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621B1 - 커피 머신 - Google Patents

커피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621B1
KR101450621B1 KR1020130002219A KR20130002219A KR101450621B1 KR 101450621 B1 KR101450621 B1 KR 101450621B1 KR 1020130002219 A KR1020130002219 A KR 1020130002219A KR 20130002219 A KR20130002219 A KR 20130002219A KR 101450621 B1 KR101450621 B1 KR 10145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head
temperatur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017A (ko
Inventor
권혁표
Original Assignee
권혁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표 filed Critical 권혁표
Priority to KR102013000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6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추출시 원두가 들어있는 캡으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커피 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머신은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고압으로 압축하는 펌프와, 상기 압축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원두가 담기는 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압축 및 가열된 고압 고온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된 고압 고온의 물이 유동하는 유동유로와, 상기 유동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고압 고온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동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고온 고압의 물을 상기 캡에 담겨진 원두로 분사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헤드와, 상기 헤드 내를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머신{Coffee machine}
본 발명은 커피 머신에 관한 것이다.
원두에서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커피 머신에 관해서는, 10-2012-0079525호 등 많은 특허가 출원된 바 있다.
종래의 커피 머신의 구성을 살펴보면 첨부된 도면의 도 1과 같이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1), 물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2), 물을 고압으로 펌핑하는 펌프(3), 물을 가열하는 히터(4), 원두가 담긴 캡(6)이 결합되며, 원두로 고온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헤드(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커피 머신에 있어서, 원두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물의 압력에 따라 추출되는 커피 원액의 품질이 달라지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에는 수압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7)가 펌프(2)에 설치되어 있어서, 실제의 압력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펌프(2)에서 약 10 bar 정도의 고압의 물을 공급한다고 할 때, 캡(6)에 담긴 원두 가루의 입자가 미세한 경우에는 물이 원두 가루를 잘 투과하지 못하기 캡(6) 내부의 압력은 높은 상태 예를 들어 8~9 bar 정도로 유지되지만, 원두 가루의 입자가 큰 경우에는 물이 원두 가루를 쉽게 투과하므로 캡(6) 내부의 실제 압력은 2~3 bar 수준으로 크게 낮아지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경우에는 압력게이지(7)가 펌프(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게이지는 항상 펌프 쪽에서의 수압인 10 bar로 측정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커피 추출시의 실제 수압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추출시 원두가 들어있는 캡으로 공급되늠 물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커피 머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 머신은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고압으로 압축하는 펌프와, 상기 압축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원두가 담기는 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압축 및 가열된 고압 고온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된 고압 고온의 물이 유동하는 유동유로와, 상기 유동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고압 고온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동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고온 고압의 물을 상기 캡에 담겨진 원두로 분사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헤드와, 상기 헤드 내를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헤드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유로로부터 상기 토출부로 상기 고압 고온의 물이 유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게이지는 상기 밸브를 통과한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헤드와 상기 밸브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동유로로부터 상기 밸브쪽으로 상기 고압 고온의 물이 유동하는 유입홀과, 상기 밸브를 통과한 상기 고압 고온의 물이 상기 헤드의 토출부로 유동하는 유출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력게이지는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의 유출홀에 연결되어 상기 유출홀을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두로 공급되는 물의 실제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도 1은 종래 커피 머신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 헤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피 머신 헤드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커피 머신 헤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 헤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피 머신 헤드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커피 머신 헤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은 머신 본체(10)와, 헤드(20)를 포함한다.
머신 본체(10)는 헤드(20)로 고압 고온의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에는 저장탱크(도면 미도시)와, 펌프(도면 미도시)와, 히터(도면 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저장탱크에는 식수로 사용한 물이 저장되며, 펌프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고압으로 압축한다. 그리고, 히터는 고압으로 압축된 물을 가열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압으로 압축되어 가열된 물은 헤드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머신 본체의 구조는, 디자인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해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헤드(20)는 고압 고온의 물을 원두로 공급하여 커피 원액을 추출하는 것이다. 헤드(20)는 머신 본체(10)에 결합되며, 이 헤드(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두가 담긴 캡(6)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20)에는 유입구(21)와, 유동유로(22)와, 배출구(23)가 마련되어 있다. 머신 본체(10)에서 압축 및 가열된 고압 고온의 물은 유입구(21)를 통해 헤드(20)로 공급된 후 유동유로(22)를 따라 유동하며, 이후 배출구(23)를 통해 헤드(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헤드(20) 내부에는 지속적으로 고압 고온의 물이 순환된다.
그리고, 헤드(20)에는 캡(6)에 담긴 원두로 고압 고온의 물을 분사하는 토출부(2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헤드(20)에는 유동유로(22)를 따라 유동하는 물을 토출부(24)로 선택적으로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밸브(30)가 설치된다. 또한, 헤드(20)에는 제1공급유로(25)와 제2공급유로(26)가 마련된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제1공급유로(25)는 제1공급홀(251)로부터 유동유로(22)까지의 형성되며, 제2공급유로(26)는 제2공급홀(261)로부터 토출부(24)까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유로(22)를 따라 유동하는 물은 제1공급유로(25)를 통해 밸브(30)로 공급된다. 그리고, 밸브(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공급된 물이 밸브 내부에서 순환한 후 제2공급유로(26)로 유동하고, 이후 토출부(24)로 공급되어 분사된다. 한편, 밸브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제1공급유로(25)를 통해 공급된 물이 밸브(30)에 의해 차단되므로, 토출부(24)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머신은 어댑터 플레이트(40)와 압력게이지(50)를 더 포함한다.
어댑터 플레이트(4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30)와 헤드(20) 사이에 배치된다. 어댑터 플레이트(40)에는 유입홀(41)과 유출홀(4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유입홀(41)은 제1공급홀(251)과 마주보게 배치되며, 유출홀(42)은 제2공급홀(261)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어댑터 플레이트(40)에는 측정홀(43)이 관통 형성되는데, 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홀(43)은 어댑터 플레이트(40)의 측면으로부터 유출홀(42)까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측정홀(43)을 형성하기 위하여, 어댑터 플레이트(40)는 소정의 두께, 예를 들어 6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게이지(50)는 헤드 내를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압력게이지는 어댑터 플레이트의 측정홀(43)에 연결된 측정관(51)에 연결되며, 유출홀(42)을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커피 머신에 있어서,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은 펌프 및 히터에서 고압 고온으로 압축 및 가열된 후 헤드로 공급되어 헤드 내부를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헤드(20) 내를 순환하는 물의 일부는 제1공급유로(25)를 통해 밸브(30)로 유동하고, 밸브(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2공급유로(26)를 통해 토출부(24)로 유동한 후 원두로 공급된다. 이때, 압력게이지(50)는 밸브(30)를 통과하여 유출홀(42)을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게이지로 유출홀(42)을 통과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때 유출홀(42)은 제2공급유로(26)를 통해 토출부(24)와 연통되므로 유출홀(42)에서의 물의 압력과 토출부(24)에서의 물의 압력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원두에 공급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밸브와 헤드 사이에 어댑터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이 어댑터 플레이트에 측정홀을 형성하여 압력게이지를 연결하였다. 하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에 직접 측정홀을 관통 형성하고 여기에 압력게이지를 연결함으로써, 밸브 내를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할 수도 있다.
10...머신 본체 20...헤드
30...업댑터 플레이트 40...밸브
50...압력게이지

Claims (3)

  1.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고압으로 압축하는 펌프;
    상기 압축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
    원두가 담기는 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압축 및 가열된 고압 고온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유입된 고압 고온의 물이 유동하는 유동유로와, 상기 유동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고압 고온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동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고온 고압의 물을 상기 캡에 담겨진 원두로 분사하는 토출부를 가지는 헤드;
    상기 헤드 내를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게이지;
    상기 헤드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유로로부터 상기 토출부로 상기 고압 고온의 물이 유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 및
    상기 헤드와 상기 밸브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동유로로부터 상기 밸브쪽으로 상기 고압 고온의 물이 유동하는 유입홀과, 상기 밸브를 통과한 상기 고압 고온의 물이 상기 헤드의 토출부로 유동하는 유출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게이지는 상기 어댑터 플레이트의 유출홀에 연결되어 상기 유출홀을 유동하는 물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머신.
  2. 삭제
  3. 삭제
KR1020130002219A 2013-01-08 2013-01-08 커피 머신 KR10145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219A KR101450621B1 (ko) 2013-01-08 2013-01-08 커피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219A KR101450621B1 (ko) 2013-01-08 2013-01-08 커피 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017A KR20140090017A (ko) 2014-07-16
KR101450621B1 true KR101450621B1 (ko) 2014-10-15

Family

ID=5173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219A KR101450621B1 (ko) 2013-01-08 2013-01-08 커피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6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1031A (ja) * 2003-08-05 2007-01-25 ガイヤール,ジャン−ポール コーヒーをベースとした飲料を淹れるための装置
KR20090076932A (ko) * 2006-09-25 2009-07-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에스프레소를 제조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뜨거운 물의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
KR20120079525A (ko) * 2011-01-05 2012-07-13 김용남 커피 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1031A (ja) * 2003-08-05 2007-01-25 ガイヤール,ジャン−ポール コーヒーをベースとした飲料を淹れるための装置
KR20090076932A (ko) * 2006-09-25 2009-07-1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에스프레소를 제조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뜨거운 물의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
KR20120079525A (ko) * 2011-01-05 2012-07-13 김용남 커피 머신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017A (ko)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2893B2 (en) Multi-valve liquid flow control for liquid supply
US20100269705A1 (en) Device for perforating portioned capsules
US9186017B2 (en) Brewing device for creating a coffee beverage and method for creating a coffee beverage
US20130145936A1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product
KR20150136533A (ko) 캡슐 기계 및 부품
AU2007250303A1 (en) Method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particularly from a cartridge with crema generating septum, and beverage obtainable from the method
GB2413479B (en)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11717107B2 (en) Machine for preparing hot beverages
WO2015136367A3 (en) Brewable beverage making machine
CN104718141A (zh) 一种具有防喷射装置的饮料胶囊
AU2014377015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a beverage
US20160309952A1 (en) Set of consumables and beverage dispenser
MX2019007023A (es) Maquina de bebidas completamente automatica para bebidas calientes recien escaldadas.
KR101450621B1 (ko) 커피 머신
KR101594748B1 (ko) 체크 밸브, 주입 어셈블리, 및 음료 제조 기계
KR102329401B1 (ko) 음료추출 기능이 있는 정수기
JP2019520936A (ja) 低粒子含有量の圧力抽出コーヒーを提供するコーヒーマシン、この目的のための方法、及び、このコーヒーマシンの使用
CN109984599A (zh) 一种吸氢释氢冲泡机
CN109875397A (zh) 一种茶饮机及其温度控制方法
CN208755719U (zh) 一种吸氢释氢冲泡机
US20230389747A1 (en) Machine for Preparing Coffee Beverages
GB2436280A (en) Foaming device for a coffee maker
US20230234868A1 (en) Device for metering an additive into a fluid
ATE405198T1 (de) Kaffeemaschine mit verbesserter ausgiessdüse
IT201800004965A1 (it) Capsula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