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591B1 -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591B1
KR101446591B1 KR1020130040950A KR20130040950A KR101446591B1 KR 101446591 B1 KR101446591 B1 KR 101446591B1 KR 1020130040950 A KR1020130040950 A KR 1020130040950A KR 20130040950 A KR20130040950 A KR 20130040950A KR 101446591 B1 KR101446591 B1 KR 101446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housing
injector
out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석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엠 filed Critical (주)에스티엠
Priority to KR1020130040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8Air or gas separators in combination with liquid meters; Liquid separators in combination with gas-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7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엔진에서의 연료 실사용량을 검출하기 위해 인젝터 또는 연료펌프로부터 회수되는 회수라인 상에 에어를 일시 탈리시키는 에어탈리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정확한 회수연료량 및 실사용량 계측이 가능한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는 연료탱크에서 인젝터로 공급되는 공급라인이 마련되고 이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공급연료량을 계측하는 제1유량계; 상기 인젝터로부터 연료탱크로 회수되는 회수라인이 마련되고 이 회수라인 상에 설치되어 회수연료량을 계측하는 제2유량계; 상기 회수라인에서의 정확한 회수연료량의 계측이 이루어지도록 제2유량계 전단에 배치되어 회수되는 연료 내에 포함되어있는 에어를 탈리시키는 에어탈리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measuring device for fuel reality used of engine}
본 발명은 면세유류, 즉 세금이 감면된 유류를 사용하는 영업용 화물차 또는 유류엔진에서 동력을 얻는 농어업용 기기류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의 실사용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인젝터 또는 연료펌프로 공급되는 부분에 유량센서를 설치하고 인젝터 또는 연료펌프로부터 회수되는 회수라인 상에 에어를 일시 탈리시키는 에어탈리모듈과 유량센서를 설치함에 따라 정확한 회수연료량 및 실사용량 계측이 가능한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업용의 자동차나 농업용 작업차는 물론 어업용 선박에는 대부분이 엔진이 구비되어 있다. 이렇게 엔진을 구비하는 농어업이나 임업에 사용되는 자동차, 작업차, 선박의 농어민은 각각의 차량이나 선박에 할당된 면세유, 즉 세금이 감면된 유류를 공급받고 있으며, 이러한 면세유의 공급으로 인하여 농어민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줄어주기 위한 정책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7년 현행법상 면세유는 농업용과 어업용에 사용되는 차량이나 선박을 대상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농민이 농업용 차량이나 작업차를 구입하거나 어민이 어업용 선박을 구입하면 '출하증명서'를 발급받고 이를 농협, 수협 등의 관련기관에 제출하여 등록한다.
특히, 유류(연료)비의 계속적인 상승에 따라 농업용 자동차와 작업차는 물론 어업용 선박에만 공급되던 면세유류를 트럭과 같은 영업용 운송차량에도 면세유류를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영업용 운송차량에 면세유류의 공급에 있어 정확한 면세유류의 사용량의 계측시스템이 담보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공급받은 면세유류를 실제로 사용하지 않고 사용한 것처럼 하여 공급받은 면세유류를 다른 용도로 사용함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그렇게 하기 위하여 기존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실제 사용한 면세유량) 계측 장치가 영업용 운송차량에 마련되어야 한다. 기존의 연료실사용량 계측 장치로는 연료탱크에서 엔진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이송라인에 제1유량계를 설치하여 공급연료량을 계측하고 인젝터에서 연료탱크로 회수되는 회수라인엔 제2유량계를 설치하여 회수연료량을 계측한 후 공급연료량에서 회수연료량을 정산하여 빼냄으로써 연료의 실사용량을 산출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엔진의 연료계통을 이루는 인젝터(injector)에서 연료탱크로 회수되는 회수라인, 즉 인젝터로부터의 회수 과정에서 기포, 즉 에어(air)가 생성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이렇게 회수라인에서 생성된 기포는 연료와 함께 회수되면서 회수라인 상의 제2유량계가 제대로 동작되지 않는 사례가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회수연료량을 제대로 계측하지 못함(회수연료량이 많은 것으로 계측)으로 인한 연료사용량이 감소되는 등의 오차가 발생되어 엔진의 정확한 연료실사용량을 산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한 것으로, 에어탈리모듈을 회수라인 상의 제2유량계 전단에 설치하여 계측 전 연료 내의 에어를 일시 분리함으로써 정확한 회수연료량의 계측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연료 실사용량 산출이 가능하도록 한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는, 연료탱크에서 인젝터로 공급되는 공급라인이 마련되고 이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공급연료량을 계측하는 제1유량계; 상기 인젝터로부터 연료탱크로 회수되는 회수라인이 마련되고 이 회수라인 상에 설치되어 회수연료량을 계측하는 제2유량계; 상기 회수라인에서의 정확한 회수연료량의 계측이 이루어지도록 제2유량계 전단에 배치되어 회수되는 연료 내에 포함되어있는 에어를 탈리시키는 에어탈리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탈리모듈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일측 측벽에 인젝터 측의 회수라인과 연통되어 수용공간으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 측벽에 제2유량계측의 회수라인과 연통되어 유입된 연료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에 유입된 연료 내의 에어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유입되는 연료와의 비중 차이로 인해 부상되도록 설치되되 부상시 제2배출구에 끼움 결합되어 제2배출구를 차단하는 부상차단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상차단부는 수용공간의 상부측으로 일정량 이상의 에어가 포집되면 유입 연료 내의 에어가 하방으로 가압하는 압력에 의해 일시 하강될 때 제2배출구가 개방되면서 포집된 에어가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상차단부는 길이방향을 가지는 한 쌍의 육면체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지지체와, 이 하부지지체의 각 중심부 상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하부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체와, 이 고정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일정부분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직봉과, 이 수직봉의 상부측에 끼워지도록 하부측이 개구된 중공부를 갖는 원추형상의 부상체로 구성된다. 상기 부상체는 연료의 유입시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상하여 상단부가 상기 제2배출구의 관통구에 일정부분 끼워지면서 제2배출구를 차단하도록 연료의 비중보다 낮은 비중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입구는 수용공간 상부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구는 수용공간 하부의 측벽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배출구측에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연료가 제1배출구로 배출되는 유동시간을 증대하기 위해 제1배출구 상부 측벽으로부터 내측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되어 하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막음판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은 전면(前面)이 개구된 상태로 구성되고, 그 개구 전면이 개폐플레이트로 밀폐되며, 상기 개폐플레이트는 하우징의 수용공간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하우징의 전면에는 수용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홈로가 형성되고 이 홈로에는 개폐플레이트와의 결합시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유량계와 인젝터 간의 공급라인에는 연료를 고압으로 이송시키는 연료펌프가 더 설치되되, 상기 연료펌프는 공급라인으로 이송되는 연료가 과잉 공급되는 경우 인젝터와 제2유량계 사이의 회수라인으로 연료가 이송됨에 따라 인젝터로부터 회수되는 연료와 함께 제2유량계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는 제2유량계와 연료탱크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라인으로 이송되어 연료탱크로 회수되게 된다.
본 발명의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에 따르면, 인젝터로부터 연료탱크로 회수되는 회수연료 내에 포함되는 에어를 에어탈리모듈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정확한 회수연료량의 계측이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공급연료량에서 회수연료량을 차감한 연료 실사용량 산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가 적용된 엔진에서 연료의 공급 및 회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에어탈리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하우징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에어탈리모듈과 제2유량계의 연결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가 적용된 엔진에서 연료의 공급 및 회수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에어탈리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에어탈리모듈과 제2유량계의 연결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는 연료탱크(1)로부터 인젝터(2)로 공급되는 공급라인(PL) 상엔 공급연료량을 계측하는 제1유량계(10)가 설치되고, 상기 인젝터(2)에서 연료탱크(1)로 회수되는 회수라인(RL)에는 회수연료량을 계측하는 제2유량계(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수라인(RL)을 통해 되돌아오는 연료에 생성되는 에어를 탈리시키도록 제2유량계(20) 전단위치의 회수라인(RL)에 배치되는 에어탈리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는 제1유량계(10)의 공급연료량에서 제2유량계(20)의 회수연료량을 차감한 연료량이 연료의 실사용량이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회수연료량의 계측시 연료 내의 에어로 인한 계측오차문제를 해결하고자 연료중의 에어를 일시적으로 분리시킨 후 제2유량계에서 계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료탱크(1)와 제1유량계(10) 사이의 공급라인(PL)에는 연료탱크(1)의 연료 내에 포함된 불순물이 제1유량계(1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불순물로 인한 연료공급량 계측의 오차를 제거하기 위한 연료필터(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량계(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적식 유량계가 채택됨이 바람직하나, 이외에 다양한 유량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서는 제1유량계(10)와 후술할 제2유량계(20)가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편의상 제1유량계(10)와 제2유량계(20)의 외측 하우징을 서로 결합한 것으로 내부의 계측구조는 완전히 분리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제1유량계(10)와 인젝터(2) 사이의 공급라인(PL)에는 고압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펌프(4)와, 엔진의 각 인젝터(2)에 연료를 분배하기 위한 커먼레일(5)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유량계(2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젝터(2)로부터 회수되는 회수라인(RL) 상에 설치되어 회수연료량을 계측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며, 이러한 제2유량계(20)는 후술할 에어탈리모듈(30) 후단에 배치되어 에어가 분리된 연료를 공급받아 연료량을 계측하게 된다.
상기 회수라인(RL)은 인젝터(2)와 제2유량계(20) 간이 연결되어 회수되는 인젝터 회수라인(IRL)과, 상기 연료펌프(4)로부터 제2유량계(20)로 회수되는 연료펌프 회수라인(PRL)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젝터 회수라인(IRL)은 인젝터(2)로 공급된 연료 중 엔진의 연소실로 분사된 연료를 제외한 나머지 연료를 다시 연료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연결라인이며, 상기 연료펌프 회수라인(PRL)은 커먼레일(5)로 이송되는 연료가 과잉 공급되어 나머지 잉여분의 연료를 다시 연료탱크(1)로 회수하기 위한 연결라인이다.
이러한 인젝터 및 연료펌프 회수라인(IRL, PRL)은 후술할 에어탈리모듈(30) 전단부에서 서로 합쳐져 에어탈리모듈(30)을 경유하여 제2유량계(20)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유량계(20)에 의해 회수되는 연료량이 계측되므로 공급연료량에서 회수연료량을 뺀 유량이 실제 엔진으로 공급되어 사용된 실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에어탈리모듈(30)은 회수라인(RL) 상에서 제2유량계(20)의 전단에 배치되어 회수되는 연료 중의 에어를 일시적으로 분리시켜 제2유량계(20)에서 에어가 제거된 순수연료만을 계측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에어탈리모듈(30)은 내부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31)과, 이 하우징(31)의 일측 측벽이 관통되어 상기 인젝터 측의 회수라인과 연통됨에 따라 수용공간으로 연료가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32)와, 상기 하우징(31)의 타측 측벽이 관통되어 상기 제2유량계측의 회수라인과 연통됨에 따라 유입된 연료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33)와, 상기 하우징(31)의 상부벽에 관통되어 유입된 연료 내의 에어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34)와, 상기 하우징(31)의 수용공간 내에 유입되는 연료와의 비중 차로 인해 부상되도록 설치되되 부상시 상단부가 상기 제2배출구(34)에 끼움 결합되어 수용공간 내의 연료가 제2배출구(34)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부상차단부(35) 및 상기 유입구(32)로부터 유입된 연료가 제1배출구(33)로 배출되는 유동시간을 증대하기 위해 제1배출구(33) 상부의 측벽으로부터 내측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하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막음판(36)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3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31)의 일측 측벽, 타측 측벽 및 상부벽에는 각각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통 가능하도록 유입구(32), 제1배출구(33) 및 제2배출구(34)가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31)의 수용공간은 하우징(31)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상부가 상단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하우징(31) 상부로 포집되는 에어가 제2배출구(34)측으로 배출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유입구(32)와 제1배출구(33)는 연료가 내부 수용공간의 일측 상부에서 유입되어 타측 하부로 배출되도록 유입구(32)는 상부측에, 제1배출구(33)는 하부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32)와 제1배출구(33)는 이들 서로간의 높이 차를 가지므로 하우징(31)의 수용공간에 유입연료가 1차적으로 일정시간동안 머무르게 되고 막음판(36)에 의해 수용공간에 머무르는 시간이 더욱 증대되게 증대된다.
상기 막음판(36)은 제1배출구(33) 상부의 측벽으로부터 수평 연장되는 수평부(36a)와, 이 수평부(36a)의 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부(36b)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36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 내부의 수직중심선 부근까지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수직중심선을 초과하여 너무 연장되면 막음판(36)의 절곡부(36b)와, 이와 마주하는 유입구(32) 측의 내측벽면과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유입구(32)로부터 유입된 연료가 이를 경유하여 제1배출구(33)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병목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수직중심선에 미치지 못하고 작게 연장되면 절곡부(36b)와, 이와 마주하는 제1배출구 측의 내측벽면과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절곡부(36b)로 우회하여 제1배출구(33)측으로 연료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병목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부상차단부(35)는 연료유입시 비중 차이에 의해 부상되어 하우징(31)의 수용공간상부에 형성되는 제2배출구(34)의 관통구(34a)에 그 단부가 끼워져 차단하므로 연료배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부상차단부(35)는 길이방향을 가지는 한 쌍의 육면체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하부지지체(35a)와, 이 하부지지체(35a)의 각 중심부 상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하부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체(35b)와, 이 고정체(35b)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35c)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직봉(35d)과, 이 수직봉(35d)의 상부측에 끼워지도록 하부측이 개구된 중공부를 갖는 원추형상의 부상체(35e)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지지체(35a)는 부상차단부(35)의 최하단에 배치되되, 하우징(31)의 수용공간의 양측 내측벽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절개로(31a)와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체(35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로(31a)에 한 쌍의 양단부가 각각 슬라이딩되어 내측으로 이동 결합하거나, 하나의 절개로(31a)에 하나의 하부지지체(35a)가 각각 슬라이딩 결합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후자와 같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유입구(32)로부터 유입되는 연료가 하강시 고정체(35b)에 충돌하여 연료의 유동을 방해하게 되며, 하부지지체(35a)의 일정폭이 절개로(31a) 내로 끼워짐에 따라 고정체(35b)와 결합되는 충분한 하부지지체(35a)의 폭 확보를 위해 하부지지체(35a)의 폭이 커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하부지지체(35a)는 전자와 같이 절개로(31a)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봉(35d)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은 상기 고정체(35b)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35c)에 일정부분 삽입되어 관통되고 상부측은 부상체(35e)의 하부측이 개구된 중공부에 수용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수직봉(35d)의 하단이 관통홀(35c)을 관통하여 막음판(36)의 연장부(36a) 상에 접촉 지지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물론 상기 고정체(35b)의 관통홀(35c)이 관통되지 않고 홈 형태로 형성하여 수직봉(35d)의 하부 단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안정적인 수직봉(35d)의 고정을 위해 고정체(35b)의 두께가 두꺼워져야 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아울러 상기 부상체(35e)는 수직봉(35d)에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 지지되며, 이러한 부상체(35e)의 형상은 연료와의 비중 차이에 의해 승강될 때 그 상단부가 제2배출구(34)의 관통구(34a)에 일정부분 수용되도록 상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상체(35e)의 상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34a)와 일정부분 수용되어 결합될 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오링(35f)이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부상체(35e)의 상부측에는 오링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환상의 절개부(35g)가 형성되고 이러한 절개부(35g)에 오링(35f)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부상체(35e)는 유입연료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부상하도록 연료의 비중보다 낮은 재질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31)의 내부 수용공간 전면(前面)이 개구된 상태로 구성되되, 그 개구 전면이 개폐플레이트(37)로 밀폐되게 구성되며, 상기 개폐플레이트(37)는 투시 가능한 투명재질로 구성하여 하우징의 내부 수용공간을 외부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개폐플레이트(37)는 내부 수용공간의 개구측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어 하우징의 전면에 결합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통해 하우징과 고정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개폐플레이트(37)와 하우징(31) 측벽 간의 결합시 기밀 유지를 위해 하우징(31)의 전면에는 수용공간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홈로(31b)가 형성되고 이 홈로(31b)에 오링(31c)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부상차단부(35)의 구성에 의해 유입구(32)로부터 유입된 연료는 막음판(36)을 따라 안내 우회되어 제2배출구(34)로 배출되며, 이 과정에서는 연료 내에 포함된 에어는 연료보다 가벼우므로 하우징(31)의 내부 수용공간인 그 상부로 모이게 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에 에어가 모이게 될수록 에어압력이 생성되고 이로 인하여 부상체(35e)의 부력이 감소되게 되면서 순간적으로 부상체(35e)가 하강되는 순간 제2배출구(34)가 개방되며, 이때 제2배출구(34)를 통하여 하우징(31)의 내부 수용공간인 그 상부에 포집된 에어가 배출되게 된다.
위와 같이 하우징(31)의 내부 수용공간인 그 상부에 포집된 에어가 배출되는 순간 하우징(31)의 내부 수용공간으로 연료가 유입됨과 동시에 그 유입연료의 부력으로 인하여 부상체(35e)가 다시 상승되므로 제2배출구(34)는 폐쇄된다.
상기 제2배출구(34)를 통해 배출되는 에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량계(20)와 연료탱크(1) 사이를 연결하는 회수라인(RL)에서 별도의 배출 경로를 통해 연료탱크(1)로 배출되어 제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연료탱크 2 : 인젝터 3 : 연료필터
4 : 연료펌프 5 : 커먼레일 10 : 제1유량계
20 : 제2유량계 30 : 에어탈리모듈 31 : 하우징
31a : 절개로 31b : 홈로 31c, 35f : 오링
32 : 유입구 33 : 제1배출구 34 : 제2배출구
34a : 관통구 35 : 부상차단부 35a : 하부지지체
35b : 고정체 35c : 관통홀 35d : 수직봉
35e : 부상체 35g : 절개부 36 : 막음판
36a : 연장부 36b : 절곡부 37 : 개폐플레이트
PL : 공급라인 RL : 회수라인 IRL : 인젝터 회수라인
PRL : 연료펌프 회수라인

Claims (5)

  1. 연료탱크에서 인젝터로 공급되는 공급라인이 마련되고 이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공급연료량을 계측하는 제1유량계; 상기 인젝터로부터 연료탱크로 회수되는 회수라인이 마련되고 이 회수라인 상에 설치되어 회수연료량을 계측하는 제2유량계; 상기 회수라인에서의 정확한 회수연료량의 계측이 이루어지도록 제2유량계 전단에 배치되어 회수되는 연료 내에 포함되어있는 에어를 탈리시키는 에어탈리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탈리모듈은 내부의 수용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일측 측벽에 인젝터 측의 회수라인과 연통되어 수용공간으로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 측벽에 제2유량계측의 회수라인과 연통되어 유입된 연료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벽에 유입된 연료 내의 에어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와,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유입되는 연료와의 비중 차이로 인해 부상되도록 설치되되 부상시 제2배출구에 끼움 결합되어 제2배출구를 차단하는 부상차단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상차단부는 길이방향을 가지는 한 쌍의 육면체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지지체와, 이 하부지지체의 각 중심부 상부에 양단이 결합되어 하부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체와, 이 고정체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일정부분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직봉과, 이 수직봉의 상부측에 끼워지도록 하부측이 개구된 중공부를 갖는 원추형상의 부상체로 구성되며,
    상기 부상체는 연료의 비중보다 낮은 비중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구는 유입구 하부의 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1배출구측에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연료가 제1배출구로 배출되는 유동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제1배출구 상부의 측벽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되어 하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막음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은 전면(前面)이 개구된 상태로 구성되고, 그 개구 전면이 개폐플레이트로 밀폐되며, 상기 개폐플레이트는 하우징의 수용공간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투명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
KR1020130040950A 2013-04-15 2013-04-15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 KR101446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950A KR101446591B1 (ko) 2013-04-15 2013-04-15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950A KR101446591B1 (ko) 2013-04-15 2013-04-15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591B1 true KR101446591B1 (ko) 2014-10-06

Family

ID=5199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950A KR101446591B1 (ko) 2013-04-15 2013-04-15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5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2715A (zh) * 2020-08-24 2020-12-01 哈尔滨市胜达仪表有限责任公司 井口产液除气计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516A (ja) * 1992-09-28 1994-04-19 Ono Sokki Co Ltd 電子制御空気抜き装置
JPH07119641B2 (ja) * 1990-04-20 1995-12-20 矢崎総業株式会社 燃料消費量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9641B2 (ja) * 1990-04-20 1995-12-20 矢崎総業株式会社 燃料消費量測定装置
JPH06109516A (ja) * 1992-09-28 1994-04-19 Ono Sokki Co Ltd 電子制御空気抜き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2715A (zh) * 2020-08-24 2020-12-01 哈尔滨市胜达仪表有限责任公司 井口产液除气计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2108631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и система выталк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RU2018113733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US1157630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fluid for application to agricultural fields
CN202066545U (zh) 一种油气计量分离器
KR100817329B1 (ko) 수질측정용 수조
US9476748B1 (en) Self-filling graduated cylinder system
CN102533536A (zh) 计数器组件、鞘液阻抗计数装置及流式细胞分析仪
KR101446591B1 (ko) 엔진의 연료 실사용량 측정장치
CN102620787A (zh) 电喷汽油发动机汽车随车油耗测试方法及装置
US10172279B2 (en) Systems for handling fluid for application to agricultural fields
EP0378497B1 (fr) Dispositif pour le contrôle et la régulation de l'eau de mouillage dans un système d'impression offset
CN208366774U (zh) 一种用于油藏岩石润湿性测试的自吸玻璃器具
CN201109238Y (zh) 墨盒
EP3489678A1 (fr) Systeme et procede de mesure de l'erosion d'un sol
CN210154970U (zh) 水—岩溶蚀试验用动态水流装置
US6736964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mixed fluids and measuring quantity of component fluids
CN203847099U (zh) 压力测量装置
EP2843404B1 (en) Fuel property detection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CN104340556B (zh) 储液计量罐液位测量装置
RU90428U1 (ru) Система ввода добавки в поток текучей среды
WO2009134192A1 (en) Fuel tank
CN202994705U (zh) 液质传感器
CN214471756U (zh) 燃油箱及瞬态油耗测量系统
CN213121914U (zh) 一种土壤给水度测量装置
RU60506U1 (ru) Пункт налива топли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