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631B1 -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631B1
KR101447631B1 KR1020130007123A KR20130007123A KR101447631B1 KR 101447631 B1 KR101447631 B1 KR 101447631B1 KR 1020130007123 A KR1020130007123 A KR 1020130007123A KR 20130007123 A KR20130007123 A KR 20130007123A KR 101447631 B1 KR101447631 B1 KR 101447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heelchair
frames
sea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4372A (ko
Inventor
김충국
Original Assignee
김충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국 filed Critical 김충국
Priority to KR1020130007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63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06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convertible to stretchers or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6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backrest relative to the seat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lower legs

Abstract

휠체어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며, 한 쌍의 대륜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과, 후방 프레임과 평행하게 고정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들과, 한 쌍의 보조 소륜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한 쌍의 전후방 프레임들을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수평 프레임들과, 한 쌍의 전후방 프레임들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판과, 좌판의 후단 에지에 결합된 등받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착석위치부터 보조 소륜축 위치인 거의 바닥에 근접된 위치까지 승강거리를 크게 가져갈 수 있으므로 병원 침대 높이에서부터 온돌방의 바닥 위치까지 다양한 높이에 적응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또한 단지 4개의 가이드 레일 프레임들과 2개의 수평 프레임으로 골격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경량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휠체어{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승하차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좌판이 승강되고 침대로 전환이 가능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로써, 일반적으로 바퀴의 구동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바퀴를 돌리는 수동식과 전동기의 회전력에 의해 바퀴가 회전하는 전동식이 있다.
한편, 노약자,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침대와 같은 일정 높이의 다른 장소에서 내려와 휠체어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휠체어에서 내려서 침대로 올라갈 때 침대 매트리스와 휠체어 좌판 간의 높이 차이로 인해 환자 스스로 상체를 일으켜 움직이기에는 상당히 힘들고 불편할 수밖에 없고, 무리하게 이동할 경우 자칫 부상을 당하거나 심한 체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이 보호자나 간병인의 도움과 부축을 받아서 이동하게 되는 데, 보호자나 간병인의 입장에서는 환자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매우 곤란하고 조심스러우며, 특히 체격이 큰 환자인 경우 한 명의 보호자나 간병인이 감당하기에는 여간 힘에 부치고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휠체어가 침대로 전환되어 침대에서 휠체어로 이동을 편하게 하는 하거나 좌판이 승강되어 좌판 높이를 침대 높이로 조절함으로서 환자의 이동을 편리하도록 한 휠체어 관련 기술들이 소개되어 있다.
침대 전환이 가능한 휠체어 관련 특허들로는 공개특허 제2012-0046581호, 공개번호 제2012-0097440호, 공개특허 제2011-0045932호, 공개특허 제2011-0037429호, 공개특허 제2009-0079111호 등이 있다.
좌판 승강이 가능한 휠체어 관련 특허들로는 공개특허 제2012-0117027호, 공개특허 제2011-0121042호, 공개특허 제2010-0136264호, 공개번호 제2009-0116969호, 등록특허 제10-06226399호 등에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침대 전환이거나 또는 좌판 승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좌판 승강이 가능한 특허들 중 공개특허 제2010-0136264호를 제외한 나머지 특허들에서는 휠체어의 바퀴 축 보다 더 높은 착석위치 보다 더 높은 위치로 좌판을 상승시키는 구조로 주로 병원 침대 높이에 대응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와 같은 온돌 구조의 방 구조이거나 병원 침대와 달리 다양한 침대 높이를 가진 가정에서는 사용하기 불편하였다.
공개특허 제2010-0136264호의 휠체어 기술은 휠체어라기보다는 실내용으로 바퀴 직경이 매우 작아 실외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좌판이 착석 높이에서 거의 바닥 높이까지 하강할 수 있어서 높이 조절 폭이 매우 큰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판 승강뿐만 아니라 침대로 전환이 용이하여 환자의 목욕이나 병원 침대 높이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휠체어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며, 한 쌍의 대륜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과, 후방 프레임과 평행하게 고정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들과, 한 쌍의 보조 소륜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한 쌍의 전후방 프레임들을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수평 프레임들과, 한 쌍의 전후방 프레임들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판과, 좌판의 후단 에지에 결합된 등받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착석위치부터 전륜 축 위치인 거의 바닥에 근접된 위치까지 승강거리를 크게 가져갈 수 있으므로 병원 침대 높이에서부터 온돌방의 바닥 위치까지 다양한 높이에 적응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또한 단지 4개의 가이드 레일 프레임들과 2개의 수평 프레임으로 골격 구조를 가짐으로써 구조가 단순하고 경량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한 쌍의 전후방 프레임들의 내부에는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을 구비하고, 이들 체인의 회전 이동에 의해 좌판이 승강된다.
따라서 전동체인 구조에 의해 큰 힘을 낼 수 있으므로 환자나 간병인 혼자서도 간단하게 환자를 착석위치와 바닥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 각각의 상단은 대륜축의 수직선상의 상방으로부터 적어도 후방에 위치하고, 하단은 대륜축 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고, 한 쌍의 전방 프레임들은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과 동일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사 구조는 착석위치에서 바닥위치로 좌판이 하강되면 좌판이 대륜에서 거의 빠져나올 정도로 전진되므로 대륜에 걸리지 않고 환자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하다.
일실시예에서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 각각의 상단은 대륜 직경 높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는 침대모드에서 후륜 보다 높은 위치에서 침대 모드로 전환되므로 대륜이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하다.
일실시예에서 등받이는 좌판의 착석위치에서 좌판과 동일 평면까지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침대모드로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일실시예에서 등받이의 상부에는 휠체어 모드에서는 등받이 배면으로 접어지고, 침대 모드에서는 수직으로 펼쳐져 등받이 상부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대가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는 침대모드에서 등받이 상부를 안정되게 받쳐줄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한 쌍의 전방 승강 가이드 레일 프레임들 각각의 상단 외측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휠체어의 발판의 일측이 결합된 한 쌍의 레그 프레임을 포함한다. 한 쌍의 레그 프레임들 각각은 휠체어 모드에서는 한 쌍의 전방 프레임들에 근접되게 접어지고, 침대모드에서는 좌판과 동일 평면 위치까지 펼쳐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침대 모드에서 환자의 다리부분을 받쳐줄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레그 지지대들 각각의 타단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된 된 한 쌍의 다리 지지대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다리 지지대들 각각은 휠체어 모드에서는 한 쌍의 레그 지지대들에 근접되게 접어지고, 침대 모드에서는 수직으로 펼쳐져 한 쌍의 레그 지지대들 각각의 타단을 바닥으로부터 안정되게 지지한다.
일실시예에서 좌판의 좌우 에지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팔걸이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팔걸이들 각각은 휠체어 모드에서는 수직으로 위치하고, 침대 모드에서는 좌우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어 펼쳐진다. 이와 같은 구조는 침대모드에서 사용 환경을 편리하게 한다.
일실시예에서 등받이의 좌우 에지에는 좌우 외측방향에서 전방으로 구부러진 날개부가 각각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휠체어는 바닥위치까지 하강될 수 있으므로 온돌방 구조의 가정에서도 환자의 이동이 편리하고, 침대모드로 펼져질 수 있으므로 환자의 목욕 침대로 사용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휠체어모드에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휠체어모드에서의 하강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침대모드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휠체어모드에서의 좌판 승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說示)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순서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휠체어모드에서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휠체어모드에서의 하강상태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침대모드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휠체어(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휠체어모드에서의 좌판 승강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휠체어(100)는 한 쌍의 대륜들(110), 한 쌍의 보조 소륜들(120) 및 본체(130)를 포함한다.
대륜(110)은 본체(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 소륜(130)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외측면에 핸드 림(hand rim)(112)이 결합된다. 또한 보조 소륜(110)은 본체(130)의 전방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130)는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140), 한 쌍의 전방 프레임들(150), 한 쌍의 수평 프레임들(160), 좌판(170), 등받이(180) 및 발판(190)을 포함한다.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140) 각각은 상단부가 대륜(110)의 높이 이상의 위치까지 연장되고, 하단부가 보조 소륜(120)의 회전축(121) 위치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후방 프레임(140)의 상단부는 대륜(110)의 회전축(111)의 수직선상의 상방으로부터 적어도 후방에 위치하고 하단부는 대륜(110)의 회전축(111) 보다 전방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후방 프레임(140)의 중간에서 대륜(110)의 차축(111)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 암(142)의 종단에 축 지지부(144)가 고정된다. 축 지지부(144)에는 축 공이 형성되고 이 축 공에 대륜(110)의 회전축이 축 결합된다.
한 쌍의 전방 프레임들(150) 각각은 후방 프레임(140)과 일정 간격을 두고 xz평면에서 평행하게 배치되고 동일한 경사를 유지한다.
한 쌍의 수평 프레임들(160) 각각은 전방 프레임(150)의 하단부와 후방 프레임(140)의 하단부를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킨다. 수평 프레임(160)의 전단부 부근에는 보조 소륜(120)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후방 프레임(140)과 전방 프레임(150)들 각각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홈(140a, 150a)을 따라 가이드 레일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체인(140b, 150b)이 무한 궤도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체인(140b, 150b)은 전동모터의 구동축과 감속기어를 통해 결합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도록 결합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모터 방식으로 구성할 경우에는 수평 프레임(160) 내에 체인(140b, 150b)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 체인(160b)이 포함될 수 있다.
좌판(170)은 좌우 양측에 전후방으로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출봉(172, 174)이 결합된다. 후방에 배치된 돌출봉(172)은 후방 프레임(140)의 가이드 홈(140a)을 통해 내부의 체인(140b)에 고정되고, 전방에 배치된 돌출봉(174)은 전방 프레임(150)의 가이드 홈(150a)을 통해 내부의 체인(150b)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좌판(170)은 후방 및 전방 프레임들(140, 150) 내부의 체인(140b, 150b, 160b)이 서로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 각 가이드 홈(140a, 150a)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타고 하강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판(170)은 실선 표시 위치의 착석위치(A)에서 가상선 표시 위치의 바닥위치(B)까지 후방 및 전방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하강하게 된다. 바닥위치에서 좌판(170)의 후단부가 후방 프레임(140)의 하단부까지 내려오게 되므로 좌판(170)의 후단부가 대륜의 회전축 위치에서 대륜의 전방으로 전진되므로 대륜에 걸리지 않고 환자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체인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바닥위치(B)에서 착석위치(A)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좌판(170)의 후단부가 대륜의 회전축 상방위치로 복귀되게 되어 휠체어 전체적인 무게 중심의 밸런스를 유지한다. 또한 좌판(170)의 착석위치(A)는 대륜의 직경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침대모드에서 대륜이 좌판(170)의 수평 높이 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후방 프레임(140), 전방 프레임(150), 수평 프레임(160), 및 좌판(170)은 스테인레스 스틸, 고강도 알루미늄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결합에 의해 본체(130)의 프레임 구조는 측면에서 바라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xz 평면에서 평행 사변형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가진 골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체(130) 구조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자체 무게를 경량으로 할 수 있다.
좌판(170)의 좌우 에지 각각에는 팔걸이(17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팔걸이(176)는 휠체어모드(도1 도시된 상태)에서는 xz평면에서 직립 상태로 고정되고, 침대모드(도 3 도시된 상태)에서는 외측방향으로 펼쳐져 수평방향(xy 평면) 또는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위치할 수도 있다.
등받이(180)는 등받이 프레임(182)의 하단부가 좌판(170)의 후방 에지에 xz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등받이(180)는 좌판(170)에 결합되므로 좌판(170)의 승강 동작시 함께 승강되어 환자를 받쳐준다. 등받이(180)는 휠체어모드에서는 직립 상태로 고정되고, 침대모드에서는 후방으로 펼쳐져 xy평면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182)에는 등받침 쿠션(184) 및 머리 받침 쿠션(186) 등이 결합되고 등받침 쿠션(184)의 좌우에는 전방으로 일정 각도 구부러진 날개부(184a)가 형성될 수 있다. 등받이 프레임(182)의 상단부에는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머리 지지대(188)가 결합된다. 즉 머리 지지대(188)는 휠체어모드에서는 등받이(180)의 배면으로 접어지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모드에서는 xz평면에서 수직 상태로 펼쳐져 등받이(180)의 상단부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한다.
발판(190)은 풋 레스트(192), 2축 관절부(194), 레그 프레임(196), 다리 지지대(198)를 포함한다.
레그 프레임(196)의 상단부는 전방 프레임(150)의 상단부 외측에 xz 평면에서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레그 프레임(196)은 휠체어모드에서는 전방 프레임(150)의 길이 방향으로 외측에서 근접되게 접어지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모드에서는 좌판(170)의 착석위치에서 수평상태로 펼쳐진다.
풋 레스트(192)는 레그 프레임(196)의 하단부 내측에 2축 관절부(194)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풋 레스트(192)는 휠체어모드의 착석위치(A)에서는 xy 평면에서 z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내측으로 회동되고(도 1에 도시된 상태), 바닥위치(B)에서는 xy 평면에서 전방으로 회동된다(도 2에 도시된 상태). 따라서 착석위치(A)에서는 내측으로 위치하여 좌판(170)에 착석한 환자의 발을 받쳐준다. 바닥위치(B)에서는 전방으로 회동되어 환자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개방상태로 위치한다.
또한 풋 레스트(19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모드에서는 xy평면에서 수평하게 위치하기 위하여 xz평면에서 y축을 회전축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풋 레스트(192)는 침대모드에서 환자의 발을 받쳐주게 된다.
다리 지지대(198)는 레그 프레임(196)의 외측에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 지지대(198)는 휠체어모드에서는 레그 프레임(196)과 일치되게 접어지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모드에서는 xz평면에서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되어 수직하게 직립되어 레그 프레임(196)의 하단부를 바닥으로부터 일전 높이로 지지한다.
따라서 침대모드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서부터 대륜의 직경 높이에서 침대 형태로 펼쳐지게 된다. 그러므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인들을 휠체어에서 목욕 침대로 이동시키지 않고 휠체어의 침대모드에서 환자를 씻길 수 있으므로 가족이나 간병인들의 수고로움을 덜어 줄 수 있다.
도 3에 미도시 되어 있지만 한 쌍의 레그 프레임(196)들 사이 공간 부에 종단지 부위를 추가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구조물을 더 설치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본 발명은 환자용 휠체어 뿐만 아니라 마사지 샵이나 공증 목욕탕의 간이 침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공간 내에서 이동이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접어서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휠체어 이용시 환자를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좌판을 바닥 높이 까지 하강시킬 수 있으며, 침대로 펼쳐질 수 있으므로 휠체어에서 목욕 침대로 이동하지 않고 목욕이 가능하므로 간병에 매우 편리하여 병원뿐만 아니라 온돌구조의 가정용, 마사지 샵이나 공중목욕탕의 때밀이 침대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휠체어에 있어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며, 한 쌍의 대륜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
    상기 후방 프레임과 평행하게 고정된 한 쌍의 전방 프레임들;
    한 쌍의 보조 소륜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한 쌍의 전후방 프레임들을 전후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수평 프레임들;
    상기 한 쌍의 전후방 프레임들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판; 및
    상기 좌판의 후단 에지에 결합된 등받이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들 각각의 상단 외측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 내측에 휠체어의 풋 레스터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레그 프레임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레그 프레임들 각각은 휠체어모드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들에 근접되게 접어지고, 침대모드에서는 상기 좌판과 동일 평면 위치까지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후방 프레임들 각각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이 구비되어, 이들 체인에 결합된 상기 좌판을 체인의 회전 이동에 의해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 각각의 상단은 대륜축의 수직선상의 상방으로부터 적어도 후방에 위치하고, 하단은 대륜축 보다 전방에 위치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지고, 상기 한 쌍의 전방 프레임들은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과 동일 경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방 프레임들 각각의 상단은 대륜 직경 높이 이상의 위치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상기 좌판의 착석위치에서 좌판과 동일 평면까지 수평으로 펼쳐지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는 휠체어 모드에서는 등받이 배면으로 접어지고, 침대 모드에서는 수직으로 펼쳐져 상기 등받이 상부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머리 지지대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그 지지대들 각각의 타단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결합된 된 한 쌍의 다리 지지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다리 지지대들 각각은 휠체어모드에서는 상기 한 쌍의 레그 지지대들에 근접되게 접어지고, 침대 모드에서는 수직으로 펼쳐져 상기 한 쌍의 레그 지지대들 각각의 타단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의 좌우 에지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팔걸이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팔걸이들 각각은 휠체어 모드에서는 수직으로 위치하고, 침대 모드에서는 좌우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좌우 에지에는 좌우 외측방향에서 전방으로 구부러진 날개부가 각각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KR1020130007123A 2013-01-22 2013-01-22 휠체어 KR10144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123A KR101447631B1 (ko) 2013-01-22 2013-01-22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7123A KR101447631B1 (ko) 2013-01-22 2013-01-22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372A KR20140094372A (ko) 2014-07-30
KR101447631B1 true KR101447631B1 (ko) 2014-10-07

Family

ID=5174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123A KR101447631B1 (ko) 2013-01-22 2013-01-22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6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506A (ja) * 1993-05-10 1994-11-15 Yasuhei Suko 車椅子
JP2001299822A (ja) 2000-04-18 2001-10-30 Riso Seimitsu:Kk 車椅子
KR200378016Y1 (ko) 2004-12-09 2005-03-10 임상기 휠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5506A (ja) * 1993-05-10 1994-11-15 Yasuhei Suko 車椅子
JP2001299822A (ja) 2000-04-18 2001-10-30 Riso Seimitsu:Kk 車椅子
KR200378016Y1 (ko) 2004-12-09 2005-03-10 임상기 휠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4372A (ko)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7548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ое кресло-коляска
EP3590482B1 (en) Nursing bed
US9737448B2 (en) Elevating manual wheelchair
CN102551973A (zh) 一种新型多功能轮椅床
KR20180059516A (ko) 다목적, 다기능 및 재조직 가능한 안락의자 침대
KR20170124398A (ko) 베드체어
CN202859512U (zh) 多功能轮椅床
KR102468660B1 (ko) 다기능 휠체어
CN202386870U (zh) 方便病人床与轮椅间位置互换的折叠轮椅
KR101241663B1 (ko) 휠체어
KR20170101333A (ko) 배드이송형 전동휠체어
CN102846442B (zh) 单机双控两用轮椅床
TW201507714A (zh) 整合坐、站、後傾之電動輪椅
JP2019093077A (ja) 介護用椅子
KR101588698B1 (ko) 전동식 샤워 트롤리
KR101447631B1 (ko) 휠체어
CN110840660A (zh) 一种适于行动不便者使用的病患转移装置
JP2002078756A (ja) ベッド及び車椅子
CN114288107A (zh) 多功能护理床
CN209916434U (zh) 康复护理床
CN219557840U (zh) 一种轮椅机构
CN215607003U (zh) 一种拼接式护理床
KR20120060058A (ko) 기립 도우미 훨체어
KR20130037603A (ko) 환자용 좌변의자
KR102581667B1 (ko) 접이식 의료용 휠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