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507B1 - 통합연료정보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연료정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507B1
KR101442507B1 KR1020130092579A KR20130092579A KR101442507B1 KR 101442507 B1 KR101442507 B1 KR 101442507B1 KR 1020130092579 A KR1020130092579 A KR 1020130092579A KR 20130092579 A KR20130092579 A KR 20130092579A KR 101442507 B1 KR101442507 B1 KR 101442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uel
status
transportation
manag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미라
김정수
Original Assignee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중부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중부발전(주)
Priority to KR1020130092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연료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수신 데이터 및 처리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환율, 유가, GCI지수, BDI지수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기준정보 관리모듈; 연료의 재고 현황과 입출고 현황을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재고 관리모듈; 연료를 수송하는 선박들의 운항일정, 외항대기, 부두별 하역현황정보를 포함하는 선박들의 수송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수송현황 관리모듈; 및 상기 선박들의 수송현황 정보를 지도상에 가시적으로 표시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측에 제공하는 수송운항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발전소에 공급되는 연료의 수급 계획 정보와 실시간 수급 현황 정보를 전산 시스템을 통해 통합 관리하여 연료 수급과 관련된 정보들을 용이하게 관리 및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비용, 가격, 운송현황, 재고변화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수급 전망을 정확히 예측하고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통합연료정보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FUEL INFORMATION}
본 발명은 통합연료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소에 공급되는 연료의 수급 계획 정보와 실시간 수급 현황 정보를 전산 시스템을 통해 통합 관리하여 연료 수급과 관련된 정보들을 용이하게 관리 및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비용, 가격, 운송현황, 재고변화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수급 전망을 정확히 예측하고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연료정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력발전소에서 발전원료의 관리는 담당자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타 부서의 요청이나 필요에 따라 데이터의 추출 및 가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해당 업무 담당자별 개별관리로써 분산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정확한 데이터를 산출하기 어렵고 관리기준에 대한 정확한 기준도 없어 데이터의 객관성 및 정확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한다.
특히, 발전원료의 가격과 수급량 및 사용량 등은 실시간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발전설비의 대용량화 및 발전설비의 호기 수 증가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설비관리는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발전운영에 필요한 연료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7-0044561 : 인터넷을 이용한 선적의뢰 및 화물추적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전소에 공급되는 연료의 수급 계획 정보와 실시간 수급 현황 정보를 전산 시스템을 통해 통합 관리하여 연료 수급과 관련된 정보들을 용이하게 관리 및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비용, 가격, 운송현황, 재고변화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수급 전망을 정확히 예측하고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연료정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수신 데이터 및 처리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환율, 유가, GCI지수, BDI지수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기준정보 관리모듈; 연료의 재고 현황과 입출고 현황을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재고 관리모듈; 연료를 수송하는 선박들의 운항일정, 외항대기, 부두별 하역현황정보를 포함하는 선박들의 수송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수송현황 관리모듈; 및 상기 선박들의 수송현황 정보를 지도상에 가시적으로 표시하여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측에 제공하는 수송운항정보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수신된 월별 연료 사용 계획정보와 분기별 연료 수급전망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월별 연료 사용 계획정보를 월별, 년도별, 분기별로 조회하여 제공하며, 년도 별로 연료의 고열량 계획량과 저열량 계획량을 저장 및 관리하고 계약량의 차이 분을 조회하는 수급전망 예측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수신된 연료별 계약 리스트와 계약별 물량 공급일정을 저장 및 관리하여, 상기 계약 구분에 따른 수송계약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하고 각 계약별 대금지급 예정 현황 및 자금 소요 전망을 조회하여 제공하는 계약 관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설정 조건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연료 가격 변동을 시뮬레이션하여 제공하는 연료예측 시뮬레이션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고 관리모듈은, 연료의 재고 현황과 입출고 현황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고, 기 설정된 안전재고 기준에 기초하여 발전소별로 연료의 일일 사용량, 안전재고량, 재고일수 등을 입력받아 관리하고, 재고량이 상기 기 설정된 안전재고 기준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클라이언트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 및 관리중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각종 조회 메뉴를 제공하는 한편, 저장된 데이터를 차트, 그래프, 그래픽 등의 비주얼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리포팅하는 웹페이지 제공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연료정보시스템은 발전소에 공급되는 연료의 수급 계획 정보와 실시간 수급 현황 정보를 전산 시스템을 통해 통합 관리하여 연료 수급과 관련된 정보들을 용이하게 관리 및 조회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비용, 가격, 운송현황, 재고변화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수급 전망을 정확히 예측하고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의 기준정보 관리모듈이 제공하는 기준정보 관리화면의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의 재고 관리모듈이 제공하는 조회화면의 예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의 수송현황 관리모듈이 제공하는 조회화면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의 수급전망 예측모듈이 제공하는 분기별수급전망 조회화면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의 계약 관리모듈이 제공하는 연료별 계약관리 화면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의 리포트 관리모듈이 제공하는 리포트 관리 화면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의 연료예측 시뮬레이션모듈이 제공하는 지수별 탄가 예측정보 조회화면의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의 수송현황정보 관리모듈이 제공하는 수송운항정보 조회화면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연료정보 시스템은 발전소에 공급되는 연료의 수급 계획 정보와 실시간 수급 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클라이언트(10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제고정보, 수송현황, 수송운항정보, 연료수급전망 등의 입력 정보를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에 송신하고,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100)에는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로는 PC,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등, 네트워크 접속 및 사용자 입출력이 가능한 정보 단말기를 적용할 수 있다.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는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수신된 입력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환율, 유가, 각종 지수 등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기준정보를 획득하여 각 기준정보가 적용되는 데이터에 반영하여 관리한다.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는 클라이언트(100) 측에 저장 및 관리중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각종 조회 메뉴를 제공하는 한편, 저장된 데이터를 차트, 그래프, 그래픽 등의 비주얼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리포팅할 수 있다.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는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급 전망을 예측하고 위기 상황일 경우 경고창을 표시하여 클라이언트(100)에 표시한다. 이러한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는 데이터 송수신부(210), 웹페이지 제공모듈(212), 기준정보 관리모듈(220), 재고 관리모듈(222), 수송현황 관리모듈(224), 수급전망 예측모듈(226), 계약 관리모듈(228), 리포트 관리모듈(230), 연료예측 시뮬레이션모듈(232), 수송운항정보 관리모듈(234)과 데이터베이스(216) 및 서버 제어부(214)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16)에는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로 수신된 각종 데이터와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 내의 각 모듈에서 처리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송수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서버 제어부(214)의 제어에 따라 각 클라이언트(100)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웹페이지 제공모듈(212)은 각 클라이언트(100)가 정보를 입력 및 출력할 수 있는 메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기준정보 관리모듈(220)은 환율, 유가, GCI지수, BDI지수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한다. 기준정보 관리모듈(220)은 환율, 유가, GCI지수, BDI지수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일, 월, 년 별로 저장 및 관리하고, 각 기준정보의 기간별 변화 추이를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정보는 클라이언트(100) 모듈로부터 직접 입력 받거나, 혹은, 각 지수를 관리하는 연계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재고 관리모듈(222)은 연료의 재고 현황과 입출고 현황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고, 클라이언트(100)가 요청한 정보를 제공한다. 재고 관리모듈(222)은 안전재고 기준 관리기능, 재고현황 관리기능 및 입출고 조회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안전재고 기준 관리기능은 발전소별로 연료의 일일 사용량, 안전재고량, 재고일수 등을 입력받아 관리하고 이에 근거하여 안전재고 기준의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재고현황 관리기능은 기준일자의 일일 재고의 현황과 사업소별 재고현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입출고 조회 기능은 기준일자 년 월의 연료 입고수량과 금액, 출고수량과 금액 등 입출고시 일어나는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수송현황 관리모듈(224)은 연료를 수송하는 선박들의 운항일정, 외항대기, 부두별 하역현황 등의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수송현황 관리모듈(224)은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운항일정 관리기능, 외항대기 관리기능, 부두별 하역현황 관리기능, 채선료 관리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운항일정 관리기능은 선적항, 하역 항, 연료, 수송계약 등 선박 별 운항일정 정보를 관리하여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외항대기 관리기능은 선적항, 하역 항, 탄종, 접안예정일 등 선박 별 외항대기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부두별 하역현황 관리기능은 월ㅇ년 , 부두별로 하역현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채선료 관리기능은 월ㅇ년 , 선박 별 하역완료일 된 선박의 채선료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수급전망 예측모듈(226)은 월별 연료 사용 계획기능과 분기별 연료 수급전망 기능을 통해 연료 수급전망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월별 사용 계획은 년도별, 버전별로 해당 발전소의 연료의 월별 연료 사용계획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월별 사용 계획 목록을 조회, 년도, 분기별로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분기별 연료 수급전망 기능은 년도 별로 연료의 고열량 계획량과 저열량 계획량을 저장 및 관리하고 계약량의 차이 분을 조회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계약 관리모듈(228)은 연료별 계약관리, 수송계약 관리 등 종합적인 계약관리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한다. 계약 관리모듈(228)은 연료별 계약 리스트와 계약별 물량 공급일정 내역을 조회하는 연료별 계약관리 기능, 계약 구분에 따라 수송계약 정보를 조회하는 수송계약관리 기능, 계약사별/비용별 대금지급 예정현황을 조회하는 대금지급 관리기능, 자금소요 전망을 조회하는 자금소요 전말 조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리포트 관리모듈(230)은 리포트와 관련된 정보들을 입력받아 관리하고 저장된 리포트를 조회하거나 새로 작성된 리포트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리포트 관리모듈(230)은 유연탄ㆍ무연탄ㆍ유류 계약대장을 조회하는 연료별 계약대장 관리기능, 연도별 통관리포트를 등록, 수정,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통관리포트 관리기능, 유연탄 인수리포트를 조회하는 유연탄 인수리포트 관리기능, 운항일정의 SWAP 건에 대한 목록을 조회하는 SWAP 리포트 관리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연료예측 시뮬레이션모듈(232)은 가격동향의 시뮬레이션과 실적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가격동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제공한다. 연료예측 시뮬레이션모듈(232)은 지수별 탄가 예측으로 지수별 탄가 예측정보 조회와 GCI 변동성을 선택하여 GCI변동성의 예측정보를 조회하는 가격동향 시뮬레이션 기능, 년도별 가격동향 시뮬레이션을 조회 및 등록하는 가격예측대비 설정분석기능, 시뮬레이션 시 연료예측 기본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가격 영향인자 및 민감도 설정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송운항정보 관리모듈(234)은 운항중인 선박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관리하여, 현재 출항중인 선박의 실시간 위치와 세부정보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클라이언트(100)에 제공한다. 수송운항정보 관리모듈(234)은 지도상에 운항중인 선박들의 위치를 비주얼하게 표시하는 한편, 선적항구별 공급사 정보 표시기능, 선적항구별 거리 및 운항시간 조회 기능, 사업소별 연료재고 조회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14)는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각 모듈을 제어하여 연료의 수급 계획 정보와 실시간 수급 현황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변동되는 비용, 가격, 운송현황, 재고변화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각 발전소의 수급 상태를 관리하며 클라이언트(100)의 요청에 따라 요청된 조회 자료를 제공하고 수급 전망을 예측하여 위기 상황을 경고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가 제공하는 사용자 입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기준정보 관리모듈(220)이 제공하는 기준정보 관리화면의 예시도이다.
기준정보 중 GCI 지수를 관리하는 GCI 지수 관리 화면은 일, 월, 년별로 해당 GCI 지수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먼저, ① 조회할 기준을 일별로 선택하고, ② 조회할 기준을 월별로 선택한 후, ③조회할 기준을 년도 별로 선택한다. 이 후, ④ 날짜를 클릭해 달력이 뜨면 조회하고 싶은 해당 날짜를 선택하여 CGI지수정보를 꺾은선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⑤ 날짜를 기준으로 검색된 GCI지수조회정보를 표로 볼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재고 관리모듈(222)이 제공하는 조회화면을 예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안전재고기준 조회 화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5는 일일 재고 현황의 조회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고 관리모듈(222)이 제공하는 안전재고기준 조회 기능을 이용하면, 발전소 별로 연료의 일일 사용량, 안전재고량, 재고일수 등 안전재고 기준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먼저, ①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안전재고 기준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이후, ② 엑셀다운로드버튼을 클릭하여 안전재고기준 정보들을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③ 발전소를 선택하여 검색버튼을 누르면 해당 발전소의 안전재고기준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④ 연료를 클릭하면 해당 연료의 안전재고기준 정보를 수정 및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고 관리모듈(222)이 제공하는 일일 재고 현황 조회기능을 이용하면, 일자 별, 발전소별 사용계획, 재고 일수 등 일일 재고 현황을 조회할 수 있다. ① 등록 버튼을 클릭하여 재고현황정보를 추가할 수 있고, ② 엑셀다운로드버튼을 클릭하여 재고현황 정보들을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③ 재고날짜 년도와 월을 선택하여 SAP 연동을 클릭하면 연동할 수 있고, ④ 재고날짜와 발전소를 선택하여 검색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재고현황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⑤ 일자를 클릭하여 해당 재고현황정보 상세 페이지로 이동해 세부정보확인과 수정할 수 있고, ⑥ 수불부 현황의 검색한 재고 년 월을 기준으로 SAP으로 인터페이스 받은 수불부 정보가 검색 조회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수송현황 관리모듈(224)이 제공하는 조회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현황 관리모듈(224)이 제공하는 운항일정 조회기능을 이용하면, 선적항, 하역 항, 연료, 수송계약 등 선박 별 운항일정 정보를 조회 할 수 있다. ① 추가버튼을 클릭하면 선박의 운항일정을 추가할 수 있고, ② 년도와 선박을 선택하여 해당 선박의 운행일정을 조회할 수 있다. ③ 순번을 클릭하면 해당 운항일정의 상세 조회가 가능하고 수정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현황 관리모듈(224)이 제공하는 채선료 관리기능을 이용하면, 년도별, 선박별 채선료를 조회할 수 있다. ① 년도와 해당 선박을 선택하여 채선료 관리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② 하역완료일인 행을 클릭하면 5번인 STATEMENT 버튼이 생성되며 여기서 비대상 여부를 선택한 후, ④ 저장을 클릭하면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⑤ 저장 후 STATEMENT 버튼을 선택하면 도 8의 채선료 계산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 차액보상금액을 입력할 수 있으며, ② 완결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③ 대금지급 방식을 원화/외화 중에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후, ④ 엑셀다운로드버튼을 클릭하여 채선료 관리 정보들을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⑤ 금액 가져오기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금액을 가져올 수 있다. 이후, ⑥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입력정보가 저장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수급전망 예측모듈(226)이 제공하는 분기별수급전망 조회화면의 예시도이다.
분기별 수급전망 조회화면을 통해 년도 별로 보령, 서천, 제주 화력의 각각 계획량과 계약량의 차이 분을 조회할 수 있다. ① 기준 년도를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으며, ② 엑셀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된 결과를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또한, ③ 조회된 각 발전소의 분기별 계획량과 계약량의 차이 분을 조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계약 관리모듈(228)이 제공하는 연료별 계약관리 화면의 예시도이다.
연료별 계약관리 화면에서 ① 무연탄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무연탄 연료계약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② 엑셀다운로드버튼을 클릭하여 무연탄 연료계약 정보를 엑셀파일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 후, ③ 검색할 무연탄의 종류를 선택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④ 표의 행을 클릭하면 해당 무연탄 연료 계약 정보의 상세확인과 수정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리포트 관리모듈(230)이 제공하는 리포트 관리 화면의 예시도이다.
리포트 관리메뉴를 선택하여 저장되어 있는 리포트들을 조회하거나 새로운 리포트를 등록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포트 목록정보가 조회된 경우, ① 엑셀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조회된 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② 조회된 연료별 계약대장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연료예측 시뮬레이션모듈(232)이 제공하는 지수별 탄가 예측정보 조회화면의 예시도이다.
연료예측 메뉴 중 가격동향 시뮬레이션 메뉴의 지수별 탄가 예측 메뉴를 선택하면 지수별 탄가 예측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① M은 Month별 GCI변동폭을 의미하며, 사용자는 GCI, 유가, 환율의 변동폭 예측값을 입력한다. 이 후, ② 검색버튼을 눌러 입력한 값에 대한 예측 결과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③ CHART TAB을 클릭하여 조회된 값에 대한 예측정보를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고, ④ 지수별 탄가 예측 정보를 엑셀파일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200)의 수송운항정보 관리모듈(234)이 제공하는 수송운항정보 조회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선박의 수송운항정보 조회 화면은 지도상에 비주얼하게 표시될 수 있다. ① 각 항구의 색은 입항선박의 경우 적색(Red), 출항선박의 경우 파란색(Blue)으로 표시될 수 있다. ② 선박 위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리면 선택된 선박의 상세정보가 ④번의 표와 같이 표시됩니다. 상세정보는 운항상태와, 선박명, 탄 공급국가, 연료 공급사, 연료구분, 선적항, 하역항 도착일, 하역물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도상에서 ③ 항구의 위치와 이름을 확인할 수 있으며, ④의 표를 통해 운항중인 선박의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⑤ 우리나라 지도를 클릭하면 사업소별 연료재고 현황 및 관련 정보를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적 항구별 거리 및 운항시간 버튼을 클릭하면 선적항구별 거리 및 운행시간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거리와 운행시간은 대체적으로 고정된 값을 가지므로 운항중인 선박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선박의 출발 후 경과 일자를 이용하여 현재 선박의 거리 및 위치를 비교적 간단하고 정확하게 산출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클라이언트 200 :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
210 : 데이터 송수신부 212 : 웹페이지 제공모듈
214 : 서버 제어부 216 : 데이터베이스
220 : 기준정보 관리모듈 222 : 재고 관리모듈
224 : 수송현황 관리모듈 226 : 수급전망 예측모듈
228 : 계약 관리모듈 230 : 리포트 관리모듈
232 : 연료예측 시뮬레이션모듈 234 : 수송운항정보 관리모듈

Claims (6)

  1.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
    수신 데이터 및 처리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환율, 유가, GCI지수, BDI지수를 포함하는 기준정보를 수집하여 관리하는 기준정보 관리모듈;
    연료의 재고 현황과 입출고 현황을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고, 기 설정된 안전재고 기준에 기초하여 발전소별로 연료의 일일 사용량, 안전재고량, 재고일수 등을 입력받아 관리하고, 재고량이 상기 기 설정된 안전재고 기준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클라이언트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재고 관리모듈;
    연료를 수송하는 선박들의 운항일정, 외항대기, 부두별 하역현황정보를 포함하는 선박들의 수송현황 정보를 관리하는 수송현황 관리모듈; 및
    상기 선박들의 수송현황 정보를 지도상에 가시적으로 표시하고, 선적항구별 공급사 정보 표시기능, 선적항구별 거리 및 운항시간 조회 기능, 및 사업소별 연료재고 조회 기능을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측에 제공하는 수송운항정보 관리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수송현황 관리모듈은,
    선적항, 하역 항, 연료, 수송계약을 포함하는 선박 별 운항일정 정보를 관리하여 조회하는 운항일정 관리기능과, 선적항, 하역 항, 탄종, 접안예정일을 포함하는 선박 별 외항대기 관리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조회하는 외항대기 관리 기능과, 부두별로 하역현황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조회하는 부두별 하역현황 관리 기능과, 선박 별 하역완료일 된 선박의 채선료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여 조회하는 체선료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수신된 월별 연료 사용 계획정보와 분기별 연료 수급전망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월별 연료 사용 계획정보를 월별, 년도별, 분기별로 조회하여 제공하며, 년도 별로 연료의 고열량 계획량과 저열량 계획량을 저장 및 관리하고 계약량의 차이 분을 조회하는 수급전망 예측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부로 수신된 연료별 계약 리스트와 계약별 물량 공급일정을 저장 및 관리하여, 상기 계약 구분에 따른 수송계약 정보를 조회하여 제공하고 각 계약별 대금지급 예정 현황 및 자금 소요 전망을 조회하여 제공하는 계약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가 입력한 설정 조건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연료 가격 변동을 시뮬레이션하여 제공하는 연료예측 시뮬레이션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클라이언트 측에 저장 및 관리중인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각종 조회 메뉴를 제공하는 한편, 저장된 데이터를 차트, 그래프, 그래픽 등의 비주얼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리포팅하는 웹페이지 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통합 연료정보 관리서버.
KR1020130092579A 2013-08-05 2013-08-05 통합연료정보시스템 KR101442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79A KR101442507B1 (ko) 2013-08-05 2013-08-05 통합연료정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579A KR101442507B1 (ko) 2013-08-05 2013-08-05 통합연료정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507B1 true KR101442507B1 (ko) 2014-09-23

Family

ID=5176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579A KR101442507B1 (ko) 2013-08-05 2013-08-05 통합연료정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5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048B1 (ko) * 2017-02-21 2017-08-30 원양급유(주) 연료공급 선박 현황정보 관리시스템
KR20180115501A (ko) * 2017-04-13 2018-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650902A (zh) * 2020-05-19 2020-09-11 神华粤电珠海港煤炭码头有限责任公司 一种码头高效生产管理系统
KR20210029537A (ko) * 2019-09-06 2021-03-1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연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397A (ja) * 2004-04-07 2005-10-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燃料業務処理システム及び燃料業務処理プログラム
KR20130033511A (ko) * 2011-09-09 2013-04-04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연료 연소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1397A (ja) * 2004-04-07 2005-10-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燃料業務処理システム及び燃料業務処理プログラム
KR20130033511A (ko) * 2011-09-09 2013-04-04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력발전소의 연료 연소 통합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자신문 기사] 한국남동발전 SCM 성공사례(2012.10.22.) *
[전자신문 기사] 한국남동발전 SCM 성공사례(2012.10.22.)*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048B1 (ko) * 2017-02-21 2017-08-30 원양급유(주) 연료공급 선박 현황정보 관리시스템
KR20180115501A (ko) * 2017-04-13 2018-10-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유지보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9537A (ko) * 2019-09-06 2021-03-16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연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61168B1 (ko) * 2019-09-06 2021-06-07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연료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650902A (zh) * 2020-05-19 2020-09-11 神华粤电珠海港煤炭码头有限责任公司 一种码头高效生产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6193B2 (en) Consistent set of interfaces derived from a business object model
US8571922B2 (en) Method, technology, and system for displaying, measuring, assessing, and improving the operating and financial performance of metered energy and water consuming systems
CA2888444C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supply chain processes and intelligence
CN110874718A (zh) 一种混凝土企业大数据管理系统
US20030018490A1 (en) Object oriented system and method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supply-chains
Zhang et al. A stochastic production planning model under uncertain seasonal demand and market growth
KR101442507B1 (ko) 통합연료정보시스템
CN103268531A (zh) 一种用于能源中心的能源二级管理平台
AU2017239518A1 (en) Inventory management and tracking
US20150178751A1 (en) Fuel price data generation
US20160253728A1 (en) Cooperation server, cooperation program, and ec system
Heeks et al. Datafication, value and power in developing countries: Big data in two Indian public service organizations
JP2021128478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US201801142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management of business operations
Xiong et al. Intelligent technologies and systems of material management
CN115660567A (zh) 一种基于gis智慧工程管理系统及方法
US20050055262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distributing assignments and receiving report data
Xiong et al. Real-time manufacturing integration and intelligence solution: case study in global chemical company.
Fatimah et al. Enterprise architecture approachment for designing it master plan based on ERP for water utility company
US2021033471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US20160253729A1 (en) Cooperation server, cooperation program, and ec system
Petroutsatou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Fleet Management Software in the Greek Construction Industry
Soosaimuthu et al. Industry Best Practices and Business Recommendations
Smith Closing the gap between information and payment flows in a digital transformation
US20160253730A1 (en) Cooperation server, cooperation program, and ec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