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316B1 - Anti Slos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nti Slos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316B1
KR101444316B1 KR1020120047555A KR20120047555A KR101444316B1 KR 101444316 B1 KR101444316 B1 KR 101444316B1 KR 1020120047555 A KR1020120047555 A KR 1020120047555A KR 20120047555 A KR20120047555 A KR 20120047555A KR 101444316 B1 KR101444316 B1 KR 101444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loshing
groove
prevention devic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5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3989A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316B1/en
Publication of KR2013012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3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2Anti-slosh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25Bulk storage in barges or on sh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6Preventing slo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화물의 슬로싱을 방지하는 슬로싱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는 서로 이웃하여 결합되는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각각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osh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sloshing of a fluid cargo, wherein a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which are adjacently joined to each oth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includes: a body portion includ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Description

슬로싱 방지 장치{Anti Sloshing Apparatu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slo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화가스 또는 액체 수송선에 저장되는 액체화물의 슬로싱을 방지하기 위한 슬로싱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osh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sloshing of a liquid cargo stored in a liquefied gas or liquid transportation line.

일반적으로 유조선이나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은 화물탱크(cargo tank)에 원유 혹은 액화천연가스와 같은 액체상태의 화물을 적재하여 수송한다.Typically, oil tankers or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s transport cargo tanks with liquid cargoes such as crude oil or liquefied natural gas.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Natural gas is transported in a gaseous state through land or sea gas pipelines, or is transported to a remote location where it is stored in an LNG carrier in the form of liquefied natural gas (LNG).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Liquefied natural gas is obtained by cooling natural gas at cryogenic temperatures (approximately -163 ° C), and its volume is reduced to approximately 1/600 of that of natural gas, making it well suited for long-distance transport through the sea.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기 위한 LNG 수송선은,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LNG 저장탱크를 포함한다.The LNG carrier for loading LNG and landing on the sea to the sea includes LNG storage tanks that can withstand cryogenic temperatures of liquefied natural gas.

LNG 저장탱크 내부에 LNG가 대략 30 ~ 50% 정도 부분적으로 적재되어 있을 때 슬로싱에 의한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LNG 수송선의 경우에는 이러한 부분 적재 상태를 피할 수 있도록 인위적으로 LNG를 저장탱크 내에 가득 채우거나 완전히 비운 상태에서 운항하도록 하고 있다.Since LNG storage tanks are partially loaded with approximately 30-50% of the LNG load, the load caused by sloshing is the largest. Therefore, in case of the LNG transporting line, the LNG is artificially stored in the storage tank And it is operated in a completely empty state.

액체화물은 선박이 정지한 상태에서는 액위(level)가 어느 정도 수평을 유지하지만 파도나 해풍이 심한 환경에서는 피칭(pitching)이나 롤링(rolling) 현상으로 인해 탱크 내에서 슬로싱이 발생한다. 특히, 항해 중인 경우 이러한 슬로싱 현상은 더욱 극심해진다.Liquid cargo keeps the level to a certain level when the ship is stopped, but sloshing occurs in the tank due to pitching or rolling phenomenon in a wave or sea breeze environment. Especially, when the ship is in voyage, this sloshing phenomenon becomes more serious.

슬로싱(sloshing)이란, 액체화물이 저장된 탱크 내부에서 요동치면서 유동하는 액체유동 현상이 발생되면서 상기 액체화물이 탱크 내벽을 강타하여 손상을 야기하며, 이러한 슬로싱에 의한 충격이 계속 반복되면서 탱크 내부에 피로로 인한 균열(crack)로 인한 파괴를 유발하기 때문이다.The sloshing is a phenomenon in which a liquid flow phenomenon occurs in which a liquid is swirled while flowing in a tank in which a liquid is stored, and the liquid is struck on the inner wall of the tank to cause damage, Which is caused by fatigue cracks.

또한, 탱크의 고유주파수와 탱크에 저장된 액체화물 자체가 가지는 고유주파수가 어느 순간 비슷해져 공진(resonance)이 발생되면, 탱크의 진동이 극심해지면서 소음 및 떨림이 발생되는 현상이 유발되었다.In addition, when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tank is equal to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liquid cargo stored in the tank at any moment, resonance occurs, which causes noise and trembling due to extreme vibration of the tank.

이러한 슬로싱 현상에 의한 탱크의 파괴는 초저온의 LNG 운반선의 경우 더욱 문제시 되는데, 이는 금속이 일반적으로 저온으로 냉각되면 약한 충격에도 깨어지기 쉬운 취성(brittle) 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이다.The failure of the tank due to this sloshing phenomenon is more problematic for cryogenic LNG carriers because the metal generally changes to a brittle state that is susceptible to break even if it is cooled to low temperatures.

이러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LNG 탱크는 그 내부에 초저온의 LNG를 수용하고 있으므로 매우 취약한 상태에 놓이게 되며, 선박의 운행 도중 롤링이나 피칭 등의 선체 요동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슬로싱 현상에 의해 탱크가 파괴될 위험이 더욱 가중된다.Since the LNG tank made of such a metal material contains cryogenic LNG in its inside, it is in a very weak stat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hip, the tank is destroyed by the sloshing phenomenon described above by rolling of the hull such as rolling or pitching The risk of becoming more severe.

뿐만 아니라 최근 선박이 대형화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러한 슬로싱 문제는 점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설계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설계인자가 되고 있다.In addition, the recent sloshing problem has become an increasingly important issue and has become an important design factor to consider when designing.

이러한 슬로싱을 줄이기 위한 공지기술을 살펴보면 탱크의 구조를 변경하여 슬로싱을 감소시키는 것이 대부분이다.A known technique for reducing such sloshing is to reduce the sloshing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tank.

종래의 슬로싱 방지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conventional sloshing preven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슬로싱 방지 장치(5)는 선박(1)의 화물탱크(2) 내부에 슬로싱 방지 장치(5)가 부유된 상태로 설치되었다. 상기 슬로싱 방지 장치(5)는 다수개의 부유체(6)가 체인(8)에 의해 서로 간에 연결된 상태로 화물탱크(2)의 내부에 설치된다.1, the conventional anti-sloshing device 5 is installed in the cargo tank 2 of the vessel 1 in a state where the anti-sloshing device 5 is floated.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5 is installed inside the cargo tank 2 with a plurality of float 6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hain 8.

이와 같이 설치된 종래의 슬로싱 방지 장치(5)는 화물탱크(2) 에서 슬로싱 이 발생될 경우에 이를 안정적으로 감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되어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The conventional sloshing prevention apparatus 5 installed in this way has a problem that it can not stably attenuate sloshing in the cargo tank 2, and measures have to be take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4283호 (공개일: 2011년05월04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54283 (Published on May 04, 201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조선 또는 LNG 수송선에 저장되는 액체화물의 슬로싱(Sloshing)을 억제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suppress sloshing of liquid cargo stored in an oil tanker or an LNG carri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물탱크의 손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이를 통한 선박의 운행 안전성을 도모 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 damage to cargo tanks and enhance the safety of the ship through the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는 서로 이웃하여 결합되는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각각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which are adjacently joined to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includes a body portion includ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상기 제1 블록은 상면이 유체화물과 접촉할 때, 상기 제2 블록의 하면이 상기 유체화물과 접촉한다.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ck contacts the fluid carg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lock contacts the fluid cargo.

상기 제1 블록의 연결부와 상기 제2 블록의 연결부가 서로 결합하되, 상기 제1 블록의 연결부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의 연결부는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포함한다.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block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block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block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block includes a groove portion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돌기부와 홈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부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extend in parallel to the sid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상기 돌기부는 상기 홈부에 슬라이딩되며 결합된다. The protrusion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groove.

상기 제1 블록의 연결부와 상기 제2 블록의 연결부를 관통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한다.And a coupling pin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block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block.

상기 제1 및 제2 블록의 연결부 각각은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한다.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상기 체결홈은 상기 몸체부의 측부와 나란하게 연장된다.The fastening groove extends parallel to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체결홈과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체결홈은 서로 마주하게 되어 체결홀이 형성되되, 상기 상기 체결홀에 위치하는 체결빔을 더 포함한다.The fastening groove of the first block and the fastening groove of the second block are opposed to each other to form a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beam is located in the fastening hole.

상기 연결부와 체결빔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한다.
And a coupling pin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part and the coupling bea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에서의 슬로싱 발생을 억제하여 선박의 조정 안정성과, 화물탱크의 파손을 방지하고 액체 화물의 움직을 최소화하여 선박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suppressing occurrence of sloshing in a ship to prevent adjustment stability of a ship, breakage of a cargo tank, minimize movement of liquid cargo, and improve moving speed of a ship.

도 1은 종래의 슬로싱 방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에 구비된 제1,2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2 블록에 포함된 연결부의 정면도.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에 구비된 제1,2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1,2 블록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에 설치된 체결빔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B부분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에 구비된 제1,2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1,2 블록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에 설치된 체결빔의 사시도.
도 15는 도 11의 C부분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의 사용 상태도.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loshing prevention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blocks provided in the slos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shown in Fig. 3; Fig.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blocks provided in the slos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shown in FIG. 6;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stening beam installed in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B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rst and second blocks provided in the slos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shown in FIG. 10;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beam installed in a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C of Fig.
16 is a state of use of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에 포함된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3 의 블록에 포함된 연결부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included in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11a)는 육면체로 이루어진 제1 블록(101a)과 제2 블록(102a)를 포함하고, 제1,2 블록(101a,102a)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2 to 5,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ock 101a and a second block 102a each formed of a hexahedron, , And two blocks 101a and 102a.

상기 제1 블록(101a)과 제2 블록(102a)은 서로 이웃하여 다수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슬로싱 방지 장치(11a)가 설치되는 면적에 따라 결합되는 개수가 변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은 다수 개가 서로 간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나, 상기 상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설계 사양과 화물탱크(2)의 크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A plurality of the first blocks 101a and the second blocks 102a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number of the first blocks 101a and the second blocks 102a may vary depending on the area where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a is installed. It is noted that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are installed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blocks are coupled with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state, and it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design specification and the size of the cargo tank 2.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은 상면(111a) 및 하면(112a)을 포함하는 몸체부(110a)(도 4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111a)과 하면(112a)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에서는 제1 및 제2 연결부(120a, 130a)와 단차를 가지는 몸체부(110a)의 일면을 상면(111a)이라 하고, 제1 및 제2 연결부(120a, 130a)와 단차를 가지지 않는 몸체부(110a)의 일면을 하면(112a)이라 하며, 상기 상면(111a)과 하면(112a)은 몸체부(110a)에서 서로 반대의 면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are formed with a body portion 110a (see FIG. 4) including an upper surface 111a and a lower surface 112a. The upper surface 111a and the lower surface 112a ar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a having a stepped por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20a and 130a,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a having no step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20a and 130a is referred to as a lower surface 112a and the upper surface 111a and the lower surface 112a are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110a, Can be opposite to each other.

한편,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블록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은 유체화물(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체화물(L)과 몸체부(110a)의 상면(111a)이 접하는 블록을 제1 블록(101a)라 하고, 유체화물(L)과 몸체부(110a)의 하면(112a)이 접하는 블록을 제2 블록(102a)이라 한다. 이에 따라, 제1 블록(101a)의 상면(111a)이 유체화물(L)과 접촉할 때, 제2 블록(102a)의 하면(112a)은 유체화물(L)과 접촉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block and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may be defined as positions relative to the fluid cargo L. [ A block in which the fluid L and the upper surface 111a of the body 110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referred to as a first block 101a and the fluid is compressed by the fluid L and the lower surface 112a of the body 110a The block is referred to as a second block 102a. The lower surface 112a of the second block 102a can be in contact with the fluid material L when the upper surface 111a of the first block 101a contacts the fluid material L.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몸체부(110a)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예를 들어, 다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a)는 어느 하나의 변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연결부(120a)와, 다른 하나의 변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2 연결부(130a)를 포함한다. 3 to 4, the body 110a may have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a polyhedron. The body portion 110a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ortion 120a extending along one side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a extending along the other side.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 예에서는 도 3을 기준으로 a와 a'위치에는 제1 연결부(120a)가 형성되고, b와 b' 위치에 제2 연결부(130a)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nection portion 120a may be formed at the positions a and a ',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a may be formed at the positions b and b' .

예를 들어, 몸체부(110a)의 일면이 사각형인 육면체인 경우, 몸체부(110a)의 측부는 4면일 수 있다. 이때, 4면의 각각에 제1 연결부(120a) 또는 제2 연결부(130a)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a)의 측부에 2개의 제1 연결부(120a)가 위치할 경우, 이들 제1 연결부(120a)는 서로 직각이 되도록 위치(도 3 참조)되거나,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one side of the body 110a is a rectangular hexahedron, the side of the body 110a may be four sides.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a or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a may be positioned on each of the four surfaces. For example, when two first connection portions 120a are located on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a, the first connection portions 120a may be position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see FIG. 3) or parallel to each other .

한편, 제1 연결부(120a)가 위치하지 않는 몸체부(110a)의 나머지 측부에 제2 연결부(130a)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130a)도 제1 연결부(120a)와 유사하게, 서로 직각이 되도록 위치(도 3 참조)되거나,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에 포함된 제1 및 제2 연결부(120a, 130a)의 개수와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상태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변동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a may b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110a where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a is not positioned. In other words,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130a may be positioned (see FIG. 3)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similar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s 120a, or may be positioned parallel to each other. Meanwhile, it is noted that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20a and 130a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tates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vary.

제1 연결부(120a)는 몸체부(110a)의 상면(111a)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단차를 가지는 제1 단차부(121a)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단차부(121a)로부터 몸체부(110a)의 상면(111a)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123a)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0a includes a first step part 121a having a step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111a of the body part 110a. And includes a protrusion 123a protruding from the first step portion 121a toward the upper surface 111a of the body portion 110a.

제1 연결부(120a)는 몸체부(110a)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제1 연결부(120a)와 몸체부(110a)를 각각 개별 피스로 제작한 후에 이를 하나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a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110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by assembl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a and the body portion 110a into individual pieces and then combining them into one piece It is possible.

제1 연결부(120a)의 두께(b+c)는 몸체부(110a)의 두께(a)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단차부(121a)의 두께(b)와 돌기부(123a)의 두께(c)에 따른 합은 몸체부(110a)의 두께(a) 이하일 수 있다.The thickness b + c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a may be made relatively thinner than the thickness a of the body portion 110a. That is, the sum of the thickness b of the first step 121a and the thickness c of the protrusion 123a may be less than the thickness a of the body 110a.

제2 연결부(130a)는 몸체부(110a)의 상면(111a)과 단차를 가지는 제2 단차부(131a)를 포함한다. 제2 연결부(130a)는 제2 단차부(131a)로부터 몸체부(110a)의 하면(112a)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를 가지고 만입된 홈부(133a)를 포함한다. 상기 홈부(133a)에는 전술한 돌기부(123a)가 삽입되고, 상기 돌기부(123a)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a includes a second step 131a having a step with the upper surface 111a of the body part 110a.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a includes a groove portion 133a recessed from the second step portion 131a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112a of the body portion 110a. The protrusion 123a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33a and correspond to the protrusion 123a. However, the protrusion 123a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연결부(130a)는 몸체부(110a)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제2 연결부(130a)와 몸체부(110a)를 각각 개별 피스로 제작한 후에 이를 하나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a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110a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a and the body portion 110a may be formed into individual pieces and then joined together It is possible.

제2 단차부(131a)의 두께(e)는 몸체부(110a)의 두께(a)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단차부(131a)에 형성된 홈부(133a)의 깊이(c)는 제1 연결부(120a)에 형성된 돌기부(123a)의 두께(c)에 대응될 수 있다.
The thickness e of the second step 131a may be relatively thinner than the thickness a of the body 110a. The depth c of the groove 133a formed in the second step 131a may correspond to the thickness c of the protrusion 123a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a.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제1 연결부(120a)와 제2 연결부(130a)는 서로 간에 결합되면서, 제1,2 블록(101a, 102a)이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120a)의 돌기부(123a)가 제2 연결부(130a)의 홈부(133a)에 삽입되면서, 제1 연결부(120a)와 제2 연결부(130a)가 서로 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블록(101a)과 제2 블록(102a)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20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may be fixed. That is, the protrusion 123a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a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3a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a,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a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a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This makes it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coupled state of the first block 101a and the second block 102a.

제1 연결부(120a)의 돌기부(123a)는 제2 연결부(130a)와의 결합에 따른 체결력 향상을 위해, 하측으로 갈수록 돌기부(123a)의 내측으로 경사진 제1 경사부(125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경사부(125a)는 도 4를 기준으로 돌기부(123a)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돌기부(123a)의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23a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120a includes a first inclined part 125a inclined inwardly of the protrusion 123a toward the lower side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due to the coupling with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a.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5a may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protrusion 123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trusion 123a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제1 경사부(125a)는 제1 단차부(121a)의 상면과 제1 각(θ1)을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제2 연결부(130a)의 홈부(133a)는 상측으로 갈수록 홈부(133a)의 내측으로 경사진 제2 경사면(135a)을 포함한다. 이때, 제2 경사부(135a)의 가상 연장선(137a)과 제2 단차부(133a)가 제2 각(θ2)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1 각(θ1)과 제2 각 (θ2)의 합(θ1+θ2)은 180˚의 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inclined portion 125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first angle? 1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tepped portion 121a. The groove 133a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0a includes a second inclined surface 135a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groove 133a toward the upper side. At this time, the imaginary extension line 137a and the second stepped portion 133a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35a can form the second angle? 2, and the sum of the first angle? 1 and the second angle? (? 1 +? 2) can be made at an angle of 180 degree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제1,2 연결부(120a, 130a)는 몸체부(110a)의 측부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1 연결부(120a)의 돌기부(123a)와 제2 연결부(130a)의 홈부(133a)도 몸체부(110a)의 측부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때, 돌기부(123a) 또는 홈부(133a)의 상하방향에서 돌기부(123a) 또는 홈부(133a)를 가압하여 돌기부(123a)와 홈부(133a)가 결합될 수 있지만, 보다 용이하게 돌기부(123a)와 홈부(133a)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돌기부(123a)를 홈부(133a)의 일측에서 삽입시킨 상태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시키며, 홈부(133a)에 돌기부(123a)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20a and 130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tended in parallel to the side portions of the body portion 110a. The protrusion 123a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a and the groove portion 133a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a extend in parallel to the sid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a.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23a or the groove 133a can be coupled by pressing the protrusion 123a or the groove 133a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23a or the groove 133a,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 123a is slid to the other side while being inserted from one side of the groove 133a and the protrusion 123a is coupled to the groove 133a in order to engage the groove 133a.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에 설치된 결합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engagement pin provided in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결합핀(151a)은 제1 블록(101a)의 제2 연결부(130a)와 제2 블록(102a)의 제1 연결부(120a)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2 and 5, the coupling pin 151a is installed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0a of the first block 101a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0a of the second block 102a.

상기 결합핀(151a)은 제1 연결부(120a)의 돌기부(123a)와 제2 연결부(130a)의 홈부(133a)가 서로 간에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고, 이로 인해 제1 블록(101a)과 제2 블록(102a)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술할 고정판(153a)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결합핀(151a)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in 151a is provided to prevent the projecting portion 123a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20a and the groove portion 133a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0a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where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block 101a and the second block 102a can be improved. A thread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oupling pin 151a for stable engagement with the fixing plate 153a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결합핀(151a)의 양단에는 고정판(153a)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53a)은 결합핀(151a)이 제1 블록(101a) 및 제2 블록(102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53a)은 결합핀(151a)이 삽입되는 홀(미도시)이 중앙에 형성되고, 내측에 결합핀(151a)과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간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A fixing plate 153a may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pin 151a. The fixing plate 153a can prevent the engagement pin 151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block 101a and the second block 102a. In the fixing plate 153a, a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coupling pin 151a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center, and a thread is screwed with the coupling pin 151a at the inner side, have.

한편, 결합핀(151a)과 고정판(153a)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핀(151a)이 제1 블록(101a) 및 제2 블록(102a)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결합핀(151a)의 고정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블록(101a)의 제2 연결부(130a)와 제2 블록(102a)의 제1 연결부(120a)를 관통한 결합핀(151a)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ㄱ자 형태로 일측으로 절곡되며, 결합핀(151a)이 제1 블록(101a)과 제2 블록(102a)에 고정될 수도 있다. The engagement pin 151a is fixed to the first block 101a and the second block 102a by the screw connection of the engagement pin 151a and the fixing plate 153a.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n upper end portion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coupling pin 151a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30a of the first block 101a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0a of the second block 102a are bent in one direction And the engagement pin 151a may be fixed to the first block 101a and the second block 102a.

상기 결합핀(151a)은 제1,2 연결부(120a,130a)의 상면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개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A plurality of the engagement pins 151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20a and 130a, and the number of the engagement pins 151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에 포함된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블록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9는 체결빔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6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A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os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included in the slos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beam, and Fig.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 in Fig.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11b)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마찬가지로 제1 블록(101b)과 제2 블록(102b)으로 이루어진 점은 유사하고, 상기 제1,2 블록(101b,102b)이 체결빔(162b)(도 9 참조)을 매개로 서로 간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6-10,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at the first block 101b and the second block 102b The points made are similar and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b and 102b have a difference in which they are kept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astening beam 162b (see Fig. 9).

제1 블록(101b)과 제2 블록(102b)은 서로 이웃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슬로싱 방지 장치(11b)에 포함된 제1 및 제2 블록(101b, 102b)은 슬로싱 방지 장치(11b)가 설치되는 면적에 비례하여 다수 개가 서로 간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나, 설계 사양과 화물탱크(2)의 크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b and 102b included in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b may be coupled to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b ) Of the cargo tanks 2 can b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roportion to the area where the cargo tanks 2 are installed. However, it can be varied depending on design specifications and the size of the cargo tanks 2.

제1 및 제2 블록(101b, 102b)은 상면(111b) 및 하면(112b)을 포함하는 몸체부(110b)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111b)과 하면(112b)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이하에서는, 연결부(130b)와 단차를 갖는 몸체부(110b)의 일면을 상면(111b)이라 하고, 연결부(130b)와 단차를 갖지 않는 몸체부(110b)의 일면을 하면(112b)이라 한다. 상면(111b)과 하면(112b)은 몸체부(110b)에서 서로 반대의 면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b and 102b are formed with a body portion 110b including an upper face 111b and a lower face 112b and the upper face 111b and the lower face 112b are relative concepts,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b having a step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30b is referred to as an upper surface 111b and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10b having no step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30b is referred to as a lower surface 112b. The upper surface 111b and the lower surface 112b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body portion 110b.

한편, 제1 및 제2 블록(101b, 102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블록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블록(101b, 102b)은 유체화물(L)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유체화물(L)과 몸체부(110b)의 상면(111b)이 접하는 블록을 제1 블록(101b)라 하고, 유체화물(L)과 몸체부(110b)의 하면(112b)이 접하는 블록을 제2 블록(102b)이라 한다. 이에 따라, 제1 블록(101b)의 상면(111b)이 유체화물(L)과 접촉할 때, 제2 블록(102b)의 하면(112b)은 유체화물(L)과 접촉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b and 102b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block and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b and 102b may be defined as positions relative to the fluid cargo L. [ A block in which the fluid L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11b of the body portion 110b is referred to as a first block 101b and a block 112b in which the fluid body L and the lower surface 112b of the body portion 110b are in contact The block is referred to as a second block 102b. The lower surface 112b of the second block 102b can be in contact with the fluid material L when the upper surface 111b of the first block 101b contacts the fluid material L.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11b)에 포함된 몸체부(110b)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body portion 110b included in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몸체부(110b)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예를 들어, 다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b)의 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부(130b)가 구비된다6 to 8, the body 110b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may be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for example. Further, a connecting portion 130b i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b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110b)는 도 7을 기준으로 a, b, c, d위치에 연결부(130b)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30b)는 몸체부(110b)의 상면(111b)과 단차를 갖는 단차부(131b)를 포함한다.The body portion 11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onnection portion 130b at the positions a, b, c and d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e connection portion 130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b And a stepped portion 131b having a stepped portion with the stepped portion 111b.

또한, 연결부(130b)는 상기 단차부(131b)에 위치하고, 몸체부(110b)의 내측으로 만입된 체결홈(133b)을 포함한다. 연결부(130b)는 몸체부(110b)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연결부(130b)와 몸체부(110b)를 서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에 이를 하나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The connection portion 130b includes a coupling groove 133b which is located in the stepped portion 131b and is embedded i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0b. The connection portion 130b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110b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nection portion 130b and the body portion 110b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and then connected to one another .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블록(101b, 102b)에 포함된 연결부(130b)의 개수와 위치는 설명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슬로싱 방지 장치(11b)의 설계 사양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7, the number and positions of the connection portions 130b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b and 102b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the design specifications of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b . ≪ / RTI >

연결부(130b)는 몸체부(110b)의 측부와 나란하게 연장 형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130b)의 체결홈(133b)도 몸체부(110b)의 측부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홈(133b)은 트렌치(trench)형상일 수 있으나 상기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connecting portion 130b extends in parallel to the sid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b so that the engaging groove 133b of the connecting portion 130b can be extended in parallel to the sid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10b. For example, the fastening groove 133b may be in the form of a trench,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제1 블록(101b)의 연결부(130b)와 제2 블록(102b)의 연결부(130b)는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제1 블록(101b)의 체결홈(133b)과 제2 블록(102b)의 체결홈(130b)도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하게 되고, 두 개의 체결홈(130b)이 서로 간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공간인 체결홀(161b)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체결홀(161b)의 단면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형태로 한정하지 않으며, 제1,2 블록(101b, 102b)의 체결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다른 형상으로의 변경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Referring to FIG. 8, the connection part 130b of the first block 101b and the connection part 130b of the second block 102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engaging groove 133b of the first block 101b and the engaging groove 130b of the second block 102b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two engaging grooves 130b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fastening hole 161b, which is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astening hole 161b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FIG. 8, but can be changed to another shape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fasten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b and 102b Leave.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체결홀에 설치되는 체결빔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fastening beam installed in a fastening ho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체결빔(162b)은 체결홀(161b)에 안정적으로 삽입하기 위해 체결홀(161b)의 단면 형상과 유사 내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된다.9, the fastening beam 162b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or similar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astening hole 161b for stably inserting the fastening beam 162b into the fastening hole 161b.

상기 체결빔(162b)은 상기 체결홀(161b)의 일측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타측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삽입될 수 있다.
The fastening beam 162b may be slid toward the other side while being partially inserted at one side of the fastening hole 161b.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결합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coupling pi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핀(151b)은 제1 블록(101b)의 연결부(130b)와 제2 블록(102b)의 연결부(130b) 및 체결빔(162b)을 관통하여 설치된다.6 to 10, the coupling pin 151b is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130b of the first block 101b and the coupling portion 130b and the coupling beam 162b of the second block 102b do.

결합핀(151b)은 제1 및 제2 블록(101b, 102b)의 연결부(130b)와 체결빔(162b)이 맞물린 상태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제1 블록(101b)과 제2 블록(102b)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핀(151b)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소정의 길이로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에 고정판(153b)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판(153b)은 결합핀(151b)이 삽입되는 홀(미도시)이 중앙에 개구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핀(151b)이 삽입될 경우에 서로 간에 나사 결합되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된다.The coupling pin 151b prevents the coupling portion 130b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b and 102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upling beam 162b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b and 102b,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ngag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02b. A thread (not shown)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coupling pin 151b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ixing plate 153b is installed at the threaded portion. The fixing plate 153b has a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coupling pin 151b is inserted and is screwed to each other and is stably fixed when the coupling pin 151b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

한편, 결합핀(151b)과 고정판(153b)의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핀(151a)이 제1 블록(101b)과 제2 블록(102b)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결합핀(151b)의 고정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블록(101b)의 연결부(130b)를 관통한 결합핀(151a)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ㄱ자 형태로 일측으로 절곡되며, 결합핀(151a)이 제1 블록(101a)과 제2 블록(102a)에 고정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engaging pin 151a is fixed to the first block 101b and the second block 102b by the screw connection of the engaging pin 151b and the fixing plate 153b, The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an engaging pin 151a passing through a connecting portion 130b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b are bent to one side in a L-shaped form, and the engaging pin 151a is inserted into the first block 101a And the second block 102a.

상기 결합핀(151b)은 연결부(130b)의 상면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설치 개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plurality of coupling pins 15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30b, and the number of the coupling pins 151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방지 장치에 포함된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블록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체결빔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1의 C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A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lock included in the slos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oshing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beam, and Fig. 1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C of Fig.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슬로싱 방지 장치(11c)는 다면체 형태의 제1 블록(101c)과 제2 블록(102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 블록(101c, 102c)은 상면(111c)과 하면(112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2 블록(101c,102c)은 측면에 구비된 연결부(13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0c)는 단차부(131c)와 체결홈(133c)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to 15,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c of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block 101c and a second block 102c in the form of a polyhedro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c and 102c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111c and a lower surface 112c.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c and 102c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30c provided on a side surface thereof. The connection portion 130c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131c and a coupling groove 133c.

슬로싱 방지 장치(11c)는 체결홈(133c)의 형상과, 상기 체결홈(133c)에 의한 체결홀(161c)의 형상 및 체결빔(162c)의 형상을 제외하고, 제2 실시예의 슬로싱 방지 장치(11b)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c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loshing of the sloshing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 of the engagement groove 133c and the shape of the engagement hole 161c by the engagement groove 133c and the shape of the engagement beam 162c, Prevention device 11b, so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3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11c)의 체결홈(133c), 체결홀(161c) 및 체결빔(162c)의 단면 형상은 제2 실시예의 체결홈(133b), 체결홀(161b) 및 체결빔(162b)과 달리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cross sectional shapes of the engaging grooves 133c, fastening holes 161c and fastening beams 162c of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c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astening grooves 133b, fastening holes 161b, And the clamping beam 162b.

또한 제1 블록(101c)의 연결부(130c)와 제2 블록(102c)의 연결부(130c) 및 체결빔(162c)을 관통하여 결합핀(151c)이 설치되며, 상기 결합핀(151c)의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판(153c)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2 블록(101c, 102c)에 결합핀(151c)이 설치된 이후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n engaging pin 151c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connecting portion 130c of the first block 101c and the connecting portion 130c and the fastening beam 162c of the second block 102c and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pin 151c And a fixing plate 153c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c and 102c from being separated after the coupling pin 151c is install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의 작동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슬로싱 방지 장치는 제1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제2 내지 제3 실시예에 의한 슬로싱 방지 장치 또한 이와 유사하게 작동되는 것을 밝혀둔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is described as being provided with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to third embodiments also operates similarly Leave.

첨부된 도 1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우선 화물탱크(2)에 적재될 유체화물(본 실시예에서는 액화천연가스(LNG)로 설명한다)을 상기 화물탱크(2) 내부로 주입한다. 액화천연가스(LNG)의 상면에는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을 포함하는 슬로싱 방지 장치(11a)가 위치한다.16, the operator first injects the fluid cargo (referred to as liquefied natural gas (LNG) in this embodiment) to be loaded into the cargo tank 2 into the cargo tank 2. At this ti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LNG), a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a including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is locat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액화천연가스(LNG)의 주입량은 화물탱크(2) 전체 용량의 70% 가량 적재된 상태로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mount of liquefied natural gas (LNG) injected is about 70% of the total capacity of the cargo tank 2.

작업자는 액화천연가스(LNG)의 주입이 모두 완료된 상태에서, 선박(1)의 운항을 시작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선박(1)의 움직임 또는 바다의 상태에 따라 화물탱크(2)에 저장된 액화천연가스(LNG)는 부분적인 이동이 발생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물탱크(2) 내부의 액화천연가스(LNG)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되는 슬로싱이 발생 될 수 있다.The operator starts the operation of the vessel 1 in a state where the injection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LNG) is completed. In this state, the liquefied natural gas (LNG) stored in the cargo tank 2 may be partially moved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ship 1 or the sea condition. For example, sloshing may be generated in which the liquefied natural gas (LNG) in the cargo tank 2 is moved to the left, as indicated by the arrows.

좌측을 향해 이동된 액화천연가스(LNG)는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 의 좌측 하부를 들어 올리려는 상승력(F1)과, 우측 상부를 하측으로 내리려는 하강력(F2)이 발생되고,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 전체를 우측 방향으로 회전 시킬려는 회전 모멘트가 발생 된다.The liquefied natural gas (LNG) moved toward the left generates a lifting force F1 for raising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and a lowering force F2 for lowering the upper right portion And a rotation moment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in the right direction is generated.

이때,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은 액화천연가스(LNG)의 상면 전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액화천연가스(LNG)가 화물탱크(2)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힘은 모두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에 전달된다. 또한 슬로싱과 함께 일부의 액화천연가스가 개구홀(14)을 통해 슬로싱 방지장치(11a)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으나, 이는 다른 개구홀(14)을 통해 원위치 된다.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은 예를 들어, 선박(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으므로, 액화천연가스(LNG)의 출렁거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are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LNG), the liquefied natural gas (LNG) Are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respectively. Also, some liquefied natural gas with sloshing can be moved to the top of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11a through the opening hole 14, but this is returned through the other opening hole 14. [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can be continuously extended, for examp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ip 1, thereby minimizing the sluggishness of liquefied natural gas (LNG).

선박(1)에서의 슬로싱은 도면에 도시된 것 이외에 다양한 방향으로 슬로싱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예로 첨부된 도 16의 화살표 반대방향(우측방향)으로 슬로싱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좌측과 우측이 교대로 번갈아 가면서 슬로싱이 발생될 수도 있다.Sloshing in the ship 1 may occur in various directions other than those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sloshing may be gener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in FIG. 16 (rightward direction), and sloshing may occur alternately between left and right sides.

이 또한, 앞서 설명한 반대 방향으로 제1 및 제2 블록(101a, 102a)에 상승력과 하강력이 발생 되면서 슬로싱에 의한 액화천연가스(LNG)의 출렁거림이 최소화 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Also, as the uplift force and the downward force are generated in the first and second blocks 101a and 102a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sluggishness of the liquefied natural gas (LNG) by sloshing can be minimized or suppressed.

따라서, 선박의 심한 움직임이나, 파도에 의한 출렁임에도 액체화물의 출렁거림이 최소화되면서 안정적인 선박의 이동이 가능해질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ship is severely moved or the ship is sluggish due to the waves, the slippage of the liquid cargo can be minimized and the ship can be stably mov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화물탱크
11a, 11b, 11c: 슬로싱 방지 장치
101a, 101b, 101c: 제1 블록
102a, 102b, 102c: 제2 블록
2: Cargo tank
11a, 11b, 11c: Sloshing prevention device
101a, 101b, 101c:
102a, 102b, 102c:

Claims (10)

유체화물의 슬로싱(sloshing)을 방지하는 슬로싱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방지 장치는 서로 이웃하여 결합되는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각각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 위치하되 상기 유체화물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홈부는 상기 연결부의 표면으로 갈수록 각각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홈부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슬로싱 방지 장치.
A slosh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sloshing of a fluid cargo,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includes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which are adjacently joined to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comprises:
A body portion includ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ortion located at a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fluid,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block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block includes a groove portion which is recessed from a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receive the protrusion,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each include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toward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은 상면이 유체화물과 접촉할 때, 상기 제2 블록의 하면이 상기 유체화물과 접촉하는 슬로싱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block contacts the fluid cargo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lock contacts the fluid cargo.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홈부는,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서 상기 유체화물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로싱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are formed,
And a slanting prevention member extending from a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fluid.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홈부에 슬라이딩되며 결합되는 슬로싱 방지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rotruding portion
And slidably coupled to the groo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는 슬로싱 방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ngaging pin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block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block.
유체화물의 슬로싱(sloshing)을 방지하는 슬로싱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방지 장치는 서로 이웃하여 결합되는 제1 블록과 제2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블록 각각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측부에 위치하되 상기 유체화물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블록의 상기 연결부 각각은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연결부의 표면으로 갈수록 상기 체결홈의 내측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슬로싱 방지 장치.
A slosh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sloshing of a fluid cargo,
The sloshing prevention device includes a first block and a second block which are adjacently joined to each other,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comprises:
A body portion includ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nd at least one connection portion located at a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provid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fluid,
Wherein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locks includes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side,
Wherein the engaging groove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engaging groove toward th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연결부 상에서 상기 유체화물의 표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로싱 방지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astening groov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urface of the fluid on the connecting portion.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록의 상기 체결홈과 상기 제2 블록의 상기 체결홈은 서로 마주하게 되어 체결홀이 형성되되,
상기 상기 체결홀에 위치하는 체결빔을 더 포함하는 슬로싱 방지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astening groove of the first block and the fastening groove of the second block face each other to form a fastening hole,
And a fastening beam located in the fastening hol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체결빔을 관통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는 슬로싱 방지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coupling pin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part and the coupling beam.
KR1020120047555A 2012-05-04 2012-05-04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4443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555A KR101444316B1 (en) 2012-05-04 2012-05-04 Anti Slos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555A KR101444316B1 (en) 2012-05-04 2012-05-04 Anti Slosh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89A KR20130123989A (en) 2013-11-13
KR101444316B1 true KR101444316B1 (en) 2014-09-26

Family

ID=4985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555A KR101444316B1 (en) 2012-05-04 2012-05-04 Anti Slos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31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95Y1 (en) 2014-04-30 2016-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upport plate for carrying block
KR101651819B1 (en) * 2015-12-10 2016-08-29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Units assemblable type ponto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89Y1 (en) * 2007-06-21 2008-01-21 (주)에코원 Assembly Structure of Buoyant Member
KR20100056363A (en) * 2008-11-18 2010-05-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nti sloshing apparatus
KR20100068341A (en) * 2010-03-04 2010-06-23 조신제 Water Block
KR101122780B1 (en) * 2009-08-13 2012-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plate for reducing sloshing in liquid cargo tan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089Y1 (en) * 2007-06-21 2008-01-21 (주)에코원 Assembly Structure of Buoyant Member
KR20100056363A (en) * 2008-11-18 2010-05-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122780B1 (en) * 2009-08-13 2012-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a plate for reducing sloshing in liquid cargo tank
KR20100068341A (en) * 2010-03-04 2010-06-23 조신제 Water Blo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95Y1 (en) 2014-04-30 2016-05-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upport plate for carrying block
KR101651819B1 (en) * 2015-12-10 2016-08-29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Units assemblable type ponto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89A (en)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910B1 (en) Support structure for lng storage tank
KR101670869B1 (en) Device For Reducing Sloshing Of LNG Storage Tank
KR101444316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324605B1 (en) Liquid Cargo Storage Tank for Reducing Sloshing and Marin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102125113B1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and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KR101246904B1 (en) Liquid cargo storage tank and ship having the same
KR101699323B1 (en) Anti-deformation device for piperack modules of a marine structure
KR101177897B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for ship and ship including the same
KR20150003159U (en) Liquid Cargo Tank
KR101422639B1 (en) Cargo having sloshing reduction structure
KR20210117449A (en) Insulation structure for liquified gas tank and metho for forming the insulation sturucture
KR20130012857A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314817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101372865B1 (en) LNG Cargo Tank Reduced Sloshing
KR200469775Y1 (en) Cargo tank for liquid cargo
KR102469329B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KR20210098802A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of marine structure
KR101411534B1 (en) Anti-sloshing apparatus
KR101936909B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of marine structure
KR101894946B1 (en) Liquefied gas storage tank of marine structure
KR101418428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KR20210117448A (en) Insulation structure for liquified gas tank and metho for forming the insulation sturucture
KR20130012867A (en) Buoyant unit and anti slos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418427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for a liquid storage tnak on the land
KR101314819B1 (en) Anti slosh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