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646B1 -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646B1
KR101447646B1 KR1020130001065A KR20130001065A KR101447646B1 KR 101447646 B1 KR101447646 B1 KR 101447646B1 KR 1020130001065 A KR1020130001065 A KR 1020130001065A KR 20130001065 A KR20130001065 A KR 20130001065A KR 101447646 B1 KR101447646 B1 KR 101447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ontent
linear channel
channel streams
cl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0816A (ko
Inventor
빈센트 로버츠
다니엘 시어스
마이클 엠. 마틴
Original Assignee
디즈니엔터프라이지즈,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즈니엔터프라이지즈,인크. filed Critical 디즈니엔터프라이지즈,인크.
Publication of KR20130080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어셈블리 템플릿으로부터 다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어셈블링하기 위하여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갖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어셈블리 템플릿을 선택하는 단계, 어셈블리 템플릿을 사용하여 제작되려는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위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각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에 각각 그것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에 상응하는 콘텐츠 자산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각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을 사용하여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어셈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에 의한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의 병행 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방법 및 시스템{CLOUD BASED CONTENT ASSEMBLY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어셈블리 템플릿(template)으로부터 다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customized linear channel stream)들을 어셈블링(assembling)하기 위하여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갖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 및 네트워크 기반시설의 향상은 텔레비전 콘텐츠의 소비자들에게 이전 세대의 시청자들에게는 거의 상상할 수 없는 엔터테인먼트 선택에 대한 조절의 레벨을 부여하여 왔다. 예를 들면, 소비자들이 예정 방송 시간 슬롯 이외의 지연 시청을 위하여 프로그래밍 콘텐츠를 기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혁신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더 이상 종래의 텔레비전 방송 예정 패러다임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는다. 게다가, 예를 들면, 케이블 및 가입 서비스를 통하여 이용가능한 프로그래밍 콘텐츠의 계속 확대되는 선택은 시청자들이 그들의 시청 선택들에 관하여 고도로 차별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기술 발전에 의해 가능해진 텔레비전 시청자들의 역량강화는 그러한 콘텐츠를 국가 또는 국제적인 시청자들에 내놓으려고 시도하는 콘텐츠의 제공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도전들을 창출하여 왔다. 예를 들면, 역사, 전통, 인구통계, 및 우세한 사회적 관행의 지역적, 또는 심지어 국지적 차이는 특정 방송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래밍을 따르거나, 또는 경쟁 네트워크 또는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지지하여 그러한 프로그래밍을 포기하기 위한 시청자들의 결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어느 정도까지, 그러한 결정들은 코어(core) 프로그램 콘텐츠의 품질에 기초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결정들은 또한 코어 프로그램 콘텐츠와 함께 광고 및/또는 홍보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어느 정도 시청자들의 가치 및 감성으로 가득차게 하느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도면과 결합하여 도시되거나 및/또는 설명되며 청구항들에서 더 완전히 설명되는 것과 같이,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공용 기반시설 자원들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병행(concurrent)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확장형 가상화 콘텐츠 어셈블리(scalable virtualized content assembly) 환경 및/또는 다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존재하는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방법은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메모리로부터 어셈블리 템플릿을 선택하는 단계, 어셈블리 템플릿을 사용하여 제작되려는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위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각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에 각각 그것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에 상응하는 콘텐츠 자산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각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을 사용하여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어셈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에 의한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의 병행 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을 뛰어 넘는 상당한 장점들을 제공하는 역학적으로 확장가능한 비선형 콘텐츠 어셈블리 모델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해 이용가능한 역학적 확장성은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물리적 기반시설 확장과 관련된 비용 및 시간 소모를 방지한다.
도 1은 프로그래밍 콘텐츠를 어셈블링하기 위한 종래의 기반시설 집중적 선형 접근법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바람직한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적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과의 사용을 위한 제어 표면의 더 상세한 예,
도 4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의 다이어그램,
도 5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일부로서 구현되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의 바람직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의 다이어그램,
도 6a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일부로서 구현되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의 바람직한 콘텐츠 관리 유닛의 다이어그램,
도 6b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일부로서 구현되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유닛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은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다음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현들과 관련된 특정 정보를 포함한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발명이 여기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들 및 동반하는 상세한 설명은 단지 설명을 위한 구현들이다. 달리 언급이 없으면, 도면들 중의 같거나 상응하는 요소들은 같거나 상응하는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도면들 및 설명들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비율이 아니며, 실제 상대적인 치수에 상응하는 것으로 의도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위하여 광범위한 시청자 로열티를 보장하는 도전을 위한 한 가지 잠재적인 해결책, 및 현재 소비자들에 이용가능한 선택의 정도를 고려해 볼 때 아마도 유일한 효과적인 접근법은 프로그래밍 콘텐츠를 알려지거나 식별가능한 시청자 선호도에 따르게 함으로써 실제로 시청자 지지를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 시청자 선호도 사이의 상당한 변화에 빠른 반응을 보이는 방식으로의 그러한 접근법의 구현은 일반적으로 확실한 시청자 시장의 표적이 되는 다수의 버전의 동일한 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그러한 해결책의 실용성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다이어그램에 의해 나타나는 것과 같이,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의 개발에 대한 종래의 선형 콘텐츠 어셈블리 모델의 확장에 의해 부과되는 재정 및 기반시설 비용에 의해 급격히 제한된다.
도 1은 프로그래밍 콘텐츠를 어셈블링하기 위한 종래의 기반시설 집중적 선형 접근법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100)은 독특한 시장 세그먼트(market segment)들과 상응하는, 각각의 콘텐츠 배급업자(content distributor, 194a, 194b, 및 194c)에 대한 기부 피드(contribution feed)로서의 재생(play-out)을 위하여, 세 개의 독특한 선형 채널 스트림들(192a, 192b, 및 192c)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선형 어셈블리 접근법에 따라,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은 고유의 전용 어셈블리 플랫폼을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192a)의 어셈블리는 예를 들면 비-라이브(non-live)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는 입력(180a)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상당한 인적 자원들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하드웨어 기반시설(193a), 소프트웨어 기반시설(195a), 프로세스 자동화(197a)와 같은 어셈블리 플랫폼(190c)의 자원들을 필요로 한다. 유사하게,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192b)의 어셈블리는 예를 들면, 라이브 및 비-라이브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는 입력(180c)뿐만 아니라 입력(180b)의 일부로서 라이브 콘텐츠의 존재를 수용하기 위한 고유의 하드웨어 기반시설(193b), 소프트웨어 기반시설(195b), 프로세스 자동화(197b), 및 라이브 피드 통합(live feed integration, 199c)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플랫폼(190c)의 자원들을 필요로 한다. 유사하게,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192c)의 어셈블리는 비-라이브 콘텐츠뿐만 아니라 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는 입력(180c), 및 하드웨어 기반시설(193c), 소프트웨어 기반시설(195c), 프로세스 자동화(197c), 및 라이브 피드 통합(199c)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플랫폼(190c)의 자원들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특정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 및 그것의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어셈블리 플랫폼 사이의 일대일 관계의 결과로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코어 프로그래밍 콘텐츠의 다수의 맞춤형 버전들의 제공을 통하여 시청자 로열티를 보장하고 유지하기 위한 시도들이 상당한 운영상의 복잡성을 희생하여 이루어진다. 게다가,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 및 상당한 크리에이티브(creative)의 부과를 초래하는 그것의 전용 어셈블리 플랫폼 사이의 종래의 일대일 관계는 콘텐츠 어셈블리 프로세스상에 속한다. 더욱이, 시설 확장 및 각각의 종래 선형 어셈블리 플랫폼을 위한 수백만 달러 정도의 비용 모두를 필요로 하는,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부가적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인적 자원들은 콘텐츠 주문제작의 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러한 접근법이 엄청나게 비싼 비용을 들도록 한다.
본 발명은 공용 기반시설 자원들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병행 제작을 가능하게 하는 확장형 가상화 콘텐츠 어셈블리 환경 및/또는 다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존재하는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도 2는 종래의 선형 어셈블리 시스템과 관련된 단점 및 결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개념적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은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 및 모두 통신 네트워크, 또는 "클라우드(202)"를 통하여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에 쌍방향으로(interactively) 연결되도록 도시된, 제어 표면(control surface, 270) 및 라이브 피드(280)를 포함하는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을 포함한다. 또한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으로부터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을 수신하는, 콘텐츠 배급업자(294a, 294b, 및 294c)들이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 따라,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은 중앙 처리 장치(CPU)와 같은, 프로세서(211),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workflow automation unit, 220), 및 메모리(241)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유닛(240)을 포함한다. 게다가, 예를 들면 네트워크가 분포된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일 수 있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이 호스트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290a, 290b, 및 290c)에 도시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 배급업자들(294a, 294b, 및 294c)로의 기부 피드로서의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에 의해 효력이 상실될 수 있는,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을 수신하기 위하여 종래에 알려진 것과 같은, 다채널 비디오 프로그래밍 배급업자들(MVPDs)을 포함할 수 있는, 콘텐츠 배급업자(294a, 294b, 및 294c)들이 도시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은 통신 네트워크(202)를 통하여 액세스할 수 있으며, 같이 위치되거나 또는 서로 멀리 떨어져 위치되고 통신 네트워크(202)를 통하여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또는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202)는 예를 들면 인터넷과 같은, 패킷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은 예를 들면 위성 분배 네트워크와 같은, 개인 통신 네트워크, 혹은 근거리 통신망(LAN) 또는 예를 들면 한정된 분배 네트워크의 다른 형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일부 구현들에서, 통신 네트워크 또는 클라우드(202)는 개별적으로 호스팅되고 인터넷을 통하여 인가된 사용자에 액세스힐 수 있는 클라우드 도메인을 안전하게 하는 것과 같은, 공중 네트워크 공간 내의 개인 클라우드일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은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이 예를 들면,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의 메모리(241) 내에 저장된 어셈블리 템플릿으로부터 맞춤형 선형 채널 어셈블리(292a, 292b, 및 292c)와 같은,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을 제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선형 어셈블리 모델들의 한계를 극복한다. 일 양상에 따라, 메모리(241)로부터 적합한 어셈블리 템플릿을 선택하기 위하여,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으로부터 재생에 바람직한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292a, 292b, 및 292c)을 식별하기 위하여, 그리고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292a, 292b, 및 292c)을 위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292a)을 위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290a),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292b)을 위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290b), 및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292c)을 위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290c)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은 프로세서(211),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220), 및 콘텐츠 관리(240)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은 또한 각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290a, 290b, 및 290c)을 각각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에 상응하는 콘텐츠 자산(asset)들에 제공하기 위하여, 그리고 각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290a, 290b, 및 290c)을 사용하여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을 제작하기 위하여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220) 및 콘텐츠 관리(240)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일 구현에서,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의 프로세서(211)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의 제작에 참여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제작하기 위하여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220)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은 실질적으로 예를 들면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290a, 290b, 및 290c)에 의해,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표면(270), 라이브 피드(280), 및 컴퓨팅과 데이터 저장 자원들과 같은,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의 병행 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은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292a, 292b, 및 292c)의 어셈블리 후에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290a, 290b, 및 290c)의 일부 또는 모든 인스턴트 생성(instantiation)을 폐쇄하도록(close)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은 필요에 따라 복수의 가상 어셈블리 환경의 인스턴트 생성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거나 또는 "스핀-업(spin-up)"하기 위하여, 그리고 사용 후에 그러한 가상 어셈블리 환경들을 폐쇄하거나 또는 "스핀-다운"하기 위하여,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역학적으로 확장성의, 비선형 콘텐츠 어셈블리 모델을 야기한다. 게다가,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에 의해 제공되는 역학적 확장성은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데, 그렇게 함으로써 종래의 선형 어셈블리 모델들을 확대하는데 필요한 고비용이며 시간 소모가 큰 기반시설 확장의 프로세스를 방지한다.
이제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도 3은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과의 사용을 위한 제어 표면(370)의 더 상세한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제어 표면(370)은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remote user interface, 372), 제어 기반시설(374), 및 전처리된(pre-processed) 콘텐츠 자산들(376)을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고도로 훈련된 편집자, 제작자, 및/또는 기술자의 기여에 상응하는, 인적 자원(378)이 도시된다. 제어 표면(370)은 도 2의 제어 표면(270)과 상응하며, 도 3의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372)를 통하여 이전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 표면(370)은 제어 기반시설(374)로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반시설 요소들을 포함하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 양상에 따라, 제어 표면(370)은 종래의 선형 어셈블리 모델에서의 제작 후 편집 및/또는 프로그래밍 콘텐츠의 재생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리적, "오프라인 거래의(brick-and-mortar)," 제어실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모델과 비교하여, 제어 표면(370)은 도 2에서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과 같은, 다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의 어셈블리와 공유할 수 있는 기반시설 자원을 나타낸다.
비록 제어 표면(270/370)이 도 2 및 3에서 단일의, 물리적으로 위치되는 제어 센터를 나타내나, 그러한 특징은 단지 개념적 표현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이다. 더 일반적으로, 제어 표면(270/370)은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에 쌍방향으로 연결되고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의 어셈블리에서의 사용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지리적으로 먼 제어 표면들과 상응할 수 있다.
도 3의 전처리된 콘텐츠 자산들(376)은 예를 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에 포함될 자격이 있는, 이전에 제작된 프로그래밍 콘텐츠, 광고 콘텐츠, 또는 홍보 콘텐츠와 같은, "녹음된(canned)"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도면에 의해 제어 표면(370)에 기인하는 특징에 더하여, 또는 대신에, 제어 표면(370)의 다양한 구현들은 다른 특징들을 포함하고, 또한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372)를 통하여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며, 예를 들면, 일정관리, 트래픽(traffic) 제어, 빌링(billing), 피드 모니터링, 자동화 관리, 그래픽 제공, 데이터 캡션, 외국어와 화면 해설 강화와 같은 2차 오디오 프로그래밍, 오디오 보이스 오버(audio voice over), 및 예를 들면 도 2의 라이브 피드(280)로부터 이용가능한 비-라이브 또는 라이브 피드 자산들의 관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계속 참조하면, 도 4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41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410)은 프로세서(411),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420) 및 어셈블리 템플릿들(451a 및 451b)을 저장하기 위하여 도시된, 메모리(441)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유닛(440)을 포함한다.
프로세서(411),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420) 및 콘텐츠 관리 유닛(440)을 포함하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410)은 도 2에서의, 프로세서(211),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220), 및 메모리(241)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유닛(240)을 포함하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과 상응한다. 프로세서(411),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420) 및 콘텐츠 관리 유닛(440)에 더하여,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410)은 통신들/편성(orchestration) 모듈(412), 전송 스트림 캐시(transport stream cache, 414), 웨스트 코스트 시청자 지연(west coast audience delay, 416a), 산(mountain) 시청자 지연(416b), 중앙지대(central zone) 시청자 지연(416c), 이스트 코스트 시청자 지연(416d), 및 도 2에서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의 재생을 조정하기 위한 출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410)은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이 향하는 콘텐츠 배급업자들(294a, 294b, 및 294c)에 의해 제공되는 지리구(geographical region)에 따라 스포츠 프로그래밍을 위한 지역적 블랙아웃(blackout)을 강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록 도 4에서의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420) 및 콘텐츠 관리 유닛(440)의 더 상세한 설명이 각각 도 5, 6a 및 6b와 함께 제공될 것이나. 통신들/편성 모듈(412)은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410)을 위한 통신들 및 데이터 버스(data bus)로서 구현되며, 또한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410) 및 도 2에서의 제어 표면(270) 및 라이브 피드(280)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 사이의 통신들을 위한 입력 포탈(input portal)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게다가, 비록 도 4에서의 통신들/편성 모듈(412)이 전체로서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420)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유사하게 전체로서 콘텐츠 관리 유닛(440)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나나, 쌍방향 연결은 단지 대표적이며, 실제로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420) 및 콘텐츠 관리 유닛(440)이 각각의 내부 컴포넌트로 개별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체로서, 프로세서(411),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420), 및 콘텐츠 관리 유닛(440) 중에서 통신의 조정에 더하여, 통신들/편성 모듈(412)은 또한 각각의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420) 및 콘텐츠 관리 유닛(440) 내의 구성 요소들 중의, 그리고 그러한 구성 요소들 및 프로세서(411) 사이의 통신들을 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워크플로우 자동화의 부가적 양상들이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connecting Media Applications and Services with Automated Workflow Orchestration"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특허 제 7,996,488B1에 의해 설명되며, 이는 여기에 전체가 참조로써 통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일부로서 구현되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의 바람직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은 각각 도 2 및 4에서의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220/420)과 상응한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람직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은 타이밍 요소(521), 미디어 자산 관리 모듈(522), 라이브 제작 어셈블리 모듈(523), 글로벌 메타데이터 리포지토리 모듈(global metadata repository module, 524), 프로그래밍 제어 모듈(526), 트래픽 제어 모듈(528), 및 다중시기(multi-temporal) 워크플로우 프로세스 자동화 모듈(529)을 포함한다. 또한 도 5에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으나, 각각의 타이밍 요소(521), 미디어 자산 관리 모듈(522), 라이브 제작 어셈블리 모듈(523), 글로벌 메타데이터 리포지토리 모듈(524), 프로그래밍 제어 모듈(526), 트래픽 제어 모듈(528), 및 다중시기 워크플로우 프로세스 자동화 모듈(529)은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도 4에서의 통신들/편성 모듈(412)과 같이,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 외부의 통신들/편성 모듈을 통하여 콘텐츠 관리 모듈(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음)로 쌍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래에 도 6a 및 6b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410)의 다른 자원들을 갖는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의 내부 자산들의 그러한 쌍방향 연결은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이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410)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콘텐츠 어셈블리 프로세스에 대한 상당한 제어를 행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람직한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은 미디어 자산 관리 모듈(522)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미디어 자산 관리 데이터베이스(532), 라이브 제작 어셈블리 모듈(523)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라이브 제작 자산 데이터베이스(533), 글로벌 메타데이터 리포지토리 모듈(524)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글로벌 메타데이터 리포지토리 데이터베이스(534), 프로그래밍 제어 모듈(526)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536), 트래픽 제어 모듈(528)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트래픽 데이터베이스(538), 및 다중시기 워크플로우 프로세스 자동화 모듈(529)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자동화 데이터베이스(539)를 포함한다. 또한 예를 들면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SIP) 생성기를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토콜 유닛(535), 및 예를 들면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는 리포지토리(537)가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 내에 포함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6a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일부로서, 그리고 메모리(641)를 포함하도록 나타나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의 바람직한 콘텐츠 관리 유닛(640A)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메모리(641)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유닛(640A)은 각각의 도 2 및 4에서의, 메모리(241/441)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유닛(240/440)과 상응한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모리(641)는 어셈블리 템플릿 라이브러리(650)를 포함하며, 콘텐츠 관리 유닛(640)은 편집 결정 리스트 프로세서(edit decision list processor, 642A) 및 메모리(641)에 결합되는 기본 스트림 생성기(elementary stream generator, 644)뿐만 아니라 메모리(641)로부터 출력들을 수신하는 재생 렌더링 엔진(646A)을 더 포함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현에 따라, 메모리(641)의 어셈블리 템플릿 라이브러리(650)는 예를 들면 기본 스트림 생성기(644) 내부의 상응하는 구성요소들(도 6a에서는 명확히 도시되지 않은 기본 스트림 생성기(644)의 상응하는 구성요소들)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그래픽 요소 저장소(652), 스퀴즈 백(squeeze back) 비디오 파일 저장소(653), 폐쇄 캡션 파일 저장소(654), 오디오 보이스 오버 파일 저장소(655), 언어 트랙들 및 화면 해설 파일 저장소(656), 순위(ratings) 데이터 저장소(657), 및 지역 이용률(local availability) 데이터 저장소(658)를 포함하는, 콘텐츠 저장소를 포함한다.
또한 도 6a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어셈블리 템플릿 라이브러리(650)는 또한 스트림 플레이리스트 파일 캐시(662), 기본 스트림 파일 캐시(664), 메자닌(mezzanine) 프로그래밍 및 비디오 파일 캐시(666), 라이브 인코더(682), 및 라이브 캐시(684)를 포함한다. 비록 도 6a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위에서 설명된 어셈블리 템플릿 라이브러리(650)의 각각의 편집 결정 리스트 프로세서(642A), 기본 스트림 생성기(644), 및 내부 특징들은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도 4의 통신들/편성 모듈(412)과 같은, 콘텐츠 관리 유닛(640A) 외부의 통신들/편성 모듈을 통하여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도 6a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쌍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그러한 통신들/편성 모듈은 또한 도 2에서의 라이브 피드(280)와 같은, 라이브 피드로부터 도 5에서의 라이브 제작 어셈블리 모듈(523) 및/또는 도 6a에서의 라이브 인코더(682)로 라이브 피드 데이터의 전송을 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도 6b는 사용자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과 같은 클라이언트-사이드(client-side) 시스템상에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예를 들면 비디오 재생을 제공하는 모바일 통신 장치일 수 있는, 클라이언트-사이드 비디오 렌더링 엔진(671)과 결합하여, 콘텐츠 관리 유닛(640B)으로서의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의 콘텐츠 관리 유닛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을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구현과 대조적으로, 비디오 콘텐츠 관리 유닛(640B)의 재생 렌더링 엔진(646B)은 클라이언트-사이드 비디오 렌더링 엔진(671)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시스템으로 재생하기 전에 단지 부분적으로 비디오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구현에 따라, 예를 들면, 편집 결정 리스트 프로세서(642B)는 클라이언트-사이드 비디오 렌더링 엔진(671)에 의해 직접 클라이언트-사이드 시스템상의 비디오 콘텐츠의 렌더링을 더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의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뿐만 아니라 도 3, 4, 5, 6a, 및 6b에 의해 도시된 바람직한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요소들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원리들에 따라 구현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기능성이 도 7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어셈블리 템플릿으로부터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의 어셈블링을 위하여, 도 2에서의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과 같은,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700)이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자명한 특정 내용들 및 특징들은 플로차트(700)에서 제외되었다. 예를 들면, 단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단계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종래에 알려진 전문화된 장비 또는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의 단계들(710 내지 750)이 본 발명의 방법의 특정 실시 예들을 충분히 설명하나, 또 다른 실시 예들은 플로차트(700)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단계들을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더 많거나 더 적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의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과 결합하여 도 7의 710 단계를 참조하면, 플로차드(700)의 710 단계는 시스템 메모리로부터 다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제작할 수 있는 어셈블리 템플릿을 선택하기 위하여 시스템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710 단계는 자동으로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220) 및 콘텐츠 관리 유닛(240)을 사용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제어 표면(270)으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데이터에 대응하여,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의 프로세서(21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710 단계는 메모리(441)로부터 어셈블리 템플릿들(451a 또는 451b) 중 하나의 선택과 상응할 수 있다.
도 7의 720 단계를 참조하면, 플로차트(700)의 720 단계는 710 단계에서 선택된 어셈블리 템플릿을 사용하여 제작되거나 및/또는 어셈블링되려는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720 단계는 예를 들면 각각 콘텐츠 배급업자(294a, 294b, 및 294c)에 제공되려는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의 식별을 통하여 도 2에서의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220)을 사용하는 프로세서(21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이, 프로그래밍 소스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 콘텐츠를 위한 광범위한 시청자 로열티를 보장하는 도전의 해결책은 프로그래밍 콘텐츠를 알려지거나 식별가능한 시청자 선호도에 따르는 것이다. 시청자 선호도 사이의 중요한 변화에 반응을 보이는 방식으로의 그러한 접근법의 구현은 일반적으로 별개의 시청자 시장의 목표가 되는 동일한 코어 프로그래밍 콘텐츠의 다중 버전의 어셈블링을 포함한다. 그러한 접근법이 720 단계에 나타나는데, 각각의 콘텐츠 배급업자(294a, 294b, 및 294c)에 의해 제공되는 그러한 시청자들 중에서 시청자 선호도의 변화는 구체적으로 각각의 그러한 변형 시청자 선호도에 전해지는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을 통하여 보내진다.
계속 도 2에서의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을 참조하여 730 단계를 보면, 플로차트(700)의 730 단계는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을 위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730 단계는 예를 들면 각각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에 상응하는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290a, 290b, 및 290c)을 생성하기 위하여,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220) 및 콘텐츠 관리 유닛(240)을 사용하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의 프로세서(21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플로차트(700)의 730 단계가 다수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290a, 290b, 및 290c)의 생성을 야기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은 하나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세 개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 또는 수백 또는 수천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과 같은 대단히 많은 수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데,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의 수는 클라우드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에 이용가능한 컴퓨팅 자원들 및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계속 플로차트(700)의 740 단계를 참조하면, 740 단계는 도 2에서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290a, 290b, 및 290c)에 각각의 상응하는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의 필요에 따른 콘텐츠 자산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740 단계는 예를 들면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220) 및 콘텐츠 관리 유닛(240)을 사용하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의 프로세서(211)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290a, 290b, 및 290c)에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의 예상 시청자들의 목표가 되는 이전에 제작된 프로그래밍 콘텐츠, 광고 콘텐츠, 및/또는 홍보 콘텐츠와 같은, 전처리된 콘텐츠 자산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전처리된 콘텐츠 자산들은 초기에 예를 들면 도 3에서의 제어 표면(370)으로부터 전처리된 콘텐츠 자산들(376)과 같이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에 의해 수신될 수 있으며, 그리고 나서 기본 스트림 생성기(644)에 의한 제공을 위하여, 도 6a 및 6b의 메모리(641) 내의, 어셈블리 템플릿 라이브러리(650)의 그래픽 요소 저장소(652), 스퀴즈 백 비디오 파일 저장소(653), 폐쇄 캡션 파일 저장소(654), 오디오 보이스 오버 파일 저장소(655), 언어 트랙들 및 화면 해설 파일 저장소(656), 순위 데이터 저장소(657), 및/또는 지역 이용률 데이터 저장소(658)에서 분류되고 저장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부가적으로, 플로차트(700)의 740 단계에서의 콘텐츠 자산들의 제공은 예를 들면 도 2에서의 라이브 피드(280)로부터 라이브 피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4, 6a, 및 6b를 조합하여 참조하면, 라이브 피드(280)로부터 수신되는 라이브 피드 데이터는 통신들/편성 모듈(412)에 의해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의 라이브 제작 어셈블리 모듈(523), 및 콘텐츠 관리 유닛(640A/640B)의 라이브 인코더(682)로 라우팅될(routed) 수 있다. 인코딩된 라이브 피드 데이터는 그리고 나서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 중의 어느 하나에 포함되기 위하여 라이브 캐시(684)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290a, 290b, 및 290c)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일부 구현들에서, 라이브 피드(280)로부터 수신되는 라이브 피드 데이터는 도 6a에서의 비디오 재생 렌더링 엔진(646A) 또는 도 6b에서의 비디오 재생 렌더링 엔진(646B)에 의한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의 재생 동안에 실시간 콘텐츠 자산들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의 750 단계를 참조하면, 플로차트(700)의 750 단계는 각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290a, 290b, 및 290c)을 사용하여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을 어셈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750 단계는 예를 들면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220) 및 콘텐츠 관리 유닛(240)을 사용하는,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의 프로세서(211)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에의 포함을 위하여 710 단계에서 선택된 어셈블리 템플릿의 각각의 인스턴트 생성을 각각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290a, 290b, 및 290c)에 제공되는 콘텐츠 자산들과 병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은 라이브 피드 콘텐츠의 독특한 조합, 및 예를 들면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의 예상 시청자들의 알려지거나 예상되는 시청자 선호도에 따른 프로그래밍 콘텐츠, 광고 콘텐츠, 및 홍보 콘텐츠와 같은 전처리된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750 단계는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290a, 290b, 및 290c)을 사용하여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에 의해 실행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200)의 공유 기반시설 및 컴퓨팅 자원들을 병행하여 사용하여,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과 같은 다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제작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도 7의 플로차트(700)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어셈블리 템플릿으로부터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을 어셈블링하기 위하여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에 의한 사용을 위한 방법은 도 2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을 그것의 각각의 콘텐츠 배급업자(294a, 294b, 또는 294c)에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을 재생하는 단계는 각각 도 6a 및 6b에서의 상응하는 콘텐츠 관리 유닛(640A/640B)의 재생 렌더링 엔진(646A/646B), 및 도 4에서의 출력 모듈(418)을 사용하여,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4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게다가, 도 2에서의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210)은 예를 들면, 플로차트(700)의 어셈블리 단계(750) 동안에 실시간으로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을 제작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역학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도 6a/6b를 참조하면, 제어 하에서 도 5에서의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은 비디오 재생 렌더링 엔진(646A/646B)에 의해 도 2에서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의 재생 동안에 실시간 콘텐츠 자산들로서 라이브 캐시(684)로부터 라이브 피드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도 7에서의 어셈블리 단계(750) 사이에 사용되는 30초 시간 지연과 같은, 시간 지연, 및 도 2에서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의 재생이 사용되는 구현들에서, 도 5에서의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520)의 다중시기 워크플로우 프로세스 자동화 모듈(529)은 재생 이전에 또는 재생 동안에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292a. 292b, 및 292c) 내에 포함되는 콘텐츠 자산들을 역학적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연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 어셈블리 템플릿으로부터 다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제작하기 위하여,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의 다수의 인스턴트 생성에 의한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의 병행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라우드 기반 어셈블리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게다가,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은 그것들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의 어셈블리 이후에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의 인스턴트 생성의 어느 것 또는 모두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폐쇄된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방법 및 시스템은 종래의 기술을 뛰어 넘는 상당한 장점들을 제공하는 역학적으로 확장가능한 비선형 콘텐츠 어셈블리 모델을 제공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해 이용가능한 역학적 확장성은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물리적 기반시설 확장과 관련된 비용 및 시간 소모를 방지한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그러한 개념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개념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게다가, 특정 구현들을 참조하여 본 개념들이 설명되었으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그러한 개념들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와 같이, 설명된 구현들은 모든 양상들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특정 구현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재배치, 변형, 및 대체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만 한다.
100 :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180a : 입력
190c : 어셈블리 플랫폼
192a, 192b, 192c : 선형 채널 스트림
193a : 하드웨어 기반시설
195a : 소프트웨어 기반시설
197a : 프로세스 자동화
199c : 라이브 피드 통합
200 :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202 : 통신 네트워크, 또는 클라우드
210 :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
211 : 프로세서
220 :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
240 : 콘텐츠 관리 유닛
241 : 메모리
270 : 제어 표면
280 : 라이브 피드
292a, 292b, 292c :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
294a, 294b, 294c : 콘텐츠 배급업자
370 : 제어 표면
372 :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
374 : 제어 기반시설
376 : 전처리된 콘텐츠 자산
378 : 인적 자원
410 :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
411 : 프로세서
412 : 통신들/편성 모듈
414 : 전송 스트림 캐시
416a : 웨스트 코스트 시청자 지연
416b : 산 시청자 지연
416c : 중앙지대 시청자 지연
416d : 이스트 코스트 시청자 지연
420 :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
440 : 콘텐츠 관리 유닛
441 : 메모리
451a, 451b : 어셈블리 템플릿
520 : 워크플로우 자동화 유닛
521 : 타이밍 요소
522 : 미디어 자산 관리 모듈
523 : 라이브 제작 어셈블리 모듈
524 : 글로벌 메타데이터 리포지토리 모듈
526 : 프로그래밍 제어 모듈
528 : 트래픽 제어 모듈
529 : 다중시기 워크플로우 프로세스 자동화 모듈
533 : 라이브 제작 자산 데이터베이스
534 : 글로벌 메타데이터 리포지토리 데이터베이스
535 : 시스템 프로토콜 유닛
536 : 프로그래밍 데이터베이스
537 : 리포지토리
538 : 트래픽 데이터베이스
539 : 자동화 데이터베이스
640A : 콘텐츠 관리 유닛
640B : 비디오 콘텐츠 관리 유닛
641 : 메모리
642A : 편집 결정 리스트 프로세서
644 : 기본 스트림 생성기
646A : 재생 렌더링 엔진
650 : 어셈블리 템플릿 라이브러리
652 : 그래픽 요소 저장소
653 : 스퀴즈 백 비디오 파일 저장소
654 : 폐쇄 캡션 파일 저장소
655 : 오디오 보이스 오버 파일 저장소
656 : 언어 트랙들 및 화면 해설 파일 저장소
657 : 순위 데이터 저장소
658 : 지역 이용률 데이터 저장소
662 : 스트림 플레이리스트 파일 캐시
664 : 기본 스트림 파일 캐시
666 : 메자닌 프로그래밍 및 비디오 파일 캐시
671 : 클라이언트-사이드 비디오 렌더링 엔진
682 : 라이브 인코더
684 : 라이브 캐시

Claims (22)

  1. 어셈블리 템플릿으로부터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어셈블링하기 위하여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갖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사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어셈블리 템플릿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어셈블리 템플릿을 이용하여 어셈블링 될 상기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식별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을 위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을 생성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에 각각 그것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에 상응하는 콘텐츠 자산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셈블리 템플릿의 상응하는 각각의 복수의 인스턴트 생성을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에 상응하는 상기 콘텐츠 자산들과 병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각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어셈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은 나아가 상기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은 상기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에 의해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의 병행 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템플릿 라이브러리로부터 어셈블리 템플릿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 내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하여 라이브 콘텐츠 피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콘텐츠 저장소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콘텐츠 자산의 서브셋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을 콘텐츠 배급업자에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은 재생 단계 동안에 실시간 콘텐츠 자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링 단계 이후에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을 폐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자산들은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 및 홍보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어셈블리 템플릿으로부터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어셈블링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가지며 통신 네트워크에 걸쳐 액세스 가능한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
    상기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에 쌍방향으로 연결되는 기반시설 자원들;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어셈블리 템플릿을 선택하고;
    상기 어셈블리 템플릿을 이용하여 어셈블링 될 상기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식별하며;
    각각의 상기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을 위한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을 생성하며;
    각각의 상기 가상 어셈블리 환경에 각각 그것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에 상응하는 콘텐츠 자산들을 제공하며; 및
    상기 어셈블리 템플릿의 상응하는 각각의 복수의 인스턴트 생성을 각각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에 상응하는 상기 콘텐츠 자산들과 병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각각의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을 사용하여 상기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을 제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나아가 상기 복수의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은 상기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에 의해 공유 기반시설 자원들의 병행 사용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템플릿은 상기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의 템플릿 라이브러리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 내에 포함되도록 하기 위하여 라이브 콘텐츠 피드를 수신하는 단계에 의해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가상 어셈블리 플랫폼의 콘텐츠 저장소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콘텐츠 자산의 서브셋을 획득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18. 삭제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상기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을 콘텐츠 배급업자에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은 재생 단계 동안에 실시간 콘텐츠 자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21.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나아가 상기 맞춤형 선형 채널 스트림들이 제작된 이후에 상기 가상화 어셈블리 환경들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22.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자산들은 광고 콘텐츠 및 홍보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시스템.
KR1020130001065A 2012-01-05 2013-01-04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447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43,956 US10666997B2 (en) 2012-01-05 2012-01-05 Cloud based content assembly method and system
US13/343,956 2012-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816A KR20130080816A (ko) 2013-07-15
KR101447646B1 true KR101447646B1 (ko) 2014-10-08

Family

ID=4759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065A KR101447646B1 (ko) 2012-01-05 2013-01-04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66997B2 (ko)
EP (1) EP2613542A3 (ko)
JP (1) JP5555762B2 (ko)
KR (1) KR101447646B1 (ko)
SG (1) SG1923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11207A1 (en) * 2011-12-29 2013-07-03 Gface GmbH Cloud-rendered high-quality advertisement frame
KR101489587B1 (ko) * 2013-08-16 2015-02-0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미디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가상 프레임워크
US9553827B2 (en) * 2015-02-19 2017-01-24 Ca, Inc. Automatic modeling of virtual resources with sizing recommendations
US9582306B2 (en) 2015-03-31 2017-02-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to dynamically instantiate virtual repository for any services
US10333784B2 (en) 2015-06-30 2019-06-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oud system order and configuration using customized templates
US9843837B2 (en) * 2015-08-03 2017-12-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ross-platform analysis
US20170105032A1 (en) * 2015-10-07 2017-04-13 William Davis System and Method for Cloud-based Broadcast Rights Management
WO2019155478A1 (en) * 2018-02-07 2019-08-15 M/S. Amagi Media Labs Pvt. Ltd Server independent cloud video playout system
CN109379444B (zh) * 2018-12-18 2021-08-10 华迪计算机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自动适配来提供私有云服务的方法及系统
US11207601B2 (en) 2018-12-30 2021-12-28 Cray Productions, LLC Methods for providing a virtual and an interactive gaming environment and devices thereof
US11717756B2 (en) 2020-09-11 2023-08-08 Sony Group Corporation Content, orchestration, management and programming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8745A1 (en) 2001-06-20 2003-01-23 Mcgowan Jim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virtual cable systems
US20080022309A1 (en) 2006-06-30 2008-01-24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television channel
US20080282305A1 (en) 2007-04-21 2008-11-13 Carpe Media Media Distribution System, Apparatus, Method and Softwar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6095A (en) * 1998-06-04 2000-08-01 Microsoft Corporation Producing persistent representations of complex data structures
US6792615B1 (en) 1999-05-19 2004-09-14 New Horizons Telecasting, Inc. Encapsulated, streaming media autom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US9419844B2 (en) * 2001-09-11 2016-08-16 Ntech Propert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on of media
US20030018968A1 (en) * 2001-02-01 2003-01-23 Mark Avnet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data into video stream to enhance television applications
US20040268387A1 (en) * 2001-06-11 2004-12-30 Bertrand Wendling Field of programme delivery
ES2796626T3 (es) 2005-01-12 2020-11-27 Invidi Tech Corp Modelo de impresiones dirigidas para la entrega de recursos de red de difusión
GB0600678D0 (en) * 2006-01-13 2006-02-22 Vodafone Plc Search platform
US8037506B2 (en) 2006-03-03 2011-10-11 Verimatrix, Inc. Movie studio-based network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8046479B2 (en) * 2006-11-07 2011-10-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dia channel management
US7996488B1 (en) 2006-11-27 2011-08-09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connecting media applications and services with automated workflow orchestration
US8555318B2 (en) * 2006-12-06 2013-10-08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Customized media on demand
JP2009105769A (ja) * 2007-10-24 2009-05-14 Visionere Corp オーサリングサーバ、オーサリングシステム及びオーサリング方法
US8719881B2 (en) * 2008-02-25 2014-05-0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synchronized content presentations using dynamically updated playlists
US8650602B2 (en) * 2009-02-27 2014-02-11 Akamai Technologies, Inc. Input queued content switching using a playlist
US8136142B2 (en) 2009-07-02 2012-03-13 Ericsson Television, Inc. Centralized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distribution of packages to video service provid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8745A1 (en) 2001-06-20 2003-01-23 Mcgowan Jim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distributing virtual cable systems
US20080022309A1 (en) 2006-06-30 2008-01-24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television channel
US20080282305A1 (en) 2007-04-21 2008-11-13 Carpe Media Media Distribution System, Apparatus, Method and Softw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66997B2 (en) 2020-05-26
EP2613542A3 (en) 2014-07-23
EP2613542A2 (en) 2013-07-10
JP5555762B2 (ja) 2014-07-23
KR20130080816A (ko) 2013-07-15
SG192341A1 (en) 2013-08-30
JP2013145555A (ja) 2013-07-25
US20130179916A1 (en)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646B1 (ko) 클라우드 기반 콘텐츠 어셈블리 방법 및 시스템
US11330316B2 (en) Media streaming
US202103263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79131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uthoring and playback of independent, synchronized media through the use of a relative virtual time code
US20070271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aborative, peer-to-peer creation, management & synchronous, multi-platform distribution of profile-specified media objects
CN105900438A (zh) 用于在内容递送网络中优化内容的碎片整理的系统和方法
WO20081576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and parallel video editing, tagging, and indexing
CN106134146A (zh) 处理连续的多周期内容
CN105659623B (zh) 发送装置、发送方法、接收装置以及接收方法
US107621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ombined media and user-defined audio selection
US108560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generating live previews
WO2016160201A1 (en) Aggregating media content
US116777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encoding optimization and broadcasting
JP2019520011A (ja) メディア環境駆動型コンテンツ配信プラットフォーム
JP7333825B2 (ja) 階層化メディアを生成すること、分配すること、及び階層化メディアと対話することのための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2082453A (ja) メディア消費ギャップ充填の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挿入可能なメディアを使用したギャップ充填)
US201200089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rights based video
US1140569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presenting reproduced video including service object and adding additional image indicating the service object
Foss et al. Personalised placement in networked video
Christian Intersectional distribution
US11234027B2 (en) Automated content compilation
Kacungira et al. Surviving Digital Disruptions: The Future of Television in Kenya
KR20130073751A (ko) 인덱스파일을 이용한 복합 컨텐츠 생성 및 라이브채널 재편성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단말
CN117459787A (zh) 数字内容的针对性重新处理
Kvetanová et al. MARKETING IDENTITY COVID-2.0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