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555B1 -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555B1
KR101438555B1 KR1020120103127A KR20120103127A KR101438555B1 KR 101438555 B1 KR101438555 B1 KR 101438555B1 KR 1020120103127 A KR1020120103127 A KR 1020120103127A KR 20120103127 A KR20120103127 A KR 20120103127A KR 101438555 B1 KR101438555 B1 KR 101438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appetite
anorexia
group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705A (ko
Inventor
박영준
여말희
김동규
김세환
이송진
유재훈
박재홍
강지윤
Original Assignee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555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9Sophora, e.g. necklacepod or maman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61K36/744Gard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욕개선 효과가 있는 생약재 산두근(Sophora tonkinensis Gapnep), 진피(Citrus sunki HORT), 계지(Cinnamomum zeylanuicum Blume), 치자(Gardenia jasminoides var. grandiflora),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S)의 각각의 추출물을 Cisplatin으로 유도된 식욕저하 동물 모델에 경구투여하여 식욕개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노인과 환자에게 적용하여도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식욕부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욕촉진용 동물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anorexia containing herb medicines extracts}
본 발명은 cisplatin 으로 유도된 급성 식욕저하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탁월한 식욕촉진 효능을 갖는 생약 추출물을 선별하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욕부진 개선용 기능성건강식품 조성물 제공에 관한 것이다.
식욕부진(anorexia)은 음식물에 대한 욕구의 부족 또는 상실로 정의된다. 식욕은 시상하부에서 주로 조절되지만, 하뇌피질(下腦皮質), 소화관의 물리적 자극, 혈당, 유리지방산 등의 체액성분, 호르몬 등에 의해서도 조절을 받는다. 일시적인 식욕 부진은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회복되지만 장기간 지속되는 식욕 부진은 그 증상이 점차 심해지고, 기침이나 우울감 등 다른 증상들이 동반된다.
위와 같은 식욕부진 증상이 문제가 되는 대표적인 군으로써는 노인, 만성질환 환자, 암환자 그리고 신경성 무식욕증 환자들이 포함될 수 있다.
노인에게 있어서 식욕부진의 원인은 노화에 따른 영양원 흡수 및 대사저하로 야기된 식욕부진, 몸무게 감소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나고 이로 인해 식사 장애 또는 영양장애를 앓게 된다.
또, 암 화학요법을 받는 환자, AIDS 질병에 의해 기인한 면역성 결핍 환자, 장기이식 시술에 의한 면역시스템이 억제된 환자, 그 밖의 수술후의 환자들 에게서도 식욕감소 증상이 나타난다.
특히, 식욕부진 중 원발적인 장애를 일으키는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원인으로는 우울증 등의 심리적 인자와 위장관의 소화흡수 장애, 부신부전, 뇌하수체기능부전 등의 호르몬 이상이나 전해질 소실이 있으며, 특히 악성종양환자에 있어서 상기 복수 인자의 관여에 의해서 식욕부진을 발생시켜 치료상의 문제를 일으킨다.
거식증과 같은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척루(emaciation)에 대한 특징적 열망 및 비정상적인 식사 거동 등의 정신병성 증상으로써 표준 체중의 20% 이상의 체중 감량 등의 신체 이상증상을 보인다. 이는 종종 젊은 여성에게 발생하며, 심각하고 때로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위와 같이, 식욕이 부진하거나 저하된 경우에는 식욕촉진을 위하여 아밀라제, 펩티다제 등과 같은 소화효소를 다량함유한 효모를 배양하여 그 배양물을 건조한 후 타블렛화 한 "원기소”와 같은 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식욕부진을 개선시키기 위한 기술은 성장 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켜 신체의 모든 기관과 세포의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에너지로의 전환을 증대시키는 대사를 촉진함으로써 영양소요구량을 증가시키고, 이로써 식욕을 증대시키는 화합물과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대부분이다(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02271, 미국특허 제4.411,890).
이 외에도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을 다양하게 배합하여 조성한 복합비타민 제제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식욕중추를 자극하는 제품도 시판되고 있다. 상기 직접적으로 식욕중추를 자극하는 제품으로는 포만중추의 세로토닌수용체에 세로토닌(serotonin)의 결합을 막아주는 "트레스탄”과 “에피스캡슐”제품이 시판되고 있고, 상기 제품의 유효성분은 오로트산시프로헵타딘으로, 세로토닌 수용체에 세로토닌 대신 상기 오로트산시프로헵타딘 화합물이 결합하여 포만감을 덜 느끼게 되고 배부름을 모르게 되는 원리이다.
또, 현재 식욕촉진제로 허가된 전문의약품은 megestrol acetate 한가지 뿐이다. 상기 megestrol acetate는 estrogen receptor의 치환을 방해하는 anti-estrogen 성질을 가진 화합물로서, 정상 estrogen 주기를 방해하여 혈중 LH를 낮추고 점상출혈, 월경이상, 무월경, 부종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의 적응증(indication)은 암환자에게 있어 심각한 체중저하나 영양실조시 식욕을 촉진시키면서 항암 작용을 나타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화합물은 항암제로 분류되고 있으며, 뇌하수체에 antileutenizing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식욕촉진제로 허가된 전문의약품이기는 하지만 약물의 식욕촉진 기전은 알려져 있지않고, 항암 보조제로 사용되기 때문에, 단순히 체중 증가로 인한 식욕촉진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적절치않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식욕부진 치료에 유용하다고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화합물은 매우 적을 뿐만 아니라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므로 식욕부진 개선을 위하여 내분비계 부작용과 독성이 없는 보다 효과적인 식욕부진 개선효과를 같는 소재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천연물 또는 생약재는 의약용 소재로 사용한 역사가 깊어 다양하고 많은 임상결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 효능과 안정성이 검정되어 있으므로 천연물 자체로 여러 나라에서 1차적인 의약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즉, 약용소재개발에 있어서 천연물 또는 생약의 가치는 효능이 이미 검정되고 부작용이 없는 약물의 안전성과 많은 임상결과를 통하여 축적된 결과를 바탕으로 의약품의 개발기간이 짧고 성공 가능성이 높은 데 있다.
이와 같이 천연물의 의약용 소재로서의 중요성과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인체 섭취시의 안정성이 검정된 생약제로부터 식욕부진개선을 목적으로하는 소재개발에 대하여는 전혀 공지된바 없다.
산두근(Sophora tonkinensis Gapnep)은, 월남괴라고도 불리며 콩과(Leguminosae/Fabaceae)에 속하고 약용부위는 뿌리줄기다. 산두근은 불규칙한 매듭모양으로 된 근두부와 그로부터 원주형의 뿌리가 갈려져 있고 근두부의 끝에는 줄기의 잔기가 남아있다. 뿌리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으나 30-50cm, 지름 7-5cm, 바깥면은 갈색-흑갈색이고 고르지 않은 세로주름과 가로로 돌출된 피목이 있다. 질은 몹시 단단하여 꺽기 어렵다. 꺾은 면은 평탄하나 섬유성이며 피부는 엷은 갈색이고 목부는 엷은 황색이다. 콩비린 냄새가 있고 맛은 몹시 쓰다. 효능으로는 폐를 보호하고, 웅저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모든 기생충을 없애주고, 인후를 편하게 하여 통증을 치료해주고, 열을 내리고 독을 없애주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 1613).
계지(Cinnamomum zeylanuicum Blume)는, 스리랑카 육계라고도 불리며 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하고 약용부위는 가지이다. 계지는 긴 원주형으로 많은 가지가 있으며 길이 30-75cm, 굵은 쪽의 지름 3-7mm 이다. 바깥면은 갈색-적갈색으로 모가 난 것도 있다. 가는 주름과 잎, 가지 또는 새싹이 붙었던 흔적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부스러지기 쉬우며 꺾은면의 피부는 적갈색이고 목부는 황백색-엷은 황갈색이며 수부는 방형을 나타낸다. 특이한 향기가 있고 조금 맵고 껍질부분은 더욱 진하다. 효능으로는 정체된 경맥의 소통을 원활히 해주고, 양기를 돋우어주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 보감. 1613).
진피(Citrus sunki HORT)는, 산물이라고도 불리며 운향과(Rutaceae)에 속하고 약용부위는 과피이다. 진피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껍질로 두께 약 2mm이다. 바깥면은 황적색-어두운 황갈색이고 유실에 의한 작은 오목한 자국이 많다. 안쪽은 흰색-엷은 회갈색이다. 질은 가볍고 부스러지기 쉽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면서 약간 자극성이 있다. 효능으로는 설사에 효과가 있고, 딸꾹질과 기침을 그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 1613).
치자(Gardenia jasminoides var. grandiflora)는, 치자나무라고도 불리며,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고 약용부위는 열매이다. 치자는 긴 난형-난형을 이루고 길이 1-5cm, 너비 10-15mm이며 흔히 6개 내외의 뚜렷한 능선이 세로로 뻗는다. 위쪽 끝에는 꽃받침 또는 그 자국이 있고 아래쪽 끝에는 과병이 붙어 있는 것도 있다. 바깥면은 황갈색-흑갈색을 띠고 과피는 얇고 부스러지기 쉽다. 열매의 내부는 2실로 나뉘어 지고 황적색-어두운 적색의 태좌에 씨의 덩어리가 달려있다. 씨는 거의 원형으로 편평하고 긴지름이 약 0.5cm이며 흑갈색 또는 황적색을 띠고 있다. 효능으로는 혈분의 치료 효과가 있고, 이뇨작용이 있으며, 독성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 1613).
단삼(Salvia miltiorrhiza Bunge)은, 꿀풀과(Labiatae/Lamiaceae)에 속하고 약용부위는 뿌리이다. 단삼은 근경이 짧고 거칠며 정단에는 보통 줄기가 붙었던 자국이 남아 있다. 뿌리는 긴 원주형으로 때로는 1-2개 또는 여러 개로 갈라졌고 길이 8-25cm, 지름 3-10mm이다. 바깥면은 적갈색-어두운 적갈색이며 거칠고 세로 주름이 있다. 오래된 것은 바깥 껍질이 치밀하지 않고 대부분 자갈색을 띠며 보통 비늘 모양의 것이 떨어져 나온다. 질은 단단하고 꺾은 면은 치밀하지 않으며 빈틈이 있거나 대개 고르면서 피층은 적갈색이며 목부는 회황색 또는 자갈색이고 유관속은 황백색이며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효능으로는 혈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어혈을 없애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 1613).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S.)는, 산초나무라고도 불리며 운향과(Rutaceae)에 속하고 약용부위는 과피이다. 산초는 2-3분과로 이루어진 삭과로 각 분과는 편구형으로서 2편으로 갈라지고 각조각의 지름은 약 5mm이다. 과피의 바깥면은 어두운 황적색-어두운 적색으로 유실에 많은 오목한 작은 점이 있고 안쪽면은 엷은 황백색이다. 효능으로는 기생충을 없애주고, 통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 161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이 확보된 식욕개선 효능이 있는 생약추출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인과 환자에게 적용하여도 섭취하기에 부담이 없는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노인과 환자에게 적용하여도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식욕부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식욕부진 개선 효과가 있는 생약제를 선별하여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각각 추출하고 여과하여 그 각각의 여액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수득한 각각의 여액을 농축하여 농축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얻은 각각의 농축물을 Cisplatin으로 유도된 식욕저하 동물 모델에 경구투여하여 식욕개선 효과를 확인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안정성이 확보된 식욕부진개선 효능이 있는 생약추출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 밖에도 노인과 환자에게 적용하여도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식욕부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교약물로 사용된 megestrol acetate 의 최고 효능을 보이는 용량을 확인하기 위해 cisplatin으로 유도된 식욕저하 동물 모델에 경구투여하여 식욕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 식욕부진 개선효과가 있는 생약 추출물을 cisplatin으로 유도된 식욕저하 동물 모델에 경구투여하여 식욕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상기 산두근, 진피, 계지, 치자, 단삼, 산초의 추출물은 물, 알코올류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얻어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두근, 진피, 계지, 치자, 단삼, 산초 각각의 추출물은 에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산두근의 분말 시료 1 중량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약 1 내지 10배 부피,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0배 부피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추출은 약 1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냉침 추출,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은 79℃ 환류냉각 추출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추출 과정은 단회 또는 반복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3회 정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얻어진 추출액은 필요에 따라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약 2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70℃에서, 감압 농축하거나 감압 건조함으로써,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산두근의 추출물, 진피의 추출물, 계지의 추출물, 치자의 추출물, 단삼의 추출물, 산초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내지 99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용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경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 경구용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용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용 제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를 포함하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한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두근의 추출물, 진피의 추출물, 계지의 추출물, 치자의 추출물, 단삼의 추출물, 산초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건강 기능성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내지 99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 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생약 추출물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본 발명은 산두근의 추출물, 진피의 추출물, 계지의 추출물, 치자의 추출물, 단삼의 추출물, 산초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동물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내지 99 중량%를 함유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 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본 발명 산두근 추출물의 제조
산두근 100g 을 분쇄하여 95% 에탄올 1L에 침지한 후 79℃에서 3시간 환류 추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산두근 추출물 약 14g을 얻었고 냉동보관 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 진피 추출물의 제조
진피 100g 을 분쇄하여 95% 에탄올 1L에 침지한 후 79℃에서 3시간 환류 추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산두근 추출물 약 33g을 얻었고 냉동보관 하였다.
< 실시예 3> 본 발명 계지 추출물의 제조
계지 100g 을 분쇄하여 95% 에탄올 1L에 침지한 후 79℃에서 3시간 환류 추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산두근 추출물 약 9g을 얻었고 냉동보관 하였다.
< 실시예 4> 본 발명 치자 추출물의 제조
치자 100g 을 분쇄하여 95% 에탄올 1L에 침지한 후 79℃에서 3시간 환류 추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산두근 추출물 약 19g을 얻었고 냉동보관 하였다.
< 실시예 5> 본 발명 단삼 추출물의 제조
단삼 100g 을 분쇄하여 95% 에탄올 1L에 침지한 후 79℃에서 3시간 환류 추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산두근 추출물 약 10g을 얻었고 냉동보관 하였다.
< 실시예 6> 본 발명 산초 추출물의 제조
산초 100g 을 분쇄하여 95% 에탄올 1L에 침지한 후 79℃에서 3시간 환류 추출 후 여과하여 여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여액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산두근 추출물 약 10g을 얻었고 냉동보관 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수득한 6종의 생약 추출물은 식욕부진 개선 및 식욕부진 예방 내지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비교약물 megestrol 의 최고 약효 농도 설정 시험
생약 추출물의 식욕부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에 앞서 비교약물인 megestrol의 식욕촉진 최고 약효 농도를 산정하였다.
급성 식욕저하 동물모델 제작은 우선 7주령의 수컷 랫트를 구입하여 1주일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8주령의 수컷 랫트(250g 내지 270g)으로 하였다. 각 그룹당 7마리씩 되도록 군 분리를 하였고 물을 자유로이 섭취할 후 있는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절식하였다. 세 군은 절식 18시간 후와 절식 23.5시간 후에 두 차례(bid:하루에 두 번) megestrol acetate를 0.5% MC에 희석하여 랫트에 25mg/kg, 35mg/kg, 45mg/kg 의 용량으로 현탁하여 각각 경구투여하였고, 또 다른 세 군은 절식 23.5시간 후에 한 차례(qd:하루에 한번) megestrol acetate를 0.5% MC에 희석하여 랫트에 50mg/kg, 70mg/kg, 90mg/kg 의 용량으로 각각 경구투여하였다. 절식 24시간 경과 후에 cisplatin을 랫트 몸무게 kg당 2mg 씩 주사용수 5mL에 녹여 랫트의 복강내 주사하였다.
Cisplatin 투여 직후, 한 케이지에 랫트 한마리씩 넣고 물은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는 상태에서 먹이를 약 50g씩 공급해주고 기록하였다. 24시간 경과후, 남은 먹이량을 측정하여 랫트의 먹이섭취량을 계산하여, cisplatin만 단독으로 투여한 그룹과 각 그룹들과의 먹이 섭취량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cisplatin 단독투여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한 먹이섭취량 감소를 보였고, cisplatin 과 megestrol acetate 를 함께 투여한 군 모두에서는 cisplatin 유도로 인한 식욕저하 효과가 완화되어 먹이섭취량이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megestrol acetate 50mg/kg(qd) 투여군은 43.0%, 70mg/kg(qd) 투여군은 53.6%, 90mg/kg(qd) 투여군은 31.8%, 25mg/kg(bid) 투여군은 29.3%, 35mg/kg(bid) 투여군은 44.4%, 45mg/kg(bid)투여군은 45.7% 씩 각각 증가하였다.
비교약물 megestrol acetate 투여양에 따른 사료 섭취량
Group Food intake (g/24hr)
(Mean SD)
Food intake
Increase (%)
Normal 25.1 ±3.09 100 %
2mg/kg cisplatin alone 15.3 ±2.69 0 %
+50mg/kg(qd) megestrol 19.5 ±2.92 * 43.0 %
+70mg/kg(qd) megestrol 20.6 ±2.91 ** 53.6 %
+90mg/kg(qd) megestrol 18.4 ±1.46 * 31.8 %
+25mg/kg(bid) megestrol 18.2 ±2.10 * 29.3 %
+35mg/kg(bid) megestrol 19.7 ±2.40 ** 44.4 %
+45mg/kg(bid) megestrol 19.8 ±2.49 ** 45.7 %
따라서, megestrol acetate는 가장 효과가 좋은 하루에 한번 70mg/kg 으로 랫트에게 경구투여하여 생약 추출물들과의 비교시험에 사용하였다.
< 실험예 2> 본 발명 생약 추출물에 대한 동물실험
상기 실시예 1내지 6에 따라 수득한 본 발명 산두근, 진피, 계지, 치자, 단삼, 산초 등 6종의 생약 추출물 식욕부진에 대한 개선효과는 Cisplatin로 유도된 급성 식욕저하 동물모델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급성 식욕저하 동물모델 제작은 우선 7주령의 수컷 랫트를 구입하여 1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8주령의 수컷 랫트(250g 내지 270g)으로 하였다. 본 발명 6종의 생약추출물 투여군은 각 그룹당 7마리씩 되도록 군 분리를 하였고 물을 자유로이 섭취할 후 있는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절식하였다. 절식 18시간 후와 절식 23.5시간 후에 두 차례(bid: 하루에 두 번) 각각의 추출물을 0.5% methylcellulose(MC)에 희석하여 600mg/kg 산두근, 600mg/kg 진피, 600mg/kg 계지, 600mg/kg 치자, 600mg/kg 단삼 그리고 600mg/kg 산초 추출물을 랫트에 각각 경구투여하였고, 비교약물인 megestrol acetate 는 상기 실험예 1에 따라 절식 23.5시간 후에만 한차례(qd: 하루에 한번) 0.5% MC 에 70mg/kg 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고, 절식 24시간 경과 후에 cisplatin을 랫트 몸무게 kg당 2mg 씩 주사용수 5mL에 녹여 랫트의 복강내 주사하였다.
Cisplatin 투여 직후, 한 케이지에 랫트 한마리씩 넣고 물은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는 상태에서 먹이를 약 50g씩 공급해주고 기록하였다. 24시간 경과후, 남은 먹이량을 측정하여 랫트의 먹이섭취량을 계산하여, cisplatin만 단독으로 투여한 그룹과 각 추출물 그룹들과의 먹이 섭취량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isplatin 단독투여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한 먹이섭취량 감소를 보였고, cisplatin 과 각 생약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군 모두에서는 cisplatin 유도로 인한 식욕저하 효과가 완화되어 계지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61.4%, 산초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61.0%, 산두근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52.8%, 단삼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45.9%, 치자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45.8%, 진피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38.3% 씩 각각 먹이섭취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 생약추출물 투여에 따른 사료 섭취량
Group Food intake (g/24hr)
(Mean SD)
Food intake
Increase (%)
Normal 27.2±3.87 100 %
2mg/kg cisplatin alone 7.92±0.51 0 %
+ 600mg/kg 계지 19.7±2.72 ** 61.4 %
+ 600mg/kg 산초 19.7±5.29 ** 61.0 %
+ 600mg/kg 산두근 18.1±4.78 ** 52.8 %
+ 600mg/kg 단삼 16.8±5.95 ** 45.9 %
+ 600mg/kg 치자 16.7±7.79 * 45.8 %
+ 600mg/kg 진피 15.3±3.23 * 38.3 %
+ 70mg/kg megestrol 17.8±4.57 ** 51.2 %
상기와 같은 결과는 대조약으로 현재 식욕촉진제로 시판중인 유일한 전문의약품인 megestrol acetate과 동등한 효능을 보임을 확인하여 상기의 추출물들이 식욕촉진 효과가 전문의약품에 비견될 만큼 탁월함을 반증해 주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정성이 확보된 식욕부진개선 효능이 있는 생약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노인과 환자에게 적용하여도 독성과 부작용이 없는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식욕부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건강기능성식품산업 또는 생물의약산업상 또는 동물사료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산두근, 진피, 계지, 치자, 단삼, 산초로 이루어진 생약재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부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캅셀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약학적 조성물.
  4. 산두근, 진피, 계지, 치자, 단삼, 산초로 이루어진 생약재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캅셀제, 환제, 과립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건강기능성식품 조성물.
  7. 삭제
  8. 산두근, 진피, 계지, 치자, 단삼, 산초로 이루어진 생약재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식욕촉진용 동물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0120103127A 2012-09-18 2012-09-18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개선용 조성물 KR101438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127A KR101438555B1 (ko) 2012-09-18 2012-09-18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127A KR101438555B1 (ko) 2012-09-18 2012-09-18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05A KR20140036705A (ko) 2014-03-26
KR101438555B1 true KR101438555B1 (ko) 2014-09-05

Family

ID=5064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127A KR101438555B1 (ko) 2012-09-18 2012-09-18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5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3854A (zh) * 2014-09-13 2014-12-03 吕银兰 治疗小儿厌食症的中药
KR20180078435A (ko) * 2016-12-29 2018-07-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6391A (ja) * 2005-07-06 2009-03-05 Takehito Kono 悪液質改善治療製剤および悪液質改善作用を有する食品製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6391A (ja) * 2005-07-06 2009-03-05 Takehito Kono 悪液質改善治療製剤および悪液質改善作用を有する食品製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3854A (zh) * 2014-09-13 2014-12-03 吕银兰 治疗小儿厌食症的中药
KR20180078435A (ko) * 2016-12-29 2018-07-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96815B1 (ko) * 2016-12-29 2018-09-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705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244B1 (ko) 생약 제제를 포함하는 숙취 예방 또는 해소용 조성물
KR101793531B1 (ko) 백출, 상심자, 구기자, 용안육, 우슬, 두충 및 천문동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0771524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조성물
WO2016163652A1 (ko) 발모 촉진, 탈모 완화 및 개선, 혈당 조절, 위장 장애 증상 완화 및 개선용 건강보조식품
CN107751993A (zh) 一种抗疲劳膏滋及其制备方法
KR101263191B1 (ko)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38555B1 (ko)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개선용 조성물
CN103055157B (zh) 一种复方霍斛蓉芝颗粒及其生产工艺
KR20150105563A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8189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14922B1 (ko)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7961272A (zh) 一种用于慢性肾脏病的中药组合物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520417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갑상선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21341B1 (ko) 북두근, 북두근 추출물, 북두근 오니 또는 북두근 맥아 효소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2176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조성물
KR101122123B1 (ko) 식욕억제제 조성물
KR101894540B1 (ko) 반하, 백출, 천마, 진피, 복령, 산사, 희렴 및 황련을 혼합한 약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엔자임 q10 증진용 조성물
KR20050074732A (ko) 염증질환의 치료 또는 개선용 생약조성물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1759901B (zh) 一种治疗儿童功能性腹痛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170143149A (ko) 신체 성장 촉진효과를 갖는 생약재 추출물의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