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516B1 -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516B1
KR101439516B1 KR1020120097122A KR20120097122A KR101439516B1 KR 101439516 B1 KR101439516 B1 KR 101439516B1 KR 1020120097122 A KR1020120097122 A KR 1020120097122A KR 20120097122 A KR20120097122 A KR 20120097122A KR 101439516 B1 KR101439516 B1 KR 101439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mi
finished product
supplier
manufacturing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667A (ko
Inventor
유철홍
Original Assignee
엑센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엑센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엑센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5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및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와 반제품에 대한 재료비, 가공비, 감가상각비 및 공급업체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통합 물류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Logistics 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products}
본 발명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및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와 반제품에 대한 재료비, 가공비, 감가상각비 및 공급업체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통합 물류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의 제조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제품에 대한 종류, 성능 등에 따라 초기 설계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른 생산 계획이 수립된다. 이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재(資材) 또는 반제품(半製品)에 대하여 자체 수급 또는 하위 공급업체로부터의 구매 계획을 수립하고, 해당 자체 수급 계획 또는 구매 계획이 따라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자체 생산 및 하위 공급업체로부터의 입고가 완료되면 제품에 대한 실질적인 생산이 진행된다.
이와 같은 제품의 제조 흐름에 있어서, 제품의 생산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생산에 소요되는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특히, 자동차, TV 등과 같은 하이테크놀로지 제품의 경우, 이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자재 또는 반제품은 그 종류가 다양하고 요구되는 수량이 매우 많을 뿐만 아니라, 이를 공급하는 하위 공급업체도 다양하며 운송 교통이 복잡화됨에 따라, 자재 또는 반제품을 자체적으로 수급하거나 하위 공급업체로부터 이를 공급받아 완제품(完製品)을 생산하는 제조업체로써는 그러한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종래의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자재 또는 반제품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들은, 단순히 특정 제품이 어떤 부품들로 구성되는가에 대한 데이터로써 모든 품목에 대한 제품과 부품과의 관계,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사용량, 사용량의 단위를 표시한 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BOM(Bill of Material)을 활용하고 있고,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0646181호 등에서는 BOM에서 자재 또는 부품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자재코드의 자동생성 및 대량 등록, 관리하도록 하는 통합 자재 관리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0646181호 등과 같은 종래의 통합 자재 관리 기술들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단가 정보 또는 수량 정보만으로 한정되는 기본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고 있지 아니하여, 제품 제조업체로써는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완제품 및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소요되는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완제품 생산을 위한 물류의 흐름 정보를 통합 관리하여 이를 시각적으로 관리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 및 제품의 생산 일정을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은, 완제품(完製品)과 상기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資材) 및 반제품(半製品)에 대한 BOM(Bill of Material)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정보 저장부; 기설정된 매핑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되,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은 상기 완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와 상기 자재 또는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 생성부;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와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부가하는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 위치 정보 및 하위 공급 업체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는,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해 전자 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월드 맵(World Map)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상기 월드 맵 상의 위치를 입력 받아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는,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를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된 상기 공급업체의 위치에서 상기 제조업체의 위치로 향하는 상기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는,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위치를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된 상기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위치에서 상위 공급업체의 위치로 향하는 상기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는, 상기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 상에 상기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은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단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는,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되, 상기 물류 흐름 정보에 상기 단가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는,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표시 이미지를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는, 상기 물류 흐름 정보에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표시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 흐름 관리 방법은, 완제품과 상기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를 제품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1 단계; 기설정된 매핑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되,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은 상기 완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와 상기 자재 또는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2 단계;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와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부가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 위치 정보 및 하위 공급 업체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해 전자 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월드 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상기 월드 맵 상의 위치를 입력 받아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를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된 상기 공급업체의 위치에서 상기 제조업체의 위치로 향하는 상기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위치를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된 상기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위치에서 상위 공급업체의 위치로 향하는 상기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 상에 상기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은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단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되, 상기 물류 흐름 정보에 상기 단가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표시 이미지를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물류 흐름 정보에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표시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및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와 반제품에 대한 재료비, 가공비, 감가상각비 및 공급업체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통합 물류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파악된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핑 테이블 생성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매핑 규칙 정의부에 의해 정의되는 매핑 규칙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매핑 수행부에 의해 생성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는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100)은, 제품 정보 저장부(120), 매핑 테이블 생성부(140),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 및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자재' 및 '반제품'이라는 용어 각각은, 완제품을 직접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자재 및 반제품 뿐만 아니라, 반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하위 자재 및 하위 반제품을 포괄하는 의미를 내포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다.
제품 정보 저장부(120)는 완제품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완제품과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제품 정보 저장부(120)는 BOM 정보 저장부(122), 공정 정보 저장부(124) 및 기본 정보 저장부(126)로 구성될 수 있다.
BOM 정보 저장부(122)는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를 저장한다. BOM 정보 저장부(122)에 저장되는 BOM 정보는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명칭, 코드, 상·하위 조립 관계, 완제품 또는 상위 반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또는 반제품의 사용량, 제조 표준 시간(Standard Time; S/T), 단가 정보 등을 포함한다. BOM 정보에 포함되는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단가 정보로는 자재에 대한 재료비 정보와, 완제품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가공비와 감가상각비 정보 등이 해당할 수 있다. 또한, BOM 정보에는 완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 자재 또는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명칭 및 주소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공정 정보 저장부(124)는 제조 공정 순서 정보를 저장한다. 공정 정보 저장부(124)에 저장되는 제조 공정 순서 정보는 완제품이 생산되는 공정의 순서, 즉 경로 정보에 해당한다. 이때,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는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부품 조립 공정 또는 제품 조립 공정 과정에서 어떠한 자재 또는 반제품이 사용되는지에 대한 정보도 아울러 포함될 수 있다. 기본 정보 저장부(126)는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로써,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의 규격 등과 기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품 정보 저장부(120)는 완제품과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 제조 공정 순서 정보 및 기본 정보에 대하여 EXCEL,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 또는 SAP R/3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매핑 테이블 생성부(140)는 기설정된 매핑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러한 매핑 테이블 생성부(140)는,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추출부(220), 매핑 규칙 정의부(240) 및 매핑 수행부(260)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추출부(220)는 제품 정보 저장부(120)에서 EXCEL,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 또는 SAP R/3 등과 같은 이종의 데이터베이스 플랫폼에 의해 저장된 완제품과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 제조 공정 순서 정보 및 기본 정보를 추출한다.
매핑 규칙 정의부(240)는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가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매핑 규칙을 정의한다. 즉, 매핑 규칙 정의부(240)는 정보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BOM 정보, 제조 공정 순서 정보 및 기본 정보와 물류 정보 테이블의 각 필드 간 매핑 규칙을 정의한다. 이때, 매핑 규칙 정의부(240)에 의해 정의되는 매핑 규칙은,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300)로써 정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매핑 규칙 테이블(300)에는 정보 추출부(220)에 의해 추출된 BOM 정보, 제조 공정 순서 정보 및 기본 정보에서의 소스 필드(320)와 매핑 수행부(260)에 의해 생성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의 목적지 필드(340) 간 매핑 규칙이 정의된다. 또한, 매핑 규칙 테이블(300)에는 매핑 수행부(260)에 의해 생성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표시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한 표시 이미지 ID 필드(360)가 더 부가될 수 있다.
한편, 매핑 규칙 정의부(240)는 매핑 수행부(260)에 의해 생성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 부가되는 요약 정보로써, 자재비, 감가상각비, 사내 가공비, 사외 가공비 정보 등에 대한 필드값의 산출식에 대한 매핑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 매핑 규칙 정의부(240)에 의해 정의되는 요약 정보에 대한 필드값의 산출식은, 예시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40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요약 정보에 대한 산출식을 정의한 테이블(400)에는 해당 요약 정보에 대해, 도 3에 도시된 매핑 규칙 테이블(300)에서의 목적지 필드(340)의 필드명을 이용한 산출식 필드(42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매핑 규칙 정의부(240)는 매핑 수행부(260)에 의해 생성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 등록될 수 있는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표시 이미지의 등록 규칙으로써,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별 표시 이미지와 해당 표시 이미지에 대응하는 표시 이미지 ID 간의 매핑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매핑 규칙 정의부(240)에 의해 정의되는 표시 이미지 ID와 해당 표시 이미지 간 매핑 규칙은, 예시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50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표시 이미지 ID와 해당 표시 이미지 간의 매핑 규칙을 정의한 테이블(500)에는 도 3에 도시된 매핑 규칙 테이블(300)의 표시 이미지 ID 필드(360)에 대응하는 표시 이미지 ID 필드(520)와 해당 표시 이미지 ID에 대한 표시 이미지 필드(540)가 포함될 수 있다.
매핑 수행부(260)는 매핑 규칙 정의부(240)에 의해 정의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대한 매핑 규칙, 요약 정보 산출 및 표시 이미지 등록을 위한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즉, 매핑 수행부(260)는 매핑 규칙 정의부(240)에 의해 기설정된 매핑 규칙을 이용하여 제품 정보 저장부(120)로부터 추출된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서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때, 매핑 수행부(260)에 의해 생성된 물류 정보 테이블은 완제품, 자재 또는 반제품 각각에 대한 레코드에 제조 공정 순서에 따른 상·하 조립 관계를 나타내는 LEVEL, 자재코드, 자재명, 단가, 단위 수량, 가공비, 완제품 제조업체명, 완제품 제조업체 주소,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명,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 주소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매핑 수행부(260)는 매핑 규칙 정의부(240)에 의해 정의된 표시 이미지에 대한 매핑 규칙에 따라 완제품, 자재 또는 반제품 각각에 대하여 물류 정보 테이블에 표시 이미지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들은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매핑 수행부(260)는 생성한 물류 정보 테이블을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로 전송한다.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매핑 수행부(260)에 의해 생성된 물류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한다. 이를 위해,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매핑 규칙에 따라 BOM 정보로부터 추출되어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완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 자재 또는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에 대한 주소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를 이용하여, 완제품 제조업체와 공급업체 간의 거리 정보를 산출한다. 물론,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각각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상위 공급업체와 해당 반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하위 공급업체 간의 거리 정보를 산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를 위해,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예시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류 정보 테이블(600)에서, 각각의 완제품,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해, 완제품 제조업체 또는 공급업체 주소 필드(610) 상의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전자 지도로부터 완제품 제조업체가 위치하는 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추출하거나 자재 또는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가 위치하는 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완제품 제조업체 또는 공급업체 각각이 위치하는 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들(620, 630)을 물류 정보 테이블(600)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추출된 완제품 제조업체 또는 공급업체 각각이 위치하는 지점의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이용하여, 완제품 제조업체와 공급업체 간의 거리 또는 상위 공급업체와 하위 공급업체 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거리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640)를 물류 정보 테이블(600)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사용자에게 예시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월드 맵(World Map)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조업체와 공급업체 각각이 위치하는 월드 맵 상의 지점을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월드 맵을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월드 맵 상에서 제조업체와 공급업체 각각이 위치하는 지점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월드 맵 상에서의 제조업체와 공급업체 각각의 위치를 직교 좌표계에 따른 X, Y 위치 정보로써 해당 제조업체와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X, Y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들(650, 660)을 물류 정보 테이블(600)에 추가할 수 있다.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에 의해 관리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600)을 이용하여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예시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제품 제조업체를 기준으로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를 표시 이미지와 함께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에는, 완제품에 대한 정보(710)와, 해당 완제품 제조업체 내에서의 주요 작업에 대한 정보(720)와, 완제품 제조를 위해 하위 공급업체로부터 공급되는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정보(730)와, 상·하위 물류 공급 경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위 공급업체가 반제품을 생산하여 완제품 제조업체로 공급하기 위해 특정한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의 공급이 요구되고, 이러한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공급이 해당 완제품 제조업체의 하위 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해당 하위 작업에 대한 정보(740)와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공급 경로 정보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하위 공급업체로 공급되는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 정보와, 해당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으로 생산되는 하위 공급업체의 반제품 정보와, 반제품, 하위 반제품 및 하위 자재의 공급 경로 정보는 강조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완제품 제조업체 자체적으로 구입하는 구매 자재에 대한 정보(750) 또는 사급 자재에 대한 정보(760)도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에 의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에 표시되는 완제품에 대한 정보(710), 완제품 제조를 위해 하위 공급업체로부터 공급되는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정보(730), 구매 자재에 대한 정보(750), 및 사급 자재에 대한 정보(760)에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단가 정보와 표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예시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하위 공급업체를 기준으로 반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를 표시 이미지와 함께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에는, 반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작업 정보(810)와, 해당 반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1차 하위 자재 또는 1차 하위 반제품에 대한 정보(820)와, 1차 하위 반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2차 하위 자재 또는 2차 하위 반제품에 대한 정보(830)와, 상·하위 공급 경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해당 반제품을 제조하는 공급업체 내부적으로 공급되는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정보(840)는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에 표시되는 반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작업 정보(810), 해당 반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1차 하위 자재 또는 1차 하위 반제품에 대한 정보(820), 1차 하위 반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2차 하위 자재 또는 2차 하위 반제품에 대한 정보(830) 및 해당 반제품을 제조하는 공급업체 내부적으로 공급되는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정보(840)에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단가 정보와 표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예시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제품 제조업체를 기준으로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모든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하위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를 표시 이미지와 함께 계층적으로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모든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하위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에는, 1차 자재 또는 1차 반제품에 대한 정보(910), 2차 자재 또는 2차 반제품에 대한 정보(920), 3차 자재 또는 3차 반제품에 대한 정보(930), 4차 자재 또는 4차 반제품에 대한 정보(940) 등과 같은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하위 반제품에 대한 정보들과 반제품, 하위 자재, 하위 반제품 상호 간의 상·하위 공급 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모든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하위 반제품에 대한 정보에 해당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와 완제품 제조업체 또는 상위 공급업체 간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급업체가 아닌 완제품 제조업체 내부적으로 공급되는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정보(950)는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에 표시되는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하위 반제품에 대한 정보들(910, 920, 930)과 외부 공급업체가 아닌 완제품 제조업체 내부적으로 공급되는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정보(950)에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단가 정보와 표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예시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제품 제조업체를 기준으로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하위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를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제조 공정 순서 정보, 위치 정보 및 하위 공급 업체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월드 맵(10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에 의해 관리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서 제조업체와 공급업체에 대한 월드 맵(1000) 상의 X, Y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제조업체와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1020a 내지 1020e)를 월드 맵(1000)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월드 맵(1000) 상에 표시된 공급업체의 위치(1020b 내지 1020d)에서 제조업체의 위치(1020e)로 향하는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한다. 또한,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에 의해 관리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서 제조업체로 반제품을 공급하는 상위 공급업체와 상위 공급업체로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하위 공급업체에 대한 월드 맵 상의 X, Y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상위 공급업체와 하위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1020a, 1020b)를 월드 맵(1000) 상에 표시하고,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월드 맵(1000) 상에 표시된 하위 공급업체의 위치(1020a)에서 상위 공급업체의 위치(1020b)로 향하는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 상에,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해당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명칭 및 코드 정보와, 해당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와 이를 공급받는 상위 공급업체 또는 제조업체 간의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1040a 내지 1040d)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해당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표시 이미지와 단가 정보를 월드 맵(1000)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의 동작과 일부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방법은, 먼저 제품 정보 저장부(120)에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를 저장한다(S100). 제품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되는 BOM 정보는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명칭, 코드, 상·하위 조립 관계, 완제품 또는 상위 반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자재 또는 반제품의 사용량, 제조 표준 시간, 단가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때, BOM 정보에 포함되는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단가 정보로는 자재에 대한 재료비 정보와, 완제품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가공비와 감가상각비 정보 등이 해당할 수 있다. 또한, BOM 정보에는 완제품을 제조하는 제조업체와 자재 또는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명칭 및 주소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매핑 규칙 정의부(240)가 상기 S100 단계에서 제품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매핑 규칙을 정의하고(S200), 정보 추출부(220)는 제품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를 추출한다(S300). 비록, 도 11에는 매핑 규칙을 정의하는 S200 단계 다음에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를 추출하는 S300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S300 단계가 수행된 다음에 상기 S300 단계가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매핑 수행부(260)는 상기 S200 단계에서 정의된 매핑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S300 단계에서 추출된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S400). 이때, 매핑 수행부(260)에 의해 생성된 물류 정보 테이블에는 완제품, 자재 또는 반제품 각각에 대한 레코드에 제조 공정 순서에 따른 상·하 조립 관계를 나타내는 LEVEL, 자재코드, 자재명, 단가, 단위 수량, 가공비, 완제품 제조업체명, 완제품 제조업체 주소,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명,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 주소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필드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매핑 수행부(260)는 매핑 규칙 정의부(240)에 의해 정의된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의 표시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한 매핑 규칙에 따라 해당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표시 이미지를 물류 정보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상기 S400 단계에서 생성된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완제품 제조업체의 주소 정보와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제조업체와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한다(S500). 이때,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상기 S500 단계에서 산출된 제조업체와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매핑 수행부(260)에 의해 생성된 물류 정보 테이블에 추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완제품 제조업체와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 각각에 대해 전자 지도를 이용하여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한다. 한편,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는 사용자에게 월드 맵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완제품 제조업체와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 각각에 대하여 월드 맵 상의 위치를 입력 받아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에 의해 관리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제조 공정 순서 정보, 완제품 제조업체 및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에 대한 위치 정보, 하위 공급 업체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자재 또는 반제품의 물류 흐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한다(S600). 이때,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상기 S600 단계에서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에 의해 관리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로부터 완제품 제조업체 및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제조업체와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를 월드 맵 상에 표시하고,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월드 맵 상에 표시된 공급업체의 위치에서 제조업체의 위치로 향하는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상기 S600 단계에서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160)에 의해 관리되는 물류 정보 테이블로부터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공급업체에 대한 위치를 월드 맵 상에 표시하고,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월드 맵 상에 표시된 해당 공급업체의 위치에서 상위 공급업체의 위치로 향하는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180)는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들 각각에 해당 자재, 반제품,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예컨대, 씨디롬, 램,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120: 제품 정보 저장부
122: BOM 정보 저장부
124: 공정 정보 저장부
126: 기본 정보 저장부
140: 매핑 테이블 생성부
160: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
180: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
220: 정보 추출부
240: 매핑 규칙 정의부
260: 매핑 수행부

Claims (18)

  1. 완제품(完製品)과 상기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資材) 및 반제품(半製品)에 대한 BOM(Bill of Material)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정보 저장부;
    상기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대한 매핑 규칙 및 표시 이미지 등록을 위한 매핑 규칙을 정의하고, 상기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대한 매핑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표시 이미지 등록을 위한 매핑 규칙에 따라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하여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표시 이미지를 등록하되,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은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레코드에 제조 공정 순서에 따른 상·하 조립 관계를 나타내는 레벨, 단가, 완제품 제조업체명, 완제품 제조업체 주소, 상기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명, 및 상기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 생성부;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와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부가하는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 위치 정보 및 하위 공급 업체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는,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해 전자 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월드 맵(World Map)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상기 월드 맵 상의 위치를 입력 받아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는,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를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된 상기 공급업체의 위치에서 상기 제조업체의 위치로 향하는 상기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는,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위치를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된 상기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위치에서 상위 공급업체의 위치로 향하는 상기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는,
    상기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 상에 상기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는,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되, 상기 물류 흐름 정보에 상기 단가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는,
    상기 물류 흐름 정보에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표시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10. 제품 정보 저장부가, 완제품과 상기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계;
    매핑 테이블 생성부가, 상기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대한 매핑 규칙 및 표시 이미지 등록을 위한 매핑 규칙을 정의하고, 상기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대한 매핑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BOM 정보와 제조 공정 순서 정보로부터 물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표시 이미지 등록을 위한 매핑 규칙에 따라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하여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표시 이미지를 등록하되,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은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레코드에 제조 공정 순서에 따른 상·하 조립 관계를 나타내는 레벨, 단가, 완제품 제조업체명, 완제품 제조업체 주소, 상기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명, 및 상기 자재 또는 반제품 공급업체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단계;
    물류 흐름 정보 관리부가,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와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위치 정보와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에 부가하는 제3 단계; 및
    물류 흐름 정보 표시부가,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 위치 정보 및 하위 공급 업체와의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재 및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해 전자 지도를 이용하여 상기 주소 정보에 상응하는 위도 및 경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위도 및 경도 정보와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월드 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상기 월드 맵 상의 위치를 입력 받아 상기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제조업체와 상기 공급업체 각각에 대한 위치를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된 상기 공급업체의 위치에서 상기 제조업체의 위치로 향하는 상기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물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위치를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월드 맵 상에 표시된 상기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의 위치에서 상위 공급업체의 위치로 향하는 상기 하위 자재 또는 하위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물류 흐름 정보를 나타내는 경로 상에 상기 하위 공급업체와의 거리 정보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조 공정 순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자재 또는 반제품에 대한 물류 흐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되, 상기 물류 흐름 정보에 상기 단가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방법.
  17. 삭제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물류 흐름 정보에 상기 완제품, 자재 및 반제품 각각에 대한 표시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관리 방법.
KR1020120097122A 2012-09-03 2012-09-03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39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122A KR101439516B1 (ko) 2012-09-03 2012-09-03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122A KR101439516B1 (ko) 2012-09-03 2012-09-03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667A KR20140030667A (ko) 2014-03-12
KR101439516B1 true KR101439516B1 (ko) 2014-09-15

Family

ID=50643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122A KR101439516B1 (ko) 2012-09-03 2012-09-03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5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264A (ko) * 2018-06-11 2019-12-19 리치앤타임(주) 제품 수명주기 관리장치 및 그 관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471A (ko) * 1999-11-05 2001-06-05 오길록 전사적 자원관리를 위한 모듈별 연계 사양 도출 방법
KR20010082651A (ko) * 2000-02-15 2001-08-30 미다라이 후지오 공급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
KR20080112429A (ko) * 2007-04-13 2008-12-26 (주) 레오이노비젼 부품수명관리 및 예측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471A (ko) * 1999-11-05 2001-06-05 오길록 전사적 자원관리를 위한 모듈별 연계 사양 도출 방법
KR20010082651A (ko) * 2000-02-15 2001-08-30 미다라이 후지오 공급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
KR20080112429A (ko) * 2007-04-13 2008-12-26 (주) 레오이노비젼 부품수명관리 및 예측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264A (ko) * 2018-06-11 2019-12-19 리치앤타임(주) 제품 수명주기 관리장치 및 그 관리 방법
KR102111430B1 (ko) * 2018-06-11 2020-06-08 리치앤타임(주) 제품 수명주기 관리장치 및 그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667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99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product cost
Fogliatto et al. The mass customization decade: An updated review of the literature
Cheng et al. Modeling and monitoring of construction supply chains
Lee et al. Integration of evolutional BOMs for design of ship outfitting equipment
Nakano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y and organization
US7412295B2 (en) Modeling manufacturing processes to include defined markers
Kendrick et al. Strategies to realize decentralized manufacture through hybrid manufacturing platforms
KR20210082919A (ko) 고객정보 연계 및 활용에 의한 생산물류 erp 자동화 시스템
Brun et al. Measuring variety reduction along the supply chain: The variety gap model
Kabadurmus et al. Design of pull production control systems using axiomatic design principles
KR101439516B1 (ko)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물류 흐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iassemi Lean adoption in small manufacturing shops: attributes and challenges
Seeanner Multi-stage simultaneous lot-sizing and scheduling: Planning of flow lines with shifting bottlenecks
JPWO2008142729A1 (ja) 価格の見積もりを支援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装置、および方法
Yeh et al. Construction of speed-to-market supply chain management model for garment industry
Shtub et al. Introduction to Industrial Engineering
Song et al. Research on a simulation-based ship production support system for middle-sized shipbuilding companies
Schmitz The use of supply chains and supply chain management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GIS units
Farghaly et al. BIM for Asset Management: A taxonomy of non-geometric BIM data for asset management
Han et al. A matrix-based approach to the facility re-layout problem
Polak Multi-echelon inventory strategies for a retail replenishment business model
JP2005242816A (ja) コンピュータによる受注交渉支援方法
Dutta et al. Database structure for a class of multi-period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s
JP7432677B1 (ja) 排出量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排出量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排出量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Torkul et al. Automatic generation of variants depending on changes of product properties in a flexible manufacturing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