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465B1 -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465B1
KR101446465B1 KR1020140029568A KR20140029568A KR101446465B1 KR 101446465 B1 KR101446465 B1 KR 101446465B1 KR 1020140029568 A KR1020140029568 A KR 1020140029568A KR 20140029568 A KR20140029568 A KR 20140029568A KR 101446465 B1 KR101446465 B1 KR 101446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user terminal
black box
vehicle
box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주)지란지교소프트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란지교소프트, 오충록 filed Critical (주)지란지교소프트
Priority to KR1020140029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8Management of a network of park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주차 정보 제공 방법은 운행상황에서 주차상황으로의 변환을 인식하는 단계; 감시 기능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 중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주차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주차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구비되는 블랙박스와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 대한 영상정보, 위치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차량이 주차된 곳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arking area using portable device black box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주차정보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하여 주차된 위치, 주차된 기간 동안의 촬영영상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이용하다 보면, 넓은 주차 공간에 차량을 주차한 경우 나중에는 주차된 위치를 잊어버려 고생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주차구획에 설치된 CCTV를 활용하는 등,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어,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적인 문제 등에 의해 실제 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그리고, 최근에 많은 차량에 구비되고 있는 블랙박스(black box)는 차량 주행 시 각종 주행 정보나 전방의 영상 정보 등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사고 발생 시의 정확한 사고 경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블랙박스의 장착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차량의 필수 장착품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블랙박스는 각자 개별적인 오프라인 장치로서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블랙박스는 차량이 운행되고 있을 때뿐 아니라, 차량의 시동이 꺼져있는 주차 시에도 차량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그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운전자가 타고 있지 않은 상태로 주차 또는 정차되어 있을 경우에도 접촉 사고 등을 감지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카메라를 구동시켜 감시 기능을 수행하여 차량을 보호한다.
종래의 블랙박스의 경우 단독적인 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어, 사고 발생 시점의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내장된 메모리를 컴퓨터 장치에 연결하여 확인하거나, 자체 구비된 디스플레이 수단(예를 들어 액정디스플레이)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주차 또는 정차 되어 있는 기간 동안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그 영상을 찾아서 확인하지 않고서는 사고 여부 조차도 모를 수 있다. 운전자는 차량을 비운 기간 동안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그 기간 동안 촬영된 영상들을 직접 확인해야 하는데, 블랙박스에 디스플레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엔 메모리를 분리하여 확인 작업을 해야 하므로 그 불편이 크며, 그나마 구비된 디스플레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일일이 해당 영상을 찾아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364 (공고일자 2013년03월12일) 영상기반 주차위치 확인시스템 및 그 확인시스템에서 주차면 분석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구비되는 블랙박스와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된 기간 동안 발생된 사고 등의 이벤트 현황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블랙박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주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운행상황에서 주차상황으로의 변환을 인식하는 단계; 감시 기능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 중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주차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주차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주차상황은 차량의 엔진 구동 상태가 온(on) 상태에서 오프(off)로 변환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변경되는 경우에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된 이후 다시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된 기간 동안 발생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존재하면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무전 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약속된 RF 통신 채널을 통해 이벤트발생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에서 수행되는 주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된 블랙박스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주차 상황을 인식하는 단계; 측정된 현재 위치를 주차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감시 기능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 중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주차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주차위치와 함께 주차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정보를 이용한 주차위치 안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블랙박스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주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되는 블랙박스 장치; 및 상기 블랙박스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식되는 주차 상황이 되면, 측정된 현재 위치를 주차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감시 기능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 중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주차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주차위치와 함께 주차정보로서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블랙박스 장치와 사용자 단말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신호 수신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상황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된 이후 다시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된 기간 동안 발생된 이벤트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구비되는 블랙박스와 사용자가 휴대한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에 대한 영상정보, 위치정보 등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차량이 주차된 곳을 찾아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차된 기간 동안 발생된 사고 등의 이벤트 현황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하는 블랙박스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단말과의 연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블랙박스 장치(10), 사용자 단말(30) 및 차량(50)을 포함한다.
블랙박스 장치(10)는 차량(50)에 장착 또는 설치되어 구비되며,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 단말인 사용자 단말(30)과 서로 통신하여 주차에 따른 영상 정보뿐 아니라 감시 기능에 따른 이벤트 정보 등을 제공한다. 최근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단말(30)에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i)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10)도 이러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단말(30)과 근거리에서 통신한다.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과 블랙박스 장치(10) 간에는 서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한쪽이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가 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통신한다. 와이파이의 경우엔 AP(Access Point)에 의해 서로 통신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이 핫스팟(hot spot) 기능에 의해 AP가 되고, 블랙박스 장치(10)에서 사용자 단말에 접속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블루투스의 경우 짧게는 10m, 길게는 100미터 내지 1km까지 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과 통신하는 경우 블랙박스 장치(10)는 감시 기능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30)과 상기한 거리를 두고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블랙박스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과 근거리 통신에 의해 통신하며, 또한 차량(50)과도 근거리 통신에 의한 무선 통신 또는 연결된 케이블 등의 유선 통신을 수행한다.
쉬운 예를 들어, 블랙박스 장치(10)가 차량(50) 자체에 내장된 경우 블랙박스 장치(10)는 차량(50)과 연결된 케이블 또는 별도의 통신 수단을 통해 통신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차량도 블랙박스 장치(10) 및/또는 사용자 단말(30)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통신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블랙박스 장치(10)와 사용자 단말(30)을 모두 사용하는 차량(50)의 사용자는, 블랙박스 장치(10)가 구비된 차량(50)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유용한 가용 거리 내에 사용자 단말(30)을 가지고 진입하기만 하면, 사용자 단말(30)로 블랙박스 장치(10)에 의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어까지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개략적인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랙박스 장치와 사용자 단말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되면(S210), 이후 차량이 주차상황으로 변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휴대한 상태에서 차량에 탑승하면, 사용자 단말과 블랙박스 장치간에는 블루투스 등에 의해 통신이 연결되고, 이후 차량이 운행되다가 주차되면, 블랙박스 장치는 주차상황을 인식한다. 주차상황을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블랙박스 장치(10)와 차량(50)간에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그 통신이 끊기면 주차상황으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블랙박스 장치(10)는 차량(5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데, 차량의 엔진 구동이 온(on) 상태에서 오프(off)상태로 전환되면 공급되는 전력의 양이 바뀔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주차상황을 인식할 수도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르면, 블랙박스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주차 상황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이 거리상으로 멀어짐으로 인해 그 신호의 수신감도가 약해지면,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하고 멀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낮아지는 것이 감지되면, 블랙박스 장치(10)는 차량(50)이 주차상황으로 변환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물론, 블랙박스 장치(10)와 사용자 단말(30)간의 통신 수신감도의 세기를 이용한 주차상황의 인식은 사용자 단말(30)에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주차상황이 인식되면 블랙박스 장치(10)는 촬영된 영상들 중 주차영상을 추출한다(S230). 즉 블랙박스 장치(10)는 촬영된 영상들 중 특정 영상을 주차영상으로서 추출하는데, 예를 들어 주차상황으로 인식되는 시점 또는 그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이전의 영상들(예를 들어, 0초전, 5초전, 10초전, 30초전 영상들 또는 30초전부터 현재까지 촬영된 동영상 등)이 주차영상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는, 블랙박스 장치(10)는 주차상황이 인식되면, 영상 비교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의 촬영영상과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의 촬영영상들을 비교하여 현재의 촬영영상과 차이가 있는 영상을 시점으로 일정시간 이전의 촬영영상을 주차영상으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쉽게 말해, 차량(50)이 주차되면, 주차 이전까지 움직이며 촬영되는 영상들은 주차된 상태의 영상과 차이가 있게 되는데, 그 차이를 인식함으로써, 주차 전에 움직이며 촬영된 영상(예를 들어, 주차 전 1분간의 영상 등)을 주차영상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주차영상으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어떤 경로로 어디에 주차를 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사용자 단말(30)은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주차영상을 수신하면(S240), 현재 차량(50)이 주차되었음을 인식하여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주차위치로서 활용하여 측정된 주차위치 정보와 함께 수신된 주차영상을 주차정보로서 저장하며(S250), 차후 이러한 주차정보를 이용한 주차위치 안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50)이 주차된 위치에 대한 탐색을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30)은 현재위치에서 주차위치까지의 경로를 화면 일측에 표시하고, 다른 영역에는 주차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주차영상으로 인해 자신이 어느 곳에 차량을 주차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으며, 차량(50)이 위치한 곳까지의 경로를 따라 쉽게 해당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블랙박스 장치(10)의 구성과 사용자 단말(30)과의 연동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랙박스 장치(10)는 카메라 모듈(210), 근거리 통신 모듈(220), 저장 모듈(230), RF방송 모듈(240) 및 제어 모듈(250)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210)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이며, 블랙박스 장치(10)에는 하나 이상 복수개의 카메라 모듈(210)이 연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근거리 통신 모듈(220)은 사용자 단말(3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블루투스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 모듈(230)에는 카메라 모듈(21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들이 저장된다. 그리고, 촬영되는 영상들은 일반 영상, 이벤트 영상 및 주차영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벤트 영상은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블랙박스가 차량에 설치된 경우 사고 발생 이벤트 등)가 발생된 시점에 따른 영상으로서, 관리의 편의 등에 의해 이벤트 영상은 일반 영상(즉 이벤트 없는 감시 영상)과는 구분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블랙박스 장치(10)는 주차상황이 인식되면, 촬영된 영상들 중 특정 영상을 주차영상으로서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데, 이를 위해 저장 모듈(230)에는 주차영상이 임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블랙박스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과의 근거리 통신에 의한 연결 여부를 관리하고 연결이 종료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데, 이러한 사용자 단말(30)과의 연결 종료 시점 등의 이력이 저장 모듈(23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 모듈(250)은 블랙박스 장치(10)의 각 구성부의 기능 수행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어 모듈(250)은 주차상황이 인식되면, 촬영된 영상들 중 특정 영상을 주차영상으로서 추출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상황은 블랙박스 장치(10)와 차량(50)간에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그 통신이 끊기면 주차상황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는 블랙박스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주차 상황을 인식할 수도 있다.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어 모듈(250)은 사용자 단말(30)과 근거리 통신에 의한 연결이 인식되면, 저장 모듈(230)에 저장된 이력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30)과의 마지막 연결이 종료되었던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이벤트 정보를 검색하여 발생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들의 관련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쉽게 말해, 블랙박스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과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연결이 끊겨져 있던 기간 동안 발생된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자신이 자리를 비웠던 감시 공간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해당 공간 근처에 진입함으로써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쉬운 예를 들어, 블랙박스 장치(10)가 차량이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면, 사용자가 저녁에 집 앞에 차량을 주차하고 다음날 아침에 출근을 위해 다시 차량 근처에 다가가면, 자리를 비웠던 주차기간 동안 발생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 또는 해당 이벤트 영상을 자신의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바로 확인해볼 수 있다.
다시 한번 예를 들자면, 밤 10시에 주차했다가 다음날 아침 9시에 다시 차에 탑승한다고 가정하면, [2013.10.29 22:00 ~ 2013.10.30. 09:00 동안 1개의 이벤트가 존재합니다. 확인하시겠습니까?]라는 안내메시지가 사용자 단말(3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이벤트에 대한 확인을 입력하면, 해당 이벤트에 따른 영상을 사용자 단말(30)(또는 블랙박스 장치(1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에 사고 여부가 있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일이 블랙박스 장치(10)의 메모리에 접근해야 하는 불편이 사라지게 된다.
RF방송 모듈(240)은 RF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방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제어 모듈(250)은 사용자 단말(3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는 발생된 이벤트에 따른 이벤트 발생 정보를 RF방송 모듈(240)을 제어하여 브로드캐스팅한다. 쉽게 말해, 사용자가 블랙박스 장치(10)과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사용자 단말(30)과 블랙박스 장치(10) 간의 블루투스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 블랙박스 장치(10)에 이벤트가 발생되면 해당 이벤트가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30)과 약속된 RF통신 채널을 통해 방송하는 것이다. 무전기 등에서 사용되는 RF신호의 경우 수km의 통신 거리를 갖는다. 따라서, 블랙박스 장치(10)는 통신 거리가 보다 짧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에 의한 사용자 단말(30)과의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는 무전기 등에서 사용되는 RF신호로 이벤트 발생 신호를 방송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방송된 이벤트 발생 신호는 사용자 단말(30)까지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그 유효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보다 많을 수 있으므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블랙박스 장치(10)는 본체의 흔들린 기울기와 가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 장치(10)가 차량에 설치된 경우, 외부 충격이 차량에 가해지면 차량이 흔들리게 되어 블랙박스 장치(10)에도 그 흔들림이 전달된다. 따라서, 블랙박스 장치(10)는 이러한 본체의 흔들림에 따른 기울기와 그 흔들린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측정된 본체의 흔들린 기울기 및 속도를 기반으로 제어 모듈(250)은 사고 발생 크기 및 사고 발생 부위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전방 오른쪽 모서리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좌측 뒷편 방향으로 가해질 때, 블랙박스 장치(10)는 북동 방향과 남서 방향으로 흔들리게 되며 관성에 의해 최초 북서 방향으로 그 흔들림이 시작(만일 차량에 고정되는 경우 그 반대로 흔들림이 시작될 수도 있음)될 것이다. 따라서, 블랙박스 장치(10)는 사고가 전방 우측에서 발생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고, 그 세기까지도 측정할 수 있다. 블랙박스 장치(10)는 이렇게 측정된 사고 발생 부위 및/또는 사고 발생 크기에 대한 정보를 이벤트 관련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 확인하면 곧바로 사고 부위를 알 수 있게 되어 차량 탑승 전에 즉시 실제 차량의 사고 부위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블랙박스 장치(10)는 액정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과의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저장된 이벤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사용자 단말(30)로 제공되었던 이벤트 관련 정보에 따른 이벤트 영상들이 블랙박스 장치(10)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블랙박스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과의 무선 통신 연결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30)과 통신이 연결되더라도 그 신호의 세기가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확인할 수 없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쉬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블랙박스 장치(10)과 사용자 단말(30)간의 통신 거리가 가까워 그 신호가 강해지면, 그 때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이벤트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다.
이하, 블랙박스 장치(10)가 발생된 이벤트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30)과 연동하여 처리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장치(10)에서의 사용자 단말(30)과의 연동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들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블랙박스 장치(10)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30)이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인식하면(S310), 해당 사용자 단말(30)과의 이전 마지막 연결이 종료된 시점부터 현재까지 발생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320).
블랙박스 장치(10)는 확인 결과에 따라 해당 기간 동안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S330), 발생된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이벤트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 연결된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송한다(S340).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블랙박스 장치(10)가 위치한 곳에 다가가기만 하면, 이벤트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블랙박스 장치(10)가 차량에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면, 차량이 주차된 곳에 다가가기만 하면 차량에 탑승하기도 전에 소유한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로 곧바로 주차기간 동안의 사고 발생 여부뿐 아니라 사고 발생 시엔 그 영상까지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만일 사고가 발생하였다면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차량의 사고 난 부위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어, 이전과 같이 차량 내부에 탑승한 후 블랙박스 영상을 확인하고 다시 내려서 사고부위를 확인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S330에서 판단한 결과 발생된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아무런 정보도 사용자 단말(30)에게 전송할 필요가 없다. 이와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블랙박스 장치(10)는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다는 내용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자리를 비우신 기간 동안 발생된 사고가 없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되었다는 연결 알림 메시지 등을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를 참조하면, 블랙박스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과의 근거리 통신 연결이 해제됨에 따른 통신 연결 종료가 인식되면(S410), 이후 발생되는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판단하고(S420), 이벤트가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30)과 미리 약속된 통신 채널(예를 들어, 주파수 50메가 헤르츠 등)을 통해 RF신호로 이벤트 발생정보를 방송(브로드캐스팅)한다(S430).
이하에서는 블랙박스 장치(10)가 차량에 설치 또는 구비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50)과 통신하는 블랙박스 장치(10)에서의 사용자 단말(30)과의 연동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블랙박스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과의 통신 연결이 인식된 상태에서(S610), 차량(50)과의 통신 연결이 시작되고 차후 그 연결이 종료됨을 인식하면(S620), 차량(50)과의 통신 연결이 종료된 시점에 기반하여 촬영된 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한다(S630).
쉽게 말해, 블랙박스 장치(10)는 차량(50)과의 통신이 연결됨이 인식되면 차량(50)에 시동이 걸려 운행이 되는 운행모드로서 인식하며, 그 운행모드 실행 기간 동안 촬영된 촬영영상들에 따른 정보를 차후 운행모드가 종료되면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하는 것이다. 쉬운 예로, 차량(50)이 운행되었다가 종료되면, 운행 기간 동안 발생된 이벤트들에 따른 정보(예를 들어, 이벤트 발생 시점에 대한 정보 또는 이벤트 영상 등)를 사용자 단말(30)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을 통해 해당 영상 들에 대해 응답을 블랙박스 장치(10)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블랙박스 장치(10)는 이렇게 수신된 특정 정보에 따라 해당 운행 중 이벤트 정보에 대한 저장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쉽게 말해, 사용자는 차량(50)의 운행을 중단하고 시동을 끄면, 운행 중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30)로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저장기간을 바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블랙박스 장치(10)는 사용자 단말(30)로부터 아무런 응답신호를 받지 못하면 해당 이벤트 정보의 저장기간을 일반기간(차후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에 의해 덮여 씌어지는 방식에 따른 기간)으로 설정하고, 이와 달리 삭제 응답이 수신되면 즉시 삭제 또는 1일 저장 후 삭제, 보관 응답이 수신되면 자동 삭제되지 않고 삭제 명령 입력 전까지 영구 저장하는 방식 등으로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 정보 제공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블랙박스 장치
30 : 사용자 단말
50 : 차량

Claims (7)

  1. 블랙박스 장치에서 수행되는 주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운행상황에서 주차상황으로의 변환을 인식하는 단계;
    감시 기능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 중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른 이전 시점에 촬영된 복수개의 이전 영상들을 포함하는 주차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상기 주차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된 이후 다시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된 기간 동안 발생된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존재하면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정보 제공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차상황은 차량의 엔진 구동 상태가 온(on) 상태에서 오프(off)로 변환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세기가 일정 수준 이하로 변경되는 경우에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정보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기록된 기록 매체.
  6. 차량의 주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에 구비되는 블랙박스 장치; 및
    상기 블랙박스 장치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인식되는 주차 상황이 되면, 측정된 현재 위치를 주차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블랙박스 장치로부터 감시 기능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 중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에 따른 이전 시점에 촬영된 복수개의 이전 영상들을 포함하는 주차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주차위치와 함께 주차정보로서 저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된 이후 다시 연결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해제된 기간 동안 발생된 이벤트 관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블랙박스 장치와 사용자 단말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따른 신호 수신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주차 상황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40029568A 2014-03-13 2014-03-13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46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568A KR101446465B1 (ko) 2014-03-13 2014-03-13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568A KR101446465B1 (ko) 2014-03-13 2014-03-13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154A Division KR101380958B1 (ko) 2014-01-02 2014-01-02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465B1 true KR101446465B1 (ko) 2014-10-06

Family

ID=51996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568A KR101446465B1 (ko) 2014-03-13 2014-03-13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12A (ko) * 2018-04-06 2019-10-16 이가원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5019A (ja) 2008-04-28 2009-11-12 Denso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014967B1 (ko) * 2009-05-26 2011-02-16 (주)컨피테크 차량의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093087B1 (ko) * 2009-12-02 2011-12-13 유비벨록스(주) 주차위치 확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276320B1 (ko) * 2011-12-20 2013-06-18 와이엠디(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5019A (ja) 2008-04-28 2009-11-12 Denso Corp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014967B1 (ko) * 2009-05-26 2011-02-16 (주)컨피테크 차량의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093087B1 (ko) * 2009-12-02 2011-12-13 유비벨록스(주) 주차위치 확인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276320B1 (ko) * 2011-12-20 2013-06-18 와이엠디(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12A (ko) * 2018-04-06 2019-10-16 이가원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및 방법
KR102097973B1 (ko) 2018-04-06 2020-04-07 이가원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67925B (zh) 一种远程遥控的泊车方法和系统
CN106485934B (zh) 一种反向导航找寻目标车辆的方法及装置
EP32323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ideo data, terminal, and server
US11216753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KR101586706B1 (ko)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CN105278544A (zh) 无人飞行器的控制方法及装置
EP3754618B1 (en) Recording control device, recording control system,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program
CN104331947A (zh) 一种车辆监控方法及相关设备、系统
CN112929603B (zh) 一种车辆的远程查看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846954B2 (en) Method for monitoring vehicle and monitoring apparatus
KR20140128836A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JP2010277420A (ja) 駐車場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車載用装置
US20200191951A1 (en) Under vehicle inspection
KR101380958B1 (ko)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68757B1 (ko) 주차 차량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2477A (ko) 유무선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기능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EP2819110A2 (en)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security system, program and condition monitoring method
KR101401022B1 (ko)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JP2024014951A (ja) 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KR101508514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101446465B1 (ko) 휴대단말과 블랙박스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70055739A (ko) 차량 위치 정보 확인 시스템
KR101498074B1 (ko) 휴대단말과 연동되는 블랙박스 시스템 및 연동 방법
JP5673614B2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装置、充電方法、および車両
KR101127511B1 (ko) 이벤트 발생 정보 및 캐스팅 정보를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