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764B1 -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 Google Patents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764B1
KR101443764B1 KR1020140087521A KR20140087521A KR101443764B1 KR 101443764 B1 KR101443764 B1 KR 101443764B1 KR 1020140087521 A KR1020140087521 A KR 1020140087521A KR 20140087521 A KR20140087521 A KR 20140087521A KR 101443764 B1 KR101443764 B1 KR 10144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tension bar
main beam
film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준
Original Assignee
(주)한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아테크 filed Critical (주)한아테크
Priority to KR102014008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E04H15/646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the fixing members being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22Stretch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끈으로 당겨 묶어서 긴장을 주는 천막구조나 구간마다 H 빔을 이동시켜서 고정하는 텐션 막 구조보다는 막 긴장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외막과 내막을 쉽게 설치, 해체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화하여 설치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설치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H 빔 형태의 메인 빔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에 텐션 바(또는 긴장 틀)를 끼워줌으로써, 텐션 바가 좌우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텐션 바(또는 긴장틀)는 내부에 공간이 있어 막재를 긴장시킬 수 있는 형상이며, H 빔 형태의 메인 빔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헤드끼움부에 볼트헤드를 끼우고 텐션 바 고정용 너트로 고정한 후 상기 너트 위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줌으로써, 리테이너로 막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눌러서 잡아줄 수 있고, 상기 스프링 위에 리테이너가 올려지고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한 볼트에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가 끼워짐으로써, 막재를 당겨서 긴장시켜 줄 수 있으며, 텐션 바의 양쪽 가장자리에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올려놓고 리테이너로 눌러주고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고정하여 줌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에지홀더를 만들지 않고도 리테이너와 텐션 바 사이의 양쪽 가장자리 공간에 로프가 고정되므로 막재를 긴장시킬 수 있고, 텐션 바와 접촉되는 막재 사이에 스커트 막재를 결합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막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리테이너 상부의 함몰부분의 양쪽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요철부분에 맞물려 고정되는 메인 빔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실링부재를 삽입하여 줌으로써, 텐션 바와 막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메인 빔과 수직 빔이 만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막재의 주름현상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곡면에도 주름이 없이 텐션 막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텐션 바의 바닥면에 3 내지 5㎜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막재가 느슨해지는 경우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더 조여주어 막재를 재 긴장시킬 수 있고, 기존 텐션 막 구조물에서 빔 이동시 필요한 가로부재 확장장치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Fabric tension apparatus of fabric structure}
본 발명은 종래의 끈으로 당겨 묶어서 긴장을 주는 천막구조나 구간마다 H 빔을 이동시켜서 고정하는 텐션 막 구조보다는 막 긴장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외막과 내막을 쉽게 설치, 해체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화하여 설치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설치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H 빔 형태의 메인 빔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에 텐션 바(또는 긴장 틀)를 끼워줌으로써, 텐션 바가 좌우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텐션 바(또는 긴장 틀)는 내부에 공간이 있어 막재를 긴장시킬 수 있는 형상이며, H 빔 형태의 메인 빔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헤드끼움부에 볼트헤드를 끼우고 텐션 바 고정용 너트로 고정한 후 상기 너트 위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줌으로써, 리테이너로 막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눌러서 잡아줄 수 있고, 상기 스프링 위에 리테이너가 올려지고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한 볼트에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가 끼워짐으로써, 막재를 당겨서 긴장시켜 줄 수 있으며, 텐션 바의 양쪽 가장자리에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올려놓고 리테이너로 눌러주고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고정하여 줌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에지홀더를 만들지 않고도 리테이너와 텐션 바 사이의 양쪽 가장자리 공간에 로프가 고정되므로 막재를 긴장시킬 수 있고, 텐션 바와 접촉되는 막재 사이에 스커트 막재를 결합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막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리테이너 상부의 함몰부분의 양쪽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요철부분에 맞물려 고정되는 메인 빔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실링부재를 삽입하여 줌으로써, 텐션 바와 막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메인 빔과 수직 빔이 만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막재의 주름현상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곡면에도 주름이 없이 텐션 막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텐션 바의 바닥면에 3 내지 5㎜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막재가 느슨해지는 경우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더 조여주어 막재를 재 긴장시킬 수 있고, 기존 텐션 막 구조물에서 빔 이동시 필요한 가로부재 확장장치가 필요 없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종래의 구조물의 막을 긴장시키는 경우는 끈으로 묶어서 천막을 긴장시키는 것과 텐션 막 구조물의 빔을 밀어서 긴장시키는 것이 대표적이다.
먼저 천막의 경우는 지면에 쇠파이프를 고정시키고 끈으로 당겨서 묶어 천막을 치므로 긴장에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다음으로 텐션 막 구조의 경우는 텐트를 형성시키는 하나의 구간 구간마다 H 빔을 이동시켜서 고정하기 때문에 빔을 고정하는 앙카 볼트와 기초콘크리트의 결합이 취약하고, 구간 구간마다 H 빔을 고정한 후 막을 끼워서 긴장시키므로 설치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끈으로 당겨서 묶는 천막이나 구간마다 H 빔을 이동시켜서 고정하는 텐션 막 구조보다는 막 긴장 장치를 사용하므로 구조물의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화하여 설치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설치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텐션 바의 바닥면에 3 내지 5㎜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주므로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막재가 느슨해지는 경우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더 조여주어 막재를 재 긴장시킬 수 있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2009-0069771(2009. 7. 30)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종래의 끈으로 당겨 묶어서 긴장을 주는 천막구조나 구간마다 H 빔을 이동시켜서 고정하는 텐션 막 구조보다는 막 긴장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외막과 내막을 쉽게 설치, 해체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화하여 설치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설치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 빔 형태의 메인 빔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에 텐션 바(또는 긴장 틀)를 끼워줌으로써, 텐션 바가 좌우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텐션 바(또는 긴장 틀)는 내부에 공간이 있어 막재를 긴장시킬 수 있는 형상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H 빔 형태의 메인 빔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헤드끼움부에 볼트헤드를 끼우고 텐션 바 고정용 너트로 고정한 후 상기 너트 위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줌으로써, 리테이너로 막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눌러서 잡아줄 수 있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스프링 위에 리테이너가 올려지고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한 볼트에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가 끼워짐으로써, 막재를 당겨서 긴장시켜 줄 수 있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텐션 바의 양쪽 가장자리에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올려놓고 리테이너로 눌러주고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고정하여 줌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에지홀더를 만들지 않고도 리테이너와 텐션 바 사이의 양쪽 가장자리 공간에 로프가 고정되므로 막재를 긴장시킬 수 있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텐션 바와 접촉되는 막재 사이에 스커트 막재를 결합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막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테이너 상부의 함몰부분의 양쪽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요철부분에 맞물려 고정되는 메인 빔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실링부재를 삽입하여 줌으로써, 텐션 바와 막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메인 빔과 수직 빔이 만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막재의 주름현상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곡면에도 주름이 없이 텐션 막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텐션 바의 바닥면에 3 내지 5㎜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막재가 느슨해지는 경우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더 조여주어 막재를 재 긴장시킬 수 있고, 기존 텐션 막 구조물에서 빔 이동시 필요한 가로부재 확장장치가 필요 없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는 텐션 바가 메인 빔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에 끼워져 텐션 바가 좌우로 밀리지 않게 슬릿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와, 메인 빔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볼트헤드를 끼울 수 있게 하는 볼트헤드끼움부로 구성되는 H 빔 형태의 메인 빔과; 상기 메인 빔의 슬릿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에 텐션 바가 끼워져 고정되는 텐션 바와; 상기 메인 빔의 볼트헤드끼움부에 삽입되는 볼트헤드를 포함하는 볼트와; 상기 텐션 바를 관통하여 끼워져 있는 볼트를 고정하는 텐션 바 고정용 너트와; 상기 텐션 바 고정용 너트 위에 삽입되어 리테이너로 막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눌러서 잡아줄 수 있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위에 올려지고 스프링을 누른 후 막재를 눌러주어 긴장시키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한 볼트에 끼워져 막재를 당겨서 긴장시키는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와; 상기 리테이너 상부의 함몰부분의 양쪽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요철부분에 맞물려 고정되며, 막재를 사이에 두고 텐션 바의 슬릿편과 접촉되는 메인 빔 커버;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텐션 바와 접촉되는 막재 사이에 결합되어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막재의 마모를 방지하는 스커트 막재; 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 커버는 리터이너 상부의 함몰부분의 양쪽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분에 맞물리며,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텐션 바와 막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텐션 바의 바닥면에 3 내지 5㎜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주어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막재가 느슨해지는 경우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더 조여주어 막재를 재 긴장시킬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을 형성하는 가운데 바의 양쪽에 슬릿편이 있으므로 메인 빔의 양쪽부분에 막 긴장 장치를 설치하여 이중막의 형태로 막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막 긴장 장치는 H 빔, 사각형 파이프, 원형 파이프의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종래의 끈으로 당겨 묶어서 긴장을 주는 천막구조나 구간마다 H 빔을 이동시켜서 고정하는 텐션 막 구조보다는 막 긴장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외막과 내막을 쉽게 설치, 해체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설치하는 공정을 단순화하여 설치기간을 단축시킴은 물론 설치의 편의성과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은 H 빔 형태의 메인 빔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에 텐션 바(또는 긴장 틀)를 끼워줌으로써, 텐션 바가 좌우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텐션 바(또는 긴장틀)는 내부에 공간이 있어 막재를 긴장시킬 수 있는 형상이다.
셋째, 본 발명은 H 빔 형태의 메인 빔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헤드끼움부에 볼트헤드를 끼우고 텐션 바 고정용 너트로 고정한 후 상기 너트 위에 스프링을 삽입하여 줌으로써, 리테이너로 막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눌러서 잡아줄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 위에 리테이너가 올려지고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한 볼트에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가 끼워짐으로써, 막재를 당겨서 긴장시켜 줄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텐션 바의 양쪽 가장자리에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올려놓고 리테이너로 눌러주고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고정하여 줌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의 에지홀더를 만들지 않고도 리테이너와 텐션 바 사이의 양쪽 가장자리 공간에 로프가 고정되므로 막재를 긴장시킬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텐션 바와 접촉되는 막재 사이에 스커트 막재를 결합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막재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리테이너 상부의 함몰부분의 양쪽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요철부분에 맞물려 고정되는 메인 빔 커버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실링부재를 삽입하여 줌으로써, 텐션 바와 막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메인 빔과 수직 빔이 만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막재의 주름현상이 전혀 없으며 다양한 곡면에도 주름이 없이 텐션 막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은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텐션 바의 바닥면에 3 내지 5㎜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막재가 느슨해지는 경우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더 조여주어 막재를 재 긴장시킬 수 있고, 기존 텐션 막 구조물에서 빔 이동시 필요한 가로부재 확장장치가 필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단일막 형태의 막재가 긴장되기 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중막 형태의 막재가 긴장되기 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단일막 형태의 막재가 초기 긴장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단일막 형태의 막재가 재 긴장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빔과 가로부재가 설치된 부분에 막재를 삽입하고 막 긴장 장치로 막 구조물을 긴장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단일막 형태의 막재가 긴장되기 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중막 형태의 막재가 긴장되기 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단일막 형태의 막재가 초기 긴장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단일막 형태의 막재가 재 긴장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빔과 가로부재가 설치된 부분에 막재를 삽입하고 막 긴장 장치로 막 구조물을 긴장하는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는 메인 빔(10), 돌기(11), 볼트헤드 끼움부(12), 텐션 바(20), 볼트(30), 텐션 바 고정용 너트(31),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32), 스프링(40), 리테이너(50), 메인 빔 커버(60), 막재(70), 로프(71), 스커트 막재(80), 실링부재(90) 등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는 텐션 바가 메인 빔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에 끼워져 텐션 바가 좌우로 밀리지 않게 슬릿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11)와, 메인 빔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볼트헤드를 끼울 수 있게 하는 볼트헤드끼움부(12)로 구성되는 H 빔 형태의 메인 빔(10)과; 상기 메인 빔의 슬릿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에 텐션 바가 끼워져 고정되는 텐션 바(20)와; 상기 메인 빔의 볼트헤드끼움부에 삽입되는 볼트헤드를 포함하는 볼트(30)와; 상기 텐션 바를 관통하여 끼워져 있는 볼트를 고정하는 텐션 바 고정용 너트(31)와; 상기 텐션 바 고정용 너트 위에 삽입되어 리테이너로 막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눌러서 잡아줄 수 있는 스프링(40)과; 상기 스프링 위에 올려지고 스프링을 누른 후 막재를 눌러주어 긴장시키는 리테이너(50)와;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한 볼트에 끼워져 막재를 당겨서 긴장시키는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32)와; 상기 리터이너 상부의 함몰부분의 양쪽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요철부분에 맞물려 고정되며, 막재를 사이에 두고 텐션 바의 슬릿편과 접촉되는 메인 빔 커버(60); 을 구비한다.
상기 본 발명인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를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구성과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 빔(10)은 H 빔의 형태로서, 텐션 바(20)가 메인 빔(10)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11) 사이에 끼워져 텐션 바(20)가 좌우로 밀리지 않게 슬릿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11)와, 메인 빔(10)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볼트헤드를 끼울 수 있게 하는 볼트헤드끼움부(12)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 빔(1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스틸, 목재와 같은 소재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빔(10)이 H 빔의 형태이므로, 메인 빔(10)을 형성하는 가운데 바의 양쪽에 슬릿편이 있으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부분에 막 긴장 장치를 설치하여 이중막의 형태로 막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빔(10)을 형성하는 가운데 바의 한 쪽에는 막 긴장 장치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는 조명장치, 음향장치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텐션 바(20)는 상기 메인 빔(10)의 슬릿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11) 사이에 텐션 바(20)가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텐션 바(2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스틸과 같은 금속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볼트(30)는 상기 메인 빔(10)의 볼트헤드끼움부(12)에 삽입되는 볼트헤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텐션 바 고정용 너트(31)는 상기 텐션 바(20)를 관통하여 끼워져 있는 볼트(30)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텐션 바 고정용 너트(31) 위에 삽입되어 리테이너(50)로 막재(7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눌러서 잡아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스프링(40)은 판스프링의 형태인 것이다.
상기 리테이너(50)는 상기 스프링(40) 위에 올려지고 스프링(40)을 누른 후 막재(70)를 눌러주어 긴장시키는 것이다.
상기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32)는 상기 리테이너(50)를 관통한 볼트(30)에 끼워져 막재(70)를 당겨서 긴장시키는 것이다.
상기 메인 빔 커버(60)는 상기 리테이너(50) 상부의 함몰부분의 양쪽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요철부분에 맞물려 고정되며, 막재(70)를 사이에 두고 텐션 바(20)의 슬릿편과 접촉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 빔 커버(60)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PVC가 가장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스틸과 같은 소재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 빔 커버(60)는 상기 리테이너(50) 상부의 함몰부분의 양쪽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분에 맞물리며,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실링부재(90)가 삽입되어 텐션 바(20)와 막재(70)와 실링부재(90)가 결합되는 부분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90)는 오링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실링할 수 있는 부재는 모두 가능할 것이다.
상기 스커트 막재(80)는 상기 텐션 바(20)와 접촉되는 막재(70) 사이에 결합되어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막재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막재(70)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71)를 텐션 바(20)의 바닥면에 3 내지 5㎜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주어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막재가 느슨해지는 경우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32)로 더 조여주어 막재(70)를 재 긴장시킬 수 있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빔과 가로부재가 설치된 부분에 막재를 삽입하고 막 긴장 장치로 막 구조물을 긴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과 가로부재가 설치된 부분에 막재를 삽입하고 막 긴장 장치로 막 구조물을 긴장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빔을 조립한 다음 빔 전체를 세운다. 이어서 가로부재 전체를 설치한다. 다음으로 막재 전체를 삽입한 후 막재 긴장용 볼트를 체결하여 막재를 긴장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는 알루미늄, 스틸, 목재, PVC재질의 막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막 구조물은 테니스장, 배드민턴장, 탁구장과 같은 스포츠 시설은 물론 집회 시설로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메인 빔 11: 돌기
12: 볼트헤드 끼움부 20: 텐션 바(또는 긴장 틀)
30: 볼트 31: 텐션 바 고정용 너트
32: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 40: 스프링
50: 리테이너 60: 메인 빔 커버
70: 막재 71: 로프
80: 스커트 막재 90: 실링부재

Claims (6)

  1.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에 있어서,
    텐션 바가 메인 빔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에 끼워져 텐션 바가 좌우로 밀리지 않게 슬릿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와, 메인 빔의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볼트헤드를 끼울 수 있게 하는 볼트헤드끼움부로 구성되는 H 빔 형태의 메인 빔과;
    상기 메인 빔의 슬릿편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기 사이에 텐션 바가 끼워져 고정되는 텐션 바와;
    상기 메인 빔의 볼트헤드끼움부에 삽입되는 볼트헤드를 포함하는 볼트와;
    상기 텐션 바를 관통하여 끼워져 있는 볼트를 고정하는 텐션 바 고정용 너트와;
    상기 텐션 바 고정용 너트 위에 삽입되어 리테이너로 막재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눌러서 잡아줄 수 있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위에 올려지고 스프링을 누른 후 막재를 눌러주어 긴장시키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를 관통한 볼트에 끼워져 막재를 당겨서 긴장시키는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와;
    상기 리테이너 상부의 함몰부분의 양쪽 바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요철부분에 맞물려 고정되며, 막재를 사이에 두고 텐션 바의 슬릿편과 접촉되는 메인 빔 커버;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바와 접촉되는 막재 사이에 결합되어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막재의 마모를 방지하는 스커트 막재; 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 커버는 리터이너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요철부분에 맞물리며,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실링부재가 삽입되어 텐션 바와 막재와 실링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재가 결합되어 있는 로프를 텐션 바의 바닥면에 3 내지 5㎜ 간격을 두고 고정하여 주어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막재가 느슨해지는 경우 리테이너 고정용 너트로 더 조여주어 막재를 재 긴장시킬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을 형성하는 가운데 바의 양쪽에 슬릿편이 있으므로 메인 빔의 양쪽부분에 막 긴장 장치를 설치하여 이중막의 형태로 막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막 긴장 장치는 H 빔, 사각형 파이프, 원형 파이프의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KR1020140087521A 2014-07-11 2014-07-11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KR10144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21A KR101443764B1 (ko) 2014-07-11 2014-07-11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21A KR101443764B1 (ko) 2014-07-11 2014-07-11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764B1 true KR101443764B1 (ko) 2014-09-26

Family

ID=5176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521A KR101443764B1 (ko) 2014-07-11 2014-07-11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76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357B1 (ko) 2015-01-15 2015-04-01 티원 주식회사 단일막 재인장 도입 시스템
KR101859140B1 (ko) * 2016-03-11 2018-05-17 주식회사 랜드랜 필름형 막 클램핑 장치
KR101897953B1 (ko) * 2018-03-15 2018-09-12 장성준 막 구조물용 막 긴장 장치와 그 조립방법
EP3622808A1 (de) * 2018-09-14 2020-03-18 Handelsvertretungen W. Block Industrie- und Garten GmbH & Co. KG Sprossenprofileinheit für ein foliendach an einem gewächshaus
KR20220017601A (ko) * 2020-08-05 2022-02-14 장성준 막 긴장장치가 장착된 핀 조립방식의 대공간 막구조물과 막구조물의 이동식 조립시공방법
KR102389511B1 (ko) * 2022-02-08 2022-04-25 (주)한아테크 장력 조절 장치를 갖는 막 구조물
CN114892897A (zh) * 2022-06-07 2022-08-12 北京城建十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etfe彩色膜与大跨度钢木组合桁架拱结构的张紧装置
KR102465048B1 (ko) 2021-06-30 2022-11-09 조남철 막재시공 및 재인장이 편리한 인장장치
EP4174258A1 (en) 2021-10-27 2023-05-03 European Future Structures nv Tent canvas connector, composite tent canvas, assembly aid, and method for waterproof connection of tent canvass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642B1 (ko) 2009-03-03 2011-11-30 오연수 막 구조물인양용 지지프레임
KR101094637B1 (ko) 2009-05-14 2011-12-20 주식회사 타이가 막부재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642B1 (ko) 2009-03-03 2011-11-30 오연수 막 구조물인양용 지지프레임
KR101094637B1 (ko) 2009-05-14 2011-12-20 주식회사 타이가 막부재 연결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357B1 (ko) 2015-01-15 2015-04-01 티원 주식회사 단일막 재인장 도입 시스템
KR101859140B1 (ko) * 2016-03-11 2018-05-17 주식회사 랜드랜 필름형 막 클램핑 장치
KR101897953B1 (ko) * 2018-03-15 2018-09-12 장성준 막 구조물용 막 긴장 장치와 그 조립방법
EP3622808A1 (de) * 2018-09-14 2020-03-18 Handelsvertretungen W. Block Industrie- und Garten GmbH & Co. KG Sprossenprofileinheit für ein foliendach an einem gewächshaus
KR20220017601A (ko) * 2020-08-05 2022-02-14 장성준 막 긴장장치가 장착된 핀 조립방식의 대공간 막구조물과 막구조물의 이동식 조립시공방법
KR102366707B1 (ko) * 2020-08-05 2022-02-22 장성준 막 긴장장치가 장착된 핀 조립방식의 대공간 막구조물과 막구조물의 이동식 조립시공방법
KR102465048B1 (ko) 2021-06-30 2022-11-09 조남철 막재시공 및 재인장이 편리한 인장장치
EP4174258A1 (en) 2021-10-27 2023-05-03 European Future Structures nv Tent canvas connector, composite tent canvas, assembly aid, and method for waterproof connection of tent canvasses
BE1029882A1 (nl) 2021-10-27 2023-05-24 European Future Structures Nv Tentzeilkoppelstuk, een samengesteld tentzeil, een montagehulpstuk en een werkwijze voor waterdichte koppeling van tentzeilen
KR102389511B1 (ko) * 2022-02-08 2022-04-25 (주)한아테크 장력 조절 장치를 갖는 막 구조물
CN114892897A (zh) * 2022-06-07 2022-08-12 北京城建十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etfe彩色膜与大跨度钢木组合桁架拱结构的张紧装置
CN114892897B (zh) * 2022-06-07 2024-02-23 北京城建十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etfe彩色膜与大跨度钢木组合桁架拱结构的张紧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3764B1 (ko) 막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ATE426076T1 (de) Selbstaufstellzelt mit innenkammer
KR101076264B1 (ko) 고정 구조물과 트러스 구조물의 막 긴장 장치
CN103243835A (zh) 自复位屈曲约束支撑
GB201213006D0 (en) Security fence
CU24081B1 (es) Instalación posicionadora de anclajes en la prefabricación de paneles de mortero de cemento armado
KR102465048B1 (ko) 막재시공 및 재인장이 편리한 인장장치
KR101190055B1 (ko) 막구조물에 대한 수직 장력조절수단을 갖는 서스펜션 막 구조물
KR20100026610A (ko) 수처리장 간벽장치
ATE397856T1 (de) Hagelschutzvorrichtung
KR101986181B1 (ko) 하수처리시설의 밀폐형 덮개
RU2020123960A (ru) Система сменных контейнеров
KR101517397B1 (ko) 하이테크 클램핑 방식을 이용한 막 손상 방지형 막 구조물
JP2007166974A (ja) 分解移動可能な組立式パイプハウス
PL1965001T3 (pl) System licowania budowli z uformowanymi dwuwymiarowo i/albo sferycznie strefami licowanymi
FR2814482B1 (fr) Procede de fabrication d'un element de paroi et notamment element de plafond
KR20100002793U (ko) 막 구조물의 막 지지고정구조
JP6176943B2 (ja) テント用骨格材
ATE455217T1 (de) Becken insbesondere zum baden
KR100457650B1 (ko) 양방향 와이어 텐션장치
NO20074879L (no) Forbedret pakning
JP2019044502A (ja) 止水装置
KR100893324B1 (ko) 교량 외장재 고정용 프레임
KR101030702B1 (ko) 천막의 고정구조
US20070012411A1 (en) Tensioning shee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