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993B1 -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993B1
KR101442993B1 KR1020130160491A KR20130160491A KR101442993B1 KR 101442993 B1 KR101442993 B1 KR 101442993B1 KR 1020130160491 A KR1020130160491 A KR 1020130160491A KR 20130160491 A KR20130160491 A KR 20130160491A KR 101442993 B1 KR101442993 B1 KR 101442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terminal
repeater
data
equipment
debu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길종
지영수
김민철
한윤권
곽원상
Original Assignee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05Debugging aspects, e.g. using test circuits for debugging, using dedicated debugging tes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장비와 유지 보수 단말기 사이에 연결된 디버깅 장비에서 실행되는 디버깅 방법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중계기 장비의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중계기 장비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 장비의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중계기의 출력 데이터를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 장비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중계기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계기 장비와 유지 보수 단말기의 사이에 연결되어 중계기 장비와 유지 보수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함으로써 윈도우 기반에서 운용되는 기지국 유지 보수 모듈을 안드로이드 기반의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운용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SMART DEBUGGING SYSTEM AND DEBUG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전화와 같은 이동통신기기의 사용이 크게 늘어나면서 각 통신 사업자 측에서는 전국 어느 지역에서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지국 및 중계기를 많이 설치하고 있다. 이처럼 기지국 및 중계기의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각 통신 사업자측에서는 해당 기지국, 중계기의 정상적인 동작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유지, 보수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종래의 중계기의 감시를 통해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작업은, 단순히 출력 신호의 파워만을 LCD에 숫자로 디스플레이하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담당자가 단순히 숫자에 의존하는 형태로 중계기의 출력 신호를 분석하는 경우 해당 신호의 분석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없었으며, 기지국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이동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영역을 최적화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정확한 신호 분석을 위해서는 유지, 보수 담당자들이 개별적으로 고가의 계측 장비(spectrum analyzer)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중계기의 출력 신호 분석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중계기 유지, 보수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중계기 장비와 유지 보수 단말기의 사이에 연결되어 중계기 장비와 유지 보수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함으로써 윈도우 기반에서 운용되는 기지국 유지 보수 모듈을 안드로이드 기반의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운용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중계기 장비, 유지 보수 단말기 및 상기 중계기 장비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 사이에 연결된 디버깅 장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을 이용한 디버깅 방법은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중계기 장비의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중계기 장비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중계기 장비의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중계기 장비의 출력 데이터를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 장비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중계기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은 중계기 장비, 유지 보수 단말기 및 상기 중계기 장비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중계기 장비의 출력 데이터를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 장비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중계기 장비에 제공되도록 상기 중계기 장비에 제공하는 디버깅 장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 장비와 유지 보수 단말기의 사이에 연결되어 중계기 장비와 유지 보수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함으로써 윈도우 기반에서 운용되는 기지국 유지 보수 모듈을 안드로이드 기반의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운용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깅 장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버깅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버깅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깅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버깅 시스템은 중계기 장비(100), 유지 보수 단말기(200) 및 디버깅 장비(300)를 포함한다.
중계기 장비(100)는 건물, 건물 내부, 지하철, 등의 이동통신 전파 음영 지역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미약한 신호를 중계 및 증폭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즉, 중계기 장비(100)는 기지국의 무선신호를 원격 지역에 전송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중계기 장비(100)의 성능열화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되고, 최초에 중계기 장비(100) 설계 시 일정한 이득과 리플 등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설계기술이 요구된다.
중계기 장비(100)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지만 안테나 다이버시티 구현 등이 다른 방식에 비해 안정적인 광중계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광중계기에도 Subcarrier 방식, WDM 방식, 디지털 TDM 방식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유지 보수 단말기(200)는 디버깅 장비(300)를 통해 중계기 장비(100)의 유지 보수를 실행하는 기기로서, 예를 들어, 테블릿 PC, 스마트폰, PDA 등이 될 수 있다.
유지 보수 단말기(200)는 디버깅 장비(300)에 접속 또는 통신을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지 보수 단말기(200)는 디버깅 장비(300)에 접속하기 위한 유지 보수용 어플리케이션의 적어도 일부를 적재할 수 있다. 유지 보수 단말기(200)는 유지 보수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디버깅 장비(300)에 접속한 상태에서 기 결정된 중계기 장비의 제어 항목 중 중계기 장비(100)를 제어하기 위한 항목의 값을 변경하여 디버깅 장비(300)를 통해 중계기 장비(100)에 전송하고, 디버깅 장비(300)를 통해 중계기 장비(100)와 연관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중계기 장비(100)의 유지 보수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계기 장비의 제어 항목 은 주파수 범위, 운영 대역폭, 최대 출력, ALC(Automatic Level Control), 이득 조정 범위, 대역내 리플, 대역 소거, 스퓨리어스 발사, 정재파비(VSWR), 최대 잡음 지수, 시스템 그룹 일레이 및 주파수 안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버깅 장비(300)는 연결 케이블(400)을 통해 중계기 장비(100)와 연결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유지 보수 단말기(200)와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디버깅 장비(300)는 유지 보수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중계기 장비(100)의 타입 정보(예를 들어, 중계기 장비의 그룹, 중계기 장비의 종류 및 중계기 장비의 제조사 등)에 해당하는 중계기 장비(100)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 케이블(400)의 한쪽 끝은 디버깅 장비(3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중계기 장비(1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D-SUB 9Pin의 RS-232 포트)에 연결됨으로써, 디버깅 장비(300)는 중계기 장비(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디버깅 장비(300)는 블루투스 페이링을 통해 유지 보수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디버깅 장비(300)는 중계기 장비(100)와 유지 보수 단말기(2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일 실시예에서, 디버깅 장비(300)는 중계기 장비(100)의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중계기의 출력 데이터를 유지 보수 단말기(200)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유지 보수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디버깅 장비(300)는 유지 보수 단말기(200)의 입력 데이터를 중계기 장비(100)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계기 장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버깅 장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버깅 장비(300)는 시리얼 인터페이스(3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 및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시리얼 인터페이스(310)는 연결 케이블(400)을 통해 중계기 장비(100)와 연결되고, 중계기 장비(100)의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33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연결 케이블(400)의 한쪽 끝은 시리얼 인터페이스(310)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중계기 장비(1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D-SUB 9Pin의 RS-232 포트)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시리얼 인터페이스(310)는 중계기 장비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보드 레이트와 일치하는 보드 레이트로 연결 케이블의 다른 한쪽끝과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지 보수 단말기(200)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을 통해 유지 보수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는 유지 보수 단말기(200)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330)에 제공하거나,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중계기 장비(100)의 출력 데이터를 유지 보수 단말기(200)에 제공한다.
제어부(330)는 디버깅 장비(300)에 포함된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여 중계기 장비와 유지 보수 단말기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30)는 중계기 장비(100)의 출력 데이터를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330)는 유지 보수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중계기 장비(100)의 출력 데이터를 유지 보수 단말기(200)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지 않고 유지 보수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30)는 바이너리(Binary) 데이터인 중계기 장비(100)의 출력 데이터를 유지 보수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30)는 유지 보수 단말기의 입력 데이터를 중계기 장비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310)를 통해 중계기 장비(100)에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유지 보수 단말기(200)로부터 기 결정된 중계기 장비의 제어 항목 중 중계기 장비(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을 알리는 데이터를 중계기 장비(100)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중계기 장비(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버깅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유지 보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해당 중계기 장비에 연결하여 중계기 장비와 연관된 유지 보수 데이터를 생성한 후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디버깅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디버깅 장비(300)는 유지 보수 단말기(200)로부터 중계기 장비(100)의 타입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310). 디버깅 장비(300)는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중계기 장비(100)와 연결한다(단계 S320). 단계 S320에 대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 케이블의 한쪽 끝은 디버깅 장비(3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끝은 중계기 장비(100)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디버깅 장비(300)는 중계기 장비(100)로부터 중계기 장비(100)의 출력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330). 디버깅 장비(300)는 중계기 장비(100)의 출력 데이터를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단계 S340). 디버깅 장비(300)는 유지 보수 단말기(200)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유지 보수 단말기(200)에 제공한다(단계 S35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버깅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다른 일 실시예는 유지 보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중계기 장비의 제어 항목 중 특정 항목의 값을 변경하여 중계기 장비를 제어한 후에 중계기 장비의 출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계기 장비와 연관된 유지 보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디버깅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디버깅 장비(300)는 유지 보수 단말기(200)로부터 기 결정된 중계기 장비의 제어 항목 중 중계기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 요청을 수신한다(단계 S410).
디버깅 장비(300)는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을 알리는 데이터를 중계기 장비(100)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단계 S420) 중계기 장비(100)에 제공한다(단계 S430). 디버깅 장비(300)는 중계기 장비(100)로부터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에 따른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440). 디버깅 장비(300)는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유지 보수 단말기(200)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단계 S450). 디버깅 장비(300)는 유지 보수 단말기(200)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를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한다(단계 S460).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중계기 장비
200: 유지 보수 단말기
300: 디버깅 장비
310: 시리얼 인터페이스
3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30: 제어부

Claims (18)

  1. 윈도우 기반의 중계기 장비, 안드로이드 기반의 유지 보수 단말기 및 상기 중계기 장비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 사이에 연결된 디버깅 장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을 이용한 디버깅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중계기 장비의 타입 정보에 해당하는 중계기 장비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중계기 장비의 윈도우 기반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중계기 장비의 윈도우 기반 출력 데이터를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안드로이드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기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기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 장비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윈도우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중계기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로부터 주파수 범위, 운영 대역폭, 최대 출력, ALC(Automatic Level Control), 이득 조정 범위, 대역내 리플, 대역 소거, 스퓨리어스 발사, 정재파비(VSWR), 최대 잡음 지수, 시스템 그룹 일레이 및 주파수 안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중계기 장비의 제어 항목 중 상기 중계기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을 알리는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 장비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윈도우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중계기 장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중계기 장비로부터 상기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에 따른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안드로이드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중계기 장비의 윈도우 기반 출력 데이터를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안드로이드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중계기 장비의 윈도우 기반 출력 데이터를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안드로이드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지 않고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 장비의 윈도우 기반 출력 데이터는 바이너리(Binary)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깅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중계기 장비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한쪽 끝이 연결된 연결 케이블의 다른 한쪽끝과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 장비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D-SUB 9Pin의 RS-232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깅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연결 케이블의 다른 한쪽끝과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디버깅 장비가 상기 중계기 장비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보드 레이트와 일치하는 보드 레이트로 상기 연결 케이블의 다른 한쪽끝과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깅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 장비가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을 통해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와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깅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장비의 타입 정보는
    중계기 장비의 그룹, 중계기 장비의 종류 및 중계기 장비의 제조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버깅 방법.
  10. 윈도우 기반의 중계기 장비, 안드로이드 기반의 유지 보수 단말기 및 상기 중계기 장비와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중계기 장비의 윈도우 기반 출력 데이터를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안드로이드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기반 입력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 장비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윈도우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중계기 장비에 제공되도록 상기 중계기 장비에 제공하는 디버깅 장비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으로,
    상기 디버깅 장비는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로부터 주파수 범위, 운영 대역폭, 최대 출력, ALC(Automatic Level Control), 이득 조정 범위, 대역내 리플, 대역 소거, 스퓨리어스 발사, 정재파비(VSWR), 최대 잡음 지수, 시스템 그룹 일레이 및 주파수 안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중계기 장비의 제어 항목 중 상기 중계기 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을 알리는 데이터를 상기 중계기 장비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윈도우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중계기 장비에 제공하고, 상기 중계기 장비로부터 상기 제어 항목의 값의 변경에 따른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안드로이드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 장비는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중계기 장비의 윈도우 기반 출력 데이터를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서 수신 가능한 형태의 안드로이드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 장비는
    상기 중계기 장비의 윈도우 기반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유지 보수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기반 입력 데이터를 윈도우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중계기 장비에 제공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계기 장비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에 한쪽 끝이 연결된 연결 케이블의 다른 한쪽끝과 연결되고,
    상기 중계기 장비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D-SUB 9Pin의 RS-232 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계기 장비의 일측면에 구비된 시리얼 인터페이스의 보드 레이트와 일치하는 보드 레이트로 상기 연결 케이블의 다른 한쪽끝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버깅 장비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의 안드로이드 기반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상기 중계기 장비의 윈도우 기반 출력 데이터를 안드로이드 기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에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블루투스 페어링(Bluetooth pairing)을 통해 상기 유지 보수 단말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장비의 타입 정보는
    중계기 장비의 그룹, 중계기 장비의 종류 및 중계기 장비의 제조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KR1020130160491A 2013-12-20 2013-12-20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 KR101442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91A KR101442993B1 (ko) 2013-12-20 2013-12-20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491A KR101442993B1 (ko) 2013-12-20 2013-12-20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993B1 true KR101442993B1 (ko) 2014-09-23

Family

ID=5176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0491A KR101442993B1 (ko) 2013-12-20 2013-12-20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9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2073A (ko) * 2004-09-06 2006-03-09 주식회사 액티패스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한 중계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원격 관리방법
KR100603500B1 (ko) * 2004-03-22 2006-07-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중계기 제어 단말 및 그 제어 방법과, 중계기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500B1 (ko) * 2004-03-22 2006-07-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중계기 제어 단말 및 그 제어 방법과, 중계기 통합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22073A (ko) * 2004-09-06 2006-03-09 주식회사 액티패스 무선통신기기를 이용한 중계기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원격 관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4523B2 (en) Wireless device management with local and remote links
US11038592B2 (en) Optical relay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emote device in optical relay system
US10841827B2 (en) Radio frequency (RF) power measurements in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 spectrum analysis
CN107026660B (zh) 通信中继装置、通信中继系统以及方法
CN111163524B (zh) 干扰检测方法、装置、远端单元、接入网设备和存储介质
CN101155422B (zh) 具有广播波重发功能的扩展式无线基站系统
KR20140134557A (ko) 클라우드 이동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무선신호 감시 방법 및 장치
US10396918B2 (en) Node unit capable of measuring delay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442993B1 (ko) 스마트 디버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디버깅 방법
CN105764073B (zh) 测试装置和测试方法
CN111935730A (zh) 实现分布式基站信号覆盖的方法、装置及基站网络
KR101237490B1 (ko) 이동통신용 알에프시스템의 성능분석 및 자가진단 장치
CN109639354A (zh) 一种改变直放站数据传输速率的方法及直放站
CN112887928B (zh) 宽带窄带通信转换装置
CN114286365B (zh) 一种基于基站电调天线aisg的数据回传方法及系统
US11271663B2 (en) Mobile terminal test system
JP4367150B2 (ja) 携帯電話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情報取得及び状態制御方法
CN102710338A (zh) 一种模拟光纤直放站根据光检测实现增益自动补偿的方法
KR20040051408A (ko) 중계기의 무선 주파수 신호 원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18011137A (ja) 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39919B1 (ko) 중계기의 감시시스템
KR20150125269A (ko) 공통 공공 무선 인터페이스 통합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1717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75231B1 (ko) 중계기
KR100885233B1 (ko) 소프트웨어 기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