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590B1 -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590B1
KR101451590B1 KR1020130033616A KR20130033616A KR101451590B1 KR 101451590 B1 KR101451590 B1 KR 101451590B1 KR 1020130033616 A KR1020130033616 A KR 1020130033616A KR 20130033616 A KR20130033616 A KR 20130033616A KR 101451590 B1 KR101451590 B1 KR 101451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unction control
current
power supply
control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8164A (ko
Inventor
조성근
김현
Original Assignee
조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근 filed Critical 조성근
Priority to KR102013003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590B1/ko
Publication of KR2014011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19Cleaning the elec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전극의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전극을 통한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해당 기능의 수행 시 일정 주기 및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SMPS를 통해 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걸어 전극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foreign body of electrode using Switching Mode Power Supply}
본 발명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전극의 세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전극을 통한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해당 기능의 수행 시 일정 주기 및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SMPS를 통해 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걸어 전극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도체형 노즐, 감지 센서, 물 전기분해장치 및 음이온 발생기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들에서 전극이 이용되고 있다.
통상 전극을 이용하는 장치는 전극과 접촉하는 물질들을 전기분해하거나 물질의 특성을 센싱하기 위해 전극에 걸리는 전압에 의해 물질들을 이온화시킨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극을 사용하는 물 전기분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물 전기분해장치(20)의 제1전극(22) 및 제2전극(23)은 용기(10)에 담긴 용액(11)에 담기고, 제1전극(22)에 양극(+)이 걸리고 제2전극(23)에 음극(-)이 걸리도록 전원(21)이 연결된다. 이때 물은 전기분해 되면서 물의 음극 성분 물질의 음이온(12)은 제1전극(22)으로 이동하여 제1전극(22)에 달라붙고, 양극 성분 물질의 양이온(13)은 제2전극(23)으로 이동하여 제2전극(23)에 달라붙는다. 이렇게 달라붙은 이온들 대부분은 전원(21)이 제거되면 떨어지나, 일부는 전극들(22, 23)에 달라붙은 상태에서 고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극에 전극이 담긴 용액의 임의의 성분들이 달라붙어 고착됨에 따라 전극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820811호 등록특허 제10-111613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전극을 통한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해당 기능의 수행 시 일정 주기 및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근거하여 SMPS를 통해 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걸어 전극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는: 입력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전원부; 임의의 성분의 용액에 담겨지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상기 구동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상기 구동전원에 대한 순방향 전압 또는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일정 기능 제어 클럭 수 단위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기능 제어 클럭 수 단위로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되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량을 고려하여 역방향 전압의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순방향 전압 인가하는 기능 제어 클럭에서 상기 전류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류값이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수 단위로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 제어 클럭에서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값이 제2기준치 이상이면 순방향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검출부를 통해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에 대응하는 일정 시간단위의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를 결정하고, 상기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에 따른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수 단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방법은: 제어부가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과정; 상기 제어부가 기능 제어 클럭 발생에 따른 기능 제어 클럭 발생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기능 제어 클럭에 따라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이용한 기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 동작 과정; 상기 카운트된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는 이물질 제거 판단 과정; 및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상기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했으면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걸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능 동작 과정은, 기능 제어 클럭 발생에 따른 기능 제어 클럭 발생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는 카운트 단계; 상기 기능 제어 클럭에 따라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이용한 기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 제어 동작 단계; 및 상기 기능 동작 과정에 따른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이용한 기능 제어 동작 수행에 의해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거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제거 판단 과정은, 상기 카운트된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카운트 도달 판단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의 전류값을 가지는지를 판단하는 전극 이물질 점착 판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 과정은,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하고, 상기 측정된 전류값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걸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거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과정; 상기 측정된 전류 측정값에 대응하는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를 결정하는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 결정 과정; 상기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카운트 수를 결정하는 기준 카운트 수 결정 과정을 더 포함하여 수행한 후, 상기 초기화 과정 이후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극에 점착된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전극의 성능을 열화시키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한 전극의 해당 기능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극에 점착될 수 있는 물질에 따른 전류량에 근거하여 전극에 이물질이 점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역방향 전압에 의한 이물질 제거 여부를 판단하므로 불필요한 이물질 제거 동작을 방지하거나 이물질 제거 주기가 아니어도 전극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전극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전극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극을 사용하는 물 전기분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SMPS)부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장치에서의 이물질 제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는 제1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 전원부(120), 전극부(130),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140)를 포함하며,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라 전류 검출부(150)를 더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입력부(160) 및 표시부(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전원부(120)는 입력전원을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의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입력전원은 가정전원인 110V 또는 220V의 교류전원이 될 수도 있고, 배터리 등과 같은 직류 전원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전원은 전극의 기능에 따라 교류전원 및 직류전원 중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전극부(130)는 구동 시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두 개의 전극을 구비한다.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140)는 전원부(120)로부터 구동전원을 인가받고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구동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전극부(130)의 전극들에 순방향 전압 또는 역방향 전압을 인가한다.
전류 검출부(150)는 전극부(130) 또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140)를 통해 두 개의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입력부(160)는 데이터를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는 버튼 또는 키를 구비하고, 눌린 버튼 또는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표시부(17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액정표시장치(LCD)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동작상태 및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입력부(160) 및 표시부(17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용액의 종류를 표시하고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용액의 종류에 따라 이물질이 붙어있지 않을 경우의 전극을 통해 측정되는 전류값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와 같이 용액의 종류를 선택하여 설정하기 위해서 제어부(110)는 다수의 용액별로 이물질이 붙어 있지 않을 때의 전류값이 저장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SMPS)부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140)는 제어부(11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게이트를 구비하고 H-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는 4개의 스위칭 소자(Q1~Q4)와, 각 스위칭 소자의 드레인에 캐소드가 연결되고 소스에 애노드가 연결되는 4개의 다이오드(D1 ~ D4)들로 구성된다.
도 1과 같이 전극부(130)의 제1전극(131)은 제1스위칭 소자(Q1)의 소스와 제2스위칭 소자(Q2)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제2전극은(132)은 제3스위칭 소자(Q3)의 소스와 제4스위칭 소자(Q4)의 드레인 사이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들(Q1~Q4)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제1전극(131)에 양극이 걸리고 제2전극(132)에 음극(이하 "순방향 전압"라 함)이 걸릴 수도 있고, 제1전극(131)에 음극이 걸리고 제2전극(132)에 양극이 걸릴(이하 "역방향 전압"라 함)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1스위칭 소자(Q1)와 제4스위칭 소자(Q4)의 게이트로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제1스위칭 소자(Q1) 및 제4스위칭 소자(Q4)가 온(ON)되고, 제2스위칭 소자(Q2) 및 제3스위칭 소자(Q3)가 오프(OFF)되면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에 순방향 전압이 걸리고, 반대로 제2스위칭 소자(Q2) 및 제3스위칭 소자(Q3)가 온되고, 제1스위칭 소자(Q1) 및 제4스위칭 소자(Q4)가 오프되면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에 역방향 전압이 걸린다.
도 3에서는 제2전극(132)과 제3스위칭 소자의 소스 사이에 전류 검출부(150)가 연결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제1전극(131)과 제1스위칭 소자의 소스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제1다이오드(D1) 및 제2다이오드(D2) 사이 및 제3다이오드(D3) 및 제4다이오드(D4)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10)는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를 초기화한다(S411).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초기화되면 제어부(110)는 기능 제어 클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412). 상기 기능 제어 클럭이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클럭에 동기화되어 기능 제어 클럭을 카운트하고(S413)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에 순방향 전압을 걸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415). 상기 기능 제어 클럭이란 일정 주기로 발생하는 펄스로, 하나의 클럭 발생 시마다 제1전극(131) 및 제2전극(132)에 순방향 전압을 걸거나 역방향 전압을 걸어 해당 기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상기 클럭 발생에 따른 동작 수행 후 카운트된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카운트 수(또는 "기능 제어 클럭 수 단위"라 함)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사한다(S417).
상기 기능 제어 클럭의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하였으면 제어부(110)는 제1전극(131) 및 제2전극(132)에 역방향 전압을 걸어 전극들(131, 132)에 점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S419). 예를 들어, 상기 기준 카운트 수는 60이 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110)는 60번 중 59번은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에 순방향 전압이 걸리도록 제어하고, 60번 중 1번은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에 역방향 전압이 걸리도록 제어한다.
상기 과정은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전원이 오프될 때까지 반복 수행될 것이다(S421).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전극 사이를 흐르는 전류량을 반영하여 이물질 제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전류량을 반영하는 경우에도 상기 도 4의 S411 내지 S415에 대응하는 S511 매지 S515를 수행한다.
단, S515에서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에 순방향 전압이 걸릴 때 제어부(110)는 전류 검출부(150)를 통해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 사이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S517).
상기 전류의 측정 후 제어부(110)는 카운트된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카운트 수가 되었으면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에 역방향 전압을 걸어 전극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S523),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기준 카운트 수가 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측정된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은지를 판단하여(S521) 작은 경우 상기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에 역방향 전압을 걸어 전극(131, 132)에 점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S523). 즉, 이물질을 제거할 카운트 회수에 이르지 않았어도 측정 전류값이 기준치보다 작으면 이물질 제거 동작을 수행한다.
도 5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했어도 제어부(110)는 측정 전류값이 제2기준치 이상이면 이물질 제거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기준치와 상기 제2기준치는 본 발명의 이물질 제거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어 처음 측정되는 초기 전류값(이물질이 점착되지 않았을 때의 전류값)의 일정 % 이하 의 값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첫 측정된 전류가 10mA이었다면 상기 기준치는 20%미만인 8mA가 될 수 있고, 제2기준치는 9mA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측정된 전류가 8mA 이하 이면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기준 카운트 수가 안 되었어도 이물질 제거 동작을 수행하고,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기준 카운트 수가 되었어도, 측정된 전류가 9mV 이상이면 이물질 제거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전류량을 반영하여 기준 카운트 수를 결정하여 전극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10)는 전류 검출부(150)를 통해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한다(S611).
전류가 측정되면 제어부(110)는 전극이 담겨 있는 용액에 대응하는 전류 값별 일정 시간(클럭) 당 역방향 전압 공급 회수(또는 "이물질 제거 회수"라 함)를 정의하고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측정된 전류값에 대응하는 역방향 전압 공급 회수를 결정한다(S613).
역방향 전압 공급 회수가 결정되면 제어부(110)는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에 따른 기준 카운트 수를 결정한다(S615). 예를 들어 1분에 120클럭의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가 5회로 결정되면 기준 카운트 수는 120/5=24가 된다. 즉 24 클럭마다 이물질 제거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기준 카운트 수가 결졍되면 제어부(110)는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를 0으로 초기화하고(S617), 기능 제어 클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618).
기능 제어 클럭이 발생되면 제어부(110)는 기능 제어 클럭 발생 회수를 카운트하고(S619), 기능 제어 클럭 발생에 따른 제1전극(131)과 제2전극(132)에 순방향 전압을 걸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621).
제어부(110)는 상기 카운트된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상기 결정된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고(S623), 상기 카운트 수가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했으면 제1전극(131) 및 제2전극(132)에 역방향 전압을 공급하여 이물질 제거 동작을 수행한다(S625).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10: 제어부 120: 전원부
130: 전극부 131: 제1전극
132: 제2전극 140: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
150: 전류 검출부 160: 입력부
170: 표시부

Claims (7)

  1. 입력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전원부;
    임의의 성분의 용액에 담겨지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상기 구동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상기 구동전원에 대한 순방향 전압 또는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일정 기능 제어 클럭 수 단위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되,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량을 고려하여 역방향 전압의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순방향 전압 인가하는 기능 제어 클럭에서 상기 전류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류값이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수 단위로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는 기능 제어 클럭에서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값이 제2기준치 이상이면 순방향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입력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전원부;
    임의의 성분의 용액에 담겨지는 제1전극과 제2전극을 포함하는 전극부;
    상기 구동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에 상기 구동전원에 대한 순방향 전압 또는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
    상기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상기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여 일정 기능 제어 클럭 수 단위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인가하되, 상기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량을 고려하여 역방향 전압의 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검출부를 통해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류값에 대응하는 일정 시간단위의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를 결정하고, 상기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에 따른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수 단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5. 제어부가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과정;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거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과정;
    상기 제어부가 기능 제어 클럭 발생에 따른 기능 제어 클럭 발생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기능 제어 클럭에 따라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이용한 기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 동작 과정;
    상기 카운트된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하거나 상기 측정된 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이물질 제거 판단 과정;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상기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하고,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하거나 측정된 전류값이 상기 기준치 이하이면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걸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과정; 및
    상기 이물질 제거 중 상기 측정되는 전류가 미리 설정된 제2기준치 이상이면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순방향 전압을 걸어 기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이물질 제거 종료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방법.
  6. 삭제
  7. 제1전극과 제2전극을 거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과정;
    상기 측정된 전류 측정값에 대응하는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를 결정하는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 결정 과정;
    상기 역방향 전원 공급 회수에 대응하는 기준 카운트 수를 결정하는 기준 카운트 수 결정 과정;
    제어부가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를 초기화하는 초기화 과정;
    상기 제어부가 기능 제어 클럭 발생에 따른 기능 제어 클럭 발생 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기능 제어 클럭에 따라 제1전극과 제2전극을 이용한 기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 동작 과정;
    상기 카운트된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상기 설정된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는 이물질 제거 판단 과정; 및
    상기 기능 제어 클럭 카운트 수가 기준 카운트 수에 도달했으면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역방향 전압을 걸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방법.
KR1020130033616A 2013-03-28 2013-03-28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451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616A KR101451590B1 (ko) 2013-03-28 2013-03-28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616A KR101451590B1 (ko) 2013-03-28 2013-03-28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164A KR20140118164A (ko) 2014-10-08
KR101451590B1 true KR101451590B1 (ko) 2014-10-22

Family

ID=5199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616A KR101451590B1 (ko) 2013-03-28 2013-03-28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562B1 (ko) * 2015-07-03 2017-02-27 신봉기 동 이온 발생 제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644A (ja) * 1994-01-27 1995-08-08 Asahi Glass Co Ltd イオン水生成器
KR960041068A (ko) * 1995-11-29 1996-12-17 테쯔로 후나이 이온(ion)수 생성기의 세정 제어장치
KR100372554B1 (ko) 1999-07-13 2003-03-07 황재석 정전류형 전기 분해법에 의한 오,폐수 처리와 분뇨 및 축산분뇨의 고도처리장치
JP2003225666A (ja) * 2002-02-06 2003-08-12 Aiken Kogyo Kk 電解水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4644A (ja) * 1994-01-27 1995-08-08 Asahi Glass Co Ltd イオン水生成器
KR960041068A (ko) * 1995-11-29 1996-12-17 테쯔로 후나이 이온(ion)수 생성기의 세정 제어장치
KR100372554B1 (ko) 1999-07-13 2003-03-07 황재석 정전류형 전기 분해법에 의한 오,폐수 처리와 분뇨 및 축산분뇨의 고도처리장치
JP2003225666A (ja) * 2002-02-06 2003-08-12 Aiken Kogyo Kk 電解水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164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6827B1 (en) Toothbrush with indicator of use
CN104852439B (zh) 电子设备以及双电池充放电切换方法
CN106655458B (zh) 电池切换方法、具该电池的电子装置及可穿戴装置
TW200617832A (en) Active matrix display devices
US9092015B2 (en) Electronic timepiece
WO2012045229A8 (en) Improved pixel circuit and display system comprising same
CN107272965B (zh) 触控显示面板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触控显示装置
KR101451590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을 이용한 전극 이물질 제거 장치 및 방법
RU2709822C2 (ru) Система форм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импульс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емкостной связи
CN1695103A (zh) 低电压检测系统
KR101124097B1 (ko) 자기 검출 방식의 웨이크업 기능을 갖는 전자 선반 레이블 시스템
EP3073332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initializing controller of electronic device
CN109683844A (zh) 条形屏控制电路、条形屏显示系统以及条形屏控制方法
JP6321918B2 (ja) 発電検出装置および回転カウンタ
CN105902221B (zh) 刷牙用杯、牙刷以及口腔护理系统
CN106461637A (zh) 带有身体部位接近传感器模块的手持式测试仪
JP2002330752A (ja) 微生物数測定装置
EP3241534B1 (en) Magnetically held diaper monitor
US8937453B2 (en) Supply unit and a method for supplying an electrically operated device
JP2013038833A (ja) 充電制御内容の表示方法及びパック電池
CN208903232U (zh) 触摸屏被动触发装置
US20100026324A1 (en) Soil moisture sensor with long battery life
CN207067268U (zh) 一种显示屏开机测试电路及装置
KR102356075B1 (ko) 실내 광 에너지 하비스팅 기반의 전자 가격표시 장치
CN216107241U (zh) 电解水设备及其保护控制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