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003B1 -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장치, 및노트북 컴퓨터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장치, 및노트북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003B1
KR101449003B1 KR1020070115008A KR20070115008A KR101449003B1 KR 101449003 B1 KR101449003 B1 KR 101449003B1 KR 1020070115008 A KR1020070115008 A KR 1020070115008A KR 20070115008 A KR20070115008 A KR 20070115008A KR 101449003 B1 KR101449003 B1 KR 101449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ver
display module
front cover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909A (ko
Inventor
이태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5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0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부에 가하여지는 외력에 의해서 액정모듈의 화면이상 및 파손이 방지되고, 노트북의 동작 시에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발생되는 화면이상이 없어져서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가 증진되고, 제품 사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보호하는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모서리부 배면에 형성되는 전면후크; 상기 후면커버의 전면에 상기 전면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배면후크; 및 상기 전면후크 및 상기 배면후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 상기 전면후크와 상기 배면후크가 서로 가까와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멈춤부가 포함되는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후크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노트북 컴퓨터{SUSTAINING DEVICE FOR DISPLAY MODULE, DISPALY DEVICE FOR NOTE-PAD COMPUTER, AND NOTE-PAD COMPU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후크구조를 한 쌍의 후크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전면후크
9 : 배면후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와,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노트북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화상을 제공하는 기기로서, 동작되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있다. 그 중에서도 액정 모듈은 발전을 거듭하여 대화면이 얇은 박막으로 동작가능하기 때문에, 근래들어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액정 모듈은 얇은 두께로도 화상의 구현이 가능해서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주로 이용된다.
상기 노트북 컴퓨터에는 자판이 배열되고 내부에 다양한 부품이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부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내부에 수용되는 액정모듈의 두께를 포함하여 전체 두께가 얇으면 얇을 수록 노트북 컴퓨터의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하다.
그러나, 그에 반하여 디스플레이 부의 두께가 얇으면 얇을수록 디스플레이 부의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부를 열거난 닫는 경우에 가하여지는 외력이 액정모듈에 까지 영향이 미치게 된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부를 열면서 커버의 일측을 누르면, 눌러진 압력에 대하여 커버가 자체적으로 대항하지 못하고 커버가 변형된다. 커버의 변형은 결국 액정 모듈에 까지 전달되어 액정모듈 내부의 액정층에까지 영향을 미쳐서 액정 모듈의 화면에 잔주름이 생기는 푸들 현상(PUDDLE 현상)이 발생된다. 그 충격량이 큰 경우에는 액정 모듈에 가하여지는 힘이 커서 액정모듈이 파손되는 문제까지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커버와 액정모듈의 사이에 쿠션을 개입시키는 구조가 제안된 바가 있으나, 쿠션을 개입시키는 과정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쿠션이 개입되는 간격을 마련하기 위하여 그만큼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고, 쿠션이 노후화되면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액정모듈을 커버하는 커버의 외관을 복잡하게 만들어 커버의 자체적인 강도를 크게 함으로써, 외력이 가하여지더라도 커버가 변형하지 않도록 하여, 액정모듈에는 영향이 주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디스플레이 부의 외관을 해치기 때문에 제품의 이미지를 나쁘게 해서 바람직하게 적용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배경하에서 제안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부에 가하여지는 외력에 의해서 액정모듈의 화면이상을 방지하고, 나아가서, 외부에서 가하여지는 힘에 의한 액정모듈의 파손을 방지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 및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내부에 수용되는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및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면커버 중의 어느 하나에서, 모서리 부분에 제공되고, 단부에는 거는부분이 제공되는 제 1 후크;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면커버 중의 다른 하나에서, 상기 제 1 후크가 제공되는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거는부분의 삽입/이탈의 양방향 이동을 저지하는 제 2 후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보호하는 전면커버 및 후면커버; 및 상기 전면커버의 모서리부 배면에 형성되는 전면후크; 상기 후면커버의 전면에 상기 전면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배면후크; 및 상기 전면후크 및 상기 배면후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어, 상기 전면후크와 상기 배면후크가 서로 가까와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멈춤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는, 본체; 상기 본체에 힌지회동되고,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체결구조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부; 및 상기 커버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커버의 모서리 부분에 제공되는 대응관계를 이루는 이중후크구조가 포함되고, 상기 이중후크구조는, 어느 하나의 커버로부터 다른 하나의 커버를 향하여 돌출되고, 그 단부에는 거는부분이 제공되는 한 쌍의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고, 노트북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부의 개폐 중에 발생되는 디스플레이 부의 이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트북 컴퓨터는 내부에 기판과 저장매체등이 수용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에 대하여 힌지결합되어 본체(1)에 대하여 회동운동되는 디스플레이 부(2)와, 상기 디스플레이 부(2)와 본체(1)의 접촉부에 개입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부(2)의 힌지운동을 허용하는 힌지부(3)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부(2)는 전면커버(4)와 배면커버(5)로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 액정모듈(6)이 수용되는 형태로 제공되고, 외관이 미려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개의 경우에는 전면커버의 두께(t1)는 배면커버의 두께(t2)에 비하여 얇게 제공된다. 상기 전면커버(4)의 상단부에는 디스플레이 부(2)가 닫혔을 때 디스플레이 부(2)를 고정하기 위하여 래치(7)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액정모듈(6)은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종으로서,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액정모듈이라는 말을 함께 병용하지만, 이는 바람직하게 액정모듈(6)을 사용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모듈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부(2)가 열리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래치(7)를 해제하고서 디스플레이 부(2)를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오른손잡이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부(2)의 "A" 영역을 잡고서 들어 올리고, 왼손잡이 사용자는 "B" 영역을 잡고서 디스플레이 부(2)를 회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사용자가 힘을 주는 방향은 디스플레이 부(2)를 여는 방향이므로, 상기 전면커버(4)에 힘이 가하여지게 될 것이다. 그러면, 전면커버(4)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변형될 것이고 상기 "A"영역과 "B"영역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액정모듈(6)에도 힘이 가하여 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커버(4)에 가하여지는 힘은, 상기 전면커버(4)와 상기 배면커버(5)에 동시에 인가되기 때문에, 전면커버(4)는 변형되지 않고 원 상태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부(2)를 닫을 때에 배면커버(5)를 누르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발생할 것이지만, 상기 배면커버(5)는 모서리 부위에 굴곡되는 부분이 많아서 강도가 높기 때문에, 외력이 가하여지더라도 그다지 많은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는 상기 전면커버(4)와 상기 배면커버(5)를 서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면커버(4)와 상기 배면커버(5)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제공되는 이중후크구조에 의해서 달성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상기 이중후크 구조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제시된 바가 있는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부(2)는, 이미 설명된 전면커버(4)와, 배면커버(5)와, 상기 커버(4)(5)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정모듈로 예시가능한 평면 디스플레이 모듈(6)이 포함된다.
상기되는 각 부품의 체결을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은, 모듈의 측면에 형성되는 홀(61)과 상기 배면커버(5)의 측면에 형성되는 액정모듈체결보스(51)이 정렬되고, 그 내부로 삽입되는 나사(52)에 의해서 배면 커버(5)에 고정된다.
상기 전면커버(4)와 상기 배면커버(5)는 두 종류의 체결방식에 의해서 체결되는데, 첫번째는 사각형으로 제공되는 커버(4)(5)의 네 모서리 부위가 나사에 의해서 견고하게 체결되는 나사체결방식이고, 두번째는 사각형의 각 모서리에 이중후크가 제공되고 그 이중후크가 서로 체결되는 걸림체결방식이다. 상기 걸림체결방식은 상기 나사체결방식이 커버의 모서리에 전체적으로는 제공될 수 없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커버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양 커버(4)(5)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 어지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나사체결방식은 상기 전면커버(4)의 네 귀퉁이 부분에 형성되는 홀(42)과, 상기 홀(42)과 정렬되는 배면커버의 네 귀퉁이 부분에 형성되는 커버체결보스(53)과, 상기 홀(42)과 상기 커버체결보스(53)에 함께 체결되는 나사(41)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상기 커버(4)(5)의 네 귀퉁이 부분은 견고하게 체결되어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귀퉁이 부분을 잇는 상기 커버(4)(5)의 모서리 전체가 나사(41)에 의해서 체결될 수는 없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모서리 부분에는 후크가 제공되어 커버(4)(5)가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크가 이중후크의 구조로 제공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이중후크는 상기 전면커버(4)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면후크(8)와, 상기 배면커버(5)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배면후크(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후크(8) 및 상기 배면후크(9)를 통칭하여 이중후크라고 이름을 하는 것은, 후크(8)(9) 양자 간에 동일한 방식의 걸림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이중후크(8)(9)의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전면커버(4)가 배면커버(5)측을 향하여 이동하여 체결되는 동작에 의해서, 상기 전면후크(8)는 상기 배면후크(9)와 체결된다. 상기 후크(8)(9) 간의 체결은 일반적인 후크의 체결과는 달리, 양자가 서로 유사한 형상으로 제공되어, 후크가 서로 체결되고 난 다음에는 어느 하나의 후크, 예를 들어 전면 후크(8)가 후방으로 배면 후크(9)에 걸려서, 전면 후크(8)의 더 이상의 이동이 저지되는 특징을 보인다.
상기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후크(8)(9)가 체결되고 난 다음에는, 전면후크(8)가 후방으로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저지되면, 그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면 커버(4)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저지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부(2)를 개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후크(8)(9)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누르더라도, 전면커버(4)는 배면후크(9)가 제공되는 배면커버(5)에 의해서 변형이 저지된다. 다른 측면으로 본 현상을 살펴보면, 상기 전면커버(4)와 상기 배면커버(5)는 상기 이중후크구조에 의해서 전방 및 후방으로 밀리는 힘에 대해서는 단일체로 작용되어, 강도가 보강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상기 전면커버(4)를 밀더라도 전면커버(4)가 디스플레이 모듈(6)에 닿기 전에 이중후크구조에 의해서 배면커버(5)에 먼저 닿으므로, 상기 전면커버(4)가 밀리는 작용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모듈(6)에 외력이 인가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6)에 외력이 가하여지지 않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6)의 화면이상이나, 디스플레이 모듈(6)의 파손등과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본 실시예가 구현하고자 하는 효과는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미관을 고려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부(2)의 두께가 점점 더 축소되는 것에 의해서 더 현저하게 드러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2)를 이루는 한 쌍의 커버(8)(9) 중에서도 상기 전면커버(8)의 두께가 더 얇아지면, 사용자가 노트북 컴퓨터를 열기 위하여 전면커버(8)의 전방 모서리에 외력을 인가하는 작용에 의해서 더 현저하게 드러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후크구조를 한 쌍의 후크의 사시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후크(8)와 상기 배면후크(9)가 제공되고, 상기 전면커버(4)가 상기 배면커버(5)에 체결될 때에는, 상기 전면후크(8)가 상기 배면후크(9)측으로 이동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한 쌍의 후크가 서로 체결되기 직전의 모습을 도시한다.
상세하게, 상기 전면후크(8)는 전체적으로 후크형상으로 제공되고, 전면커버(4)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크의 체결시에 변형을 일으키는 연장부(81)와, 상기 연장부(81)의 단부에 제공되어 걸림작용을 수행하는 거는부분(82)과, 상기 거는부분(82)의 단부측을 정의하고 후크가 체결되었을 때 전면커버(4)가 밀리는 힘을 배면커버(5)로 전달하는 미는부분(84)이 제공된다. 물론, 도 3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전면후크(8)는 상기 전면커버(4)의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면후크(9)는 높이를 일정정도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돋움부(91)와, 상기 배면후크(9)의 단부에 제공되는 거는부분(94)과, 상기 거는 부분의 하측에서 일정정도 파이는 형태로 제공되는 후크 수용부(93)와, 상기 후크 수용부(93)의 하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미는부분(84)이 접하여 전면후크(8)의 이동을 저지하는 멈춤부(92)가 제공된다.
상기되는 구성으로 제공되는 이중후크구조의 작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후크(8)(9)가 접근하는 것에 의해서 양자에 함께 제공되는 슬라이딩부(83)(95)가 먼저 접하고서, 슬라이딩부(83)(95) 서로가 미끄러져서 전면후크(8) 의 거는부분(82)이 배면후크(9)의 거는 부분(94)을 지나서 후크 수용부(93)의 안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전면후크(8)의 연장부(81)는 일정한 정도의 탄성변형이 일어나서 후크의 삽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후크(8)(9)에 제공되는 한 쌍의 거는부분(82)(94)의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면이 서로 마주보면서 걸리게 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후크(8)와 상기 배면후크(9)가 서로 체결되고 난 다음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부(2)를 움직이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부(2)에 외력을 가하면, 사용자가 민 부분과 인접하는 전면후크(8)가 뒤로 밀리게 된다. 그러면, 전면커버(4)가 디스플레이 모듈(6)에 힘을 가하기 전에, 상기 전면후크(8)의 단부에 제공되는 미는부분(84)이 상기 배면후크(9)의 멈춤부(92)에 닿아서, 전면후크(8)는 먼저 배면후크(9)를 밀게 되고, 배면후크(9)에 의해서는 배면커버(5)가 밀리게 된다. 그렇게 되면 결국, 사용자가 힘을 가한 부분에서는 국소적으로 전면커버(4) 및 배면커버(5)는 서로 단일체로 작용하기 때문에, 강도가 증가되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서 변형없이 더 강하게 견딜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돋움부(91)는 상기 배면커버(5)의 바닥면에서 상기 멈춤부(92)가 일정한 수준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하여, 미는부분(84)과 멈춤부(92)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돋움부(91)에 의해서는 배면후크(9)가 제공되는 배면커버(5)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하여, 종국적으로는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을 가하는 특정 지점에서의 강도가 증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면후크(9)에 의한 상기 전면후크(8)의 지지작용이 정확하게 수 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배면후크(9)의 폭(W2)는 상기 전면후크(8)의 폭(W1)에 비하여 크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공됨으로써, 제작과정의 공차 및 성형시에 발생되는 수지의 수축현상에 의해서도 디스플레이 모듈(6)의 지지작용은 정확하게 일어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Ⅰ-Ⅰ'의 단면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후크(8)의 거는부분(82)의 높이(H1)와, 상기 배면후크(9)의 후크 수용부(93)의 높이(H2)와, 상기 전면후크(4)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멈춤부(92)와 상기 미는부분(84)과의 사이 높이(H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멈춤부(92)와 상기 미는부분(84)과의 사이 높이(H3)는 좁은 간격으로서 제공되어 있지만, 상기 전면후크(8)의 거는부분(82)이 후크 수용부(93)의 안으로 삽입되고 난 다음에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그 높이는 전면커버(4)가 후방으로 밀리는 경우에 밀릴 수 있는 한계를 설정하는 부분이므로, 그 높이는 가능한 한 낮은 것이 바람직한 것이 물론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외력 F를 가하면, 전면후크(8)는 상기 멈춤부(92)와 상기 미는부분(84)과의 사이 높이(H3) 만큼은 후방으로 이동하지만, 그 이후에는 전면후크(4)가 자체적으로 후방후크(5)를 밀게 된다. 이 경우에는 전면커버(4)와 배면커버(5)는 단일체로 움직이게 되므로 사용자의 외력에 대하여 더 견고하게 저항하여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멈춤부(92)와 상기 미는부분(84)과의 사이 높이(H3)는, 전면커버(4)와 디스플레이 모듈(6)의 사이 거리보다는 짧게 설정하여, 사용자의 어떠한 외력에 대해서도 디스플레이 모듈(6)에는 영향 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부(2)를 개폐시킬 때에는, 사용자는 "A"영역과 "B"영역에 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반영하여, 상기 "A"영역과 "B"영역에는 다른 영역에 비하여 이중후크의 개수가 증가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해당되는 영역에 포함되는 곳에서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이중후크가 두배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어떠한 영역에 외력을 가하더라도 디스플레이 모듈(6)에는 외력이 가하여지지 않기 되어서, 디스플레이 모듈이 화상이상이나, 디스플레이 모듈의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서, 사용자가 주로 외력을 가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보다 촘촘하게 이중후크구조가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하는 힘의 위치가 약간 정도 어긋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모듈(6)의 정상동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는 설명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더 제안될 수 있다.
먼저, 상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노트북 컴퓨터를 예시하여 설명을 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태블릿 컴퓨터와 같이 다른 액정모듈이 적용되는 다른 장치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중후크구조는 저면커버와 배면커버에 제공되는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후크구조가 서로 체결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 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배면후크는 고리 형상으로 제공되고, 그 고리의 선단부에서 하방으로 상기 전면후크(8)의 거는 부분이 삽입된 하측으로 일정거리 아래 부분에 멈춤부(92)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별도의 부품 또는 일체화된 부품으로서 스토퍼가 제공되기만 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양자가 후크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이 제작의 편의 및 강도의 증가 측면에서 더 바람직한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에는 연장부가 제공되는 전면후크가 제공되고, 배면커버에는 돋움부가 제공되는 배면커버가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이 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배면후크에 형성되고 돋움부가 상기 전면후크에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전면후크는 대개 얇은 부재가 사용되기 때문에, 큰 영역의 돋움부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수지의 사출과정에서 사출수축등과 같은 변형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더 바람직한 것은 당연하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크 수용부는 하나의 후크에만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상기 후크 수용부 및/또는 돋움부는, 상기 전면후크와 상기 배면후크에 모두 제공될 수도 있어서, 이 경우에는 커버를 미는 사용자의 외력에 대하여 저항할 수 있는 강도는 더욱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부에 가하여지는 외력에 의해서 액정모듈의 화면이상 및 파손이 방지되고, 노트북의 동작 시에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발생되는 화면이상이 없어져서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가 증진되고, 제품 사용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기대된다.

Claims (10)

  1.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보호하는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모서리부 배면에 형성되는 전면후크; 및
    상기 배면커버의 전면에 상기 전면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배면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후크는,
    탄성 변형하여 휘어질 수 있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걸림 작용을 수행하는 거는 부분과,
    상기 거는부분의 단부측을 정의하고 후크가 체결될 때 상기 전면 커버가 밀리는 힘을 배면 커버로 전달하는 미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배면 후크는,
    상기 배면 커버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연장되는 돋움부와,
    상기 전면 커버 쪽 단부에 구비되는 거는 부분과,
    상기 거는 부분의 후방 쪽에서 일정 정도 파이는 형태로 제공되는 후크 수용부와,
    상기 후크 수용부의 하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미는 부분이 접하여 전면 후크의 이동을 저지하는 멈춤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수용부에 상기 전면 후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멈춤부와 상기 미는 부분 사이의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후크 및 상기 배면후크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측의 귀퉁이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형성빈도가 높은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배면커버의 귀퉁이 부분에는 나사가 체결되는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측방향으로 끼워지는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배면커버에 체결되는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
  6.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과 후방을 각각 보호하는 전면커버 및 배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의 모서리부 배면에 형성되는 전면후크; 및
    상기 배면커버의 전면에 상기 전면후크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는 배면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 후크는,
    탄성 변형하여 휘어질 수 있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걸림 작용을 수행하는 거는 부분과,
    상기 거는부분의 단부측을 정의하고 후크가 체결될 때 상기 배면 커버와 상기 전면 커버가 서로를 향해 밀리는 힘을 전면 커버로 전달하는 미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후크는,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연장되는 돋움부와,
    상기 배면 커버 쪽 단부에 구비되는 거는 부분과,
    상기 거는 부분의 전방 쪽에서 일정 정도 파이는 형태로 제공되는 후크 수용부와,
    상기 후크 수용부의 단부로 정의되고 상기 미는 부분이 접하여 배면 후크의 이동을 저지하는 멈춤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 수용부에 상기 배면 후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멈춤부와 상기 미는 부분 사이의에는 간격이 형성되는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70115008A 2007-11-12 2007-11-12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장치, 및노트북 컴퓨터 KR101449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08A KR101449003B1 (ko) 2007-11-12 2007-11-12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장치, 및노트북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008A KR101449003B1 (ko) 2007-11-12 2007-11-12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장치, 및노트북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09A KR20090048909A (ko) 2009-05-15
KR101449003B1 true KR101449003B1 (ko) 2014-10-08

Family

ID=4085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008A KR101449003B1 (ko) 2007-11-12 2007-11-12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장치, 및노트북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0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7983A (ja) * 1995-05-29 1996-12-13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20053656A (ko) * 2000-12-27 2002-07-05 윤종용 디스플레이장치
KR20050037204A (ko) * 2003-10-17 200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60119605A (ko) * 2005-05-20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7983A (ja) * 1995-05-29 1996-12-13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20053656A (ko) * 2000-12-27 2002-07-05 윤종용 디스플레이장치
KR20050037204A (ko) * 2003-10-17 2005-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60119605A (ko) * 2005-05-20 2006-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909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2928B2 (en) Automatic lifting apparatus for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of notebook computer
US7035090B2 (en) Interlocking mechanism for a display
US5002184A (en) Soft case protection for a hand held computer
US5576929A (en) Structure having a latch mechanism engaging an intermediate cover and an outer cover and lifting the intermediate cover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
US7407202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latch mechanism
KR101129819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래치장치
US6932447B2 (en) Computer enclosure with locking bar
TW200912899A (en) Optical disk device and the laptop disposed the same
US7773376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6172869B1 (en) Portable computer with bezel snap screw cover and molded spring latch
US6805505B2 (en) Keyboard and computer system allowing for simple keyboard removal
US6721177B1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7428144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improved latch mechanism
KR101449003B1 (ko) 디스플레이 모듈의 지지장치,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장치, 및노트북 컴퓨터
US7108525B2 (en) Latch device requiring no movable operating member that is operated from the exterior
US20050017608A1 (en) Computer enclosure incorporating hood fastener
US20130037676A1 (en) Fixing apparatus for storage device
US9462717B1 (en) Mounting frame to mount a component
US7642477B2 (en) Button fixing mechanism
US7286343B2 (en) Lock mechanism for digital disc player
CN108255252A (zh) 硬盘托盘及硬盘托架组件
TWI465175B (zh) 固定結構與掀蓋式電子裝置
TWI637564B (zh) 卡扣機構及具有此卡扣機構的傳輸座和電子設備
US98860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W201327110A (zh) 電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