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363B1 - Heating System with Excellent Heat Efficiency - Google Patents

Heating System with Excellent Heat Effici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363B1
KR101438363B1 KR1020130078660A KR20130078660A KR101438363B1 KR 101438363 B1 KR101438363 B1 KR 101438363B1 KR 1020130078660 A KR1020130078660 A KR 1020130078660A KR 20130078660 A KR20130078660 A KR 20130078660A KR 101438363 B1 KR101438363 B1 KR 101438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heating system
combustion
heated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6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인관
Original Assignee
송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관 filed Critical 송인관
Priority to KR1020130078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3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3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3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9/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system which is disposed to be connected to a floor heating system in a housing building having a floor heating structure. A combustion chamber (10) and an indoor fireplace (12) are provided for indoor combustion of wood fuel. A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ar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side in a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so that indoor air flows in, is heated, and then is discharged indoors. A selection valve (130) which is used to convert the flow of the air he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a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which is used to control a combustion spe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are disposed. A partition wall (120) is disposed so as to partition the U-shaped pipes (110)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0). An outdoor fireplace (11) is provided to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o be positioned outdoors out of a wall body. A horizontal water bucket (30) which is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to heat water is provided. A duct (111) and a fan (112) are disposed so that indoor air smoothly flows into the U-shaped pipes (110), is heated, and then is discharged indoors.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U-shaped pipes (110) are horizontally or vertically arranged.

Description

열효율이 우수한 난방 시스템 {Heating System with Excellent Heat Efficiency}{Heating System with Excellent Heat Efficiency}

본 발명은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온돌 구조로 이루어진 일반 가정용 주택을 비롯하여 사무실이나 온실,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에 난로와 같이 설치하여 난방을 할 수 있는 열효율이 우수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열효율을 향상시켜 실내의 온도를 빠른 속도로 상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having excellent heat efficiency, which can be installed in a common house for an ondol structure, an office, a greenhouse, a vinyl hous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raising a room temperature at a high speed by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우리 가옥의 전통적인 아궁이 난방 시스템은 아궁이에 화목(火木)과 같은 땔감을 연소시켜 방바닥을 난방하는 방식으로 친환경적이고 건강에 좋은 난방 시스템이다. 아궁이는 화석연료 대신 주로 나무 등 식물성 연료를 연소시켜 에너지를 얻는다. 화석연료를 연소시킬 경우 공기 중에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지구의 온난화가 가속될 수 있다. 반면 나무 등과 같은 식물성 연료를 태울 경우,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공기 중에서 이미 소모한 양만큼의 이산화탄소만이 다시 공기 중으로 되돌아가게 되므로 화석연료를 태우는 난방시스템에 비해 훨씬 친환경적인 난방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천연재료인 온돌을 달구어 온돌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신경통완화 등과 같은 건강에도 유익한 효과가 있는 우수한 난방 시스템이다.Our house's traditional furnace heating system is an eco-friendly and healthy heating system that burns firewood such as firewood in an oven to heat the floor. Instead of fossil fuels, the ovens burn energy mainly by burning vegetable fuels such as wood. When burning fossil fuel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 greenhouse gas in the air, increases, which can accelerate global warming. On the other hand, when burning vegetable fuels such as trees, only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that plants have already consumed in the air through photosynthesis returns to the air, which is a much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heating system than burning fossil fuels. It is also an excellent heating system that has a beneficial effect on health such as relieving neuralgia because the far infrared ray is emitted from the Ondol by heating the ondol which is a natural material.

최근 들어서 도시생활에 지친 현대인의 휴식을 위해 황토집과 같은 전원주택이 많이 지어지고 있으며, 친환경적인 입장에서 전통적인 아궁이 난방 시스템을 채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many residences such as Hwangsook have been built for the relaxation of the modern people who are tired of city life. And the case of adopting the traditional furnace heating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environment is increasing.

본 발명자는 이미 아궁이를 이용한 상기 축열 및 난방 장치를 개발하여 특허 제682239호로 특허받은 바 있다. 그런데 특허받은 난방장치를 비롯하여 종래의 전통적인 아궁이 시스템은 실내에 구비된 아궁이만으로 땔감을 연소시키기 때문에, 실내 산소를 계속하여 소모하게 되어 두통, 어지럼증, 멀미 등의 만성 산소부족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통적인 아궁이 시스템은 연소 후 발생한 재를 실내 아궁이를 통하여 퍼내야 하기 때문에, 이때 비산먼지 및 미세먼지가 실내에 확산되어 실내공기 오염은 물론 실내바닥 오염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The present inventor has already developed the heat storage and heating apparatus using an oven and has been patented as a patent No. 682239. However, the conventional heating system including the conventional heating system burns the firewood with only the oven provided in the room. Therefore, the indoor oxygen is continuously consumed, which causes a problem of chronic oxygen deficiency symptoms such as headache, dizziness and nausea have. 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furnace system requires the ash generated after combustion to be pour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furnace, scattered dust and fine dust diffuse into the room, thereby causing indoor air pollution as well as indoor floor pollution.

본 발명자는 또한 아궁이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가옥의 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와 실외에 각각 아궁이를 설치함으로써 실외의 공기를 유입하여 연소시켜서 실내의 산소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아궁이 내의 연소된 재를 실외 아궁이로부터 수거함으로써 실내가 재와 먼지 등의 비산으로부터 방지되어 실내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를 갖는 가옥 난방 시스템도 개발하여 실용신안등록 제461638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이 실용신안은 아궁이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가옥의 난방 시스템으로 실내 및 실외 아궁이 외에도 아궁이 소각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저장하여 설치된 난방 파이프 내부로 순환시켜서 이중으로 온돌방을 난방할 수 있는 축열 및 난방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also found that in a heating system for a house that is heated by using an oven, an oven is installed in the indoor and the outdoor, respectively, so that outdoor air is introduced and burned to prevent oxygen from being consumed in the room, And a new structure that can keep the interior of the room clean can be obtained by collecting the burned ash in the outdoor fireplace by preventing dust and debris from being scattered inside the house, and has been registered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61638. This utility model is a heating system of a house heating by using an oven. It can heat water by using incinerator heat in addition to indoor and outdoor ovens and store heated water to circulate to the installed heating pipe to heat the oven room Heat storage and heating.

그런데 상기 실용신안은 실내와 실외에 각각 아궁이를 설치함으로써 실외의 공기를 유입하여 연소시켜서 실내의 산소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궁이 내의 연소된 재를 실외 아궁이로부터 수거함으로써 실내가 재와 먼지 등의 비산으로부터 방지되어 실내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난방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난방을 하는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집을 장기간 비워 둔 경우에, 아궁이를 통하여 온돌의 온도가 가열되고, 그리고 온돌 내부에 삽입된 파이프 내부의 물이 가열되기 때문에 방바닥을 비롯하여 실내 온도를 올리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However, in the utility model, the ovens are installed in the indoor and the outdoor, respectively, so that the outdoor air is inflowed and burned to prevent the oxygen in the room from being consumed and the burned materials in the oven are collected from the outdoor ovens,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roo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cattered and the room can be kept clean,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heat the room without heating. For example, when the house is left unattend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temperature of the ondol is heated through the furnace, and the water in the pipe inserted in the ondol is heated, so it takes a considerable time to raise the room temperature including the floor.

본 발명자는 실용신안의 단점을 개선하여, 아궁이를 통하여 단시간 내에 물을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방바닥을 먼저 가열시키고, 그 다음 온돌을 서서히 가열시키는 구조를 갖는 발명을 개발하여 특허 제1147290호로 특허받은 바 있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eloped the invention of improving the disadvantages of the utility model and heating the water in a short time through the furnace and circulating the heated water to heat the floor first and then gradually heating the ondol, Patented.

특허 제1147290호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아궁이(11)와 실내 아궁이(12)가 구비되어 땔감을 연소시켜 난방되는 온돌구조물에 있어서, 연소실(1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형 물통(20), 상기 수직형 물통 상부에 수평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평형 물통(30), 상기 수직형 물통의 물이 순환하도록 연결된 축열물탱크(40), 및 상기 수평형 물통의 물이 순환하도록 연결되고 방바닥 내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난방용 파이프(31)로 이루어진다. 이 특허는 보조적인 가열 수단으로 보조 보일러(5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보조 보일러는 축열물탱크(40)와 물이 서로 순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축열물탱크(40)의 상부에는 팽창탱크(41)가 더 설치되며, 부족한 물을 보충하기 위하여 급수라인(42)이 더 설치된다. 난방 파이프(31)의 하부에는 열과 연기가 통과하면서 방바닥을 가열할 수 있도록 전통구조의 고래가 형성되며, 그 맞은편에 굴뚝이 형성된다. 수직형 물통(20), 수평형 물통(30), 축열물탱크(40), 보조 보일러(50)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난방용 파이프(31) 상에 모터(61)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형 물통(20)과 상기 축열물탱크(40)를 연결하는 파이프 상에 모터(62)를 설치하고 상기 축열물탱크(40)와 상기 보조 보일러(50)를 연결하는 파이프 상에 모터(63)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들을 작동하고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실내 조절 스위치(71), 온도 센서 스위치(81, 82) 및 온도 조절기(91)를 부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연소실(10)은 실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아궁이 카바(13)가 조립식으로 부착된다. 실내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입체구조로 이루어진 방열판(14)이 부가된다. 난방하고자 하는 방이 있는 경우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열물탱크(40)로부터 가열된 물을 순환시켜 제2방 또는 제3방을 난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실내 조절 스위치(72)와 모터(64)를 설치하여 난방을 자동화할 수 있다. Patent No. 1147290 discloses an ondol structure in which an outdoor oven 11 and an indoor oven 12 are provided so as to be heated by burning a firewood as shown in FIG. 1 and FIG. 2, A vertical water tank 20 vertically installed, a horizontal water tank 30 integrally formed horizontally on the vertical water tank, a storage tank 40 connected to circulate water in the vertical water tank, And a heating pipe 31 connected to circulate the water in the floor and inserted into the floor. This patent may be supplemented with an auxiliary boiler (50) as an auxiliary heating means, which is installed so that the storage tank (40) and the water can circulate with each other. An expansion tank 41 is furth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40, and a water supply line 42 is further installed to supplement the deficient water. In the lower part of the heating pipe 31, a whale of a traditional structure is formed so that heat and smoke can be heated and the floor can be heated, and a chimney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A motor 61 is installed on the heating pipe 31 to circulate water in the vertical water bottle 20, the horizontal water bottle 30, the heat storage water tank 40 and the auxiliary boiler 50, A motor 62 is provided on a pipe connecting the water tank 20 and the storage tank 40 and a motor 63 is mounted on a pipe connecting the storage tank 40 and the auxiliary boiler 50. [ And a room temperature control switch 71, temperature sensor switches 81 and 82,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9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to operate the motors and control the temperature. Since the combustion chamber 10 is located indoors, the oven cover 13 is attached in a prefabricated manner. A heat radiating plate 14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is added to increase the heat efficiency of the room. When there is a room to be heated, as shown in FIG. 1, the heated water can be circulated from the storage tank 40 to heat the second room or the third room. Even in this case, the room control switch 72 and the motor 64 can be installed to automate heating.

그러나 특허 제1147290호는 실내의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방열판(14)이 설치되지만, 이것만으로는 실내 온도를 빠른 속도로 가열하여 난방을 유지하는 것이 충분하지 않다. However, Japanese Patent No. 1147290 discloses that a heat sink 14 is installed to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of a room, but it is not sufficient to heat the room temperature at a high speed to maintain the heating.

본 발명자는 특허 제1147290호의 난방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실내 온도를 빠른 속도로 가열하고 열효율을 높여 난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새로운 난방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The present inventor has developed a new he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mproves the problems of the heating system of Patent No. 1147290 and rapidly heats the room temperature and increases the heating efficiency to efficiently heat the room.

본 발명의 목적은 아궁이를 통하여 단시간 내에 물을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을 순환시킴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실내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새로운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heating system capable of raising the room temperature in a short period of time by heating water in a short time through an oven and circulating heated wa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방 시스템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U자관을 통하여 실내 공기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순환시킴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실내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실내 온도가 적정 온도로 가열된 후에는 연소속도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새로운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hich can heat room air through a plurality of U-shaped tubes installed in a heating system and circulate the heated air again to the room, And to provide a new heating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heating by regulating the burning spee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특허 제1147290호의 난방 시스템에 적용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난로와 같은 형태로 난방을 필요로 하는 곳에 설치하여 실내를 난방할 수 있는 새로운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heating system which can be applied to a heating system of Patent No. 1147290 or installed in a place where heating is required in the form of a fireplace, .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Thes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난방 시스템은 온돌구조를 갖는 주택건축물에서 온돌고래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실내에서 나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소실(10)과 실내아궁이(12)가 구비되고, 실내공기가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소실(10) 측부 상부쪽에 복수개의 U자관(110)이 설치되고, 연소실(10)에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선택밸브(130) 및 연소실(10)에서의 연소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연소조절밸브(140)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10)과 상기 복수개의 U자관(110)을 구획하도록 격벽(120)이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10)과 관통하고 벽체 외부의 실외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실외아궁이(11)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실(10) 상부쪽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수평형 물통(30)이 구비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The he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system connected to a dolphin from a house structure having an ondol structure. The heating system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10 and an indoor furnace 12 so as to burn wood fuel therein, A plurality of U-shaped tubes 11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so as to be he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a selection valve 130 for switching the flow of the heated air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A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for controlling the combustion spe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is installed and a partition 120 is provided to partitio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And an outdoor oven 11 installed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wall outside the wall and a horizontal water basin 30 installed at an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for heating the water is provided .

실내공기가 복수개의 U자관(110)으로 원활히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닥트(111)와 팬(112)이 설치된다.The duct 111 and the fan 112 are installed so that the room air flows smoothly into the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and is he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상기 선택밸브(13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31)와 연결바(132)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조절밸브(1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41)와 연결바(142)가 구비된다.An adjustment lever 131 and a connection bar 132 for operating the selection valve 130 and a control lever 141 and a connection bar 142 for operating the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are provided .

상기 수평형 물통(30)에서 가열된 물은 축열물탱크(40)로 이동하여 저장되어 순환한다.The water heated in the horizontal water tank 30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tank 40 for storage and circulation.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독립적인 난로 형태의 난방 시스템으로서, 하부에 나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소실(10)과 연소실도어(154)가 구비되고, 실내공기가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소실(10) 상부쪽에 복수개의 U자관(110)이 설치되고, 연소실(10)에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선택밸브(130) 및 연소실(10)에서의 연소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연소조절밸브(140)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10)과 상기 복수개의 U자관(110)을 구획하도록 수평격벽(151)과 수직격벽(152)이 설치되고, 실내공기가 복수개의 U자관(110)으로 원활히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정면부의 닥트(111), 최소한 하나의 측면부에 닥트(111a, 111b), 및 팬(112a, 112b)이 설치되고, 후면부에 배기구(160)가 설치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 구체예의 난방 시스템은 온돌구조에도 설치할 수 있고 온돌구조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ependent heating system in the form of a hearth, which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10 and a combustion chamber door 154 for burning wood fuel at the bottom, A plurality of U-shaped tubes 11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so as to discharge the combustion air, a selection valve 130 for switching the flow of the heated air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A horizontal partition wall 151 and a vertical partition wall 152 are provided to partitio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Ducts 111a and 111b and at least one of the fans 111a and 111b and the fans 112a and 112b are installed in the front face duct 111 and the at least one side face so as to smoothly flow into the self- 160 are installed. The heating system of this specific example can be installed in the ondol structure and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the ondol structure.

상기 선택밸브(13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31)와 연결바(132)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조절밸브(1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41)와 연결바(142)가 구비된다.An adjustment lever 131 and a connection bar 132 for operating the selection valve 130 and a control lever 141 and a connection bar 142 for operating the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are provided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난방 시스템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U자관을 통하여 실내 공기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순환시킴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실내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실내 온도가 적정 온도로 가열된 후에는 연소속도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온돌구조의 주택건축물에 설치할 수 있는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고, 또한 온돌구조와는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난로와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필요한 곳에 난방할 수 있는 새로운 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heat room air through a plurality of U-shaped tubes installed in a heating system and circulate the heated air back to the room, thereby raising the room temperatur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the room temperature is heated to a proper temperature, It is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heat by adjusting the speed. It provides a heating system that can be installed in a residential building with an ondol structure, and it can be independently produced in the form of a hearth independently of the ondol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new heating system.

제1도는 종래의 특허 제1147290호에 따른 열효율이 우수한 실내 및 실외 아궁이가 구비된 가옥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제2도는 종래의 특허 제1147290호 발명의 아궁이에 수직형 물통과 수평형 물통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제3도는 온돌구조를 갖는 주택건축물의 온돌고래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제5도는 온돌구조와는 관계없이 독립적인 난로 형태의 난방 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다.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난방 시스템의 후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omestic heating system having indoor and outdoor fireplaces having excellent therm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tent No. 1147290.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rtical type water bottle and a horizontal type water bottle are installed in an oven of the conventional art of Japanese Patent No. 1147290.
FIG.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connected to a dolphin of a residential building having an ondol structure.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dependent heating system in the form of a stove irrespective of the ondol structure.
FIG. 6 is a schematic left side view of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5.
Figure 7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ure 5;
FIG.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5; FIG.

본 발명은 온돌 구조로 이루어진 일반 가정용 주택을 비롯하여 사무실이나 온실,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에 난로와 같이 설치하여 난방을 할 수 있는 열효율이 우수한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효율을 향상시켜 실내의 온도를 빠른 속도로 상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system having excellent heat efficiency and capable of heating by being installed in a room such as an office, a green house, and a vinyl house, To a heating system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rising at a high speed.

본 발명의 난방 시스템은 종래의 특허 제1147290호에 따른 가옥 난방 시스템을 개량한 것으로 상기 특허의 난방 시스템과 함께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특허와는 무관하게 별도의 난방 시스템으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he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conventional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tent No. 1147290, and can be installed and used together with the heating system of the above patent. Also, the heating system can be used as a separate heating system have.

제1도는 종래의 특허 제1147290호에 따른 열효율이 우수한 실내 및 실외 아궁이가 구비된 가옥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제2도는 제1도 난방 시스템의 아궁이에 수직형 물통과 수평형 물통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기 위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house heating system having indoor and outdoor fireplaces having excellent therm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tent No. 1147290,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rtical water tank and a horizontal water tank installed in an oven of a first degree heating system And Fig.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시스템은 온돌구조를 갖는 주택건축물에서 온돌고래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난방 시스템으로, 제3도는 온돌구조를 갖는 주택건축물의 온돌고래에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Th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ing system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a dolphin from a residential building having an ondol structure, and can b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on dolphin of a residential building having an ondol structure Fig. 4 schematically shows a top view of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3; Fig.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시스템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서 나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소실(10)과 실내아궁이(12)가 구비되고, 실내공기가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소실(10) 측부 상부쪽에 복수개의 U자관(110)이 설치되고, 연소실(10)에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선택밸브(130) 및 연소실(10)에서의 연소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연소조절밸브(140)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10)과 상기 복수개의 U자관(110)을 구획하도록 격벽(120)이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10)과 관통하고 벽체 외부의 실외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실외아궁이(11)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실(10) 상부쪽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수평형 물통(30)이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3, th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chamber 10 and an indoor furnace 12 so as to burn wood fuel in the room, A plurality of U-shaped tubes 110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so as to be discharged to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a selection valve 130 for switching the flow of the heated air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A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for controlling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a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are provid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a partition wall 120 is provided to partitio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plurality of U- An outdoor oven 11 installed to be located outdoors, and a horizontal water basin 3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for heating water.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를 기준으로 실외에는 실외 아궁이(11)가 설치되고, 실내에는 실내 아궁이(12)가 설치된다. 연소실(10)은 실내에 위치하지만, 실외 아궁이(11) 또는 실내 아궁이(12) 어느 쪽에서든 접근이 가능하여 땔감인 화목을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미 특허 제1147290호에 개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outdoor oven 11 is installed outdoors on the basis of the wall, and the indoor oven 12 is installed in the room. Although the combustion chamber 10 is located indoors, it can be accessed from either the outdoor oven 11 or the indoor oven 12, so that a firewood with firewood can be introduced. Such a structure is already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147290.

본 발명에서는, 연소실(10)에서 땔감을 연소시키는 동안 선택밸브(130)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우선 선택밸브가 130a의 위치에 있게 되면, U자관(110)으로 유입되는 통로가 개방되어 연소된 더운 공기와 연기가 U자관(110) 쪽으로 이동한다. 반면, 선택밸브가 130b의 위치에 있게 되면, U자관(110)으로 유입되는 통로가 차단되어 연소된 더운 공기와 연기가 구들(연통)(도시되지 않음) 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selection valve 130 can be selected while burning the firewoo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When the selector valve 130a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selector valve 130, the passage to the U-tube 110 is opened and the hot air and the smoke move to the U-tube 110 s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lector valve is in the position of 130b, the passage to the U-tube 110 is shut off, and the hot air and the smoke are moved toward the communicating holes (not shown) and discharged.

더운 공기와 연기가 U자관(110) 쪽으로 이동하면 U자관은 가열되고, 더운 공기와 연기는 다시 연소조절밸브(140)에 의하여 개방된 통로를 따라 구들(연통)(도시되지 않음) 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이때 연소조절밸브(140)에 의하여 개방된 통로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더운 공기와 연기가 배출되는 속도를 조절한다. 이 배출속도는 결국 땔감의 연소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hot air and the smoke are moved toward the U-tube 110, the U-tube is heated, and the hot air and the smoke are moved again toward the communicates (not shown) along the path opened by the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 At this time, by regula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ed passage by the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the hot air and the rate at which the smoke is discharged are adjusted. This discharge rate ultimately controls the burning rate of the firewood.

더운 공기와 연기가 U자관(110) 쪽으로 이동하여 U자관(110)이 가열되면, U자관을 통하여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과정에서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다시 배출시키다. 다시 말해서, U자관(110)의 하부구멍(113)과 상부구멍(114)은 모두 난방 시스템의 외부 즉 실내에 통하도록 설계되어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U자관 내부에서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실내공기가 복수개의 U자관(110)으로 원활히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닥트(111)와 팬(112)이 설치된다.When the hot air and the smoke move toward the U-shaped tube 110 and the U-shaped tube 110 is heated,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U-shaped tube and the he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during the inflow. In other words, both the lower hole 113 and the upper hole 114 of the U-shaped tube 110 are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heating system, that is, the room, so that the air in the room is introduced and the introduced air is heated inside the U-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The duct 111 and the fan 112 are installed so that the room air flows smoothly into the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and is he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연소실(10)과 U자관이 설치되는 공간은 서로 분리되도록 격벽(120)이 설치된다. 복수개의 U자관(110)을 이용하여 실내의 차가운 공기를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일반 가정의 경우 통상 40∼50 mm 직경의 U자관을 4∼6개 정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택 규모에 따라 U자관의 직경의 숫자를 적절히 변형할 수 있다. The partition 120 is installed to separate the space where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U-shaped tube are installed from each other. The cold air in the room can be rapidly heated by using the plurality of U-shaped tubes 110. [ In general, it is desirable to install about 4 ~ 6 U-shaped pipes of 40 ~ 50 mm in diameter,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but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modify the number of U-pipes according to the size of houses.

상기 선택밸브(13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31)와 연결바(132)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조절밸브(1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41)와 연결바(142)가 구비되어 밸브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An adjustment lever 131 and a connection bar 132 for operating the selection valve 130 and a control lever 141 and a connection bar 142 for operating the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are provided The operation of the valve can be facilitated.

하절기와 같이 실내 온도를 가열시킬 필요가 없고 온수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U자관을 작동시키지 않도록 선택밸브(130)를 130b의 위치로 변환할 수 있다. It is not necessary to heat the room temperature as in the summer, and in the case of using only hot water, the selector valve 130 can be switched to the position of 130b so as not to operate the U-tube.

본 발명의 난방 시스템 상부에는 수평형 물통(30)이 설치되어 연소열에 의하여 물을 가열시키고, 가열된 물은 축열물탱크(40)로 이동하여 저장되어 순환한다. 축열물탱크(40)에 저장된 물은 특허 제114729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난방용 또는 온수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In the hea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rizontal water tank 30 is installed to heat the water by the heat of combustion, and the heated water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40 for storage and circulation.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40 can be used for heating or hot water supply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147290. [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난로 형태의 난방 시스템으로, 제5도는 이 구체예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며,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난방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heating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 6 is a schematic left side view of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5 7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5; FIG.

제3도에 도시된 구체예가 연소실(10)과 복수개의 U자관(110)이 수평적으로 배치된다면, 제5도에 도시된 구체예는 연소실(10)과 복수개의 U자관(110)이 수직적으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5도의 구체예는 온돌구조에도 설치할 수 있고 온돌구조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온돌구조와 관계없이 제작되는 이 구체예의 난방 시스템은 독립적인 난로 형태의 난방 시스템으로 제작되어 난방을 필요로 하는 거실이나 사무실, 비닐하우스 같은 실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3 shows that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are disposed horizontally, and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plurality of U- As shown in Fig. The specific example of FIG. 5 can be installed in the ondol structure and independently of the ondol structure. The heating system of this specific example, which is manufactured regardless of the ondol structure,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living room, office, or vinyl house requiring heating in an independent heating system.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의 하부에 나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연소실(10)과 연소실도어(154)가 구비되고, 실내공기가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소실(10) 상부쪽에 복수개의 U자관(110)이 설치되고, 연소실(10)에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선택밸브(130) 및 연소실(10)에서의 연소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연소조절밸브(140)가 설치되고, 상기 연소실(10)과 상기 복수개의 U자관(110)을 구획하도록 수평격벽(151)과 수직격벽(152)이 설치되고, 실내공기가 복수개의 U자관(110)으로 원활히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정면부의 닥트(111), 최소한 하나의 측면부에 닥트(111a, 111b), 및 팬(112a, 112b)이 설치되고, 후면부에 배기구(160)가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5 to 7, a combustion chamber 10 and a combustion chamber door 154 are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ystem so as to burn wood fuel, and after the room air is introduced and heated, A plurality of U-shaped tubes 110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so as to control a selection valve 130 for switching the flow of the heated air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a control valve 130 for controlling the combustion spe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 A horizontal partition 151 and a vertical partition 152 are provided to partitio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111a, 111b) and fans (112a, 112b) are installed on the front face duct 111, the at least one side face so as to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indoor space 110, Is installed.

이 구체예에서도, 연소실(10)에서 땔감을 연소시키는 동안 선택밸브(130)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우선 선택밸브가 130a의 위치에 있게 되면, U자관(110)으로 유입되는 통로가 개방되어 연소된 더운 공기와 연기가 U자관(110) 쪽으로 이동한다. 반면, 선택밸브가 130b의 위치에 있게 되면, U자관(110)으로 유입되는 통로가 차단되어 연소된 더운 공기와 연기가 구들(연통)(도시되지 않음) 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상기 연소실(10)과 상기 복수개의 U자관(110)을 구획하도록 수평격벽(151)과 수직격벽(152)이 설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selection valve 130 can be selected while burning the firewoo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When the selector valve 130a is located at the position of the selector valve 130, the passage to the U-tube 110 is opened and the hot air and the smoke move to the U-tube 110 sid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lector valve is in the position of 130b, the passage to the U-tube 110 is shut off, and the hot air and the smoke are moved toward the communicating holes (not shown) and discharged. A horizontal partition 151 and a vertical partition 152 are provided to partitio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plurality of U-

더운 공기와 연기가 U자관(110) 쪽으로 이동하면 U자관은 가열되고, 더운 공기와 연기는 다시 연소조절밸브(140)에 의하여 개방된 통로를 따라 구들(연통)(도시되지 않음) 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이때 연소조절밸브(140)에 의하여 개방된 통로의 단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더운 공기와 연기가 배출되는 속도를 조절한다. 이 배출속도는 결국 땔감의 연소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When the hot air and the smoke are moved toward the U-tube 110, the U-tube is heated, and the hot air and the smoke are moved again toward the communicates (not shown) along the path opened by the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 At this time, by regula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pened passage by the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the hot air and the rate at which the smoke is discharged are adjusted. This discharge rate ultimately controls the burning rate of the firewood.

더운 공기와 연기가 U자관(110) 쪽으로 이동하여 U자관(110)이 가열되면, U자관을 통하여 실내의 공기를 유입시키고, 유입과정에서 가열된 공기를 실내로 다시 배출시키다. 다시 말해서, U자관(110)의 하부구멍(113)과 상부구멍(114)은 모두 난방 시스템의 외부 즉 실내에 통하도록 설계되어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U자관 내부에서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When the hot air and the smoke move toward the U-shaped tube 110 and the U-shaped tube 110 is heated, the indoo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U-shaped tube and the he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during the inflow. In other words, both the lower hole 113 and the upper hole 114 of the U-shaped tube 110 are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heating system, that is, the room, so that the air in the room is introduced and the introduced air is heated inside the U-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실내공기가 복수개의 U자관(110)으로 원활히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좌우측면부에 닥트(111a, 111b)와 팬(112a, 112b)이 각각 설치되고, 정면부에도 닥트(111)가 설치된다. 제7도에는 좌우측면부에 닥트(111a, 111b)와 팬(112a, 112b)이 각각 설치되어 있지만, 이는 좌측면부 또는 우측면부 어느 하나에 설치하여도 된다. 측면부에 설치된 닥트(111a, 111b)는 그 측면부를 카바하는 판상으로 설치되어 공기가 순환하기 때문에 일종의 안전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ducts 111a and 111b and the fans 112a and 112b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so that the room air is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and he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Respectively. In FIG. 7, the ducts 111a and 111b and the fans 112a and 112b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respectively. However, the ducts 111a and 111b may be provided on either the left side surface or the right side surface. The ducts 111a and 111b installed on the side portions are provided in a plate shape covering the side portions thereof, and can function as a kind of safety plate because the air circulates.

복수개의 U자관(110)을 이용하여 실내의 차가운 공기를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선택밸브(13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31)와 연결바(132)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조절밸브(1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41)와 연결바(142)가 구비되어 밸브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구체예의 제5도 내지 제8도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물통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에 따라 물통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The cold air in the room can be rapidly heated by using the plurality of U-shaped tubes 110. [ An adjustment lever 131 and a connection bar 132 for operating the selection valve 130 and a control lever 141 and a connection bar 142 for operating the combustion control valve 140 are provided The operation of the valve can be facilitated. Although no water reservoir for heating water is shown in FIGS. 5 to 8 of this specific example, a water reservoir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as required.

이 구체예의 전면부에는 연소실도어(154) 상부에 내열유리(153)가 장착될 수 있고, 열감지센서(155)를 부착하여 난방 시스템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eat-resistant glass 153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door 154, and the heating system can be used more safely by attaching the heat-sensing sensor 155.

제8도는 제5도에 도시된 난방 시스템의 후면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후면부에는 가열된 공기와 연기가 배출되도록 배기구(160)가 형성된다. 이 난방 시스템을 난로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기구(160)에 연통연결유니언(161)을 부착하여 연통을 통하여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이 난방 시스템을 온돌구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배기구(160)에 구들연결유니언(162)을 부착하여 가열된 공기와 연기가 구들 속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어떤 경우든지, 실내에서는 복수개의 U자관(110)을 작동시켜 실내의 공기가 U자관 속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U자관 내부에서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하여 실내 온도를 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물론 하절기와 같이 실내온도를 상승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U자관의 작동을 중지시킨다.FIG.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5; FIG. And an exhaust port 160 is formed in the rear portion to discharge heated air and smoke. When this heating system is used together with a fireplace,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61 is attached to the exhaust port 160 and the smok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wever, when the heating system is applied to the Ondol structure, a spherical connection unit 162 is attached to the exhaust port 160 to allow the heated air and smoke to flow into the spheres. In any case, a plurality of U-shaped tubes 110 are operated in the room to allow air in the room to flow into the U-shaped tube, and the introduced air is heated in the U-shaped tube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have. Of course, when it is not necessary to raise the room temperature like in the summer, the operation of the U-tube is stopped.

본 발명은 난방 시스템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U자관을 통하여 실내 공기를 가열시키고, 가열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순환시킴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실내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실내 온도가 적정 온도로 가열된 후에는 연소속도를 조절하여 효율적으로 난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온돌구조와 관련하여 또는 온돌구조와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는 열효율이 높은 난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heat room air through a plurality of U-shaped tubes installed in a heating system and circulate the heated air back to the room, thereby raising the room temperatur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the room temperature is heated to a proper temperature, It is a system that can efficiently heat by regulating the speed. It provides a heating system with high thermal efficiency that can be installed in relation to the ondol structure or regardless of the ondol structur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아궁이 20: 수직형 물통
30: 수평형 물통 40: 축열물탱크
50: 보조 보일러 110: 복수개의 U자관
111: 닥트(duct) 112: 팬(fan)
113: 하부구멍 114: 상부구멍
120: 격벽 130: 선택밸브
131: 조정레버 132: 연결바
140: 연소조절밸브 141: 조정레버
142: 연결바 151: 수평격벽
152: 수직격벽 153: 유리
154: 연소실도어 155: 열감지센서
160: 배기구 161: 연통연결 유니언
162: 구들연결 유니언
10: Ovens 20: vertical bucket
30: Horizontal water tank 40: Storage tank
50: auxiliary boiler 110: plural U-tubes
111: duct 112: fan
113: lower hole 114: upper hole
120: partition 130: selection valve
131: adjusting lever 132: connecting bar
140: Combustion control valve 141: Control lever
142: connection bar 151: horizontal partition
152: Vertical partition 153: Glass
154: Combustion chamber door 155: Heat sensor
160: exhaust port 161: communicating connection union
162: Connections Union

Claims (6)

온돌구조를 갖는 주택건축물에서 온돌고래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난방 시스템으로서,
실내에서 나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연소실(10) 및 실내아궁이(12);
실내공기가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소실(10) 측부 상부쪽에 설치된 복수개의 U자관(110);
상기 연소실(10)에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연소실에서 U자관 또는 연소실에서 구들로 전환하기 위하여 구비된 선택밸브(130) 및 상기 연소실(10)에서의 연소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된 연소조절밸브(140);
상기 연소실(10)과 상기 복수개의 U자관(110)을 구획하도록 설치된 격벽(120); 및
상기 연소실(10)과 관통하고 벽체 외부의 실외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실외아궁이(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A heating system connected to a dolphin from a residential building having an ondol structure,
A combustion chamber (10) and an indoor oven (12) provided to burn wood fuel in the room;
A plurality of U-shaped tubes (110)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so that the room air is he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A selection valve 130 for switching the flow of the air he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from the U-shaped tube or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spheres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combustion control valve 130 for controlling the combustion spe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 (140);
A partition 120 installed to partitio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plurality of U-shaped tubes 110; And
An outdoor oven (11) penetrating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installed to be outdoors outside the wall;
And a heating system for heating the heat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0) 상부쪽에 설치되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수평형 물통(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The heat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rizontal water tank (30)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for heating wat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내공기가 상기 복수개의 U자관(110)으로 원활히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닥트(111)와 팬(11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The duct (111) and the fan (112) are further installed in the cabi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wherein room air is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Heating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밸브(13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31)와 연결바(13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소조절밸브(1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41)와 연결바(14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lever (131) and a connection bar (132) for operating the selection valve (130), and a control lever (141) for operating the combustion control valve Further comprising a bar (142).
독립적인 난로 형태의 난방 시스템으로서,
하부에 나무연료를 연소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연소실(10) 및 연소실도어(154);
실내공기가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상기 연소실(10) 상부쪽에 복수개의 U자관(110);
상기 연소실(10)에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을 연소실에서 U자관 또는 연소실에서 구들로 전환하기 위하여 구비된 선택밸브(130) 및 상기 연소실(10)에서의 연소속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구비된 연소조절밸브(140);
상기 연소실(10)과 상기 복수개의 U자관(110)을 구획하도록 설치된 수평격벽(151)과 수직격벽(152); 및
실내공기가 상기 복수개의 U자관(110)으로 원활히 유입되어 가열된 후 다시 실내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정면부의 닥트(111), 최소한 하나의 측면부에 설치된 닥트(111a, 111b), 및 팬(112a, 112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As an independent heating system in the form of a hearth,
A combustion chamber 10 and a combustion chamber door 154 provided to burn wood fuel at the bottom;
A plurality of U-shaped tubes (110)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0) so that the indoor air is he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A selection valve 130 for switching the flow of the air hea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from the U-shaped tube or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spheres in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combustion control valve 130 for controlling the combustion spe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0. [ (140);
A horizontal partition 151 and a vertical partition 152 installed to partition the combustion chamber 10 and the plurality of U-tubes 110; And
Ducts 111a and 111b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portion for allowing indoor air to smoothly flow into the plurality of U-shaped pipes 110 and then heat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room again, and fans 112a and 112b );
And a heating system for heating the heating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밸브(13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31)와 연결바(13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연소조절밸브(140)를 작동하기 위한 조정레버(141)와 연결바(14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 시스템.

The control valve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lever (131) and a connection bar (132) for operating the selection valve (130), and a control lever (141) for operating the combustion control valve Further comprising a bar (142).

KR1020130078660A 2013-07-05 2013-07-05 Heating System with Excellent Heat Efficiency KR1014383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660A KR101438363B1 (en) 2013-07-05 2013-07-05 Heating System with Excellent Heat Effici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660A KR101438363B1 (en) 2013-07-05 2013-07-05 Heating System with Excellent Heat Effici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363B1 true KR101438363B1 (en) 2014-09-05

Family

ID=5175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660A KR101438363B1 (en) 2013-07-05 2013-07-05 Heating System with Excellent Heat Effici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36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098A (en) * 2015-05-28 2016-12-08 여은석 The stove of high efficiency to have the exchange function of hot-water supplying and heating
KR20210128645A (en) * 2020-04-17 2021-10-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tructure of korean under pane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198Y1 (en) 2002-05-15 2002-10-11 구재완 Ondol heating system of architecture with firehole and boil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198Y1 (en) 2002-05-15 2002-10-11 구재완 Ondol heating system of architecture with firehole and boil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098A (en) * 2015-05-28 2016-12-08 여은석 The stove of high efficiency to have the exchange function of hot-water supplying and heating
KR101687339B1 (en) 2015-05-28 2016-12-19 여은석 The stove of high efficiency to have the exchange function of hot-water supplying and heating
KR20210128645A (en) * 2020-04-17 2021-10-2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tructure of korean under paneal
KR102330903B1 (en) 2020-04-17 2021-11-24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tructure of korean under pane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49B1 (en) A portable korean underfloor heating boiler
US4004731A (en) Device for transferring heat energy from a fireplace to a fluid heating system
US4126118A (en) Modular fireplace assembly
KR100682239B1 (en) Heating System for Floor Using Conventional Fire
KR101438363B1 (en) Heating System with Excellent Heat Efficiency
RU174432U1 (en) BATH FURNACE
KR101147290B1 (en) Home Heating System with Excellent Heat Efficiency Equipped with Inner and Outer Furnaces
KR101670334B1 (en) Flat stone type residential heating system with air circulation
US4287877A (en) Solar and central fireplace heating system
US4230268A (en) Forced air fireplace furnace
RU2651878C1 (en) Bath stove
CN202281262U (en) Civil hot blast stove for cooking and heating
KR101147289B1 (en) Stove with Boiler Function
RU2241909C2 (en) Oven for bath house
KR100828382B1 (en) Composition boiler
CN201014598Y (en) Solid fuel multifunctional kitchen tool
KR101192840B1 (en) Firplace with a bolier
CN103017207B (en) Heat-insulating energy-saving heating stove
KR20150146002A (en) Hot-water heating systems utilizing rocket stove
RU2192586C2 (en) Kitchen fire-place combined with bath stone-filled oven
KR200461638Y1 (en) Home Heating System Equipped with Inner and Outer Furnaces
KR101512968B1 (en) Wood boiler
KR20100019836A (en) Apparatus of fireplace having heating air
KR20120003239U (en) Stove with Boiler Function Equipped with Vertical Spiral Member therein
KR20150117506A (en) Heating equipment for movable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