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337B1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337B1
KR101446337B1 KR1020080088473A KR20080088473A KR101446337B1 KR 101446337 B1 KR101446337 B1 KR 101446337B1 KR 1020080088473 A KR1020080088473 A KR 1020080088473A KR 20080088473 A KR20080088473 A KR 20080088473A KR 101446337 B1 KR101446337 B1 KR 10144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ells
power supply
supply voltage
memory cel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9632A (ko
Inventor
김경우
윤종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8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337B1/ko
Priority to US12/500,242 priority patent/US7978554B2/en
Publication of KR2010002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30Power supply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G11C16/12Programming voltage switch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워드라인들, 복수의 워드라인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비트라인들, 복수의 워드라인들과 복수의 비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복수의 메모리 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복수의 메모리 셀들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 및 전압 제어부와 복수의 메모리 셀들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 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리 셀에 대한 안정적인 쓰기 동작의 수행이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들은 크게 휘발성 메모리 소자(volatile memory device)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non-volatile memory device)로 분류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 저장된 데이터를 잃어버리는 반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저장된 데이터를 유지한다.
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예로는 대표적으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이 있는데, SRAM은 DRAM에 비해 소비 전력이 적고, 동작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 때문에 캐시 메모리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 전압에서 메모리 셀에 대한 쓰기 동작을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비트라인들;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과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 및 상기 전압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은 각각 상기 전원 전압을 제공받고, 교차 결합된(cross-coupled) 제1 및 제2 인버터들; 상기 비트라인들 중 제1 비트라인과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제1 워드라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1 액세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비트라인에 대응되는 제1 상보 비트라인과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워드라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 스터의 채널 폭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각각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파워 게이팅(gating) 제어 신호 및 쓰기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 및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 게이트; 및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논리 게이트는 상기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 및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에 대하여 NAND 연산을 수행하는 NAND 게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전원 전압을 제공받는 소스 및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연결되는 게이트를 가지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에 대한 쓰기 동작을 보조하는 쓰기 보조(assist)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쓰기 보조 회로는 상기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전원 전압을 제공받는 소스 및 상기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의 출력과 연결되는 게이트를 가지는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메모리 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된 전원 전압을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에 제공한 후,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된 전원 전압을 수신 하여, 복수의 워드라인들 및 복수의 비트라인들의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각각에 대하여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은 각각 상기 제어된 전원 전압을 제공받고, 교차 결합된 제1 및 제2 인버터들;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 제1 비트라인과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제1 워드라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1 액세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비트라인에 대응되는 제1 상보 비트라인과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워드라인에 의해 온/오프되는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각각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 및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셀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와 메모리 셀 사이에 더미 셀을 포함함으로써, 메모리 셀에 전원 전압이 제공되기 전에 더미 셀에서 전압 강하가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쓰기 동작이 시작될 때에 메모리 셀에 소정의 레벨로 감소된 전원 전압이 제공되어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쓰기 동작이 실행될 수 있으므로, 쓰기 동작의 안정성에 대한 동작 마진(margin)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 전압에서도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각 메모리 셀에서의 트랜지스터들의 개수 또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공정의 미세화 기술의 수준에 관계없이 메모리 셀에 대한 안정적인 쓰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등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 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전압 제어부(10), 메모리 셀 어레이(20), 로우 디코더(30), 칼럼 디코더(40) 및 감지 증폭기(50)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부(10)는 메모리 셀 어레이(20)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압 제어부(10)는 메모리 셀 어레이(20)의 동작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CS)에 따라 메모리 셀 어레이(20)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20)는 복수의 워드라인(WL)들과 복수의 비트라인(BL)들이 교차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을 포함한다.
로우 디코더(30)는 로우 어드레스(X_ADD)를 디코딩하여 대응되는 하나의 워드라인을 활성화시킨다. 칼럼 디코더(40)는 칼럼 어드레스(Y_ADD)를 디코딩하여 대응되는 하나의 비트라인 쌍을 선택한다. 감지 증폭기(50)는 칼럼 디코더(40)로부터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를 증폭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도 2는 도 1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전압 제어부 및 메모리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압 제어부 및 메모리 셀 어레이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전압 제어부(10)는 논리 게이트(11), 스위칭 소자(12) 및 쓰기 보조(assist) 회로(13)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각각의 메모리 셀에 대한 공정이 미세화됨에 따라, 메모리 셀의 사이즈와 메모리 셀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이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셀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소자들이 요구되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압 제어부(10)는 쓰기 보조 회로(13)를 포함한다.
메모리 셀 어레이(20)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21) 및 복수의 메모리 셀들(22)을 포함한다. 도 2 및 3에는 편의상 하나의 더미 셀(21)과 하나의 메모리 셀(22)만을 도시하였으나, 더미 셀(21)과 메모리 셀(22)의 개수는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 셀은 SRAM 셀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논리 게이트(11)는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power gating control signal, PC)와 쓰기 인에이블 신호(write enable signal, EN)에 대해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논리 게이트(11)는 NAND 게이트(11)일 수 있다. 여기서,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PC)는 전압 제어부(10)에 대한 온/오프를 제어한다. 또한, 쓰기 인에이블 신호(EN)는 메모리 셀(22)에 대한 쓰기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 에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PC)가 논리 "하이(high)"이고, 쓰기 인이에블 신호(EN)가 논리 "하이"이면, NAND 게이트(11)의 출력은 논리 "로우(low)"이고, 메모리 셀(22)에 대한 읽기(read)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PC)가 논리 "로우"이고, 쓰기 인에이블 신호(EN)가 논리 "로우"이면, NAND 게이트(11)의 출력은 논리 "하이"이고, 메모리 셀(22)에 대한 쓰기 동작이 실행된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논리 게이트(11)로 NAND 게이트를 이용했기 때문이며, 다른 논리 게이트를 이용할 경우에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PC)와 쓰기 인에이블 신호(EN)의 신호 레벨에 따른 논리 게이트의 출력은 달라질 수 있다.
스위칭 소자(12)는 논리 게이트(11)의 출력 레벨에 따라 온/오프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위칭 소자(12)는 전원 전압에 연결되는 소스와 논리 게이트(11)의 출력을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PMOS 트랜지스터(12)일 수 있다. 메모리 셀(22)에 대한 읽기 동작이 실행될 때에는, 즉, 논리 게이트(11)의 출력이 논리 "로우"이면, 스위칭 소자(12)는 턴온된다. 한편, 메모리 셀(22)에 대한 쓰기 동작이 실행될 때에는, 즉, 논리 게이트(11)의 출력이 논리 "하이"이면, 스위칭 소자(12)는 턴오프된다.
쓰기 보조 회로(13)는 메모리 셀(22)에 대한 쓰기 동작을 보조하는 것으로, 메모리 셀(22)에 대한 읽기 동작이 실행될 때에는 활성화되지 않고, 메모리 셀(22)에 대한 쓰기 동작이 실행될 때에만 활성화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쓰기 보조 회로(13)는 전원 전압(VDD)에 연결되는 소스와 스위칭 소자(12)의 드레인 전압을 입력받는 게이트를 갖는 PMOS 트랜지스터(13)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 셀(22)에 대한 읽기 동작이 실행될 때에는, 스위칭 소자(12)는 턴온되므로, 스위칭 소자(12)의 드레인 전압은 논리 "하이"이고 PMOS 트랜지스터(13)는 턴오프된다. 한편, 메모리 셀(22)에 대한 쓰기 동작이 실행될 때에는, 스위칭 소자(12)는 턴오프되고 PMOS 트랜지스터(13)는 턴온된다. 이 경우, PMOS 트랜지스터(13)의 드레인 전압은 전원 전압(VDD)에서 PMOS 트랜지스터(13)의 문턱 전압(Vtp)만큼 감소된 값이다.
이와 같이, 전원 제어부(10)는 쓰기 보조 회로(13)를 포함함으로써, 메모리 셀(22)에 대한 쓰기 동작이 실행될 때, 전원 전압(VDD)에서 PMOS 트랜지스터(13)의 문턱 전압(Vtp)만큼 감소된 값을 갖는 전압(VDD-Vtp)을 메모리 셀 어레이(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셀에 대한 쓰기 동작은, 메모리 셀에 저장된 논리 "하이"를 논리 "로우"로 변경함으로써 수행되는데, 각각의 메모리 셀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이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레벨 이하로 감소되면, 각각의 메모리 셀들에 대한 쓰기 동작이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미 셀(21)은 전압 제어부(10)와 메모리 셀(22) 사이의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제1 워드라인(WL1)와,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 제1 비트라인(BL1) 및 제1 상보 비트라인(/BL1)이 교차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더미 셀(21)은 제1 워드라인(WL1)과, 제1 비트라인(BL1) 및 제1 상보 비트라인(/BL1)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M1, M2)와 전압 제 어부(10)로부터 전원 전압을 제공받는 데이터 저장 영역(DC)을 포함한다.
여기서, 더미 셀(21)은 쓰기 동작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스트롱 셀(strong cell)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더미 셀(21)에 대한 쓰기 동작이 수행될 경우에 더미 셀(21)에 흐르는 전류는 크고, 제1 노드(N1)에서의 전압 강하도 매우 커야 한다. 따라서, 더미 셀(21)에 연결된 제1 워드라인(WL1)이 "온" 상태가 되면, 더미 셀(21)의 제1 노드(N1)에서 큰 전압 강하가 일어난다. 이로써, 메모리 셀(22)에 연결된 제2 노드(N2)에 감소된 전압이 제공됨으로써, 메모리 셀(22)의 쓰기 동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영역(DC)은 교차 결합된(cross-coupled) 한 쌍의 인버터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데이터 저장 영역(DC)은 제1 PMOS 트랜지스터(M3)와 제1 NMOS 트랜지스터(M5)로 이루어진 제1 인버터 및 제2 PMOS 트랜지스터(M4)와 제2 NMOS 트랜지스터(N6)로 이루어진 제2 인버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저장 영역(DC)은 제1 및 제2 PMOS 트랜지스터(M3, M4) 대신에 저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 셀(22)에 대한 쓰기 동작이 실행될 때, 쓰기 보조 회로(13)는 활성화되어, 메모리 셀 어레이(20)에 전원 전압(VDD)에서 PMOS 트랜지스터(13)의 문턱 전압(Vtp)만큼 감소된 레벨의 전압이 제공된다. 이 경우, 전압 제어부(10)에서 제공된 전압은 제1 노드(N1)에 연결된 더미 셀(21)에 먼저 제공된 후에, 제2 노드(N2)에 연결된 메모리 셀(22)에 제공된다. 이로써, 메모리 셀(22)은 쓰기 동작이 시작될 때 제1 노드(N1)에서 이미 감소된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으 므로, 쓰기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제1 액세스 트랜지스터(M1)는 제1 워드라인(WL1)과 연결되는 게이트와 제1 비트라인(BL1)과 연결되는 드레인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이고,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M2)는 제1 워드라인(WL1)과 연결되는 게이트와 제1 상보 비트라인(/BL1)과 연결되는 소스를 갖는 N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M1, M2)의 채널 폭은 메모리 셀(22)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M7, M8)의 채널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로써,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M1, M2)에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를 수 있는바, 메모리 셀(22)에 제공되는 전압은 보다 빨리 감소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압 제어부(10)가 쓰기 보조 회로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도, 더미 셀(21)은 전압 제어부(10)와 메모리 셀(22) 사이에 연결되어, 메모리 셀(22)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을 미리 감소시킬 수 있다.
메모리 셀(22)은 전압 제어부(10) 및 더미 셀(21)과 제2 노드(N2)로 연결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제1 워드라인(WL1)와, 복수의 비트라인들 중 제2 비트라인(BL2) 및 제2 상보 비트라인(/BL2)이 교차되는 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 셀(22)은 제1 워드라인(WL1)과, 제2 비트라인(BL2) 및 제2 상보 비트라인(/BL2)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M7, M8)와 전압 제어부(10)로부터 전원 전압을 제공받는 데이터 저장 영역(MC)을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 영역(MC)은 교차 결합된 한 쌍의 인버터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데이터 저장 영역(MC)은 제1 PMOS 트랜지스터(M9)와 제1 NMOS 트랜지스터(M11)로 이루어진 제1 인버터 및 제2 PMOS 트랜지스터(M10)와 제2 NMOS 트랜지스터(N12)로 이루어진 제2 인버터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저장 영역(MC)은 제1 및 제2 PMOS 트랜지스터(M9, M10) 대신에 저항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압 제어부(10)에서 제공되는 전압은 메모리 셀(22)에 제공되기에 앞서 제1 노드(N1)에 연결된 더미 셀(21)에 먼저 제공된다. 따라서, 메모리 셀(22)에 대한 쓰기 동작이 시작될 때, 메모리 셀(22)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은 제1 노드(N1)에서 안정적으로 감소된 상태, 즉, 전원 전압(VDD)에서 PMOS 트랜지스터(13)의 문턱 전압(Vtp)이 감소된 상태이다. 이로써, 메모리 셀(22)에 대한 쓰기 동작이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더미 셀을 포함하지 않아서, 전압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전원 전압이 바로 메모리 셀에 제공되었다. 그에 따라, 메모리 셀에 대한 쓰기 동작이 시작될 때, 메모리 셀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의 감소가 시작되는바, 쓰기 보조 회로를 포함하더라도 쓰기 동작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
또한, 일반적으로 메모리 셀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의 감소는 메모리 셀에 흐르는 전류(Iwrite)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전압 제어부와 메모리 셀 사이의 노드에서 메모리 셀을 바라볼 때의 커패시턴스에 비해, 메모리 셀에 흐르는 전류(Iwrite)가 충분히 크지 못했다. 따라서, 제한된 쓰기 동작 시간, 즉, 워드라인이 "온" 상태인 시간 내에 전원 전압의 충분한 감소가 일어나지 못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셀의 커패시턴스가 400 fF이고, 메모리 셀에 흐 르는 전류(Iwrite)가 5 uA이고, 쓰기 동작 시간이 2 ns인 경우, 전원 전압의 감소는 25 mV 정도에 불과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압 제어부(10)와 메모리 셀(22) 사이에 더미 셀(21)을 배치할 경우에 쓰기 동작 시간, 즉, 제1 워드라인(WL1)이 "온" 상태인 시간에 제1 노드(N1)에서 전원 전압의 감소가 일어난 후, 제2 노드(N1)에 감소된 전원 전압이 공급되므로, 메모리 셀(22)의 쓰기 동작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쓰기 전압의 마진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액세스 트랜지스터(M7)는 제1 워드라인(WL1)과 연결되는 게이트와 제2 비트라인(BL2)과 연결되는 드레인을 갖는 NMOS 트랜지스터이고,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M8)는 제1 워드라인(WL1)과 연결되는 게이트와 제2 상보 비트라인(/BL2)과 연결되는 소스를 갖는 N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400 단계에서, 복수의 메모리 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전원 전압의 레벨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 및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410 단계에서, 상기 제어된 전원 전압을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에 제공한 후,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에 제공한다.
420 단계에서, 상기 제어된 전원 전압을 수신하여, 복수의 워드라인들 및 복수의 비트라인들의 전압 레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각각에 대하여 읽기 동작 또는 쓰기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은 각각 상기 제어된 전원 전압을 제공받고, 교차 결합된 제1 및 제2 인버터들과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각각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 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라 함은 특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컴퓨터 등이 정보처리능력을 갖는 장치 내에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되는 일련의 지시 명령으로 표현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컴퓨터라는 용어도 실제 사용되는 명칭에 여하를 불구하고 메모리, 입출력장치, 연산장치를 구비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특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처리능력을 가진 모든 장치를 총괄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 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포함된 전압 제어부 및 메모리 셀 어레이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압 제어부 및 메모리 셀 어레이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4)

  1. 복수의 워드라인들;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과 교차하는 복수의 비트라인들;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과 상기 복수의 비트라인들이 교차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메모리 셀들;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에 제공되는 전원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 및
    상기 전압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전압을 소정의 레벨로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은,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각각에 포함된 제1 및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의 채널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은 각각
    상기 전원 전압을 제공받고, 교차 결합된(cross-coupled) 제1 및 제2 인버터들;
    상기 비트라인들 중 제1 비트라인과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워드라인들 중 제1 워드라인에 의해 온/오프되는 상기 제1 액세스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비트라인에 대응되는 제1 상보 비트라인과 상기 제2 인버터의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워드라인에 의해 온/오프되는 상기 제2 액세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파워 게이팅(gating) 제어 신호 및 쓰기 인에이블(enable)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 및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논리 게이트; 및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게이트는 상기 파워 게이팅 제어 신호 및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에 대하여 NAND 연산을 수행하는 NAND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전원 전압을 제공받는 소스 및 상기 논리 게이트의 출력과 연결되는 게이트를 가지는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쓰기 인에이블 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메모리 셀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더미 셀에 대한 쓰기 동작을 보조하는 쓰기 보조(assist)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보조 회로는 상기 제1 피모스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전원 전압을 제공받는 소스 및 상기 제1 피모스 트 랜지스터의 드레인의 출력과 연결되는 게이트를 가지는 제2 피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80088473A 2008-09-08 2008-09-08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446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473A KR101446337B1 (ko) 2008-09-08 2008-09-08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US12/500,242 US7978554B2 (en) 2008-09-08 2009-07-09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473A KR101446337B1 (ko) 2008-09-08 2008-09-08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632A KR20100029632A (ko) 2010-03-17
KR101446337B1 true KR101446337B1 (ko) 2014-10-02

Family

ID=4179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473A KR101446337B1 (ko) 2008-09-08 2008-09-08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978554B2 (ko)
KR (1) KR101446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9936B2 (en) * 2010-07-06 2014-02-25 Faraday Technology Corp. Low power static random access memory
KR101799482B1 (ko) * 2010-12-29 2017-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입 어시스트 회로를 포함하는 정적 메모리 장치
US8775108B2 (en) * 2011-06-29 2014-07-08 Duke University Method and architecture for pre-bond probing of TSVs in 3D stacked integrated circuits
US9026808B2 (en) 2012-04-26 2015-05-0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mory with word level power gating
US9317087B2 (en) * 2012-04-26 2016-04-19 Ravindraraj Ramaraju Memory column drowsy control
US9875789B2 (en) * 2013-11-22 2018-01-2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3D structure for advanced SRAM design to avoid half-selected issue
US10163524B2 (en) 2016-06-22 2018-12-25 Darryl G. Walke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voltage detection circuit and temperature detection circuit that can be used to generate read assist and/or write assist in an SRAM circuit portion and method therefor
US10014049B2 (en) 2016-06-22 2018-07-03 Darryl G. Walker Semiconductor devices, circuits and methods for read and/or write assist of an SRAM circuit portion based on voltage detection and/or temperature detection circuits
US11955171B2 (en) 2021-09-15 2024-04-09 Mavagail Technology, LLC Integrated circuit device including an SRAM portion having end power select circui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4143B1 (en) 2003-04-02 2004-10-12 Cogent Chipware Inc. Write-assisted SRAM bit cell
US7292485B1 (en) * 2006-07-31 2007-11-0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RAM having variable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for
US20070263447A1 (en) 2006-05-09 2007-11-15 Tsuyoshi Koike Static semiconductor memory
US7324368B2 (en) 2006-03-30 2008-01-29 Arm Limited Integrated circuit memory with write assis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9354B2 (en) 2006-05-16 2008-05-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voltage control for SRAM write assist circui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4143B1 (en) 2003-04-02 2004-10-12 Cogent Chipware Inc. Write-assisted SRAM bit cell
US7324368B2 (en) 2006-03-30 2008-01-29 Arm Limited Integrated circuit memory with write assist
US20070263447A1 (en) 2006-05-09 2007-11-15 Tsuyoshi Koike Static semiconductor memory
US7292485B1 (en) * 2006-07-31 2007-11-0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RAM having variable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78554B2 (en) 2011-07-12
US20100061171A1 (en) 2010-03-11
KR20100029632A (ko)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33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05554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JP4873182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799482B1 (ko) 기입 어시스트 회로를 포함하는 정적 메모리 장치
US7259986B2 (en) Circuit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w voltage, high performance register files
US6556471B2 (en) VDD modulated SRAM for highly scaled, high performance cache
US7499310B2 (en) Bit line voltage supply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voltage supplying method therefor
JP2004355689A (ja) 半導体装置
JP2009505315A (ja) 独立の読み書き回路を有するsramセル
US20140269008A1 (en) Non-volatile memory using bi-directional resistive elements
JP2006059523A (ja) メモリーセル
TW200418028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its refreshing method
WO2010137198A1 (ja) 半導体記憶装置
US20190392911A1 (en) Antifuse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959916B2 (en) Dual rail memory, memory macro and associated hybrid power supply method
US20220215870A1 (en) 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read and write thereof
US7535788B2 (en) Dynamic power control for expanding SRAM write margin
US6731546B2 (en) SRAM power-up system and method
TWI796112B (zh) 控制電路、讀取開關驅動電路及控制位元線預充電電路的方法
US7505354B2 (en) Word line voltage control circuit for memory devices
US768423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ow power SRAM based on stored data
KR2010002841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 방법
JP5564829B2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80047440A1 (en) Method for autocorrective writing to a multiport stat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KR101927583B1 (ko) 로컬 비트 라인 공유 메모리 소자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