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595B1 -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595B1
KR101438595B1 KR1020130023496A KR20130023496A KR101438595B1 KR 101438595 B1 KR101438595 B1 KR 101438595B1 KR 1020130023496 A KR1020130023496 A KR 1020130023496A KR 20130023496 A KR20130023496 A KR 20130023496A KR 101438595 B1 KR101438595 B1 KR 10143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level
unit
sensor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백
서명득
김승희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소음 규제 구역에서 소음이 발생하면,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감시 장치는 소음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된 소음에 대한 빔포밍 처리를 수행하여, 미리 정해진 소음 규제 구역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빔포밍 처리부와,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과 기준 소음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이면 소음 규제 구역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과 사람의 존재 여부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므로, 소음이 발생한 지역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경고 신호 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MONITOR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소음을 측정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음(Noise)이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원하지 않는 소리로서, 물리적인 면에서는 불규칙한 음이나 비주기적이고 고주파음역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음악 감상 중인 사람에게는 경쾌한 악기 소리가 흥미 없는 타인에게는 소음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때로는 듣는 사람의 주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소음이란, 일반적으로 인간의 건강생활에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는 음향을 말하며, 소음ㆍ진동 규제법에서는 기계, 기구, 시설 기타 물체의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강한 소리를 말한다. 일상 생활 환경에서 발생하는 환경 소음은 쾌적한 생활환경에 지대한 영향을 주므로 행정기관 등에서는 도로의 교통소음이나 공사장 소음, 항공기 소음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환경 소음을 관리하고 있다.
한편, 병원, 교실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서 소음에 대한 경고를 수행하기 위해 일정 구역을 소음 규제 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소음 규제 구역에 설치된 감시 장치는 소음을 감지하고, 감지된 소음의 레벨이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일 경우 경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소음 규제 구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의 소음에 대한 피해를 방지하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기술은 사람의 존재 여부에 관계없이 소음 규제 구역에 경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개선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소음이 발생하면,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는 소음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소음에 대한 빔포밍 처리를 수행하여, 미리 정해진 소음 규제 구역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빔포밍 처리부;와,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과 기준 소음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상기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이면 상기 소음 규제 구역에 사람이 존재 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과 사람의 존재 여부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경고 신호는 경고 음성 또는 경고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 처리부는 검출하고자 하는 목적 신호가 발생하는 위치를 상기 소음 규제 구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목적 신호가 발생하는 위치로 설정된 소음 규제 구역 외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 처리부는 상기 목적 신호가 발생하는 위치를 입력받는 목적 신호 정보 입력부, 마이크 간의 특성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등화기 정보 입력부 및 상기 목적 신호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등화기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잡음이 제거된 상기 목적 신호를 검출하는 잡음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에서 설정된 기준 소음 레벨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 소음 레벨의 정보는 특정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감지 대상 물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 어레이(fresnel lens array), 상기 감지 대상 물체에서 집광된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 및 상기 적외선 감지부에서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초전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감지부는 제1센서와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는 상기 감지 대상 물체가 사람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구역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 모두에서 적외선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 대상 물체를 사람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만 적외선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 대상 물체를 주위 물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상기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이고, 상기 센서부에서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출력부에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의한 감시 장치의 제어방법은 소음을 감지하여 빔포밍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미리 정해진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이면 상기 소음 규제 구역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람이 존재하면, 상기 소음 규제 구역에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음을 감지하여 빔포밍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소음 규제 구역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출력을 낮출 수 있도록 상기 소음 규제 구역에 대한 정보를 선행 정보로 입력하고, 상기 선행 정보로 입력된 소음 규제 구역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출력을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소음이 발생한 지역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 불필요한 경고 신호 출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의 전체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에 포함되는 센서부에서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의 사시도
도 3c는 도 3a의 감시 장치에서 대상 물체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에 포함되는 출력부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의 제어 흐름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감시 장치(100)는 소음 규제 구역(N)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으며, 소음 규제 구역(N)은 학교, 병원과 같은 공공시설의 일정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감시 장치(100)는 소음 규제 구역(N)의 소음을 측정하고, 측정된 소음의 레벨이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일 경우, 소음 규제 구역(N)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감시 장치(100)는 소음이 잘 측정될 수 있는 공간에 설치할 수 있고, 그 공간은 천정, 벽면 등 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감시 장치(100)는 감지부(110), 빔포밍 처리부(120), 메모리부(130), 비교부 (140), 센서부(150), 제어부(160) 및 출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하며, 복수개의 마이크(110a,110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10a,110b)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을 입력받아, 그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마이크(110a, 110b)는 복수개 이상은 마련되며, 마이크(110a, 110b)의 개수가 많을수록 좋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빔포밍 처리부(120)는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소음에 대한 고정 빔포밍 (fixed beamforming)을 수행하여, 소음 규제 구역(N)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빔포밍 처리부(120)는 소음 규제 구역(N)을 선행 정보로 입력하여, 소음 규제 구역(N)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출력을 낮출 수 있다. 빔포밍 처리부(120)는 특정 형태의 마이크로폰 배열을 이용하여, 소음 규제 구역(N)의 방향의 신호를 강화하는 빔포밍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배열을 이용한 빔포밍 처리 방법은 이미 알려진 기술이며,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6-0128928호 및 제10-2007-0085193호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빔포밍 처리부(120)는 소음의 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데시벨 측정기를 포함하며, 감지부 (110)를 통해 감지되는 소음의 레벨을 측정하여 후술하는 비교부(140)를 통해 기준 소음 레벨과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기준 소음 레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소음 레벨은 특정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낮과 같이 사람의 왕래로 인해 소음이 빈번히 발생하는 경우, 기준 소음 레벨은 높게 설정되고, 밤과 같이 사람의 이동이 없는 경우, 기준 소음 레벨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비교부(140)는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과 기준 소음 레벨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부(140)는 빔포밍 처리 단계 전, 기준 소음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비교부(140)는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일 경우, 해당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비교부(140)는 감시 장치(100)가 사용되는 장소, 시간 및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주변 대상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대상 물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주변 대상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임 감지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소음 규제 구역(N)의 대상 물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인체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감지부(110) 에서 소음이 감지되면, 감지된 소음의 레벨과 기준 소음 레벨을 비교하는 비교부 (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기준 소음 레벨을 설정하는 메모리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빔포밍 처리부(120)에서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이고, 센서부(150)에서 움직임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소음 규제 구역(N)의 사람에게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빔포밍 처리부(120)에서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이고, 센서부(150)에서 움직임 감지 신호가 전달되면, 소음 규제 구역(N)의 사람에게 경고 음성을 출력하거나 경고 문구를 출력하는 출력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제어부(160)의 신호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경고 신호는 음성으로 출력되는 경고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되는 경고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에 포함되는 센서부에서 사람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의 사시도 및 도3c는 도 3a의 감시 장치에서 대상 물체를 감시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센서부(150)는 도 3a를 참조하면, 사람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는 감지 대상 물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 어레이(fresnel lens array)(151), 미러 어레이(mirror array)(152), 집광된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153) 및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초전형 센서(15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넬 렌즈 어레이(fresnel lens array)(151)는 감지 대상 물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집광할 수 있다. 프레넬 렌즈 어레이(fresnel lens array)(151)는 구조에 따라 평면형, 구면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평면형 프레넬 렌즈 어레이(fresnel lens array)의 경우 각각의 작은 프레넬 렌즈들이 평평한 사각형에 집적되어 있는 형태이며, 실제로 적외선 센서에 적용될 경우 실린더 형태로 구부려서 사용할 수 있다. 프레넬 렌즈 어레이(fresnel lens array)(151)는 얇고 가벼워 영화와 텔레비전 조명기로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미러 어레이(mirror array)(152)는 감지 대상 물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반사시켜 집광할 수 있다.
적외선 감지부(153)는 프레넬 렌즈 어레이(fresnel lens array)(151) 또는 미러 어레이(mirror array)(152)에서 집광된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 감지부(153) 는 도 3b를 참조하면,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1센서(155) 및 제2센서(156)를 포함할 수 있다. 집광된 적외선이 감지되는, 감지 영역은 주위 물체의 높이에 따라 제1구역 내지 제5구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위 물체(예를 들면, 고양이)의 높이 보다 높은 구역을 제1, 2구역으로 하고, 주위 물체의 높이 보다 낮은 구역을 제3, 4, 5구역으로 할 수 있다. 제1 구역은 제1센서(155)에서 감지될 수 있고, 제2구역은 제2센서(156) 에서 감지될 수 있다. 제3, 4, 5구역은 제1센서(155) 및 제2센서(156)에서 감지 될 수 있다.
초전형 센서(154)는 적외선 감지부(153)에서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초전형 센서(154)는 강 유전체가 적외선을 받으면 그 에너지를 흡수하여 자발분극의 변화를 일으키고 그 변화량에 비례하여 전하가 유기되는 초전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초전형 센서(154)는 두개의 초전소자를 이용하여 인체 등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적외선을 예민하게 감지할 수 있다. 초전형 센서(154) 내부에 두개의 초전소자를 두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 개의 초전소자를 사용하면 일단 소자로 들어오는 적외선에 대해서 초전소자는 무조건 반응하므로 사람이 지나 갔을 때 뿐만 아니라 단순히 감지 영역의 온도변화만 가지고도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반대로, 두개의 초전소자를 사용했을 경우, 두개의 초전소자는 반대의 극성을 가지게 설계가 되어 있으므로 두개의 초전소자에 동시에 같은 적외선 에너지가 입사되었을 경우, 반대 극성의 전기적 신호가 상호 발생하여 상쇄되고 최종출력에서는 아무런 신호도 발생하지 않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두개의 초전소자를 사용했을 때 오경보 발생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
제어부(160)는 초전형 센서(154)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통해, 적외선 감지부(153)에 의해 감지된 감지 대상 물체가 사람인지 주위 물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60)는 제1센서(155) 및 제2센서(156)에서 감지된 적외선 신호가 초전형 센서(154)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면, 해당 신호의 감지 구역에 따라 감지 대상 물체가 사람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센서(155) 및 제2센서 (156)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감지 대상 물체가 사람이 아닌 주위 물체임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제1, 2구역에서 적외선이 동시에 감지되면 서서 이동하는 사람 또는 서있는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3, 4, 5구역 중 복수 개의 구역에서 동시에 적외선이 감지되면 기어서 이동하는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제1구역 및 제2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만 적외선이 감지되면 사람이 아닌 주위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3, 4, 5구역 중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만 적외선이 감지되면 사람이 아닌 주위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에 포함되는 출력부의 정면도 이다.
출력부(170)는 음성으로 출력되는 경고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되는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경고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7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 (170)는 출력되는 경고 음성이 감지부에 소음으로 재입력되어, 경고 음성이 재출력 되지 않도록 하는 소정의 크기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출력부(170)는 경고 문구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2)는 LED점멸 형태의 경고 문구를 출력하고, 경고 문구는 수시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시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감지부(110)는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할 수 있다. 소음은 미리 정해진 소음 규제 구역(N)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소음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200)
빔포밍 처리부(120)는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신호에 대한 빔포밍 처리를 수행하여, 소음 규제 구역(N)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210)
비교부(140)는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과 기준 소음 레벨의 크기를 비교 할 수 있다.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일 경우, 해당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220)
센서부(150)는 주변 대상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주변 대상 물체가 사람 인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230)
제어부(160)는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이고,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170)는 제어부(160)의 신호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 며, 경고 신호는 경고 음성 또는 경고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240)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 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Claims (10)

  1. 소음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소음에 대한 빔포밍 처리를 수행하여, 미리 정해진 소음 규제 구역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빔포밍 처리부;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과 기준 소음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기준 소음 레벨에 대한 정보를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상기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이면 상기 소음 규제 구역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시간대에 따른 주변 소음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감지된 소음의 상대적 레벨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부에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저장된 상기 기준 소음 레벨을 사용하여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과 비교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을 비교하는 시간대의 기준 소음 레벨과의 상대적인 차이 및 상기 사람의 존재 여부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경고 신호는 경고 음성 또는 경고 문구를 포함하는 감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빔포밍 처리부는 검출하고자 하는 목적 신호가 발생하는 위치를 상기 소음 규제 구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목적 신호가 발생하는 위치로 설정된 소음 규제 구역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제거하는 감시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감지 대상 물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집광하는 프레넬 렌즈 어레이(fresnel lens array), 상기 감지 대상 물체에서 집광된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 및 상기 적외선 감지부에서 감지된 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초전형 센서를 포함하는 감시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감지부는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상기 감지 대상 물체가 상기 사람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구역을 감지하는 것인 감시 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 모두에서 적외선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 대상 물체를 상기 사람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에서만 적외선이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감지 대상 물체를 주위 물체인 것으로 판단하는 감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상기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이고,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사람의 존재가 감지되면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감시 장치.
  9. 소음을 감지하여 빔포밍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과 기준 소음 레벨의 크기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기준 소음 레벨에 대한 정보를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이 상기 기준 소음 레벨 이상이면 미리 정해진 소음 규제 구역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시간대에 따른 주변 소음 환경 변화를 반영하여 감지된 소음의 상대적 레벨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부에 시간대에 따라 다르게 저장된 상기 기준 소음 레벨을 사용하여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과 비교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빔포밍 처리된 소음의 레벨을 비교하는 시간대의 기준 소음 레벨과의 상대적인 차이 및 상기 사람의 존재 여부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시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을 감지하여 빔포밍 처리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소음 규제 구역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출력을 낮출 수 있도록 상기 소음 규제 구역에 대한 정보를 선행 정보로 입력하고,
    상기 선행 정보로 입력된 소음 규제 구역 외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출력을 낮추는 것인 감시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23496A 2013-03-05 2013-03-05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3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496A KR101438595B1 (ko) 2013-03-05 2013-03-05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496A KR101438595B1 (ko) 2013-03-05 2013-03-05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595B1 true KR101438595B1 (ko) 2014-09-12

Family

ID=5175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496A KR101438595B1 (ko) 2013-03-05 2013-03-05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5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1981A (ja) 2008-05-26 2009-12-03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人体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人体検出システム
KR20100022297A (ko) * 2008-08-19 2010-03-02 주식회사 에스원 3차원 음원 위치 측정 기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20038730A (ko) * 2010-10-14 2012-04-24 (주) 케이엠티 열선 감지기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05728A (ko) * 2011-07-07 2013-01-16 이상현 실내소음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1981A (ja) 2008-05-26 2009-12-03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人体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人体検出システム
KR20100022297A (ko) * 2008-08-19 2010-03-02 주식회사 에스원 3차원 음원 위치 측정 기술을 이용한 침입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20038730A (ko) * 2010-10-14 2012-04-24 (주) 케이엠티 열선 감지기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05728A (ko) * 2011-07-07 2013-01-16 이상현 실내소음 경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7976B2 (en) Security system based on sound field variation pattern analysis and the method
US9103908B2 (en) Security monitoring system using beamforming acoustic imaging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170325023A1 (en) Multi-microphone neural network for sound recognition
US10614685B2 (en) Surveillance door monitor apparatus and method with IR sensors and wrong-way entry detection
US201503195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moving body, lighting apparatus, air conditioning apparatus, security apparatus, and parking lot management apparatus
JP2015512041A (ja) 位置検出用のパッシブ赤外線センサシステム
RU2001105990A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громкости звуко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US20100183160A1 (en) Vibration sensor assembly with ambient noise detection
US11861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presence in a closed environment to be monitored, for anti-intrusion or anti-theft purpose
Monaci et al. Indoor user zoning and tracking in passive infrared sensing systems
US20190212189A1 (en) Apparatus, method and monitoring system for measuring noise between floors
KR20180061091A (ko) 센서를 이용한 건축물의 지진감지 알림 시스템
KR101438595B1 (ko) 감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869781B2 (ja) 物体検出方法および物体検出装置
WO20150746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rusion and fire detection
JP2010071825A (ja) 受動型赤外線センサ
JP4002365B2 (ja) 複合型監視装置
WO2014024559A1 (ja) 振動検出装置
KR20150136654A (ko) 음향을 감지하여 위치 추적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벤트 모니터링 네트워크
JP2007181517A (ja) 状態検出装置
KR101202610B1 (ko) 열선 감지기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WO2020095383A1 (ja)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監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110095132A (ko) 사람 및 동물 식별 장치 및 방법
WO2019210519A1 (zh) 一种空间分区探测系统及方法
JP3172274U (ja) 受動型赤外線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