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516B1 -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516B1
KR101443516B1 KR1020130037249A KR20130037249A KR101443516B1 KR 101443516 B1 KR101443516 B1 KR 101443516B1 KR 1020130037249 A KR1020130037249 A KR 1020130037249A KR 20130037249 A KR20130037249 A KR 20130037249A KR 101443516 B1 KR101443516 B1 KR 101443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ipe
tension
cable installat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규
Original Assignee
이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규 filed Critical 이명규
Priority to KR1020130037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9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bringing two tubular members closer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0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alig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배전공사시 케이블포설용 지중매설관(이하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에 있어서, 케이블 포설관의 연결을 위하여 대칭 결합시 결합부에 슬롯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차 플랜지와; 상기 단차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는 링형 롤러모듈로 구성되어 케이블 포설관의 연결시 상기 케이블 포설관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롤러가 설치되게하여 케이블 포설관과 케이블 간의 마찰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케이블 포설장력(T)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Figure 112013029712717-pat00005

(T:케이블 포설장력, K: 중량보정계수, μ ;마찰계수, w:단위중량, L:길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배전공사에 있어서 케이블 포설장력이 저하됨으로써, 케이블의 수명 연장되고 시공상 비용을 절감시키며, 최적 배치를 위한 설계 고려요건을 완화시키는 케이블 포설관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Joint pipe for ELP}
본 발명은 지중배전공사시 케이블포설용 지중매설관(ELP : 이하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에 있어서, 케이블 포설관의 연결을 위하여 대칭 결합시 결합부에 슬롯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차 플랜지와; 상기 단차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는 링형 롤러모듈로 구성되어 케이블 포설관의 연결시 상기 케이블 포설관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롤러가 설치되게하여 케이블 포설관과 케이블 간의 마찰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케이블 포설장력(T)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지중배전공사에 있어서, 맨홀 설치간격(이하 '맨홀 경간')과 설치장소선정은 케이블 포설장력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에 관한 선출원 기술은 등록번호 2000175530000, 등록번호 2000458940000, 등록번호 2002101410000, 등록번호 2002034990000 와 같은 기술이 있다.
지중배전공사에 있어서 맨홀설치공사는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맨홀은 자체의 큰 부피와 무게 때문에 운반하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땅속에 매설하기도 쉽지 않으며, 맨홀의 큰 부피 때문에 교통혼잡을 일으키기도 하고, 지하의 장애물로 인하여 큰 어려움을 겪기도 하며, 맨홀의 설치 필요개소인 도로의 분기개소는 이미 타 시설물의 중요 맨홀 설치장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전체 배전 공사에서 맨홀의 설치 갯수는 시공 비용에 큰 비중을 차지하며, 케이블 포설장력은 아래의 식과 같이 맨홀 경간에 비례하므로 맨홀의 설치 갯수에 영향을 미친다.
Figure 112013029712717-pat00001
(T:케이블 포설장력, K: 중량보정계수, μ ;마찰계수, w:단위중량, L:길이)
케이블 포설관의 지중 매설시 지중 장애물을 우회하는 경우, 이러한 케이블 포설장력은 크게 증가된다.
맨홀 경간이 길어지면 전체 배전 공사에서 맨홀의 설치 개소가 적어져 공사비가 절감이 되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점이 있지만 반대로 케이블에는 포설 장력이 반비례하게 증가하게 되므로 케이블을 중간에서 절단해서 연결시키는 등의 시공 문제점이 있게된다.
즉, 지중배전공사에 있어서는 케이블의 수명을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 케이블에 허용 장력 이하의 장력이 걸려야 하는 문제점과 시공상 경제적 이점을 고려하여 맨홀 설치 경간을 증가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서로 배치되어 이를 최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주요 설계 고려요건이 되므로, 설계자는 경제적이고도 안정적인 지중배전선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케이블 포설장력을 계산하여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맨홀 경간의 한계는 케이블 포설장력에 의하여 정해지므로 맨홀 경간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케이블 포설장력 허용 한계를 확장시켜야 하는데, 종래의 케이블 포설관에 있어서는 마치 상수와 같이 고정된 값을 가지므로 설계 반영의 한계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지중배전공사에 있어서, 맨홀 설치간격은 케이블 포설장력에 의해 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중배전공사에 있어서 케이블 포설장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케이블의 수명 연장하고 시공상 비용을 절감시키며, 최적 배치를 위한 설계 고려요건을 완화시키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중배전공사시 케이블포설용 지중매설관(ELP : 이하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에 있어서, 케이블 포설관의 연결을 위하여 대칭 결합시 결합부에 슬롯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차 플랜지와; 상기 단차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는 링형 롤러모듈로 구성되어 케이블 포설관의 연결시 상기 케이블 포설관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롤러가 설치되게하여 케이블 포설관과 케이블 간의 마찰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케이블 포설장력(T)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Figure 112013029712717-pat00002
(T:케이블 포설장력, K: 중량보정계수, μ ;마찰계수, w:단위중량, L:길이)
여기서 상기 링형 롤러모듈은 케이블 포설관의 단면 내원에 일주하도록 설치된 링에 롤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형 롤러모듈은 볼형 또는 원통형 롤러를 상기 링에 연속하여 결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배전공사에 있어서 케이블 포설장력이 저하됨으로써, 케이블의 수명 연장되고 시공상 비용을 절감시키며, 최적 배치를 위한 설계 고려요건을 완화시키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시 단면 구조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시 단면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케이블 포설관(10)과 슬롯(110-2)과 단차 플랜지(110)와 링형 롤러모듈(30)로 구성된다.
지중배전공사에 있어서, 맨홀은 케이블 포설장력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하는데, 케이블 포설장력 계산에 의한 맨홀위치 선정은 경제적인 설계를 위해서 필요할 뿐 아니라 케이블 포설시 케이블에 무리한 장력이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분기점이나 굴곡이 많이 진 곳에는 맨홀을 설치하지만 케이블 포설장력 허용 한계 이내라면 맨홀설치를 생략하여도 되는 곳이 많이 있다.
도로의 분기개소에는 특히 많은 지하매설물이 설치되어 있어 맨홀설치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데 차후 분기가 예상되지 않으면 케이블 포설장력을 계산하여 허용한계 이내라면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케이블 포설장력(T)은 아래의 식과 같이 계산된다.
Figure 112013029712717-pat00003
[T:케이블 포설장력, K: 중량보정계수, μ ;마찰계수, w:단위중량, L:길이(경간 거리)]
즉, 케이블 포설장력은 케이블 자중과 포설되는 길이 및 케이블 포설관과 케이블 간의 마찰계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때, 케이블 자중과 길이는 절대값으로 변화되지 않으므로 케이블 포설장력을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마찰저항을 저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배전공사시 케이블(20)이 내설되는 케이블포설관(10)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100)에 슬롯(110-2)을 형성시키고 상기 슬롯(110-2)에 링형 롤러모듈(30)을 삽입시킨다.
상기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상호간의 결합을 위한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 내통에는 케이블 포설관(10)이 삽입 체결되는 나사홈(120)이 형성된 대칭 연결관이다.
상기 나사홈(120)은 상기 케이블 포설관(10)이 파형 주름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회전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100)의 플랜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110-1)가 형성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칭 결합시 결합부에 슬롯(110-2)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차 플랜지(110)로 형성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 포설관(10)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100)에 방수패킹(130)을 끼워넣고 연결시키면, 결합부에 슬롯(110-2)이 ㄷ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포설관(10)의 연결 전에 상기 슬롯(110-2)에는 미리 링형 롤러모듈(30)을 삽입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100)에 의해 연결된 케이블 포설관(10)은 연결부분마다 내부에 롤러(300)가 설치되므로, 상기 내부 롤러(300)에 의하여 케이블 포설관(10)과 케이블(20) 간의 마찰력을 저하되어 케이블 포설장력(T)이 낮아지게 된다.
상기 링형 롤러모듈(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포설관(10)의 단면 내원에 일주하도록 설치된 링(310)에 롤러(300)가 결합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링(310)의 직경은 상기 링형 롤러모듈(30)이 상기 슬롯(110-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케이블 포설관(10) 내부로 빠지지 않는 정도면 족하다.
또한, 상기 링형 롤러모듈(30)에 체결되는 롤러(300)는 상기 링(310)에 연속하여 결합되는 볼형 또는 원통형 롤러로 형성되어 마치 염주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케이블 포설관 내부의 케이블이 롤러에 의해 미끄러지게 되므로 케이블 포설관 내부와 케이블 간의 마찰 저항은 크게 축소되며, 이는 곧 케이블 포설저항의 축소 결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맨홀 경간에서 케이블 포설장력 한계가 확장되며 지중 장매물의 우회로 인한 케이블 포설장력의 증가에 문제도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지중배선공사시에 맨홀의 설치 위치를 보다 유동적으로 정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긴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케이블포설관 20 : 케이블
30 : 링형 롤러모듈
100 :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110 : 단차 플랜지
110-1 : 단차 110-2 :슬롯
130 : 방수패킹 300 : 롤러
310 : 링

Claims (3)

  1. 지중배전공사시 케이블포설용 지중매설관(이하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에 있어서,
    케이블 포설관의 연결을 위하여 대칭 결합시 결합부에 슬롯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차 플랜지와;
    상기 단차 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슬롯에 삽입되는 링형 롤러모듈로
    구성되어
    케이블 포설관의 연결시 상기 케이블 포설관의 내부에 등간격으로 롤러가 설치되게하여 케이블 포설관과 케이블 간의 마찰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케이블 포설장력(T)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Figure 112013029712717-pat00004

    (T:케이블 포설장력, K: 중량보정계수, μ ;마찰계수, w:단위중량, L: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롤러모듈은
    케이블 포설관의 단면 내원에 일주하도록 설치된 링에 롤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롤러모듈은
    볼형 또는 원통형 롤러를 상기 링에 연속하여 결합시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KR1020130037249A 2013-04-05 2013-04-05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KR101443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249A KR101443516B1 (ko) 2013-04-05 2013-04-05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249A KR101443516B1 (ko) 2013-04-05 2013-04-05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516B1 true KR101443516B1 (ko) 2014-09-22

Family

ID=5176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249A KR101443516B1 (ko) 2013-04-05 2013-04-05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5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542B1 (ko) * 2020-03-13 2020-08-05 (주)다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시설
CN111503371A (zh) * 2020-04-28 2020-08-07 广东德泽建设工程有限公司 滑轮组合牵引球墨铸铁管承插式防滑脱安装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126A (ja) * 1991-07-04 1993-0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空気圧送用管路接続部材
KR20020014908A (ko) * 2000-08-19 2002-02-27 변무원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의 연결구조 및 그의 연결방법
JP2002372180A (ja) 2001-06-13 2002-12-26 Nippon Kokan Pipe Fittings Mfg Co Ltd 差込み式管継手
KR200407864Y1 (ko) 2005-11-18 2006-02-06 주식회사 대륙금속 무용접 플랜지 관연결 조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126A (ja) * 1991-07-04 1993-01-19 Sumitomo Electric Ind Ltd 空気圧送用管路接続部材
KR20020014908A (ko) * 2000-08-19 2002-02-27 변무원 케이블용 다중채널덕트조립체의 연결구조 및 그의 연결방법
JP2002372180A (ja) 2001-06-13 2002-12-26 Nippon Kokan Pipe Fittings Mfg Co Ltd 差込み式管継手
KR200407864Y1 (ko) 2005-11-18 2006-02-06 주식회사 대륙금속 무용접 플랜지 관연결 조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542B1 (ko) * 2020-03-13 2020-08-05 (주)다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시설
CN111503371A (zh) * 2020-04-28 2020-08-07 广东德泽建设工程有限公司 滑轮组合牵引球墨铸铁管承插式防滑脱安装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0669B2 (en) Slip-joint connection for electric service conduit to service boxes
JP6723357B2 (ja) 多重パイプ保護管
JP6375327B2 (ja) ケーブル保護管路およびケーブル保護管路用継手部材
KR101443516B1 (ko) 케이블 포설관용 연결관
KR101491008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JP3182923U (ja) ケーブル耐震用埋設管装置
CN102055158A (zh) 非开挖埋地式高压电力电缆波纹管
CN102691312A (zh) 预制拼装式管线结合井
EP2594000B1 (en) Watertight cable connections
KR101228133B1 (ko) 해저관로의 케이블 견인포설용 볼캐스터형 캐리어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10213634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102120042B1 (ko)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KR100982713B1 (ko) 패킹을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0980601B1 (ko) 방수용 지중(地中)송전 전력관로 이음장치
GB2521994A (en) An improved cable transfer system
JP3047714U (ja) 地中埋設配線用スライド管の防水パッキング兼ストッパー装置
JP6623259B2 (ja) ケーブル保護管路用継手部材
KR102133707B1 (ko) 건축용 통신선 보호관접속구조
CN217362525U (zh) 一种防水型地埋式mpp电缆保护管结构
CN215071571U (zh) 一种地下工程用管道安装装置
JP2017073874A (ja) ケーブル保護管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17066671A (ja) 下水道構造
JP2006121800A (ja) 地中埋設管を用いたケーブル敷設方法および地中埋設管
JP2005261079A (ja) ケーブル敷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