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606B1 - 중온 가압 중합기 - Google Patents

중온 가압 중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606B1
KR101446606B1 KR1020130146057A KR20130146057A KR101446606B1 KR 101446606 B1 KR101446606 B1 KR 101446606B1 KR 1020130146057 A KR1020130146057 A KR 1020130146057A KR 20130146057 A KR20130146057 A KR 20130146057A KR 101446606 B1 KR101446606 B1 KR 101446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ainer
rotary knob
pres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학
송경우
윤계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덴스
Priority to KR1020130146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61C13/14Vulcanising devices for artificial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7Artificial resin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2Tools for fastening artificial teeth; Holders, clamps, or stands for artificial teeth
    • A61C13/16Curing flasks;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중 체결 방식으로 압력을 2차에 걸쳐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차례대로 원하는 중합 반응에 필요한 압력까지 조절할 수 있어 중합 반응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한 중온 가압 중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1차로 압력을 조절하는 손잡이 내부에 2차로 압력을 조절하는 손잡이를 삽입하여 2축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조절에 필요한 구성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한 중온 가압 중합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처럼 체결 방식으로 압력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압력 조절을 위하여 큰 힘을 가하지 않고 손잡이를 돌리는 동작만으로도 압력 조절을 할 수 있고, 반대로 손잡이를 돌려 압력을 제거하므로 내부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압력 배출구를 갖추지 않아도 되는 중온 가압 중합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중온 가압 중합기{MEDIUM TEMPERATURE AND PRESSURIZING PLLYMERIZATION REACTOR}
본 발명은 중온 가압 중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진을 물과 혼합하여 가압할 때에 2차에 걸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공 제거 효과와 더불어 중합 반응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을 사용하는 인레이는 입 밖에서 치과 재료를 완성하여 입안으로 옮겨 치아에 접착하는 간접 수복법에 사용한다. 이런 인레이는 수복에 사용하는 재질에 따라 크게 금 인레이와 레진 인레이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레진 인레이의 경우 레진을 물속에서 압력과 열 그리고 빛 등을 가하여 중합반응을 일으키게 한 것으로, 강도를 개선하여 자연 치아와 유사한 강도를 가지게 한 것이다. 이처럼 레진 인레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중합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중합 장치가 필요하다. 아래의 특허문헌에는 이런 중합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진공 상태에서 레진(resin)을 광중합하는 진공 광중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치과 및 기공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레진을 광중합에 의하여 경화시켜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에 있어서 레진을 진공상태에서 광중합할 수 있는 진공광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는 치아 미백과 충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치아용 가시광선 중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치아의 극소 부분을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용 가시광선 중합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치과용 의치상(義齒床)을 제작하는 데 필요한 레진을 플라스크에 주입한 뒤에 임의 온도와 압력하에서 중합시키기 위한 압력 및 열 중합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장치로서 유동성 레진법(fluid resin technique)과 열중합법(heated curing technique)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압력, 온도, 시간 등 중합과정에 요구되는 모든 요구 조건을 최적의 조건으로 임의 조절할 수 있어 중합과정에서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을 만큼의 정밀도를 가지는 보철물 제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중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통상적으로 중합기(또는 중합 장치)의 경우 레진과 물을 주입하는 내부 용기의 압력이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중합 반응에 필요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압력 장치가 필요하다.
(2) 만일, 중합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압력을 얻지 못하면 그만큼 중합 반응 속도가 느려져 결과적으로 레진을 경화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3) 한가지 가압 방식으로 레진을 가압함에 따라 용기의 내부 압력을 일정 압력 이상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런 압력 유지에 대한 한계는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데 충분한 압력을 제공하지 못하여 레진을 경화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4) 레진을 주입한 용기에 압력을 가하여 레진을 경화하여 중합 반응을 마친 다음 압력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압력 배출구가 필요하다. 이에 중합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작에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330106호(등록일 : 2003.10.02) 한국등록실용 제0414614호(등록일 : 2006.04.17) 한국등록특허 제0840557호(등록일 : 2008.06.1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2중 체결 방식으로 압력을 2차에 걸쳐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차례대로 원하는 중합 반응에 필요한 압력까지 조절할 수 있어 중합 반응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한 중온 가압 중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1차로 압력을 조절하는 손잡이 내부에 2차로 압력을 조절하는 손잡이를 삽입하여 2축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조절에 필요한 구성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한 중온 가압 중합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처럼 체결 방식으로 압력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압력 조절을 위하여 큰 힘을 가하지 않고 손잡이를 돌리는 동작만으로도 압력 조절을 할 수 있고, 반대로 손잡이를 돌려 압력을 제거하므로 내부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압력 배출구를 갖추지 않아도 되는 중온 가압 중합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는, 중합 반응을 일으키게 하기 위한 용기(100); 상기 용기(100)의 개방한 윗면을 마감하는 가압 판(200); 상기 용기(100)에 체결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여 상기 가압 판(200)을 눌러 용기(100) 내부를 가압하는 제1회전 손잡이(300); 상기 제1회전 손잡이(300) 내부에서 상기 가압 판(200)을 통해 용기(100) 안으로 돌출할 수 있게 설치한 피스톤(400); 및 상기 피스톤(4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1회전 손잡이(300)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어 그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한 제2회전 손잡이(5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용기(100)는, 내면의 상부가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 손잡이(300)는, 상기 가압 판(200) 위에 그 중심을 지나도록 용기(100)에 탈·장착할 수 있게 설치한 지지 플레이트(310);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며, 한쪽이 상기 가압 판(200)의 중심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이 지지 플레이트(310) 위로 돌출한 회전 손잡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 손잡이(300)는 가압 판(200)을 1차로 가압하여 용기(100) 내부 압력을 1.5~2.0bar로 유지하고, 상기 제2회전 손잡이(500)는 피스톤(400)으로 2차 가압하여 용기(100) 내부 압력을 4~5bar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에는 이와 같은 구성과 함께 상기 용기(100)에 레진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600)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히터(600)는 용기(100) 내부를 100~12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중온 가압 중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2차에 걸쳐 용기 내부를 가압하므로 높은 내부 압력까지 가압할 수 있다.
(2) 이처럼 내부 압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레진의 중합 반응에 필요한 압력까지 쉽게 도달할 수 있다.
(3) 특히, 2차에 걸친 압력 조절이 나사 체결 방식으로 손잡이를 돌리면 가압이 이루어지게 하므로 누구든지 쉽게 손잡이를 돌려 압력 조절을 할 수 있다.
(4) 그리고, 이런 구성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압력 조절 효과가 우수하여 쉽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5) 또한, 용기에 히터를 갖춰 용기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압력뿐만 아니라 온도를 함께 제공하여 중합 반응에 적절한 온도와 압력을 동시에 제공하여 중합 반응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6) 중합 반응을 한 다음 손잡이를 돌림에 따라 용기의 내부 압력이 점차 사라지므로 용기에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성하지 않아도 되어 중합기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7) 특히, 내부 압력을 높여 중합 반응에 적절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레진을 경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로 1차 가압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로 2차 가압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적합한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용기(100), 이 용기를 마감하며 1차로 가압하게 하는 가압 판(200)과 제1회전 손잡이(300), 그리고 1차 가압 한 후 2차로 가압하게 하는 피스톤(400)과 제2회전 손잡이(5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특히, 1차와 2차 가압은 제1회전 손잡이(300)와 제2회전 손잡이(500)를 회전함에 따라 나사 체결 방식으로 압력 조절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게 적은 힘으로도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반대로 이 나사 체결을 풀게 되면 가해졌던 압력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용기(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중합 반응에 필요한 소재, 즉 물과 레진을 공급받기 위한 것이다. 이런 용기(100)는 후술할 제1회전 손잡이(300)와 제2회전 손잡이(500)를 회전함에 따라 내부 압력이 발생하는데, 이 내부 압력을 고려하여 그 재질을 선택하여 압력으로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용기(100)는, 도 3과 같이, 개방한 윗면의 내측 테두리 부분이 안쪽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점차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가압 판(200)이 용기(100)의 윗면에 덮개처럼 덮여 가압 되는데, 이때 가압 될수록 점차 이 용기(100)의 테어퍼진 면과 가압 판(200) 사이의 틈새를 줄여 용기(100)의 내부 압력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서 테이퍼진 형태는 그 각도(θ)로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용기(100)에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후술할 제1회전 손잡이(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110)를 갖춘다. 지지대(110)는 두 개가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장착하여 제1회전 손잡이(300)를 회전 지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110)는 제1회전 손잡이(300)를 지지함에 따라 이 제1회전 손잡이(300)가 용기(100)의 개방한 윗면 중앙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회전 손잡이(300)를 회전함에 따라 가압 되는 가압 판(200)이 중앙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일하게 가압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용기(100)는 내부 압력에 충분하게 견딜 수 있도록 밑면이 막힌 실린더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판(2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용기(100)의 윗면을 덮개와 같이 마감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특히, 가압 판(200)은 용기(100) 내면의 지름과 같거나 거의 같게 형성하여 용기(100) 위에 놓인 가압 판(200) 위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용기(100) 내부를 가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판(200)은, 도 3과 같이, 용기(100)의 테이퍼진 면을 따라 눌려지는데, 이때 가압 됨에 따라 더욱 용기(100)의 테이퍼 면과 접하여 밀착될 수 있는 지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판(200)은 이 테이퍼 면과 접하는 면에 링(210)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링(210)의 개수는 용기(100)의 내부 압력을 고려하여 여러 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압 판(200)에는 중앙에 장착 구멍(220)이 관통·형성되고, 이 장착 구멍(220)에는 제1회전 손잡이(300)가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제1회전 손잡이(3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두 개의 지지대(110) 사이에 설치하는 지지 플레이트(310)와, 이 지지 플레이트(31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장착하여 가압 판(200)을 가압하는 회전 손잡이(3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지지 플레이트(310)는, 도 3과 같이, 가압 판(200) 위에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기(100)의 외부에 장착한 두 개의 지지대(110) 사이에 설치한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310)는 지지대(110)에서 쉽게 탈·장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용기(100)에서 제1회전 손잡이(300)를 분리함에 따라 이 제1회전 손잡이(300) 전체 구성이 한 번에 분리되거나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기 두 개의 지지대(110)의 선단 부분을 휘거나 스토퍼를 형성하여 지지 플레이트(310)가 가압 판(200)과 나란한 방향으로 끼우거나 뺄 수 있게 함에 따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는 그 길이 중간 부분,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가압 판(200)의 장착 구멍(220)과 중첩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이 관통 구멍에 암나사(311)를 형성한다. 이 암나사(311)에는 회전 손잡이(320)가 체결되어 이를 회전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310)의 폭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회전 손잡이(32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표면에 나사산(321)이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310)에 관통되도록 상기 암나사(311)에 체결하는 중공의 축부, 지지 플레이트(310) 위로 돌출한 축부에 장착하는 손잡이(324),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의 아래에서 상기 축부에 끼워져서 가압 판(200)을 눌러주는 가압 부재(325)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가압 부재(325)는 길이 방향으로 압착 구멍(322)을 관통·형성한다. 이 압착 구멍(322)에는 후술할 피스톤(400)이 끼워져서 움직이는데, 이 압착 구멍(322)의 한쪽에는 피스톤(400)의 일단이 상기 장착 구멍(220)을 통해 용기(100) 내부까지 돌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압착 구멍(322)의 다른 한쪽에는 암나사(323)를 형성하여 후술할 제2회전 손잡이(500)를 체결한다.
그리고, 이처럼 지지 플레이트(310) 아래로 돌출한 가압 부재(325)의 하단 부분은 상술한 가압 판(200)의 장착 구멍(220)에 장착한다. 이때, 가압 부재(325)의 하단은 장착 구멍(220)에 끼워져서 제자리 회전하면서 가압 판(200)을 가압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고, 이 장착 구멍(2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이처럼 고정하더라도 회전 손잡이는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부재(325)는 장착 구멍(220)에 끼워지는 부분에 대하여 실링 처리를 하거나 링을 장착하여 용기(100) 내에서 형성한 압력이 외부로 빠지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회전 손잡이(300)는 손잡이(324)를 돌림에 따라 축부와 가압 부재(325)가 함께 회전하고, 이에 따라 가압 부재(325)가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가압 판(200)을 눌러 가압하거나 반대로 가압한 압력을 해제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회전 손잡이(320)로 용기(100)의 내부 압력을 가압할 수 있는 압력 범위가 1.5~2.0bar에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치과용으로 사용하는 레진을 이용하여 중합 반응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용기(100)의 내부 압력을 얻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피스톤(400)은, 도 1 및 도 3과 같이, 통상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압착 구멍(322)에 장착한다. 이때, 피스톤(400)은 링(410)을 갖춰 압착 구멍(322)을 통해 압력이 용기(100)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게 한다.
그리고, 이 피스톤(400)은 그 한쪽이 압착 구멍(322)에서 돌출하되 그 돌출하는 부분이 장착 구멍(220)을 통해 가압 판(200)을 관통하여 용기(100) 내부까지 들어갈 수 있게 하여 용기(100)의 내부를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제2회전 손잡이(5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압착 구멍(322)에 끼워서 암나사(323)와 체결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이 제2회전 손잡이(500)는 압착 구멍(322) 안으로 끼워진 끝단이 상술한 피스톤(400)에 장착한다.
이때, 피스톤(400)에 장착하는 끝단은 제2회전 손잡이(500)를 회전시키더라도 피스톤(400)은 회전하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처럼 연결하는 끝단에는 링을 구성하여 용기(100) 내의 압력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회전 손잡이(500)는, 상술한 제1회전 손잡이(300)로 도 4와 같이 가압 판(200)을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1차로 용기(100)에서 얻은 내부 압력을 다시 가압하여 도 5와 같이 피스톤(400)을 화살표 방향으로 2차 압력으로서 4~5bar로 가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이 2차 가압 압력은 레진의 중합 반응에 맞는 최적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중합 반응은 압력과 함께 온도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히터(600)를 더 구성하고, 이 히터(600)를 이용하여 용기(10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한다. 이때, 용기(100) 내부의 적절한 온도는 100~120℃를 유지하게 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610"은 온/오프 스위치를, "620"은 온도 조절기를, "630"은 압력 게이지를 각각 나타낸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는, 2차에 걸쳐 나사 체결 방식으로 회전 손잡이를 돌려 용기의 내부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중온 가압 중합기는, 도 6과 같이,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히터(600)를 삭제한 구성이다.
이에, 여기서는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00 : 용기
110 : 지지대
200 : 가압 판
210 : 링
220 : 장착 구멍
300 : 제1회전 손잡이
310 : 지지 플레이트
311 : 암나사
320 : 회전 손잡이
321 : 나사산
322 : 압착 구멍
323 : 암나사
400 : 피스톤
500 : 제2회전 손잡이
600 : 히터

Claims (6)

  1. 중합 반응을 일으키게 하기 위한 용기(100);
    상기 용기(100)의 개방한 윗면을 마감하는 가압 판(200);
    상기 용기(100)에 체결 방식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여 상기 가압 판(200)을 눌러 용기(100) 내부를 가압하는 제1회전 손잡이(300);
    상기 제1회전 손잡이(300) 내부에서 상기 가압 판(200)을 통해 용기(100) 안으로 돌출할 수 있게 설치한 피스톤(400); 및
    상기 피스톤(4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1회전 손잡이(300)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어 그 외부로 돌출되게 장착한 제2회전 손잡이(5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가압 중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는, 내면의 상부가 테두리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게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가압 중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손잡이(300)는,
    상기 가압 판(200) 위에 그 중심을 지나도록 용기(100)에 탈·장착할 수 있게 설치한 지지 플레이트(310);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며, 한쪽이 상기 가압 판(200)의 중심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이 지지 플레이트(310) 위로 돌출한 회전 손잡이(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가압 중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 손잡이(300)는 가압 판(200)을 1차로 가압하여 용기(100) 내부 압력을 1.5~2.0bar로 유지하고,
    상기 제2회전 손잡이(500)는 피스톤(400)으로 2차 가압하여 용기(100) 내부 압력을 4~5bar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가압 중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0)에는 레진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600)를 더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가압 중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600)는 용기(100) 내부를 100~12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온 가압 중합기.
KR1020130146057A 2013-11-28 2013-11-28 중온 가압 중합기 KR101446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057A KR101446606B1 (ko) 2013-11-28 2013-11-28 중온 가압 중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057A KR101446606B1 (ko) 2013-11-28 2013-11-28 중온 가압 중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606B1 true KR101446606B1 (ko) 2014-10-27

Family

ID=5199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057A KR101446606B1 (ko) 2013-11-28 2013-11-28 중온 가압 중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206B1 (ko) * 2018-10-24 2019-11-25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레진 중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316A (ja) * 1996-01-31 1997-08-12 G C:Kk 義歯床用レジン重合用フラスコ
JP2008073229A (ja) 2006-09-21 2008-04-03 Shiyoufuu:Kk 技工用加圧重合器
KR100840557B1 (ko) 2006-12-07 2008-06-23 신종우 압력 및 열 중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316A (ja) * 1996-01-31 1997-08-12 G C:Kk 義歯床用レジン重合用フラスコ
JP2008073229A (ja) 2006-09-21 2008-04-03 Shiyoufuu:Kk 技工用加圧重合器
KR100840557B1 (ko) 2006-12-07 2008-06-23 신종우 압력 및 열 중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206B1 (ko) * 2018-10-24 2019-11-25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레진 중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4186A (en) Apparatus for molding a dental prosthesis
US11116611B1 (en) Process and systems for molding thermosetting plastics
KR101446606B1 (ko) 중온 가압 중합기
AU2546397A (en) Teardrop shaped pressurizing apparatus
PL1710172T3 (pl) Urządzenie i pojemnik jednorazowego użytku do wytwarzania produktów płynnych, zwłaszcza napojów
PL1737415T3 (pl) Ultradźwiękowe utwardzanie stomatologicznych materiałów wypełniających
CN106239402B (zh) 文物古玩修复用夹持装置
US10265892B2 (en) Mold system and process for producing components by the RTM process
CA288585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iodegradable mouldings, in particular tableware and packages
US68439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dental device or the like
WO2012143129A4 (de) System zur entleerung eines mit fliessfähigem medium gefüllten behälters
KR100840557B1 (ko) 압력 및 열 중합기
CN201120591Y (zh) 砂轮侧向加压装置
KR101825847B1 (ko) 치형보조물 제조방법
TW201420317A (zh) 氣體輔助壓印系統及製程
DE410212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und reparatur von dentalprothetischen kunststoff-erzeugnissen durch mikrowelleninduzierte polymerisation
US2887717A (en) Apparatus for making dentures
US20030111751A1 (en) Process for converting a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crylic resin dental prostheses to use acetal and similar resins
US20060255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olid product for dental usage
CN219700559U (zh) 一种压力蒸汽灭菌器
CN105270894A (zh) 一种分切机夹头
RU21700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зубных протезов
CN110142708A (zh) 一种模具维修夹具
JP2751329B2 (ja) 歯科用光重合型レジンの重合方法及び装置
CN215383409U (zh) 一种压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