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010B1 -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010B1
KR101443010B1 KR1020140017582A KR20140017582A KR101443010B1 KR 101443010 B1 KR101443010 B1 KR 101443010B1 KR 1020140017582 A KR1020140017582 A KR 1020140017582A KR 20140017582 A KR20140017582 A KR 20140017582A KR 101443010 B1 KR101443010 B1 KR 10144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valve
spring
ring
valv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명진
김형규
황양호
정연석
Original Assignee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4Arrangements of liquid pipes o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7/1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by thermostatic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7/00Controlling of coolant flow
    • F01P7/14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 F01P2007/146Controlling of coolant flow the coolant being liquid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에 대한 것이다.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는 공급연결구와, 패드와,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연결구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일단이 밸브하우징에 장착되어 밸브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패드는 일단이 상기 공급연결구의 일단을 감싸고, 타단이 밸브에 접촉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와 상기 밸브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패드의 일단을 가압한다.
또한, 상기의 파이프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연결구는 일단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오링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이프 조립장치는 상기 공급연결구와 상기 패드의 사이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와 접촉하도록 상기 오링홈에 삽입된 오링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스프링을 안내하므로 스프링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스프링이 이탈 및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로 와셔스프링 뿐만 아니라 일반 스프링의 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Pipe assembly for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성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에 대한 것이다.
조절밸브는 내연기관의 냉각수의 회로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독일 공개특허 DE102009014047호에는 종래의 조절밸브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은 상기의 독일 공개특허에서 개시된 조절밸브의 일 실시예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조절밸브는 패드(3)와, 밀봉링(8)과, 받침대(12)와, 와셔스프링(5)을 구비한다.
패드(4)의 일단은 밸브(3)에 접촉되고 와셔스프링(5)이 받침대(12)를 가압하여 패드(4)가 밸브(3)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래서 패드(4)와 밸브(3) 사이를 밀폐시킨다. 또한, 밀봉링(8)이 받침대(12)와 패드(4) 사이에 게재되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조절밸브의 경우 스프링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지 아니하다. 그래서 스프링에 압력이 많이 가해지면 스프링이 기울어져서 이탈 및 편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압력을 받더라도 기울어지지 않는 와셔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와셔스프링이 고가이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밀봉링(8)을 반경방향으로 팽창시켜 밀봉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받침대(12)가 필요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링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홈을 구비하여 스프링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받침대가 필요하지 아니하여 그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는 공급연결구와, 패드와,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연결구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일단이 밸브하우징에 장착되어 밸브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패드는 일단이 상기 공급연결구의 일단을 감싸고, 타단이 밸브에 접촉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와 상기 밸브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패드의 일단을 가압한다.
또한, 상기의 파이프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연결구는 일단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오링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파이프 조립장치는 상기 공급연결구와 상기 패드의 사이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와 접촉하도록 상기 오링홈에 삽입된 오링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파이프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연결구는 외주면에서 가이드날개가 돌기되어 상기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파이프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연결구는 상기 일단이 상기 밸브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날개가 상기 밸브하우징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의 파이프 조립장치는 상기 가이드날개와 상기 밸브하우징 사이에 밀폐시키는 오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파이프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일단은 상기 밸브하우징과 상기 공급연결구의 일단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가압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파이프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PTFE(폴리 테트라 플우오르 에틸렌)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스프링을 안내하므로 스프링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스프링이 이탈 및 편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로 와셔스프링 뿐만 아니라 일반 스프링의 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받침대가 필요 없으므로 그 구성요소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절밸브의 일 실시예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립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실시예의 조절밸브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의 일 실시예는 공급연결구(50)와, 패드(60), 탄성부재(65)와, 제1오링(71)과, 제2오링(73)을 포함한다.
공급연결구(50)는 가이드홈(53)이 형성되고, 일단(51)이 밸브하우징(83)에 장착되어 밸브(81)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공급연결구(50)의 일단(51)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오링홈(55)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홈(53)은 공급연결구(50)의 외주면에서 가이드날개(57)가 돌기되어 형성된다. 공급연결구(50)의 일단(51)은 밸브하우징(83)에 삽입되고, 가이드날개(57)가 밸브하우징(83)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패드(60)는 일단이 공급연결구(50)의 일단(51)을 감싸고 타단이 밸브(81)에 접촉된다. 그래서 패드(60)의 일단은 공급연결구(50)의 일단(51)과 밸브하우징(83)의 사이에 위치한다. 패드(60)는 밸브(81)에 밀착하여 패드(60)와 밸브(81)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PTFE(폴리 테트라 플우오르 에틸렌)로 형성된다.
탄성부재(65)는 패드(60)와 밸브(81)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패드(60)의 일단을 가압하도록 가이드홈(53)에 삽입된다. 탄성부재(65)가 패드(60)를 가압하면 패드(60)가 밸브(81)에 밀착되어 패드(60)와 밸브(81) 사이가 밀폐된다. 탄성부재(65)로는 스프링이 사용되며, 이때 탄성부재(65)는 가이드홈(53)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가이드홈(53)이 탄성부재(65)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의 경우 스프링이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기울어지지 않는 와셔스프링을 사용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홈(53)이 이를 방지하므로 일반 스프링을 사용하더라도 기울어지지 않는다.
제1오링(71)은 오링홈(55)에 삽입되어 공급연결구(50)와 패드(60) 사이로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오링(73)은 가이드날개(57)와 밸브하우징(83) 사이에 위치하여 가이드날개(57)와 밸브하우징(83) 사이를 밀폐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날개(57)에 홈이 형성되어 제2오링(73)이 그 홈에 삽입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탄성부재(65)가 패드(60)를 가압하여 패드(60)와 밸브(81) 사이를 밀폐하므로 공급연결구(50)로 유입되는 유체가 패드(60)와 밸브(81)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제1오링(71) 및 제2오링(7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0 : 공급연결구 51 : 공급연결구의 일단
53 : 가이드홈 55 : 오링홈
57 : 가이드날개 60 : 패드
65 : 탄성부재 71 : 제1오링
73 : 제2오링 81 : 밸브
83 : 밸브하우징

Claims (6)

  1. 밸브에 유체가 유입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일단이 밸브하우징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밸브하우징에 삽입되지 아니한 상기 일단의 외주면을 감싸서 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일단의 외주면에서 돌기되어 단부가 상기 밸브하우징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굴절된 가이드날개가 형성된 공급연결구와,
    일단이 상기 밸브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밸브하우징에 삽입된 상기 공급연결구의 일단을 감싸고, 타단이 밸브에 접촉하는 패드와,
    상기 공급연결구의 외주면을 감싸서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가이드홈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패드와 상기 밸브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패드의 일단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연결구는 일단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따라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연결구와 상기 패드의 사이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패드와 접촉하도록 상기 오링홈에 삽입된 오링과,
    상기 가이드날개와 상기 밸브하우징 사이에 밀폐시키는 오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PTFE(폴리 테트라 플우오르 에틸렌)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17582A 2014-02-17 2014-02-17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KR10144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582A KR101443010B1 (ko) 2014-02-17 2014-02-17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582A KR101443010B1 (ko) 2014-02-17 2014-02-17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010B1 true KR101443010B1 (ko) 2014-09-23

Family

ID=5176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582A KR101443010B1 (ko) 2014-02-17 2014-02-17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0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0466B2 (ja) * 1990-12-27 1998-02-10 エアロクイップ コーポレイション 高い流量と低いこぼれ率を有する弁付き継手部品
KR20070113606A (ko) * 2006-05-25 2007-11-29 대림개발(주) 연결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0466B2 (ja) * 1990-12-27 1998-02-10 エアロクイップ コーポレイション 高い流量と低いこぼれ率を有する弁付き継手部品
KR20070113606A (ko) * 2006-05-25 2007-11-29 대림개발(주) 연결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153685A5 (ko)
RU2007120608A (ru)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регулирующего давление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09301109A (ja) 減圧弁
RU2368825C1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кольцо
US9709998B2 (en) Pressure regulator
US20190219171A1 (en) Sealing device and sealing assembly
RU2013107642A (ru) Пробковый клапан (варианты)
RU2008107659A (ru) Клапан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ий
KR101443010B1 (ko)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KR20180007083A (ko) 탄성력을 이용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밸브
CN104565370A (zh) 一种稳定压紧端面密封垫及球形接头端面密封结构
RU2639825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 клапане и клапан с таким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170082242A (ko) 차량의 냉각수 유량 조절밸브용 파이프조립장치
KR101409580B1 (ko) 조절밸브용 파이프 조립장치
US2920859A (en) Balanced valve means
ES425179A1 (es) Mejoras introducidas en una valvula de diafragma con junta de proteccion.
JP2005351309A (ja) バルブのボディおよびこれを備えたバルブ
US9188234B2 (en) Valve
CN108953740B (zh) 一种电磁阀
JP6220273B2 (ja) 逃し弁
KR20170082241A (ko) 조립밸브용 파이프조립장치
US9933086B2 (en) Gas supply control device
JP6121083B1 (ja) 気体混合器
JP2011008381A (ja) 減圧弁
US20120006429A1 (en) Safety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