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938B1 -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938B1
KR101446938B1 KR1020140047319A KR20140047319A KR101446938B1 KR 101446938 B1 KR101446938 B1 KR 101446938B1 KR 1020140047319 A KR1020140047319 A KR 1020140047319A KR 20140047319 A KR20140047319 A KR 20140047319A KR 101446938 B1 KR101446938 B1 KR 101446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ile adhesive
slip
tile
thick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용래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승
Priority to KR102014004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아크릴 수지, 분산제, 소포제, 충진제 및 증점제 등을 교반제조한 타일접착제로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타일 시공시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시공능률을 높일 수 있는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안하는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는 아크릴 수지 10~25중량%, 분산제 0.5중량%, 소포제 0.1%중량, 작업성개선제 0.2중량%, 충진제 50중량%, 저장 안정제 1중량%, 방부제 0.4중량%, 분말수지 0.4중량%, 증점제 3중량% 및 물 34.7~19.7중량%를 교반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Non-slip tile adhesive}
본 발명은 타일접착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아크릴 수지, 분산제, 소포제, 충진제 및 증점제 등을 교반제조한 타일접착제로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타일 시공시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시공능률을 높일 수 있는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건설은 주상복합 초고층 공동주택의 증가와 일반 공동주택의 고층화 경향으로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 등의 내장재로 대형, 고중량 타일의 시공이 증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공동주택에서도 대형, 중량 타일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형, 중량 타일은 기존 타일에 비해 크기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시공현장에서 접착제 도포 후 타일 시공 시 미끄럼 현상이 번번이 발생되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타일 부착 후 고정핀으로 고정해야 하는 등 시공작업의 복잡함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공개 특2003-0015566호(2003년02월25일)에는 고성능 타일 시멘트에 있어서, 포틀랜드시멘트 100 중량부, 30∼100mesh 규사 30∼50 중량부 및 100∼200mesh 규사 40∼60 중량부, 탄산칼슘10∼30 중량부, 재분산성 분말수지 5∼15 중량부 벤토나이트 5∼10 중량부, 증점제 2∼5 중량부, 섬유질 크랙방지제 1∼3 중량부 그리고 다당류 0.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시멘트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고성능 타일 시멘트는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1℃ ~ -7℃인 재유화형 분말수지를 사용하여 부착강도 및 변형률을 향상시켰으나,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재유화형 분말수지를 사용하여 타일 미끄럼 저항성이 떨어져 대형 타일 시공시 미끄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써,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10097호(2012년01월19일)에는 아크릴계 액상 수지 15.0 ~ 30.0 중량%와, 분산제 0.01 ~ 0.1 중량%와, MC(Metyl Cellulose) 0.1 ~ 2.0 중량%와, 희석용매 10.0 ~ 30.0 중량%와, 보습제 0.5 ~ 5.0 중량%와, 증점안정화제 0.1 ~ 0.5 중량%와, 충진제로서 탄산칼슘 35.0 ~ 60.0 중량%와, 증점제 0.5 ~ 3.0 중량%의 조성을 이루는 친환경 유기계 폴리싱타일 접착제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고형분 40.0 ~ 50.0 중량%의 2개 또는 3개의 모노마 및 실란성분을 함유하고, 유화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친환경 수성 아크릴 에멀젼이 사용되며; 상기 분산제는 충진제의 원활한 분산을 위해 파우더 타입의 Sodium Hexametaphosphate가 사용되며; 상기 증점안정화제는 약 알칼리 상태로 조제하기 위하여 28%의 수산화 암모늄이 사용되고; 상기 증점제는 동결융해 성능이 향상되도록 고순도의 O/W(Oil/Water)형 증점제가 사용되며; 상기 폴리싱 타일 접착제에는 저온에서의 저장 안정성 및 동결융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응성 계면활성제인 인산에스테르계 유화제인 디옥틸 소디움 설포석시네이트(Dioctyl Sodium sulfosuccinate)가 0.5 ~ 3.0 중량%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계절 사용가능한 친환경 유기계 폴리싱타일 접착제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4계절 사용가능한 친환경 유기계 폴리싱타일 접착제는 특성상 초기강도, 양생속도 문제를 극복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건조시간이 길고 미끄럼 저항성이 떨어져 시공능률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23573호(2011년03월11일)에는 내한성 수축저감형 타일접착제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25∼35중량%, 증점제 1.5∼2.5중량%, 분산제 0.05∼0.1중량%, 방부제 0.05∼0.1중량%, 동결방지제 2∼4중량%, 가소제 0.05∼0.1중량%, ph조절제 0.1∼0.5중량%, 비중이 0.25∼0.30, 평균입도가 35∼40㎛인 유,무기하이브리드 경량골재 5∼10중량%, 충전제 35∼40중량%, 희석용매 15∼2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경량골재는 유기 변형 실리게이트로 표면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접착제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내한성 수축저감형 타일접착제 또한 초기강도 및 양생속도의 문제를 극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미끄럼 저항성이 떨어져 시공능률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크릴 수지, 분산제, 소포제, 충진제 및 증점제 등을 교반하여 접착강도가 우수한 타일접착제를 제조하여 대형 및 고중량의 타일시공시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시공능률을 높이는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는 아크릴 수지 10~25중량%, 분산제 0.5중량%, 소포제 0.1%중량, 작업성개선제 0.2중량%, 충전제 50중량%, 저장 안정제 1중량%, 방부제 0.4중량%, 분말수지 0.1중량%, 증점제 3중량% 및 물 34.7~19.7중량%를 교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을 사용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의 점도(cps)는 2.430~2.550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에 의하면, 접착강도가 우수하여 시공시 타일의 미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시공 후에도 타일 들뜸현상 및 탈락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끄럼 저항성 시험제작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 1의 Type-1을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 1의 Type-2를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 1의 Type-3을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표 1의 Type-4를 나타내는 사진.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10~25중량%, 분산제 0.5중량%, 소포제 0.1%중량, 작업성개선제 0.2중량%, 충진제 50중량%, 저장 안정제 1중량%, 방부제 0.4중량%, 분말수지 0.1중량%, 증점제 3중량% 및 물 34.7~19.7중량%를 교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의 점도(cps)는 2.430~2.550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의 일실시예는 아크릴 수지, 분산제, 소포제, 작업성 개선제, 충진제, 저장 안정제, 방부제, 분말수지, 증점제 및 물을 교반한다.
상기 아크릴수지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의 에스터로부터의 공중합체로 내수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분산제는 교반하는 제품간에 혼화성이 좋은 멜플렉스계 및 폴리카르복실산계 분산제 등을 사용한다. 분산제는 충진제의 원활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사용한다.
상기 소포제는 제조시 발생하는 거품을 억제하여 타일접착제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소포제는 실리콘계 소포제, 미네랄 오일계 소포제 및 비실리콘계 폴리머 소포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성 개선제는 타일접착제의 점도를 유지하여, 타일미끄럼방지 및 작업성을 가질 수 있도록 사용한다.
상기 충진제는 유동성, 수축성 및 경제적인 효과를 위하여 사용한다. 충진제는 물의 흡수율이 뛰어나고,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값도 저렴하여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탄산칼슘을 사용한다.
상기 저장 안정제는 타일접착제 제조 후에 타일접착제가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상기 방부제는 외부 온도 및 습도가 높을 때 타일접착제가 부패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상기 분말수지는 타일접착제 제조 시 물을 흡수하여 점도를 증진시키고, 타일접착제 제조 후 타일접착제의 입자끼리 서로 뭉치지 않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사용한다.
상기 증점제는 타일접착제의 점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우레탄증점제, 실리콘증점제 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물은 교반되는 물질의 농도를 희석하고, 보습성 및 건조속도에 가장 안정적인 함량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의 시험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발명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 분 Type-1 Type-2 Type-3 Type-4
아크릴 수지 10중량% 15중량% 20중량% 25중량%
분산제 0.5중량% 0.5중량% 0.5중량% 0.5중량%
소포제 0.1중량% 0.1중량% 0.1중량% 0.1중량%
작업성 개선제 0.2중량% 0.2중량% 0.2중량% 0.2중량%
탄산칼슘 충전제 50중량% 50중량% 50중량% 50중량%
저장안정제 1중량% 1중량% 1중량% 1중량%
방부제 0.4중량% 0.4중량% 0.4중량% 0.4중량%
분말수지 0.1중량% 0.1중량% 0.1중량% 0.1중량%
증점제 3중량% 3중량% 3중량% 3중량%
34.7중량% 29.7중량% 24.7중량% 19.7중량%
상기 표 1의 배합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타일 접착제를 4가지 타입으로 교반하여 시험을 진행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의 미끄럼 저항성에 대한 시험은 도 1의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 하지면의 상부에 강철 바를 고정시켜서, 슬라브가 수직이 될 때 바닥부분은 수평이 되게 한다. 강철제 바닥 부분에 즉시 25mm 넓이의 마스킹 테이프를 부착하고 곧은 미장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슬라브에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를 얇게 도포한다.
도포 후, 콘크리트 하지면 표면에 좀더 두껍게 접착제를 도포하고, 마스킹 테이프 바닥부분과 겹치게 한다. 4mm×4mm의 홈과 그 거리가 8mm인 흙손을 사용하여 바닥면과 60°가 되도록 흙손을 고정하고 평행하게 내려간다.
이후, 즉시 마스킹 테이프를 제거시키고 25mm의 스페이서 또는 스페이싱 바를 두고 2분 후에 타일을 놓고, 30초 동안 5±0.1N의 무게로 하중을 가한다. 스페이서를 제거하고 스페이서와 타일 사이의 간격을 ±0.01mm 단위로 측정한다.
상기 슬라브를 수직으로 주의하며 들어올려 20±2분 후 최대지점에서 전과 같이 간격을 측정한다. 타일이 최대로 쳐진 지점을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mm단위로 측정한다.
상기 표 1의 Type-1은 아크릴 수지(CMS-10) 10중량%, 분산제(멜플렉스1641F) 0.5중량%, 소포제(MFA-005) 0.1중량%, 작업성 개선제(P-1000) 0.2중량%, 탄산칼슘 충전제(OM-1) 50중량%, 저장안정제(DP-11) 1중량%, 방부제(SIGMACIDEAT) 0.4중량%, 분말수지(FS3300) 0.1중량%, 증점제(TH-2000) 3중량% 및 물 34.7중량%를 교반하여 제조한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를 테스트하였다.
상기 Type-1은 점도(cps)가 2.430으로 측정되었으며 미끄럼 저항성 테스트 결과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의 처짐 없이 양호한 상태로 측정되었다.
상기 표 1의 Type-2는 아크릴 수지(CMS-10) 15중량%, 분산제(멜플렉스1641F) 0.5중량%, 소포제(MFA-005) 0.1중량%, 작업성 개선제(P-1000) 0.2중량%, 탄산칼슘 충전제(OM-1) 50중량%, 저장안정제(DP-11) 1중량%, 방부제(SIGMACIDEAT) 0.4중량%, 분말수지(FS3300) 0.1중량%, 증점제(TH-2000) 3중량% 및 물 29.7중량%를 교반하여 제조한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를 테스트하였다.
상기 Type-2는 점도(cps)가 2.330으로 측정되었으며 미끄럼 저항성 테스트 결과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의 처짐 없이 양호한 상태로 측정되었다.
상기 표 1의 Type-3은 아크릴 수지(CMS-10) 20중량%, 분산제(멜플렉스1641F) 0.5중량%, 소포제(MFA-005) 0.1중량%, 작업성 개선제(P-1000) 0.2중량%, 탄산칼슘 충전제(OM-1) 50중량%, 저장안정제(DP-11) 1중량%, 방부제(SIGMACIDEAT) 0.4중량%, 분말수지(FS3300) 0.1중량%, 증점제(TH-2000) 3중량% 및 물 24.7중량%를 교반하여 제조한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를 테스트하였다.
상기 Type-3은 점도(cps)가 2.600으로 측정되었으며, 미끄럼 저항성 테스트 결과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의 처짐 없이 양호한 상태로 측정되었다.
상기 표 1의 Type-4는 아크릴 수지(CMS-10) 25중량%, 분산제(멜플렉스1641F) 0.5중량%, 소포제(MFA-005) 0.1중량%, 작업성 개선제(P-1000) 0.2중량%, 탄산칼슘 충전제(OM-1) 50중량%, 저장안정제(DP-11) 1중량%, 방부제(SIGMACIDEAT) 0.4중량%, 분말수지(FS3300) 0.1중량%, 증점제(TH-2000) 3중량% 및 물 19.7중량%를 교반하여 제조한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를 테스트하였다.
상기 Type-4는 점도(cps)가 2.550으로 측정되었으며, 미끄럼 저항성 테스트 결과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일의 처짐 없이 양호한 상태로 측정되었다.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Type-1, Type-2, Type-3 및 Type-4는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하여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 타일시공작업이 용이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는 아크릴 수지(CMS-10) 10~25중량%, 분산제(멜플렉스1641F) 0.5중량%, 소포제(MFA-005) 0.1중량%, 작업성 개선제(P-1000) 0.2중량%, 탄산칼슘 충전제(OM-1) 50중량%, 저장 안정제(DP-11) 1중량%, 방부제(SIGMACIDEAT) 0.4중량%, 분말수지(FS3300) 0.1중량%, 증점제(TH-2000) 3중량% 및 물 34.7~19.7중량%을 교반하여 제조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아크릴 수지 10~25중량%, 분산제 0.5중량%, 소포제 0.1%중량, 점도유지를 위한 작업성개선제 0.2중량%, 탄산칼슘 충전제 50중량%, 저장 안정제 1중량%, 방부제 0.4중량%, 분말수지 0.1중량%, 증점제 3중량% 및 물 34.7~19.7중량%를 교반하여 제조되고, 점도(cps)가 2.430~2.5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
  2. 삭제
  3. 삭제
KR1020140047319A 2014-04-21 2014-04-21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 KR101446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319A KR101446938B1 (ko) 2014-04-21 2014-04-21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7319A KR101446938B1 (ko) 2014-04-21 2014-04-21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938B1 true KR101446938B1 (ko) 2014-10-06

Family

ID=5199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319A KR101446938B1 (ko) 2014-04-21 2014-04-21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288B1 (ko) * 2016-07-11 2017-04-11 에코스포츠화학 주식회사 친환경 수용성 실리콘 아크릴 바닥 코팅제 및 마감재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565A (ko) * 2001-08-16 2003-02-25 주식회사 리콘스 수용성 타일접착제
KR100848538B1 (ko) 2007-11-22 2008-07-25 주식회사 오공 도자기질 타일용 접착제 조성물
KR100924675B1 (ko) 2009-06-09 2009-11-03 주식회사 오공 도자기질 타일용 경량 접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565A (ko) * 2001-08-16 2003-02-25 주식회사 리콘스 수용성 타일접착제
KR100848538B1 (ko) 2007-11-22 2008-07-25 주식회사 오공 도자기질 타일용 접착제 조성물
KR100924675B1 (ko) 2009-06-09 2009-11-03 주식회사 오공 도자기질 타일용 경량 접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288B1 (ko) * 2016-07-11 2017-04-11 에코스포츠화학 주식회사 친환경 수용성 실리콘 아크릴 바닥 코팅제 및 마감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845B1 (ko) 코코스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BR112013000916A2 (pt)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de polímero seca redispersável ou outros produtos para a construção
KR101347794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방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A200800945A1 (ru) Редиспергируемый в воде порошок,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2072939B1 (ko) 고점도 고탄성 크랙 보수용 퍼티재를 이용한 아파트 외벽의 보수 공법
CN108342170B (zh) 水性环保瓷砖胶、制备方法及其应用
RU2006140515A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е защитным коллоидом диспергируемые порошки
KR102278540B1 (ko) 콘크리트 외벽 크랙 보수용 저온저항 탄성 퍼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1527702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및 강재 표면 보호용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강재 표면 보호 시공 공법
KR101811559B1 (ko) 투명 수성 아크릴 실리콘계 방수/발수 조성물
US10119033B2 (en) Insulating, corrosion-inhibiting, self-extinguishing, impermeable, epoxy and ecological coating
KR101446938B1 (ko) 미끄럼방지 타일접착제
JP2015081325A (ja) 水系ポリウレタン組成物及びこれの床下地コンクリートへの施工方法
KR100890372B1 (ko) 폴리머계 시멘트 액체형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70677B1 (ko) 우수한 침투성, 계면 접착성 및 고방수 성능을 갖는 기능성 방수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CN107250079B (zh) 流平复合物,其用途和制造
KR101225043B1 (ko) 인화점이 높아진 건축재 표면도포용 수성 에멀젼 조성물
KR101876885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개선된 타일 접착제 겸 줄눈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KR20210029992A (ko) 장기간 균열 현상이 없이 방수표면을 갖도록 하는 도막방수제용 조성물
KR101364323B1 (ko) 건조시간이 빠르며 미끄럼 저항성이 우수한 일액형 폴리싱 타일접착제
RU2562298C2 (ru) Порошковый состав редиспергируемой в воде краски
CN106083145A (zh) 一种加气块用薄层砌筑砂浆
KR101331550B1 (ko) 탄성을 부여한 폴리머계 타일접착용 시멘트
KR101362078B1 (ko) 발수성 및 내수성이 향상된 타일접착제
JP6560966B2 (ja) 表面含浸材及び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