각 산출하면, 도 11의 came_from 테이블 목록 중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 g에서 트레이 i로 포설되는 경우에 경로 함수값이 "6"으로서 포설 가능성이 있는 다른 트레이들(트레이 b, 트레이 e 및 트레이 f)의 경로 함수값들(9.3, 12, 9.5)에 비해 가장 작다는 값(6)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i로 포설 경로를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트레이 i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그 후, 검출된 트레이들 중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한다면, 제208 단계로 진행한다.
제206 단계 후에, 순차적으로 검출된 트레이들 중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한다면, 종착점 트레이로부터 역순으로 출발점 트레이까지의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한다(제208 단계). 도 11의 하단에 기재되어 있는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에는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므로,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종착점 트레이 i를 기준으로 하여 역순에 해당하는 트레이 g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트레이 g를 기준으로 역순에 해당하는 트레이 d를 검출할 수 있고, 트레이 d를 기준으로 역순에 해당하는 트레이 a를 검출할 수 있다. 즉,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종착점 트레이 i를 기준으로 역순으로 트레이를 따라가다 보면, 출발점 트레이 a를 검출할 수 있다.
제102 단계 후에,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는 검출된 각 트레이들의 경로를 트레이 경로 상에서의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검출한다(제104 단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역순으로 검출된 트레이 a, 트레이 d, 트레이 g 및 트레이 i가 해당 케이블에 대해 출발점 트레이 a와 종착점 트레이 i 사의 최적의 케이블 포설경로임을 검출한다. 이때, 검출되는 케이블 포설 경로는 2차원 포설 경로일 수도 있지만, 3차원 포설 경로일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케이블 포설 경로는 계산의 편의를 위해, 경로 가중치를 "1"로 설정하였지만, 실제 구현에 있어서는 부피점유율, 무게 점유율, 트레이의 크기, 트레이의 회피구간값, 분류코드 일치여부에 따른 값 등에 따라 "1"이 아닌 경로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과적재되거나 요건에 맞지 않는 트레이들을 회피할 수 있는 포설경로를 검출할 수 있다.
제104 단계 후에, 포설경로 표시부는 상기 검출된 케이블의 포설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와 함께 표시한다(제106 단계). 포설경로 전체 선정이 완료되면, 케이블의 출발점 기기에서 종착점 기기까지 포설되는 트레이 경로가 2차원 또는 3차원 포설경로 모델에서 해당되는 트레이들만 부각되어 표시되고, 케이블의 총 소요길이가 계산되어 표시되고, 각 트레이의 포설율이 계산되어 표시된다.
도 12는 최적의 케이블 포설 경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출발점 기기 및 종착점 기기와 가장 가까운 출발점 트레이 및 종착점 트레이를 선정하고, 이러한 출발점 트레이와 종착점 트레이 상의 최적의 포설경로를 자동 선정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최적 경로를 선정한다. 따라서, 자동 선정된 케이블 포설경로는 2차원 또는 3차원 포설경로 모델에서 복잡한 경로를 쉽게 알수 있도록 회전/확대/축소/이동/을 자유롭고 빠르게 검토하는 기능을 지닌다. 또한, 분류 코드(전압등급, 안전등급)에 맞는 포설경로, 케이블의 부피 점유율 및 무게 점유율이 적으며 과포설이 발생하지 않는 포설경로, 반드시 거쳐 가야 하는 경유지 트레이 지정시 이에 맞는 포설경로, 반드시 피해 가야 하는 경유지 트레이 지정시 이에 맞는 최적의 포설경로 등을 자동 선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데이터베이스(300),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310),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320), 포설경로 표시부(330) 및 제어부(340)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300)는 케이블 포설의 통로 및 목적지가 되는 기기 데이터와 트레이 데이터 및 케이블의 포설경로 모델링을 위한 케이블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기기 데이터는 케이블이 포설되는 기기의 기기명, 기기 식별번호, 기기의 공간 좌표 등을 포함한다. 또한, 트레이 데이터는 트레이 식별번호, 트레이 분류코드, 트레이 폭, 트레이 높이, 트레이 시작 위치좌표, 트레이 종료 위치좌표, 트레이 굴곡점 위치좌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데이터는 케이블 식별번호, 케이블 분류코드, 케이블 사양, 상기 케이블이 시작되는 출발점 기기의 식별번호, 상기 출발점 기기의 공간 좌표, 상기 케이블이 끝나는 종착점 기기의 식별번호, 상기 종착점 기기의 공간 좌표 등을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00)는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310) 및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320)에서 생성되는 모델링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310)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기기 데이터 및 트레이 데이터를 사용해 트레이 경로를 생성한다.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310)는 케이블이 포설되는 트레이의 2차원 또는 3차원 형상을 생성(모델링)한다.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310)는 최소한의 트레이 데이터만 데이터에 기록되어 있기에 트레이 형상을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모델링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연관 관계를 파악하고 트레이의 실제 형상을 자동 재구성한다. 표시되는 트레이는 그 입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색상을 달리 적용하여 시인성을 높인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310)는 트레이의 휘어짐, 연결부, 크기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3차원으로 구현한다.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310)는 구현된 3차원 케이블 포설경로 모델에 대해 복잡한 구조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회전/확대/축소/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320)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어 있는 케이블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점 트레이와 종착점 트레이 사이에 존재하는 각 트레이들의 트레이 길이 및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각 트레이들의 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 상에서의 케이블의 최적의 포설경로로서 검출한다.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320)는 검출되는 최적의 케이블 포설 경로로서 2차원 포설 경로 또는 3차원 포설 경로를 검출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위치 지정모듈(322), 트레이 설정모듈(324),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 및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328)로 구성된다.
위치 지정모듈(322)은 케이블 데이터에 포함되는 출발점 기기의 공간좌표 및 종착점 기기의 공간좌표를 사용해 케이블에 대응하는 출발점 기기 및 종착점 기기의 위치를 트레이 경로 상에 지정한다.
트레이 설정모듈(324)은 출발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출발점 트레이로 설정하고, 종착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종착점 트레이로 설정한다. 트레이 설정모듈(324)은 케이블의 출발점 기기에서 가장 가깝고, 케이블의 포설이 허용되는 종류의 트레이를 케이블 포설경로 상의 출발점 트레이로 설정한다. 이때, 트레이 설정모듈(324)은 출발점 기기와 설정된 출발점 트레이와의 거리도 함께 산출한다. 또한, 트레이 설정모듈(324)은 케이블의 종착점 기기에서 가장 가깝고, 케이블의 포설이 허용되는 종류의 트레이를 케이블 포설경로 상의 종착점 트레이로 설정한다. 이때, 트레이 설정모듈(324)은 종착점 기기와 설정된 종착점 트레이와의 거리도 함께 산출한다.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상기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상기 출발점 트레이부터 순차적으로 검출한다.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각 구간의 트레이들 별로 진행할 수 있는 다음 트레이들의 경로 중에서 상기 경로 함수값이 가장 낮은 값에 해당하는 트레이를 검출한다.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전술한 수학식 1을 사용해 상기 경로 함수값을 산출한다. 전술한 경로 함수값은 작을수록 최적의 트레이 경로에 해당한다. 즉, 현재 트레이에서 진행할 수 있는 다음 트레이들의 경로 중에서 경로 함수값이 가장 낮은 값에 해당하는 트레이를 최적의 트레이로서 검출한다. 경로 함수값의 구성요소가 전술한 바와 같이, 출발점 트레이부터 트레이 n까지의 거리, 트레이 n부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거리, 그리고, 경로 가중치(부피점유율, 무게 점유율, 트레이의 크기, 회피구간값 또는 분류코드 대응값)에 의해 정해지는데, 이러한 각각의 값들은 크기가 작을수록 최적의 트레이 경로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므로, 최적의 트레이 경로를 찾기 위해서는 경로 함수값이 가장 낮은값의 트레이를 찾아야 한다.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경로 함수값을 사용해서 최적의 케이블 경로를 찾기 위해 A 스타(A*)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A 스타(A*) 알고리즘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최적의 케이블 경로의 후보군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검출한다고 했을 때, 아직 조사하지 않은 트레이 명칭 또는 식별기호를 오픈 셋(open_set) 테이블 목록에 기재하고, 이미 조사한 트레이 명칭 또는 식별기호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재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출발점 트레이 a부터 출발하여 순차적으로 최적의 케이블 경로의 후보군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검출한다고 했을 때, 출발점 트레이 a를 시작으로 케이블 경로를 탐색하므로, 출발점 트레이 a가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출발점 트레이 a에서 포설될 가능성이 있는 트레이 b, 트레이 d, 및 트레이 h 각각에 대한 포설 경로를 지정하고, 수학식 1을 사용해 경로 함수값을 산출한다. 즉,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출발 트레이 a에서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트레이를 찾아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추가해서 넣고, 그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있는 트레이들을 거쳐갈 경우에 예상되는 경로 함수값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함수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경로를 선택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a에서 트레이 h로 포설되는 경우에 경로 함수값이 "8"로서 다른 경로 함수값들(11.3 및 8.5)에 비해 가장 작다는 것을 확인하고, 트레이 a에서 트레이 h로 포설 경로를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트레이 h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그 후,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검출된 트레이들 중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전술한 도 7에 도시된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트레이 경로를 검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h에서 포설될 가능성이 있는 트레이 b 및 트레이 c 각각에 대한 포설 경로를 지정하고, 수학식 1을 사용해 경로 함수값을 산출한다.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도 7에서의 트레이 a에서 트레이 b로 가는 포설 경로 대신에 트레이 h에서 트레이 b로 가는 포설 경로에 대한 데이터를 도 8의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 업데이트한다. 이는 출발점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b로 가는데 소요되는 경로 함수값들 중에서, 트레이 a, 트레이 h를 거쳐서 트레이 b로 가는 경로 함수값(9.3)이 트레이 a에서 직접 트레이 b로 가는 경로 함수값(11.3)보다 작기 때문에, 트레이 a로부터 직접 트레이 b로 가는 경로의 데이터 대신에 경로 함수값이 작은 경로(트레이 h에서 트레이 b로 가는 포설 경로)의 데이터로 업데이트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h에서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트레이들을 찾아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추가해서 넣고, 그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있는 트레이들을 거쳐갈 경우에 예상되는 경로 함수값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함수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경로를 선택한다.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h에서 트레이 c로 포설되는 경우에 경로 함수값이 "7.5"로서 다른 경로 함수값(9.3)에 비해 가장 작다는 것을 확인하고, 트레이 h에서 트레이 c로 포설 경로를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트레이 c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그 후,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검출된 트레이들 중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트레이 경로를 검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c에서 포설될 가능성이 있는 트레이 b, 트레이 e, 트레이 f 및 트레이 d 각각에 대한 포설 경로를 지정하고, 수학식 1을 사용해 경로 함수값을 산출한다.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출발점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b로 가는데 소요되는 경로 함수값들 중에서, 트레이 a, 트레이 h를 거쳐서 트레이 b로 가는 경로 함수값(9.3)이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b로 가는 경로 함수값(10.3)보다 작기 때문에,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b로 가는 데이터는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배제시킨다. 또한,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출발점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d로 가는데 소요되는 경로 함수값들 중에서, 트레이 d로 직접 가는 경로 함수값(8.5)이 트레이 a, 트레이 h,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d로 가는 경로 함수값(9)보다 작기 때문에,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d로 가는 데이터는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배제시킨다.
이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c에서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트레이들을 찾아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추가해서 넣고, 그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있는 트레이들을 거쳐갈 경우에 예상되는 경로 함수값을 각각 산출하고, 산출된 경로 함수값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갖는 경로를 선택한다.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a에서 트레이 d로 포설되는 경우에 경로 함수값이 "8.5"로서 포설 가능성이 있는 다른 트레이들(트레이 b, 트레이 e, 및 트레이 f)의 경로 함수값들(9.3, 12, 9.5)에 비해 가장 작다는 값(8.5)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트레이 d로 포설 경로를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트레이 d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그 후,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검출된 트레이들 중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트레이 경로를 검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d에서 포설될 가능성이 있는 트레이 g에 대한 포설 경로를 지정하고, 수학식 1을 사용해 경로 함수값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d에서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트레이 g를 찾아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추가해서 넣고, 그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있는 트레이들을 거쳐갈 경우에 예상되는 경로 함수값을 각각 산출한다. 도 10의 came_from 테이블 목록 중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d에서 트레이 g로 포설되는 경우에 경로 함수값이 "6"으로서 포설 가능성이 있는 다른 트레이들(트레이 b, 트레이 e, 및 트레이 f)의 경로 함수값들(9.3, 12, 9.5)에 비해 가장 작다는 값(6)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트레이 g로 포설 경로를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트레이 g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그 후,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검출된 트레이들 중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고,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트레이 경로를 검출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g에서 포설될 가능성이 있는 트레이 f 및 트레이 i 각각에 대한 포설 경로를 지정하고, 수학식 1을 사용해 경로 함수값을 산출한다.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출발점 트레이 a로부터 트레이 f로 가는데 소요되는 경로 함수값들 중에서, 트레이 c를 거쳐서 트레이 f로 가는 경로 함수값(9.5)이 트레이 g를 거쳐서 트레이 f로 가는 경로 함수값(11)보다 작기 때문에, 트레이 g를 거쳐서 트레이 f로 가는 데이터는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배제시킨다.
이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g에서 케이블이 포설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트레이들을 찾아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추가해서 넣고, 그 오픈 셋 테이블 목록에 있는 트레이들을 거쳐갈 경우에 예상되는 경로 함수값을 각각 산출한다. 도 11의 came_from 테이블 목록 중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트레이 g에서 트레이 i로 포설되는 경우에 경로 함수값이 "6"으로서 포설 가능성이 있는 다른 트레이들(트레이 b, 트레이 e 및 트레이 f)의 경로 함수값들(9.3, 12, 9.5)에 비해 가장 작다는 값(6)을 갖는 것을 확인하고, 트레이 i로 포설 경로를 잠정적으로 설정하고, 트레이 i를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기록한다.
그 후, 트레이 순차검출모듈(326)은 검출된 트레이들 중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종착점 트레이 i가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 목록에 존재한다는 판단신호를 최적 트레이 검출모듈(328)로 출력한다.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328)은 종착점 트레이로부터 역순으로 출발점 트레이까지의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328)은 도 11의 하단에 기재되어 있는 클로우즈 셋(close_set) 테이블에는 종착점 트레이 i가 존재하므로,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종착점 트레이 i를 기준으로 하여 역순에 해당하는 트레이 g를 검출한다. 그 후,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328)은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트레이 g를 기준으로 역순에 해당하는 트레이 d를 검출하고, 트레이 d를 기준으로 역순에 해당하는 트레이 a를 검출한다. 즉,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328)은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종착점 트레이 i를 기준으로 역순으로 트레이를 따라가다 보면, 출발점 트레이 a를 검출할 수 있다.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328)은 역순으로 검출된 각 트레이들의 경로를 트레이 경로 상에서의 케이블의 최적의 포설경로로서 검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328)은 came_from 테이블 목록에서 역순으로 검출된 트레이 a, 트레이 d, 트레이 g 및 트레이 i에 대해 해당 케이블과 관련하여 출발점 트레이 a와 종착점 트레이 i 사의 최적의 케이블 포설경로임을 검출한다. 이때,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328)은 케이블 포설 경로로서 2차원 상의 포설경로 또는 3차원 상의 포설 경로를 검출한다.
포설경로 표시부(330)는 상기 검출된 케이블의 최적의 포설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와 함께 표시한다. 포설경로 표시부(330)는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2차원 포설경로 또는 3차원 포설경로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한다. 포설경로 표시부(330)는 포설경로 전체 선정이 완료되면, 케이블의 출발점 기기에서 종착점 기기까지 포설되는 트레이 경로가 2차원 또는 3차원 포설경로 모델에서 해당되는 트레이들만을 부각시켜 표시하고, 산출된 케이블의 총 소요길이, 각 트레이의 포설율 등을 표시한다.
제어부(340)는 데이터베이스(300),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310),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320) 및 포설경로 표시부(3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40)는 데이터베이스(300),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310),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320) 및 포설경로 표시부(330)의 명령을 해독, 산술논리연산, 데이터 처리 및 관리를 실행함으로써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 발명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0: 데이터베이스
310: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
320: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
322: 위치 지정모듈
324: 트레이 설정모듈
326: 트레이 순차검출모듈
328: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
330: 포설경로 표시부
340: 제어부

Claims (16)

  1.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가 케이블 포설의 통로 및 목적지가 되는 기기 데이터 및 트레이 데이터를 사용해 트레이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가,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 모델링을 위한 케이블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점 트레이로부터 특정 트레이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총 트레이 길이, 각 트레이들의 트레이 길이 및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가중치, 및 상기 특정 트레이로부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가 검출된 각 트레이들의 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 상에서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점유율은 실제 트레이에 채워져 있는 케이블의 점유비율을 트레이에 최대로 채워질 수 있는 케이블의 최대점유비율로 나눈 값에 특정한 상수를 곱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데이터는 상기 케이블이 포설되는 기기의 기기명, 기기 식별번호, 기기의 공간 좌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데이터는 트레이 식별번호, 트레이 분류코드, 트레이 폭, 트레이 높이, 트레이 시작 위치좌표, 트레이 종료 위치좌표, 트레이 굴곡점 위치좌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데이터는 케이블 식별번호, 케이블 분류코드, 케이블 사양, 상기 케이블이 시작되는 출발점 기기의 식별번호, 상기 출발점 기기의 공간 좌표, 상기 케이블이 끝나는 종착점 기기의 식별번호, 상기 종착점 기기의 공간 좌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가 상기 경로 함수값에 따라 케이블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출발점 기기의 공간좌표 및 상기 종착점 기기의 공간좌표를 사용해, 상기 케이블에 대응하는 상기 출발점 기기 및 상기 종착점 기기의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상기 출발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상기 출발점 트레이로 설정하고, 상기 종착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상기 종착점 트레이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상기 출발점 트레이부터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단계;
    순차적으로 검출된 트레이들 중 상기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순차적으로 검출된 트레이들 중 상기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한다면, 상기 종착점 트레이로부터 역순으로 상기 출발점 트레이까지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상기 출발점 트레이부터 순차적으로 검출하는 단계는
    각 구간의 트레이들 별로 진행할 수 있는 다음 트레이들의 경로 중에서 상기 경로 함수값이 가장 낮은 값에 해당하는 트레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함수값은 상기 출발점 트레이로부터 특정 트레이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총 트레이 길이에 상기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가중치를 곱한 뒤 상기 특정 트레이로부터 상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길이를 더한 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가중치는 상기 각 트레이들의 트레이 길이 및 케이블 점유율 외에 상기 트레이의 크기, 상기 트레이의 회피구간으로서의 값 및 상기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사이의 분류코드 일치여부에 따른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을 추가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은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를 검출한 후에, 포설경로 표시부가 상기 검출된 케이블의 포설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은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2차원 포설경로 및 3차원 포설경로 중 어느 하나의 포설경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10.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가 케이블 포설의 통로 및 목적지가 되는 기기 데이터 및 트레이 데이터를 사용해 트레이 경로를 생성하는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 모델링을 위한 케이블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발점 트레이로부터 특정 트레이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총 트레이 길이, 각 트레이들의 트레이 길이 및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가중치, 및 상기 특정 트레이로부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는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각 트레이들의 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 상에서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검출하는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
    상기 기기 데이터, 상기 트레이 데이터 및 상기 케이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트레이 경로 모델링부,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점유율은 실제 트레이에 채워져 있는 케이블의 점유비율을 트레이에 최대로 채워질 수 있는 케이블의 최대점유비율로 나눈 값에 특정한 상수를 곱한 것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는
    상기 케이블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출발점 기기의 공간좌표 및 상기 종착점 기기의 공간좌표를 사용해, 상기 케이블에 대응하는 상기 출발점 기기 및 상기 종착점 기기의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모듈;
    상기 출발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상기 출발점 트레이로 설정하고, 상기 종착점 기기와 최단 거리 내에 존재하는 트레이를 상기 종착점 트레이로 설정하는 트레이 설정모듈;
    상기 경로 함수값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트레이들을 상기 출발점 트레이부터 순차적으로 검출하고, 순차적으로 검출된 트레이들 중 상기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트레이 순차검출모듈; 및
    순차적으로 검출된 트레이들 중 상기 종착점 트레이가 존재한다면, 상기 종착점 트레이로부터 역순으로 상기 출발점 트레이까지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에 해당하는 각각의 트레이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각 트레이들의 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 상에서의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검출하는 최적 포설경로 검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순차검출모듈은
    각 구간의 트레이들 별로 진행할 수 있는 다음 트레이들의 경로 중에서 상기 경로 함수값이 가장 낮은 값에 해당하는 트레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순차검출모듈은
    상기 출발점 트레이로부터 특정 트레이까지 가는데 소요되는 총 트레이 길이에 상기 케이블 점유율에 따른 경로 가중치를 곱한 뒤 상기 특정 트레이로부터 상기 종착점 트레이까지의 길이를 더하는 방법으로 상기 경로 함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가중치는, 상기 각 트레이들의 트레이 길이 및 케이블 점유율 외에 상기 트레이의 크기, 상기 트레이의 회피구간으로서의 값 및 상기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사이의 분류코드 일치여부에 따른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을 추가로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는
    상기 검출된 케이블의 포설경로를 상기 트레이 경로와 함께 표시하는 포설경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경로 모델링부는
    상기 케이블의 포설경로로서 2차원 포설경로 및 3차원 포설경로 중 어느 하나의 포설경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장치.
KR1020130012945A 2013-02-05 2013-02-05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및 장치 KR101452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945A KR101452927B1 (ko) 2013-02-05 2013-02-05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945A KR101452927B1 (ko) 2013-02-05 2013-02-05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116A KR20140100116A (ko) 2014-08-14
KR101452927B1 true KR101452927B1 (ko) 2014-10-22

Family

ID=51746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945A KR101452927B1 (ko) 2013-02-05 2013-02-05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065B1 (ko) * 2020-04-14 2021-05-14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전기케이블 3d 자동모델링 장치,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5149462A (zh) * 2022-08-24 2022-10-0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电缆敷设的控制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454A (ja) * 1995-08-08 1997-02-18 Toshiba Corp ケーブル敷設ルート設定方法
JPH1021269A (ja) * 1996-06-28 1998-01-2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配線経路設計支援方法及び装置
KR100904868B1 (ko) * 2005-08-15 2009-06-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케이블 물량 집계 장치, 케이블 물량 집계 방법 및 케이블 물량 집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90091074A (ko) * 2008-02-21 2009-08-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최적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454A (ja) * 1995-08-08 1997-02-18 Toshiba Corp ケーブル敷設ルート設定方法
JPH1021269A (ja) * 1996-06-28 1998-01-2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配線経路設計支援方法及び装置
KR100904868B1 (ko) * 2005-08-15 2009-06-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케이블 물량 집계 장치, 케이블 물량 집계 방법 및 케이블 물량 집계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90091074A (ko) * 2008-02-21 2009-08-2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최적 경로 탐색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116A (ko) 2014-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8044B2 (ja) ルート逸脱認識方法、端末、および記憶媒体
CN107436148B (zh) 一种基于多地图的机器人导航方法及装置
US10783692B2 (en) Animation authoring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animation
CN103186710B (zh) 最优路径搜索方法及系统
JP6161071B2 (ja) 設備状態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5335597B (zh) 用于获取路线的轨迹模式的方法和系统
KR101989314B1 (ko) 배관 모델링 방법 및 이를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11823330B2 (en) Detection device, detection method and detection program for linear structure
JP6725432B2 (ja) 配管作業経路作成装置、配管作業経路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05434B1 (ko) 교차로에서의 안내정보 생성 방법 및 안내정보 생성 장치
CN109682336A (zh) 用于车身精度检测的三坐标测量路径自动规划与优化方法
CN105893384A (zh) 一种在三维空间中建立电子围栏的方法
KR20150099790A (ko) 포인트 클라우드 이미지를 배관 라인 도면과 연관시키고 이들에 대한 치수들을 적용하는 방법
US8370116B2 (en) Harness verification apparatus, harness verif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6149090A (ja) 自律移動装置、自律移動システム、自律移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81375A (ko) 지식 기반을 활용한 배관경로생성에 의한 플랜트 배치 장치 및 그 방법
KR101452927B1 (ko) 최적화된 케이블 포설경로 검출방법 및 장치
CN114527788A (zh) 基于动态权重的a星算法改进方法、系统、装置及介质
JP6267307B2 (ja) 物品の設置空間の探索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905089B2 (ja) 配管又は配線支援装置
WO2017163396A1 (ja) 圧力損失決定装置、圧力損失決定プログラム及び圧力損失決定方法
JP6778631B2 (ja) 建物設計情報修正支援装置、建物設計情報修正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25929B2 (ja) ケーブル選定システムおよび選定方法
KR102605041B1 (ko) 3차원 cad 모델 기반의 네비게이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5622600B2 (ja) 配管経路探索装置とそれを用いて作成した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