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407B1 - End Pattern Restoring Method for Mended Jeans - Google Patents

End Pattern Restoring Method for Mended J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407B1
KR101448407B1 KR1020130162409A KR20130162409A KR101448407B1 KR 101448407 B1 KR101448407 B1 KR 101448407B1 KR 1020130162409 A KR1020130162409 A KR 1020130162409A KR 20130162409 A KR20130162409 A KR 20130162409A KR 101448407 B1 KR101448407 B1 KR 10144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loring
pattern
pants
j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낙철
Original Assignee
배낙철
이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낙철, 이은정 filed Critical 배낙철
Priority to KR102013016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4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4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2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ingeing, teasing, shearing, etching or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06B11/0093Treatments carried out during or after a regular application of treating materials, in order to get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 textile material
    • D06B11/0096Treatments carried out during or after a regular application of treating materials, in order to get differentiated effects on the textile material to get a faded loo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storing an end pattern of a mended jean. The method includes: a cut-out step for measuring a length of the jean to cut out a lower end portion in a predetermined length; a pattern forming step for washing the lower end of the cut jean to form an end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end pattern, thereby forming an end part; a sewing line forming step for forming a sewing line on an upper portion of the end part; and a sewing step for folding the end part to backstitch the folded end part along the sewing line. Thus, when the length of the jean is mended, the end pattern of the jean may be restored to correspond to the original pattern to realize the original shape of the jean after mending. Here, since the mended portion does not outstand, the method may preserve the value of the jean. Also, since a decolorant which is a kind of chemicals is not used in the end pattern forming process, the metho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lso, it is unnecessary to perform a pre/post process for decoloring to easily perform the washing. Furthermore, the degree of decoloration may be easily adjusted during the washing of a polishing member.

Description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End Pattern Restoring Method for Mended Jeans} {End Pattern Restoring Method for Mended Jeans}

본 발명은,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바지 기장을 수선할 때,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를 원래의 무늬와 같게 복원함으로써, 수선 후에도 청바지의 원모양을 그대로 살릴 수 있으며, 수선 상태가 표시가 나지 않으므로 청바지의 가치를 보존할 수 있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storing a pants pattern of a jeans,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method for restoring a pants pattern of a jeans by restoring the pants pattern of the jeans to the original pattern, And the method of restoring the pants pattern of the sewn jeans which can preserve the value of the jeans since the repair status is not displayed.

일반적으로 청바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우선 청바지의 모양을 디자인 한 다음, 상기 디자인에 맞게 옷 본을 만든 후, 상기 옷 본에 맞추어 치수를 재고 재단을 하고, 재봉기를 이용하여 청바지를 재봉한다. Generally, a method of manufacturing jeans is to first design the shape of jeans, then to make a pattern according to the design, cut the size according to the pattern, cut the jeans using a sewing machine.

청바지가 완성된 후에는, 세탁통에 넣고 일차적으로 청바지를 세탁하여 물을 빼는데, 이 과정에서 청바지가 깨끗해짐과 동시에 탈색에 의해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게 되는 장점이 있다.         After the jeans are finished, the jeans are firstly put into the washing machine and the jeans are washed to remove the water. In this process, the jeans are cleaned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a natural appearance by decoloring.

이렇게 세탁공정을 마친 청바지는 각 부분이 탈색 되어 청바지 특유의 멋과 자연스러움이 연출되는데, 특히 청바지의 바지단 부분은 재봉선인 바지단 둘레를 따라 물이 빠져 청바지의 끝부분임이 쉽게 구별된다.         Jeans that have been washed in this way are discolored so that the jeans have unique style and naturalness. In particular, the jeans' pants end portion is easily distinguishe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jeans because the water runs off along the perimeter of the jeans.

한편, 청바지를 소비자가 구입할 때에는 자신의 기장과 맞지 않는 경우 청바지를 수선하여 입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청바지 수선은 바지단을 길이에 맞게 자른 후 상기 잘린 청바지의 하단을 안쪽으로 접어 바느질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consumer purchases jeans,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jeans are repaired if they do not match their own length. Such jeans repairing is performed by cutting the bottom of the jeans according to the length, and then folding the bottom of the jeans to the inside.

그러나, 이러한 수선과정에서 바지 끝단이 재단되어 없어지므로, 도 5의 (a)와 같이, 특유의 바지단 무늬에 의해 연출되는 자연스러움이나 헤어진 모양이 함께 사라지게 되어 수선여부가 쉽게 나타나는 한편, 청바지의 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end of the pants is cut off in such a repairing process, the naturalness and the separated shape produced by the unique pants pattern disappear together as shown in Fig. 5 (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alue is lowered.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0068524호에는, 바지단을 제외한 나머지 중간 부분을 재단한 후 바지단을 이어 붙이는 수선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바지단을 재봉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수선 상태가 자연스럽지 못하고 투박하며, 수선자의 숙련도에 따라 수선 상태가 일관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To this e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68524 discloses a repairing method in which the middle portion except for the end portion is trimmed and then the end portion of the end portion is connected. This is because when the sewing portion of the end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maintenance state is not consistent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repairer.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006852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9-0068524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청바지 기장을 수선할 때,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를 원래의 무늬와 같게 복원함으로써, 수선 후에도 청바지의 원모양을 그대로 살릴 수 있으며, 수선 상태가 표시가 나지 않으므로 청바지의 가치를 보존할 수 있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jeans repairing method which can restore the jeans pants pattern to the same as the original pattern when repairing the jeans jeans pant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of the jeans even after repairing. And to provide a method of restoring the pants pattern of the sewn jeans which can preserve the valu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공정에서 워싱이 과다하게 이루어진 경우에 워싱과 함께 착색을 수행함으로써 청바지 특유의 바지단 무늬를 표현할 수 있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restoring a pants pattern of a sewn jeans which can express a pants pattern specific to jeans by performing coloring together with washing when washing is excessively performed in the washing process .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청바지의 기장을 재어 적당한 길이로 하단부를 잘라내는 재단단계와; 재단된 청바지 하단부에 워싱을 통하여 초기 바지단 무늬에 대응하는 바지단 무늬를 형성하여 바지단을 만드는 무늬형성단계와;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object can be accomplished by a cutting method comprising: a cutting step of cutting a lower end of a jeans to a proper length; A pattern formation step of forming a pants end by forming a pants pattern corresponding to an initial pants pattern through washing at a lower end of the cut jeans;

상기 바지단의 상부에 재봉선을 형성하는 재봉선 형성단계와; 상기 바지단을 접어 상기 재봉선을 따라 박음질하는 재봉단계;를 포함하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A sewing line forming step of forming a sewing line on the top of the trouser step; And a sewing step of folding the bottom end of the jeans along with the seam.

여기서, 상기 무늬형성단계는, 상기 바지단 무늬가 양각으로 형성된 양각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바지단 무늬가 개구부로 형성된 음각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양각판과 음각판 사이에 상기 바지단을 위치하는 단계와; 상기 음각판 상부에서 연마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음각판의 개구부로 노출된 상기 바지단에 상기 바지단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pattern formation step may include: preparing an embossed plate in which the pants pattern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Preparing an engraved plate in which the pants pattern is formed as an opening; Placing the trouser tip between the relief plate and the depressed plate; And forming the pants section on the pants section exposed to the opening of the engraved plate using an abrasive memb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engraved plate.

여기서, 상기 연마부재는 솔, 사포 또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타일 중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polish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at least one of a brush, a sandpaper, or a tile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thereof.

여기서, 상기 무늬형성단계 후에, 상기 바지단에 상기 바지단 무늬를 제외한 여백부분을 착색하는 착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after the pattern formation step, a coloring step may be further performed for coloring a blank portion except the pants pattern at the pants end.

여기서, 상기 착색단계는, 평평한 하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여백부분이 개구부로 형성된 착색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바지단을 상기 하판과 착색판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착색판의 개구부로 노출된 상기 바지단을 착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oloring step may include: providing a flat lower plate; Preparing a colored plate in which the blank portion is formed as an opening; Placing the trouser tip between the lower and colored plates; And coloring the panty end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loring plate.

여기서, 상기 착색판은, 상기 착색판의 개구부의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착색판의 개구부가 작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착색판을 교체하여 착색이 이루어져 상기 여백 부분의 착색 농도가 층을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The coloring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of openings of the coloring plate so that the coloring plate is colored by replacing the colored plate sequentially from the smallest opening of the coloring plate, .

여기서, 상기 착색은 착색제를 분사 또는 덧칠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Here, the coloring may be carried out by one or more methods of spraying or painting the colorant.

상기 바지단을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양각판을 설정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step of polishing the trocar tip may be performed while the embossed plate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에 따르면, 청바지 기장을 수선할 때,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를 원래의 무늬와 같게 복원함으로써, 수선 후에도 청바지의 원모양을 그대로 살릴 수 있으며, 수선 상태가 표시가 나지 않으므로 청바지의 가치를 보존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method of restoring the pants pattern of the repaired j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storing the jeans field, the pants pattern of the jeans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pattern, , The repair status is not displayed, so the value of the jeans can be preserved.

또한, 바지단 무늬 형성 과정에서, 화학물인 탈색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친환경적인 동시에, 탈색 전후 공정이 불필요하여 워싱작업이 용이하며, 연마부재의 워싱 중 탈색의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pants pattern, since a decolorant which is a chemical is not used, it is eco-friendly,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washing process is easy since the process before and after decolorization is unnecessary and the degree of discoloration during washing of the polishing member can be easily controlled.

또한, 세탁공정에서 워싱이 과다하게 이루어진 경우에 워싱과 함께 착색을 수행함으로써 청바지 특유의 바지단 무늬를 표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washing is excessively performed in the washing process, coloring is performed together with washing, so that pants patterns unique to jeans can be ex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늬형성단계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색단계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늬형성단계 및 착색단계의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무늬형성 전 및 후의 바지단의 사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restoring a pants pattern of a sewn j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of a pattern 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of a color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rocess chart of the pattern forming step and the color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hotograph of the pants section before and after pattern form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은, 청바지의 기장을 재어 적당한 길이로 하단부를 잘라내는 재단단계(S10)와, 재단된 청바지 하단부에 워싱을 통하여 초기 바지단 무늬에 대응하는 바지단 무늬를 형성하여 바지단(100)을 만드는 무늬형성단계(S20)와, 상기 바지단(100)의 상부에 재봉선(150)을 형성하는 재봉선 형성단계(S40)와, 상기 바지단(100)을 접어 상기 재봉선(150)을 따라 박음질하는 재봉단계(S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a method of restoring a pants pattern of a sewn j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tting step S10 of cutting a lower end portion of a length of a jeans to an appropriate length, A pattern formation step S20 for forming a pants end 100 by forming a pants end pattern corresponding to an initial pants end pattern through the pants end 100 and a sewing line forming step of forming a sewing line 150 on the top end of the pants end 100 And a sewing step (S50) of folding and folding the trouser tip 100 along the seam 150. [

상기 재단단계(S10)는, 청바지 구매자의 기장에 맞게 청바지 하단부를 절단하는 단계이며, 절단에 의해 제거되는 부분은 초기 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바지단을 포함한다.         The cutting step S10 is a step of cutt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jean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jeans purchaser, and the portion removed by cutting includes the end portion formed with the initial pattern.

무늬형성단계(S20)는 워싱방법을 이용하여 재단된 청바지 하단부에 초기 바지단의 무늬를 복원하는 단계이다.         The pattern formation step S20 is a step of restoring the pattern of the initial pants end at the lower end of the jeans cut using the washing method.

이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무늬형성단계(S20)는, 바지단 무늬(A)가 양각으로 형성된 양각판(21)을 준비하는 단계(S21)와, 바지단 무늬(A)가 개구부로 형성된 음각판(23)을 준비하는 단계(S22)와, 양각판(21)과 음각판 사이에 바지단(100)을 위치하는 단계(S23)와, 음각판(23) 상부에 연마부재(25)를 이용하여 음각판(23)의 개구부로 노출된 바지단(100)에 바지단 무늬(A)를 형성하는 단계(S24)를 포함한다.         2 and 4, the pattern formation step S20 includes a step S21 of preparing an embossed plate 21 having a pants pattern A formed in an embossed shape, a step S21 of forming a pants pattern A A step S23 of placing the trocar 100 between the relief plate 21 and the engraved plate 21 and a step S23 of positioning the trocar plate 100 between the relief plate 21 and the engraved plate 23, And a step (S24) of forming a band edge pattern (A) on the band edge (100) exposed to the opening of the engraved plate (23) using the abrasive member (25).

양각판(21)은 초기 바지단 무늬(A)가 양각으로 형성된다. 즉, 바지단 무늬(A)는 워싱에 의해 탈색된 부분에 해당하므로, 도 4의 (a)에서 A부분에 해당하며, 상기 워싱이 이루어질 부분이 양각(돌출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The embossing plate 21 has an initial pants pattern A formed in a convex shape. That is, since the pants pattern A corresponds to the portion discolored by washing, it corresponds to the portion A in FIG. 4 (a), and the portion to be washed is provided so as to be located at the embossed portion (protruded portion).

양각판(21)은 연마단계에서 바지단(100)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와 강도를 보유하는 한, 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목재 또는 금속재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embossing plate 21 may be made of one material as long as it has sufficient hardness and strength to support the trousers 100 in the polishing step and may be made of wood or metal, have.

여기서, 양각판(21)이 부드러운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연마부재(25)와 마찰시 바지단(100)의 유동이 가능하므로 무늬가 부드럽게 표현되는 특성이 있으며, 반면, 양각판(21)이 딱딱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바지단(100)의 유동이 제한되므로 무늬가 선명하게 표현되는 특성이 있다.         When the embossing plate 21 is made of a soft material, the embossing plate 21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pattern can be expressed smoothly because the barb 100 can flow when rubbing against the abrasive member 25, The flow of the trousers 100 is restricted, so that the pattern is clearly displayed.

또한, 양각판(21)에 형성된 바지단 무늬(A)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무늬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ants pattern A formed on the embossing plate 21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patterns as necessary.

또한, 양각판(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바지단(100)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양각판(21) 또한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음각판(23)의 형상 또한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4, the embossing plate 21 may be provided as a flat plate, but the embossing plate 21 may also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since the trouser 10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is case, the shape of the engraved plate 23 to be described later may also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음각판(23)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단 무늬(A) 부분이 홀(hole, 구멍, 개구부)형상으로 마련된다.         As shown in FIG. 4A, the engraved plate 23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hole, opening) portion of the pants pattern A portion.

이에, 양각판(21)과 음각판(23) 사이에 바지단(100)이 위치하는 경우, 양각판(21)의 돌기에 의해 바지단 무늬(A)가 형성될 부분이 음각판(23)의 개구부로 노출되게 된다.         When the trousers 100 are positioned between the embossing plate 21 and the engraving plate 23, the portion where the trousers pattern A is to be formed by the protrusions of the embossing plate 21 is formed on the engraving plate 23, As shown in FIG.

연마작업시, 바지단(100)이 양각판(21)과 음각판(23) 사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별도의 고정부재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A separate fixing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trouser 100 may be firmly fixed between the relief plate 21 and the relief plate 23 during the polishing operation.

연마부재(25)를 이용하여 바지단 무늬(A)를 형성하는 단계는, 음각판(23)의 개구부로 노출된 바지단(100)에 연마부재(25)를 이용하여 마찰을 줌으로써 바지단(100)이 노출된 부위가 탈색되며 바지단 무늬(A)가 형성되도록 한다.         The step of forming the pants pattern A using the polishing member 25 may be performed by applying friction to the pants end 100 exposed by the opening of the perforated plate 23 using the polishing member 25, 100 are discolored and the pants pattern A is formed.

여기서, 연마부재(25)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솔, 사포 또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타일 중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polishing member 25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brush, a sandpaper, or a tile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thereof.

예를 들어, 연마부재(25)가 솔(brush)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하로 이동되거나, 또는 좌우로 이동되면서 바지단(100)과 접촉하여 착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는, 연마부재(25)가 사포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전후좌우로 이동되면서 착색이 이루어진다. 연마부재(25)는 기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타일이나 돌 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when the abrasive member 25 is provided as a brush, the abrasive member 25 is moved up and down, or moved left and right, so that the abrasive member 2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butment 100 and is colored. Alternatively, when the abrasive member 25 is provided with a sandpaper, it is mov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perform coloration. The polishing member 25 may also be provided with a tile or a stone having unevenness on its surface.

한편, 바지단(100)을 연마하는 단계(S24)는, 양각판(21)을 설정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tep S24 of polishing the terminal end 100 may be performed while the embossed plate 21 is heated to the set temperature.

이는, 바지단(100)이 가열되는 경우에는 청바지 소재 자체와 이에 착색된 착색제의 분리가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when the trouser 100 is heated, it is easier to separate the jeans material itself from the colorant.

이를 위하여, 양각판(21) 또는 음각판(23) 중 하나 이상에 가열부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양각판(21) 또는 음각판(23)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동, 스테인레스 등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heating member in at least one of the relief plate 21 and the relief plate 23. In this case, the relief plate 21 or the relief plate 23 may be made of copper, stainless steel,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한편, 무늬형성단계(S20) 후에, 바지단(100)에 바지단 무늬(A)를 제외한 여백부분(B)을 착색하는 착색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pattern formation step S20, a coloring step (S30) for coloring the margin portion (B) excluding the pants edge pattern (A) on the edge portion (100)

착색단계(S30)는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하판(31)을 마련하는 단계(S31)와, 여백부분(B)이 개구부로 형성된 착색판(35)을 준비하는 단계(S32)와, 바지단(100)을 하판(31)과 착색판(35)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S33)와, 착색판(35)의 개구부로 노출된 바지단(100)을 착색하는 단계(S34)를 포함한다.         The coloring step S30 may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and 4, a step S31 of providing a flat lower plate 31 and a step S31 of forming a margin portion B (S33) of preparing a coloring plate (35) formed of an opening portion, positioning the bottom end (100) between the lower plate (31) and the coloring plate (35) (S34) of coloring the barb 100 exposed to the air.

여백부분(B)이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단 무늬(A) 사이 사이의 워싱이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을 말하며, 바지단 무늬(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색깔이 어두운 부분이다.         As shown in Fig. 5 (b), the margin portion B refers to a portion of the pants pattern A which is not washed between the pants pattern A and is relatively darker than the pants pattern A Section.

청바지가 제조된 후에 기본적으로 전체적인 워싱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기본적 워싱이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진 경우에는, 무늬 형성 단계에서 워싱이 수행되더라도 바지단 무늬(A)가 여백부분(B)과 대비되어 잘 나타나게 되지만, 기본적 워싱이 많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바지단 무늬(A)와 탈색의 정도가 유사해져 바지단 무늬(A)가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바지단 무늬(A)를 형성한 후에 여백부분(B)을 착색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이다.         If the overall washing is not performed basically after the jeans are manufactured, or if the basic washing is relatively less, the pants pattern (A) is more visible than the blank area (B) even if washing is performed in the pattern formation step However, when a lot of basic washing is performed, the degree of discoloration of the pants pattern A may become similar to that of the pants pattern A, so that the pants pattern A may not be displayed well. To prevent this, the pants pattern A is formed, And adding a step of coloring the part (B).

하판(31)은 착색과정에서 바지단(1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The lower plate 31 is provided to support the trouser 100 in the coloring process.

하판(31)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한 재질이거나 착색제를 흡수하는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착색제의 일부를 흡수하여 착색이 자연스러운 장점이 있다. The lower plate 3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when the lower plate 31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or a material absorbing the coloring agent, the lower plate 31 absorbs a part of the coloring agent and is colored.

착색판(35)은 여백부분(B)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여백부분(B)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부로 형성된다. The coloring plate 35 is formed with openings at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blank portions B so that the blank portions B are exposed to the outside.

착색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착색제를 분사하거나, 덧칠을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또는 덧칠의 방법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모두 사용될 수 있다.As the coloring method, various methods can be used, and a method of spraying the coloring agent or applying the coloring agent may be used. Only one of the spraying or overcoat methods may be used, and all of them may be used as needed.

한편, 착색판(35)은 1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색판(35)의 개구부의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로 마련되어, 착색판(35)의 개구부가 작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착색판(35)을 교체하여 착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4, the coloring plate 35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s having different siz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The coloring plate 35 can be colored by replacing the coloring plate 35 sequentially from the small opening of the coloring plate 35.

이 경우, 개구부의 최대 크기는 여백부분(B)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ximum size of the opening portion is provid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argin portion (B).

즉, 도 4의 (b)에서와 같이, 제일 작은 크기의 개구부(①)를 갖는 착색판(35)으로 착색을 수행한 후에, 점차 크기가 큰 개구부(②)를 이용하여 재차 착색을 수행하면, 중복적으로 착색이 수행된 부분은 색깔이 상대적으로 진하게 나타나고, 착색이 적게 수행된 부분은 색깔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b), after coloring is performed with the coloring plate 35 having the smallest opening (1), coloring is performed again using the gradually larger opening (2) , The color is relatively dark in the part where the coloring is performed redundantly, and the color is relatively weak in the part where the coloring is low.

따라서, 여백부분(B)의 착색농도가 층을 이루어지도록 (즉, 그라데이션 효과) 하여 자연스러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Therefore, the coloring density of the blank portion B can be made to be a layer (i.e., a gradation effect), so that a natural effect can be exhibited.

바지단(100) 상부에 재봉선(150)을 형성하는 단계(S40)는, 바지단 무늬(A)를 형성한 후에 접어서 재봉을 할 때, 재봉을 가이드하는 역할과 동시에, 재봉선 자체가 다른 부분보다 색깔이 진한 초기 바지단의 모양을 복원하기 위한 것이다.         The step S40 of forming the sewing line 150 on the top end of the trouser 100 serves to guide the sewing when folding and sewing after forming the trouser tip A and at the same time, This is to restore the shape of the initial color of the trousers.

재봉선(150)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가이드부재를 대고 붓 등으로 착색을 할 수도 있고, 재봉선(150)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음각판을 마련하여 분사 또는 덧칠의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wing line 150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For example, a guide member may be colored with a brush or the like, and a negative plate hav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seaming line 150 may be provided, Method may be used.

100 : 바지단 150 : 재봉선
21 : 양각판 23 : 음각판
31 : 하판 35 : 착색판
A : 바지단 무늬 B : 여백부분
100: trousers 150: seam
21: embossed plate 23: engraved plate
31: lower plate 35: colored plate
A: pants pattern B: margin area

Claims (8)

청바지의 기장을 재어 적당한 길이로 하단부를 잘라내는 재단단계와;
재단된 청바지 하단부에 워싱을 통하여 초기 바지단 무늬에 대응하는 바지단 무늬를 형성하여 바지단을 만드는 무늬형성단계와;
상기 바지단의 상부에 재봉선을 형성하는 재봉선 형성단계와;
상기 바지단을 접어 상기 재봉선을 따라 박음질하는 재봉단계;를 포함하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jeans to a proper length;
A pattern formation step of forming a pants end by forming a pants pattern corresponding to an initial pants pattern through washing at a lower end of the cut jeans;
A sewing line forming step of forming a sewing line on the top of the trouser step;
And a sewing step of folding and folding the trouser tip along the se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형성단계는,
상기 바지단 무늬가 양각으로 형성된 양각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바지단 무늬가 개구부로 형성된 음각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양각판과 음각판 사이에 상기 바지단을 위치하는 단계와; 상기 음각판 상부에서 연마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음각판의 개구부로 노출된 상기 바지단에 상기 바지단 무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formation step comprises:
Preparing an embossed plate in which the trouser stitches are formed in an embossed shape; Preparing an engraved plate in which the pants pattern is formed as an opening; Placing the trouser tip between the relief plate and the depressed plate; And forming the pants section on the end of the pants exposed to the opening of the engraved plate using an abrasive member at an upper portion of the engraved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는 솔, 사포 또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타일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lishing member is provided in any one of a sole, a sandpaper, or a tile having unevenness on the surfac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형성단계 후에, 상기 바지단에 상기 바지단 무늬를 제외한 여백부분을 착색하는 착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loring step of coloring a blank portion of the jeans except for the pants pattern after the pattern formation step.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단계는, 평평한 하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여백부분이 개구부로 형성된 착색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바지단을 상기 하판과 착색판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착색판의 개구부로 노출된 상기 바지단을 착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loring step may include: providing a flat lower plate; Preparing a colored plate in which the blank portion is formed as an opening; Placing the trouser tip between the lower and colored plates; And coloring the ends of the pant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lored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판은, 상기 착색판의 개구부의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착색판의 개구부가 작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착색판을 교체하여 착색이 이루어져 상기 여백 부분의 착색 농도가 층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loring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s of openings of the coloring plate so that coloring is performed by replacing the coloring plate sequentially from the smallest opening of the coloring plate so that the coloring density of the blanking portion becomes a layer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은 착색제를 분사 또는 덧칠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loring is carried out by one or more of spraying or laminating the coloring ag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지단을 연마하는 단계는, 상기 양각판을 설정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선된 청바지의 바지단 무늬 복원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polishing the trouser tip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embossed plate is heated to a set temperature.
KR1020130162409A 2013-12-24 2013-12-24 End Pattern Restoring Method for Mended Jeans KR101448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09A KR101448407B1 (en) 2013-12-24 2013-12-24 End Pattern Restoring Method for Mended J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409A KR101448407B1 (en) 2013-12-24 2013-12-24 End Pattern Restoring Method for Mended J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407B1 true KR101448407B1 (en) 2014-10-27

Family

ID=5199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409A KR101448407B1 (en) 2013-12-24 2013-12-24 End Pattern Restoring Method for Mended J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40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646B1 (en) 1999-05-31 2001-10-29 최병덕 Method for mending jeans
JP2003171865A (en) 2001-12-07 2003-06-20 Yachihoko Kagaku Kk Method for processing three-dimensional pattern in dyed denim cloth
KR100488443B1 (en) 2002-09-27 2005-05-16 문장식 Grinding apparatus and forming method for pattern forming of textile fabrics
KR20110130818A (en) * 2010-05-28 2011-12-06 권희철 Processing method of blue jeans and thereof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646B1 (en) 1999-05-31 2001-10-29 최병덕 Method for mending jeans
JP2003171865A (en) 2001-12-07 2003-06-20 Yachihoko Kagaku Kk Method for processing three-dimensional pattern in dyed denim cloth
KR100488443B1 (en) 2002-09-27 2005-05-16 문장식 Grinding apparatus and forming method for pattern forming of textile fabrics
KR20110130818A (en) * 2010-05-28 2011-12-06 권희철 Processing method of blue jeans and thereof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52874B (en) Printing embroidery process
CN106042753B (en) A kind of manufacture craft of skin carved painting
US5834037A (en) Apparatus for making insignias with raised designs
CN103952875B (en) Multiple printing embroidery process
KR101448407B1 (en) End Pattern Restoring Method for Mended Jeans
US20150218750A1 (en) Embossing a Design on Fabrics
CN103966874B (en) Reverse printing embroidery technology
KR102019421B1 (en) Leather fabric having various color and pet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306843A1 (en) Durable Stick-On Patch for Clothing and Other Items
JP3189719U (en) Embroidery products
CN106696587A (en) Making technology of embossment wheat straw patchwork
KR100422784B1 (en) Embosing Manufacture Method in Blue Color Woven Goods
KR101157957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ed button
EP2390109B1 (en) Method for imprinting a three-dimensional design into a synthetic material
CN102059909A (en) Engraving process for furniture or ornament
US1600229A (en) Pattern for monograms
US201102938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inting a three-dimensional design into a synthetic material
KR20120092388A (en) Method for forming embossed decoration pattern
JP2006299446A (en) Method for forming decolored pattern of cloth and decolor-patterned product
KR100914759B1 (en) Quilt tool and methode of patchwork using quilt tool
KR102630232B1 (en) How to create various revealing fashions with jeans
EP1076126A2 (en) Method of forming raised creases on garments and garments obtained thereby
CN108835772B (en) Method for manually drawing on shoe upper
KR20220074273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hoe outsole and its using shoe outsole
Letcavage Basic Leathercrafting: All the Skills and Tools You Need to Get Star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