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819B1 -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819B1
KR101450819B1 KR1020120061743A KR20120061743A KR101450819B1 KR 101450819 B1 KR101450819 B1 KR 101450819B1 KR 1020120061743 A KR1020120061743 A KR 1020120061743A KR 20120061743 A KR20120061743 A KR 20120061743A KR 101450819 B1 KR101450819 B1 KR 10145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information
screen output
display device
output setting
auxiliary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7991A (ko
Inventor
김임수
김동석
김종호
Original Assignee
디지털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지털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지털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819B1/ko
Publication of KR20130137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구비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스마트폰 모델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Auto configuration apparatus for setting screen output values of an auxiliary displ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면 출력 설정 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특허출원 제10-2011-0092113(2011. 09. 09)에서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구비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서로 다른 제조사에 의해 제조된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폰들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각 스마트폰 모델마다 기본적으로 영상 출력 영역(모니터에서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 크기와 영상 출력 영역이 다를 경우 영상을 확대 하거나 축소해주어야 한다)이나 지원하는 해상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나 해상도 등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임의로 조정해야만 했다.
또한,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구비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 새로운 모델의 스마트폰이 연결될 경우,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나 해상도 등의 화면 출력 설정을 새로이 조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구비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스마트폰 모델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11-0092113(2011. 09. 09)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구비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스마트폰 모델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스마트폰에 접속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자동 구성하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가 스마트폰의 모델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스마트폰의 모델정보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해당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구비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스마트폰 모델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100)는 스마트폰(10)에 탑재되어, 스마트폰에 접속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자동 구성하며,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델정보 검출부(110)와, 설정정보 도출부(120)와, 설정정보 전송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델정보 검출부(110)는 스마트폰(10)의 모델정보를 검출한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에는 전화번호, IMEI, 모델번호, OS 버전, 기저대역 버전, 커널 버전, 빌드번호 등의 휴대전화 정보가 기본적으로 저장된다. 예컨대, 모델정보 검출부(110)가 스마트폰에 저장된 휴대전화 정보내의 모델번호 정보 필드를 읽어 스마트폰(10)의 모델정보를 검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설정정보 도출부(120)는 모델정보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스마트폰의 모델정보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도출한다. 예컨대, 설정정보 도출부(120)가 스마트폰의 모델정보별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DB화하여 저장한 DB로부터 검출된 스마트폰의 모델정보에 대응하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검색함에 의해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도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설정정보 전송부(130)는 설정정보 도출부(120)에 의해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해당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0)로 전송한다. 이 때, 화면 출력 설정정보가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정보와, 해상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스마트폰(10)으로부터 수신한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바탕으로 화면 출력 설정을 하여 스마트폰의 영상 출력에 맞게 화면 비율과 해상도를 조정하고,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DID :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에 반영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구비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스마트폰 모델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100)가 설정정보 검출부(140)와, 설정정보 비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설정정보 검출부(140)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검출한다. 예컨대, 설정정보 검출부(140)가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DID :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로부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검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설정정보 비교부(150)는 설정정보 검출부(140)에 의해 검출된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와, 설정정보 도출부(120)에 의해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비교한다. 설정정보 비교부(150)에 의한 비교 결과,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와,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가 일치할 경우에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 출력 설정을 새로이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설정정보 비교부(150)에 의한 비교 결과,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와,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0)의 화면 출력 설정을 새로이 해야 한다.
설정정보 전송부(130)는 설정정보 비교부(150)에 의한 비교 결과,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와,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0)에 전달하고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0)는 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DID :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와 화면 출력 설정에 반영한다. 그리고, 스마트폰(10)은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20)로부터 수신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DID :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를 바탕으로 영상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구비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스마트폰 모델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동작을 도 2 를 통해 알아본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210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가 스마트폰의 모델정보를 검출한다. 스마트폰의 모델정보 검출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220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가 단계 210에 의해 검출된 스마트폰의 모델정보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도출한다.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정보 도출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단계 230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가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검출한다.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 검출과 관련해서는 기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 다음, 단계 240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가 단계 230에 의해 검출된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와, 단계 220에 의해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비교한다.
그리고, 단계 250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가 단계 240에 의한 비교 결과,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와,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새로운 화면 출력 설정정보로 하여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수신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바탕으로 화면 출력 설정을 하여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에 맞게 화면 비율과 해상도를 조정하고,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DID :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에 반영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제어 기능을 구비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는 스마트폰 모델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화면 출력 설정 기술분야 및 이의 응용 기술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
10 : 스마트폰
20 :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100 :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110 : 모델정보 검출부
120 : 설정정보 도출부
130 : 설정정보 전송부
140 : 설정정보 검출부
150 : 설정정보 비교부

Claims (6)

  1.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스마트폰에 접속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을 자동 구성하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에 있어서,
    스마트폰의 모델정보를 검출하는 모델정보 검출부와;
    모델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스마트폰의 모델정보에 따라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도출하는 설정정보 도출부와;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검출하는 설정정보 검출부와;
    설정정보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와, 설정정보 도출부에 의해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비교하는 설정정보 비교부와;
    설정정보 비교부에 의한 비교 결과,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와,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설정정보 도출부에 의해 도출된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새로운 화면 출력 설정정보로 해당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설정정보 전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설정정보 검출부가: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확장된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DID :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로부터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현재 설정중인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설정정보 도출부가:
    스마트폰의 모델정보별로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DB화하여 저장한 DB로부터 검출된 스마트폰의 모델정보에 대응하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면 출력 설정정보가: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정보와, 해상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KR1020120061743A 2012-06-08 2012-06-08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KR10145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43A KR101450819B1 (ko) 2012-06-08 2012-06-08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743A KR101450819B1 (ko) 2012-06-08 2012-06-08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991A KR20130137991A (ko) 2013-12-18
KR101450819B1 true KR101450819B1 (ko) 2014-10-14

Family

ID=4998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743A KR101450819B1 (ko) 2012-06-08 2012-06-08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289B1 (ko) * 2017-05-24 2022-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디스플레이 관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865B1 (ko) * 2006-08-29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 및 이를 이용한 해상도 조절 방법
JP2008250932A (ja) * 2007-03-30 2008-10-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KR20080110079A (ko) * 2007-06-14 2008-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av 기기 정보 또는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환경을설정하는 환경설정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865B1 (ko) * 2006-08-29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니터 및 이를 이용한 해상도 조절 방법
JP2008250932A (ja) * 2007-03-30 2008-10-16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KR20080110079A (ko) * 2007-06-14 2008-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av 기기 정보 또는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환경을설정하는 환경설정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991A (ko)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36768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to manage a spatially dynamic display
US10349171B2 (en) Electronic device, peripheral devic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31592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0579321B2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apparatus for apparatus includ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9293075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432999B2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US20150317286A1 (en)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ulti-window display methods
US89296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nging contrast based on brightness of an output for presentation on a display
US20130021308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backlight brightness
US201600619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distance
EP3389332B1 (en) Commissioning of a plurality of devices
KR10260721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90034152A1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display settings based on a detected layout of multiple display devices
KR1022424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300620A1 (en) Adjustment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chrominance and luminance of display device
US201703396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base station
US20130169688A1 (en) System for enlarging buttons on the touch screen
KR20200001768A (ko)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27951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loying a relay node and system
KR101450819B1 (ko)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출력 설정 자동 구성장치
KR102481797B1 (ko) 서버, 전자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8014444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134785A (ko) 유저 입력 리스폰스 출력 방법 및 이를 위한 홈 디바이스
KR101421278B1 (ko)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연동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의 통화 화면 전환 장치
US20180131821A1 (en) Image reading system, image rea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m,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