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963B1 - 캠핑카 - Google Patents

캠핑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963B1
KR101437963B1 KR1020140101164A KR20140101164A KR101437963B1 KR 101437963 B1 KR101437963 B1 KR 101437963B1 KR 1020140101164 A KR1020140101164 A KR 1020140101164A KR 20140101164 A KR20140101164 A KR 20140101164A KR 101437963 B1 KR101437963 B1 KR 10143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member
loading chamber
vehicle body
support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석
Original Assignee
(주) 태화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태화정공 filed Critical (주) 태화정공
Priority to KR102014010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60S9/0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of screw-and-nu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카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차체 양측에 슬라이딩 또는 여닫이 형태의 출입도어(1)가 마련되고, 후방에 내부와 통하는 테일게이트(2)가 구비되며, 운전석과 조수석을 제외한 차체의 실내공간부(3)에는 실내측 공간을 확장사용하기 위해 다용도의 내부 적재실(100)이 차체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출몰하게 구비된 캠핑카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적재실(100)을 수용하는 차체의 실내공간부(3)의 내측 벽에는 미사용시 내부적재실의 외측과 간섭되지 않게 폴딩되어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실내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를 갖는 형태로 펼쳐지는 제1접이부재(10)와, 상기 내부 적재실(100) 내에는 미사용시 내부 적재실의 내측 벽으로 폴딩되어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내부 적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접이부재(10)와 동일높이로 펼쳐지는 제2접이부재(20)와, 상기 내부 적재실(100)에 구비되어 펼쳐진 제2접이부재(20)의 하부 받침 및 탁상용도로 사용하는 테이블(30)과, 상기 내부 적재실(100)의 후방 하부 양측에 출몰 및 출몰된 상태에서 일측이 직각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차체 후방으로 인출된 내부 적재실의 하부를 지면으로 받쳐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재(40)와, 상기 다리부재(4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체결 설치되어 연장되는 연장다리(50)를 구비하여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바, 차량의 후방으로 내부적재실을 인줄시키고, 이를 안정적으로 다리부재와 연장다리로서 내부적재실의 후방을 지면으로부터 받쳐줌으로서, 기본적인 차량실내공부와 내부 적재실의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간부측의 제1접이부재, 내부 적재실 내부의 제2접이부재 및 테이블을 이용하여 식탁, 의자, 침상 등으로 각각 용도에 맞게 변경, 사용함으로써, 캠핑카의 활용 목적, 일반 승합, 화물운반용의 차량으로 다양하게 변경시켜 사용할 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캠핑카{Camping car}
본 발명은 캠핑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일반승합차량의 후방측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승합차량을 이용한 업무수행이 가능하고, 캠핑용으로 사용할 때 후방 측으로 인출시킨 후 차체 실내 내부 및 내부 적재실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침상(쇼파)으로 사용하거나 접어서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공간확보 용도로 변경하는 캠핑카 용도와 일반업무차량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캠핑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여가생활, 취미 등의 목적으로 캠핑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장비들의 보급이 향상되면서, 각종 캠핑장비를 구입하여 직접 텐트, 타프를 쳐서 주거공간을 만들거나, 혹은 캠핑전용으로 모든 편의 시설이 실내에 갖추어진 캐러반을 이용하거나 혹은 텐트를 포함하여 테이블, 의자, 기타 장비들이 세팅된 글램핑시설을 갖춘 캠핑장을 통해 캠핑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캠핑카는 전용으로 제작된 차량만이 법적으로 허용되어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법적으로 승합차량의 개조가 가능해짐에 따라 일반 승합차량을 캠핑카로 제조가 붐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캠핑카로 개조(튜닝)하는 작업은 시장규모가 국내는 연 5000억원 정도로 예상되고 있고, 선진국인 미국은 35조원, 독일은 23조원으로 많은 일자리 창출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법에 준하여 개조하는 추세가 늘어날 전망이다.
대부분의 캠핑카로서 적합하게 개조할 수 있는 차량은 10인 이상의 승합차를 기준으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탑차 차량으로, 침대나 소파를 설치할 때에는 소화기, 환기장치 등을 갖추면 승인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캠핑카와 관련한 선행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1318호(명칭: 캠핑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캠핑카를 살피면 차량 내부에 형성되며, 차량의 백도어를 향하여 바닥에 레일이 형성된 캠핑 박스 적재부와, 저면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바퀴와, 상기 저면의 폭 방향 중심에 길게 형성되며 라운드 형태의 요부와 철부가 교대로 반복 형성된 랙바를 포함하는 캠핑 박스와, 상기 캠핑 박스 적재부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의 백도어를 향하여 신장 또는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캠핑 박스와 접촉하는 유압식 이송부와, 상기 캠핑 박스 적재부에 형성되 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랙바와 치합하는 이송 벨트를 포함하는 전동식 이송부와, 상기 유압식 이송부 및 상기 전동식 이송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압식 이송부가 상기 캠핑 박스가 정지된 상태에서 기준 이동거리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유압식 이송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캠핑 박스가 상기 기준 이동거리를 지난 후에는 상기 전동식 이송부가 상기 캠핑 박스를 이송시키도록 상기 전동식 이송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캠핑카는 캠핑박스적재부를 인출시키는 구동부를 특정하는 것으로, 유압식 이동부와 전동식 이동부로서 캠핑박스를 차체로부터 전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즉,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동력을 전동식으로 전환시켜 이송벨트가 랙바에 치합되어 모터의 회전구동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캠핑박스를 출몰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캠핑카의 캠핑박스는 전후 이동상태에서 전동식 이동부에 의한 캠핑박스의 이동시 이송벨트와 랙바의 마찰에 의한 소음이 큰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아울러 캠핑박스 내부의 시설에 대한 언급은 생략되어 있지만, 캠핑박스 내부에만 시설할 수 있는 것으로, 캠핑박스의 내부 시설에만 한정되기 때문에 전반적인 내부공간 활용의 필요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일반승합차량의 후방측으로 인출되도록 하여 승합차량을 이용한 업무수행이 가능하고, 캠핑용으로 사용할 때 후방 측으로 인출시킨 후 차체 실내 내부 및 내부 적재실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침상(쇼파)으로 사용하거나 접어서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공간확보 용도로 변경하는 캠핑카 용도와 일반업무차량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캠핑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차체 양측에 슬라이딩 또는 여닫이 형태의 출입도어가 마련되고, 후방에 내부와 통하는 테일게이트가 구비되며, 운전석과 조수석을 제외한 차체의 실내공간부에는 실내측 공간을 확장사용하기 위해 다용도의 내부 적재실이 차체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출몰하게 구비된 캠핑카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적재실을 수용하는 차체의 실내공간부의 내측 벽에는 미사용시 내부적재실의 외측과 간섭되지 않게 폴딩되어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실내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를 갖는 형태로 펼쳐지는 제1접이부재와, 상기 내부 적재실 내에는 미사용시 내부 적재실의 내측 벽으로 폴딩되어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내부 적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접이부재와 동일높이로 펼쳐지는 제2접이부재와, 상기 내부 적재실에 구비되어 펼쳐진 제2접이부재의 하부 받침 및 탁상용도로 사용하는 테이블과, 상기 내부 적재실의 후방 하부 양측에 출몰 및 출몰된 상태에서 일측이 직각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차체 후방으로 인출된 내부 적재실의 하부를 지면으로 받쳐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재와, 상기 다리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체결 설치되어 연장되는 연장다리를 구비하여 구성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 적재실은 하부에 가이드턱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부 적재실을 수용하는 차체의 실내측 내부 양측 하부에는 내부 적재실의 가이드턱을 전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적재실의 저부 일측에는 작동로드의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작동로드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의 차체 하부에 마련되는 유압실린더 및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유통하는 유압공급수단이 차체 내에 설치되어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내부 적재실의 출몰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 적재실의 선단은 출입도어의 개방시 내부로 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그 전장길이에 있어, 상부보다 하부측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양측은 후방으로 함몰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장다리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나사체결봉의 단부에 지면에 받쳐지는 받침판이 부착되고, 나사체결봉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다리부재로부터 나사체결봉에 바를 관통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바꽂이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접이부재가 위치하는 실내공간부의 바닥면에는 제1접이부재의 단부를 받쳐 제1접이부재의 폴딩된 일측을 경사지게 세우기 위한 지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접이부재 중 어느 하나의 제1접이부재의 양측에는 차량의 실내공간부 바닥면에 받쳐지는 지지다리가 폴딩되는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대측 제1접이부재의 단부를 받치기 위한 지지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접이부재는 차체 내부에 마련되는 힌지부재에 의해 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기 힌지부재는 실내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되는 지지대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된 힌지편과 제1접이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편이 일치되어 볼트와 너트로서 상기 장공을 통해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부 적재실의 내부 양측면에는 제2접이부재의 설치를 위한 받침턱이 마련되고, 상기 제2접이부재는 받침턱상에 마련되는 힌지브라켓에 의해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접이부재의 저부 일측에는 제2접이부재를 내부 적재실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세워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브라켓에는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브라켓을 받쳐 제2접이부재를 세워주는 받침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테이블은 상판과, 상판의 저부 4지점에 수직으로 연결되되며, 저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다리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 적재실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홈을 고정하는 고정돌부가 4지점 형성되어 내부 적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는 차량의 후방으로 내부적재실을 인줄시키고, 이를 안정적으로 다리부재와 연장다리로서 내부적재실의 후방을 지면으로부터 받쳐줌으로서, 기본적인 차량실내공부와 내부 적재실의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간부측의 제1접니부재, 내부 적재실 내부의 제2접이부재 및 테이블을 이용하여 식탁, 의자, 침상 등으로 각각 용도에 맞게 변경, 사용함으로써, 캠핑카의 활용 목적, 일반 승합, 화물운반용의 차량으로 다양하게 변경시켜 사용할 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캠핑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서 내부 적재실이 인출되는 상태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내부 적재실의 후방을 지면에 다리부재 및 연장다리로 받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내부 적재실의 후방으로부터 다리부재가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서 다리부재를 인출하여 지면으로부터 직각되게 세우 지지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적재실이 차량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제1접이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서 제1접이부재를 펼쳐 받친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 제1접이부재를 의자로 변경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8의 B-B선 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도 14에서 제2접이부재 및 제2접이부재를 펼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양측에 적어도 슬라이딩 또는 여닫이 형태의 출입도어(1)가 마련되고, 후방에 내부와 통하는 테일게이트(2)가 구비되며, 운전석과 조수석을 제외한 차체의 실내공간부(3)에는 실내측 공간을 확장사용하기 위해 다용도의 내부 적재실(100)이 차체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출몰하게 구비된 캠핑카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적재실(100)을 수용하는 차체의 실내공간부(3)의 내측 벽에는 미사용시 내부적재실의 외측과 간섭되지 않게 폴딩되어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실내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를 갖는 형태로 펼쳐지는 제1접이부재(10)와, 상기 내부 적재실(100) 내에는 미사용시 내부 적재실의 내측 벽으로 폴딩되어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내부 적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접이부재(10)와 동일높이로 펼쳐지는 제2접이부재(20)와, 상기 내부 적재실(100)에 구비되어 펼쳐진 제2접이부재(20)의 하부 받침 및 탁상용도로 사용하는 테이블(30)과, 상기 내부 적재실(100)의 후방 하부 양측에 출몰 및 출몰된 상태에서 일측이 직각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차체 후방으로 인출된 내부 적재실의 하부를 지면으로 받쳐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재(40)와, 상기 다리부재(4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체결 설치되어 연장되는 연장다리(5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캠핑카에 있어, 상기 내부 적재실(100)은 하부에 가이드턱(10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부 적재실(100)을 수용하는 차체의 실내측 내부 양측 하부에는 내부 적재실의 가이드턱(101)을 전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1)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적재실의 저부 일측에는 작동로드(61)의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작동로드(61)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의 차체 하부에 마련되는 유압실린더(60) 및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유통하는 유압공급수단(70)이 차체 내에 설치되어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내부 적재실(100)의 출몰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도면상에서는 미도시하였지만 상기 가이드레일(11)은 ㄷ자 형의 형강으로, 상기 내부 적재실의 가이드턱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롤러가 다수개 설치되어 내부 적재실의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체 내에 설치되는 내부 적재실(100)의 형상은 사각 터널형상으로 선단은 출입도어(1)의 개방시 내부로 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그 전장길이에 있어, 첨부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보다 하부측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양측은 후방으로 함몰지게 형성되며, 후방에 상기 테일게이트(2)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 적재실(100)의 후방에 마련된 상기 연장다리(50)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나사체결봉(51)의 단부에 지면에 받쳐지는 받침판(52)이 부착되고, 나사체결봉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다리부재(40)로부터 나사체결봉(51)에 바를 관통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바꽂이공(51a)이 마련된다.
상기 다리부재(40)는 환봉형으로 상기 나사체결봉(51)과 체결되도록 내경에 암나사(41)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에는 힌지축이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접이부재(10)는 차체 내부에 마련되는 힌지부재(13)에 의해 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기 힌지부재(13)는 실내공간부(3)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되는 지지대(13a)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장공(13b)이 형성된 힌지편(13c)과 제1접이부재(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편(10a)이 일치되어 볼트와 너트로서 상기 장공을 통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제1접이부재(10) 중 어느 하나의 제1접이부재의 양측에는 차량의 실내공간부(3) 바닥면에 받쳐지는 지지다리(12)가 폴딩되는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대측 제1접이부재(10)의 단부를 받치기 위한 지지편(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
상기 장공(13b)의 형성은 2단으로 경첩에 의해 접이가 이루어지는 제1접이부재(10)들을 실내공간부에서 상호 마주하는 형태로 각각 펼침에 있어, 어느하나의 제1접이부재측 지지편(14)에 상대측 제1접이부재(10)의 단부가 안착되는 상태에서 제1접이부재간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접이부재(10)가 위치하는 실내공간부(3)의 바닥면에는 제1접이부재(10)의 단부를 받쳐 제1접이부재(10)의 폴딩된 일측을 경사지게 세우기 위한 지지턱(3a)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적재실(100)의 내부 양측면에는 제2접이부재(20)의 설치를 위한 받침턱(102)이 마련된다.
상기 제2접이부재(20)는 받침턱상에 마련되는 힌지브라켓(22)에 의해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접이부재의 저부 일측에는 제2접이부재를 내부 적재실(10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세워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24)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브라켓(22)에는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브라켓(24)을 받쳐 제2접이부재(20)를 세워주는 받침바(26)가 구비된다.
상술한 제1접이부재 및 제2접이부재는 직사각형으로 제작된 철재프레임에 쇼파나 의자로서 활용가능하도록 쿠션재를 적용한 것으로, 상기 쿠션재는 철채프레임보다 돌출되는 형태로 철재프레임측에 부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내부 적재실(100)에 구비되는 상기 테이블(30)은 상판(31)과, 상판(31)의 저부 4지점에 수직으로 연결되되며, 저부에 고정홈(32a)이 형성된 다리(32)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 적재실(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홈(32a)을 고정하는 고정돌부(103)가 4지점 형성되어 내부 적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차량의 운행시 테이블(30)이 내부 절재실로부터 이동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캠핑카의 사용상에 따른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는 승합 혹은 밴형으로 차량을 운행하고, 본 발명의 주요 사용목적과 같이 차체의 후방측으로 내부 적재실(100)을 인출시켜 차체의 실내공간부(3)와 내부 적재실(100)이 하나의 터널형태가 되도록 연장하여 사용한다.
상기 내부 적재실(100)의 인출은 차체측에 설치된 유압공급수단(70)을 구동하여 유압을 차체의 하부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60)의 작동로드(61)를 전진시킴으로써, 작동로드(61)에 연결된 내부 적재실(1000의 하부 양측 가이드턱(101)은 차체 실내공간부(3)의 내부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내부 적재실(100)이 인출된 상태는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인출이 시작되고,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더 이상의 내부 적재실(100)이 인출되는 최대 한계점에서 내부 적재실(100)의 후방 양측에 마련된 다리부재(40)를 별도로 인출해준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재(40)에는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서 연장다리(50)를 구성하는 나사체결봉(51)을 체결한 다음 내부 적재실(100)에서 후방으로 당겨 인출시켜 준다(첨부 도면 도 4 내지 도 7 참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인출된 다리부재(40)를 하향으로 위치시키면 상기 다리부재(40)는 힌지부를 축으로 회동되어 직각으로 위치시켜 주면, 나사체결봉(51)의 일단에 설치된 받침판(52)이 지면을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나사체결봉(51)에 형성된 바꽂이공(51a)에 환봉형의 바를 관통하여 다리부재(40)로부터 나사체결봉(510을 풀림 상태 혹은 체결상태로 회전시켜 상기 받침판(52)이 지면에 밀착되어 상대적으로 내부 적재실(100)의 후방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형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내부 적재실(100)을 차량의 후방에 인출하여 안정된 상태로 위치시켜 놓을 수 있는 것으로, 차량의 실내공간부(3)와 내부 적재실(100)의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 적재실(100)이 차량의 후미로 인출된 상태는 실내공간부(3)의 좌우 측벽에 위치한 제1접이부재(10)를 힌지부재(13)를 축으로 회동시켜 펼쳐줌으로써, 침상과 같이 만들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좌우측의 제1접이부재(10)를 펼치되, 도면을 기준하였을때, 우측에 위치한 제1접이부재(10)를 펼치고, 이때 제1접이부재에 측부에 마련된 지지다리(12)를 펼쳐 직각으로 세워준다. 상기와 같이 먼저 작업된 제1접이부재의 길이방향 하측에는 지지편(14)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대측 제1접이부재를 펼치면서, 그 하단부를 상기 지지편(14)에 안착시켜 주면, 좌우측의 제1접이부재(10)는 모두 수평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제1접이부재(10)는 연결편(10a)이 힌지부재(13)를 구성하는 지지대(13a)측의 힌지편(13c)측 장공(13b)을 통해 볼트와 너트의 체결로서 연결되어 있으면서 상기 장공(13b)의 범위에서 이들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줌으로써, 좌우측의 제1접이부재(10)가 위치한 단부측 틈새 사이를 최소화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이는 제1접이부재(10)사이의 간극을 최대한 없애 줌으로서 안정된 침상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접이부재(10)는 각각 경첩을 통해 2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일 예로, 첨부된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를 실내공간부(3)의 바닥면에 형성한 지지턱(3a)에 받쳐 경사진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의자 형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때 종아리부분을 받쳐줌으로써,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접이부재(10)의 사용은 양측 혹은 어느 일측 만을 사용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차량의 실내공간부(3)의 좌우 측벽에 세워둘 수 있으며, 이는 내부 적재실(100)이 전후 이동함에 있어서 간섭되지 않는 범위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접이부재(10)에 대응되는 제2접이부재(20)는 내부 적재실(100)의 내측벽면에서 세워진 형태로 유지시키거나 제1접이부재(10)와 같이 좌우측 모두를 평평하게 평쳐 침상을 연장하거나 혹은 어느 하나의 제2접이부재(20)만을 펼쳐 의자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접이부재(20)를 평평하게 받치기 위해서는 내부 적재실(100)의 내측 받침턱(102)에 고정된 힌지브라켓(22)으로부터 받침바(26)를 상기 제2접이부재(20)의 저부측의 지지브라켓(24)으로부터 해제시킨 상태에서 상기 힌지브라켓(22)을 축으로 회동시켜 일부는 받침턱(102)에 안착되게 하고, 또 다른 일측은 상기 내부 적재실(100)에 별도로 구비된 테이블(30)을 이용하여 제2접이부재(20)의 저부를 받치는 형태가 되게 펼쳐서 사용한다.
참고로 상기 받침바(26)의 일단은 환봉형으로 지지축이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브라켓(24)은 고정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일측이 개방된 직각부를 두어 상기 지지축이 안내된 상태에서 제2접이부재(20)를 수직으로 세진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제2접이부재(20)를 좌우측 모두 펼쳐놓되, 상기 테이블(30)을 제2접이부재(20)가 상호 평행하는 저면측 중간에 위치시켜 줌으로써, 안정된 침상으로 변경가능하며, 상기 제2접이부재(20)는 제1접이부재(10)와 평행하여 길이가 긴 침상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테이블(30)은 평상시 내부 적재실(100)의 바닥면에 마련된 고정돌부(103)에 받침다리(32)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32a)이 안내되어 차량의 이동시에도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테이블(30)은 본 발명의 캠핑카에서 사용시 식탁 용도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면서, 상기 제2접이부재(20)를 받치는 받침상의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차량의 실내공간부(3) 및 내부 적재실(100)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캠핑에서 외부에 간섭받지않는, 캠핑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다리부재(40)로부터 연장다리(50)를 역순으로 해체하고, 다리부재(40)는 다시 내부 적재실(100)의 내부측으로 수용한 다음, 내부 적재실을 차량의 실내공간부(3)로 이동시키고,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60)의 작동을 정지시켜 줌으로써, 일반 승합차량 및 화물운반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출입도어 2: 테일케이트
3: 실내공간부 3a: 지지턱
10: 제1접이부재 10a: 연결편
11: 가이드레일 12: 지지다리
13: 힌지부재 13a: 지지대
13b: 장공 13c: 힌지편
14: 지지편 20: 제2접이부재
22: 힌지브라켓 24: 지지브라켓
26: 받침바 30: 테이블
31: 상판 32: 받침다리
32a: 고정홈 40: 다리부재
41: 암나사부 50: 연장다리
51: 나사체결공 51a: 바꽂이공
52: 받침판 60: 유압실린더
61: 작동로드 70: 유압공급수단
100: 내부 적재실 101: 가이드턱
102: 받침턱 103: 고정돌부

Claims (9)

  1. 차량의 차체 양측에 슬라이딩 또는 여닫이 형태의 출입도어(1)가 마련되고, 후방에 내부와 통하는 테일게이트(2)가 구비되며, 운전석과 조수석을 제외한 차체의 실내공간부(3)에는 실내측 공간을 확장 사용하기 위해 다용도의 내부 적재실(100)이 차체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출몰하게 구비된 캠핑카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적재실(100)을 수용하는 차체의 실내공간부(3)의 내측 벽에는 미사용시 내부적재실의 외측과 간섭되지 않게 폴딩되어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실내공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 높이를 갖는 형태로 펼쳐지는 제1접이부재(10)와,
    상기 내부 적재실(100) 내에는 미사용시 내부 적재실의 내측 벽으로 폴딩되어 고정되고 사용시에는 내부 적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제1접이부재(10)와 동일높이로 펼쳐지는 제2접이부재(20)와,
    상기 내부 적재실(100)에 구비되어 펼쳐진 제2접이부재(20)의 하부 받침 및 탁상용도로 사용하는 테이블(30)과,
    상기 내부 적재실(100)의 후방 하부 양측에 출몰 및 출몰된 상태에서 일측이 직각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차체 후방으로 인출된 내부 적재실의 하부를 지면으로 받쳐 지지하기 위한 다리부재(40)와,
    상기 다리부재(4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체결 설치되어 연장되는 연장다리(50)를 구비하여 구성된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적재실(100)은 하부에 가이드턱(10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내부 적재실(100)을 수용하는 차체의 실내측 내부 양측 하부에는 내부 적재실의 가이드턱(101)을 전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레일(11)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적재실의 저부 일측에는 작동로드(61)의 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작동로드(61)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의 차체 하부에 마련되는 유압실린더(60) 및 유압실린더에 유압을 유통하는 유압공급수단(70)이 차체 내에 설치되어 차체의 후방으로부터 내부 적재실(100)의 출몰이 이루어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적재실(100)의 선단은 출입도어(1)의 개방시 내부로 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그 전장길이에 있어, 상부보다 하부측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고, 양측은 후방으로 함몰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다리(50)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나사체결봉(51)의 단부에 지면에 받쳐지는 받침판(52)이 부착되고, 나사체결봉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다리부재(40)로부터 나사체결봉(51)에 바를 관통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바꽂이공(51a)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부재(10)가 위치하는 실내공간부(3)의 바닥면에는 제1접이부재(10)의 단부를 받쳐 제1접이부재(10)의 폴딩된 일측을 경사지게 세우기 위한 지지턱(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부재(10) 중 어느 하나의 제1접이부재의 양측에는 차량의 실내공간부(3) 바닥면에 받쳐지는 지지다리(12)가 폴딩되는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대측 제1접이부재(10)의 단부를 받치기 위한 지지편(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이부재(10)는 차체 내부에 마련되는 힌지부재(13)에 의해 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기 힌지부재(13)는 실내공간부(3)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되는 지지대(13a)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장공(13b)이 형성된 힌지편(13c)과 제1접이부재(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편(10a)이 일치되어 볼트와 너트로서 상기 장공을 통해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적재실(100)의 내부 양측면에는 제2접이부재(20)의 설치를 위한 받침턱(102)이 마련되고, 상기 제2접이부재(20)는 받침턱(102)상에 마련되는 힌지브라켓(22)에 의해 양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접이부재의 저부 일측에는 제2접이부재를 내부 적재실(10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세워 지지하기 위한 지지브라켓(24)이 구비되며, 상기 힌지브라켓(22)에는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브라켓(24)을 받쳐 제2접이부재(20)를 세워주는 받침바(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30)은 상판(31)과, 상판(31)의 저부 4지점에 수직으로 연결되되며, 저부에 고정홈(32a)이 형성된 다리(32)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 적재실(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홈(32a)을 고정하는 고정돌부(103)가 4지점 형성되어 내부 적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
KR1020140101164A 2014-08-06 2014-08-06 캠핑카 KR10143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164A KR101437963B1 (ko) 2014-08-06 2014-08-06 캠핑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164A KR101437963B1 (ko) 2014-08-06 2014-08-06 캠핑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963B1 true KR101437963B1 (ko) 2014-09-12

Family

ID=5175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164A KR101437963B1 (ko) 2014-08-06 2014-08-06 캠핑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963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04B1 (ko) * 2014-10-28 2015-03-03 (주) 태화정공 캠핑카용 테일게이트의 힌지브라켓트
KR102035967B1 (ko) * 2019-03-20 2019-10-23 윤용안 차량 내부용 접이식 침대장치
KR20200050528A (ko) * 2018-11-02 2020-05-12 김도우 가변형 침상을 구비하는 캠핑카
KR20200064554A (ko) 2018-11-29 2020-06-08 남상학 공간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캠핑카
KR20200127104A (ko) 2019-04-30 2020-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간 확장이 가능한 차량
KR102290671B1 (ko) * 2020-11-10 2021-08-17 이병직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캠핑카
KR20220010593A (ko) 2020-07-18 2022-01-25 박병혁 스페어타이어 공간에 샤워 트레이를 만든 밴형 승합 캠핑카
EP3950426A1 (de) * 2020-08-08 2022-02-09 Marcel Graf Campingbox
KR20230005542A (ko) 2021-07-01 2023-01-10 나찬배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
KR102590689B1 (ko) * 2023-05-11 2023-10-20 주식회사 캠퍼랩 캠핑카용 접이식 가구
KR20240001529A (ko) 2022-06-27 2024-01-03 주식회사 프로스코 인출형 캠핑 하우스를 가지는 캠핑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825A (ja) * 1995-11-02 1997-05-13 Hiroshi Sugihara 後部伸張機能付き自動車
JPH1134728A (ja) * 1997-07-22 1999-02-09 Muroga Yoshihisa 車両後部構造
JP2000052845A (ja) 1998-08-11 2000-02-22 Masao Jibiki キャンピングカー
KR200217821Y1 (ko) 2000-10-09 2001-03-15 백승복 적재함에 테이블이 장착된 레저용 차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3825A (ja) * 1995-11-02 1997-05-13 Hiroshi Sugihara 後部伸張機能付き自動車
JPH1134728A (ja) * 1997-07-22 1999-02-09 Muroga Yoshihisa 車両後部構造
JP2000052845A (ja) 1998-08-11 2000-02-22 Masao Jibiki キャンピングカー
KR200217821Y1 (ko) 2000-10-09 2001-03-15 백승복 적재함에 테이블이 장착된 레저용 차량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04B1 (ko) * 2014-10-28 2015-03-03 (주) 태화정공 캠핑카용 테일게이트의 힌지브라켓트
KR20200050528A (ko) * 2018-11-02 2020-05-12 김도우 가변형 침상을 구비하는 캠핑카
KR102184415B1 (ko) * 2018-11-02 2020-11-30 김도우 가변형 침상을 구비하는 캠핑카
KR20200064554A (ko) 2018-11-29 2020-06-08 남상학 공간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캠핑카
KR102035967B1 (ko) * 2019-03-20 2019-10-23 윤용안 차량 내부용 접이식 침대장치
US11241993B2 (en) 2019-04-30 2022-02-08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with expandable space
KR20200127104A (ko) 2019-04-30 2020-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간 확장이 가능한 차량
KR20220010593A (ko) 2020-07-18 2022-01-25 박병혁 스페어타이어 공간에 샤워 트레이를 만든 밴형 승합 캠핑카
EP3950426A1 (de) * 2020-08-08 2022-02-09 Marcel Graf Campingbox
KR102290671B1 (ko) * 2020-11-10 2021-08-17 이병직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 캠핑카
KR20230005542A (ko) 2021-07-01 2023-01-10 나찬배 샤워 기능을 갖는 승합차 캠핑카
KR20240001529A (ko) 2022-06-27 2024-01-03 주식회사 프로스코 인출형 캠핑 하우스를 가지는 캠핑카
KR102590689B1 (ko) * 2023-05-11 2023-10-20 주식회사 캠퍼랩 캠핑카용 접이식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963B1 (ko) 캠핑카
US6644708B1 (en) Reconfigurable drop panels for a vehicle cargo bed
US5639141A (en) Recreational vehicle having convertible frontal seating to provide dinette and sleeping facilities
US8424946B2 (en) Table and chair(s) removable from an automotive vehicle
US20160200260A1 (en) Hidden storage box and multi-purpose utility table for light pickup trucks
US6290284B1 (en) Travel trailer with extendable two level bathroom and bedroom
US9604564B1 (en) Sleeping compartment for a recreational vehicle
US20110156419A1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US3946678A (en) Convertible vehicle platform and shelf apparatus
CN206704082U (zh) 上下车辅助装置及汽车
KR101512056B1 (ko) 캠핑카용 인출식 내부적재실의 받침구조
DE102021115128B4 (de) Fahrzeug mit umgebautem Innenraum
US2719054A (en) Trailer end gate construction
CA2954581C (en) Expandable habitation unit
RU2686789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доступа к переднему участку области хранения
CN210234742U (zh) 商用车卧具
US1476051A (en) Body for automobiles
RU203010U1 (ru) Платформа-трансформер багажного и пассажирского отделений автомобиля
US1285794A (en) Camping-wagon.
US3083047A (en) Multi-functional motor vehicle
AU2007216838A1 (en) A vehicle body and a vehicle
US3635516A (en) Fixtures for telescoping trailers
RU2582008C1 (ru) Автомобиль, складывающийся п-образно
RU83463U1 (ru) Раздвижной автофургон
CN217170542U (zh) 带助力仓功能的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