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968B1 - A heater for clothes handling device and clothes handling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heater for clothes handling device and clothes handling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968B1
KR101437968B1 KR1020070089174A KR20070089174A KR101437968B1 KR 101437968 B1 KR101437968 B1 KR 101437968B1 KR 1020070089174 A KR1020070089174 A KR 1020070089174A KR 20070089174 A KR20070089174 A KR 20070089174A KR 101437968 B1 KR101437968 B1 KR 101437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eat generating
inner bracket
bracke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4002A (en
Inventor
최지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968B1/en
Publication of KR20090024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0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9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3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assembled from at least two ele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ing or seal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0Temperature of washing liquids; Hea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용 히터에 관한 것으로, 히터온도퓨즈가 내장된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아우터브라켓; 상기 아우터브라켓의 일측에 밀착 설치된 실링부재; 및 상기 아우터브라켓과 마주 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브라켓과 체결되는 이너브라켓;을 포함하여, 단자와 연결되는 히터온도퓨즈의 코킹 연결부가 끊기는 것을 방지하고 히터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er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er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 outer bracket form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 sealing member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uter bracket; And an inner bracket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the sealing member so as to face the outer bracket and which is fastened to the outer bracket so that the caulking connection part of the heater thermal fuse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prevented from being cut off and the reliability of the heater is improved, An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heater.

이너브라켓, 아우터브라켓, 발열부 발열부 고정수단 Inner bracket, outer bracket, heating unit fixing means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용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A HEATER FOR CLOTHES HANDLING DEVICE AND CLOTHES HANDLING DEVICE HAV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er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heater.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터를 의류처리장치에 탈부착하는 경우에 히터 단자의 흔들림에 의해 히터온도퓨즈의 코킹 연결부가 끊어지는 등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발열부 고정수단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용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rment disposing apparatus for disposing a heater in a garment disposing apparatus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such as breaking of a caulking connection portion of a heater thermal fuse, An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heater.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는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Refresher) 등이 있으며, 세탁기는 크게 판형의 펄세이터를 회전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수류에 의해 세탁하는 방식의 펄세이터형 세탁기와, 눕혀진 드럼을 회전시킴에 따라 드럼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와 세탁물의 낙차와 마찰력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방식의 드럼 세탁기로 구분된다.BACKGROUND ART [0002] Generally, garment processing apparatuses include a washing machine, a dryer, a refresher, and the like. The washing machine includes a pulsator-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the laundry is washed by a water current generated by rotating a plate- And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which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rum according to the setting, and washing is performed using friction and friction of laundry.

이 중, 드럼 세탁기는 펄세이터형 세탁기에 비해 엉킴이 적으며 세탁 행정시 소요되는 세탁수와 세제의 양이 적어 사용자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이다.Among them, the drum washing machine is less tangled than the pulsator washing machine, and the washing water and the amount of the detergent required in the laundry washing process are so small that the demand of the user is rapidly increasing.

상기 드럼세탁기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 내부 공간에 저수조 또는 터브가 설치되며, 상기 저수조 내부에는 세탁조 또는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 세히, 상기 세탁조의 저면 및 측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세탁수가 세탁조와 저수조 사이에서 자유로이 유동하면서 세탁물에 묻은 오물이 제거된다.The drum wash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 water storage tank or a tub in a space inside the cabinet forming an outer shape, and a washing tub or a drum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water storage tank. In detail,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washing tub, so that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ub flows freely between the washing tub and the water storage tank, and dirt adhered to the laundry is removed.

한편,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는 세탁수를 가열하여 온수로 만들어주는 히터가 설치된다. 따라서, 겨울철에 냉수가 저수조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히터가 작동하게 되면 세탁에 적정한 온도로 가열되므로, 별도로 온수가 배출되는 수도 꼭지와 연결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히터가 장착된 저수조에 관한 종래의 기술 내용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55973" 등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heater for heating the washing water to make hot water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Therefore, even if cold water flows into the water tank in winter, when the heater operates, the heated water is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washing. Conventional contents of a water tank equipped with a heater having such a function are describ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3-0055973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또한, 최근에는 세탁 또는 건조 등에 증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히터를 포함한 증기발생장치가 설치된 드럼세탁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기술 내용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41222" 등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Recent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a drum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steam generating device including a heater so that steam can be used for washing or drying. Such prior art contents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 2007-0041222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히터의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hea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히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히터의 발열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er used in a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at generating portion of the heater shown in FIG. 1 in a longitudinal direc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히터(10)는 열을 발생하는 발열부(11)와, 발열부(11)의 일단측을 고정하는 이너브라켓(13)과, 히터(10)를 저수조 내지 터브 또는 증기발생장치 하우징에 장착하는 아우터브라켓(14)과, 이너브라켓(13)과 아우터브라켓(14) 사이에 장착되어 히터(10)가 장착되는 부위의 밀봉을 유지하는 실링부재(12)와, 이너브라켓(13)과 아우터브라켓(14)을 서로 체결하는 너트(17), 그리고, 발열부(11)의 일단에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단자(16)를 포함한다.1, a conventional heater 10 includes a heat generating unit 11 for generating heat, an inner bracket 13 for fixing one end sid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 a heater 10 An outer bracket 14 mounted between the inner bracket 13 and the outer bracket 14 for hold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heater 10 is mounted, A nut 17 for fastening the inner bracket 13 and the outer bracket 14 to each other and a terminal 16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eat generating unit 11 to supply electricity.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히터(10)는, 발열부(11)가 이너브라켓(13)와 연결상태에서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단단히 고정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기 때문에 히터(10)를 의류처리장치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발열부(11)와 이너브라켓(13)의 연결상태가 헐거워져 발열부(11)가 이너브라켓(13)에서 흔들릴 뿐만 아니라 발열부(11)와 연결된 단자(16)도 흔들리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eater 10 does not have a separate means for firmly fix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inner bracket 13, the heater 10 may be mounted o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connection betwee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 and the inner bracket 13 is loosened during the separation so tha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 is not only shaken by the inner bracket 13 but also the terminal 16 connect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11 is also shaken there was.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발열부(11)의 내부에는 히터온도퓨즈(19)가 설치되고 히터온도퓨즈(19)는 단자(16)와 코킹(caulking) 연결되는데, 발열부(11)가 흔들림에 따라 히터온도퓨즈(19)의 코킹 연결부(18)가 끊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2, a heater thermal fuse 19 is disposed inside the heat generating unit 11 and a heater thermal fuse 19 is caulked to the terminal 16. The heat generating unit 11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caulking connection portion 18 of the heater thermal fuse 19 is broken according to the shak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히터의 발열부가 이너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거나 운반할 경우, 발열부가 흔들리거나 체결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열부 고정수단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용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preventing the heat generating part from being shaken or loosened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used or transported in a state where the heat- And to provide a heater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heating unit fixing means for heating the heating unit an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히터 단자의 흔들림으로 인해 히터온도퓨즈의 코킹 연결부가 끊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열부 고정수단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용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er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heating unit fixing means capable of preventing a caulking connection portion of a heater thermal fuse from being cut off due to shaking of a heater terminal an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heater .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히터온도퓨즈가 내장된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아우터브라켓; 상기 아우터브라켓의 일측에 밀착 설치된 실링부재; 및 상기 아우터브라켓과 마주 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브라켓과 체결되는 이너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 또는 상기 이너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히터온도퓨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열부 고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a heat generating unit having a heater thermal fuse; An outer bracket form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 sealing member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uter bracket; And an inner bracke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to face the outer bracket and is fastened to the outer bracket. At least on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and the inner bracket prevents the heater thermal fuse from being damaged And a heating unit fixing means for heating the heating unit.

또는, 히터온도퓨즈가 내장된 발열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아우터브라켓; 상기 아우터브라켓의 일측에 밀착 설치된 실링부재; 및 상기 아우터브라켓과 마주 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브라켓과 체결되는 이너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부 또는 상기 이너브라켓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발열부가 상기 이너브라켓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발열부 고정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를 제공한다.Or a heating unit having a heater thermal fuse incorporated therein; An outer bracket form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 sealing member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uter bracket; And an inner bracket closely attached to the sealing member so as to face the outer bracket and fastened to the outer bracket, wherein at least any one of the heat generating unit and the inner bracket shakes the heat generating unit in the inner bracket And a heating unit fixing means for preventing the heating unit from being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히터의 탈부착시에 발열부와 이너브라켓의 체결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며, 발열부와 연결되는 히터온도퓨즈의 코킹 연결부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stening state betwee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inner bracket from being loosened when the heater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to prevent the caulking connection portion of the heater thermal fuse connect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from being broken.

한편,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은 상기 이너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부재와 마주 보는 쪽의 상기 발열부에 장착되어 상기 이너브라켓을 상기 실링부재와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heat generating unit fixing means is mounted on the heat generating unit facing the seal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inner bracket so as to closely contact the inner bracket with the sealing member.

여기서,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체결되는 체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발열부 일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를 상기 이너브라켓을 향해 조임으로써 상기 발열부와 상기 이너브라켓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heat generating unit fixing means is a fastening member fastened along a thread formed o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That is,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nut fastened to the thread is fastened toward the inner bracket, thereby prevent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inner bracket from becoming loose.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일자형 너트이며, 상기 이너브라켓에는 상기 너트가 통과할 수 있는 너트 관통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통상의 육각너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스패너 등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작업자의 손으로 충분히 강한 체결력을 줄 수 있는 일자형 너트 내지 나비너트를 사용하며, 이 때 일자형 너트 또는 나비너트의 파지부(즉,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가하는 부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너브라켓에 너트 관통부를 형성하여야 한다.Further, the fastening member may be a straight nut, and the inner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 nut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nut can pass. That is, although a hexagon nut or the like can be used, a straight nut or a butterfly nut capable of giving a sufficiently strong fastening force with the hand of a worker is used without using a spanner or the like. At this time, A nut-penetrating portion is to be formed in the inner bracket so that the worker can pass the hand-applied force).

한편, 상기 너트 관통부는 상기 이너브라켓에 형성되며 상기 발열부를 삽입 하는 발열부 삽입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발열부의 삽입을 위해 상기 이너브라켓에 형성된 발열부 삽입구의 양측에 일자형 너트 또는 나비너트의 파지부가 통과할 수 있는 너트 관통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이너브라켓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The nut penetrating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t generating part insertion opening formed in the inner bracket and inserted with the heat generating part. In other words, a nut penetra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nserting port formed in the inner bracket for insert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through which a grasping portion of a straight nut or a butterfly nut can pass. As a result, the productivity of the inner bracket can be increased.

또한,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이너브라켓에 형성된 플랜지 장착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heating portion fixing means may include a flange formed o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a flange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bracket so that the flange can pass therethrough.

여기서, 상기 플랜지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브라켓과 상기 아우터브라켓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이너브라켓을 상기 실링부재 쪽으로 누르도록 형성된다. 즉, 고무링과 같은 탄성체로 된 상기 플랜지를 상기 발열부에 장착하고, 상기 발열부와 상기 이너브라켓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가 상기 이너브라켓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열부의 흔들림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The flang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is formed to press the inner bracket toward the sealing member whe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are connected. That is, the flange made of an elastic body such as a rubber ring is attached to the heat-generating portion, and the flang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racket while the heat-generating portion and the inner bracke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플랜지 장착구는 상기 이너브라켓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를 삽입하는 발열부 삽입구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 장착구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발열부 삽입구와 상기 발열부 사이에 형성된 틈 뿐만 아니라 상기 플랜지 장착구를 상기 플랜지에 의해 완전히 채워지게 되어 상기 발열부가 상기 이너브라켓에서 움직일 수 있는 여유가 없어지게 된다.The flange mount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inner bracket so as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a heat generating portion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and the flange may fill the flange mounting hole. As a result, not only the gap formed between the heat-generating-portion inserting portion and the heat-generating portion but also the flange mounting hole is completely filled with the flange, so that there is no room for the heat-generating portion to move in the inner bracket.

뿐만 아니라,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으로서 클램프 또는 핀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clamp, a pin,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세탁조; 및 상기 캐비닛과 상기 저수조 사이에 설치된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용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상기 캐비닛과 상기 저수조 사이에 설치되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장치에 상기 히터를 사용한 드럼 타입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defin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water reservoir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 washing tub rotatably disposed in the water tub; And a heater for the above-describe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stall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water storage ta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m type washing machine using the heater in a steam generating device install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water storage tank and generating steam.

한편,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세탁조; 및 상기 저수조와 상기 세탁조 사이에 설치된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용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온수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히터를 구비한 펄세이터 타입 세탁기 또는 드럼 타입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defin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water reservoir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 washing tub rotatably disposed in the water tub; And a heater for the above-describe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stall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washing tub. This relates to a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or a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the heater to generate hot water.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드럼; 및 상기 터브와 상기 건조드럼 사이에 설치된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용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히터를 사용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defin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drying drum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nd a heater fo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stalled between the tub and the drying drum. This relates to a dryer using a heater.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너브라켓과 접촉하는 발열부에 너트 또는 플랜지 등의 발열부 고정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발열부가 이너브라켓에 체결된 상태에서 발열부가 흔들리거나 체결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heat-generating-portion fixing means such as a nut or a flange to a heat-generat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bracket, the heat-generating por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or loosened in a state where the he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er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발열부가 이너브라켓에서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발열부의 일단에 연결된 단자도 흔들리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단자와 연결되는 히터온도퓨즈의 코킹 연결부가 끊기는 것을 방지하고 제품 신뢰성이 향상되며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generating part is not shaken at the inner bracket, the terminal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eat generating part is not shaken, thereby preventing the breaking of the caulking part of the heater thermal fuse connected to the terminal,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A heater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청구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 (aspects)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several aspects of the claimed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part of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for the sake of clarity and conciseness.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equivalent portion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적용한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터를 사용한 증기발생장치가 구비된 드럼 세탁기(100)가 의류처리장치의 일예로써 도시되어 있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a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3 shows a drum washing machine 100 equipped with a steam generator using a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도 3을 참조하면, 드럼 타입 세탁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101)과, 캐비닛(101) 내에 수평으로 지지되어 세탁수를 저장하는 원통형의 터브(102)와, 터브(10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103)과, 드럼(103)을 구동 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와, 드럼(103)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증기발생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100 includes a cabinet 101 having an outer appearance, a cylindrical tub 102 supported horizontally in the cabinet 101 to store washing water, (Not shown) for driving the drum 103 and at least one or more steam generating devices 200 for supplying steam into the drum 103 .

이 때, 상기 드럼세탁기(100)의 일측에는 외부의 수도관 등에 연결되어 터브(102) 내에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 밸브(104)가 구비된다.At this time, a water supply valve 104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um washing machine 100 to supply water to the tub 102.

한편, 상기 증기발생장치(200)의 일측에는 급수관(105)을 통해 드럼세탁기 (100)의 급수밸브(104)와 연결되는 급수구(201)가 형성되고, 증기발생장치(200)의 타측에는 내부에서 생성된 증기를 드럼(103) 내부로 공급되도록 증기공급관(106)이 연결되는 증기토출구(202)가 형성된다.A water supply port 201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valve 104 of the drum washing machine 10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through a water supply pipe 105. At the other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A steam discharge port 202 through which a steam supply pipe 106 is connected to supply steam generated inside the drum 103 is formed.

한편, 상기 증기공급관(106)은 드럼(103)의 내부 공간으로 증기를 원활하게 분사 가능하도록 그 끝부분이 노즐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증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끝단이 드럼(103)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 steam supply pipe 106 is preferably formed in a nozzle shape so that steam can be smoothly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drum 103. The end of the steam supply pipe 106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drum 103 As shown in FIG.

따라서, 상기 증기발생장치(200)는 급수 밸브(104)와 증기공급관(106)에서 연결되는 유로를 비교적 짧게 구성하고 수리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터브(102)의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am generating device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tub 102 so that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water supply valve 104 and the steam supply pipe 106 is relatively short and the repair and inspection are easy.

여기서, 상기 증기발생장치(200)의 내부에는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데, 히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Here, a heater is installed inside the steam generator 200, and the hea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4는 도 3에 따른 히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발열부 고정수단이 장착된 히터의 일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 따른 이너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er according to FIG. 3, FIG. 5 is a view showing one end of a heater equipped with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according to FIG. 3, and FIG. 6 is a cross- FI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터(210)는, 히터온도퓨즈(도 2의 19 참조)가 내장된 발열부(211)와, 히터(210)가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에 발열부(211)를 장착하기 위한 아우터브라켓(214)과, 아우터브라켓(214)의 일측에 밀착 설치된 실링부재(212) 그리고, 아우터브라켓(214)과 마주 보도록 실링부재(212)에 밀착되며 아우터브라켓(214)과 체결되는 이너브라켓(213)을 포함하고, 발열부(211) 또는 이너브라켓(21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히터온도퓨즈(18)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열부 고정수단(218)이 장착되어 있다.4, the heate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ter 211 having a heater thermal fuse (see 19 in FIG. 2) incorporated therein, a heater 210 having a heater 210 installed therein, An outer bracket 214 for mounting the heat generating unit 211 to the processing apparatus, a sealing member 212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uter bracket 214, and a sealing member 212 facing the outer bracket 214 And at least one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and the inner bracket 213 is provided with a heat genera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heater thermal fuse 18 from being broken, A fixing means 218 is mounted.

여기서,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218)은 발열부(211)가 이너브라켓(213)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Here, the heat generating unit fixing unit 218 may prevent the heat generating unit 211 from being shaken by the inner bracket 213.

한편, 상기 이너브라켓(213)에는 길게 연장된 체결로드(213a)가 부착되어 있으며, 체결로드(213a)의 끝단에는 나사산(213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체결로드 (213a)가 실링부재(212)와 아우터브라켓(214)을 관통하도록 한 후에 체결로드 (213a)의 나사산(231b)에 너트(217)를 체결함으로써 발열부(211), 이너브라켓 (213), 실링부재(212) 및 아우터브라켓(214)이 체결되어 하나의 히터(210)를 구성하게 된다.Meanwhile, the inner bracket 213 is provided with an elongated fastening rod 213a, and a thread 213b is formed at an end of the fastening rod 213a. At this time, after the fastening rod 213a passes through the sealing member 212 and the outer bracket 214, the nut 217 is fastened to the thread 231b of the fastening rod 213a so tha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The bracket 213, the sealing member 212, and the outer bracket 214 are coupled together to form one heater 210.

여기서, 상기 발열부(211)는 대략 중공의 파이프 형상이며, 그 일단에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217)가 부착되어 있다.Here,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is in the form of a substantially hollow pipe, and a terminal 217 for supplying electricity is attached to one end thereof.

또한,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218)은 이너브라켓(213)을 기준으로 실링부재(212)와 마주 보도록 발열부(211)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너브라켓(213)이 실링부재(212)와 밀착되도록 한다. The heating unit fixing unit 218 is mounted on the heat generating unit 211 so as to face the sealing member 212 with respect to the inner bracket 213. The inner bracket 2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212 .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히터(210)를 장착하거나 부착할 때 또는 드럼세탁기(100)를 운반하거나 사용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발열부(211)와 이너브라켓(213)의 체결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발열부(211)와 연결되는 히터온도퓨즈(도 2의 19 참조)의 코킹 연결부(도 2의 18참조)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heater 210 is mounted or attached, or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drum washing machine 100 is carried or used, the fastening state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and the inner bracket 213 is loosened (See 18 in FIG. 2) of the heater thermal fuse (see 19 in FIG. 2) connect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ut off.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은 발열부(211)에 장착된 플랜지(218), 그리고 플랜지(218)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이너브라켓(213)에 형성된 플랜지 장착구(213d)를 포함한다.5 and 6,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includes a flange 218 mounted o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and a flange 218 formed on the inner bracket 213 to allow the flange 218 to pass therethrough. And a mounting hole 213d.

여기서, 상기 플랜지(218)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며, 이너브라켓(213)과 아우터브라켓(214)이 연결되었을 때 이너브라켓(213)을 실링부재(212) 쪽으로 누르는 작용을 한다. The flange 218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unctions to press the inner bracket 213 toward the sealing member 212 when the inner bracket 213 and the outer bracket 2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즉, 상기 이너브라켓(213), 실링부재(212) 및 아우터브라켓(214)을 발열부(211)에 장착하기 전에, 고무링과 같은 탄성체로 형성된 플랜지(218)를 먼저 발열부(211)에 장착하여 발열부(211)의 대략 중간 위치까지 플랜지(218)를 옮겨 놓ㄴ는다. 그 다음에 이너브라켓(213)의 체결로드(213a)에 의해 이너브라켓(213)과 실링부재(212)와 아우터브라켓(214)을 체결한 후, 플랜지(218)를 이너브라켓(213) 쪽으로 옮겨서 이너브라켓(213)과 실링부재(212)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발열부(211)가 이너브라켓(213)에 체결된 상태에서 흔들리는 것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That is, before the inner bracket 213, the sealing member 212 and the outer bracket 214 are mounted o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the flange 218 formed of an elastic body such as a rubber ring is first attach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And the flange 218 is transferred to the approximately middle position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The flange 218 is moved to the inner bracket 213 side after the inner bracket 213, the sealing member 212 and the outer bracket 214 are fastened by the fastening rod 213a of the inner bracket 213, The inner bracket 213 and the sealing member 21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can be reduced to some extent in the state where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is fastened to the inner bracket 213.

도 5를 참조하면, 이너브라켓(213)과 실링부재(212)와 아우터브라켓(214)이을 체결된 상태에서 플랜지(218)가 이너브라켓(213)에 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 the flange 21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bracket 213 with the inner bracket 213, the sealing member 212, and the outer bracket 214 fastened together.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브라켓(213)의 양측에는 파이프 형상의 발열부(211)가 통과할 수 있는 발열부 삽입구(213c)가 형성되어 있으며, 발 열부 삽입구(213c)와 일체로 플랜지 장착구(213d)가 형성되어 있다.6, heat-generating-portion inserting holes 213c through which the pipe-shaped heat-generating portions 211 can pas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bracket 213, and the heat-generating-portion inserting holes 213c and the heat- A flange mounting hole 213d is integrally formed.

여기서, 상기 플랜지(218)가 발열부 삽입구(213c) 또는 플랜지 장착구(213d)를 채우게 할 수도 있다. 즉, 발열부 삽입구(213c)와 발열부(211) 사이에 형성된 틈 뿐만 아니라, 플랜지 장착구(213d)가 플랜지(218)에 의해 완전히 채워지게 됨으로써 발열부(211)가 이너브라켓(213)에서 움직일 수 있는 여유가 없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발열부(211)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플랜지(218)를 형성한다면 발열부 삽입구(213c)와 발열부(211) 사이의 틈을 더 확실히 채울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flange 218 may fill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nsertion port 213c or the flange mounting hole 213d. That is, not only the gap formed between the heat-generating-portion inserting hole 213c and the heat-generating portion 211 but also the flange mount 213d is completely filled with the flange 218 so that the heat- So that there is no margin for moving, an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from shaking. In this case, if the flange 218 is formed using silicon or the like, the gap between the heat-generating-portion inserting hole 213c and the heat-generating portion 211 can be more reliably filled.

만약, 상기 플랜지(218)가 링 형상이라면 플랜지 장착구(213d)를 별도로 형성지 않고 발열부 삽입구(213c)를 발열부(211)의 외경 보다 조금 크게 형성하여 플랜지(218)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flange 218 is in the shape of a ring, the flange mount 213d may not be formed separately, bu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nsertion port 213c may be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so that the flange 218 can pass therethrough. have.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 장착구(213d)가 발열부삽입구(213c)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즉, 거의 일자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는, 발열부 고정수단으로 플랜지(218)가 아닌 일자형 너트 등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즉, 발열부 고정수단의 변형예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한다.6, when the flange mount 213d is formed symmetrically (that is, almost straight) with respect to the heat-generating-portion inserting hole 213c, the flange 218 is fixed by the heat- It may be more effective to use a straight nut or the like. That is, modified examples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fixing mean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은 도 6에 따른 발열부 고정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에 따른 발열부 고정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according to FIG. 6,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example of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according to FIG.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은 발열부(211)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체결되는 체결부재(21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발열부(211) 일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나사산에 체결되는 너트(219)를 이너브라켓(213)을 향해 조임으로써 발열 부(211)와 이너브라켓(213)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is a fastening member 219 fastened along a thread formed on the heat generating unit 211. That is, when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and the nut 219 fastened to the thread is fastened toward the inner bracket 213, the joined state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and the inner bracket 213 is loose Can be prevented.

여기서,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219)으로 통상적인 육각 너트 등을 사용하기 보다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형 너트 또는 나비 너트(wing nu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육각 너트 등을 사용하면 너트를 조이기 위해 별도의 공구인 스패너 등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일자형 너트 또는 나비 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패너 등의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작업자가 손으로 충분히 강한 체결력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Here, it is preferable to use a straight nut or a wing nut as shown in FIG. 7, rather than using a normal hexagonal nut or the like as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219. The reason is that when a hexagon nut or the like is used, it is inconvenient to use a spanner or the like as a separate tool for tightening the nut.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straight nut or a butterfly nut, even if a fastener such as a spanner is not used, It is possible to apply a sufficiently strong fastening force.

상기 일자형 너트 내지 나비 너트(219)에는 발열부(211)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219b)이 내경부에 형성되어 있고, 외경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파지부(219a)가 형성되어 있다.A screw thread 219b is formed on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screw nut 219 so as to engage with the thread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A grip portion 219a is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portion so that the operator can hold the screw 219a by hand have.

한편, 상기 이너브라켓(213)에는 일자형 너트 내지 나비 너트(219)의 파지부(219a)가 통과할 수 있는 너트 관통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너트 관통부는 도 6에 도시된 플랜지 장착구(213d)와 비슷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비 너트(219)의 파지부(219a)가 대략 일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너트 관통부 역시 발열부 삽입구(213c)를 기준으로 대략 일자형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The inner bracket 213 may further include a nut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grip portion 219a of the flat nut 219 can pas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nut penetrating portion has a shape similar to the flange mounting hole 213d shown in FIG. Since the grip portion 219a of the butterfly nut 219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the nut penetration portion should also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with reference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nsertion port 213c.

이 때, 상기 너트 관통부(213d)는 발열부 삽입구(213c)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nut penetrating portion 213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nserting hole 213c, which can increase the productivity.

또한, 상기 일자형 너트 내지 나비 너트(219)와 이너브라켓(213) 사이에 탄성재질의 플랜지(218)를 더 장착함으로써, 너트(219)의 체결력을 더 높일 수도 있다. 이는, 나비 너트(219)를 조일 때 탄성재질의 플랜지(218)가 너트(219)와 발열 부(211) 사이로 밀려 들어가게 되어 너트(219)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Further, by attaching a flange 218 made of an elastic material between the flat nut 219 and the inner bracket 213, the fastening force of the nut 219 can be further increased. This is because an elastic material flange 218 is pushed between the nut 219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when the butterfly nut 219 is tightened to prevent the nut 219 from being loosened.

한편,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으로서 너트 외에 클램프 또는 핀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도 8에는,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클램프(220)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clamp, a pin, or the like may be applied to the heat generating portion fixing means in addition to the nut. In Fig. 8, a clamp 220 which can be used as the heating portion fixing means is shown.

상기 클램프(22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이며, 개구된 일측에는 체결부(220a)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부(220a)에는 볼트 등을 장착하기 위한 체결공(220b)이 형성되어 있다.The clamp 220 is cylindrical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a fastening part 220a is bent at one side of the opening. A fastening hole 220b for mounting a bolt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fastening portion 220a.

이러한 클램프(220)를 사용하면 이너브라켓(213)에 플랜지 장착구 또는 너트 관통부(213d)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너브라켓(213)과 아우터브라켓(214)이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이너브라켓(213)이 실링부재(212) 쪽으로 압착될 수 있도록 발열부(211)에 클램프(220)를 장착하면 된다.When the clamp 220 is use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flange mounting hole or the nut penetrating portion 213d in the inner bracket 213. When the inner bracket 213 and the outer bracket 21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lamp 220 may be mounted on the heat generating part 211 so that the pressing part 213 can be pressed toward the sealing member 212.

뿐만 아니라, 상기 발열부(211)에 핀홀(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핀홀에 핀(미도시)을 삽입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핀홀은, 상기 핀이 이너브라켓(213)을 실링부재(212) 쪽으로 충분히 밀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이너브라켓(213)과 아우터브라켓(214)이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이너브라켓(213)의 표면과 핀이 서로를 밀면서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핀홀을 형성한다.In addition, a pin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11 and a pin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pinhole. At this time, it is effective that the pi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pin can push the inner bracket 213 toward the sealing member 212 sufficiently. For this purpose, a pin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inner bracket 213 and the outer bracket 214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urface of the inner bracket 213 and the pin can contact each oth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지금까지는 드럼세탁기(100)의 증기발생장치(200)에 사용되는 히터(210)를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heater 210 used in the steam generator 200 of the drum washing machine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heater 210 may be used in other forms.

도 9는 도 3에 따른 히터를 적용한 의류처리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고, 도 10은 도 3에 따른 히터를 적용한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heater according to FIG. 3,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ed exampl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heater shown in FIG.

여기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터 또는 발열부가 장착된 드럼세탁기(100')가 개시된 도 9를 참조하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1)과, 캐비닛(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 또는 터브와(102), 저수조 또는 터브(10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세탁조 또는 드럼(103) 그리고, 저수조 또는 터브(102)와 세탁조 또는 드럼(103) 사이에 설치된 히터 또는 발열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100')가 개시되어 있다. 9, in which a heater or a hea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 drum washing machine 100 'includes a cabinet 101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washing tub or drum 103 rotatably disposed in the water tank or tub 102, a water storage tank or a tub 102 and a heater or a heating unit 103 install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or the tub 102 and the washing tub or drum 103, And a drum washing machine (100 ').

여기서, 상기 히터 또는 발열부(210')는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조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히터(210)와 동일하며, 캐비닛(101)과 터브(102)의 사이에 설치된 증기발생장치(200')에도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터(210)가 사용됨은 이미 살펴 보았다.The heater 210 or 210 'is for generating hot water and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heater 210 shown in FIGS. 4 to 8, and is disposed between the cabinet 101 and the tub 102 The heater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used in the installed steam generator 200 '.

한편,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히터 또는 발열부를 구비한 전자동 세탁기 또는 펄세이터 타입 세탁기가 도시된 도 10을 참조하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1')과, 캐비닛(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와(102'), 저수조(10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세탁조(103') 그리고, 저수조(102')와 세탁조(103') 사이에 설치된 히터 또는 발열부(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터 타입 세탁기(100'')가 개시되어 있다. 10, which shows a heater or a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1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cabinet 101' A washing tub 103 'that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water tub 102', and a heater or a heating unit 103 'installed between the water tub 102' and the washing tub 103 ' 210 ' ' '. < / RTI >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드럼과, 상기 터브와 상기 건조드럼 사이에 설치된 도 4 에 따른 히터를 포함하는 드럼 건조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um dryer including a cabinet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 drying drum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nd a heater according to FIG. 4 installed between the tub and the drying drum It is possible.

상기와 같은 발열부 고정수단을 구비한 히터를 사용함으로써 단자와 연결되는 히터온도퓨즈의 코킹 연결부가 끊기는 것을 방지하고, 의류처리장치용 히터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히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By using the heater having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as described above, the caulking connection portion of the heater thermal fuse connected to the terminal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ut off, reliability of the heater fo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be improved, and the service life of the heater can be extended.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용 히터는 드럼 세탁기, 펄세이터 타입 세탁기 및 드럼 건조기 뿐만 아니라, 건조 겸용 드럼세탁기 또는 복합세탁시스템,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It is apparent that the heater for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drum washing machine, a pulsator type washing machine and a drum dryer but also to various types of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uch as a dry type drum washing machine or a combined washing system and a refresher.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설명한 의류처리장치용 히터는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the heater for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a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minimal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grasped from various viewpoin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boundary for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but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히터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er used in a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도 2는 도 1에 따른 히터의 발열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generating portion of the heater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터를 적용한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a h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도 3에 따른 히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ater according to Fig. 3,

도 5는 도 3에 따른 발열부 고정수단이 장착된 히터의 일단을 도시한 도면,FIG. 5 is a view showing one end of a heater on which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according to FIG. 3 is mounted,

도 6은 도 3에 따른 이너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FIG. 6 is a view showing an inner bracket according to FIG. 3,

도 7은 도 6에 따른 발열부 고정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according to Fig. 6,

도 8은 도 6에 따른 발열부 고정수단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heat generating section fixing means according to FIG. 6,

도 9는 도 3에 따른 히터를 적용한 의류처리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heater according to Fig. 3 is applied,

도 10은 도 3에 따른 히터를 적용한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heater according to Fig. 3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100',100'': 의류처리장치 101,101': 캐비닛100, 100 ', 100' ':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01, 101': cabinet

102,102': 저수조 103,103': 세탁조102, 102 ': Water tank 103, 103'

200: 증기발생장치 210: 히터200: steam generator 210: heater

211: 발열부 212: 실링부재211: heat generating portion 212: sealing member

213: 이너 브라켓 213a: 발열부 삽입구213: Inner bracket 213a:

213b: 플랜지 장착구 214: 아우터 브라켓213b: flange mounting hole 214: outer bracket

218: 플랜지 219: 나비 너트218: flange 219: butterfly nut

220: 클램프220: Clamp

Claims (12)

히터온도퓨즈가 내장된 발열부;A heater having a heater thermal fuse;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아우터브라켓;An outer bracket form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상기 아우터브라켓의 일측에 밀착 설치된 실링부재; A sealing member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uter bracket; 상기 아우터브라켓과 마주 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브라켓과 체결되는 이너브라켓; 및An inner bracket closely attached to the sealing member to face the outer bracket and fastened to the outer bracket; And 상기 히터온도퓨즈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발열부 고정수단을 포함하고,And a heating unit fixing means for preventing the heater thermal fuse from being broken,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은,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상기 이너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부재와 마주보는 쪽의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플랜지; 및 A flange formed o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facing the seal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inner bracket; And 상기 플랜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이너브라켓에 형성된 플랜지 장착구;를 포함하여 상기 이너브라켓을 상기 실링부재와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And a flang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inner bracket to allow the flange to pass therethrough, wherein the inner bracke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히터온도퓨즈가 내장된 발열부;A heater having a heater thermal fuse;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아우터브라켓;An outer bracket formed i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상기 아우터브라켓의 일측에 밀착 설치된 실링부재; A sealing member close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outer bracket; 상기 아우터브라켓과 마주 보도록 상기 실링부재에 밀착되어, 상기 아우터브라켓과 체결되는 이너브라켓; 및An inner bracket closely attached to the sealing member to face the outer bracket and fastened to the outer bracket; And 상기 발열부가 상기 이너브라켓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발열부 고정수단;을 포함하고,And heat generating unit fixing means for preventing the heat generating unit from shaking in the inner bracket,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은, The heating unit fixing means 상기 이너브라켓을 기준으로 상기 실링부재와 마주보는 쪽의 상기 발열부에 장착되는 플랜지; 및 A flange mounted on the heat-generating portion on a side facing the sealing member with respect to the inner bracket; And 상기 플랜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이너브라켓에 형성된 플랜지 장착구;를 포함하여 상기 이너브라켓을 상기 실링부재와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And a flang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inner bracket to allow the flange to pass therethrough, wherein the inner bracke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발열부 고정수단은, 상기 발열부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체결되는 체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Wherein the heating portion fixing means is a fastening member fastened along a thread formed on the heat generating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플랜지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브라켓과 상기 아우터브라켓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이너브라켓을 상기 실링부재 쪽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Wherein the flang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presses the inner bracket toward the sealing member when the inner bracket and the outer bracket are connected.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플랜지 장착구는, 상기 이너브라켓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를 삽입하는 발열부 삽입구와 일체로 형성되며,Wherein the flange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nserting portion formed in the inner bracket for insert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상기 플랜지는 상기 플랜지 장착구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And the flange fills the flange mount. 제 4 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체결부재는 일자형 너트이며, 상기 이너브라켓에는 상기 너트가 통과할 수 있는 너트 관통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a straight nut, and the inner bracket further includes a nut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nut can pass. 제 8 항에 있어서,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너트 관통부는, 상기 이너브라켓에 형성되어 상기 발열부를 삽입하는 발열부 삽입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용 히터.Wherein the nut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t generating portion inserting portion formed in the inner bracket to insert the heat generating portion.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A cabinet defin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A water reservoir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세탁조; 및A washing tub rotatably disposed in the water tub; And 상기 캐비닛과 상기 저수조 사이에 설치된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의류처리장치용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heater fo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cabinet and the water storage tank.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A cabinet defin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수조;A water reservoir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세탁조; 및A washing tub rotatably disposed in the water tub; And 상기 저수조와 상기 세탁조 사이에 설치된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의류처리장치용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heater fo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provid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and the washing tub.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A cabinet defin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건조드럼; 및A drying drum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nd 상기 터브와 상기 건조드럼 사이에 설치된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의류처리장치용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And a heater fo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installed between the tub and the drying drum.
KR1020070089174A 2007-09-03 2007-09-03 A heater for clothes handling device and clothes handl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379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74A KR101437968B1 (en) 2007-09-03 2007-09-03 A heater for clothes handling device and clothes handling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174A KR101437968B1 (en) 2007-09-03 2007-09-03 A heater for clothes handling device and clothes handling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002A KR20090024002A (en) 2009-03-06
KR101437968B1 true KR101437968B1 (en) 2014-09-05

Family

ID=4069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174A KR101437968B1 (en) 2007-09-03 2007-09-03 A heater for clothes handling device and clothes handling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96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907A (en) 2022-02-15 2023-08-22 김진두 Heating device for clothing management
KR20230125942A (en) 2022-02-22 2023-08-29 김진두 Hea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KR20230128727A (en) 2022-02-28 2023-09-05 김진두 Heating device for clothing management
KR20230128726A (en) 2022-02-28 2023-09-05 김진두 Heating device for clothing manag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591B1 (en) * 2018-01-08 2019-08-09 안숙희 Flange type heating unit
CN111765246A (en) * 2019-03-26 2020-10-13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Sealing structure, washing machine and heater assembling method
KR20240009666A (en) * 2022-07-14 2024-01-23 주식회사 디에스더블유 Heating device for dishwasher and clothing manag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6569A1 (en) * 1992-02-14 1993-08-19 Strix Limited Immersion heaters
KR20060120929A (en)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heater of washing machine
KR20070052468A (en) * 2005-11-17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ting device, and steam generator and home applian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16569A1 (en) * 1992-02-14 1993-08-19 Strix Limited Immersion heaters
KR20060120929A (en) * 2005-05-23 2006-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heater of washing machine
KR20070052468A (en) * 2005-11-17 2007-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ting device, and steam generator and home appliance us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2907A (en) 2022-02-15 2023-08-22 김진두 Heating device for clothing management
KR20230125942A (en) 2022-02-22 2023-08-29 김진두 Hea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KR20230128727A (en) 2022-02-28 2023-09-05 김진두 Heating device for clothing management
KR20230128726A (en) 2022-02-28 2023-09-05 김진두 Heating device for clothing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002A (en) 200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968B1 (en) A heater for clothes handling device and clothes handling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199353A1 (en) Steam generator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US20040134093A1 (en) Igniter and dryer therewith
KR20040026888A (en) Drum-type washing machine with hose for draining water in gasket
KR20130043436A (en) Accessary for a clothes dryer
EP2342376B1 (en) Packing spacer for washing machines
KR200470875Y1 (en) folding stand for laundry
KR100808402B1 (en) Branch sleeve of distribution line
ES2281263A1 (en) System for anchoring an oscillating unit of a washer
US11408117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090064731A1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dry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1774080B1 (en) Spacer device
KR20050042932A (en) Drying machine and dry cleaning method thereof
US20030136031A1 (en) Steam iron
KR200397087Y1 (en) structure for mounting temperature sensor of apparatus for spraying steam in drum type washer
KR200419452Y1 (en) Shoes type case for iron
KR101684966B1 (en) Steam generator and Wahs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574259B1 (en) Hanger Type Laundry Treating Machine Comprising Steam Generating Part
KR0133325Y1 (en) A hanger of power supply plug for a washing machine
KR101706939B1 (en) Steam generator and Wahs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0407969Y1 (en) An Aron of Scissors Forming Having Steam Output Ability
ITRN20090036A1 (en) DRYER AND DRYING METHOD.
KR101872650B1 (en) Narrow board to divide collar seam
KR20110004744A (en) Steam feeder for dryer
KR101147738B1 (en) combine structure of inlet-duct and heater-case for clothes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