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476B1 -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476B1
KR101451476B1 KR1020120097510A KR20120097510A KR101451476B1 KR 101451476 B1 KR101451476 B1 KR 101451476B1 KR 1020120097510 A KR1020120097510 A KR 1020120097510A KR 20120097510 A KR20120097510 A KR 20120097510A KR 101451476 B1 KR101451476 B1 KR 10145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leg
horizontally
couple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843A (ko
Inventor
정명식
Original Assignee
정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식 filed Critical 정명식
Priority to KR102012009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4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Abstract

본 발명은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파, 미나리 등을 포함한 엽채류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고압수분사부를 통해 흙 등의 이물질이 묻은 엽채류의 표피를 보다 용이하게 박피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엽채류를 보다 높은 효율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나아가 구성부품수가 적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LEAFY VEGETABLES EPIDERMAL PEELS AND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파, 미나리 등을 포함한 엽채류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고압수분사부를 통해 흙 등의 이물질이 묻은 엽채류의 표피를 보다 용이하게 박피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엽채류를 보다 높은 효율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나아가 구성부품수가 적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엽채류는 깻잎 상추, 배추, 시금치, 파, 미나리 등과 같이 잎을 이용목적으로 하는 채소의 명칭으로서, 이러한 엽채류는 저장성이 낮아 유통기간이 짧기 때문에 수확시 즉시 재배과정에서 표피에 묻은 오염된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세척하여 유통된다.
그러나, 엽채류는 조직이 연하고 형상이 부정형이어서 기계에 의한 세척이 어려운 점이 작업에 장애요인이다.
따라서, 손세척처럼 깨끗하게 세척하면서 연속적으로 작업이 가능한 세척기의 필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회전시 엉킴과 상처가 매우 커서 손실율이 매우 높고, 또한 동일방향과 동일유속에 의한 세척임으로, 각 세척물의 회전 및 반전이 없어 세척률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엽채류의 세척과정을 기계화함으로서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고, 공기 및 세정수에 의하여 순환류층을 발생시켜 엽채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연속적으로 세척함으로서,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엽체류 연속 세척장치가 국내등록특허 10-0747098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엽체류 연속 세척장치는 구성부품수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기에 제조하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됨과 더불어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보관 및 운반이 여의치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파, 미나리 등을 포함한 엽채류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고압수분사부를 통해 흙 등의 이물질이 묻은 엽채류의 표피를 보다 용이하게 박피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엽채류를 보다 높은 효율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나아가 구성부품수가 적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인입된 엽채류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상측고압수분사부재와,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인입된 엽채류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하측고압수분사부재로 구성되는 고압수분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되고, 내부로 고압수가 공급되는 상측분사관과; 상기 상측분사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분사관의 내부로 공급된 고압수를 엽채류로 분사하는 상측분사노즐;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고압수분사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되고, 내부로 고압수가 공급되는 하측분사관과; 상기 하측분사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분사관의 내부로 공급된 고압수를 엽채류로 분사하는 하측분사노즐;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와 상기 하측고압수분사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를 회전시킨 후 위치고정되는 상측회전부재와; 상기 하측고압수분사부재를 회전시킨 후 위치고정되는 하측회전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회전부재는 상기 상측분사관의 일측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측분사관을 회전시키고 하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상측손잡이부재와; 상기 상측손잡이부재의 일측에 중간부가 축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상측손잡이부재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핀부재가 형성되는 상측보조손잡이부재와; 상기 상측손잡이부재와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상측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의 일측 상부에 수직형성되고,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의 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측고정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회전부재는 상기 하측분사관의 일측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하측분사관을 회전시키고 상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하측손잡이부재와; 상기 하측손잡이부재의 일측에 중간부가 축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하측손잡이부재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핀부재가 형성되는 하측보조손잡이부재와; 상기 하측손잡이부재와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하측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의 일측 하부에 수직형성되고,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의 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측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엽채류를 타격하는 타격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고, 상기 회전체를 따라 회전하여 엽채류를 타격하는 타격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상기 타격부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가이드슬릿 및 타측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의 일측은 상기 일측가이드슬릿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타격부의 타측은 상기 타측가이드슬릿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수평고정되고, 상부면 중심부에 관체가 수직형성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에 상기 타격부의 일측과 결합되는 일측베어링이 구비되는 일측상하이동바와; 상기 고정대의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에 상기 타격부의 타측과 결합되는 타측베어링이 구비되는 타측상하이동바와; 상기 일측상하이동바와 상기 타측상하이동바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일측상하이동바와 상기 타측상하이동바를 연결하고, 상기 일측상하이동바와 상기 타측상하이동바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연결바와; 상기 고정대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연결바의 일측을 관통하는 일측가이드봉과, 상기 고정대의 상부면 타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연결바의 타측을 관통하는 타측가이드봉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고정대의 관체내에 하측이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연결바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상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상하이동부에 상기 타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하이동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는 상측회전체와, 상기 타격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측회전체로 구성되는 회전체와; 상기 상측회전체의 외주면과 상기 하측회전체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감김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내부에 엽채류를 안착지지하는 지지판이 수평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의 표면에 상기 지지판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판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연장형성되는 슬릿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상기 몸체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 사이에 상기 몸체가 상하높이 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일측가이드관과 상기 몸체의 타측에 축결합되는 타측가이드관으로 구성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일측가이드관의 내부에 수직으로 수용되는 일측다리부재와, 상기 타측가이드관의 내부에 수직으로 수용되는 타측다리부재와, 상기 일측다리부재의 하측에 수평형성되는 일측받침다리부재와, 상기 타측다리부재의 하측에 수평형성되는 타측받침다리부재와, 상기 일측다리부재의 하측과 상기 타측다리부재의 하측사이에 일체형성되는 연결다리부재로 구성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리부 사이에 상기 몸체가 상하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고, 상기 가이드관에 상하각도조절된 상태인 상기 몸체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타측가이드관에 수평구비되고, 전측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손잡이부재의 타측에 중간부가 축결합되고, 전측에 상기 손잡이부재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핀부재가 형성되는 보조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와 상기 보조손잡이부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손잡이부재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손잡이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손잡이부재의 핀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받침다리부재의 하부면 전측과 상기 일측받침다리부재의 하부면 후측 및 상기 타측받침다리부재의 하부면 전측과 상기 타측받침다리부재의 하부면 후측에 상측이 각각 나사결합되는 수평조절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파, 미나리 등을 포함한 엽채류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고압수분사부를 통해 흙 등의 이물질이 묻은 엽채류의 표피를 보다 용이하게 박피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엽채류를 보다 높은 효율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나아가 구성부품수가 적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5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지지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몸체의 상하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몸체에서 가이드관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13은 몸체의 상하각도가 조절된 사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와 고압수분사부(도 5의 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과 후측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0)의 내부로는 작업자에 의해 파, 미나리 등을 포함한 엽채류(도 5의 5)의 줄기부위가 인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압수분사부(2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고압수분사부재(210)와 하측고압수분사부재(220)로 구성된다.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210)는 상기 몸체(10)의 전측 내부 상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엽채류(5)의 상측줄기부위로 고압수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 하측고압수분사부재(220)는 상기 몸체(10)의 전측 내부 하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엽채류(5)의 하측줄기부위로 고압수를 분사하게 된다.
도 6은 도 5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21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측분사관(211)과 상측분사노즐(2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분사관(211)이 상기 몸체(10)의 전측 내부 상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일측은 상기 몸체(10)의 일측면 상측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고,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타측은 상기 몸체(10)의 타측면 상측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내부로는 물 등을 포함한 고압수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상측분사노즐(212)은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하측에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일측에서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내부에 공급된 물 등을 포함한 고압수를 엽채류(5)의 상측줄기부위로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하측고압수분사부재(22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측분사관(221)과 하측분사노즐(2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분사관(221)이 상기 몸체(10)의 전측 내부 하측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일측은 상기 몸체(10)의 일측면 하측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타측은 상기 몸체(10)의 타측면 하측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내부로는 물 등을 포함한 고압수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하측분사노즐(222)은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상측에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일측에서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내부에 공급된 물 등을 포함한 고압수를 엽채류(5)의 하측줄기부위로 분사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내부 및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내부로 물 등을 포함한 고압수를 공급하는 고압수공급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압수공급부(230)로서, 일반 상하수도를 이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압수공급부(230)가 저장탱크(231), 공급관(232), 개폐밸브(233) 및 펌프(2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231)의 내부에는 일정높이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232)은 일측공급관(232a)과 타측공급관(23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공급관(232a)은 일측상부공급관(232a1)과 일측하부공급관(232a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부공급관(232a1)이 상기 상측분사관(211)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상부공급관(232a1)의 일측은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타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하부공급관(232a2)이 상기 하측분사관(221)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하부공급관(232a2)의 일측은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타측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공급관(232b)과 상기 일측상부공급관(232a1)이 연통되도록 상기 타측공급관(232b)의 일측 상부에 상기 일측상부공급관(232a1)의 타측이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공급관(232b)과 상기 일측하부공급관(232a2)이 연통되도록 상기 타측공급관(232b)의 일측 하부에 상기 일측하부공급관(232a2)의 타측이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공급관(232b)과 상기 저장탱크(231)가 연통되도록 상기 타측공급관(232b)의 타측은 상기 저장탱크(231)의 일측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233)는 상기 타측공급관(232b)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측공급관(232b)을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펌프(234)는 상기 개폐밸브(233)와 상기 저장탱크(23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공급관(232b)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탱크(231)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강제펌핑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210)와 상기 하측고압수분사부재(220)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는 크게,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210)를 정역회전시킨 후 위치고정되는 상측회전부재(310)와; 상기 하측고압수분사부재(220)를 정역회전시킨 후 위치고정되는 하측회전부재(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회전부재(310)는 상측손잡이부재(311),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 상측탄성부재(313) 및 상측고정판(3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의 하측을 기준으로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의 상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도 2의 실선화살표 참조.)하여 상기 상측분사관(211)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압수를 분사하는 상기 상측분사노즐(212)의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의 하측 표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구(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의 중간부는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의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의 하측에는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의 관통구(311a)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관통구(311a)를 관통하는 핀부재(312a)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탄성부재(313)가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와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축(312b)에는 상기 상측탄성부재(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측탄성부재(313)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상측탄성부재(313)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축(312b)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측탄성부재(313)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와 접한 상태로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측탄성부재(313)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와 접한 상태로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측고정판(314)은 상기 몸체(10)의 일측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고정판(314)의 표면에는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의 핀부재(312a)가 삽입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삽입공(314a)이 상기 상측고정판(314)의 전측에서 상기 상측고정판(314)의 후측으로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고정판(314)의 삽입공(314a)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의 핀부재(312a)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상측분사관(211)이 정역회전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회전부재(320)는 하측손잡이부재(321),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 하측탄성부재(323) 및 하측고정판(3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는 상기 몸체(10)의 일측 외부방향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의 상측을 기준으로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의 하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회전이동(도 2의 실선화살표 참조.)하여 상기 하측분사관(221)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고압수를 분사하는 상기 하측분사노즐(222)의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의 상측 표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구(3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의 중간부는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의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의 상측에는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의 관통구(321a)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관통구(321a)를 관통하는 핀부재(322a)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탄성부재(323)가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와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축(321b)에는 상기 하측탄성부재(3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측탄성부재(323)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하측탄성부재(323)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상부 내측에는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축(321b)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측탄성부재(323)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와 접한 상태로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측탄성부재(323)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와 접한 상태로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하측고정판(324)은 상기 몸체(10)의 일측 하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고정판(324)의 표면에는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의 핀부재(322a)가 삽입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삽입공(324a)이 상기 하측고정판(324)의 전측에서 상기 하측고정판(324)의 후측으로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고정판(324)의 삽입공(324a)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의 핀부재(322a)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하측분사관(221)이 정역회전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5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파, 미나리 등을 포함한 엽채류(5)의 줄기부위의 흙 등의 이물질이 묻은 표피를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박피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는 상기 고압수분사부(20)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엽채류(5)의 줄기부위를 타격하는 타격부(40)가 정역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40)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체(410)와 타격부재(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410)는 파이프관 또는 환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41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재(420)는 상기 회전체(410)의 외주면에서 상기 회전체(410)의 외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타격고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격부재(420)는 상기 회전체(41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고, 상기 타격부재(420)는 상기 회전체(410)를 따라 정역회전하여 엽채류(5)의 줄기부위를 타격하여 엽채류(5)의 줄기부위의 표피를 박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엽채류(5)의 줄기부위를 타격하는 상기 타격부(40)의 타격부재(420)의 타격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타격부(4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는 상기 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가이드슬릿(100a) 및 타측가이드슬릿(100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40)의 회전체(410)의 일측은 상기 일측가이드슬릿(100a)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40)의 회전체(410)의 타측은 상기 타측가이드슬릿(100b)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이동부(50)는 고정대(510), 일측상하이동바(520), 타측상하이동바(530), 연결바(540), 가이드봉(550), 볼트부재(560) 및 손잡이부재(5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510)는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상기 몸체(10)의 일측에서 상기 몸체(10)의 타측방향으로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510)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관체(511)가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바(520)는 상기 고정대(510)의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상하이동바(520)의 하측에는 상기 일측상하이동바(520)의 하측을 수평관통한 상기 타격부(40)의 회전체(410)의 일측과 결합되는 일측베어링(5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바(530)는 상기 고정대(510)의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상하이동바(530)의 하측에는 상기 타측상하이동바(530)의 하측을 수평관통한 상기 타격부(40)의 회전체(410)의 타측과 결합되는 타측베어링(5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540)는 상기 일측상하이동바(520)의 상측과 상기 타측상하이동바(530)의 상측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일측상하이동바(520)와 상기 타측상하이동바(53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540)는 상기 일측상하이동바(520)와 상기 타측상하이동바(530)를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봉(550)은 일측가이드봉(551)과 타측가이드봉(5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봉(551)은 상기 고정대(510)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봉(551)의 상측은 상기 연결바(540)의 일측을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봉(552)은 상기 고정대(510)의 상부면 타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봉(552)의 상측은 상기 연결바(540)의 타측을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54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된 상기 연결바(540)가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일측가이드봉(551)의 외주면과 상기 타측가이드봉(552)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바(540)의 하부면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553)가 감겨질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560)의 하측은 상기 고정대(510)의 관체(511)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560)의 상측은 상기 연결바(540)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570)는 상기 연결바(54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재(560)의 상측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재(570)가 정역회전될 시 상기 볼트부재(560)는 상기 손잡이부재(570)를 따라 정역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격부(40)가 상하이동하게 된다.
상기 타격부(40)가 상승할 시 엽채류(5)의 줄기부위와 상기 타격부(40)의 타격부재(420) 사이의 상하간격은 점차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엽채류(5)의 줄기부위를 타격하는 상기 타격부(40)의 타격부재(420)의 타격력이 강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타격부(40)가 하강할 시 엽채류(5)의 줄기부위와 상기 타격부(40)의 타격부재(420) 사이의 상하간격은 점차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엽채류(5)의 줄기부위를 타격하는 상기 타격부(40)의 타격부재(420)의 타격력이 약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50)의 일측상하이동바(520)의 전측에는 상기 타격부(40)의 회전체(410)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0)는 구동모터(610), 회전체(620) 및 감김부재(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10)는 상기 상하이동부(50)의 일측상하이동바(520)의 전측에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620)는 상측회전체(621)와 하측회전체(6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회전체(621)는 상기 구동모터(610)의 구동축(6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회전체(622)는 상기 일측베어링(521)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타격부(40)의 회전체(4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630)는 상기 상측회전체(621)의 외주면과 상기 하측회전체(622)의 외주면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620)는 풀리, 스프로켓, 타이밍기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상기 회전체(620)가 풀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감김부재(630)는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회전체(620)가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감김부재(630)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회전체(620)가 타이밍기어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감김부재(630)는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620)와 상기 감김부재(630)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체(620)는 타이밍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김부재(630)는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도 9는 도 5의 지지판(1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압수분사부(20)의 하측고압수분사부재(220)와 상기 타격부(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에는 엽채류(5)의 줄기부위를 안착지지하는 지지판(110)이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지지판(110)의 상부면에 엽채류(5)의 줄기부위를 마찰시켜 엽채류(5)의 줄기부위의 표피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박피시킬 수 있다.
엽채류(5)의 줄기부위와 상기 지지판(110)의 상부면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엽채류(5)의 줄기부위의 표피의 박피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110)의 표면에는 상기 지지판(110)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판(11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연장되는 슬릿(111)이 상기 지지판(110)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판(1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엽채류(5)의 줄기부위와 상기 지지판(110)의 접촉면적을 보다 넓혀 엽채류(5)의 줄기부위의 표피의 박피효율이 보다 더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110)의 표면에는 상기 지지판(110)의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고리형상의 돌출부재(112)가 상기 지지판(110)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판(1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몸체(10)의 상하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상기 몸체(1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70) 사이에 상기 몸체(10)가 상하높이 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70)는 가이드관(710)과 다리부재(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몸체(10)에서 가이드관(710)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가이드관(710)은 도 10 및 도 11,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가이드관(711)과 타측가이드관(7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가이드관(711)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일측가이드관(711)의 타측 중간부에 수평형성된 축(711a)은 상기 몸체(10)의 일측면 중간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가이드관(712)의 일측 중간부에 수평형성된 축(712a)은 상기 몸체(10)의 타측면 중간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재(720)는 일측다리부재(721), 타측다리부재(722), 일측받침다리부재(723), 타측받침다리부재(724) 및 연결다리부재(72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다리부재(721)의 상측은 상기 일측가이드관(711)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다리부재(722)의 상측은 상기 타측가이드관(712)의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받침다리부재(723)는 상기 일측다리부재(721)의 하측에 상기 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받침다리부재(724)는 상기 타측다리부재(722)의 하측에 상기 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다리부재(725)는 상기 일측다리부재(721)의 하측과 상기 타측다리부재(722)의 하측사이에 상기 몸체(10)의 좌우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가이드관(710)과 상기 몸체(10)는 상기 일측다리부재(721) 및 상기 타측다리부재(722)를 따라 상하이동되어 위치조절될 수 있고,
상하이동되어 위치조절된 상기 가이드관(710)과 상기 몸체(10)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관(710)에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다리부재(721) 및 상기 타측다리부재(722)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고정되는 고정볼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고정부재(7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몸체(10)의 상하각도가 조절된 사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몸체(10)의 중간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10)의 전측과 상기 몸체(10)의 후측은 작업자에 의해 각각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진상태로 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710)에는 상하각도조절된 상태인 상기 몸체(10)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80)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810), 보조손잡이부재(820), 탄성부재(830) 및 고정판(8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810)는 상기 타측가이드관(712)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810)의 전측 표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구(8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의 중간부는 상기 손잡이부재(81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손잡이부재(810)의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의 전측에는 상기 손잡이부재(810)의 관통구(810a)방향으로 수평연장되어 상기 관통구(810a)를 관통하는 핀부재(820a)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30)는 상기 손잡이부재(810)와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축(820b)에는 상기 탄성부재(8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30)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830)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전측내에는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의 중간부에 구비되는 축(820b)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30)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일측은 상기 손잡이부재(810)와 접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재(81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30)를 이루는 비틀림스프링의 타측은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와 접한 상태로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840)은 상기 몸체(10)의 타측면 중간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840)의 일단부는 상기 몸체(10)의 타측면 중간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될 수 있고,
상기 고정판(840)의 타측은 상기 몸체(10)의 전방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840)의 표면에는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의 핀부재(820a)가 삽입되는 삽입공(840a)이 상기 고정판(840)의 상측에서 상기 고정판(840)의 하측으로 호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840)의 삽입공(840a)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의 핀부재(820a)가 삽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10)가 상하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받침다리부재(723)의 하부면 전측과 상기 일측받침다리부재(723)의 하부면 후측 및 상기 타측받침다리부재(724)의 하부면 전측과 상기 타측받침다리부재(724)의 하부면 후측에는 상측이 각각 나사결합되는 수평조절부재(90)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수평조절부재(90)를 각각 정역회전시켜 상기 수평조절부재(9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각각 상하이동되는 상기 수평조절부재(90)를 통해 상기 일측받침다리부재(723) 및 상기 타측받침다리부재(724)의 수평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파, 미나리 등을 포함한 엽채류(5)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상기 고압수분사부(20)를 통해 흙 등의 이물질이 묻은 엽채류(5)의 표피를 보다 용이하게 박피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엽채류(5)를 보다 높은 효율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고, 나아가 구성부품수가 적음은 물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작고 무게가 가벼워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10; 몸체, 20; 고압수분사부.

Claims (13)

  1.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엽채류(5)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상측고압수분사부재(210)와,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2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의 내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엽채류(5)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하측고압수분사부재(220)로 구성되는 고압수분사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21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되고, 내부로 고압수가 공급되는 상측분사관(211)과;
    상기 상측분사관(21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내부로 공급된 고압수를 엽채류(5)로 분사하는 상측분사노즐(212);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고압수분사부재(22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되고, 내부로 고압수가 공급되는 하측분사관(221)과;
    상기 하측분사관(22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내부로 공급된 고압수를 엽채류(5)로 분사하는 하측분사노즐(222);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210)와 상기 하측고압수분사부재(2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상측고압수분사부재(210)를 회전시킨 후 위치고정되는 상측회전부재(310)와; 상기 하측고압수분사부재(220)를 회전시킨 후 위치고정되는 하측회전부재(320);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회전부재(310)는 상기 상측분사관(211)의 일측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상측분사관(211)을 회전시키고 하측에 관통구(311a)가 형성되는 상측손잡이부재(311)와;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의 일측에 중간부가 축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의 관통구(311a)를 관통하는 핀부재(312a)가 형성되는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와;
    상기 상측손잡이부재(311)와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를 탄성지지하는 상측탄성부재(313)와;
    상기 몸체(10)의 일측 상부에 수직형성되고, 상기 상측보조손잡이부재(312)의 핀부재(312a)가 삽입되는 삽입공(314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측고정판(314);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회전부재(320)는 상기 하측분사관(221)의 일측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하측분사관(221)을 회전시키고 상측에 관통구(321a)가 형성되는 하측손잡이부재(321)와;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의 일측에 중간부가 축결합되고, 상측에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의 관통구(321a)를 관통하는 핀부재(322a)가 형성되는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와;
    상기 하측손잡이부재(321)와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를 탄성지지하는 하측탄성부재(323)와;
    상기 몸체(10)의 일측 하부에 수직형성되고, 상기 하측보조손잡이부재(322)의 핀부재(322a)가 삽입되는 삽입공(324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하측고정판(3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엽채류(5)를 타격하는 타격부(4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4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평결합되는 회전체(410)와;
    상기 회전체(410)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고, 상기 회전체(410)를 따라 회전하여 엽채류(5)를 타격하는 타격부재(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상기 타격부(4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가이드슬릿(100a) 및 타측가이드슬릿(100b)이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40)의 일측은 상기 일측가이드슬릿(100a)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타격부(40)의 타측은 상기 타측가이드슬릿(100b)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상기 상하이동부(50)는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 수평고정되고, 상부면 중심부에 관체(511)가 수직형성되는 고정대(510)와;
    상기 고정대(510)의 일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에 상기 타격부(40)의 일측과 결합되는 일측베어링(521)이 구비되는 일측상하이동바(520)와;
    상기 고정대(510)의 타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에 상기 타격부(40)의 타측과 결합되는 타측베어링(531)이 구비되는 타측상하이동바(530)와;
    상기 일측상하이동바(520)와 상기 타측상하이동바(530)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일측상하이동바(520)와 상기 타측상하이동바(530)를 연결하고, 상기 일측상하이동바(520)와 상기 타측상하이동바(530)를 따라 상하이동하는 연결바(540)와;
    상기 고정대(510)의 상부면 일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연결바(540)의 일측을 관통하는 일측가이드봉(551)과, 상기 고정대(510)의 상부면 타측에 수직형성되고 상측이 상기 연결바(540)의 타측을 관통하는 타측가이드봉(552)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봉(550)과;
    상기 고정대(510)의 관체(511)내에 하측이 수용되고, 상측이 상기 연결바(540)의 중심부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재(560)와;
    상기 볼트부재(560)의 상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재(5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50)에 상기 타격부(4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60)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상하이동부(50)에 고정되는 구동모터(610)와;
    상기 구동모터(610)의 구동축(611)에 결합되는 상측회전체(621)와, 상기 타격부(4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측회전체(622)로 구성되는 회전체(620)와;
    상기 상측회전체(621)의 외주면과 상기 하측회전체(622)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감김부재(6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엽채류(5)를 안착지지하는 지지판(110)이 수평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0)의 표면에 상기 지지판(110)의 전측에서 상기 지지판(110)의 후측방향으로 전후연장형성되는 슬릿(1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일측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상기 몸체(1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70)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70) 사이에 상기 몸체(10)가 상하높이 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며,
    상기 다리부(7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축결합되는 일측가이드관(711)과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축결합되는 타측가이드관(712)으로 구성되는 가이드관(710)과;
    상기 일측가이드관(711)의 내부에 수직으로 수용되는 일측다리부재(721)와, 상기 타측가이드관(712)의 내부에 수직으로 수용되는 타측다리부재(722)와, 상기 일측다리부재(721)의 하측에 수평형성되는 일측받침다리부재(723)와, 상기 타측다리부재(722)의 하측에 수평형성되는 타측받침다리부재(724)와, 상기 일측다리부재(721)의 하측과 상기 타측다리부재(722)의 하측사이에 일체형성되는 연결다리부재(725)로 구성되는 다리부재(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70) 사이에 상기 몸체(10)가 상하각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고,
    상기 가이드관(710)에 상하각도조절된 상태인 상기 몸체(10)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8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80)는 상기 타측가이드관(712)에 수평구비되고, 전측에 관통구(810a)가 형성되는 손잡이부재(810)와;
    상기 손잡이부재(810)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손잡이부재(810)의 타측에 중간부가 축결합되고, 전측에 상기 손잡이부재(810)의 관통구(810a)를 관통하는 핀부재(820a)가 형성되는 보조손잡이부재(820)와;
    상기 손잡이부재(810)와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830)와;
    상기 몸체(10)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보조손잡이부재(820)의 핀부재(820a)가 삽입되는 삽입공(84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판(8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받침다리부재(723)의 하부면 전측과 상기 일측받침다리부재(723)의 하부면 후측 및 상기 타측받침다리부재(724)의 하부면 전측과 상기 타측받침다리부재(724)의 하부면 후측에 상측이 각각 나사결합되는 수평조절부재(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KR1020120097510A 2012-09-04 2012-09-04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KR10145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10A KR101451476B1 (ko) 2012-09-04 2012-09-04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10A KR101451476B1 (ko) 2012-09-04 2012-09-04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843A KR20140030843A (ko) 2014-03-12
KR101451476B1 true KR101451476B1 (ko) 2014-10-15

Family

ID=5064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510A KR101451476B1 (ko) 2012-09-04 2012-09-04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4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9833A (ja) * 2001-06-27 2003-01-14 Ke Corporation:Kk 異物除去装置
KR200299015Y1 (ko) * 2002-10-04 2003-01-14 (주) 그린메탈 야채 세척기
KR20050093690A (ko) * 2004-03-17 2005-09-23 에스아이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농작물 표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9833A (ja) * 2001-06-27 2003-01-14 Ke Corporation:Kk 異物除去装置
KR200299015Y1 (ko) * 2002-10-04 2003-01-14 (주) 그린메탈 야채 세척기
KR20050093690A (ko) * 2004-03-17 2005-09-23 에스아이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농작물 표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843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4802210U (zh) 一种冻干食品加工果蔬强力清洗装置
CN108580446B (zh) 一种去除党参表面坚硬黄泥的自由摇摆装置
CN107647439B (zh) 一种分体式农业用水果清洗设备
KR101300919B1 (ko) 식기 세척기
CN112515203A (zh) 一种农产品表面加工用水循环冲洗式清洗机
KR101451476B1 (ko) 엽채류 표피 박피 및 세척장치
CN209121087U (zh) 一种玉米喷药除草机
KR102251083B1 (ko) 식물재배용 배드 세척장치
KR100914827B1 (ko) 농산물 자동세척기
CN204467992U (zh) 一种洗碗机摆动式洗涤射流器
CN208001763U (zh) 一种芽苗菜切割输送装置
KR20190041847A (ko) 유모차 세척 장치
CN209121225U (zh) 一种农业用薯类蔬菜表皮高效清理设备
CN215124180U (zh) 一种食品预加工用果蔬清洗装置
CN208098838U (zh) 一种冲洗烘干实验玻璃器皿的收纳柜
CN109965317B (zh) 一种果蔬清洗机
KR200325302Y1 (ko) 인삼 탈피기
CN104605800A (zh) 一种洗碗机摆动式洗涤射流器
CN113102358B (zh) 一种育苗板消毒清洗设备
CN219920202U (zh) 一种清水莲藕加工用多级清洗装置
CN215325308U (zh) 一种具有清洗功能的输送机
CN108741134B (zh) 一种连续式的胡萝卜清洗装置
CN215251733U (zh) 一种洗布机清洗装置
CN219877384U (zh) 速冻果蔬浸润装置
CN213992366U (zh) 果蔬农药超声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