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134B1 -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 Google Patents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134B1
KR101450134B1 KR1020130074451A KR20130074451A KR101450134B1 KR 101450134 B1 KR101450134 B1 KR 101450134B1 KR 1020130074451 A KR1020130074451 A KR 1020130074451A KR 20130074451 A KR20130074451 A KR 20130074451A KR 101450134 B1 KR101450134 B1 KR 101450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head
player
ai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광회
Original Assignee
주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회 filed Critical 주광회
Priority to KR1020130074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7/00Auxiliary apparatus for artistes
    • A63J7/005Disguises for one or more persons for life-like imitations of creatures, e.g. animals, gian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에 관한 것으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공기를 주입받아 인형의 형태를 갖추되, 내부에 실행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인형 의상을 포함함으로써, 내부공간으로 들어간 실행자가 이동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인형 의상이 실행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실행자의 동작에 연동하여 다양한 동작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COSTUME OF AIR INJECTION TYPE}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가 주입되는 인형 의상의 내부공간으로 실행자가 들어가 안착한 후, 실행자의 자유로운 행동에 따라 연동되어 움직이도록 한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에 관한 것이다.
각종 공연장 및 이벤트 행사장 등에서 주변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공기를 주입한 조형물(인형, 애드벌룬 등) 등에 글이나 그림 따위를 직접 그리거나, 별도로 마련하여 조형물(인형, 애드벌룬 등) 등에 매달아 주변 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방법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공기 주입식 조형물은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기와, 송풍기에 의해 팽창하는 조형물로 이루어진다.
본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83845호(1999.12.06), 제2001-0002364호(2001.01.15) 및 제2004-0020984호(2004.03.10)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 주입식 조형물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팽창하여 풍선 또는 인형 등의 형태를 갖추게 되어 사람들의 눈에 띄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주입식 조형물은 송풍기에 의해 팽창되어 풍선 또는 인형 등의 형태를 갖추게 되더라도, 단지 공기를 주입시키는 송풍기의 상부에만 위치하거나, 공중에 띄워진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공기 주입식 조형물이 설치된 장소의 근처에 위치한 소수의 사람들만이 이를 인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 주입식 조형물은 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풍선 또는 인형의 형태를 갖추게 되지만, 아무런 동작을 취하지 못하고 정지된 상태만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를 인식하더라도 주변 사람들의 주목을 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 주입식 조형물은 동작이 가능한 공기 주입식 조형물이라고 하더라도 단조로운 동작만을 반복하거나, 공기의 유동에 의해 불규칙적인 동작만을 하기 때문에 이를 설치한 설치자가 원하는 동작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단조로운 동작 또는 너무 예측불가능한 동작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의 주목을 끌기 보다는 오히려 무시당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 주입식 조형물을 복잡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고 하더라도 다양한 패턴의 동작을 수행하기 어려울 문제점뿐만 아니라, 이를 제작하기 위해서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기가 주입되는 인형 의상의 내부공간으로 실행자가 들어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하여 실행자의 이동방향에 따라 연동되어 인형 의상이 실행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형 의상의 내부공간에 마련되는 끼움부재, 링크암부재, 링크링크바디부재 및 링크링크헤드부재에 의해 실행자의 동작에 따라 인형 의상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은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공기를 주입받아 인형의 형태를 갖추되, 내부에 실행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인형 의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인형 의상은 상기 실행자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들어가 발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인형 의상의 발 부분이 이에 연동되어 동작 되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실행자의 발이 안착되되,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형 의상은 상기 실행자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들어가 팔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인형 의상의 팔 부분이 이에 연동되어 동작 되는 암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부는 상기 실행자의 팔과 연동되어 동작 되도록 일측이 상기 암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측을 상기 실행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링크암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형 의상은 상기 실행자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들어가 허리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인형 의상의 허리 부분이 이에 연동되어 동작 되는 바디부 및
상기 실행자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들어가 머리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인형 의상의 머리 부분이 이에 연동되어 동작 되는 헤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실행자의 허리와 연동되어 동작 되도록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실행자의 허리에 장착되는 링크바디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실행자의 머리와 연동되어 동작 되도록 일측이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실행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링크헤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은 공기가 주입된 인형 의상의 내부공간으로 실행자가 들어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으로 들어간 실행자가 이동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인형 의상이 실행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자유롭게 이동하며 주변 사람들뿐만 아니라, 실행자가 이동할 수 있는 모든 곳에 위치한 다수의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주목을 끌 수 있기 때문에 상당한 광고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은 인형 의상의 내부공간에 끼움부재, 링크암부재, 링크링크바디부재 및 링크링크헤드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실행자가 인형 의상의 내부공간에 들어가 동작을 취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안착부, 암부, 바디부 및 헤드부 각각이 실행자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형 의상으로 다양한 동작(이동, 안무, 춤 등)을 연출하여 주변 사람들의 주목을 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 B'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의 다른 일실시예이다.
도 5는 링크바디부재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6은 링크헤드부재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7은 실행자가 내부공간에 들어가 안착한 일실시예이다.
도 8은 실행자가 내부공간에 들어가 안착한 다른 일실시예이다.
도 9는 실행자가 동작함에 따라 인형 의상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실행자가 동작함에 따라 인형 의상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 단면도이고, 도 3은 B - B'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의 다른 일실시예이고, 도 5는 링크바디부재(13151)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링크헤드부재(13171)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은 송풍장치(11) 및 송풍장치(11)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는 인형 의상(13)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장치(11)는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내부에 설치된 팬 등을 회전시켜 공기의 유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켜 인형 의상(13)의 내부가 팽창하도록 하여 인형 의상(13)이 풍선 및 인형 등의 형태를 갖추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송풍장치(11)는 지면에 안착되되, 송풍장치(11)가 지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도록 송풍장치(11)에 별도의 이동수단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실행자(P)가 들어가 안착하게 되는데, 이때 실행자(P)가 이동함에 따라 인형 의상(13)이 연동되어 이동하게 되면 인형 의상(13)에 설치된 송풍장치(11)와 함께 이동하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인형 의상(13)이 이동하게 되면 이에 설치된 송풍장치(11)가 함께 이동한다고 설명하였지만, 인형 의상(13)이 송풍장치(11)로부터 일정범위 이상 떨어지게 되면 송풍장치(11)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인형 의상(13)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키도록 송풍장치(1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가이드 되도록 송풍장치(11)와 인형 의상(13)을 연결하는 하기 연결관(111)이 설치되는데, 이때 설치된 연결관(111)의 길이의 범위만큼은 인형 의상(13)이 송풍장치(11)를 끌어당기거나 하지 않아 송풍장치(11)가 이동되지 않고, 그 이상의 범위로 인형 의상(13)이 이동하게 되면 연결관(111)이 송풍장치(11)를 끌어당겨 이동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송풍장치(11)에 설치되는 이동수단으로 사람(실행자(P) 및 별도의 보조진행자 등)이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송풍장치(11)를 직접 옮길 수 있도록 이동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사람(실행자(P) 및 별도의 보조진행자 등)이 손으로 직접 파지하지 않더라도 바퀴 등을 설치하여 끌어당김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송풍장치(11)는 인형 의상(13)과 연결되도록 하기 연결관(111)이 설치된다고 설명하였지만, 연결관(111)을 설치하지 않고 인형 의상(13)과 송풍장치(11)가 일체가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인형 의상(13)에 자가발전 할 수 있는 별도의 송풍장치(미도시)를 설치함으로 인해 연결관(111) 길이에 제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송풍장치(11)는 송풍장치(1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를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가이드 하는 연결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가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관(111)은 일측이 송풍장치(11)에 결합되며, 타측이 인형 의상(13)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기 공기유입구(13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관(111)은 하기 공기유입구(133)에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인형 의상(13)의 내부에 안착하는 실행자(P)가 이동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관(111)은 함께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지면에 쓸려 마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발생 되는 마찰에 의해 연결관(111)이 닳아서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기는 등 파손되면 다른 연결관(111)으로 쉽고 편리하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연결관(111)은 플레시블(flexible)하며, 마찰에 강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관(111)은 실행자(P)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하게 되어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형 의상(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장치(1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유도되어 팽창함에 따라 풍선 또는 인형 등의 형상을 갖추게 된다고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인형 의상(13)은 내부로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인형의 형상을 갖추게 되는 것으로 아래와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형 의상(13)은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공기유입구(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장치(1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공기유입구(133)를 통해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형 의상(13)은 실행자(P)가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들어가 안착할 수 있는 내부공간(1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행자(P)가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들어가 동작함에 따라 인형 의상(13)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여기서, 내부와 내부공간(131)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형 의상(13)은 실행자(P)가 내부공간(131)으로 출입하기 위해 인형 의상(13)의 일측에 개폐가능한 출입구(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입구(135)를 개폐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퍼(1351)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실행자(P)가 출입구(135)를 쉽고 간편하게 개폐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퍼(1351)에 구비될 수 있는 손잡이(1351a)가 내부공간(131)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퍼(1351)의 손잡이(1351a)가 내부공간(131) 방향에 위치하게 되면, 출입구(135)가 개방된 상태의 인형 의상(13) 내부공간(131)으로 실행자(P)가 들어가 혼자서 지퍼(1351)를 이용하여 출입구(135)를 폐쇄시킬 수 있으며, 내부공간(131)으로 들어간 실행자(P)가 혼자서 지퍼(1351)를 이용하여 출입구(135)를 개방시켜 인형 의상(13)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은 상술 바와 같이, 출입구(135)를 개폐시기키 위한 수단으로 지퍼(1351)를 일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행자(P)가 혼자서 손쉽게 출입구(135)를 개폐할 수 있는 다른 별도의 수단(미도시)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31)은 인형 의상(13)의 내부에 마련되되, 안착부(1311) 및 암부(1313)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1311)는 인형 의상(13)의 발 부분에 각각 마련되며, 일측에 실행자(P)의 발을 감싸는 형태의 끼움부재(1311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들어오는 실행자(P)의 발이 안착부(1311)에 안착되되, 안착부(1311)에 형성된 끼움부재(13111)에 실행자(P)의 발이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실행자(P)의 발과 인형 의상(13)의 발 부분이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안착부(1311)에는 실행자(P)의 발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행자(P)의 발이 끼움부재(13111)에 끼워져 인형 의상(13)의 발 부분과 연동되어 동작하더라도 실행자(P)가 발 동작으로 하게 되면 실행자(P)의 발이 끼움부재(13111)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더욱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실행자(P)의 발이 끼움부재(1311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끈 등을 이용하여 실행자(P)의 발을 묶어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311)에 실행자(P)의 발이 고정되게 안착되어 실행자(P)가 발 동작을 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인형 의상(13)의 발 부분이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암부(1313)는 인형 의상(13)의 팔 부분에 각각 마련되며, 일측에 실행자(P)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링크암부재(13131)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행자(P)가 내부공간(131)에 위치하여 손으로 링크암부재(13131)를 파지한 후, 팔 동작을 하게 되면 인형 의상(13)의 팔 부분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암부(1313)의 일측에도 고정부재(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부(1311)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과 동일하다. 즉, 상기 암부(1313)에 설치될 수 있는 링크암부재(13131)의 일측이 암부(131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링크암부재(13131)는 인형 의상(13)의 팔 부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암부재(13131)는 긴 봉 또는 막대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송풍장치(1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유입되면 내부공간(131)이 팽창하게 되어 부피가 커지게 되는데, 이때 인형 의상(13)은 실행자(P)의 몸집보다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암부(1313)와 실행자(P)의 팔이 연동되도록 실행자(P)가 암부(1313)에 설치되는 링크암부재(13131)를 파지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링크암부재(13131)는 일측이 암부(1313)에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인형 의상(13)을 사용할 때, 암부(1313)에 링크암부재(13131)를 설치하여 사용하되, 사용이 끝나면 암부(1313)로부터 링크암부재(13131)를 분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인형 의상(13)을 사용할 때에는 송풍장치(11)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어 내부공간(131)이 팽창하면 부피가 커지게 되기 때문에 링크암부재(13131)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인형 의상(13)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내부공간(131)에 주입된 공기를 빼내어 부피를 작게 하여 별도의 좁은 공간에서도 인형 의상(13)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암부(1313)에 설치되는 링크암부재(13131)를 실행자(P)가 손으로 파지하여 팔 동작을 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인형 의상(13)의 팔 부분이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은 내부공간(131)에 바디부(1315) 및 헤드부(1317)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형 의상(13)이 팽창하게 되면 내부에 안착하는 실행자(P)의 몸집보다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실행자(P)가 발 동작 및 팔 동작을 함에 따라 연동되어 인형 의상(13)의 발 부분 및 팔 부분이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행자(P)가 허리 동작 및 머리 동작을 함에 따라 이에 연동되어 인형 의상(13)의 허리 부분 및 머리 부분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바디부(1315)는 인형 의상(13)의 허리 부분에 마련되며, 일측에 실행자(P)의 허리에 장착될 수 있는 링크바디부재(1315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행자(P)가 내부공간(131)에 위치하여 링크바디부재(13151)를 허리에 장착한 후, 허리 동작을 하게 되면 인형 의상(13)의 허리 부분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바디부(1315)의 일측에도 고정부재(미도시)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부(1311) 및 암부(1313)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과 동일하다. 즉, 상기 바디부(1315)에 설치될 수 있는 링크바디부재(13151)의 일측이 바디부(1315)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바디부재(13151)는 외각둘레가 인형 의상(13)의 허리 부분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 실행자(P)의 허리에 장착되는 바디장착홈(1315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송풍장치(1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유입되면 내부공간(131)이 팽창하게 되어 부피가 커지게 되는데, 이때 인형 의상(13)은 실행자(P)의 몸집보다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실행자(P)의 허리에 링크바디부재(13151)의 바디장착홈(13151a)이 장착되도록 한 후, 허리 동작을 함으로 인해 이에 연동하여 바디부(1315)가 동작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링크바디부재(13151)는 외각둘레가 인형의 허리 부분에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인형 의상(13)을 사용할 때, 바디부(1315)에 링크바디부재(13151)를 설치하여 사용하되, 사용이 끝나면 링크바디부재(13151)로부터 링크바디부재(13151)를 분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인형 의상(13)을 사용할 때에는 송풍장치(11)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어 내부공간(131)이 팽창하면 부피가 커지게 되기 때문에 링크바디부재(13151)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인형 의상(13)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내부공간(131)에 주입된 공기를 빼내어 부피를 작게 하여 별도의 좁은 공간에서도 인형 의상(13)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링크바디부재(13151)는 실행자(P)의 허리에 장착되되, 실행자(P)의 허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링크바디부재(13151)가 실행자(P)의 허리에 장착되어 동작하더라도 실행자(P)가 허리 동작을 하게 되면 링크바디부재(13151)가 실행자(P)의 허리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더욱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미도시)는 상술한 안착부(1311)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재와 마찬가지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바디부(1315)에 설치되는 링크바디부재(13151)의 바디장착홈(13151a)에 실행자(P)의 허리가 장착되도록 하여 실행자(P)가 허리 동작을 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인형 의상(13)의 허리 부분이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헤드부(1317)는 인형 의상(13)의 머리 부분에 마련되며, 일측에 실행자(P)의 머리에 장착될 수 있는 링크헤드부재(1317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행자(P)가 내부공간(131)에 위치하여 링크헤드부재(13171)를 허리에 장착한 후, 머리 동작을 하게 되면 인형 의상(13)의 머리 부분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헤드부(1317)의 일측에도 고정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부(1311), 암부(1313) 및 바디부(1315)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재(미도시)를 설치하는 것과 동일하다. 즉, 상기 헤드부(1317)에 설치될 수 있는 링크헤드부재(13171)의 일측이 헤드부(1317)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헤드부재(13171)는 외각둘레가 인형 의상(13)의 허리 부분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 하부로 실행자(P)의 머리에 장착되는 헤드장착홈(1317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송풍장치(1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유입되면 내부공간(131)이 팽창하게 되어 부피가 커지게 되는데, 이때 인형 의상(13)은 실행자(P)의 몸집보다 커질 수도 있기 때문에 실행자(P)의 머리에 링크헤드부재(13171)의 헤드장착홈(13171a)이 장착되도록 한 후, 머리 동작을 함으로 인해 이에 연동하여 헤드부(1317)가 동작할 수 있는 거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링크헤드부재(13171)는 외각둘레가 인형의 머리 부분에 설치되되,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인형 의상(13)을 사용할 때, 헤드부(1317)에 링크헤드부재(13171)를 설치하여 사용하되, 사용이 끝나면 헤드부(1317)로부터 링크바디부재(13151)를 분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인형 의상(13)을 사용할 때에는 송풍장치(11)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어 내부공간(131)이 팽창하면 부피가 커지게 되기 때문에 링크헤드부재(13171)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지만, 인형 의상(13)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내부공간(131)에 주입된 공기를 빼내어 부피를 작게 하여 별도의 좁은 공간에서도 인형 의상(13)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링크헤드부재(13171)는 실행자(P)의 머리에 장착되되, 실행자(P)의 머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링크헤드부재(13171)가 실행자(P)의 머리에 장착되어 동작하더라도 실행자(P)가 머리 동작을 하게 되면 링크바디부재(13151)가 실행자(P)의 머리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더욱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미도시)는 상술한 안착부(1311) 및 바디부(1315)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재와 마찬가지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부(1317)에 설치되는 링크헤드부재(13171)의 헤드장착홈(13171a)에 실행자(P)의 머리가 장착되도록 하여 실행자(P)가 머리 동작을 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인형 의상(13)의 머리 부분이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형 의상(13)의 일측에는 실행자(P)가 인형 의상(13)의 내부에서 외부를 볼 수 있는 투명한 형태의 전방주시창(13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행자(P)가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으로 들어가게 되면 인형 의상(13)에 의해 외부 상황을 파악할 수 없게 되는데, 실행자(P)가 전방주시창(137)을 통해 외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실행자(P)가 이동함에 따라 연동되어 이동하는 인형 의상(13)이 장애물에 걸리지 않게 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인형 의상(13)의 발 부분의 하부에는 지면과 맞닿는 강화부재(139)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실행자(P)가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에 들어가 발 동작을 하여 이동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인형 의상(13)의 발 부분이 동작하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인형 의상(13)은 송풍장치(1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재질(천, 고무 등)로 형성되어 있어 인형 의상(13)이 이동함에 따라 인형 의상(13)의 발 부분이 지면에 맞닿게 되면, 쉽게 찢어지거나 구멍 등이 생기는 등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의 작동원리에 대해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실행자(P)가 내부공간(131)에 들어가 안착한 일실시예이고, 도 8은 실행자(P)가 내부공간(131)에 들어가 안착한 다른 일실시예이고, 도 9는 실행자(P)가 동작함에 따라 인형 의상(13)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실행자(P)가 동작함에 따라 인형 의상(13)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자(P)가 송풍장치(1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인형 의상(13)의 내부로 가이드되어 유입될 수 있는 연결관(111)을 인형 의상(13)의 공기유입구(133)에 설치한다.
다음, 실행자(P)가 출입구(135)를 통해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에 마련되는 안착부(1311)에 형성된 끼움부재(13111)에 실행자(P)의 발을 끼워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끼움부재(13111)에 끼워진 발이 더욱 고정되도록 안착부(1311)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매듭을 짓거나 별도의 방법으로 결속시켜 고정시킬 ㅅ수 있다. 이로 인해, 실행자(P)의 발이 동작함에 따라 인형 의상(13)의 발 부분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실행자(P)가 인형 의상(13)의 출입구(135)를 통해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에 마련되는 암부(1313)에 링크암부재(13131)의 일측을 설치한다. 이는, 하기와 같이, 송풍장치(11)를 켜 작동시키게 되면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이 팽창하게 되어 실행자(P)의 몸집보다 커지기 때문에 사전에 링크암부재(13131)를 암부(1313)에 설치하여 실행자(P)가 링크암부재(13131)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실행자(P)는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에 마련될 수 있는 바디부(1315) 및 헤드부(1317)에 링크바디부재(13151) 및 링크헤드부재(13171)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이는, 상술한 링크암부재(13131)를 암부(1313)에 설치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상기 실행자(P)가 출입구(135)를 지나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으로 들어가 출입구(135)를 통해 외부에 설치된 송풍장치(11)를 작동시킨 후, 출입구(135)에 설치된 지퍼(1351)를 이동시켜 출입구(135)를 폐쇄한다. 이때, 상기 지퍼(1351)를 이동시키기 위해 지퍼(1351)에 형성되는 손잡이(1351a)가 내부공간(131)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행자(P)는 인형 의상(13)이 내부공간(131)에서 지퍼(1351)의 손잡이(1351a)를 잡아 이동시킬 수 있어 혼자서도 쉽고 편리하게 출입구(135)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은 송풍장치(11)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연결관(111)에 가이드되어 내부로 유입되면서 점차적으로 팽창하게 되어 인형의 형상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행자(P)는 인형 의상(13)이 인형의 형태를 갖추게 되면, 암부(1313)에 설치된 링크암부재(13131)를 손으로 파지한다. 이때, 상기 실행자(P)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부(1315)에 설치되는 링크바디부재(13151)의 바디장착홈(13151a)에 허리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헤드부(1317)에 설치되는 링크헤드부재(13171)의 헤드장착홈(13171a)에 머리가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장착홈(13151a) 및 헤드장착홈(13171a)에 각각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실행자(P)의 허리 및 머리에 더욱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실행자(P)의 팔이 동작함에 따라 인형 의상(13)의 팔 부분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게 되고, 나아가 실행자(P)의 허리 및 머리가 동작함에 따라 인형 의상(13)의 허리 및 머리 부분이 이에 연동하여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실행자(P)는 발 동작 및 팔 동작을 하여 인형 의상(13)의 발 부분과 팔 부분을 동작시킨다. 더 나아가, 상기 실행자(P)는 허리 동작 및 머리 동작을 하여 인형 의상(13)의 허리 부분과 머리 부분을 동작시킨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인형 의상(13)이 실행자(P)의 동작에 따라 연동하여 다양한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다양한 동작은 실행자(P)의 동작에 따라 인형 의상(13)이 발 부분, 팔 부분, 허리 부분, 머리 부분을 동작하거나, 이동 또는 춤 등 다양한 동작을 의미한다.
다음, 상기 실행자(P)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의 사용이 끝나면, 출입구(135)에 설치된 지퍼(1351)를 이동시켜 출입구(135)를 개방한 후, 출입구(135)를 통해 인형 의상(13)의 외부로 빠져나온다.
다음, 상기 실행자(P)는 송풍장치(11)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에 설치된 링크암부재(13131), 링크바디부재(13151), 링크헤드부재(13171) 및 인형 의상(13)의 일측에 설치된 연결관(111)을 분리하여 인형 의상(13)과 함께 보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은 공기가 주입된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으로 실행자(P)가 들어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간(131)으로 들어간 실행자(P)가 이동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인형 의상(13)이 실행자(P)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 자유롭게 이동하며 주변 사람들뿐만 아니라, 실행자(P)가 이동할 수 있는 모든 곳에 위치한 다수의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주목을 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10)은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에 끼움부재(13111), 링크암부재(13131), 링크바디부재(13151) 및 링크헤드부재(13171)를 설치함으로써, 실행자(P)가 인형 의상(13)의 내부공간(131)에 들어가 동작을 취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안착부(1311), 암부(1313), 바디부(1315) 및 헤드부(1317) 각각이 실행자(P)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인형 의상(13)으로 다양한 동작을 연출하여 주변 사람들의 주목을 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11 : 송풍장치
13 : 인형 의상 131 : 내부공간
1311 : 안착부 13111 : 끼움부재
1313 : 암부 13131 : 링크암부재
1315 : 바디부 13151 : 링크바디부재
1317 : 헤드부 13171 : 링크헤드부재
133 : 공기유입구 135 : 출입구
P : 실행자

Claims (8)

  1.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장치; 및
    상기 송풍장치를 통해 공기를 주입받아 인형의 형태를 갖추되, 내부에 실행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인형 의상;을 포함하며,
    상기 인형 의상은 상기 실행자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들어가 허리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인형 의상의 허리 부분이 이에 연동되어 동작 되는 바디부; 및
    상기 실행자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들어가 머리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인형 의상의 머리 부분이 이에 연동되어 동작 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 의상은,
    상기 실행자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들어가 발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인형 의상의 발 부분이 이에 연동되어 동작 되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실행자의 발이 안착되되,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형 의상은,
    상기 실행자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들어가 팔 동작을 하게 되면, 상기 인형 의상의 팔 부분이 이에 연동되어 동작 되는 암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는,
    상기 실행자의 팔과 연동되어 동작 되도록 일측이 상기 암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측을 상기 실행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링크암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실행자의 허리와 연동되어 동작 되도록 일측이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실행자의 허리에 장착되는 링크바디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실행자의 머리와 연동되어 동작 되도록 일측이 상기 헤드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실행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링크헤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KR1020130074451A 2013-06-27 2013-06-27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KR101450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451A KR101450134B1 (ko) 2013-06-27 2013-06-27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451A KR101450134B1 (ko) 2013-06-27 2013-06-27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134B1 true KR101450134B1 (ko) 2014-10-14

Family

ID=5199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451A KR101450134B1 (ko) 2013-06-27 2013-06-27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9989A1 (en) * 2017-08-29 2019-03-06 Rubie's Costume Co., Inc. Inflatable baby costu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21Y1 (ko) 2000-01-25 2000-06-15 이춘주 광고 장식물용 기구체
JP3111958U (ja) * 2005-04-22 2005-07-28 株式会社テンヨー 仮装用衣装
KR20100032760A (ko) * 2008-09-18 2010-03-26 이상정 공기 주입식 인형복
KR20100066546A (ko) * 2007-09-19 2010-06-17 온-아트 코프. 대형 동물 인형 의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921Y1 (ko) 2000-01-25 2000-06-15 이춘주 광고 장식물용 기구체
JP3111958U (ja) * 2005-04-22 2005-07-28 株式会社テンヨー 仮装用衣装
KR20100066546A (ko) * 2007-09-19 2010-06-17 온-아트 코프. 대형 동물 인형 의상
KR20100032760A (ko) * 2008-09-18 2010-03-26 이상정 공기 주입식 인형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9989A1 (en) * 2017-08-29 2019-03-06 Rubie's Costume Co., Inc. Inflatable baby costu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8932B2 (en) Toy
KR101155547B1 (ko) 대형 동물 인형 의상
US3346989A (en) Pneumatic space capsule
KR101450134B1 (ko) 공기 주입식 인형 의상
JP2004504901A (ja) 例えば人形および他の同様な玩具、すなわち小動物やソフト玩具等の操り人形の四肢および/または他の身体部分を伸長させるための装置
EP2422858B1 (en) Doll with reconfigurable garment portion
US8997386B2 (en) Backpack-type large-scale promotional mannequin
ITRM930194A1 (it) Vestito da maternita' per una bambola che simula la gravidanza.
US20140349543A1 (en) Containerized hand puppet embodying multiple toy figures
KR20100032760A (ko) 공기 주입식 인형복
CN109908609A (zh) 自动变脸装置
TW202029905A (zh) 吹風機搖擺律動導風機構
CN210021184U (zh) 自动变脸装置
KR200458939Y1 (ko) 광고 선전 풍선
EP3449989A1 (en) Inflatable baby costume
US7374503B2 (en) Wavable basketball backboard and rim
JP3099787U (ja) イベント用風船ぬいぐるみ
CN209436278U (zh) 可充气头盔服装组件
CN212345322U (zh) 一种道具服装皮囊
JP3170141U (ja) 縫いぐるみ玩具
US421493A (en) Dismembering apparatus
JP5185457B1 (ja) 紙吹雪散らし具及び紙吹雪散らし具を装着した衣装。
CZ33405U1 (cs) Logopedická pomůcka
JP2003236256A (ja) バルーン玩具
CN109939434A (zh) 一种便于vr体验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