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140B1 - Led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 - Google Patents

Led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140B1
KR101438140B1 KR1020130036512A KR20130036512A KR101438140B1 KR 101438140 B1 KR101438140 B1 KR 101438140B1 KR 1020130036512 A KR1020130036512 A KR 1020130036512A KR 20130036512 A KR20130036512 A KR 20130036512A KR 101438140 B1 KR101438140 B1 KR 101438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ing
cover plate
rear cover
led
light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모
Original Assignee
(주)썬래이
전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래이, 전상모 filed Critical (주)썬래이
Priority to KR102013003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골프장이나 공연장 또는 운동 경기장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대한 집합 조명에 적합하고 대기 중 유동 공기 흐름을 자유롭게 유도하고 LED 조명 램프의 집적에서 슬림화된 설계가 가능하고 양산성과 제조 단가 그리고 가격 경제성 등이 고려된 LED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LED 조명 모듈(110); LED 조명 모듈(110)을 집적하는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 LED 조명 모듈(110)을 다시 인서트 시켜 홀더링 하는 상기 공간(120)들에 대응하는 공간(121)들을 갖는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 집적 마스크 플레이트(130),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를 이격시켜 결합하고, 그 이격된 갭을 방열공간(150)으로 띄워 주고 유지하기 위해 연결부재(160)로 연결된 프레임(170a)(170b) 구조의 방열수단;을 포함하는 LED 조명 램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LED 조명 램프의 슬림화된 방열 구조를 완성되고, LED 조명 램프의 경량화, 공용화, 규격화 등이 가능하고 생산성과 경제성 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LED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FLOOD LIGHTING STYLE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AND ASSEMBLING STRUC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골프장이나 공연장 또는 운동 경기장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대한 집합 조명에 적합하고 대기 중 유동 공기 흐름을 자유롭게 유도하여 공랭 방열 면적을 확장하는 동시에 LED 조명 램프의 집적에서 슬림화된 설계가 가능하고 양산성과 제조 단가 그리고 가격 경제성 등이 고려된 LED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LED 조명 램프로서 여러 개의 LED 소자를 직렬 또는 병렬로 높은 밀도로 동일 평면상에 집적 배열하는 구조를 이용하여 광도 또는 휘도를 증가시키는 면 발광 방식(flood lighting)을 채택하는 조명 램프가 알려져 있다.
면 발광 방식을 포함한 LED소자를 이용하는 조명 램프는 LED 소자의 집적(integrate) 밀도가 높아질수록 구동 중 발생하는 열도 증가한다. 그에 따라 LED 소자의 광학 출력 특성 저하, 수명 단축, 효율 저하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고출력 고효율의 광학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방열이 필요하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5980호의 '방열 본체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 참조).
방열을 위해서 열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나 알루미늄과 같은 소재로 제작된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방열체를 사용하여 LED 등의 반도체 부품에서 발생하는 열을 대기 중으로 방열시키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고, 그 예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81262호의 LED 조명 램프용 히트 싱크로 제시되어 있다.
또한, 방열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방열체를 사방으로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성형하고 열 확산이 알루미늄에 비해 높으며 비중은 대략 35% 이상 낮고 가벼운 특성을 갖는 경금속계열 합금인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하여 다이캐스팅을 통해 방열체를 성형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9151호(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발광다이오드 조명 모듈'에 관한 것으로 LED 소자 단위의 방열에 효과적일 수 있으나 복수의 LED 소자들을 직렬 또는 병렬 상으로 집적도를 높여 면 광원 수단화 하는 경우 주변 소자 간 열전달 제어에는 한계가 따른다. 그리고 두께와 부피가 큰 방열체와 방열형 함체를 사용하므로 슬림화가 구조적으로 어렵고 방열 면적 확대에 따르는 무게도 증가 된다. 무게는 비싼 소재를 이용하면 단순 무게 증가에 대한 문제에 대처할 수 있지만 낮은 경제성이 문제로 되고 부피를 줄이는데도 한계가 따른다.
실질적으로 어느 정도의 집적도를 유지하는 조건으로 LED 소자 또는 모듈에 대한 직간접 방열과 모듈 간 열전달 제어는 고가의 방열 소재를 사용하거나 설계 변경을 통한 방열 표면적 증가를 통해 얼마든지 만족할 정도로 제어하고 방열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나, 이러한 기술들의 적용과 검토에서 채택 여부는 생산적인 면에서의 양산성, 제조 단가의 면, 가격 경제성 등이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따라서, 비싼 비용을 들여 LED 모듈의 방열 성능을 높이는 일은 이 분야 종사자라면 현재 또는 과거의 사례들을 종합하는 것만으로도 충족될 수 있으므로 이 분야 기술의 진보면에서 대안은 아니다.
본 발명 설명서로 첨부된 도면 도 1의 (a)(b)는,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 1의 도면 도 16을 인용한 도면으로서, 도면 설명 내용에 따르면, (a)는 LED 조명 모듈들을 이용하여 제조한 원형 반사갓을 갖는 투광등(예; 공장 및 고천정 고정등 등), (b)는 사각형 투광등(예; 운동장이나 골프장, 항구 및 무대 조명등)을 예시한 도면으로 설명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개개의 LED 조명 모듈(10)들에 대한 조명케이스(20) 처리와 관련된 구체적 개시는 없다.
다만, 그 두께는 LED 조명 모듈(10)의 방열을 위해 사용되는 방열체, 그리고 방열형 함체로 인해 상당한 정도로 증가 되고, 이는 슬림화 설계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측된다.
LED 조명 모듈의 집적도를 높여 케이싱 처리한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9084호(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방열장치가 구비된 엘이디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도 2 및 도 3과 같이, 다수의 LED 소자(30)들을 인쇄회로기판(40)에 집적도를 높여 집적하고, 외부방열판(50)이 형성된 조명케이스(20)로 케이싱 처리한 것이지만, 외부방열판(50)을 적용함으로서 전체 조명케이스(20) 두께(L1)가 증가 된다. 미설명 부호 '60'은 '마운팅 브라켓' 이다.
한편, 골프장이나 공연장 또는 운동 경기장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대한 집합 조명에 적합한 LED 조명 램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LED 조명 모듈들의 집적도를 높이면서도 가볍고 슬림화된 구조가 여러 면에서 유리하다. 무엇보다 방열을 충분히 하면서도 재료 사용량이 적어 싼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구조적으로 슬림화된 LED 조명 램프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요구와 수요에 착안하여 연구를 통해 옥외 집합 조명 시설, 예를 들면 조명 타워 시설물의 조명 램프로 유효하게 쓰일 수 있는 구체화된 LED 조명 램프를 개발하였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9151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9084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장이나 공연장 또는 운동 경기장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대한 집합 조명에 적합하고 대기 중 유동 공기 흐름을 자유롭게 유도하여 공랭 방열 면적이 확장된 LED 조명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LED 조명 램프의 집적에서 슬림화된 설계가 가능하고 양산성과 제조 단가 그리고 가격 경제성 등이 높은 LED 조명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박단소하면서도 LED 조명 모듈의 집적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조명 타워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갖는 LED 조명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LED 조명 램프의 제작에서 부품 공용화가 가능하고 다양한 사양과 형상의 LED 조명 램프를 비교적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장이나 공연장 또는 운동 경기장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대한 집합 조명에 적합하고 대기 중 유동 공기 흐름을 자유롭게 유도하여 공랭 방열 면적이 확장된 LED 조명 램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램프는,
다수의 LED 조명 모듈 소자들을 단위 그룹으로 통합 배치하여 구성되는 LED 조명 램프에 있어서,
구체적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1 개 이상 선택되는 LED 조명 모듈과;
상기 LED 조명 모듈을 인서트 하는 공간을 가지며, 그 공간들을 통해 LED 조명 모듈을 집적하는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의 공간들을 통과한 LED 조명 모듈을 다시 인서트 시켜 홀더링 하는 상기 공간들에 대응하는 공간들을 갖는 리어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집적 마스크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를 서로 이격시켜 결합하고, 그 이격된 갭을 방열공간으로 띄워 주고 유지하기 위해 연결부재로 연결된 프레임 구조의 방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LED 조명 램프는 거치용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용 브래킷은,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의 표면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힌지편을 가지는 적어도 1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지 브래킷과;
상기 지지 브래킷의 힌지편에 결합 되는 제1 힌지편 및 제2 힌지편을 가지는 체결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 브래킷은 상기 지지 브래킷과 힌지 결합 되는 제1 스윙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 브래킷의 제2 힌지편과 힌지 결합 되는 힌지편, 그리고 제2 스윙홈을 가지며,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으로 구성된다.
또한, LED 조명 모듈은,
상기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의 공간에 정착되는 광 조사면 그리고 그 광 조사면과 결합 되어 LED소자를 방열하고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의 공간에 끼워져 정착되는 히트 싱크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ED 조명 모듈들을 인서트 하여 집적하는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공간들은 LED 조명 모듈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의 형상은 원형판이거나, 또는 삼각, 사각 및 그 이상의 다각형 판들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 판들 중에서 선택된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 사이 갭을 전면적에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 그리고 리어 커버 플레이트 전면적에 대하여 고르게 분포하여 설치된 간격유지간;을 포함한다.
또한, 방열수단은, 양단이 끼울 수 있는 단부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 그리고 리어 커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면을 따라 밀착되는 상기 프레임;들,
상기 프레임들의 양단을 상기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면에 맞추어 끼울 수 있는 복수의 조립 구멍을 갖는 상기 연결부재;들, 그리고, 상기 프레임들을 층상으로 이격 되는 갭으로 벌어진 방열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을 적어도 1단 이상으로 분할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들은 무게 경감과 재료 사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워진 중공 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수의 LED 조명 모듈 소자들을 단위 그룹으로 통합 배치하여 구성되는 상기 LED 조명 램프들을 집합 단위 그룹으로 배열하여 LED 조명 램프 조립체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집적 마스크 플레이트 및 리어 커버 플레이트 그리고 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장자리 면을 대응 기준면으로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웃하는 다른 LED 조명 램프의 프레임들이 서로 방열공간으로 상통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골프장이나 공연장 또는 운동 경기장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대한 집합 조명에 적합하고 대기 중 유동 공기 흐름을 자유롭게 유도하여 공랭 방열 면적이 확장된 LED 조명 램프를 제공한다.
LED 조명 모듈의 집적도를 증가시키고 무게가 가볍고 슬림화되어 조명 타워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LED 조명 램프를 제공한다.
LED 조명 램프의 설계 및 제작에서 양산성과 제조 단가 그리고 가격 경제성 등이 높은 LED 조명 램프를 제공한다.
LED 조명 램프의 제작에서 부품 공용화가 가능하고 다양한 사양과 형상의 LED 조명 램프를 비교적 간단하게 제작하고 LED 조명 램프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공용화, 규격화가 가능하다.
골프장이나 공연장 또는 운동 경기장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에 대한 집합 조명에 적합한 고신뢰성 LED 조명 램프 조립체를 제공한다.
도 1의 (a)(b)는 LED 조명 램프 조립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원형 조립체, (b)는 사각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LED 조명 램프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의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모듈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의 주요 부분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브래킷이 부가된 LED 조명 램프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치용 브래킷 및 고정 브래킷이 부가된 LED 조명 램프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의 일측면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의 또 다른 일측면도 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의 거치용 브래킷을 발췌한 상세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의 프레임 구조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의 (a)(b)(c)는 연결부재에 형성하는 끼움 구멍의 위치에 따른 프레임 위치 각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의 유동공기 흐름 설명도이다.
도 16의 (a)(b)(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 조립체의 다양한 예로서,
(a)는 사각 LED 조명 램프 조립체,
(b)는 육각 LED 조명 램프 조립체,
(c)는 팔각 LED 조명 램프 조립체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100)는 도 4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LED 조명 모듈(110) 소자들을 단위 그룹으로 통합 배치하여 LED 조명 램프(100)로 구성된다.
주요 부분은, 구체적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1 개 이상 선택되는 LED 조명 모듈(110)이 선택 구성된다. LED 조명 모듈(110)은 인쇄회로기판 그리고 LED소자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4 내지 도 9에 표현된 도면은 LED 조명 램프(100)의 케이스를 구성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나타낸 것으로 LED소자의 방열을 위한 방열재 및 기타 관련구조는 생략되었는 바, 예를 들면 LED소자의 방열을 위한 방열판 및 그 결합 구조 그리고 전원공급을 위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제어를 위한 LED드라이버 등은 본 발명의 구성과 직접 관련이 없는 전장부품들로서 구체적 도면 및 설명은 생략되었다.
그리고, LED 조명 모듈(110)들을 인서트 하는 공간(120)들을 가지며, 그 공간(120)들을 통해 LED 조명 모듈(110)을 집적하는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가 구성된다.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는 면상에 복수의 LED 조명 모듈(110) 들을 발광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판상체로서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들에 배열된 LED 조명 모듈(110)들은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 표면 상으로 면 발광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그리고,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의 공간(120)들을 통과한 LED 조명 모듈(110)을 다시 인서트 시켜 홀더링 하는 상기 공간(120)들에 대응하는 공간(121)들을 갖는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가 구성된다.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는 LED 조명 모듈(110) 그리고 전장부품들의 뒷부분을 가려 주는 백커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낱개 상태의 LED 조명 모듈(110)의 뒷 부분을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는 부분이다.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 및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는 마그네슘을 포함한 경금속 합금, 또는 알루미늄, 그리고 열전도도와 가공성이 우수한 다양한 소재들 중에서 선택하여 판상체로 가공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성형 및 제작은 다이캐이스팅, 프레스 가공법 등을 사용 재료에 따라 선택하여 성형 제작 가능하다. 다만, 판상체로 제작되는 집적 마스크 플레이트(130)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는 용접 접합과 같은 영구 결합을 제외한 볼트 및 조인트 조립이 가능하도록 성형하거나 프레스 가공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집적 마스크 플레이트(130) 및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를 서로 이격시켜 결합하고, 그 이격된 갭(gap)을 방열공간(150)으로 띄워 주고 유지하기 위해 연결부재(160)로 연결된 프레임(170a)(170b) 구조의 방열수단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프레임(170a)(170b)들에 의해 그 사이가 갭으로 떨어져 방열공간(150)을 형성한 구체적인 예가 나타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LED 조명 램프(100)가 거치용 브래킷(180)을 더 포함한다.
거치용 브래킷(180)의 구조 및 구체적인 형상은 도면 도 7 내지 도 12에 나타나 있다.
주요 부분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표면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힌지편(182)을 가지는 적어도 1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지 브래킷(18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 브래킷(181)의 힌지편(182)에 결합 되는 제1 힌지편(183) 및 제2 힌지편(183a)을 가지는 체결 브래킷(18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체결 브래킷(184)은 지지 브래킷(181)과 힌지 결합 되는 제1 스윙홈(185)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체결 브래킷(184)의 제2 힌지편(183a)과 힌지 결합 되는 힌지편(186), 그리고 제2 스윙홈(187)을 가지며, 구조물(190)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188)으로 구성된다.
체결 브래킷(184)에 형성되는 제1 스윙홈(185)은 체결 브래킷(184)을 중심으로 지지 브래킷(181)의 힌지편(182) 각도 기울기가 일정한 회전각으로 회전 중심(189)을 축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에 따라 지지 브래킷(181)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는 제1 스윙홈(185)의 홈 형상에 대응하는 기울기 조정이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체결 브라켓(184)의 제1 스윙홈(185)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기울기 조정 축 방향은 이와 교차하는 상반되는 방향에서 기울기 조정 축 방향이 선택될 수 있다. 체결 브래킷(184)을 지지하는 고정 브래킷(188)의 힌지편(186)은 제2 스윙홈(187)에 결합 되어 있으므로 그 제2 스윙홈(187)이 형성된 축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면 지지 브래킷(181)에 설치된 LED 조명 램프(100)의 전체 기울기를 전자와는 다른 축 방향으로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지지 브래킷(181)의 힌지편(182), 체결 브래킷(184)의 힌지편(183)(183a)들, 및 고정 브래킷(188)의 힌지편(186) 들에는 모두 대응되는 회전 중심(189)을 형성하는 홀이 가공되어 있고, 이들 홀들을 중심으로 제1 스윙홈(185)과 제2 스윙홈(187)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중심(189)은 회전 가능한 볼트 등의 힌지축(189a)이 축 결합되고, 제1,2 스윙홈(185)(187)에는 힌지핀(189b)이 결합 된다. 그리고, 지지 브래킷(181)의 힌지편(182)과 체결 브래킷(184)의 제2 힌지편(183a)에 형성된 힌지홀(189) 주변부에는 힌지핀(189)이 결합 되는 핀홀(189c)이 형성된다.
또한, LED 조명 모듈(110)은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의 공간(120)에 정착되는 광 조사면(111)이 구성된다. 그리고, 광 조사면(111)과 결합 되어 LED소자를 방열하고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공간(121)에 끼워져 정착되는 히트 싱크체(112)로 구성된다. 광 조사면(111) 그리고 히트 싱크체(112)는 LED 조명 모듈(110)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또한, LED 조명 모듈(110)들을 인서트 하여 집적하는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공간(120)(121)은 LED 조명 모듈(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대응되는 공간(120)(121)의 형성을 통해 다수의 LED 조명 모듈(110)을 단위 그룹으로 통과시켜 지지하는 동시에 구조적으로 개개의 LED 조명 모듈(110)에 대한 흔들림과 유동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뚫은 구멍이며, 이들은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 그리고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를 판상체로 제작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가공 없이 프레스 가공, 또는 다이캐스팅 성형을 통해 일회의 처리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형상은 원형판이거나, 또는 삼각, 사각 및 그 이상의 다각형 판들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 판들 중에서 선택된 판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 사이 갭을 전면적에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 그리고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 전면적에 대하여 고르게 분포하여 설치된 간격유지간(200)을 포함한다.
또한, 방열수단은, 도 13에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양단이 끼울 수 있는 단부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 그리고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가장자리 면을 따라 밀착되는 프레임(170a)(170b)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70a)(170b)들의 양단을 상기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가장자리 면에 맞추어 끼울 수 있는 복수의 조립 구멍(161)을 갖는 연결부재(160)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70a)(170b)들을 층상으로 이격 되는 갭으로 벌어진 방열공간(150)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레임(170a)(170b)을 적어도 1단 이상으로 분할하여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170a)(170b)들은 내부가 비워진 중공(171a)(171b) 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이 차여져 있는 봉 또는 막대 프레임 등에 비해 중공(171a)(171b) 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집합 단위로 고공 설치하는 조명시설물 설치에서 전체 중량을 감량하여 지주 강도 설계에 유리한 조건으로 반영될 수 있고, 재료 사용량을 줄여 원가 절감에 기여한다. 이것은 다른 어떤 대체 형상에 비해 유리한 조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LED 조명 램프의 가장자리 주위를 모두 에워쌓는 형식에 비해 무게 경량화에 더 유리하다. 통상 이 경우는 방열을 위해 케이스 자체를 방열체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방열수단으로 적용된 프레임(170a)(170b)들은 도면 도 13을 참조하면 2단 복층으로 구성하여 그 사이 간격(L2)을 방열공간(150)으로 구성한 예로 나타나 있으나 이것은 2.3..등의 다층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층이 증가할수록 슬림화에 불리하므로 전체 방열 면적과 규모 그리고 방열 성능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층을 선택하여 구성한다. 평균적으로 가로세로 300×300(mm) LED 조명 램프(100) 사이즈 규모에서 슬림화에 유리한 2단 복층으로 만족할 만한 방열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방열수단으로 적용된 프레임(170a)(170b)들은 연결부재(160)를 통해 결합된다. 연결부재(160)는 여러 개의 프레임(170a)(170b)들 사이에 위치하여 프레임(170a)(170b)들을 연속적으로 연결 결합하는데, 도면 도 13을 참조하면, 프레임(170a)(170b)들이 연결부재(160)에 형성된 끼움 구멍(161)에 끼워져 결합 되는 구조로 나타나 있고, 도 14의 (a)(b)(c)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60)에 형성하는 끼움 구멍(161)의 위치에 따라 프레임(170a)(170a)들의 위치 각도가 달라지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14의 (a)는 끼움 구멍(161)이 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은 스트레이트 형의 예로서 프레임(170a)(170b)의 위치 각도가 없고 직선적으로 나타난다. (b)는 끼움 구멍(161)이 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θ1의 각으로 기울기를 갖는 것으로 프레임(170a)(170b)이 θ1의 위치 각도를 갖는다. (c)는 끼움 구멍(161)이 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θ2의 각으로 기울기를 갖는 것으로 프레임(170a)(170b)이 θ2의 위치 각도를 갖는다.
따라서, 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프레임(170a)(170b)들을 연결하여 LED 조명 램프(100)를 제작하는 경우 사전에 연결부재(160)의 끼움 구멍(161)의 위치 각도를 계산하여 프레임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각, 오각, 육각, 팔각...등의 다양한 형상의 LED 조명 램프(100)를 제작할 수 있다. 도면에는 팔각형 형상의 LED 조명 램프(100)를 제작한 예로 나타나 있으며, 어느 경우에서나 프레임(170a)(170b)의 2단 복층 구조 적용을 통한 방열공간(150)의 확보가 가능하다. 방열공간(150)은 구체적으로 도 15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램프 조립체(300)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LED 조명 모듈(110) 소자들을 단위 그룹으로 통합 배치하여 구성되는 상기 LED 조명 램프(100)들을 집합 단위 그룹으로 배열하여 LED 조명 램프 조립체(3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집적 마스크 플레이트(130) 및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 그리고 프레임(170a)(170b) 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장자리 면을 대응 기준면으로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웃하는 다른 LED 조명 램프(100)의 프레임(170a)(170b)들이 서로 방열공간(150)으로 상통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LED 조명 램프 조립체(300)로 구성된다.
도 16의 (a)(b)(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램프 조립체의 다양한 예이다. (a)는 사각 LED 조명 램프 조립체이고, (b)는 육각 LED 조명 램프 조립체이며, (c)는 팔각 LED 조명 램프 조립체이다. 각각 다양한 구조 형상의 LED 조명 램프(100)를 제작하여 구조물에 집합으로 통합되는 조명 시설 또는 조명 타워용 등으로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으며, LED 조명 램프(100)들은 방열공간(150)을 가지고 있어 이웃하는 다른 LED 조명 램프(100)들과 a1, a2, a3, a4, a5 방향으로의 자유로운 공기통풍 및 유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미설명 부호 '181a'는 떨어져 있는 지지 브래킷을 연결하는 '연결 브래킷'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램프(100) 그리고 그 조립체(300)의 작용효과를 도면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램프(100)를 구성하는 프레임(170a)(170)들의 간격 'L2'을 통한 방열공간(150)의 형성 예로서 유동공기 'a'가 방열공간(150)을 자유롭게 유동하는 예이다.
여기서, 간격 'L2'는 슬림화와 관련되는 것으로 'L2'의 간격이 넓으면 방열면적이 확대되지만 그 만큼 두께는 증가하여 슬림화에 역행한다. 따라서 간격 L2는 전체 LED 조명 램프(100)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든 조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LED 조명 램프(100), 즉 LED 조명 모듈(110) 의 케이싱을 구현하는 프레임(170a)(170b)을 분할 구조로 구성하고 그 분할된 공간이 방열공간(150)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방열체의 비대화를 막으면서 자연 통풍에 의한 방열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열 성능을 좋게 하는 것은 비싼 재료의 사용과 방열체의 적절한 채택과 적용으로 얼마든지 방열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LED조명 모듈(110)을 그룹화하여 LED 조명 램프(100)로 제작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케이스 처리 부분을 이용하여 별도의 방열체 적용을 통하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인 방열성능을 얻게 된다.
프레임(170a)(170b)들의 다층 배열 구조를 통한 방열공간(150)의 형성에 있어서 프레임들의 연결 형상 및 위치 각도 등은 연결부재(160)의 끼움 구멍(161) 각도 설계에 따라 얼마 든지 자유롭게 구체화된다.
도 14에는 연결부재를 통한 프레임의 연결 각도 배치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4의 (a)는 끼움 구멍(161)이 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은 스트레이트 형의 예로서 프레임(170a)(170b)의 위치 각도가 없고 직선적으로 나타난다. (b)는 끼움 구멍(161)이 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θ1의 각으로 기울기를 갖는 것으로 프레임(170a)(170b)이 θ1의 위치 각도를 갖는다. (c)는 끼움 구멍(161)이 연결부재(160)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θ2의 각으로 기울기를 갖는 것으로 프레임(170a)(170b)이 θ2의 위치 각도를 갖는다.
따라서, 여러 가지 사양의 LED 조명 램프(100)를 연결부재(160) 및 프레임(170a)(170b) 길이 조절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것은 용접 작업에 의한 케이스의 조립, 또는 방열을 위해서 케이스 전체를 방열체로 성형하는데 따른 무게 및 두께 증가, 그리고 제작 원가가 비싸지는 문제를 개선한다.
모든 부품들의 부분별 공용화가 가능하므로 LED 조명 램프(100)의 사양 변경에 따른 신속한 대응 제작이 가능하며, 새로운 부품 개발과 적용 그리고, 설계 등에서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는데, 특히 저렴하면서도 열전도도가 우수하고 경금속으로 분류되는 알루미늄 소재를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소재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제작에서는 프레스 가공에 의한 일괄 공정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 및 제작이 가능하다.
소재 선택의 폭을 넓혀 무게 경량화가 가능하고, 프레임 자체 구조를 통한 방열공간(150)의 확보를 통해 슬림하가 가능하며, 별도의 통합된 방열체가 불필요해지므로 부피를 줄이면서도 소형화도 가능하다.
또한, LED 조명 램프(100)를 모아서 집합체로 구성하여 조명타워, 조명시설 등으로 사용하는 조립체로 제작하는 경우, LED 조명 모듈(110)의 고집적 조건에서도 경량화, 슬림화, 부피 감소를 통한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골프장, 운동경기장 시설 등의 고공 조명타워용으로 적합하게 쓰일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개의 LED 조명 램프(100)들을 모아서 조명시설에 사용되는 조립체(300)로 구성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유동 되는 외기 a1,a2,a3,a4들이 프레임(170a)(170b)의 방열공간(150)을 통해 자유롭게 유동 되고, 이렇게 프레임(170a)(170b)의 방열공간(150) 안으로 유입된 유동공기 'a5' 들은 서로 이웃하는 다른 프레임(170a)(170b)들의 방열공간(150)을 통해 자유롭게 유동하면서 LED 소자로부터 발생 되는 열을 유동공기로 냉각시킨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되는 LED 조명 램프(100)들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하여 조립체(300)로 제작한 예로서, LED 조명 램프(100)의 경박단소화를 통해 LED 소자들을 고밀도로 집적한 고휘도 고선명 면 발광 조립체(300)를 보다 유리하게 설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LED 조명 램프
110: LED 조명 모듈
111: 광 조사면
112: 히트 싱크체
120.121: 공간
130: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
140: 리어 커버 플레이트
150: 방열공간
160: 연결부재
161: 조립 구멍
170a.170b: 프레임
171a.171b: 중공
180: 거치용 브래킷
181: 지지 브래킷
182: 힌지편
183: 제1 힌지편(183)
183a: 제2 힌지편
184: 체결 브래킷
185: 제1 스윙홈
186: 힌지편
187: 제2 스윙홈
188: 고정 브래킷
190: 구조물
200: 간격유지간
300: LED 조명 램프 조립체

Claims (10)

  1. 다수의 LED 조명 모듈(110) 소자들을 단위 그룹으로 통합 배치하여 구성되는 LED 조명 램프(100)에 있어서,
    구체적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1 개 이상 선택되는 LED 조명 모듈(110)과;
    상기 LED 조명 모듈(110)들을 인서트 하는 공간(120)들을 가지며, 그 공간(120)들을 통해 LED 조명 모듈(110)을 집적하는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와;
    상기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의 공간(120)들을 통과한 LED 조명 모듈(110)을 다시 인서트 시켜 홀더링 하는 상기 공간(120)들에 대응하는 공간(121)들을 갖는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 및
    상기 집적 마스크 플레이트(130), 그리고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를 이격시켜 결합하고, 그 이격된 갭을 방열공간(150)으로 띄워 주고 유지하기 위해 연결부재(160)로 연결된 프레임(170a)(170b) 구조의 방열수단;을 포함하는 LED 조명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 램프(100)는 거치용 브래킷(180)을 더 포함하는 LED 조명 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용 브래킷(180)은,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표면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힌지편(182)을 가지는 적어도 1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지 브래킷(181)과;
    상기 지지 브래킷(181)의 힌지편(182)에 결합 되는 제1 힌지편(183) 및 제2 힌지편(183a)을 가지는 체결 브래킷(18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 브래킷(184)은 상기 지지 브래킷(181)과 힌지 결합 되는 제1 스윙홈(185)으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 브래킷(184)의 제2 힌지편(183a)과 힌지 결합 되는 힌지편(186), 그리고 제2 스윙홈(187)을 가지며, 구조물(190)에 고정되는 고정 브래킷(188)으로 구성된 LED 조명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 모듈(110)은,
    상기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의 공간(120)에 정착되는 광 조사면(111); 그리고 그 광 조사면(111)과 결합 되어 LED소자를 방열하고 상기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공간(121)에 끼워져 정착되는 히트 싱크체(112);로 구성된 LED 조명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 모듈(110)들을 인서트 하여 집적하는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공간(120)(121)은 LED 조명 모듈(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형상은 원형판이거나, 또는 삼각, 사각 및 그 이상의 다각형 판들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각형 판들 중에서 선택된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LED 조명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 사이 갭을 전면적에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집적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 그리고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 전면적에 대하여 고르게 분포하여 설치된 간격유지간(200);을 포함하는 LED 조명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수단은,
    양단이 끼울 수 있는 단부를 가지며 상기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 그리고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가장자리 면을 따라 밀착되는 상기 프레임(170a)(170b);들,
    상기 프레임(170a)(170b)들의 양단을 상기 마스크 커버 플레이트(130)와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의 가장자리 면에 맞추어 끼울 수 있는 복수의 조립 구멍(161)을 갖는 상기 연결부재(160);들,
    그리고, 상기 프레임(170a)(170b)들을 층상으로 이격 되는 갭으로 벌어진 방열공간(15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70a)(170b)을 적어도 1단 이상으로 분할하여 구성된 LED 조명 램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70a)(170b)들은 무게 경감과 재료 사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내부가 비워진 중공(171a)(171b) 상으로 형성된 LED 조명 램프.
  10. 제 1 항,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LED 조명 램프에 있어서,
    다수의 LED 조명 모듈(110) 소자들을 단위 그룹으로 통합 배치하여 구성되는 상기 LED 조명 램프(100)들을 집합 단위 그룹으로 배열하여 LED 조명 램프 조립체(300)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집적 마스크 플레이트(130) 및 리어 커버 플레이트(140) 그리고 프레임(170a)(170b)들에 의해 형성되는 가장자리 면을 대응 기준면으로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이웃하는 다른 LED 조명 램프(100)의 프레임(170a)(170b)들이 서로 방열공간(150)으로 상통하도록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조립된 LED 조명 램프.
KR1020130036512A 2013-04-03 2013-04-03 Led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 KR101438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512A KR101438140B1 (ko) 2013-04-03 2013-04-03 Led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512A KR101438140B1 (ko) 2013-04-03 2013-04-03 Led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140B1 true KR101438140B1 (ko) 2014-09-12

Family

ID=51759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512A KR101438140B1 (ko) 2013-04-03 2013-04-03 Led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1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502A (ko) 2014-12-11 2016-06-22 주식회사 덴티스 의료용 led 조명등 모듈의 지지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하는 led 조명등
CN115064090A (zh) * 2022-06-24 2022-09-16 深圳雷曼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模组及显示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98B1 (ko) 2009-11-03 2010-03-15 주식회사 월드조명 방열 본체를 이용한 led 조명 기구
KR100951553B1 (ko) 2010-01-25 2010-04-09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선형의 방열부재가 구비된 캐노피 등
JP2010218852A (ja) 2009-03-16 2010-09-30 Chen Gaoshan Ledライト用散熱器のモジュール構造
KR100989037B1 (ko) 2010-03-19 2010-11-03 지에스에스(주) 엘이디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18852A (ja) 2009-03-16 2010-09-30 Chen Gaoshan Ledライト用散熱器のモジュール構造
KR100947598B1 (ko) 2009-11-03 2010-03-15 주식회사 월드조명 방열 본체를 이용한 led 조명 기구
KR100951553B1 (ko) 2010-01-25 2010-04-09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선형의 방열부재가 구비된 캐노피 등
KR100989037B1 (ko) 2010-03-19 2010-11-03 지에스에스(주) 엘이디 조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1502A (ko) 2014-12-11 2016-06-22 주식회사 덴티스 의료용 led 조명등 모듈의 지지 프레임 및 이를 사용하는 led 조명등
CN115064090A (zh) * 2022-06-24 2022-09-16 深圳雷曼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模组及显示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724B2 (en)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array
US9982879B2 (en)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odule sections interlocked in a circular fashion
US7841740B2 (en) LED assembly for LED lamp consisting of multiple LED units each having a heat sink
US9194568B2 (en) Lighting unit and lighting device
US10962215B2 (en) Active radiator with omnidirectional air convection and stage lighting fixture using the same
KR100879716B1 (ko) 선형(線型)방열부재를 구비한 방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무팬(無 fan) 엘이디 조명기구
JP3966845B2 (ja) Led照明装置
JP2011146646A (ja) Ledユニット
US20130250574A1 (en) Lighting unit and lighting device
KR101300013B1 (ko) 엘이디 조명 램프
KR101034482B1 (ko) 등기구
KR101106273B1 (ko) 블록 조립 구조를 갖는 led 조명장치
US10309621B2 (en) Automobile LED headlamp
US9752770B2 (en) Light-emitting diode light fixture with channel-type heat dissipation system
KR101438140B1 (ko) Led 조명 램프 및 그 조립체
JP2017041328A (ja) 支柱枠組、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の製造方法
JP4944221B2 (ja) 多段層基板によって達成されかつ熱を即座に放散するledランプ
JP3162475U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WO2022152247A1 (zh) 一种led照明设备
JP2017041326A (ja) 支柱枠組、照明器具、及び、照明器具の製造方法
JP6433016B2 (ja) 大光量led投光器
JP7396003B2 (ja) 照明装置
KR101239836B1 (ko) 공랭식 방열수단을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20120043330A (ko) 엘이디 조명 램프용 히트싱크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 램프
JP6397339B2 (ja) Led照明用放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