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1473B1 -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1473B1
KR101451473B1 KR1020120057716A KR20120057716A KR101451473B1 KR 101451473 B1 KR101451473 B1 KR 101451473B1 KR 1020120057716 A KR1020120057716 A KR 1020120057716A KR 20120057716 A KR20120057716 A KR 20120057716A KR 101451473 B1 KR101451473 B1 KR 10145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betes
extract
composition
present
stem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1473B9 (ko
KR20130134295A (ko
Inventor
정재훈
노민수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7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1473B1/ko
Publication of KR2013013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473B1/ko
Publication of KR10145147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147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7Notopterygi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docrinology (AREA)
  • Obesit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아디포넥틴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촉진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혈당 상승을 억제하여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Osterici Radix a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diabetes}
본 발명은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diabetes)은 경제발전도가 높은 선진국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성인병으로 우리나라의 경우도 60~70대의 중요한 사망원인이 되고 있다. 당뇨병 환자 중 상당 비율은 제 2형 당뇨병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2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및 작용 이상 및 인슐린 저항성으로 특징된다.
현재 당뇨병 치료제를 살펴보면,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 계통의 약물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약물들은 가장 먼저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된 것으로서, 췌장의 베타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킴으로써 당뇨 치료 효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이 약물의 큰 문제는 혈당 농도에 상관없이 효능을 나타냄으로써, 혈당이 낮아도 인슐린을 분비시켜 저혈당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저혈당증이 당뇨병의 주요사망원인인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 상승과 관련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또 다른 치료제인 티아졸리딘다이온(Thiazolidinedione)계열의 당뇨병 치료제는 전지방세포 및 줄기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능력이 탁월하며,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며, 매우 많은 양을 투여할 때에도 저혈당 상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혈장 포도당 및 증가된 인슐린의 수준을 정상화 시킨다고 보고되었다(Yki-Jarvinen, 2004). 하지만, 티아졸리딘다이온의 주요 문제점은 그의 생체 내 독성 부작용으로, 독성을 나타내지 않은 천연물에서 지방분화 촉진 효능을 나타내어 당뇨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의 발견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아디포넥틴(adiponectin)은 항당뇨 작용을 비롯하여 다양한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Clin Nutr. 2004 Oct.; 23(5):963-974). 즉, 특히 당뇨병에 있어서 아디포넥틴은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혈당을 낮춤으로써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능을 나타낸다. 이러한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가 분화되면서 발현이 증가하는 단백질로 보고되어 있다(Shin et al., 2009). 따라서 지방 세포 분화 과정 중 아디포넥틴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물질은 당뇨병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나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는 인슐린과 같은 유도 물질의 존재 하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슐린 유사 물질(인슐린성 물질)의 존재 여부 탐색 등 당뇨병 연구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중간엽줄기세포는 피하 조직 등에서 채취한 지방전구세포를 완전한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과 거의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Xu et al., 2006), 지방세포 분화의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Pittenger et al., 1999). 이처럼 지방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중간엽줄기세포는 신체의 대부분의 조직에 분포되어 있다. 중간엽줄기세포는 어느 조직으로부터 유래한 것인지에 따라 그 성질 또는 특성에 있어서 미세한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사한 성질 또는 특성을 가진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Sakaguchi et al., 2005). 따라서 이러한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는 물질 역시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Yki-Jarvinen Thiazolidinediones. N Engl J Med 351:1106-1118. 2004. Clin Nutr. 2004 Oct.; 23(5):963-74, Adiponectin, the missing link in insulin resistance and obesity Shin et al., (-)-Catechin promotes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through PPAR gamma transactivation. Biochem Pharmacol. 77:125-133. 2009. Xu et al., The use of small interfering RNAs to inhibit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human preadipocytes and fetal-femor-derived mesenchymal cells. Exp. Cell Res. 312: 1856-1864, 2006 Pittenger et al., Multilineage potential of adult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Science 284: 143-146, 1999 Sakaguchi et al., Comparison of human stem cells derived from various mesenchymal tissues. Arthritis Rheumat., 52: 2521-2529. 2005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디포넥틴 발현량을 증가시키거나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생약 추출물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강활 추출물이 아디포넥틴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중간엽줄기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디포넥틴 발현량을 증가시키거나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촉진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혈당 상승을 억제하여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강활"은 미나리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중부·북부지방(경북, 강원, 경기, 평북, 함남, 함북)의 산지 및 산야 습원지, 계곡에 자생하며, 지리적으로는 만주, 우수리에 분포한다. 특히 중부이북, 강원도 깊은 산골짜기의 넓은 잎나무 밑 그늘진 습한 곳에서 자란다. 다년생초본, 높이 2m 안팎이고, 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묏미나리와 비슷하지만 윗부분에서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의 작은꽃이 우산모양으로 모여 피며 복산형화서(複傘形花序)는 가지끝과 원줄기끝에서 발달하고 10-30개의 소산경(小傘梗)으로 갈라져서 많은 꽃이 달리며 총포(總苞)는 1-2개로서 피침형이고 소총포(小總苞)는 6개 정도이며 선형이다. 꽃잎은 5이고 5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10월에 성숙되며 분과(分果)는 타원형이고 납작하며 넓은 날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생약인 강활(Osterici Radix)은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Angelicae koreanae), 중국강활(Notopterygium incisum Ting) 및 관엽강활 (寬葉羌活) (Notopterygium forbesii Boissier)의 뿌리줄기 및 뿌리(Radix)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Angelicae koreanae)의 뿌리줄기 및 뿌리(Radix)를 의미한다.
강활은 자연상태, 반건조, 건조 등의 가공된 강활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extract)"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즉, 목적하는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물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과정을 거친 추출액을 분획한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강활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 즉, 목적하는 활성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하며, 통상적으로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제조되며,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액,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는 상기 추출과정을 거친 추출액을 분획한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강활 추출물의 용매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으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5의 저가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고, 특히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으며, 더욱 특히는 물, 50 내지 100%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강활 추출물은 통상 식물 추출물의 공지된 일반적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초음파 추출법, 환류 냉각 추출법, 열수 추출법 또는 상기 유기용매를 추출용매로 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추출과정을 거친 추출액은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 이상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각 용매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추출물 제조온도는 4 내지 120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10분 내지 30일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감압 여과 또는/및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당뇨병"은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 예를 들면, 고혈압, 고지혈증, 간병증, 신병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당뇨병은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사증후군"은 만성적인 대사 장애로 인하여 발생하는 제2형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관상 또는 동맥경화증과 같은 여러 가지 질환이 동시에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당뇨병 또는 당뇨 합병증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당뇨의 증세 및 당뇨 합병증을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를 비롯한 불활성 성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약상 허용된 담체"는 조성물, 구체적으로 의약 조성물의 활성 물질을 제외한 성분을 지칭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pH 조절제, 산화방지제, 용해보조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착색제, 향료 중에서 선택된 다양한 첨가제로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선택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제제를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의 범위가 상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첨가제를 선택에 의하여 통상 범위의 용량을 함유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포유류를 포함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당뇨병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내피 투여, 비내 투여, 폐내투여, 직장내 투여, 강내 투여, 복강내 투여, 경막내 투여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포유류는 인간을 제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일 1회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일일 2회 이상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활성, 성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 기간 및 횟수 등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아디포넥틴 발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2002년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을 통하여 새롭게 정의된 인체에 대한 기능성 및 안전성이 충분하게 확립되어 식품의약품 안전청 식약청 고시 2004-12호에 규정된 건강기능 식품원료 또는 성분 인정에 관한 규정 목록집에 수재된 건강식품이다.
본 발명에서 당뇨병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활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강활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식품의 경우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를 기준으로 0.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강활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구연산과 같은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 농축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아디포넥틴 발현량을 증가시키고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촉진하여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혈당 상승을 억제하여 당뇨병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모델에서 강활 추출물이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방분화 촉진 효과에 대한 현미경 관찰 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강활 추출물의 효과 확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x축은 대조군 및 실험처리군들을 나타내고 y축은 지방분화의 정도를 oil red O의 염색정도를 IDX배치 처리군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인 값으로 정규화한 값을 나타낸다.
도 3은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아디포넥틴 발현량에 대한 강활 추출물의 효과 확인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x축은 대조군 및 실험처리군들을 나타내며 y축은 대조군과 각실험군의 지방분화 유도 배양 상층액의 아디포넥틴 농도를 나타낸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조예 1. 강활 추출물의 제조
경동시장에서 입수한 강활(생약명 : Angelicae koreanae Radix) 30g을 에탄올(95.0 ~ 95.5 부피/부피(v/v)%) 200ml에 넣은 다음 ASE300 ACCELERATED SOLVENT EXTRACOR(DIONEX Corporation) 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1500psi 압력 하에서 20분간 분쇄하였다. 또한 Ultrasonic cleaner(BRANSON Ultrasonics corporation) 소니케이터 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3일 정도 추가 분쇄하였다. 이렇게 분쇄된 강활 추출물을 Modul spin 40(Biotron corporation) 기기를 이용하여 4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강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강활 추출물의 효과 확인
(1)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 배양 및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강활 추출물의 촉진 효과의 확인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hBM-MSCs)를 론자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입수하여 론자사의 지침서에 따라 배양하였다. 지방세포 분화는 인도메타신 (indomethacin)을 제외한 후,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점을 제외하고 론자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간엽줄기세포의 배양액(태아우혈청(FBS) 10%와 penicillin 0.1%와 streptomycin 0.1%를 함유한 Dulbecco Modified Eagle's Medium (DMEM))에 인슐린 1 μg/ml,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A) 1 μM, 이소부틸메틸잔틴(isobutylmethylxanthine, IBMX) 0.5 mM의 최종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만든 지방 세포 분화용 배지(이하 IDX배지라 함)로 교체한 후, 37도,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여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켰다. 실험군의 경우 지방세포 분화 유도 시에 제조예 1에 따른 강활 추출물 10, 30 ppm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대조군에는 강활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한 동일 부피의 에탄올을 처리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 5 μM과 및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TRO) 1 μM 을 각각 사용하여, IDX 배지와 함께 처치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시작한 지 14일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ml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후, 10% 포르말린/PBS 용액 0.2 ml/cm2을 사용하여 세포를 10분간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60% 이소프로판올 용액 0.5 ml/cm2로 1회 세척하고, 오일레드오(Oil Red O)를 60% 이소프로판올에 0.5 gram/ml 농도로 녹인 염색액 0.2 ml/cm2로 10분간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를 염색하였다. 이어서, 헤마톡실린(hematoxylin) 수용액(시그마알드리치, Cat. No. MHS80)으로 재염색하고 수돗물에 세척하여 세포핵을 쉽게 구분되도록 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그 관찰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강활 추출물은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지 않으면서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대한 강활 추출물의 촉진 효과의 정량적 확인
실시예 1의 (1)에서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70% 에탄올만을 처리한 대조군, IDX배지만을 처리한 지방분화 비교군, IDX 배지에 강활 추출물 10, 30 ppm을 함께 처리한 실험군, 그리고, 양성 대조군으로서 IDX에 추가로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 5 μM 또는 트로글리타존 1 μM 을 처리하였다. IDX와 강활 추출물을 각각 10, 30 ppm을 처리하였다. 지방세포를 오일레드오로 염색한 후, 염색된 오일레드오를 100% 이소프로판올 용액으로 용출시킨 후 500 나노미터(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마이크로플레이트리더(Synergy 2 multi-mode microplate reader, BIOTEK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각 데이터 값은 IDX만을 처리한 지방분화 대조군을 1로 정규화하여 보정하였다.
실시예 2.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아디포넥틴 발현량에 대한 강활 추출물의 효과의 확인
실시예 1의 (1)에서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중간엽줄기세포를 배양한 후, 70% 에탄올만을 처리한 대조군, IDX배지만을 처리한 지방분화 비교군, IDX 배지에 강활 추출물 10, 30 ppm을 함께 처리한 실험군, 그리고, 양성 대조군으로서 IDX에 추가로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 5 μM 또는 트로글리타존 1 μM 을 처리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한 후,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을 측정하기 위해 지방 분화 유도 8일째에 위와 동일한 배지로 교환한 후, 48시간이 지난 후 세포 배양 상층액을 채취한 후 아디포넥틴 ELISA Kit(R & D system, cat.no DY1065)를 이용하여 아디포넥틴의 양을 정량하였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IDX 에 의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 경우, 강활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것에 비해 강활 추출물이 처리된 실험군에서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이 증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를 5 mM 처리한 조건과 비교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강활 추출물이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 분화 과정에서 지방 분화의 대표적 마커인 아디포넥틴의 양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제조예 1의 추추물 100~300mg
유당 100mg
전분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캡슐제의 제조
제조예 1의 추출물 100~300mg
유당 50mg
전분 50mg
탈크 2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액제의 제조
제조예 1 추출물 100~3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혼합하고 100㎖의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건강 음료의 제조
제조예 1 추출물 1000m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g
매실농축액 2g
타우린 1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ml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Claims (7)

  1.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인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것인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은 제2형 당뇨병인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디포넥틴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촉진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7.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20057716A 2012-05-30 2012-05-30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5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716A KR101451473B1 (ko) 2012-05-30 2012-05-30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716A KR101451473B1 (ko) 2012-05-30 2012-05-30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295A KR20130134295A (ko) 2013-12-10
KR101451473B1 true KR101451473B1 (ko) 2014-10-15
KR101451473B9 KR101451473B9 (ko) 2023-09-19

Family

ID=4998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716A KR101451473B1 (ko) 2012-05-30 2012-05-30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14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073A (ko) 2014-12-04 2016-06-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089A (ko) * 2010-01-13 2011-07-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활 추출물 또는 비사볼란겔론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130115A (ko) * 2010-05-27 2011-12-05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강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3089A (ko) * 2010-01-13 2011-07-2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강활 추출물 또는 비사볼란겔론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130115A (ko) * 2010-05-27 2011-12-05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갖는 강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16(1), 2002, pp.81-103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2(2), 1993, pp.163-17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1473B9 (ko) 2023-09-19
KR20130134295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434B1 (ko)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491771B1 (ko) 흰점박이꽃무지 현탁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303306B1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증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416786B1 (ko)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1473B1 (ko) 강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00012363A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1639B1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01381B1 (ko) 드라콘토멜론 마크로카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30014156A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50966B1 (ko) 침향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4296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413771B1 (ko) 잣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101877413B1 (ko)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2411428B1 (ko)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255000B1 (ko) 박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6621B1 (ko) 울금 및 정향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37513A (ko) 차전초 조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비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78237A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885949B1 (ko) 광대나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791631B1 (ko) 트리고노스테몬 레이디오이데스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20100108869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30567B1 (ko) 트란스-네로리돌을 이용한 항고지혈증 또는 항비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6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