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811B1 -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및 코일링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 - Google Patents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및 코일링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0811B1
KR101440811B1 KR1020140065440A KR20140065440A KR101440811B1 KR 101440811 B1 KR101440811 B1 KR 101440811B1 KR 1020140065440 A KR1020140065440 A KR 1020140065440A KR 20140065440 A KR20140065440 A KR 20140065440A KR 101440811 B1 KR101440811 B1 KR 10144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ors
detector
center tube
hole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준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to KR102014006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0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0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21C17/108Measuring reactor flu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3/00Measuring neutron radi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가닥의 검출기를 서로 꼬이지 않고 균일한 인장력을 갖으면서 정밀하게 코일링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이 적용된 노내핵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는, 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중심관의 일단과 연결되어 중심관을 회전시키는 코일 드럼; 중심관이 관통되는 중심관 관통홀과 그 주변으로 검출기들이 관통되는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이 이격 형성되고, 테이블의 상면에 코일 드럼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코일 드럼의 작동과 연계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코일링 전 검출기와 중심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가이드하는 캐리지; 중심관이 관통되는 중심관 관통홀과 그 주변으로 검출기들이 관통되는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이 이격 형성되고, 테이블의 상면에 캐리지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심관의 주변에 검출기들이 꼬이지 않고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오리엔테이션 디스크; 및 검출기들의 양단 중 테이블의 타측에 위치된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검출기들이 꼬이지 않고 팽팽하게 인장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며, 캐리지의 중심관 관통홀과 검출기 관통홀 사이의 간격은 오리엔테이션 디스크의 중심관 관통홀과 검출기 관통홀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및 코일링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DETECTOR COILING EQUIPMENT AND COILING METHOD FOR IN-CORE INSTRUMENTATION, AND IN-CORE INSTRUMENTATION US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노내핵계측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가닥의 검출기를 서로 꼬이지 않고 균일한 인장력을 갖으면서 정밀하게 코일링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는 원자로 내의 핵연료의 분열 반응 즉, 연소 작용을 통하여 발생된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그 주위로 순환되는 1차 냉각수를 높은 온도로 가열시킨다. 가열된 1차 냉각수는 다시 증기발생기에서 열 교환을 통해 2차 냉각수를 가열시켜 고온 고압의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발생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빈을 움직여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원자로 내의 연쇄적인 핵분열을 일으키는 매개체가 바로 중성자이다. 중성자 선속을 측정함으로써 원자로 내의 출력을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데, 원자로 노심의 중성자 선속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검출기가 자기출력형 중성자검출기(self-powered neutron detector)이다. 중성자검출기는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하우징 내에 다수가 집합되어 하나의 어셈블리인 집합체로 구성되어 사용된다. 다수의 중성자검출기로 구성되어 최종적으로 원자로 내부에 삽입 및 장착되는 장치가 노내핵계측기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노내핵계측기의 외관도이다.
노내핵계측기는 커넥터(10), 플렉시블 호스(20), 씰 플러그(30), 계측부(40)로 구성되며, 계측부(40)의 외관은 외부보호관(41) 및 블릿노우즈(42)로 구성된다. 계측부(40)는 원자로와 연결되어 있는 가이드 튜브를 통해 원자로 내부로 삽입되며, 외부보호관(41) 내부에는 검출기들이 배치되고, 검출기들이 원자로 내부의 중성자 선속 및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씰 플러그(30)는 고온, 고압이 작용하는 원자로 내부와 외부의 경계면을 형성하여 압력누출을 방지하며 검출기에서 측정된 신호는 커넥터(10)를 통해 전송 케이블로 전송된다.
도 2는 종래 노내핵계측기의 계측부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미국특허 4,780,267(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의 대표도면이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계측부(40)를 구성하는 외부보호관 내에는 내측교정튜브(50) 외측에 디텍터(60), 열전대(70) 및 필러케이블(80)이 코일링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코일링구조를 통해 디텍터(60), 열전대(70) 및 필러케이블(80)이 감긴 내측교정튜브(50)가 외부 보호관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로듐 이미터가 정해진 높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행문헌을 따르면, 내측교정튜브(50)의 외측에 상기 구성물들을 코일링하여 소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코일링 과정에서 제작상 번거로움이 있고 코일링되는 구성물간에 간극이 발생하여 견고한 결합이 어렵다.
특히, 선행문헌에 따르면 필러케이블(80)이 내측교정튜브(50)의 끝부분부터 코일링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서부터 코일링되기 때문에 코일링 작업이 원활하지 않고 번거롭다. 또한, 필러케이블(80)이 중간에서 코일링될 때 필러케이블(80)의 단부와 디텍터(60) 및 열전대(70) 사이에 간극(도면상 A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견고한 결합이 어렵다.
미국특허 4,780,267(1988.10.25.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60228호(2010.06.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28046호(1999.11.0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검출기들이 중심관의 단부로부터 서로 꼬이지 않고 정밀하게 코일링될 수 있는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및 코일링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는 중심관의 외측에 복수 가닥의 검출기를 코일링하는 것으로, 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중심관의 일단과 연결되어 중심관을 회전시키는 코일 드럼; 중심관이 관통되는 중심관 관통홀과 그 주변으로 검출기들이 관통되는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이 이격 형성되고, 테이블의 상면에 코일 드럼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코일 드럼의 작동과 연계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코일링 전 검출기와 중심관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가이드하는 캐리지; 중심관이 관통되는 중심관 관통홀과 그 주변으로 검출기들이 관통되는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이 이격 형성되고, 테이블의 상면에 캐리지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심관의 주변에 검출기들이 꼬이지 않고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오리엔테이션 디스크; 및 검출기들의 양단 중 테이블의 타측에 위치된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검출기들이 꼬이지 않고 팽팽하게 인장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며, 캐리지의 중심관 관통홀과 검출기 관통홀 사이의 간격은 오리엔테이션 디스크의 중심관 관통홀과 검출기 관통홀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오리엔테이션 디스크는, 중심에 중심관 관통홀이 형성되고 중심관 관통홀의 주변으로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이 중심관 관통홀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 디스크; 및 중심에 중심관 관통홀이 형성되고 중심관 관통홀의 주변으로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이 중심관 관통홀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원형 디스크 사이에 배치되어 코일링 과정 중 검출기들이 전체적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사각 디스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방법은, 중심관을 캐리지 및 오리엔테이션 디스크에 삽입하는 단계; 중심관의 일단을 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코일 드럼에 연결하는 단계; 복수 가닥의 검출기들을 캐리지 및 오리엔테이션 디스크에 삽입하는 단계; 무게추를 검출기들의 양단 중 테이블의 타측에 위치되는 단부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 검출기들의 일단을 모두 중심관의 일단에 접합하는 단계; 무게추를 테이블의 상면으로부터 내려 검출기들을 팽팽하게 인장시키는 단계; 캐리지를 코일 드럼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시키고, 오리엔테이션 디스크를 캐리지로부터 타측으로 이격시켜 정위치시키는 단계; 및 코일 드럼을 회전시켜 중심관의 외측에 검출기들을 코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방법은, 코일 드럼이 회전하면, 테이블 상에서 코일 드럼의 작동과 연계하여 중심관의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캐리지를 통해 코일링 전 중심관과 검출기들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좁아지고, 오리엔테이션 디스크을 통해 중심관의 주변에 검출기들이 꼬이지 않고 균일하게 배열된다.
본 발명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방법에 따르면, 코일 드럼의 외경과 중심관의 외경비를 조율하여 로듐 이미터의 위치가 결정된다.
본 발명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및 코일링방법,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복수 가닥의 검출기들이 모두 중심관의 단부에 접합된 후 단부로부터 코일링되기 때문에 필러케이블이 중간부터 코일링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제작이 용이하다. 특히, 검출기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정밀하고 견고한 코일링이 가능하다.
둘째, 캐리지와 오리엔테이션 디스크를 이용해 검출기들을 중심관의 외측에 꼬이지 않고 정밀하게 코일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로듐 이미터의 정밀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며 중성자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노내핵계측기의 외관도.
도 2는 종래 노내핵계측기의 계측부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캐리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오리엔테이션 디스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형 디스크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사각 디스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내핵계측기에서 검출부를 구성하는 중심관에 검출기가 코일링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 장치를 설치하고 검출기를 코일링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 장치 및 코일링 방법, 그리고 노내핵계측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검출기는 중성자 검출기, 신호보상용 검출기, 열전대 및 필러 케이블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 장치(1)는, 코일 드럼(10), 캐리지(20),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 공회전 롤러(40) 및 무게추(50)를 포함한다. 코일링 작업이 이루어지는 테이블(60) 위에서 도면상 좌측으로부터 코일 드럼(10), 캐리지(20),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 공회전 롤러(40), 무게추(50)가 차례로 배치된다.
코일 드럼(10)은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 중심관(2)의 일단과 연결로드(70)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로드(70)의 일단은 코일 드럼(1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중심관(2)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코일 드럼(10)에는 캐리지(20)의 슬라이딩에 관여하는 두 가닥의 권취 와이어(11)가 앞뒤로 이격되게 권취된다.
캐리지(20)는 테이블(60) 위에서 코일 드럼(10)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코일 드럼(10)의 작동과 연계하여 중심관(2)의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검출기(3)의 코일링 직전 중심관(2)과 검출기(3) 사이의 간격을 좁혀주어 검출기(3)의 정밀한 코일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는 테이블(60) 위에서 캐리지(20)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캐리지(20)로 진입하는 검출기(3)들을 서로 꼬이지 않고 균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가이드한다.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에 의해 가이드되는 중심관(2)과 검출기(3) 사이의 간격은 캐리지(20)에서의 간격보다 넓게 형성된다.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는 캐리지(20)와 일정 간격을 두고 자동으로 슬라이딩된다. 검출기(3)들이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를 통과하는 순간부터 중심관(2)과 검출기(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기 시작하므로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는 자동으로 밀려 이송된다.
공회전 롤러(40)는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캐리지(20)의 슬라이딩에 관여하는 이송 와이어(80)가 방향을 전환하면서 감기게 된다.
무게추(50)는 검출기(3)들의 양단 중 테이블(60)의 타측에 위치되는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테이블(60)의 아래쪽 공간으로 수직하게 늘어뜨러져 검출기(3)들이 서로 꼬이지 않고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무게추(50)는 연결 와이어(90)와 클램프(100)를 통해 검출기(3)와 연결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캐리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구의 사시도이다.
캐리지(20)의 중심부에는 중심관(2)과 검출기(3)들이 관통하는 관통부(21)가 형성되며, 관통부(21)의 양쪽으로는 날개부(22)가 각각 형성되고, 각 날개부(22)는 다리부(23)에 의해 테이블(60)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관통부(21)에는 중심관(2)의 주변으로 검출기(3)들이 꼬이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배열되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코일링 전 검출기(3)와 중심관(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가이드하여 검출기(3)들이 중심관(2) 외측에 정밀하게 코일링되도록 하는 가이드구(24)가 일체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구(24)의 중심에는 중심관(2)이 관통되는 중심관 관통홀(20a)이 형성되고, 중심관 관통홀(20a)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는 검출기(3)들이 관통되는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20b)이 동일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가이드구(24)에 형성된 중심관 관통홀(20a)과 검출기 관통홀(20b) 사이의 간격은 후술할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에 형성된 중심관 관통홀(31a)(32a)과 검출기 관통홀(31b)(32b) 사이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된다.
각 날개부(22)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두 가닥의 이송 와이어(80) 중 한 가닥과 연결된다. 이송 와이어(80)는 코일 드럼(10)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권취 와이어(11)와 연결되어 코일 드럼(10) 회전시 검출기(3)의 배열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송 와이어(80)는 공회전 롤러(40)에서 방향이 전환되면서 다시 코일 드럼(10) 쪽으로 이동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오리엔테이션 디스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원형 디스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사각 디스크의 사시도이다.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는 캐리지(20)의 관통부(21) 쪽으로 진입하는 검출기(3)들이 서로 꼬이지 않고 균일하게 배열되면서 코일링되도록 가이드하는 코일링 가이드로서, 복수 개의 원형 디스크(31)와, 원형 디스크(31)들 사이에 배치되는 사각 디스크(32)를 포함한다.
원형 디스크(31)와 사각 디스크(32)의 중심에는 중심관(2)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중심관 관통홀(31a)(32a)이 각각 형성되며, 중심관 관통홀(31a)(32a)을 중심으로 그 주변에는 복수 개의 검출기(3)들이 각각 관통되는 검출기 관통홀(31b)(32b)이 동심원상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원형 디스크(31)에서의 중심관(2)과 검출기(3) 사이의 간격과 사각 디스크(32)에서의 중심관(2)과 검출기(3)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나, 다른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형 디스크(31) 및 사각 디스크(32) 상에서의 중심관(2)과 검출기(3) 사이의 간격은 캐리지(20)에서의 간격보다 넓다.
원형 디스크(31)는 검출기(3)들이 서로 꼬이지 않게 배열시켜주며, 코일링시 자동으로 이송된다. 테이블과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이송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사각 디스크(32)는 검출기(3)들이 서로 꼬이지 않게 배열시켜주는 역할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코일링시 캐리지(20)에 진입하지 않은 검출기(3)들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만일, 사각 디스크(32) 없이 원형 디스크(31)만 구비하여 검출기(3)들을 꼬이지 않게 지지하게 되면 검출기(3)들이 코일링될 때 코일링 방향 즉, 중심관(2)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원형 디스크(31)가 회전할 염려가 있으며, 이렇게 되면 검출기(3)들은 통채로 뒤틀리게 되고 코일링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사각 디스크(32)가 구비된다. 사각 디스크(32)는 직선으로 된 한 변이 테이블의 상면에 접촉되므로 코일링시 원형 디스크(31)와 달리 회전할 염려가 없으며, 검출기(3)들이 전체적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노내핵계측기에서 검출부를 구성하는 중심관에 검출기가 코일링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 장치를 통해 검출기(3)들이 중심관(2)에 코일링된 모습을 보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각 검출기(3)들은 중심관(2)의 단부에 접합된 후 단부로부터 코일링이 이루어지며 검출기(3)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고 견고히 코일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 장치를 설치하고 검출기를 코일링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 장치를 설치하고 검출기를 코일링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1)의 설치과정을 보면, 먼저 테이블(60)의 상면 일측에 코일 드럼(10)이 안치되고, 테이블(60)의 상면에서 코일 드럼(10)의 타측 방향으로 캐리지(20) 및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가 각각 배치된다.
이어서, 중심관(2)이 캐리지(20) 및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의 중심관 관통홀(20a)(31a)(32a)에 삽입된다. 이때, 캐리지(20)에 가이드구(24)가 조립된 상태에서 중심관(2)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가이드구(24)가 분리된 상태에서 중심관(2)이 가이드구(24)에 삽입된 후 이후 공정에서 가이드구(24)가 캐리지(20)에 조립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캐리지(20) 및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에 삽입된 중심관(2)의 일단은 연결로드(70)를 이용해 코일 드럼(10)에 연결되며, 검출기(3)들도 캐리지(20) 및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에 삽입된다. 검출기(3)들의 일단은 중심관(2)의 일단 쪽에 위치되고 타단은 테이블(60)의 타측에 위치된다.
검출기(3)들의 양단 중 테이블(60)의 타측에 위치된 타단에는 무게추(50)가 각각 연결된다.
검출기(3)들의 일단은 용접에 의해 모두 중심관(2)의 일단에 접합된다. 검출기(3) 용접 후 무게추(50)들을 테이블(60)의 타측 방향에 위치된 공간으로 내려 수직 하방으로 늘어뜨림으로써, 검출기(3)들은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가 된다.
검출기(3)들을 팽팽하게 인장시킨 후에는 캐리지(20) 및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를 정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검출기(3)의 코일링을 위한 준비가 모두 완료된다.
검출기(3)의 코일링 준비가 모두 완료되면, 코일 드럼(10)을 일 방향으로 작동시켜 중심관(2)을 회전시킨다. 중심관(2)이 회전하는 가운데 검출기(3)들은 중심관(2)의 외측에 나선형으로 코일링되며, 각 검출기(3)들은 캐리지(20) 및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를 통해 꼬이지 않게 공급되면서 코일링된다.
코일링 과정에서 캐리지(20)는 코일 드럼(10)의 권취 와이어(11)와 연결되는 이송 와이어(8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며,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는 캐리지(20)의 슬라이딩과 함께 자동 슬라이딩된다. 캐리지(20)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검출기(3)들을 중심관(2)에 꼬이지 않게 근접시켜 정밀한 코일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는 검출기(3)들이 꼬이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검출기(3) 전체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
코일 드럼(10)의 외경과 중심관(2)의 외경비(예컨대, 1;1.5)를 조율하여 로듐 이미터(Rhodium Emiter)를 정해진 위치에 배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검출기(3)들은 서로 꼬이지 않고 균일한 인장력을 가지면서 중심관(2) 외측에 정밀하고 견고하게 코일링된다. 이를 통해 로듐 이미터의 정밀한 배열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 장치 및 코일링 방법, 그리고 노내핵계측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코일링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의 각 공정들은 순서가 바뀔 수 있다.
1 :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 장치 10 : 코일 드럼
11 : 권취 와이어 20 : 캐리지
21 : 관통부 22 : 날개부
23 : 다리부 24 : 가이드구
30 : 오리엔테이션 디스크 31 : 원형 디스크
32 : 사각 디스크 40 : 공회전 롤러
50 : 무게추 60 : 테이블
70 : 연결로드 80 : 이송 와이어
90 : 연결 와이어 100 : 클램프

Claims (6)

  1. 중심관(2)의 외측에 복수 가닥의 검출기(3)를 코일링하는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3) 코일링장치에 있어서,
    테이블(6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중심관(2)의 일단과 연결되어 중심관(2)을 회전시키는 코일 드럼(10);
    중심관(2)이 관통되는 중심관 관통홀(20a)과 그 주변으로 검출기(3)들이 관통되는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20b)이 이격 형성되고, 테이블(60)의 상면에 코일 드럼(10)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코일 드럼(10)의 작동과 연계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어, 코일링 전 중심관(2)과 검출기(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가이드하는 캐리지(20);
    중심관(2)이 관통되는 중심관 관통홀(31a)(32a)과 그 주변으로 검출기(3)들이 관통되는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31b)(32b)이 이격 형성되고, 테이블(60)의 상면에 캐리지(20)로부터 타측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심관(2)의 주변에 검출기(3)들이 꼬이지 않고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 및
    검출기(3)들의 양단 중 테이블(60)의 타측에 위치된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검출기(3)들이 꼬이지 않고 팽팽하게 인장되도록 하는 무게추(50);를 포함하며,
    캐리지(20)의 중심관 관통홀(20a)과 검출기 관통홀(20b) 사이의 간격은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의 중심관 관통홀(31a)(32a)과 검출기 관통홀(31b)(32b)사이의 간격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는,
    중심에 중심관 관통홀(31a)이 형성되고, 중심관 관통홀(31a)의 주변으로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31b)이 중심관 관통홀(31a)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원형 디스크(31); 및
    중심에 중심관 관통홀(32a)이 형성되고, 중심관 관통홀(32a)의 주변으로 복수 개의 검출기 관통홀(32b)이 중심관 관통홀(32a)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동일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원형 디스크(31) 사이에 배치되어 코일링 과정 중 검출기(3)들이 전체적으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사각 디스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3. 중심관(2)을 캐리지(20) 및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에 삽입하는 단계
    중심관(2)의 일단을 테이블(6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된 코일 드럼(10)에 연결하는 단계;
    복수 가닥의 검출기(3)들을 캐리지(20) 및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에 삽입하는 단계;
    무게추(50)를 검출기(3)들의 양단 중 테이블(60)의 타측에 위치되는 단부에 각각 연결하는 단계;
    검출기(3)들의 일단을 모두 중심관(2)의 일단에 접합하는 단계;
    무게추(50)를 테이블(60)의 상면으로부터 내려 검출기(3)들을 팽팽하게 인장시키는 단계;
    캐리지(20)를 코일 드럼(10)으로부터 타측으로 이격시키고,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를 캐리지(20)로부터 타측으로 이격시켜 정위치시키는 단계; 및
    코일 드럼(10)을 회전시켜 중심관(2)의 외측에 검출기(3)들을 코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코일 드럼(10)이 회전하면, 테이블(60) 상에서 코일 드럼(10)의 작동과 연계하여 중심관(2)의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캐리지(20)를 통해 코일링 전 중심관(2)과 검출기(3)들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좁아지고, 오리엔테이션 디스크(31)(32)을 통해 중심관(2)의 주변에 검출기(3)들이 꼬이지 않고 균일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코일 드럼(10)의 외경과 중심관(2)의 외경비를 조율하여 로듐 이미터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노내핵계측기.
KR1020140065440A 2014-05-29 2014-05-29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및 코일링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 KR101440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440A KR101440811B1 (ko) 2014-05-29 2014-05-29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및 코일링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440A KR101440811B1 (ko) 2014-05-29 2014-05-29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및 코일링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0811B1 true KR101440811B1 (ko) 2014-09-18

Family

ID=51760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440A KR101440811B1 (ko) 2014-05-29 2014-05-29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및 코일링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08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1375A (zh) * 2020-10-21 2021-01-08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核反应堆探测器组件拆除用主轴平移卷绕机构和使用方法
CN112259268A (zh) * 2020-10-21 2021-01-22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核反应堆探测器组件拆除系统和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2259267A (zh) * 2020-10-21 2021-01-22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核反应堆探测器组件拆除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0267A (en) * 1987-02-17 1988-10-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core assembly configuration having a dual-wall pressure boundary for nuclear reactor
KR19990014036A (ko) * 1997-07-21 1999-02-25 그로칵 피터 조지 금속 스트립의 전단가공 및 코일링 장치
KR100228046B1 (ko) * 1997-03-19 1999-11-01 정명세 고온정밀백금저항온도센서
KR100960228B1 (ko) * 2009-12-30 2010-06-01 주식회사 우진 고정형 노내핵계측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0267A (en) * 1987-02-17 1988-10-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core assembly configuration having a dual-wall pressure boundary for nuclear reactor
KR100228046B1 (ko) * 1997-03-19 1999-11-01 정명세 고온정밀백금저항온도센서
KR19990014036A (ko) * 1997-07-21 1999-02-25 그로칵 피터 조지 금속 스트립의 전단가공 및 코일링 장치
KR100960228B1 (ko) * 2009-12-30 2010-06-01 주식회사 우진 고정형 노내핵계측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1375A (zh) * 2020-10-21 2021-01-08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核反应堆探测器组件拆除用主轴平移卷绕机构和使用方法
CN112259268A (zh) * 2020-10-21 2021-01-22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核反应堆探测器组件拆除系统和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2259267A (zh) * 2020-10-21 2021-01-22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核反应堆探测器组件拆除装置
CN112201375B (zh) * 2020-10-21 2022-02-11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核反应堆探测器组件拆除用主轴平移卷绕机构和使用方法
CN112259267B (zh) * 2020-10-21 2022-04-01 中国核动力研究设计院 核反应堆探测器组件拆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0811B1 (ko) 노내핵계측기용 검출기 코일링장치 및 코일링방법, 그리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노내핵계측기
US8832952B2 (en) Apparatus for measuring outer diameters of fuel rods of nuclear fuel assembly
CN105583484B (zh) 一种光纤传感器无胶化封装装置及方法
CN103869271B (zh) 一种正八边形梯度磁场线圈
EP2071360B1 (en) Transverse in-core probe monitoring and calibration device for nuclear power plants, and method thereof
JP2016045191A (ja) 多重熱電対炉内核計測器、それを利用した重大事故後の原子炉内部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03871526A (zh) 一种用于反应堆堆芯中子通量和温度的探测装置
US9640285B2 (en) Probe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of oxide layer of fuel rod
CN105953756A (zh) 基于同步带驱动的电缆接续管内钢管位置检测装置
CN111326269A (zh) 一种基于自给能探测器及热电偶的堆芯测量传感器
KR102200392B1 (ko)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RU2178211C2 (ru) Малоинерционное миниатюр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собственным источником энергии для ярусн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нейтронного потока в ядерном реакторе
CN216482837U (zh) 一种电缆挤塑用缆径在线测量机构
Dalla Palma et al. Design and R&D of thermal sensors for ITER neutral beam injectors
CN104048882A (zh) 用于光缆接头盒抗拉力测试装置
JP6088523B2 (ja) 棒位置検出装置及び方法
CN113238233B (zh) 一种基于水下摄像机的长线阵阵元灵敏度的快速测量装置和方法
JPH01162102A (ja) 試験片の摩耗位置指定装置及び方法
JP2011247855A (ja) 液膜計測装置及び液膜計測方法
US4839135A (en) Anti-vibration flux thimble
WO2012119429A1 (zh) 将光纤光栅传感器预埋于电磁线的制作方法及成套系统
CN208593064U (zh) 一种圆盘式钢丝缠绕牵引装置
US3999067A (en) High speed radiation scanning technique for simultaneously determining the pitch and eccentricity of an encased oil
US20140167748A1 (en) Tubing probe bobbin with petal
KR101373041B1 (ko) 중수로 이동형 검출기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