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422B1 - 과일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과일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422B1
KR101447422B1 KR1020130087041A KR20130087041A KR101447422B1 KR 101447422 B1 KR101447422 B1 KR 101447422B1 KR 1020130087041 A KR1020130087041 A KR 1020130087041A KR 20130087041 A KR20130087041 A KR 20130087041A KR 101447422 B1 KR101447422 B1 KR 101447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box
plate
phas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미
Original Assignee
신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윤미 filed Critical 신윤미
Priority to KR102013008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38Tray-like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and presenting openings or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서로 이격된 2개의 상자체 사이에 과일의 양측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이 2개의 상자체가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킨 과일 포장상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의 제1상자체와, 제1상자체의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며 중앙부가 절첩되는 중앙회동판과, 중앙회동판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1상자체와 서로 마주보도록 포개지거나 펼쳐지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의 제2상자체와, 제1상자체 및 제2상자체의 상부면상에 내부로 타공되게 형성되어 과일의 양측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공과, 제1상자체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판과, 그리고 제2상자체의 양측에는 고정판의 단부가 삽입되어 제1상자체와 제2상자체가 펼쳐지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과일 포장상자{A packaging box for fruits}
본 발명은 과일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된 과일이 일체의 흔들림 없이 외부로부터 보호됨은 물론, 선물용으로 취급이 용이하도록 마련된 과일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사과, 배, 복숭아, 메론 등의 과일은 생산자로부터 판매자나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운송 과정 중에 멍들거나 상처가 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손상된 과일은 쉽게 상하거나 상품 가치가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운송 도중 손상되기 쉬운 과일은 적절한 과일 포장재로 포장된 후 운송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과일 포장재는 과일을 수납하여 과일의 선도를 유지하고 과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 상자나 완충재 등의 형태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과일 포장재는 골판지나 스티로폼 또는 종이 박스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종래의 과일 포장상자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종이재 등으로 제작되어 상부가 개방된 사각형 상자체(10)와, 이 상자체(10)의 내부 바닥면에 내장되는 완충재(20)를 포함하며, 완충재(20)위에 과일(F)들이 올려진 후에, 먼지 등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소비자들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비닐(30)로 상자체(10)의 개방된 상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과일 포장상자는 정형화된 사각박스형태이기 때문에 상, 하로 적층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상자체(10)의 좌우측에 손잡이(11)가 형성되어 있어 소비자들이 상자체(10)를 들고 운반하기 편리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과일 포장상자는 5Kg ~ 15Kg 정도의 과일을 포장함에 있어 소비자들이 한손으로 쉽게 들고 다닐 수 있게 되지 않은 것이 불편한 사항이었다. 따라서 과일상자를 항상 두손으로 떠 받치고 다녀야 했으며, 이 과일상자위에 다른 물건을 올려 놓으면 투명비닐(30)이 눌리면서 과일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판 사이에 과일의 양측 일부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이 2개의 판이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킨 과일 포장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가 빈 박스 형태의 제1상자체;
제1상자체의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며 중앙부가 절첩되는 중앙회동판;
중앙회동판의 타측에 연결되어 제1상자체와 서로 마주보도록 포개지거나 펼쳐지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의 제2상자체;
제1상자체 및 제2상자체의 상부면상에 내부로 타공되게 형성되어 과일의 양측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공;
제1상자체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판; 및
제2상자체의 양측에는 고정판의 단부가 삽입되어 제1상자체와 제2상자체가 펼쳐지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결합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면에 안착공과 동일한 형태의 안착공이 형성된 중간상자체를 제1상자체 및 제2상자체가 닫혀질때에 그 사이에 배치시켜, 중간상자체와 제1상자체 및 제2상자체의 사이에 과일을 2단으로 담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고정판은 결합홈으로 삽입되는 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넓어 상자체의 측면을 최소 절반이상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착공의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절개선이 형성되어 과일을 탄력적으로 받치는 절편이 형성됨이 더욱 좋을 것이다.
이때, 절개선상에는 적어도 한 군데 이상에 비절개부가 형성되고, 비절개부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는 원호로된 접이선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안착공을 천공할때에 생기는 천공판재를 절편들중 어느 하나의 절편에 붙어있도록 하여 과일의 하부를 더 두껍게 받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안착공에 형성된 절개선들은 이웃한 안착공의 절개선과 일직선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고정판의 단부에는 결합홈으로 들어가 잘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쐐기 형태의 삽입판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결합홈에는 삽입판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인출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삽입판과 고정판의 경계선상 중앙부에는 삽입판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ㄷ"자 형태의 인출절개선이 형성되면서 그 양쪽의 경계선상에는 구부러지는 접이선이 형성되어, 삽입판이 접이선을 따라 구부러질때에 인출절개선이 벌어지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인출판이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는 접이식 상자체내에 과일이 흔들리지 않도록 담을 수 있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중간상자체를 더 이용하면 과일을 2단으로 담을 수 있어 대용량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과일이 안착되는 절개선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 비절개부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 접이선을 형성하여 규격이 다른 과일이라도 동일한 상자에 포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를 나타낸 펼친 모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를 나타낸 닫은 모습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를 펼쳐 그 위에 과일을 담은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에 과일을 담아 닫아서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절개선의 형성에 대한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문제점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나타낸 예시도면들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과일 안착공의 변경가능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고정날개판의 변경가능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를 대용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습을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날개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고정날개판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15는 과일 안착공의 또 다른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펼친상태 사시도 및 닫은 상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1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제1상자체(110)와, 이 제1상자체(110)의 뒤쪽면에 연결되는 동일한 형상의 제2상자체(120)와, 이 상자체(110, 120)들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해주는 중앙회동판(130)과, 제1상자체(110)의 양측면에 길다랗게 형성되어 제2상자체(120)와 결합되는 고정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상자체(110)와 제2상자체(120)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를 갖는다. 여기에서, 과일 포장상자(100)의 뒤쪽이라 함은 제1상자체(110)에서 제2상자체(120)가 연결되는 쪽을 말한다.
이러한 과일 포장상자(100)는 제1상자체(110)의 상부면 및 제2상자체(120)의 상부면상에 상자체(110, 120)들이 중앙회동판(130)을 기점으로 서로 겹쳐질때에 서로 마주보도록 서로 대응되는 위치 및 동일한 형상의 안착공(116, 126)이 형성된다. 이 안착공(116, 126)은 과일의 양측 일부가 내려앉도록 타공된 것으로, 과일 원호의 일부가 삽입되어 흔들리지 않을 정도의 직경이면 족할 것이다. 이때, 안착공(116, 126)의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도록 다수의 절개선(117, 127)들이 형성된다. 이 절개선(117, 127)은 안착공(116, 126)에 내려앉은 과일을 절개선(117, 127)들에 의해 그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절편들이 과일을 탄력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 상자체(110, 120)에 형성되는 안착공(116, 126)의 개수는 포장을 위한 과일의 개수와 일치되는 것으로, 어느 한쪽의 상자체(110)에 도면과 같이 8개의 안착공(116)이 형성되면, 8개의 과일을 담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1상자체(110) 및 제2상자체(120)를 연결해주는 중앙회동판(130)은 양단부가 각 상자체(110, 120)에 부착되어 있고, 중앙회동판(130)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접혀질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접혀질 수 있는 구조에 의해 각 상자체(110, 120)들이 양쪽으로 펼쳐지거나 서로 겹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상자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판(112)은 그 단부에 양쪽이 쐐기 형상을 갖는 삽입판(114)이 형성되어 있고, 제2상자체(120)의 양측면상에는 삽입판(114)이 들어가 걸리도록 제2상자체(120)의 안쪽으로 뚫린 결합홈(124)이 형성된다. 결합홈(124)은 상자체(110, 120)들이 중앙회동판(130)을 기점으로 서로 겹쳐질때에 삽입판(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고정판(112)은 제1상자체(110)위에 세워져 있고 제2상자체(120)는 제1상자체(110)와 평행하게 회동되므로 고정판(112)에 대해 삽입판(114)이 꺽여질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결합홈(124)의 바깥쪽에는 삽입판(114)이 들어간 후 과일 포장상자(100)의 해체를 위해 이를 빼낼때에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인출홈(125)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일 포장상자(100)는 위 구성요소들 모두가 종이재로 제작되며, 상자를 접는 방식을 늘인 형태인 한 장의 원지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1상자체(110)는 통상의 박스를 접는 형태이며, 이 원지에 양쪽 고정판(112)을 연장하면 되는 것이고, 다시 원지의 뒤쪽으로 더 길게 연장하여 중앙회동판(130) 및 제2상자체(12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100)는 위와 같이 상자체(110, 120)와, 고정판(112) 및 결합홈(124)만의 구성으로도 과일을 담을 수 있는 충분 조건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상태는 손쉽게 들고 다닐 수 없게 되므로, 도면과 같이 제1상자체(110)의 앞쪽과 제2상자체(120)의 뒤쪽에 각각 손잡이(140)를 부착하여 편리하게 들고 다닐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에 과일을 담아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100)는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과일 포장상자(100)를 펼친 상태에서 제2상자체(120)의 위에 과일(F)들을 올려 놓는다. 물론,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과일(F)들은 각각의 안착공(126)속으로 일부가 들어갔을 것이고, 안착공(126)의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절판들이 과일(F)들을 아래에서 탄력적으로 받치고 있게 될 것이다. 도면과 위 설명에서는 과일(F)들을 제2상자체(120)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상자체(110)에 안착시켜도 전혀 무방하다.
도 4와 같이 과일(F)들이 안착된 후에는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상자체(110, 120)를 서로 겹친다. 물론, 과일(F)들이 안착되어 상자체(120)가 회동하는 것은 어려우니 반대쪽 상자체(110)가 회동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따라서 상자체(110, 120)가 서로 마주본 후에는 고정판(112)의 삽입판(114)을 결합홈(124)속으로 넣어 제1상자체(110) 및 제2상자체(120)가 서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140)를 가운데로 오도록 하여 잡아주면 상자체(110, 120)들이 더욱 밀착되면서 내부의 과일(F)들을 더 힘있게 감싸주게 될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에서 안착공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과일이 안착될때에 그 하부를 탄력적으로 받치기 위해 절편들이 형성되는 절개선(117, 127)들은 이웃한 안착공들의 절개선과 일직선상으로 연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안착공에 올려지는 과일의 무게에 의해 안착공의 주변 절편들이 내려 않게 되는데,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웃한 안착공(116)에 형성된 절개선(117)과 일직선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면, 그 사이가 접혀지거나 심할 경우 찢어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대, 안착공(116)들이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행열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절개선(117)들중에서도 사선방향으로 연장된 절개선들 외에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가로방향이나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절개선들이 서로 마주볼 수 있어 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절개선들이 일직선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7의 (a)와 같이 각 안착공(116)들에 형성된 절개선(117)의 개수는 동일하게 하면서 각 그룹의 절개선(117)을 일정 각도로 돌려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도 7의 (b)에서 보는 것가 같이, 각 안착공(116)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선(117)의 개수를 다르게 하여 등간격으로 원형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은 상자체의 상부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안착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 사시도 및 작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100)는 위에서도 설명하였지만, 하나의 원지로 제작하게 되고, 이 원지에서 안착공(116) 만큼을 천공하게 된다. 그렇지만, 도 8과 같이 안착공(116)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판재(118)를 완전히 천공하여 떼어내지 않고 일부가 붙어있도록 한다면 이 안착공(116)에 안착되는 과일들의 완충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안착공(116)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절편 단부(119)에 천공판재(118)를 붙여놓게 되면, 도 9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과일(F)이 안착공(116)을 통해 내려 앉을때에 천공판재(118)가 이 과일(F)의 하부면을 받쳐주어 더 많은 완충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의 상자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112)는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전의 도면에서들 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과일 포장상자(100)에 커다란 과일들이 포장되어 전체 중량이 많아진다면 이 과일 포장상자(100)의 열림을 억제하고 있는 고정판(112)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다. 그리고 위의 도면들과 같이 고정판(112)의 폭이 좁게 되면 혹시라도 상자체(110, 120)의 내부에 있던 과일이 고정판(112)의 옆쪽으로 이탈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10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고정판(112)의 좌우 폭이 상자체(110, 120)의 좌우를 대부분 커버할 수 있을 정도 또는, 절반 이상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여 위와 같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삽입판(114)은 결합홈(124)으로 넣었다가 빼내는 것이 쉬워야 하므로 되도록 폭이 넓지 않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를 대용량으로 사용할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100)는 과일의 개수를 늘리려면 안착공(116)의 개수를 늘려야 하므로 상자체(110, 120)의 크기를 더 확장하는 방법일 것이다. 그렇지만, 과일을 이중으로 담을 수 있다면 포장 과일의 개수를 2배수로 늘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1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100)의 중앙회동판(130)을 더 길게 형성하고, 그 늘어난 길이만큼 고정판(112)의 길이를 연장하여서 제1상자체(110)와 제2상자체(120)의 사이에 중간상자체(150)를 넣어서 도 12에서 보는 것과 같이 2중으로 과일을 담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중간상자체(150)도 상자체(110, 120)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빈 박스형태이며, 그 상부면 및 하부면상에는 상자체(110, 120)에 형성된 안착공(116, 126)과 동일한 형태의 안착공(156)이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다. 그리고 중간상자체(150)는 도 12의 화살표에서 표현한 것과 같이 상자체(110, 120)와 일체로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과일(F)의 포장을 연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의 제1상자체와 제2상자체를 결합시켜주는 고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 사시도 및 작동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일 포장상자(100)는 도 3에서도 도시 및 설명하였듯이 삽입판(114)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결합홈(124)에 인출홈(125)을 형성하였다. 그렇지만 인출홈(125)으로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다고 두툼한 삽입판(114)이 쉽게 빠져나오는 것이 아니므로 즉, 삽입판(114)은 다시 손톱으로 찍어 눌러 밖으로 빼 내어야 한다. 따라서 도 1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삽입판(114)과 고정판(112)의 경계선상 중앙부에 삽입판(114)측으로 돌출되는 인출절개선(113a)을 형성하고, 인출절개선(113a)의 양쪽 경계선상에 접이선(113b)을 형성하게 되면, 도 14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인출판(113)이 위로 돌출되어 이 인출판(113)을 잡고 손쉽게 삽입판(114)을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인출절개선(114)이 삽입판(114)측을 향하도록 "ㄷ"자 형태로 제작되어 있어 삽입판(114)이 접이선(113b)을 따라 접혀질때에 인출절개선(113a)이 벌어지면서 인출판(113)을 남겨두게 되어 돌출되는 것이다.
도 15는 과일 안착공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안착공(116 또는 126)의 절개선(117 또는 127)상에는 최외곽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절개부(117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절개부(117a)는 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절개선(117)이 일자로 곧게 연장된 것이 아니라 중간 중간에 절개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여 낱장의 절편들이 이웃한 절편들과 어느 정도의 힘까지는 붙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절개선(117)들은 과일이 안착공(116)에 안착될때에 과일과 접촉되는 절편들이 가라 앉으면서 탄성 받침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균일한 크기로 제작된 안착공(116) 및 절개선(117)에 동일 크기가 아닌 과일이 올려지는 것을 가정한다면, 크기가 큰 과일은 절편들에 의해 받쳐지는가 하면 크기가 작은 과일들은 절편의 받침 영향을 거의 안받을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절개선(117)의 중간 중간에 칼선으로 절개되지 않은 비절개부(117a)를 형성하여 작은 크기의 과일이 올려질때에는 절개선(117)이 안착공(116)에서부터 절개선(117)의 끝까지 다 작용하지 않고 과일의 크기에 따라 중간에서 우선적으로 꺽여지도록 하는데에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비절개부(117a)가 형성되어 있다고 하여도 절개선(117)의 최외곽을 잇는 원호를 따라 절편들이 꺽여지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에 비절개부(117a)가 형성된 바깥쪽 또는 안쪽 방향에 복수의 접이선(116a)을 더 형성하여 최외곽쪽 접이선(116a)보다 안쪽의 접이선이 우선적으로 꺽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절개부(117a) 및 접이선(116a)에 의해 본 발명의 과일 포장상자(100)는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면서도 다른 규격의 과일을 담을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100 : 과일 포장상자
110, 120 : 상자체 112 : 고정판
113 : 인출판 114 : 삽입판
116, 126 : 안착공 117, 127 : 절개선
116a : 접이선 117a : 비절개부
118 : 천공판재 124 : 결합홈
130 : 중앙회동판 140 : 손잡이
150 : 중간상자체 F : 과일

Claims (10)

  1. 내부가 빈 박스 형태의 제1상자체(110);
    상기 제1상자체(110)의 어느 일측에서 연장되며 중앙부가 절첩되는 중앙회동판(130);
    상기 중앙회동판(13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상자체(110)와 서로 마주보도록 포개지거나 펼쳐지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의 제2상자체(120);
    상기 제1상자체(110) 및 제2상자체(120)의 상부면상에 내부로 타공되게 형성되어 과일(F)의 양측 일부가 삽입되는 안착공(116, 126);
    상기 제1상자체(110)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판(112); 및
    상기 제2상자체(120)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판(112)의 단부가 삽입되어 제1상자체(110)와 제2상자체(120)가 펼쳐지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결합홈(124);을 포함하며,
    양면에 상기 안착공(116, 117)과 동일한 형태의 안착공(156)이 형성된 중간상자체(150)를 상기 제1상자체(110) 및 제2상자체(120)가 닫혀질때에 그 사이에 배치시켜, 상기 중간상자체(150)와 제1상자체(110) 및 제2상자체(120)의 사이에 과일(F)을 2단으로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상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12)은 상기 결합홈(124)으로 삽입되는 부분 보다 상대적으로 넓어 상기 상자체(110, 120)의 측면을 최소 절반이상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상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116, 126)의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절개선(117, 127)이 형성되어 상기 과일(F)을 탄력적으로 받치는 절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상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선(117, 127)상에는 적어도 한 군데 이상에 비절개부(117a)가 형성되고, 상기 비절개부(117a)의 바깥쪽 또는 안쪽에는 원호로된 접이선(116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상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116, 126)을 천공할때에 생기는 천공판재(118)를 상기 절편들중 어느 하나의 절편에 붙어있도록 하여 상기 과일(F)의 하부를 더 두껍게 받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상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116, 126)에 형성되어 절개선(117, 127)들은 이웃한 안착공의 절개선과 일직선으로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상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12)의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124)으로 들어가 잘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쐐기 형태의 삽입판(11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상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24)에는 상기 삽입판(114)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인출홈(125)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상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114)과 고정판(112)의 경계선상 중앙부에는 상기 삽입판(114)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ㄷ"자 형태의 인출절개선(113a)이 형성되면서 그 양쪽의 경계선상에는 구부러지는 접이선(113b)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판(114)이 상기 접이선(113b)을 따라 구부러질때에 상기 인출절개선(113a)이 벌어지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인출판(11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포장상자.
KR1020130087041A 2013-07-23 2013-07-23 과일 포장상자 KR101447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041A KR101447422B1 (ko) 2013-07-23 2013-07-23 과일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041A KR101447422B1 (ko) 2013-07-23 2013-07-23 과일 포장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422B1 true KR101447422B1 (ko) 2014-10-06

Family

ID=5199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041A KR101447422B1 (ko) 2013-07-23 2013-07-23 과일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42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973A (ko) 2017-12-12 2019-06-20 (주)다모아패키지 과일 포장용 상자
KR20200012388A (ko) * 2018-07-27 2020-02-05 홍진락 포장 상자 어셈블리
KR102413932B1 (ko) * 2021-10-26 2022-06-28 주식회사 인벤토리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WO2023010611A1 (zh) * 2021-07-31 2023-02-09 深圳市裕同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包装盒及纸板结构
KR102565428B1 (ko) 2022-12-26 2023-08-08 권영직 포장용 난좌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102603331B1 (ko) 2023-02-15 2023-11-15 권영직 제품 포장용 난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932A (ja) * 1992-12-15 1995-04-11 Dainippon Printing Co Ltd 果物包装用箱
JPH10329823A (ja) * 1997-06-02 1998-12-15 Chuo Shiki Kogyo Kk 苺パック用トレー
JP2003261181A (ja) 2002-03-04 2003-09-16 Toppan Printing Co Ltd 青果物緩衝用紙製トレイ
KR200453946Y1 (ko) * 2008-05-27 2011-06-09 김판수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932A (ja) * 1992-12-15 1995-04-11 Dainippon Printing Co Ltd 果物包装用箱
JPH10329823A (ja) * 1997-06-02 1998-12-15 Chuo Shiki Kogyo Kk 苺パック用トレー
JP2003261181A (ja) 2002-03-04 2003-09-16 Toppan Printing Co Ltd 青果物緩衝用紙製トレイ
KR200453946Y1 (ko) * 2008-05-27 2011-06-09 김판수 가방식 과일포장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973A (ko) 2017-12-12 2019-06-20 (주)다모아패키지 과일 포장용 상자
KR20200012388A (ko) * 2018-07-27 2020-02-05 홍진락 포장 상자 어셈블리
KR102174077B1 (ko) * 2018-07-27 2020-11-04 홍진락 포장 상자 어셈블리
WO2023010611A1 (zh) * 2021-07-31 2023-02-09 深圳市裕同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包装盒及纸板结构
KR102413932B1 (ko) * 2021-10-26 2022-06-28 주식회사 인벤토리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포장박스
KR102565428B1 (ko) 2022-12-26 2023-08-08 권영직 포장용 난좌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102603331B1 (ko) 2023-02-15 2023-11-15 권영직 제품 포장용 난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7422B1 (ko) 과일 포장상자
RU2123792C1 (ru) Пачка для сигарет
US5096055A (en) Display container
US9221575B2 (en) Carton with increased width access opening
NO152333B (no) Emballasje for pakning av bokser eller tilsvarende artikler
KR20080075863A (ko) 흡연물품의 계단식 힌지-뚜껑 팩
US20180346234A1 (en) Pack for consumer goods
KR20170129365A (ko) 과일포장박스
CA2845446A1 (en) Stackable carrier
KR101883072B1 (ko) 포장용 박스
US20190039775A1 (en) Two in one combination display box
CZ28287U1 (cs) Prodejní balení a prodejní obal
JP2006290376A (ja) 景品収納部付き包装箱
EP3831732B1 (en) Container for spherical products, particularly fruit
JP5510224B2 (ja) 包装用キャリーケース
JP3161284U (ja) 収納箱
JP2008179370A (ja) 包装箱
US20210354906A1 (en) Container For Consumer Goods
KR20070029388A (ko) 원형컵용 카톤 블랭크
US20130313310A1 (en) Consumer box having ventilating windows
JP2013233995A (ja) 包装箱
KR200249543Y1 (ko) 수납공간이 확대된 상자
JP6699095B2 (ja) カートン
DK2519458T3 (en) Cigarette pack with sales sample attached.
RU2575085C2 (ru) Ящ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