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717B1 -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717B1
KR101961717B1 KR1020120119334A KR20120119334A KR101961717B1 KR 101961717 B1 KR101961717 B1 KR 101961717B1 KR 1020120119334 A KR1020120119334 A KR 1020120119334A KR 20120119334 A KR20120119334 A KR 20120119334A KR 101961717 B1 KR101961717 B1 KR 101961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unit
base station
frequency ba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9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775A (ko
Inventor
최오열
이상민
이승현
양진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9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7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5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대역기지국모듈(DU) 및 무선통신부(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추가되는 주파수대역을 위한 추가 무선통신부(추가 RU)를 증설하는 경우에도 다중대역기지국모듈 및 추가 무선통신부 간의 별도 링크를 추가 증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추가 무선통신부 증설로 인한 비용 상승을 줄이면서 다중대역기지국모듈 및 2 이상의 무선통신부 간의 인터페이스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DU(Digital Unit) 및 RU(Remote Unit)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추가되는 주파수대역을 위한 추가 RU를 증설하는 경우, 추가 RU 증설로 인해 추가되는 인터페이스 비용 상승을 줄이면서 DU 및 RU 간의 인터페이스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증하는 데이터 이용량을 수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은, 주파수 효율이 더 높은 시스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DU(Digital Unit) 및 RU(Remote Unit)의 구성이 일체화된 기존의 기지국장치 구조에서 DU 및 RU를 분리하여 하나의 DU와 여러 개의 RU를 매칭시킨 기지국장치의 구조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DU를 코어망에 연결을 위한 백홀(Backhaul)과 DU 및 RU 간 연결을 위한 프론트홀(Fronthaul)을 필요로 하며, 일반적으로 DU 및 RU 간 연결을 위한 프론트홀은 광선로를 인터페이스로서 채택한다.
한편, 급증하는 데이터 이용량을 수용하기 위해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단일 주파수대역을 이용하는 환경에서 주파수대역을 추가하여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는 환경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술과 같은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는, 추가되는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추가 RU를 증설해야 한다.
헌데, 기존에는,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전술과 같이 추가 RU를 증설하는 경우, DU 및 추가 RU 간을 연결하는 광선로를 추가해야만 하기 때문에 DU~RU 간의 링크가 기존 1개에서 2개로 늘어남으로 광선로(Optic)인프라가 취약한 경우에는 구현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또한 추가적인 비용 상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문제점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이 계속해서 추가될 것임을 감안한다면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일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추가되는 주파수대역을 위한 추가 RU를 증설하는 경우, 전술의 기존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추가 RU 증설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추가되는 주파수대역을 위한 추가 RU를 증설하는 경우, 추가 RU 증설로 인해 추가되는 인터페이스 비용 상승을 줄이면서 DU 및 RU 간의 인터페이스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대역기지국모듈; 및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무선통신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과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의 전송용량은, 단일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기본전송용량 및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 중에서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전송용량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무선통신부가 상기 제1무선통신부 보다 나중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추가된 무선통신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지국장치에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3무선통신부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무선통신부가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상기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2무선통신부가 상기 제3무선통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상기 제3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무선통신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의 전송용량은, 단일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기본전송용량 및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 중에서 상기 제3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전송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중대역기지국모듈이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대역신호전송단계;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에 연결되는 제2무선통신부가,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주파수대역신호송신단계; 및 상기 제2무선통신부에 연결되는 제1무선통신부가,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주파수대역신호송신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무선통신부가 상기 제1무선통신부 보다 나중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추가된 무선통신부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다중대역기지국모듈(DU) 및 무선통신부(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추가되는 주파수대역을 위한 추가 무선통신부(추가 RU)를 증설하는 경우에도 다중대역기지국모듈 및 추가 무선통신부 간의 별도 링크를 추가 증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추가 무선통신부 증설로 인한 비용 상승을 줄이면서 다중대역기지국모듈 및 2 이상의 무선통신부 간의 인터페이스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100)는, 하나의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 및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은, DU(Digital Unit) 및 RU(Remote Unit) 분리형 구조에서, DU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은, 백홀(backhaul)을 통해 외부 장치(예 : 광대역 라우터)에 연결되어,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단말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즉,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은, 하향링크의 경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자신에 직접 연결되는 혹은 다른 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각각에서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한다.
또한,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은, 상향링크의 경우,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각각에서 수신되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백홀을 통해 외부 장치(예 : 광대역 라우터)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은, 2 이상의 주파수대역 무선신호 각각을 송수신하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통해,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자신의 셀 영역에서 접속된 단말로 음성 및 데이터 등의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는, DU 및 RU 분리형 구조에서 RU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접속되는 단말로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부이다.
즉,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각각은,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로부터 직접 혹은 다른 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D/A 변환한 후 업-컨버팅 처리 및 증폭 처리하여 무선 신호로 송신하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역으로 처리하여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로 직접 혹은 다른 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전송한다. 이를 위해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각각은, ADC(Analog Digital convertor), 트랜시버, 증폭기, 안테나, RF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각각은,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3무선통신부(30)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중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이고, 제2무선통신부(20)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중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이고, 제1무선통신부(10)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중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3 개의 주파수대역을 이용하는 경우를 언급하고, 하향링크의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단일 주파수대역(예 : 제1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라면,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무선통신부(10) 만이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인터페이스(1)을 통해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는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만 전송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주파수대역을 이용하는 통신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고자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추가되는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추가 RU 즉 제2무선통신부(20)가 증설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무선통신부(20)가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인터페이스(2)을 통해 직접 연결되고, 제1무선통신부(10)가 제2무선통신부(20)에 인터페이스(1)을 통해 연결되어 제2무선통신부(20)를 경유하여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간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3주파수대역을 이용하는 통신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고자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추가되는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 송신하기 위한 추가 RU 즉 제3무선통신부(30)가 증설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3무선통신부(30)가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인터페이스(3)을 통해 직접 연결되고, 제2무선통신부(20)가 제3무선통신부(30)에 인터페이스(2)을 통해 연결되어 제3무선통신부(30)를 경유하여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간접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새로운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위한 무선통신부가 추가로 증설되는 경우, 새롭게 증설되는 추가 무선통신부가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먼저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직접 연결되었던 무선통신부가 금번 증설되는 추가 무선통신부에 연결되도록 구성을 변경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100)는, 하나의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 즉 제1무선통신부(10), 제2무선통신부(20) 및 제3무선통신부(30)는, 동일 지역에 설치되는 co-location 통신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과 같이,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제3무선통신부(30)가 연결되고, 제3무선통신부(30)에 제2무선통신부(20)가 연결되고 제2무선통신부(20)에 제1무선통신부(10)가 연결되는 경우,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은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즉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인터페이스(3)을 통해 전송할 것이다.
제3무선통신부(30)는,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로부터 전송되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인터페이스(2)를 통해 제2무선통신부(20)로 전송할 것이다.
여기서,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과 제3무선통신부(3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3)의 전송용량은, 단일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기본전송용량 및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중에서 제3무선통신부(30)를 경유하여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전송용량이다.
즉, 전술에서 언급한 실시예의 경우,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중에서 제3무선통신부(30)를 경유하여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는, 제2무선통신부(20)와 제1무선통신부(10) 2개이다.
이에, 인터페이스(3)의 전송용량은,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직접 연결되는 제3무선통신부(30) 1개 및 전술의 확인한 2개를 더한 3을 단일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기본전송용량(Link 용량)에 곱한 전송용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터페이스(3)의 전송용량은, 기본전송용량(Link 용량)*3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 및 제3무선통신부(30) 역시 인터페이스(3)의 전송용량 즉 기본전송용량(Link 용량)*3을 지원할 수 있는 트랜시버 용량을 구비해야 할 것이다.
제2무선통신부(20)는,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로부터 전송되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3무선통신부(30)를 경유하여 인터페이스(2)를 통해 수신되는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의 신호 즉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인터페이스(1)를 통해 제1무선통신부(10)로 전송할 것이다.
여기서, 제3무선통신부(30)와 제2무선통신부(2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2)의 전송용량은, 기본전송용량 및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중에서 제3무선통신부(30) 및 제2무선통신부(20)를 경유하여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전송용량이다.
즉, 전술에서 언급한 실시예의 경우,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중에서 제3무선통신부(30) 및 제2무선통신부(20)를 경유하여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는, 제1무선통신부(10) 1개이다.
이에, 인터페이스(2)의 전송용량은, 제3무선통신부(30)에 직접 연결되는 제2무선통신부(20) 1개 및 전술의 확인한 1개를 더한 2를 기본전송용량(Link 용량)에 곱한 전송용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터페이스(2)의 전송용량은, 기본전송용량(Link 용량)*2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2무선통신부(20) 역시 인터페이스(2)의 전송용량 즉 기본전송용량(Link 용량)*2를 지원할 수 있는 트랜시버 용량을 구비해야 할 것이다.
제1무선통신부(10)는,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로부터 전송되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3무선통신부(30) 및 제2무선통신부(20)를 경유하여 인터페이스(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즉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할 것이다.
여기서, 제2무선통신부(20)와 제1무선통신부(1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1)의 전송용량은, 기본전송용량 및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중에서 제3무선통신부(30) 및 제2무선통신부(20) 및 제1무선통신부(10)를 경유하여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전송용량이다.
즉, 전술에서 언급한 실시예의 경우,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 중에서 제3무선통신부(30) 및 제2무선통신부(20) 및 제1무선통신부(10)를 경유하여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는, 0개이다. 즉, 제1무선통신부(10)에 연결된 무선통신부가 없는 상태인 것이다.
이에, 인터페이스(1)의 전송용량은, 제2무선통신부(20)에 직접 연결되는 제1무선통신부(10) 1개 및 전술의 확인한 0개를 더한 1을 기본전송용량(Link 용량)에 곱한 전송용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터페이스(1)의 전송용량은, 기본전송용량(Link 용량)*1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무선통신부(10) 역시 인터페이스(1)의 전송용량 즉 기본전송용량(Link 용량)*1를 지원할 수 있는 트랜시버 용량을 구비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전술의 인터페이스(3), 인터페이스(2) 및 인터페이스(1)은, 광선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는, 다중대역기지국모듈(DU) 및 무선통신부(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추가되는 주파수대역을 위한 추가 무선통신부(추가 RU)를 증설하는 경우에도 다중대역기지국모듈 및 추가 무선통신부 간의 별도 링크를 추가 증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추가 무선통신부 증설로 인한 비용 상승을 줄이면서 다중대역기지국모듈 및 2 이상의 무선통신부 간의 인터페이스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은, 하나의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 및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로부터 전송되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를 포함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에 따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2 이상의 무선통신부(10,20,30...)로서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3무선통신부(30),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중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무선통신부(20), 2 이상의 주파수대역 중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무선통신부(1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제2무선통신부(20)가 직접 연결되고 제2무선통신부(20)에 제1무선통신부(10)가 연결된 상태를 예로서 설명하도록 한다(S10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제3주파수대역을 이용하는 통신서비스를 추가로 제공하고자 하면,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추가 RU 즉 제3무선통신부(30)가 추가 연결되어 증설될 수 있다(S110).
즉,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제3무선통신부(30)가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인터페이스(3)을 통해 직접 연결되고, 제2무선통신부(20)가 제3무선통신부(30)에 인터페이스(2)을 통해 연결되어 제3무선통신부(30)를 경유하여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간접 연결되도록 전술의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서는, 새로운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위한 무선통신부가 추가로 증설되는 경우, 새롭게 증설되는 추가 무선통신부가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먼저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직접 연결되었던 무선통신부가 금번 증설되는 추가 무선통신부에 연결되도록 구성을 변경한다.
이에,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에 제3무선통신부(30)가 연결되고, 제3무선통신부(30)에 제2무선통신부(20)가 연결되고 제2무선통신부(20)에 제1무선통신부(10)가 연결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은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즉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인터페이스(3)을 통해 전송할 것이다(S12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제3무선통신부(30)는,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로부터 전송되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인터페이스(2)를 통해 제2무선통신부(20)로 전송할 것이다(S13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제2무선통신부(20)는,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로부터 전송되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3무선통신부(30)를 경유하여 인터페이스(2)를 통해 수신되는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대역의 신호 즉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인터페이스(1)를 통해 제1무선통신부(10)로 전송할 것이다(S14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제1무선통신부(10)는, 다중대역기지국모듈(40)로부터 전송되는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3무선통신부(30) 및 제2무선통신부(20)를 경유하여 인터페이스(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즉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할 것이다(S15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다중대역기지국모듈(DU) 및 무선통신부(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추가되는 주파수대역을 위한 추가 무선통신부(추가 RU)를 증설하는 경우에도 다중대역기지국모듈 및 추가 무선통신부 간의 별도 링크를 추가 증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추가 무선통신부 증설로 인한 비용 상승을 줄이면서 다중대역기지국모듈 및 2 이상의 무선통신부 간의 인터페이스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DU 및 RU 분리형 구조의 기지국장치에서 추가되는 주파수대역을 위한 추가 RU를 증설하는 경우, 추가 RU 증설로 인해 추가되는 인터페이스 비용 상승을 줄이면서 DU 및 RU 간의 인터페이스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기지국장치
10,20,30 : 무선통신부 40 : 다중대역기지국모듈

Claims (7)

  1.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대역기지국모듈; 및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하나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2 이상의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는,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무선통신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과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의 전송용량은,
    단일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기본전송용량 및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 중에서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전송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부가 상기 제1무선통신부 보다 나중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추가된 무선통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에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3무선통신부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3무선통신부가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에 연결되어,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상기 제3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2무선통신부가 상기 제3무선통신부에 연결되어,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상기 제3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무선통신부와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의 전송용량은,
    단일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기본전송용량 및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 중에서 상기 제3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전송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다중대역기지국모듈이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대역신호전송단계;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에 연결되는 제2무선통신부가,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2주파수대역신호송신단계; 및
    상기 제2무선통신부에 연결되는 제1무선통신부가,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신호 중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제1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제1주파수대역신호송신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대역기지국모듈과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의 전송용량은,
    단일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전송하는데 요구되는 기본전송용량 및 상기 2 이상의 무선통신부 중에서 상기 제2무선통신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아닌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의 개수를 기초로 결정되는 전송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무선통신부가 상기 제1무선통신부 보다 나중에 상기 기지국장치에 추가된 무선통신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20119334A 2012-10-25 2012-10-2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961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334A KR101961717B1 (ko) 2012-10-25 2012-10-2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9334A KR101961717B1 (ko) 2012-10-25 2012-10-2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75A KR20140052775A (ko) 2014-05-07
KR101961717B1 true KR101961717B1 (ko) 2019-03-25

Family

ID=5088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9334A KR101961717B1 (ko) 2012-10-25 2012-10-25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7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9473B2 (ja) * 2005-01-12 2011-03-09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分離型基地局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組織化方法、およびベースバンドユニット
KR101036022B1 (ko) * 2002-11-15 2011-05-19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주-원격 무선 기지국 및 하이브리드 무선 기지국을 위한광섬유 결합 구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022B1 (ko) * 2002-11-15 2011-05-19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주-원격 무선 기지국 및 하이브리드 무선 기지국을 위한광섬유 결합 구성
JP4649473B2 (ja) * 2005-01-12 2011-03-09 ▲ホア▼▲ウェイ▼技術有限公司 分離型基地局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組織化方法、およびベースバンド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775A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8416B2 (en)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EP2974070B1 (en) Remote unit for communicating with base stations and terminal devices
US9356697B2 (e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method
RU2604817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радиопередающий узел
KR20160141560A (ko) 무선 통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용 방법
CN107026660B (zh) 通信中继装置、通信中继系统以及方法
CN102377027A (zh) 一种有源天线及校准有源天线的方法
US20100067585A1 (en)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he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EP2086244A1 (en) Signal combin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having different system, same band and antenna sharing
CN108039892B (zh) 扩展lte b42频段带宽的移动终端及其实现方法
CN103124426B (zh) 减少无线通信终端中能耗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通信终端
CN105764073B (zh) 测试装置和测试方法
US10819477B2 (en) Digital wireless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 (WDCS) employing a centralized spectrum chunk construction of communications channels for distribution to remote units to reduce transmission data rates
KR101961717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217363063U (zh) 一种5g nr移频双路的mimo功率自平衡系统
JP5391057B2 (ja) 無線装置共用装置
CN101534147A (zh) 变频中继装置及基于变频中继装置的多终端设备接入系统
CN201467473U (zh) 一种m频段的1拖N光纤直放站系统
CN210518309U (zh) 一种数字微波自组网通信系统
KR20140110317A (ko) 신호중계장치 및 회선정보생성장치와, 그 장치의 동작 방법
KR20010051071A (ko) 무선 기지국의 송신기 원격 감시장치 및 방법
CN101925076B (zh) 射频拉远设备以及分布式基站
CN107612624B (zh) 通信中继装置、通信中继系统、方法以及记录介质
CN105450250B (zh) 滤波装置、控制方法和电子设备
US20210135917A1 (en) Communicatio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base station and headend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