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194B1 -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이 보강된 방한 장갑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 - Google Patents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이 보강된 방한 장갑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194B1
KR101442194B1 KR1020130039804A KR20130039804A KR101442194B1 KR 101442194 B1 KR101442194 B1 KR 101442194B1 KR 1020130039804 A KR1020130039804 A KR 1020130039804A KR 20130039804 A KR20130039804 A KR 20130039804A KR 101442194 B1 KR101442194 B1 KR 101442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s
finger
endothelium
insulating materi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즈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즈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즈글로벌
Priority to KR1020130039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위로부터 손을 보온시키기 위한 방한 장갑용 내피와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에 관한 것이다. 방한 장갑용 내피는, 손가락부를 이루도록 상피와 하피를 포함하는 안감이 외부에서 봉접되는 방한 장갑용 내피에 있어서, 손가락부 단부에 해당하는 내피 둘레에 보온재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로부터 추위에 가장 취약한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방한 장갑 전체의 보온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단부에만 보온재를 결합함으로써 보온 기능을 높이면서도 손의 활동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이 보강된 방한 장갑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INNER SKIN OF GLOVES WITH ENHANCED FINGERTIP-WARMING CAPABILITY AND GLOV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방한 추위로부터 손을 보온시키기 위한 방한 장갑용 내피와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 손을 보온하기 방한 장갑은 통상적으로 손과 접촉하는 내피와 그 외부에 결합되는 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한 장갑의 보온 기능을 높이기 위한 종래 제품으로, 내피와 외피 사이에 방수 및 방풍 기능을 갖는 중간피을 부가하거나, 외피 내면에 방수피막을 형성하거나, 내피를 2중으로 덧댄 제품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품들은 장갑에 별도의 구성을 부가하거나, 특수 처리를 하여야 하므로 제품 단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으므로, 겨울 스포츠용 장갑과 같이 고가의 장갑에만 적용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방한 장갑을 끼었다 하더라도 기온이 낮은 외부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장갑의 보온 기능은 불가피하게 점차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때 추위에 가장 취약한 부분 중 하나는 신체의 말단부에 해당하는 손가락이며, 실제 동상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그러나 보온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방한 장갑의 손가락 부분을 두껍게 설계할수록, 손의 움직임이 둔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한 상술한 배경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피의 손가락부에 보온재를 부가함과 동시에 활동성에 지장을 주지 않는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이 보강된 방한 장갑용 내피와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한 장갑용 내피는, 손가락부를 이루도록 상피와 하피를 포함하는 안감이 외부에서 봉접되는 방한 장갑용 내피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 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내피 둘레에 보온재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온재는, 상기 손가락부의 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상피 상부와 상기 하피 하부에 각각 봉접되는 상, 하부 보온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 하부 보온재는, 상기 상, 하피가 봉접되어 형성된 시접부에 봉접된다. 또는 상기 상, 하부 보온재는, 상기 상, 하피에 각각 덧댄 상태에서 동시에 봉접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온재는, 사용자의 손가락 단부 한마디에 상당하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피를 이루는 상기 안감은, 상기 상, 하피 사이에 중간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온재는, 상기 중간피에 덧댄 상태에서 결합되는 측부 보온재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온재는, 골무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손가락부의 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내피에 끼운 상태에서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한 장갑은, 상술한 방한 장갑용 내피와 결합되는 외피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부의 단부에 보온재가 결합되어 손 전체 중 추위에 취약한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향상시킴으로써 추위로부터 손 전체를 보호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피의 손가락부의 단부에만 보온재를 봉접함으로써 제작 단가가 낮으며, 내피 전체에 보온 부재를 결합하는 것과 대비할 때 비용 대비 보온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가락 단부 한마디 정도의 길이로 보온재가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장갑을 낀 상태에서도 작업이나 운동을 함에 있어서 손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상피와 하피로 이루어지는 내피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상피, 하피 및 중간피로 이루어지는 내피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내피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내피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방한 장갑용 내피에 적용되는 것으로, 먼저 일반적인 내피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내피(10)는, 손가락부를 이루도록 상피(11)와 하피(12)로 이루어지는 안감이 외부에서 봉접되어 시접부(13)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다른 내피(20)는 상피(21)와 하피(22) 그리고 그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피(23)로 이루어지는 안감이 외부에서 봉접되어 시접부(24)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방한 장갑용 내피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내피(10)의 손가락부 단부에 해당하는 내피(10) 둘레에 보온재(3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보온재(30)는, 손가락부의 단부에 해당하는, 상피(11) 상부와 상기 하피(12) 하부 위치에 각각 봉접되는 상, 하부 보온재(31, 32)로 이루어진다. 상, 하부 보온재(31, 32)는 마이크 플리스(Micro Fleece)와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 하부 보온재(31, 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피(11, 12)가 봉접되어 형성된 시접부(13)에 봉접된다. 즉, 도 1과 같이 제조된 내피(10)의 손가락부의 상, 하피(11, 12)에 각각 상, 하부 보온재(31, 32)를 덧댄 상태에서 내피(10)의 시접부(13)에 봉접시킬 수 있다.
또는 도 1의 내피(10)를 구성하는 상, 하피(11, 12)를 봉접시키기 전 단계에서, 상, 하부 보온재(31, 32)를 각각 상, 하피(11, 12)에 각각 덧댄 상태에서 동시에 봉접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봉접 단계를 1번만 거치므로 그만큼 공정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상, 하부 보온재(31, 32)는, 사용자의 손가락 단부 한마디에 상당하는 길이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손의 활동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 하부 보온재(31, 32)의 길이가 손가락 단부 한마디를 넘어서는 경우, 보온 면적은 확장되나 손가락을 접을 때의 동작이 둔해질 수 있으므로, 그 길이는 손가락 단부 한마디 정도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방한 장갑용 내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3개의 안감 즉, 상피(21), 하피(22) 및 중간피(23)로 이루어진 내피(20)의 손가락부 단부에 해당하는 내피(20) 둘레에 보온재(4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보온재(40)는, 손가락부의 단부에 해당하는, 상피(21) 상부와 하피(22) 하부 및 중간피(23) 측부 위치에 각각 봉접되는 상, 하부 보온재(41, 42) 및 측부 보온재(43)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각각의 보온재(41~4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와 같이 제조된 내피(20)를 구성하는 상피(21), 하피(22) 및 중간피(23)에 덧댄 상태에서 내피(20)의 시접부(24)에 봉접할 수 있다. 또는 도 2의 내피 제조를 위하여 상피(21), 하피(22) 및 중간피(23)를 재단한 상태에서, 상술한 각각의 보온재(41~43)를 덧대면서 봉접할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보온재를 골무 형태로 미리 제작한 후, 손가락부의 단부에 해당하는 내피에 끼운 상태에서 봉접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제1, 제2실시예보다 공정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한 장갑용 내피는, 외피와 결합함으로써 방한 장갑을 구성한다. 이때 내피와 외피의 결합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이외에 그 변형물 내지 균등물에까지 그 효력이 미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20 : 내피 11, 21 : 상피
12, 22 : 하피 13, 24 : 시접부
23 : 중간피 30, 40 : 보온재
31, 41 : 상부 보온재 32, 42 : 하부 보온재
43 : 측부 보온재

Claims (8)

  1. 손가락부를 이루도록 상피와 하피를 포함하는 안감이 외부에서 봉접되는 방한 장갑용 내피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 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내피 둘레에 보온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되,
    상기 내피를 이루는 상기 안감은, 상기 상, 하피 사이에 중간피를 포함하고,
    상기 보온재는, 상기 중간피에 덧댄 상태에서 결합되는 측부 보온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장갑용 내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는,
    상기 손가락부의 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상피 상부와 상기 하피 하부에 각각 봉접되는 상, 하부 보온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장갑용 내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보온재는,
    상기 상, 하피가 봉접되어 형성된 시접부에 봉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장갑용 내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보온재는,
    상기 상, 하피에 각각 덧댄 상태에서 동시에 봉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장갑용 내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는,
    사용자의 손가락 단부 한마디에 상당하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장갑용 내피.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한 장갑용 내피와 결합되는 외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장갑.
KR1020130039804A 2013-04-11 2013-04-11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이 보강된 방한 장갑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 KR101442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804A KR101442194B1 (ko) 2013-04-11 2013-04-11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이 보강된 방한 장갑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804A KR101442194B1 (ko) 2013-04-11 2013-04-11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이 보강된 방한 장갑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194B1 true KR101442194B1 (ko) 2014-09-22

Family

ID=51760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804A KR101442194B1 (ko) 2013-04-11 2013-04-11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이 보강된 방한 장갑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1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373B1 (ko) 2019-06-12 2020-01-14 송성달 항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충용 제품
KR102078545B1 (ko) 2019-06-19 2020-02-19 평화장갑(주) 훈련용 기모 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2219967B1 (ko) 2020-11-16 2021-02-24 주식회사 제일 손가락의 가동 범위 확장용 확장모듈이 구비된 장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1124U (ko) * 1985-09-18 1987-03-30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1124U (ko) * 1985-09-18 1987-03-3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373B1 (ko) 2019-06-12 2020-01-14 송성달 항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충용 제품
KR102078545B1 (ko) 2019-06-19 2020-02-19 평화장갑(주) 훈련용 기모 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2219967B1 (ko) 2020-11-16 2021-02-24 주식회사 제일 손가락의 가동 범위 확장용 확장모듈이 구비된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3761B2 (en) Removable insulated head gear lining
KR101442194B1 (ko) 손가락 단부의 보온 기능이 보강된 방한 장갑용 내피 및 이를 구비한 방한 장갑
US20170215496A1 (en) Glove Providing Grip and Dexterity
WO2006017564A2 (en) Forearm guard
EP2893825A1 (en) Glov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57487Y1 (ko) 발열장갑
US20090199319A1 (en) Insulated handwear with increased flexion and method of making
US20070044200A1 (en) Thermal-conductive insulated glove
CN204949616U (zh) 一种防火耐高温手套
US6839912B2 (en) Protective glove having inner ribs between inner liner and outer shell
KR101725835B1 (ko) 충진재가 채워진 방한장갑 및 그 제조방법
US10010121B2 (en) Hand warmer with a sealable end
KR200485109Y1 (ko) 고무장갑용 속장갑
KR200456436Y1 (ko) 방한 장갑
RU191150U1 (ru) Перчатка утепленная с полимерным покрытием
KR101474912B1 (ko) 일회용 방한복
JP3120731U (ja) 手袋
KR200481715Y1 (ko) 모발 파마용 전기모자
IT201900000529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individuale per mano, in particolare contro il calore per contatto, convettivo, radiante, spruzzi di metallo fuso e fiamma, contro il freddo e contro il taglio e/o la perforazione
EP2923591A1 (en) Glove
KR100977846B1 (ko) 비행 장갑
CN210353362U (zh) 一种隔热防烫伤型手套
KR101743070B1 (ko) 쿨링 장갑
KR200489449Y1 (ko) 어깨 워머
CN203885639U (zh) 指麻医用一次性丁腈手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