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802B1 - 고지향성 안테나에 의한 mu mⅰmo 지원 - Google Patents

고지향성 안테나에 의한 mu mⅰmo 지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802B1
KR101439802B1 KR1020137007876A KR20137007876A KR101439802B1 KR 101439802 B1 KR101439802 B1 KR 101439802B1 KR 1020137007876 A KR1020137007876 A KR 1020137007876A KR 20137007876 A KR20137007876 A KR 20137007876A KR 101439802 B1 KR101439802 B1 KR 10143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mds
group
antenna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675A (ko
Inventor
미셸 엑스. 공
드미트리 아크메토브
Original Assignee
인텔 코오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오퍼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오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6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ining sequences per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서, MU 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제어기는 다수의 모바일 장치와의 지향성 통신을 위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모바일 장치들을 상이한 그룹으로 편성할 수 있고, 하나의 그룹 내의 모든 모바일 장치는 서로로부터의 과도한 간섭 없이 네트워크 제어기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 및 그룹화를 위해 다양한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지향성 안테나에 의한 MU MⅠMO 지원{MU MIMO SUPPORT WITH HIGHLY DIRECTIONAL ANTENNAS}
60 GHz 범위에서의 채널을 사용하는 많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LOS(line of sight) 신호 경로가 우세 신호 경로(predominant signal path)인데, 그 이유는 신호, 특히 반사된 신호가 심각하게 감쇠되기 때문이다. 이것으로 인해 이러한 네트워크가 효율적인 공간 재사용에 아주 적합하게 되고, 따라서 이것은 MU 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통신에 적격인 후보이다.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공간 재사용에 필요한 고지향성 채널(highly directional channel)을 생성하는 데 빔 형성이 중요하다. 종래의 채널 훈련 방법은 다수의 공간 채널을 생성하는 데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데 사용되는 이하의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가 보다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요소 안테나(multi-element antenna) 및 연관된 전자 회로를 갖는 무선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 MIMO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섹터 훈련 방법의 흐름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가중치 벡터를 수반하는 다중 사용자 빔 형성 훈련 방법의 흐름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전-코딩된 행렬을 수반하는 다중 사용자 빔 형성 훈련 방법의 흐름도.
이하의 설명에는, 많은 구체적인 상세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들 구체적인 상세 내용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다른 경우에, 본 설명의 이해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공지의 회로, 구조 및 기법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고 있다.
"일 실시예", "한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다양한 실시예" 등으로 언급하는 것은 그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가 특정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모든 실시예가 특정의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꼭 포함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일부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기술된 특징들 중 일부, 전부를 가지거나 전혀 갖지 않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결합된(coupled)" 및 "연결된(connected)"이라는 용어가 그의 파생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어가 서로에 대해 동의어로서 의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오히려, 특정의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 물리적 또는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연결된"이 사용될 수 있다. "결합된"은 2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 협력하거나 상호작용하지만 그들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물리적 또는 전기적 구성요소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공통의 요소를 기술하는 데 서수 형용사 "제1", "제2", "제3" 등을 사용하는 것은 동일한 요소의 상이한 경우가 참조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뿐이고, 그와 같이 기술된 요소들이 시간적으로, 공간적으로, 순위에서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에서 주어진 순서로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암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동작들의 수행을 가능하게 해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되어 실행될 수 있는, 유형의(tangible)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내에 또는 그 매체 상에 포함된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는 임의의 유형의 비일시적 메커니즘 -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장치, 기타 등등(이들로 제한되지 않음) - 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이라는 용어는 비고상 매체(non-solid medium)를 통해 변조된 전자기 방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회로, 장치, 시스템, 방법, 기법, 통신 채널 등을 기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용어는 연관된 장치가 어떤 전선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암시하지 않는다. 무선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무선기(radio),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무선기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고,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반면, 프로세서는 전송될 데이터 및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전송되지도 수신되지도 않는 다른 데이터도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 내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제어기"라는 용어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장치들에 의한 무선 통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케줄링 및 제어하는 장치를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네트워크 제어기는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중앙 지점(central point, CP), 또는 네트워크 제어기의 기능을 기술하는 데 나올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용어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본 문서 내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라는 용어는 무선 통신이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케줄링 및 제어되는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 MD)는 또한 이동국(mobile station, MS), STA,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또는 모바일 장치의 기능을 기술하는 데 나올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용어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모바일 장치는 이러한 통신 동안 이동할 수 있지만, 이동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유형의 무선 기술에서, 다중-요소 안테나를 갖는 무선 장치는 지향적 방식으로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요소가 각각의 요소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위상 및 진폭을 조정함으로써 자체적으로 무지향적 특성을 가질 수 있지만, 결합된 전송은 한 방향에서는 강하고 다른 방향들에서는 약한 전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각각의 요소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 및 진폭을 조정함으로써, 지향성 수신(directional reception)이 달성될 수 있다.
통상적인 네트워크는 서로 통신하는 다수의 장치 - 네트워크 제어기 및 네트워크 제어기와 직접 통신하는 다수의 모바일 장치 등 - 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 내에서, MU 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라는 용어는 네트워크 제어기 및 다수의 모바일 장치 각각이 모두 적어도 하나의 다중-요소 안테나를 가지며 각각이 지향성 통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요소 안테나 및 연관된 전자 회로를 갖는 무선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예시된 장치(110)에서, 안테나(115)는 3 x 3 직사각형 어레이로 배열되어 있는 9개의 안테나 요소(117)를 가진다. 다른 실시예는 다른 기하학적 구성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는 다른 수량의 안테나 요소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요소(117)는 안테나 요소와 RF 체인(RF chain)(130) 사이를 지나가는 신호의 위상 및/또는 진폭을 천이시킬 수 있는 조정가능한 용량성 및/또는 유도성 및/또는 저항성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는 개별적인 아날로그 회로(analog circuit, AC)(120)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을 복잡하게 만드는 것을 피하기 위해 단지 2개의 이러한 아날로그 회로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안테나 요소(117)는 그 자신의 연관된 아날로그 회로(120)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아날로그 구성요소의 값 및 효과는 AC 제어 회로(140)에 의해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주어진 안테나(115)에서의 모든 안테나 요소에 대한 이들 아날로그 구성요소의 값을 제어하게 될 설정을 본 명세서에서 '안테나 가중치 벡터(antenna weight vector, AWV)'라고 한다. 각각의 AWV는 한 방향에서의 주 로브(main lobe)와 다른 방향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널 로브(null lobe) - 이들 로브 각각에 대한 특정의 각도 폭을 가짐 - 로 이루어진 그 자신의 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아날로그 회로(120)로 가는/그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대해 하나의 RF 체인(130)이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부가의 처리 유닛(들)(150)이 부가의 처리를 제공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 전송 및 수신 둘 다를 위해 동일한 안테나(115)가 사용될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는 각각에 대해 개별적인 어레이를 가질 수 있다.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동일한 안테나(115)를 가지는 일부 실시예에서, 전송을 위한 한 세트의 아날로그 회로(120) 및 수신을 위한 다른 세트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장치(110)는 다수의 안테나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안테나는 그 자신의 RF 체인 및 한 세트의 아날로그 회로를 갖는 다중-요소 어레이를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U MIMO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 것이다. 예시된 네트워크(200)에서, 네트워크 제어기(NC)는 3개의 모바일 장치(MD1, MD2, MD3) 각각에 의한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각각의 모바일 장치(MD1, MD2, MD3)는 적어도 하나의 다중-요소 안테나를 갖는 것으로 가정되며, 따라서 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 지향적으로 전송하고 지향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NC)는 다수의 안테나를 갖는 것으로 가정되고, 각각의 안테나는 다중-요소이며, NC는 상이한 방향에서 - 각각의 방향은 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함 - 동일한 주파수(들)로 각각의 안테나에 의해 상이한 신호를 동시에 전송(또는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장치 옆에 있는 원뿔 모양의 도형은 장치가 원뿔의 원호 내에서 충분히 강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원뿔의 원호 내에서 충분히 강한 신호를 수신 및 디코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원뿔의 원호 밖에서의 통신은 신뢰성있게 전송 또는 수신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그 장치와의 무선 통신에서의 지향성을 나타낸다. 각각의 원호의 각도 크기는 여기에서 논의되지 않은 다수의 인자들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NC가 3개의 상이한 MD와 동시에 통신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NC는 적어도 3개의 안테나를 가지고 있어야만 하지만, 더 많이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MU MIMO 장치는, 방향들이 서로 간섭을 야기할 정도로 충분히 중복하지 않기만 하다면, 가지고 있는 다중-요소 안테나와 동수의 상이한 방향에서 동시에 전송(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제어기(NC)는 다수의 모바일 장치와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NC는 이어서 모바일 장치들을 상이한 그룹으로 편성할 수 있고, 하나의 그룹 내의 모든 모바일 장치는 서로로부터의 과도한 간섭 없이 동일한 주파수(들)에서 NC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모든 MD와 적절히 통신하기 위해 다수의 이러한 그룹이 형성될 수 있다. 3가지 상이한 유형의 훈련이 기술되어 있다. 한 유형에서, NC는 몇개의 MD 각각과 섹터 훈련을 수행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MD는 특정의 사전 정의된 섹터 내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다른 유형에서, NC는 섹터 훈련만으로 획득될 수 있는 결과를 개선시키기 위해 상이한 AWV들을 시도할 수 있다. 제3 유형에서, NC는 섹터 훈련만으로 획득될 수 있는 결과를 개선시키기 위해 상이한 사전-코딩된 행렬들을 시도할 수 있다.
섹터 훈련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섹터 훈련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섹터 훈련은 각각의 MD가 다수의 사전 정의된 각도 섹터 중 어느 것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정하는 것을 수반하고, 따라서 NC는 통신을 그 섹터로 지향시킴으로써 그 MD와 통신할 수 있다. 사전 정의된 섹터는, 추가의 안테나 훈련 없이, 사전 정의된 안테나 가중치 벡터를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섹터이다. 이 기법이 형성된 지향성 빔을 수반하지만, 각각의 빔을 형성하는 파라미터는, 애드혹 통신 교환을 통해 결정되기보다는, 이미 알려져 있고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
각각의 MD가 특정의 섹터와 연관된 후에, NC는 또한 목표 섹터 내에서의 지향성 통신이 다른 섹터들 내에서의 지향성 통신들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을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 판정의 결과는, 그 그룹 내의 장치들 간에 과도한 간섭 없이, NC가 그룹 내의 모든 MD와 지향적으로 동시에 통신할 수 있도록 MD들이 그룹들로 편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NC는 섹터별로 하나의 MD와 섹터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305). '섹터'는 하나의 통신 장치의 관점에서 볼 때 사전 결정된 각도 커버리지 원호를 갖는 사전 결정된 전송 또는 수신 방향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든 이용가능한 섹터는 모두 합하여 그 장치에 대한 전체 360도 커버리지 영역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각각이 30도 폭인 12개 섹터를 담당하도록 사전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전체적으로 완전한 원의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섹터별 전송은 통상적으로 NC로 하여금, 어느 섹터를 담당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각각의 전송에서의 식별자를 사용하여, 각각의 섹터의 방향에서 차례로 전송을 하게 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어떤 경우에, 과도 조건(transient condition)이 섹터 전송들 중 하나를 방해하는 경우에 더 나은 신뢰성을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섹터에 대해 2번 이상의 전송이 행해질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 전송을 하는 무선 장치는 섹터별 전송을 위해 필요한 AWV에 대해 사전-교정되어 있을 것이며, 따라서 특정의 섹터의 방향에서 그 섹터의 사전 정의된 각도 폭을 갖고서 전송하는 데 필요한 AWV를 결정하기 위해 훈련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NC가, 한번에 하나의 섹터씩, 각각의 섹터로 전송할 때, 310에서, 각각의 MD는 수신할 수 있는 섹터 전송을 수신할 수 있고, 각각의 수신된 섹터 전송에 대해, 섹터 식별자 및 RSSI 파라미터(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를 기록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특정의 MD가 다수의 섹터에 대한 전송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지만, 모든 섹터에 대해 측정가능한 신호를 수신하지는 못할 수 있다. MD는 또한 다른 채널 측정도 할 수 있다.
315에서, MD는, 그 MD에 의해 신호가 기록되었던 각각의 섹터 전송에 대해, 기록된 섹터 식별자 및 연관된 채널 측정[RSSI, 탭 지연, 기타 등등(이들로 제한되지 않음)]을 다시 NC로 전송할 수 있다. 이 정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각각의 MD에 대해, NC는 이제 MD의 섹터(MD가 가장 강한 RSSI를 기록했던 섹터)로의 전송을 위한 그리고 또한 모든 다른 섹터로의 전송을 위한 RSSI 파라미터를 가지는데, 그 이유는 그 전송들이 그 MD에 의해 검출되었기 때문이다. MD가 RSSI를 기록하지 않은 섹터들은 0의 RSSI를 갖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궁극적인 목표가 다수의 MD로 동시에 전송하는 것 - 이는 다수의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것임 - 일 수 있기 때문에, NC 상의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동작들(305 내지 315)이 반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이것이 순차적으로(다른 안테나에 대한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한 안테나에 대한 동작을 완료함) 행해질 수 있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안테나들이 동작들(305 내지 315)을 동시에[즉, 동작(315)을 수행하기 전에 동작들(305, 310)이 모든 안테나에 대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림] 수행할 수 있다.
320에서, NC는, 한 안테나에 의해 특정의 섹터에서 NC로부터 MD로 전송이 행해지고 있고 다른 안테나들에 의해 다른 섹터들에서 NC로부터 다른 MD들로 하나 이상의 동시적인 전송이 또한 행해지고 있을 때, 그 특정의 섹터에서 그 MD가 보게 될 SINR(signal-to-interference-and-noise-ratio,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을 위해, 의도된 MD가 보게 되는 가장 강한 RSSI가 신호값으로서(그리고, 관련 섹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다른 안테나들에 의해 다른 섹터들로 전송이 행해질 때 의도된 MD가 보게 되는 RSSI는 간섭 및 잡음(interference-plus-noise) 값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의 섹터에 대한 SINR은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고:
SINR = RSSI-T / RSSI-O
여기서 RSSI-T는 목표 섹터(SINR 값이 요망되는 섹터)로 보내지는 전송에 대해 그 섹터에 있는 장치에 의해 측정된 RSSI이고, RSSI-O는 다른 섹터들로 행해지는 전송들에 대해 그 동일한 장치에 의해 측정되는 RSSI 값들의 합이다. 장래의 계산을 위해, 다른 섹터들의 모든 실현가능한 조합이 고려될 때까지, 다른 섹터들 각각의 효과를 개별적으로 고려하고, 다른 섹터들의 각각의 쌍을 고려하는 등의 개별적인 SINR이 도출될 수 있다. 이것은 나중에 결정되는 '그룹'이 가변 수의 장치 - 2개의 장치부터 최대 수의 장치까지 - 를 가질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SINR을 계산할 때 RSSI 값만을 고려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다른 표시자들도 참작할 수 있다.
이들 SINR 값에 기초하여, 325에서, 다른 섹터들로 동시에 전송하고 있는 다른 안테나들로부터의 과도한 간섭 없이, 각각의 안테나가 상이한 특정의 섹터로 전송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조합이 발견될 수 있다. 많은 경우에, 다수의 이러한 조합이 발견될 수 있다. 330에서, 다양한 MD들을 상이한 그룹들에 할당하기 위해 이들 비간섭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그룹은 이들 비간섭 조합 중 하나를 나타내는 MD들을 가지고 있다(즉, 각각의 그룹은 각각이 상이한 섹터(그 섹터들은 서로 간섭하지 않음)에 있는 다수의 MD들을 가지고 있음). 이러한 방식으로, NC는, 어떤 안테나도 자신이 전송하려고 시도하지 않는 어떤 다른 MD들에 간섭을 야기하는 일 없이, 개별적인 신호를 그룹 내의 각각의 MD로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상이한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그룹이 정의되면, 흐름은 추가의 동작을 위해 흐름도에서 'B'로 이동할 수 있다. 섹터 훈련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생성하면, 'B'는 정의된 그룹들을 사용하여 NC와 다양한 MD들 사이에서 통신하는 동작들(도시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이 프로세스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생성하지 않은 경우, 흐름은 NC와 MD들 사이에서의 지향성 통신(directional communications)에서 사용될 지향성 및 빔 폭을 추가로 미세 조정하기 위해 도 3b 또는 도 3c로 이동할 수 있다. 이들 추가의 프로세스를 "빔 미세 조정(beam refinement)"이라고 한다. 빔 미세 조정은 빔을 좁히고 및/또는 빔의 중심을 시계 방향으로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안테나 가중치 벡터를 사용한 빔 미세 조정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가중치 벡터를 수반하는 다중 사용자 빔 형성 훈련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예컨대, 도 3a의 동작들을 수행함으로써) MD들을 그룹들로 편성한 후에, 도 3b의 동작들이 'B'에서 시작될 수 있으며, 이 경우 NC는 도 3a의 330에서 생성된 그룹들 중 하나에 있는 MD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한다.
335에서, NC는, 상이한 AWV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NC의 안테나들 중 제1 안테나로부터 훈련 시퀀스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훈련 시퀀스는 도 3a에서 사용된 AWV로 시작할 수 있고, 이어서 그것을 제2 AWV로 변경하고, 이어서 제3 AWV로 변경하며, 이하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사용할 상이한 AWV의 수, 어느 AWV를 사용할지를 선택하는 방법, 및 각각의 AWV를 사용하여 전송하는 시간 길이가 여기서 논의하지 않는 다양한 인자들에 의존할 수 있다.
NC 상의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훈련 시퀀스를 전송하는 이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다. 각각의 전송은 임의의 특정의 때에 전송을 위해 어느 안테나 및 어느 AWV가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신측 MD는 수신된 신호에 관한 통계를 그 표시자들과 연관시킬 수 있다. NC로부터의 각각의 전송은 또한 목표 그룹에 있는 MD를 지정하는 목적지 주소(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른 그룹에 있는 다른 MD는 이 훈련 시퀀스를 무시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 다른 그룹의 MD들은 나중에 동일한 전체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340에서, 그룹 내의 각각의 MD는 훈련 시퀀스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각의 훈련 시퀀스에 대한 다양한 파라미터를, 각각의 파라미터 세트에 대한 안테나 및 AWV와 함께, 기록할 수 있다. 이들 파라미터를 여기서 채널 측정(channel measurement, CM) 정보 - RSSI, SINR, 탭 지연 등을 포함할 수 있음 - 라고 한다.
어떤 시점에서, NC는 그룹 내의 MD에 이 CM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345), MD는 그 정보를 NC로 전송할 수 있다(350). 일부 실시예에서, NC는 각각의 개별 MD로 폴(poll)을 전송하고 응답을 기다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NC는 그룹 내의 다양한 MD를 스케줄링하여, 표시된 시간에 그들의 정보를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다른 기법들도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NC는 각각의 안테나의 각각의 AWV에 대한 그룹 내의 각각의 MD로부터의 CM 정보를 가질 것이다. (MD가 아무런 신호도 수신하지 않은 그러한 조합에 대해, 널 정보 패키지(null information package)가 MD에 의해 전송되거나, NC에 의해 단지 가정될 수 있다.) 355에서 이 정보를 분석한 후에, NC는 도 3a에 대해 앞서 기술한 섹터 훈련 프로세스의 결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인접한 섹터 사이의 경계 쪽으로 신호를 보내는 AWV가 그 경계에 위치해 있는 MD에 대한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섹터보다 더 좁은 빔 폭은 동일한 섹터에 있는 MD들이 동시에 통신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만족스러운 결과가 얻어진 경우(즉, AWV에 의해 그룹 내의 한 MD 쪽으로 신호가 보내지는 반면 그룹 내의 다른 MD로 널을 보내는 경우), 다수의 안테나에 대해 결정된 공동의 AWV가 그룹 내의 MD들로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365). 그렇지만, 특정의 MD에 대해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C'에서 다른 방식이 시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AWV 세트를 사용하여 도 3b의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거나, 도 3c의 프로세스가 시도될 수 있다.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다른 기법들도 역시 시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이 하향링크 통신(NC로부터 다수의 MD로의 전송)에 대한 AWV-기반 BFT를 다루고 있지만, 상향링크 통신(MD로부터 NC로의 전송)에 대해 NC 안테나를 훈련시키기 위해 유사한 프로세스를 따를 수 있다. 이 프로세스에서, 각각의 MD는 차례로 그 MD의 최상의 AWV(예를 들어, 본 문서에 기술된 절차들과 분리되어 있을 수 있는, MD의 안테나들을 훈련시키기 위한 훈련 시퀀스 동안 결정됨)를 사용하여 훈련 시퀀스를 NC로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MD의 훈련 시퀀스 동안, NC는 수신을 위해 순차적으로 상이한 AWV들을 시도하고 각각에 대해 CM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그룹 내의 모든 MD에 대해 이 프로세스를 완료한 후에, NC는 어느 AWV에 의해 NC가 하나의 MD로부터 강하게 수신할 수 있는 반면 그룹 내의 다른 MD들로부터는 본질적으로 널을 수신하게 되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AWV가 그룹 내의 각각의 MD에 대해 결정될 수 있다.
도 3a의 프로세스 및/또는 도 3b의 프로세스 후에 상이한 MD들과의 상이한 통신들 사이의 공간적 분리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도 3c의 프로세스가 사용될 수 있다.
MIMO 사전-코딩된 행렬을 사용한 빔 미세 조정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전-코딩된 행렬을 수반하는 다중 사용자 빔 형성 훈련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 3b의 동작들을 수행한 후에, 도 3c의 동작들이 'C'에서 시작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NC는 도 3a의 330에서 생성된 그룹들 중 하나에 있는 MD들에 대해 다음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한다.
도 3b의 절차들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은 임의의 그룹에 대해서는, 어떤 추가의 훈련도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에, 2개의 MD가 부적절한 공간적 분리를 가질 수 있다(즉, NC로부터의 그들의 방향의 각도 차가 너무 작아서 상호 간섭 없이 동시에 둘 다와 통신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MD가 그의 메시지를 인접한 MD의 메시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해주기 위해 사전-코딩된 행렬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결정이 370에서 행해질 수 있다. 공간적 분리가 적절한 경우, NC는 이전에 결정된 AWV를 사용하여 그룹 내의 MD와 통신하기 시작할 수 있다(390). 그렇지만, 그룹 내의 임의의 2개 이상의 MD가 너무 가까워서 간섭 없이 동시에 통신할 수 없는 경우, NC는 채널 임펄스 응답을 식별하기 위해 그 MD들과 통신 시퀀스를 개시할 수 있다(375). 어떤 경우에, NC는 MD에게 채널 측정에서 톤별 SINR(per-tone SINR)을 보고하라고 요구할 수 있다. 채널 임펄스 응답에 기초하여, 380에서 NC는 이들 MD와의 통신에서 사용할 사전-코딩된 행렬을 계산할 수 있다.
단일-반송파 PHY 통신의 경우, N x N 행렬이 계산될 수 있고, 여기서 N은 그룹 내의 MD의 수이다.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다중-반송파 PHY 통신의 경우, 다수의 병렬 부반송파(parallel subcarrier)를 통해 통신이 행해진다. 이 경우에, 2가지 상이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경우에, N x N 행렬이 계산될 수 있고, 그 동일한 N x N 행렬이 각각의 부반송파에 적용될 수 있다. 제2 경우에, N x N x M 행렬이 계산될 수 있고(단, M은 사용 중인 부반송파의 수임), 상이한 N x N 행렬이 이어서 각각의 부반송파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행렬들이 계산되었으면, 행렬들이 그룹 내의 MD와의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385).
일부 실시예에서, 기술된 훈련 절차들 중 하나가 어떤 그룹들에 대해서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생성하지만 다른 그룹들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 혼성 방식이 취해질 수 있다. 만족스러운 결과가 얻어진 그 그룹들은 차후의 MU MIMO 통신에 대해 그 결과를 사용할 수 있다. 나머지 그룹들은 그들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때까지 다른 절차(여기에 기술되어 있거나 기술되어 있지 않음)를 시도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 하나 이상의 특정의 MD를 한 그룹에 위치시키는 것이 실시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NC는 그 MD와 그룹 내에서가 아니라 개별적으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변형례들이 안출될 것이다. 그 변형례들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23)

  1. 다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로부터, 다수의 섹터 각각에서 지향적으로 훈련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안테나의 나머지 각각으로부터 상기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다수의 모바일 장치(mobile device, MD) 각각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MD 각각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훈련 신호에 대한 섹터 식별자 및 연관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MD 각각을 특정의 섹터에 위치시키는 단계;
    각각의 섹터에 대해, 한 안테나로부터 그 섹터로의 전송 및 다른 안테나로부터 다른 섹터로의 전송의 각각의 조합에 대해 SINR(signal-to-interference-and-noise ratio,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SINR들에 기초하여, 섹터들의 비간섭 조합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MD들을 그룹들에 할당하는 단계 - 각각의 그룹은 SINR이 상이한 안테나로부터 그 그룹 내의 모든 MD로의 동시 전송들로 인해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섹터들에 대해서는 섹터당 최대 1개의 MD를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은 특정의 섹터로의 전송, 제1의 다른 섹터로의 전송, 및 제2의 다른 섹터로의 전송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단계는 특정의 MD를 상기 특정의 MD에 의해 수신된 가장 높은 RSSI 값에 대응하는 특정의 섹터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부가의 훈련 시퀀스들을 그룹 내의 MD들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부가의 훈련 시퀀스들 각각은 상이한 안테나 가중치 벡터(antenna weight vector)를 가짐 -;
    상기 그룹 내의 각각의 MD로부터 채널 측정 세트들을 수신하는 단계 - 각각의 채널 측정 세트는 어느 안테나 가중치 벡터가 각각의 채널 측정 세트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나타냄 -; 및
    상기 채널 측정 세트들에 기초하여, 특정의 안테나 가중치 벡터를 상기 그룹 내의 특정의 MD와 연관시키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안테나 가중치 벡터는 상기 특정의 MD 쪽으로는 지향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그룹 내의 각각의 나머지 MD 쪽으로는 널을 생성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테나의 상기 나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연관시키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그룹 내의 적어도 일부의 MD들에 대한 채널 임펄스 응답들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채널 임펄스 응답들에 기초하여 MIMO(multiple-input-multiple-output) 사전-코딩(pre-coding) 행렬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일부의 MD들과의 통신에서 상기 사전-코딩 행렬들을 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행렬은 N x N 행렬을 포함하고, 여기서 N은 그룹 내의 MD의 수인 방법.
  9. 다수의 안테나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기기로서,
    각각의 안테나는 지향성 통신을 위한 다수의 요소를 가지며,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다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로부터, 다수의 섹터 각각에서 지향적으로 훈련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다수의 안테나의 나머지 각각으로부터 상기 전송하는 것을 반복하며;
    다수의 모바일 장치(MD) 각각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MD 각각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훈련 신호에 대한 섹터 식별자 및 연관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MD 각각을 특정의 섹터에 위치시키며;
    각각의 섹터에 대해, 한 안테나로부터 그 섹터로의 전송 및 다른 안테나로부터 다른 섹터로의 전송의 각각의 조합에 대해 SINR(signal-to-interference-and-noise ratio)을 결정하고;
    상기 SINR들에 기초하여, 섹터들의 비간섭 조합들을 결정하며;
    상기 MD들을 그룹들 - 각각의 그룹은 SINR이 상이한 안테나로부터 그 그룹 내의 모든 MD로의 동시 전송들로 인해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섹터들에 대해서는 섹터당 최대 1개의 MD를 포함함 - 에 할당하는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은 특정의 섹터로의 전송, 제1의 다른 섹터로의 전송, 및 제2의 다른 섹터로의 전송을 포함하는 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것은 특정의 MD를 상기 특정의 MD에 의해 수신된 가장 높은 RSSI 값에 대응하는 특정의 섹터에 할당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부가의 훈련 시퀀스들을 그룹 내의 MD들로 전송하고 - 상기 부가의 훈련 시퀀스들 각각은 상이한 안테나 가중치 벡터를 가짐 -;
    상기 그룹 내의 각각의 MD로부터 채널 측정 세트들을 수신하며 - 각각의 채널 측정 세트는 어느 안테나 가중치 벡터가 각각의 채널 측정 세트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나타냄 -;
    상기 채널 측정 세트들에 기초하여, 특정의 안테나 가중치 벡터를 상기 그룹 내의 특정의 MD와 연관시키는 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안테나 가중치 벡터가 상기 특정의 MD 쪽으로는 지향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그룹 내의 각각의 나머지 MD 쪽으로는 널을 생성하는 기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또한
    그룹 내의 적어도 일부의 MD들에 대한 채널 임펄스 응답을 식별하고;
    상기 채널 임펄스 응답에 기초하여 사전-코딩 행렬들을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의 MD들과의 통신에서 상기 사전-코딩 행렬들을 사용하는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각각의 행렬은 N x N 행렬을 포함하고, 여기서 N은 그룹 내의 MD의 수인 기기.
  16.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다수의 안테나 중 제1 안테나로부터, 다수의 섹터 각각에서 지향적으로 훈련 신호들을 전송하는 동작;
    상기 다수의 안테나의 나머지 각각으로부터 상기 전송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작;
    다수의 모바일 장치(MD) 각각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MD 각각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훈련 신호에 대한 섹터 식별자 및 연관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수신된 RSSI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MD 각각을 특정의 섹터에 위치시키는 동작;
    각각의 섹터에 대해, 한 안테나로부터 그 섹터로의 전송 및 다른 안테나로부터 다른 섹터로의 전송의 각각의 조합에 대해 SINR(signal-to-interference-and-noise ratio)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SINR들에 기초하여, 섹터들의 비간섭 조합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MD들을 그룹들에 할당하는 동작 - 각각의 그룹은 SINR이 상이한 안테나로부터 그 그룹 내의 모든 MD로의 동시 전송들로 인해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섹터들에 대해서는 섹터당 최대 1개의 MD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물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은 특정의 섹터로의 전송, 제1의 다른 섹터로의 전송, 및 제2의 다른 섹터로의 전송을 포함하는 물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시키는 동작은 특정의 MD를 상기 특정의 MD에 의해 수신된 가장 높은 RSSI 값에 대응하는 특정의 섹터에 할당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물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부가의 훈련 시퀀스들을 그룹 내의 MD들로 전송하는 동작 - 상기 부가의 훈련 시퀀스들 각각은 상이한 안테나 가중치 벡터를 가짐 -;
    상기 그룹 내의 각각의 MD로부터 채널 측정 세트들을 수신하는 동작 - 각각의 채널 측정 세트는 어느 안테나 가중치 벡터가 각각의 채널 측정 세트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나타냄 -; 및
    상기 채널 측정 세트들에 기초하여, 특정의 안테나 가중치 벡터를 상기 그룹 내의 특정의 MD와 연관시키는 동작
    을 추가로 포함하는 물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안테나 가중치 벡터는 상기 특정의 MD 쪽으로는 지향성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그룹 내의 각각의 나머지 MD 쪽으로는 널을 생성하는 물품.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다수의 안테나의 상기 나머지 각각에 대해, 상기 전송하는 동작, 상기 반복하는 동작, 상기 수신하는 동작, 상기 위치시키는 동작, 상기 SINR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조합들을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할당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하는 물품.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그룹 내의 적어도 일부의 MD들에 대한 채널 임펄스 응답들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채널 임펄스 응답들에 기초하여 사전-코딩 행렬들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적어도 일부의 MD들과의 통신에서 상기 사전-코딩 행렬들을 사용하는 동작
    을 추가로 포함하는 물품.
  23. 제22항에 있어서, 각각의 행렬은 N x N 행렬을 포함하고, 여기서 N은 그룹 내의 MD의 수인 물품.
KR1020137007876A 2010-09-20 2011-09-08 고지향성 안테나에 의한 mu mⅰmo 지원 KR101439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454710P 2010-09-20 2010-09-20
US61/384,547 2010-09-20
US12/952,848 US8340601B2 (en) 2010-09-20 2010-11-23 MU MIMO support with highly directional antennas
US12/952,848 2010-11-23
PCT/US2011/050777 WO2012039943A1 (en) 2010-09-20 2011-09-08 Mu mimo support with highly directional antenna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675A KR20130066675A (ko) 2013-06-20
KR101439802B1 true KR101439802B1 (ko) 2014-09-12

Family

ID=4581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7876A KR101439802B1 (ko) 2010-09-20 2011-09-08 고지향성 안테나에 의한 mu mⅰmo 지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340601B2 (ko)
EP (2) EP2619919A4 (ko)
JP (1) JP5567217B2 (ko)
KR (1) KR101439802B1 (ko)
CN (2) CN103098384A (ko)
WO (2) WO2012039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20692A (zh) * 2011-08-10 2013-05-16 Ind Tech Res Inst 資料傳送方法及使用此方法的基地台及用戶端設備
EP3273743A1 (en) 2012-03-01 2018-01-2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ulti-user parallel channel access in wlan systems
CN104937894B (zh) * 2013-01-25 2018-07-27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多分区传输的方法、发起方站台和响应方站台
US9071299B1 (en) 2013-02-05 2015-06-30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HDTV compatible precoding for multi-user MIMO in a wireless home network
US9331883B1 (en) 2013-03-05 2016-05-03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Wireless home network supporting concurrent links to legacy devices
US10320459B2 (en) * 2013-04-10 2019-06-11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wireless network through use of transmit beamforming
US9455773B2 (en) * 2013-07-15 2016-09-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Uplink multi-user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UL MU-MIMO) transmission request method in UL MU-MIMO communication
US9860174B2 (en) 2013-08-28 2018-01-0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acknowledgment of multi-user uplink wireless transmissions
EP4236144A3 (en) 2013-10-01 2023-10-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Enhancements for coordinated orthogonal block-based resource allocation (cobra) in wlan systems
EP3061303A4 (en) * 2013-10-25 2017-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ceiver channel reservation
WO2015108873A1 (en) * 2014-01-15 2015-07-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ofdma transmission
US9553650B2 (en) * 2014-04-18 2017-01-24 Aruba Networks, Inc. MU-MIMO implementation with configurable antenna system
EP3135066B1 (en) * 2014-04-21 2021-02-17 Kabushiki Kaisha Toshib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P3135067B1 (en) * 2014-04-21 2021-02-24 Kabushiki Kaisha Toshiba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WO2016021994A1 (ko) 2014-08-07 2016-02-11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KR102163485B1 (ko) * 2014-10-22 2020-10-07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US9918336B2 (en) 2014-11-03 2018-03-1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LAA-LTE communication in an unlicensed spectrum
WO2016129824A1 (ko) * 2015-02-11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mu 전송을 위한 매체 보호 방법 및 장치
US10142972B2 (en) * 2015-04-27 2018-1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 user uplink response rules
CN106257951B (zh) * 2015-06-19 2021-04-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基站
US20170303328A1 (en) * 2016-04-15 2017-10-19 Intel IP Corporation Antenna weight vector group identific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19040062A1 (en) * 2017-08-23 2019-02-2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EAM SELEC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CN108279411B (zh) * 2018-02-01 2020-04-14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mds的被动mimo时差定位方法
US10772067B2 (en) * 2019-01-29 2020-09-08 Loc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cise radio frequency localization of a wireless arbitrary device
EP3942858A1 (en) 2019-03-21 2022-01-26 Marvell Asia Pte, Ltd. Coordinated multi-user transmissions with multiple access points
US20230098735A1 (en) * 2021-09-24 2023-03-30 Lemon Inc. Collaborative advertising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9812A1 (en) 2008-01-25 200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stage antenna training of beamforming vectors
US20090238156A1 (en) 2008-02-13 200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training of beamforming vectors by selective use of beam level training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0403B2 (en) * 2002-03-08 2009-12-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AC aggregation frame with MSDU and fragment of MSDU
CN101860925B (zh) * 2003-10-15 2013-03-27 高通股份有限公司 具有与传统系统互操作性的高速媒体接入控制
KR100574041B1 (ko) * 2003-10-27 2006-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애드호크 네트워크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통신방법
KR100564761B1 (ko) * 2003-12-22 2006-03-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이브리드 내재 토큰 csma/ca 프로토콜.
CN1773989B (zh) * 2004-05-07 2012-03-21 美国博通公司 多进多出无线通信的绿地前同步码格式
DE102004028703A1 (de) * 2004-06-14 2005-12-29 Siemens Ag Verfahren zur Zuweisung von Übertragungskapazitäten bei einer Signalübertragung, Basisstation und mobiles Endgerät
US7536205B2 (en) * 2004-06-15 2009-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ownlink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duling in a wireless network
KR100714680B1 (ko) * 2004-08-11 2007-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 스테이션과 siso 스테이션이 무선네트워크에서 충돌없이 공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네트워크 장치
US7706338B2 (en) * 2004-12-23 2010-04-2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bandwidth efficient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US7359362B2 (en) * 2005-01-28 2008-04-1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 of a multi-sectored antenna system to improve channel efficiency
US20060209772A1 (en) * 2005-03-15 2006-09-21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Coordinated directional medium access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KR100643299B1 (ko) * 2005-06-09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무선 네트워크에서 레거시 방식의 데이터를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796880B (zh) * 2007-08-31 2015-04-0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增强的多用户传输
US7881340B2 (en) * 2007-10-22 2011-02-01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Decentralized media access control for ad-hoc mobile wireless network
CN101335539B (zh) * 2008-01-08 2011-11-16 上海交通大学 用户间同信道干扰抑制的方法及其基站
US8855094B2 (en) * 2008-02-13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09109913A2 (en) * 2008-03-03 2009-09-11 Runcom Technologies Ltd. Low complexity user selection for sdma
US8027702B2 (en) 2008-03-11 2011-09-27 Intel Corporation Combined omni- and directional- communications in high-frequency wireless networks
US8140068B2 (en) * 2008-03-28 2012-03-20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feedback in cellular systems to mitigate interference in downlink
CN102037778B (zh) * 2008-05-19 2014-09-1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改善无线网络的空间复用的技术
WO2009147570A1 (en) * 2008-06-02 2009-1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synchronous multi-user transmission
CN102017459B (zh) * 2008-08-18 2014-04-16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多扇区协作多输入多输出传输的分组实现方法及装置
JP2010081360A (ja) * 2008-09-26 2010-04-08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EP2359625B1 (en) 2008-10-29 2020-04-29 Marvell World Trade Lt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forming transmit beamforming sector sweep in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device
US8934855B2 (en) * 2008-11-12 2015-01-13 Apple Inc. Antenna auto-configuration
US8638772B2 (en) * 2009-03-10 2014-01-2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granting a transmission opportunity in a wireless LAN system that uses a combined channel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ubchannels, and station supporting the method
US8879523B2 (en) * 2009-06-05 2014-11-04 Broadcom Corporation Management frame directed cluster assignment within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8582485B2 (en) * 2009-06-05 2013-11-12 Broadcom Corporation Scheduled clear to send (CTS) for multiple user, multiple access, and/or MIMO wireless communications
US8724546B2 (en) * 2009-10-23 2014-05-13 Marvell World Trade Ltd. Training sequence indication for WLAN
US9853847B2 (en) * 2009-12-30 2017-12-26 Mediatek Inc. Measurement and carrier group based optimization in wireless OFDM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US8873531B2 (en) * 2010-05-03 2014-10-28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indicating station-specific information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
US8953578B2 (en) * 2010-06-23 2015-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ention avoidance in multi-user multiple-input-multiple-output wireless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9812A1 (en) 2008-01-25 200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ulti-stage antenna training of beamforming vectors
US20090238156A1 (en) 2008-02-13 200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ntenna training of beamforming vectors by selective use of beam level trai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07342B2 (en) 2016-08-02
US20120071116A1 (en) 2012-03-22
CN103109467A (zh) 2013-05-15
CN103109467B (zh) 2015-09-30
JP5567217B2 (ja) 2014-08-06
CN103098384A (zh) 2013-05-08
US20130170427A1 (en) 2013-07-04
JP2013542640A (ja) 2013-11-21
EP2619920A4 (en) 2017-04-05
US8340601B2 (en) 2012-12-25
EP2619920A1 (en) 2013-07-31
WO2012039783A1 (en) 2012-03-29
EP2619919A1 (en) 2013-07-31
WO2012039943A1 (en) 2012-03-29
KR20130066675A (ko) 2013-06-20
EP2619919A4 (en)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802B1 (ko) 고지향성 안테나에 의한 mu mⅰmo 지원
CN108024268B (zh) 一种传输配置方法、传输配置确定方法、基站和终端
EP30517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a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9443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panel antenna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291305B2 (en) Beam training method and device in communication system
KR101146060B1 (ko) Mimo 시스템들에서 피드백을 사용한 멀티-레졸루션 빔형성을 이용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05068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eamforming
WO2016032104A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위한 가중치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522583B1 (en) Antenna beam manage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190053286A1 (en) Random access method in bdma system and random access method in pattern/polarized bdma system
JP7353355B2 (ja) 通信デバイスにおける複数のビーム受信
JP7296892B2 (ja) ビーム管理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および端末
KR20160026792A (ko) 채널 방향 정보 획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34927A (ko) 지능형 반사 디바이스를 위한 표면 엘리먼트 분할 및 노드 그룹화
JP7414927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動作する装置
JPWO2016047373A1 (ja)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7341251B2 (ja) 端末装置からの参照信号の送信
JP7422738B2 (ja) 偏波情報共有のための方法
JP7189336B2 (ja) 通信装置における干渉低減方法
CN106464327B (zh) 控制蜂窝mimo系统中的信号传输的方法、基站和蜂窝mimo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