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096B1 -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 Google Patents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096B1
KR101438096B1 KR1020130128741A KR20130128741A KR101438096B1 KR 101438096 B1 KR101438096 B1 KR 101438096B1 KR 1020130128741 A KR1020130128741 A KR 1020130128741A KR 20130128741 A KR20130128741 A KR 20130128741A KR 101438096 B1 KR101438096 B1 KR 101438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axis conductor
conductor cells
conducto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417A (ko
Inventor
칭-양 창
순-타 치엔
후아 딩
리 양
Original Assignee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444,849 external-priority patent/US8610689B2/en
Application filed by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즈 (씨아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2Layout
    • H01L2224/49171Fan-out arrangements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이다.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 및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은 기판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는 제1 축 전도 라인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의 표면 상에 절연체가 형성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는 제2 축 전도 라인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은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 상에 배치되는 절연체를 가로질러 확장한다.

Description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CONDUCTOR PATTERN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 패널 장치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허출원 10-2012-0039545호의 분할출원이다.
터치 패널들은 가전 제품, 통신, 및 전자적 정보 응용의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어 왔다. 터치 패널의 일반적인 응용에 대한 예는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전기 기기, 또는 게임기, 등의 입력 인터페이스이다. 터치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통합이라는 현재의 동향은 PDA, 전기 기기 또는 게임기, 등에서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패널 상에 보여지는 제어 아이콘을 포인팅하기(point) 위해 사용자가 그의 또는 그녀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터치 패널은 또한 공공을 위해 효율적인 작동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공공 정보 질의 시스템에 적용된다.
종래의 터치 패널은 입력 및 제어를 초래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의 터치와 관련된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구역이 분포되는 표면을 갖는 기판을 포함한다. 감지 구역들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과 같은 투명 전도성 막들로 구성되고, 그로 인하여 사용자는 장치의 작동을 가져오기 위해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지는 특정 위치에 상응하는 투명 전도 막을 터치할 수 있다.
가장 흔히 알려진 터치 패널들의 형태들은 저항식 패널, 정전용량식 패널, 적외선 감지 패널, 전자기 감지 패널, 및 음파(sonic) 감지 패널을 포함한다.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은 그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가 식별될 수 있는 전류를 유도하기 위해 투명 전극과 인체의 정전기 사이에서 야기되는 정전용량에서의 변화를 이용한다.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은 약간의 투명성, 견고성, 정확성, 응답 시간, 터치 사이클들, 작동 온도, 및 구동력(initiation force)에서 유리하고 따라서 현재 가장 흔히 사용된다.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가 터치 패널을 터치하는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일례로 미국 특허 제6,970,160호가 있는데, 이는 터치 감지 표면 상의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격자 터치 감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격자 터치 감지 시스템은 절연 물질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정전용량식 감지 층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층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전도 소자들로 구성되고, 2개의 감지 층들의 전도 소자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직각이다. 각각의 소자는 좁은 전도성 직사각형 스트립들(strips)과 함께 연결되는 일련의 다이아몬드 형태의 패치들(patches)을 포함할 수 있다. 주어진 감지 층에 대한 각각의 전도 소자는 일 또는 양 말단들에서 상응하는 리드 라인들의 셋트의 리드 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표면 상에 터치가 발생될 때 센서 소자들에 의해 발생되는 감지 신호들을 수신하고, 각각의 층에서 영향을 받은 바들(bars)의 위치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응하는 리드 라인들의 셋트를 통해 전도 소자들의 양 셋트에 여기 신호(excitation signal)를 제공하도록 제어 회로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4,233,522호는 터치 감지 스위치 셀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정정용량식 터치 패널을 개시한다. 각각의 스위치 셀은 공통 신호원에 의해 동력이 공급되는 연결된 커패시터들(capacitors)의 제1 및 제2 쌍의 연속을 포함하는데, 스위치 셀들의 어레이는 커패시터들의 제1 쌍이 행들(rows)과 같은 스위치 셀들의 제1 그룹들에서 상응하는 제1 복수의 신호 검출기들에 연결되고, 커패시트들의 제2 쌍이 열들(columns)과 같은 스위치 셀들의 제2 그룹들에서 상응하는 제2 복수의 신호 검출기들에 연결되도록 배열되며, 단일 스위치 셀의 각각의 커패시터들의 쌍의 교차점들(junctions)은 본체(body) 또는 선택된 스위치 셀들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른 터치 정전용량식 수단에 의해 그라운드(ground)에 선택적으로 커플링(couple)된다.
미국 특허 제4,733,222호는 전극들의 어레이, 구동 라인들의 어레이, 구동 신호 발생기, 및 감지 라인들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정전용량 변화 감지 터치 감지 어레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각각의 전극은 전도성 탭들(tabs)의 연속에 연결되고 전극 어레이의 행 또는 열을 형성한다. 각각의 구동 라인은 복수의 전극들에 정전용량성으로 커플링된다. 구동 신호 발생기는 구동 라인들로 교류 신호 패킷들(alternating signal packets)을 발생시키고 인가하다. 구동 신호들이 구동 라인들에 인가될 때 전극들로부터 신호들이 얻어지도록 감지 라인은 복수의 전극들에 정전용량성으로 커플링된다. 전극들의 수는 구동 라인들의 수와 감지 라인들의 수의 곱과 동일하다. 감지 라인들 상의 신호들로부터 얻어지는 값들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작동자에 의한 터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미국 특허 제5,880,411호는 터치 센서 패드 상에서 전도성 물체의 의해 생기는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을 개시한다. 터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호스트의 제어 회로로 신호들이 보내진다. 미국 특허 제6,414,671호 및 제5,374,787호는 동일한 기술을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7,030,860호는 특히 전자 장치들의 입력에 매우 적합한 투명한, 정전용량식 감지 시스템을 개시한다. 정전용량식 센서는 나아가, 특히 디스플레이 위의 손가락 위치 및 접촉 지역을 감지하기 위해 LCD 스크린처럼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에 위치된다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의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459,463호는 검출 지역에 가까이 위치한 물체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투명 키보드를 개시한다. 상기 장치는 서로 그리고 검출 지역에 평행하게 확장하는 라인들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되는 검출 구역들의 제1 셋트, 상기 라인들에 직각으로 확장하는 열들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 검출 구역들의 제2 셋트, 상기 라인들 및 열들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스캐닝 장치, 및 스캐닝 장치로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미국 특허 제6,498,590호는 안테나들이 형성되는 표면을 포함하는 다중 사용자 터치 시스템을 개시한다. 송신기(transmitter)는 각각의 안테나에 유일하게 식별가능한 신호들을 송신한다. 수신기들(receivers)은 서로 다른 사용자들에게 정전용량성으로 커플링되고, 수신기들은 유일하게 식별가능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그리고 나서 다중 사용자들이 안테나들 중 어느 것을 동시에 터치할 때 특정 안테나를 특정 사용자와 결합시킨다.
미국 특허 제5,847,690호는 통합 디스플레이 및 감지 장치를 개시하는데, 이는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소자들을 통합시킨다.
상기에서 기술된 모든 선행 기술 참고문헌들은 터치 패널 상에서의 사용자 터치를 검출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모두 터치 감지 소자들의 구조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알려진 장치들은 모두 층들 사이의 정전용량성 효과를 가져오기 위해 절연 물질로 서로에게서 이격되는 2개의 정전용량 감지 층들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는 패널의 구조를 매우 두껍게 하고 따라서 소형화라는 추세에 반대된다. 또한, 종래의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은 각각 2개의 정전용량 감지 층들이 형성되는 양 표면들 상의 기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점에서, 비아들(vias)로 역할하기 위해 기판 상에 관통 홀들(through holes)이 형성되어야 하고 감지 층들의 전도체 소자들을 제대로 연결하도록 회로 적층(circuit layering)이 사용되어야한다. 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제조를 복잡하게 한다.
그러므로, 종래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들의 상기 단점들을 극복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이 있을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얇은 전도체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 및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전도체 어셈블리는 전도 라인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도체 셀들로 구성되고, 여기서 서로 다른 축들에서 확장하는 전도 라인들은 절연층에 의해 서로에게서 분리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둘 다 전도성 라인들에 의해 연결되는 전도체 셀들을 포함하는,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 및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로 구성되는 전도체 패턴 구조를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도체 셀들 및 전도 라인들이 일반적인 투명 전도체 층을 제조하기 위한 알려진 프로세스들에 의해 기판의 동일 표면 상에 형성되며, 그로 인해 사용자가 터치 패널의 표면을 터치할 때,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 및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은 그것의 인접한 전도체 셀들 사이의 정전용량 효과를 유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에서 논의된 종래의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들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에는 전도체 패턴 구조가 기판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는 점이 있으며, 서로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들로 확장되고 각각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 및 제2 축 전도체 셀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 및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을 포함하고, 제1 축 전도 라인들 및 제2 축 전도 라인들은 각각 제1 축을 따라 제1 축 전도체들을 그리고 제2 축을 따라 제2 축 전도체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여기서 관련된 제2 축 전도 라인으로부터 제1 축 전도 라인을 분리하기 위해 각각의 제1 축 전도 라인의 표면을 덮도록(cover) 절연층이 제공된다. 제1 축 전도체 셀들 및 제2 축 전도체 셀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고, 상기 기판은 강성 기판(rigid substrate)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 및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이 기판의 동일한 표면 상에 형성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하고 구조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서로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의 전도체 셀들 및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의 전도체 셀들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놓여진 인접한 전도체 셀들의 지역에 응하여, 정전용량 변화 신호가 유도되고, 그리고 나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패널을 터치하는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제어 회로에 인가된다. 전도체 패턴 구조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 및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은 일반적인 회로 배치(laying) 기술에 의해 기판의 오직 하나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통과 비율(high passing rate)을 갖는 간단한 프로세스 및 낮은 비용으로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의 일부분에 대한 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3-3 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4-4 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물리적으로 접하는(engaging) 지점을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서로 다른 지점을 도시하며;
도 7은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 제1 축 전도 라인들, 신호 전송 라인들, 및 제2 축 전도체 셀들이 형성되는 기판의 표면에 대한 도식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도 7의 단계 이후에, 각각의 제1 축 전도 라인들의 표면을 덮기 위해 절연층이 형성되는 기판 표면에 대한 도식도를 도시하며;
도 9는, 도 8의 단계 이후에, 동일한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의 각각의 쌍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제2 축 전도 라인이 형성되는 기판 표면에 대한 도식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전도체 패턴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에 대한 도식도이다.
도면들 특히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12로 지정되며, 기판(1)의 표면(11) 상에 형성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의 일부분에 대한 투시도를 도시한다. 전도체 패턴 구조(12)는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로 불려질, 제1 축을 따라 확장하는 복수의 전도체 어셈블리들(13), 및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로 불려질, 제2 축을 따라 확장하는 복수의 전도체 어셈블리들(14)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3)은 다른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3)에 평행하고,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4)은 다른 제2 축 어셈블리들(14)에 평행한다.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3)은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4)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그러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3)과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4)은 직각(right angle) 이외인 그들 사이의 끼인각(included angle)으로 기판(1)의 표면(11) 상에 배열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13)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기판(1)의 표면(11) 상에, 도면에서 "X"로 표기되는, 제1 축을 따라 줄을 이루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131)로 구성되고, 배치 구역(15)은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3)과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131) 사이로 범위가 정해진다. 제1 축(X)을 따라 제1 축 전도체 셀들(131)이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13)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축 전도 라인(132)은 제1 축(X)을 따라 위치되는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131) 사이를 연결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제1 축 어셈블리(13)의 제1 축 전도체 셀들(131)은 제1 축 전도 라인들(132)에 의해 직렬로 함께 연결된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13)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어 회로(둘 다 도시되지 않음)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 라인(16a)에 더 연결된다.
각각의 전도 라인들(132)은 전기적 절연 특징을 포함하는 물질, 바람직하게는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와 같은 투명 절연 물질로 구성되는 절연 덮개층(17)에 의해 덮여지는 표면(133)을 갖는다.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14)는, 기판(1)의 표면(11) 상에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도면들에서 "Y"로 표기되는, 제2 축을 따라 줄을 이루는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141)로 구성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셀(141)은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셀 배치 구역(15)에 설정된다.
제2 축 전도 라인(142)은 동일한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14)의 제2 축 전도체 셀들(141)이 서로 연결되도록 제2 축(Y)을 따라 위치되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141) 사이를 연결하고 각각의 절연층(17)의 표면에 위로 표면을 가로질러 확장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14)의 제2 축 전도체 셀들(141)은 제2 축 전도체 라인들(142)에 의해 직렬로 함께 연결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14)는 제어 회로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 라인(16b)에 더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는 도 2의 3-3 선에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2의 4-4 선에 따르는 단면도를 도시하며, 제1 축 전도체 셀들(131), 제1 축 전도 라인들(132), 제2 축 전도체 셀들(141), 및 제2 축 전도 라인들(142)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절연층(17)은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141)을 연결하는 제2 축 전도 라인들(142)이 공통으로 절연되는 방식으로 각각 제1 축 전도 라인(132)을 가로질러 확장하도록 각각의 제1 축 전도 라인(132)과 제2 축 전도 라인(142) 사이에 배치된다.
기판(1)은 유리 기판과 같은 강성 기판일 수 있고,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3)과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4), 및 제1 축과 제2 축 전도 라인들(132, 142)은 ITO 전도성 필름과 같은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축 전도체 셀들(131) 및 제2 축 전도체 셀들(141)은 실질적으로 6각형의 기하학적 윤곽의 형태이다. 전도체 셀들(131, 141)이 효과적인 전도체 표면의 최적 분포를 가져오기 위해 다른 기하학적 윤곽들의 형태들이 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물리적으로 접하는 지점을 보여주고, 도 6은 본 발명의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하는 서로 다른 지점을 보여준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 상에서, "A"로 표기되는, 접촉 지역(지점)을 터치하기 위해 그의 또는 그녀의 손가락을 얹으면, 접촉 지역(A)에 의해 덮여지는,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13)의 제1 축 전도체 셀(131) 및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14)의 제2 축 전도체 셀(141)은 그들 사이의 커패시터 효과(capacitor effect)를 유도하고 그에 따라 야기되는 신호가 제어 회로에 신호 전송 라인들(16a, 16b)을 통해 전송된다. 제어 회로는 그리고 나서 기판(1)의 표면(11) 상의 어느 지점에 접촉 지역(A)이 설정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접촉 지역(B)으로 그의 또는 그녀의 손가락을 움직일 때, 접촉 지역(B)에 의해 덮여지는,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13)의 제1 축 전도체 셀(131) 및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14)의 제2 축 전도체 셀(141)은 그들 사이의 커패시터 효과를 유도하고, 제어 회로로 신호 전송 라인들(16a, 16b)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유도하는 변화가 발생한다. 제어 회로는 그리고 나서 기판(1)의 표면(11) 상의 어느 지점에 접촉 지역(B)이 설정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제조 단계들을 보여주는 도식적인 설계도들로, 여기서 도 7은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131), 제1 축 전도 라인들(132), 신호 전송 라인들(16a, 16b) 및 제2 축 전도체 셀들(141)이 방금 형성된 기판의 표면에 대한 도식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7의 단계 이후에 각각의 제1 축 전도 라인(132)의 표면을 덮기 위해 절연 덮개층(17)이 형성되는 기판 표면에 대한 도식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의 제조를 완료하도록, 도 8의 단계 이후에, 동일한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141)의 각각의 쌍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제2 축 전도 라인(142)이 형성되는 기판 표면에 대한 도식도를 도시한다.
전도체 패턴 구조(12)의 제조는 식각(etching), 스퍼터링(sputtering), 및 스크린 인쇄(screen printing)와 같은 임의의 알려진 기술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전도체 패턴 구조의 제조에 대한 예로써 식각이 수행된다. 우선, 일례로 ITO 투명 전도성 필름인 전도체 필름이 세정된 기판(1)의 표면(11) 상에 형성된다. 그 후에, 식각 마스크 인쇄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스크린 인쇄가 이용된다.
식각 마스크 인쇄 프로세스 이후에, 식각이 표면(11) 상에서 수행되며, 필름 스트리핑(stripping)이 뒤따른다. 따라서, 모두 투명하고 전기적을 전도성이 있는,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3)의 제1 축 전도체 셀들(131), 제1 전도 라인들(132), 및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4)의 제2 축 전도체 셀들(141)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표면(11) 상에 형성된다. 이 시점에서, 동일한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3)의 모든 제1 축 전도체 셀들(131)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3)은 복수의 신호 전송 라인들(16a)에 더 연결된다.
그 후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축 전도 라인(132)의 표면(133)을 덮기 위해 절연 덮개층(17)이 적용된다. 그리고 나서, 제2 축 전도 라인들(142)의 위치들을 정하기 위해 인쇄 기술을 이용하여 마스크가 형성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축(Y)을 따라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141)이 각각의 절연층(17)의 표면에 위로 가로질러 확장하는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142)을 이용하여 제2 축 전도 라인들(142)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제2 축 전도 라인들(142)을 형성하기 위해 투명 전도층의 적용이 뒤따른다. 일단 상기 단계가 완료되면, 동일한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4)의 모든 제2 축 전도체 셀들(141)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4)은 신호 전송 라인들(16b)에 연결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식각 기술이 기판 표면 상에 전도체 셀들 및 전도 라인들을 형성하기 위해 쓰일 때, 전도체 패턴 구조를 유사하게 형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식각 마스크들에 의해 정해지는 식각 지역들에 서로 다른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식각 단계에서, 오직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3)의 제1 축 전도체 셀들(131) 및 제1 축 전도 라인들(132)만이 기판 표면(11) 상에 형성되고,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14)의 제2 축 전도체 셀들(141)은 형성되지 않는다. 그 후에, 관련된 절연층들(17)의 표면들에 위로 가로질러 확장하는 제2 층 전도 라인들(142)을 갖는, 기판 표면(11) 상에 제2 축 전도체 셀들(141) 및 제2 축 전도 라인들(142)을 형성하기 위해 동일한 식각 기술이 다시 쓰인다.
이전에 논의된 실시예에서, 제1 축 전도체 셀들 및 제2 축 전도체 셀들은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어레이 형태로 기판 상에 각각 형성된다. 동일한 원리에 기초하여, 소수의 전도체 셀들이 또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개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써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2개의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31, 32)이 기판(2)의 표면(21) 상에 형성되고 신호 전송 라인(34)은 전도체 셀(32)에 연결된다. 제1 축 전도 라인(33)은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31, 32) 사이를 연결한다. 절연층(4)은 제1 축 전도 라인(33)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축을 따라, 제1 축 전도체 셀들(31, 32)과는 다른 2개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51, 52)이 배열되고 제2 축 전도 라인들(53)은 절연층(4)의 표면 위로 가로질러 확장하여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51, 52)를 연결한다. 전도체 셀(52)은 또한 신호 전송 라인(54)에 연결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62로 표기되는 전도체 패턴 구조가 유리 기판과 같은 강성 기판(6)의 표면(61) 상에 형성된다. 전도체 패턴 구조(62)는,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3) 및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4)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3)은 다른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3)에 평행하고,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4)은 다른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4)에 평행한다.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3)은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4)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그러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3) 및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4)은 직각 이외인 그들 사이의 끼인각으로 기판(6)의 표면(61) 상에 배열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63)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강성 기판(6)의 표면(61) 상에, 수직 방향과 같은, 제1 축 방향을 따라 줄을 이루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631)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64)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제2 축을 따라 강성 기판(6)의 표면(61) 상에 배열되는, 수평 방향과 같은, 제2 축을 따라 줄을 이루는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을 포함한다.
각각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63)의 제1 축 전도체 셀들(63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제1 축 전도 라인들(632)은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3)의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631)을 각각 연결한다.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63)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축을 따라 제1 축 전도체 셀들(63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축 전도 라인(632)은 제1 축을 따라 위치되는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631)을 연결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63)의 제1 축 전도체 셀들(631)은 제1 축 전도 라인들(632)에 의해 직렬로 함께 연결된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63)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어 회로(둘 다 도시되지 않음)에 제1 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축 신호 전송 라인(66a)에 더 연결된다.
각각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64)의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은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64)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을 각각 연결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64)의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은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64)는 제어 회로에 제2 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축 신호 전송 라인(66b)에 더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은 각각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631)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위치하고 제2 축 전도 라인(642)은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632)과 교차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축 전도성 어셈블리들(63)을 제2 축 전도성 어셈블리들(64)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해, 복수의 절연체들(65)이 제2 축 전도 라인(642)와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631)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축 전도 라인(642)은 제2 축 전도 라인(642)과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631) 사이의 전자적 연결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절연체들(65) 위에 위치한다. 제2 축 전도 라인(642)은 각각 인접한 절연체(65)를 가로질러 확장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를 도시한다. 제4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는 제3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와 원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제3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641) 사이에 배치되는 오직 하나의 제2 축 전도 라인(642)이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축 전도성 어셈블리들(64)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은 제2 축 전도 라인(64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4 실시예는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의 인접한 것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축 저도 라인들(642) 중의 하나가 고장나거나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다른 제2 축 전도 라인(642)이 여전히 작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전도체 패턴 구조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그러므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가 도시된다. 제5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는 제4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와 원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제4 실시예에서,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은 둘 다 동일한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631) 위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은 둘 다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632)의 동일한 측(side) 상에 배치된다. 제4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5 실시예의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은 서로 다른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631) 위에 위치하고,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632)은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 사이에 있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이 서로 다른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631)을 덮기 때문에, 제1 전도체 셀들(631) 중의 하나에서 외력(external force)으로 인해 제2 전도 라인들(642) 중의 하나가 고장날 경우에, 다른 제2 전도 라인들(642)이 여전히 작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전도체 패턴 구조의 압력에 대한 저항이 그에 따라 개선된다. 그러므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언급된 제3,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 제2 축 전도 라인(642)은 직선이거나 곡선과 같은 비 직선(non-straight line) 또는 굽은 선(meander-line)일 수 있다. 도 14는 제2 축 전도 라인(642)이 굽은 선인 전도체 패턴 구조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6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는 제5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와 원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제5 실시예에서,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는 모두 직선들인데 반해; 제6 실시예에서,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은 비 직선들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제4 및 제5 실시예들에서,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642)은 실질적으로 서로 직각이거나 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4, 제5 및 제6 실시예들에서, 또 다른 상황은 제2 축 전도 라인(642) 중의 오직 하나만이 직선이고 다른 제2 축 전도 라인(642)은 비 직선이라는 것이다. 더불어, 제4, 제5 및 제6 실시예들에서, 전도체 패턴 구조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을 전자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축 전도 라인(642)이 더 길어질수록 제조 및 사용 과정에서 더 쉽게 고장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도 15는 제2 축 전도 라인(642)이 길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제7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7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는 제3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와 원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제3 실시예에는, 오직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641) 사이에 배치되는 긴 제2 축 전도 라인(642)만이 있다. 제7 실시예의 각각의 제2 전도 라인들(642)은 제1 브랜치(branch, 642a) 및 제2 브랜치(642b)를 가지며, 제1 브랜치(642a)는 여기서 제2 브랜치(642b)와 분리되어 있는 것임이 도 15에서 명확히 보일 수 있다. 도 15에서 도시되는 전도체 패턴 구조는 각각 복수의 절연체들(65) 상에 또한 배치되는 복수의 전기적 연결 소자들(67)을 더 포함한다. 제1 브랜치(642a)는 인접한 절연체(65) 상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소자(67)에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제2 브랜치(642b)는 또한 인접한 절연체(65) 상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소자(66)에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은 제1 브랜치(642a), 전기적 연결 소자(67) 및 제2 브랜치(642b)의 조합에 의해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제7 실시예에서, 긴 제2 축 전도 라인(642)은 2개의 짧은 분리된 브랜치들(642a 및 642b)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경우에, 더 긴 제2 축 전도 라인(642)과 비교하여, 2개의 분리된 브랜치들(642a 및 642b)가 고장나는 것이 쉽지 않고, 전도체 패턴 구조의 수율(yield)이 증가된다. 그러므로, 터치 패널의 성능이 그에 따라 향상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라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가 도시된다. 제8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62)는 제7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62)와 원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제7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641) 사이에 배치되는 오직 하나의 제2 축 전도 라인(642)만이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축 전도성 어셈블리(64)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은 제2 축 전도 라인(64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7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8 실시예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을 사용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은 제1 브랜치(642a) 및 제2 브랜치(642b)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전도 라인(642)의 제1 브랜치(642a) 및 제2 브랜치(642b)는 서로에게서 분리되고,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의 제1 브랜치(642a) 및 제2 브랜치(642b)는 인접한 절연체(65) 상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소자(67)와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은 동일한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631) 상에 위치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축 전도 라인들(642) 중의 하나가 고장나거나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시에, 다른 제2 축 전도 라인(642)이 여전히 작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전도체 패턴 구조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그러므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를 도시한다. 제9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는 제8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와 원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제8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이 모두 동일한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631) 위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은 모두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632)의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제8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9 실시예의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은 서로 다른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631) 위에 위치하고,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632)은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 사이에 있다.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은 제1 브랜치(642a) 및 제2 브랜치(642b)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전도 라인(642)의 제1 브랜치(642a) 및 제2 브랜치(642b)는 서로에게서 분리되고,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의 제1 브랜치(642a) 및 제2 브랜치(642b)는 서로 다른 인접한 절연체들(65) 상에 베치되는 서로 다른 전기적 연결 소자들(67)에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이 서로 다른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631)을 덮기 때문에, 제2 전도 라인들(642) 중의 하나가 제1 전도체 셀들(631) 중의 하나에서의 외력으로 인해 고장날 시에, 다른 제2 전도 라인들(642)이 여전히 작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전도체 패턴 구조의 압력에 대한 저항이 그에 따라 개선된다. 그러므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제7, 제8 및 제9 실시예들에서, 제2 축 전도 라인(642)은 직선 또는 곡선과 같은 비 직선 또는 굽은 선일 수 있다. 비 직선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제8 및 제9 실시예에서, 제2 축 전도 라인(642) 중 오직 하나만이 직선이고 다른 제2 축 전도 라인(642)은 비 직선인 또 다른 경우가 있다. 더불어, 제8 및 제9 실시예들에서, 전도체 패턴 구조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641)을 전자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642)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부분에서는, 2개의 분리된 브랜치들을 갖는 제2 축 전도 라인들을 이용하는 다른 실시예들이 묘사될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72로 표시되는 전도체 패턴 구조는 유리 기판과 같은 기판(7)의 표면(71) 상에 형성된다. 전도체 패턴 구조(72)는,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3) 및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4)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3)은 다른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3)에 평행하고,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4)은 다른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4)에 평행한다.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3)은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4)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그러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3)과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4)이 직각 이외에 그들 사이의 끼인각으로 기판(7)의 표면(71) 상에 배열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73)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기판(7)의 표면(71) 상에, 수직 방향과 같은, 제1 축을 따라 줄을 이루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731)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74)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제2 축을 따라 기판(7)의 표면(71) 상에 배열되는, 수평 방향과 같은, 제2 축을 따라 줄을 이루는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741)을 포함한다.
각각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73)의 제1 축 전도체 셀들(73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제1 축 전도 라인들(732)은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3)의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731)을 각각 연결한다.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73)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축을 따라 제1 축 전도체 셀들(73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축 전도 라인(732)은 제1 축을 따라 위치되는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731)을 연결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73)의 제1 축 전도체 셀들(731)은 제1 축 전도 라인들(732)에 의해 직렬로 함께 연결된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73)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어 회로(둘 다 도시되지 않음)에 제1 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축 신호 전송 라인(76a)에 더 연결된다.
복수의 전기적 연결 소자들(77)은 각각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731) 옆에 배치되고, 각각의 전기적 연결 소자들(77)은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731)로부터 절연된다. 전기적 연결 소자(77)는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731)의 일부분처럼 보인다.
각각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74)의 제2 축 전도체 셀들(74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은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74)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741)을 각각 연결한다. 제10 실시예의 각각의 제2 전도 라인들(742)은 제1 브랜치(742a) 및 제2 브랜치(742b)를 가지고, 여기서 제1 브랜치(742a)와 제2 브랜치(742b)는 분리된 것들임이 도 18에서 명확히 보일 수 있다. 제2 축 전도 라인(742)의 제1 브랜치(742a) 및 제2 브랜치(742b)는 인접한 전기적 연결 소자(77)에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732)과 겹치지 않는다. 따라서,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741)은 제2 축 전도 라인(742)의 제1 브랜치(742a), 제2 브랜치(742b) 및 전기적 연결 소자(77)의 조합에 의해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74)의 제2 축 전도체 셀들(741)은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74)는 제어 회로로 제2 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축 신호 전송 라인(76b)에 더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은 각각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732)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축 전도성 어셈블리들(73)을 제2 축 전도성 어셈블리들(74)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해, 복수의 절연체들(75)이 제1 축 전도 라인들(732)과 전기적 연결 소자(77)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절연체들(75)은, 제1 축 전도 라인들(732)과 전기적 연결 소자(77) 사이의 전자적 연결을 방지하고, 또한 제1 축 전도 라인(732)과 제2 축 전도 라인(742) 사이의 전자적 연결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전기적 연결 소자(77) 위에 위치한다. 제2 축 전도 라인(742)은 각각 인접한 절연체(75)를 가로질러 확장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를 도시한다. 제11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72)는 제10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72)와 원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제10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741) 사이에 배치되는 오직 하나의 제2 축 전도 라인(742)이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축 전도성 어셈블리들(74)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741)은 제2 축 전도 라인(74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0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1 실시예는 제2 축 전도체 셀들(741)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741) 서로 연결하기 위해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을 사용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은 제1 브랜치(742a) 및 제2 브랜치(742b)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전도 라인(742)의 제1 브랜치(742a) 및 제2 브랜치(742b)는 서로에게서 분리되고,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의 제1 브랜치(742a) 및 제2 브랜치(742b)는 각각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731) 옆에 배치되는 동일한 전기적 연결 소자(77)와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은 동일한 인접한 전기적 연결 소자(77)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축 저도 라인들(742) 중의 하나가 고장나거나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시에, 다른 제2 축 전도 라인(742)이 여전히 작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전도체 패턴 구조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그러므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가 도시된다. 제12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는 제11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와 원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제11 실시예에서,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은 둘 다 동일한 인접한 전기적 연결 소자(77) 위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은 둘 다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732)의 동일한 측 상에 배치된다. 제1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2 실시예의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은 서로 다른 인접한 전기적 연결 소자들(77) 위에 위치하고,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732)은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 사이에 있다.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은 제1 브랜치(742a) 및 제2 브랜치(742b)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전도 라인(742)의 제1 브랜치(742a) 및 제2 브랜치(742b)는 서로에게서 분리되고,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의 제1 브랜치(742a) 및 제2 브랜치(742b)는 서로 다른 인접한 전기적 연결 소자들(77)에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742)이 서로 다른 인접한 전기적 연결 소자들(77)을 덮기 때문에, 제1 전도체 셀들(731) 중의 하나에서 외력으로 인해 제2 전도 라인들(742) 중의 하나가 고장날 경우에, 다른 제2 전도 라인들(742)이 여전히 작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전도체 패턴 구조의 압력에 대한 저항이 그에 따라 개선된다. 그러므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제10, 제11 및 제12 실시예에서, 기판(7)은 유리 기판과 같은 강성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연성 기판(flexible substrate) 또는 다른 투명 절연 기판들일 수 있다. 제2 축 전도 라인(742)은 직선이거나 곡선과 같은 비 직선 또는 굽은 선일 수 있다. 비 직선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제11 및 제12 실시예에서, 제2 축 전도 라인(742) 중 오직 하나만이 직선이고 다른 제2 축 전도 라인(742)은 비 직선인 또 다른 경우가 있다. 더불어, 제11 및 제12 실시예들에서, 전도체 패턴 구조(72)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741)을 전자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전도 라인들(742)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가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 82로 표시되는 전도체 패턴 구조는 유리 기판과 같은 기판(8)의 표면(81) 상에 형성된다. 전도체 패턴 구조(82)는,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하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3) 및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74)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3)은 다른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3)에 평행하고,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4)은 다른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4)에 평행한다.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3)은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4)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그러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3)과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4)은 직각 이외에 그들 사이의 끼인각으로 기판(8)의 표면(81) 상에 배열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83)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기판(8)의 표면(81) 상에 배열되는, 수직 방향과 같은, 제1 축을 따라 줄을 이루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831)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84)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제2 축을 따라 기판(8)의 표면(81) 상에 배열되는, 수평 방향과 같은, 제2 축을 따라 줄을 이루는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841)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셀들(831)은 윈도우(window, 831a)를 가지고, 복수의 전기적 연결 소자들(87)은 각각 윈도우들 안에 배치된다. 제1 축 전도체 셀(831)과 전기적 연결 소자(87) 사이에 갭(831b)이 있어서 그들은 전자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각각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83)의 제1 축 전도체 셀들(83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제1 축 전도 라인들(832)은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3)의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831)을 각각 연결한다.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들(83)이 형성하기 위해 제1 축을 따라 제1 축 전도체 셀들(83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 축 전도 라인(832)은 제1 축을 따라 위치되는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831)을 연결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83)의 제1 축 전도체 셀들(831)은 제1 축 전도 라인들(832)에 의해 직렬로 함께 연결된다. 각각의 제1 축 전도체 어셈블리(83)는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어 회로(둘 다 도시되지 않음)에 제1 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축 신호 전송 라인(86a)에 더 연결된다.
각각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84)의 제2 축 전도체 셀들(84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은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84)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841)을 각각 연결한다. 제13 실시예의 각각의 제2 전도 라인들(842)은 제1 브랜치(842a) 및 제2 브랜치(842b)를 가지고, 여기서 제1 브랜치(842a) 및 제2 브랜치(842b)는 분리된 것들임이 도 21에서 명확히 보일 수 있다.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842)의 제1 브랜치(842a) 및 제2 브랜치(842b)는 각각 전기적 연결 소자(87)에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841)은 제2 축 전도 라인(842)의 제1 브랜치(842a), 제2 브랜치(842b) 및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831)의 윈도우(831a) 내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소자(87)의 조합에 의해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84)의 제2 축 전도체 셀들(841)은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체 어셈블리(84) 제어 회로로 제2 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축 신호 전송 라인(86b)에 더 연결된다. 또한,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은 각각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831)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축 전도성 어셈블리들(83)을 제2 축 전도성 어셈블리들(84)로부터 절연시키기 위해, 복수의 절연체들(85)이 제2 축 전도 라인(842)과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831)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절연체들(85)은 제2 축 전도 라인(842)과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831) 사이의 전자적 연결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제1 축 전도체 셀(831) 위에 위치한다. 제2 축 전도 라인(842)은 각각 인접한 절연체(65)를 가로질러 확장한다.
또한, 도 22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를 도시한다. 제14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82)는 제13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82)와 원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제13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841) 사이에 배치되는 오직 하나의 제2 축 전도 라인(842)이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축 전도성 어셈블리들(84)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841)은 제2 축 전도 라인(84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제1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4 실시예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841)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을 사용한다.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은 제1 브랜치(842a) 및 제2 브랜치(842b)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전도 라인(842)의 제1 브랜치(842a) 및 제2 브랜치(842b)는 서로에게서 분리되고,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의 제1 브랜치(842a) 및 제2 브랜치(842b)는 각각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831)의 윈도우(831a) 내에 배치되는 동일한 전기적 연결 소자들(87)과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은 동일한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831) 위에 위치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2 축 전도 라인들(842) 중의 하나가 제1 전도체 셀들(831) 중의 하나에서의 외력으로 인해 고장나거나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시에, 다른 제2 전도 라인들(842)이 여전히 작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전도체 패턴 구조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그러므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성능이 향상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르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에 대한 설계도를 도시한다. 제15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는 제14 실시예의 전도체 패턴 구조와 원칙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제14 실시예에서는,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이 모두 동일한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831) 위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서,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는 모두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832)의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제14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5 실시예의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은 각각 서로 다른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831) 위에 위치하고, 인접한 제1 축 전도 라인(832)은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 사이에 있다. 각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은 제1 브랜치(842a) 및 제2 브랜치(842b)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2 전도 라인(842)의 제1 브랜치(842a) 및 제2 브랜치(842b)는 서로에게서 분리되고,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의 제1 브랜치(842a) 및 제2 브랜치(842b)는 서로 다른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831)의 윈도우들(831a) 내에 배치되는 전기적 연결 소자(87)에 전자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이 서로 다른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831)을 덮기 때문에, 제2 전도 라인들(842) 중의 하나가 제1 전도체 셀들(831) 중의 하나에서 외력으로 인해 고장날 시에, 다른 제2 전도 라인들(842)이 여전히 작동할 수 있고, 따라서, 전도체 패턴 구조의 압력에 대한 저항이 그에 따라 개선된다. 그러므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언급된 제13, 제14 및 제15 실시예에서, 기판(8)은 유리 기판과 같은 강성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연성 기판 또는 다른 투명 절연 기판들일 수 있다. 제2 축 전도 라인(842)은 직선이거나 곡선과 같은 비 직선 또는 굽은 선일 수 있다. 비 직선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제14 및 제15 실시예에서, 제2 축 전도 라인(842) 중 오직 하나만이 직선이고 다른 제2 축 전도 라인(842)은 비 직선인 또 다른 경우가 있다. 더불어, 제14 및 제15 실시예들에서, 전도체 패턴 구조(82)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841)을 전자적으로 연결하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제2 축 전도 라인들(842)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제3 내지 제15 실시예들에서, 제1 축 전도체 셀들 및 제2 축 전도체 셀들은 다이아몬드 윤곽의 형태이다. 6각형, 8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른 다각형의 윤곽이 또한 제1 축 전도체 셀들 및 제2 축 전도체 셀들의 기하학적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음이 주목된다. 제1 축 전도체 셀들 및 제2 축 전도체 셀들은 또한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비 등거리 방식(non-equidistance manner)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축 전도체 셀, 제1 축 전도 라인들, 제2 축 전도체 셀들 및 전기적 연결 소자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안티모니 주석 산화물(Antimony Tin Oxide, ATO) 또는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TiO2)와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구성된다. 제2 축 전도 라인들은 투명 전도성 물질 또는 불투명 전도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은, 구리, 알루미늄, 금, 철, 등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된다. 절연체들은 전기적 절연 물질, 및 바람직하게는 이산화 규소(silicon dioxid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 염화 비닐(polyvinyl chloride)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와 같은 투명 전도 물질, 또는 잉크와 같은 불투명 절연 물질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언급된 실시예들에서, 제1 축 전도체 셀과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 사이의 정전용량은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측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도체 패턴 구조를 갖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은, 전자 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liquid display screen)과 같은 디스플레이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을 갖는 전자 장치(90)가 도 24에서 도시된다. 전자 장치(90)는 그 위의 터치 동작을 감지하여 상응하는 터치 감지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91); 상기 터치 감지 신호들을 수신하여 프로세싱하고 상응하는 디스플레이 지시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프로세서(94); 및 상기 디스플레이 지시 신호들을 수신하여 상응하는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92);를 포함한다.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91)을 디스플레이(92)와 결합시키기 위해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91)과 디스플레이(92) 사이에 접착층(adhesive layer, 93)이 배치된다.
터치 패널(91)은 디스플레이(9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통, 디스플레이는 상부 기판, 하부 기판,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픽셀 유닛(pixel unit) 및 빛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의 블랙 매트릭스들(black matrixes)을 갖는 차단층(blocking layer)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터치 감지 회로의 제2 전도성 라인들은 터치 패널(91)의 빛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블랙 매트릭스들에 맞춰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도체 패턴 구조는 또한 예를 들어 하부 기판의 상면(upper face) 또는 상부 기판의 하면(lower face)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부 기판 또는 하부 기판은 또한 전도체 패턴 구조가 그 위에 형성될 수 있는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도체 패턴 구조가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사용될 때, 제2 축 전도 라인은 빛을 차단하기 위한 다수의 블랙 매트릭스들을 포함하는 차단층과 함께 적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차단층은 생략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에서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 소자로 제2 축 전도 라인이 사용된다. 또한, 제2 축 전도 라인들이 금속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제2 축 전도체 셀들과 제2 축 신호 전송 라인들 사이의 저항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제2 축 전도체 셀들과 제2 축 신호 전송 라인들 사이의 신호 전송의 감도(sensitivity)가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하다.

Claims (30)

  1.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이 제1 축을 따라 복수의 열들로 배열되고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이 제2 축을 따라 복수의 행들로 배열되며, 상기 제2 축은 제1 축에 수직하게끔, 기판의 표면 상에 어레이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 및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
    어레이의 열들의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축 전도체 셀들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1 축 전도 라인들;
    어레이의 행들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축 전도체 셀들을 형성하도록 하며, 각각이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에 위치하는(overlaying) 복수의 제2 축 전도 라인들; 및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축 전도체 셀들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축 전도체 셀들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도록 상기 제1 축 및 제2 축을 따라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절연층 각각은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의 일부분 위에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축 전도체 셀들은 동일한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 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축 전도체 셀들은 서로 다른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 위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2 축 전도 라인들은 비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축 전도 라인들 각각은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축 전도 라인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브랜치들(banche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연층 각각은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 사이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전기적 연결 소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기적 연결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연결 소자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브랜치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기적 연결 소자들은 각각 복수의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축 전도 라인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브랜치들을 포함하고; 및
    상기 복수의 전기적 연결 소자들 중 두 개의 전기적 연결 소자는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브랜치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소자들 각각은 제1 축 전도체 셀의 윈도우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14. 삭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축 전도 라인들 각각은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브랜치들을 포함하며; 및
    상기 복수의 전기적 연결 소자들 중 두 개의 전기적 연결 소자들은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의 윈도우 내에 배치되어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브랜치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은 상기 복수의 제1 축 전도 라인들의 기하학적 형태와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은 상기 복수의 제2 축 전도 라인들의 기하학적 형태와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과 상기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 중의 제1 축 셀과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 중의 제2 축 셀 사이의 정전용량이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강성 기판 또는 연성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표면 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축 신호 전송 라인들 및 복수의 제2 축 신호 전송 라인들을 더 포함하되,
    제1 축 신호 전송 라인들 각각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축 전도체 셀들의 각 열을 연결하고, 제2 축 신호 전송 라인들 각각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축 전도체 셀들의 각 행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은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제1 축을 따라 기판의 표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은 동일하게 공간을 두는 방식으로 제2 축을 따라 기판의 표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5.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이 제1 축을 따라 복수의 열들로 배열되고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이 제2 축을 따라 복수의 행들로 배열되며, 상기 제2 축은 제1 축에 수직하게끔, 기판의 표면 상에 어레이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 및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
    어레이의 열들의 인접한 제1 축 전도체 셀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축 전도체 셀들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1 축 전도 라인들;
    어레이의 행들의 인접한 제2 축 전도체 셀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축 전도체 셀들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2 축 전도 라인의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브랜치들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브랜치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적 연결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자들과; 및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축 전도체 셀들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축 전도체 셀들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도록 상기 제1 축 및 제2 축을 따라 어레이로 배열된 복수의 절연층들을 포함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축 전도 라인의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브랜치들은 동일한 전기적 연결 소자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제2 축 전도 라인의 적어도 두 개의 분리된 브랜치들은 서로 다른 전기적 연결 소자들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8.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절연층 각각은 전기적 연결 소자의 일부분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축 전도체 셀들은 상기 복수의 제1 축 전도 라인들의 기하학적 형태와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30.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축 전도체 셀들은 상기 복수의 제2 축 전도 라인들의 기하학적 형태와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KR1020130128741A 2012-04-12 2013-10-28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KR101438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44,849 US8610689B2 (en) 2007-04-27 2012-04-12 Conductor pattern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US13/444,849 2012-04-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545A Division KR101389086B1 (ko) 2012-04-12 2012-04-17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417A KR20130136417A (ko) 2013-12-12
KR101438096B1 true KR101438096B1 (ko) 2014-09-12

Family

ID=461466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545A KR101389086B1 (ko) 2012-04-12 2012-04-17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KR1020130128741A KR101438096B1 (ko) 2012-04-12 2013-10-28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545A KR101389086B1 (ko) 2012-04-12 2012-04-17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2687962B1 (ko)
JP (1) JP5877864B2 (ko)
KR (2) KR101389086B1 (ko)
TW (2) TWI4231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9302B2 (en) 2013-05-30 2016-09-06 Nanchang O-Film Tech Co., Lt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CN103294272B (zh) * 2013-05-30 2016-04-13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透明导电膜
CN105718092B (zh) * 2014-12-01 2018-10-26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
US9703439B2 (en) 2014-12-26 2017-07-11 Lg Display Co., Ltd.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JP6396815B2 (ja) * 2015-01-29 2018-09-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CN104932764B (zh) * 2015-06-25 2017-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容式触控屏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146460B1 (ko) * 2015-12-08 2020-08-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20180076688A (ko) * 2016-12-28 2018-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951131B (zh) * 2017-02-23 2020-09-18 深圳市骏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摸屏
KR102551226B1 (ko) * 2018-07-25 2023-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부재 및 터치 부재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0048A1 (en) * 2003-08-05 2005-02-10 Bolender Robert J. Capacitive sensing device for use in a keypad assembly
KR101073333B1 (ko) * 2009-08-27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3522A (en) 1978-10-30 1980-11-11 General Electric Company Capacitive touch switch array
US4733222A (en) 1983-12-27 1988-03-22 Integrated Touch Arrays, Inc. Capacitance-variation-sensitive touch sensing array system
US5459463A (en) 1990-05-25 1995-10-17 Sextant Avionique Device for locating an object situated close to a detection area and a transparent keyboard using said device
US5880411A (en) 1992-06-08 1999-03-09 Synaptics, Incorporated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and gesture recognition
EP0574213B1 (en) 1992-06-08 1999-03-24 Synaptics, Inc. Object position detector
US5847690A (en) 1995-10-24 1998-12-08 Luc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gitizer having a black matrix layer adapted for sensing screen touch location
US6188391B1 (en) * 1998-07-09 2001-02-13 Synaptics, Inc. Two-layer capacitive touchpad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030860B1 (en) 1999-10-08 2006-04-18 Synaptics Incorporated Flexible transparent touch sens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6498590B1 (en) 2001-05-24 2002-12-2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ulti-user touch surface
US6970160B2 (en) 2002-12-19 2005-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attice touch-sensing system
TW200842681A (en) * 2007-04-27 2008-11-01 Tpk Touch Solutions Inc Touch pattern structure of a capacitive touch panel
TW200901014A (en) * 2007-06-28 2009-01-01 Sense Pad Tech Co Ltd Touch panel device
TWM344544U (en) * 2007-12-25 2008-11-11 Cando Corp Sensory structure of touch panel
US8711105B2 (en) * 2008-08-21 2014-04-29 Wacom Co., Ltd. Touchscreen with extended conductive pattern
US8493337B2 (en) * 2008-09-22 2013-07-23 Ritfast Corporation Light transmission touch panel
TWI436256B (zh) * 2008-11-07 2014-05-01 Focaltech Systems Ltd Mutual capacitive touchpad and modular mutual capacitive touchpad
JP2010231288A (ja) 2009-03-26 2010-10-14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並びに電子機器
JP2010244120A (ja) 2009-04-01 2010-10-28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製造方法
TWI427520B (zh) * 2009-12-10 2014-02-2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面板以及觸控基板
KR101100987B1 (ko) * 2010-03-23 2011-12-3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40881B1 (ko) * 2010-04-12 2011-06-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691619B1 (ko) * 2010-09-14 2017-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5871530B2 (ja) * 2010-09-30 2016-03-0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1448251B1 (ko) * 2010-10-28 2014-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02799301B (zh) * 2011-05-28 2015-05-20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的电极结构、制造方法以及触控面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0048A1 (en) * 2003-08-05 2005-02-10 Bolender Robert J. Capacitive sensing device for use in a keypad assembly
KR101073333B1 (ko) * 2009-08-27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53197U (zh) 2013-05-11
TWI423105B (zh) 2014-01-11
EP2687962A1 (en) 2014-01-22
EP2650765B1 (en) 2016-03-02
KR20130116138A (ko) 2013-10-23
JP2014157611A (ja) 2014-08-28
KR20130136417A (ko) 2013-12-12
KR101389086B1 (ko) 2014-04-25
TW201342179A (zh) 2013-10-16
EP2650765A3 (en) 2014-04-23
EP2650765A2 (en) 2013-10-16
EP2687962B1 (en) 2017-04-12
JP5877864B2 (ja)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0689B2 (en) Conductor pattern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KR101438096B1 (ko) 정전용량식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EP2336862A2 (en) Conductor pattern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US9454267B2 (en) Touch sensing circui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605050B2 (en) Conductor pattern structure of capacitive touch panel
KR101379376B1 (ko) 용량성 터치 패널의 전도체 패턴 구조
CN202795317U (zh) 电容式触控面板的导电图案结构
CN102830869B (zh) 电容式触控面板的导电图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