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476B1 -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476B1
KR101437476B1 KR1020120040996A KR20120040996A KR101437476B1 KR 101437476 B1 KR101437476 B1 KR 101437476B1 KR 1020120040996 A KR1020120040996 A KR 1020120040996A KR 20120040996 A KR20120040996 A KR 20120040996A KR 101437476 B1 KR101437476 B1 KR 101437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de structure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087A (ko
Inventor
최대규
Original Assignee
최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규 filed Critical 최대규
Priority to KR102012004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47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효율을 증진시킴은 물론 포화된 충전에 따른 전극구조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실리콘(S)을 주성분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로써, 중앙에 심재(C)를 구비하고, 상기 심재(C)의 외주면에 실리콘층(S)이 형성되고. 상기한 심재(C)의 외주면에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가 도포된 탄소나노튜브층(9)이 형성된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7)와, 상기 전극재료(7)들이 적층배열된 전극구조체와, 상기 전극구조체를 음극(3)으로 하고, 전해질 및 양극(4)을 포함하고, 리튬의 산화반응과 리튬이온의 환원반응을 이용하는 2차전지(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ELECTRODE STRUCTUR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ELECTRODE STRUCTURE}
본 발명은, 실리콘을 주성분하는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와, 상기 전극재료를 포함하는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효율을 증진시킴은 물론 포화된 충전에 따른 전극구조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전도성이 우수하여 급속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와, 상기 전극재료를 포함하는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대기중에 함유된 CO2가스량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온실효과에 의한 지구온난화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알려지고 있다.
즉, 화력 발전소는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화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지만, 다량의 CO2가스를 배출하므로 화력발전소를 신규하게 건설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화력 발전소에서 발생한 전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잉여전력인 야간에 발생한 전력을 가정용 2차전지에 축적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전력소비가 증가할 때 축적된 전력을 낮 동안 이용할 수 있는 소위 부하평준화 접근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COx, NOx, 탄화수소 등의 대기오염원을 배출하지 않는 전동차에 대해 고에너지밀도 2차전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용전기기기의 용도에서 소형, 경량, 고성능의 2차전지의 개발이 긴급하게 요구된다.
상기에서, 경량, 소형의 2차전지로는, 충전반응시, 리튬이온을 그 층간으로부터 사이에 삽입하지 않기 위해 리튬 삽입 화합물을 양극물질로서 이용하고 또한 탄소로 형성된 6원(員) 망구조의 평면의 층간에 리튬이온을 삽입하기 위해 흑연으로 대표되는 탄소함유재료를 음극물질로서 이용하는 "리튬이온전지"로서 칭하는 흔들의자형 전지가 개발되어 부분적으로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리튬이온전지로 종래에, 미국 특허 제 6,051,340호 공보와, 동 제 5,795,679호 공보와, 동 제6,432,585호 공보와, 일본국 특개평 11-283627호 공보와, 일본국 특허 제 2000-311681호 공보, 및 국제 공개 WO 00/17949호 공보에서, 실리콘이나 주석원소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용 음극을 이용한 2차전지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에서 미국 특허 제 6,051,340호 공보는, 리튬과 합금화하지 않는 금속재료의 집전장치에 실리콘이나 주석 등의 리튬과 합금화하는 금속과 리튬과 합금화하지 않는 금속으로부터 형성된 전극층을 포함하는 음극을 이용한 리튬 2차전지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싱기 미국 특허 제 5,795,679호 공보는, 니켈이나 구리 등의 원소와 주석 등의 원소와의 합금의 분말로부터 형성된 음극을 이용한 리튬 2차전지를 제안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6,432,585호 공보는, 평균 입경이 0.5㎛ 내지 60㎛인 실리콘이나 주석을 함유하는 입자의 35중량% 이상을 함유하고 공극률이 0.10 내지 0.86이고 밀도가 1.00 내지 6.56g/cm3인 전극재료층을 가지는 음극을 이용하는 리튬 2차전지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11-283627호 공보는, 비정질상을 가지는 실리콘이나 주석을 포함하는 음극을 이용한 리튬 2차전지를 제안하고, 일본국 특허 제 2000-311681호 공보는, 비화학량론 조성의 비정질 주석-천이 금속합금입자를 포함하는 음극을 이용한 리튬 2차전지를 제안하고 있고, 국제 공개 WO 00/17949호 공보는, 비화학량론 조성의 실리콘-천이 금속합금입자를 포함하는 음극을 이용한 리튬 2차전지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국 특허 제 2000-215887호 공보는, 벤젠 등의 열분해를 이용한 화학증착에 의해, 리튬과 합금화하는 금속 또는 반금속의 입자의 표면, 특히 실리콘 입자의 표면 위에 탄소층을 형성하여 도전성을 향상시키고, 그에 의해 리튬과 합금화할 때 체적팽창을 억제하여 전극의 파괴를 방지하는 고용량이고 충방전효율이 높은 리튬 2차전지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리튬2차전지들은 계산된 이론적 충전용량이 4200mAh/g이지만, 1000mAh/g를 초과하는 전기량의 리튬 삽입/이탈을 가능하게 하는 전극성능이 달성되지 않으며, 포화된 충전에 따른 전극구조체의 손상이 발생되어 비안정적인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전극의 전도성이 떨어져 급속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효율을 증진시킴은 물론 포화된 충전에 따른 전극구조체의 손상을 방지하여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전도성이 우수하여 급속한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와, 상기 전극재료를 포함하는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는,
중앙에 전도성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심재(C)를 구비하고, 상기 심재(C)의 외주면에 탄소나노튜브가 도포된 탄소나노튜브층(9)과, 탄소나노튜브층(9)의 외주에 형성된 실리콘층(S)으로 된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를 이용하며,
상기 심재(C)가 고정되는 고정수단(8)에 의해 실리콘층(S)의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맞닿도록 정렬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8)을 구성하는 고정부재(10)들의 사이 공간에서 심재(C)들의 실리콘층(S)이 서로 밀착되어 맞닿도록 고정되어 정렬된 제1전극층(11)과, 전극재료(7)들의 일 단부가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10)에 서로 밀착되어 맞닿으며 일측 방향으로 직립되도록 고정되어 정렬된 한 쌍의 제2전극층(12)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는,
고정수단(8)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심재(C)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발명의 리튬 2차전지는,
상기 전극구조체를 이용하여 음극(3) 전극구조체와 양극(4) 전극구조체를 형성하고, 음극(3) 전극구조체와 양극(4) 전극구조체의 사이에 이온전도체(2)가 끼워져 형성된 전극군;
상기 전극군이 삽입되어 밀봉되는 전지케이스(5); 및
상기 음극(3) 전극구조체와 양극(4) 전극구조체가 각각 접속되게 형성된 전극단자(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발명의 리튬 2차전지는,
상기 음극(3) 전극구조체와 양극(4) 전극구조체는 이온전도체(2)를 사이에 두고 평면상으로 적층되어, 다수 개가 정렬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발명의 리튬 2차전지는,
상기 음극(3) 전극구조체와 양극(4) 전극구조체는 이온전도체(2)를 사이에 두고 와선형으로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 상기 전극재료를 포함하는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는 충전시 리튬이온과 결합되는 전극이 순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어 충전효율이 높음은 물론, 리튬이온과 결합시 실리콘전극이 팽창하더라도 전극재료들의 사이 공간으로 팽창하여 전극구조체의 내부에서 체적이 변화함에 따라 포화된 충전에 따른 전극재료가 팽창하더라도 전극구조체가 손상을 받지 않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즉, 전극구조체가 전극재료들이 상하좌우로 배열되어 복층구조로 이루어져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기 때문에 리튬이온과의 결합시 실리콘층의 체적변화가 전극재료들의 사이 간격을 통해 이루어져 전극구조체가 외측으로 팽창되지 않아 포회된 충전이 있더라도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에 발생하던 전극구조체와 리튬이온과의 결합시 전극구조체의 체적이 변화하여 외측으로 팽창함에 따라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이다.
또한, 리튬이온과 실리콘층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충전속도가 증대되어 빠른 충전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더 가진다.
또한, 심재의 외주면에 전도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가 적층되어 있어, 충전되는 전원의 전도성이 우수하여 급속 충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리튬 2차전지의 구조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재료를 보인 개략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재료의 충전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전극구조체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극구조체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극구조체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극구조체를 보인 개략 단면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구조체가 적용된 리튬 2차전지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구조체가 적용된 리튬 2차전지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 상기 전극재료가 적용된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2차전지의 구조를 간략하게 보인 예시도로써, 본 실시예에 의한 2차전지(1)는 이온전도체(2)를 음극(3)과 양극(4)의 사이에 끼워 전극군을 형성하고, 이슬점이 충분히 제어된 건조 공기 또는 건조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상기 전극군을 전지케이스(5)에 삽입한 후, 음극(2)과 양극(3)이 전극단자(6)에 각각 접속되게 하여 전지케이스(5)를 밀봉하여 이루어진다.
즉, 리튬이온이 수용된 전지케이스(5)의 내부공간을 이온전도체(2)를 기준으로 분할한 후, 일 측 공간에는 음극 전극구조체를 구비하고 타 측 공간에는 양극 전극구조체를 구비하며, 리튬이온이 이온전도체(2)를 통해 음극(3) 및 양극(4)과 결합되어 산환/환원반응이 발생되는 것을 이용하여 충전하거나 방전하게 된다.
상기에서 이온 전도체(2)는 미소공성의 플라스틱 필름에 유지되는 전해질을 가지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리튬 2차전지(1)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3)과 양극(4)이 이온전도체(2)를 사이에 두고 평면상으로 적층되어, 다수 개가 정렬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3)과 양극(4)이 이온전도체(2)를 사이에 두고 와선형으로 감겨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양극(4)을 구성하는 전극물질은 산화코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2차전지(1)를 구성하는 음극 전극구조체는 실리콘(S)을 주성분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7)로써, 중앙에 심재(C)를 구비하고, 상기 심재(C)의 외주면에 형성된 실리콘층(S)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심재(C)를 소정의 고정수단(8)을 통해 고정하여 전극구조체를 이루면, 이온전도체(2)를 통해 전도되는 리튬이온이 실리콘층(S)을 구성하는 실리콘상으로 리튬삽입반응이 균일하게 발생하여 실리콘에 대한 리튬의 산화/환원반응에 따라 충전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리튬 2차전지(1)는 상기 전극구조체를 이용한 음극(3), 전해질 및 양극(4)을 포함하고, 리튬의 산화반응과 리튬이온의 환원반응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한 전극재료(7)에서, 상기 심재(C)의 외주면에는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tube)가 도포된 탄소나노튜브층(9)이 형성된다.
즉, 상기 탄소나노튜브층(9)이 전극재료(7)의 전극을 구성한다.
따라서, 전도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전극을 구성하기 때문에 급속한 충전 및 불필요한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충전효율이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충전이 진행되는 음극 전극 구조체는 심재(C)의 외주면에 적층된 탄소나노튜브층(9)을 통해 전극단자(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전시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심재(C)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소섬유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금속섬유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극재료(7)에서 상기한 실리콘층(S)은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심재(C)를 통해 전극구조체를 구성하는 고정수단(8)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실리콘층(S)의 외주면은 플라즈마처리되어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표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리튬삽입반응 면적을 빠른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실리콘층(S)의 형상이 평면 형상, 원통 형상, 직방체형, 시트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전극구조체는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극재료(7)의 심재(C)가 고정되는 고정수단(8)에 실리콘층(S)의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맞닿도록 고정되어 정렬되어 고정된다.
상기에서 고정수단(8)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한 쌍의 고정부재(1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10)에 양단이 상기 심재(C)에 의해 고정되어 상하좌우로 배열 적층될 수도 있고, 도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고정방향이 직교하여 교차되도록 상하좌우로 배열 적층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리콘층(S)으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튬삽입반응이 발생하여 실리콘층(S)이 팽창하더라도 전극재료(7)들의 사이 공간으로 팽창하기 때문에, 과도한 충전에 의해 전극재료(7)가 과도하게 팽창되더라도 전극구조체의 외측으로 팽창되는 면적이 작아 전극구조체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전극구조체는 상기한 전극재료(7)들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8)을 구성하는 상기 고정부재(10)들의 사이 공간에서 서로 밀착되어 맞닿도록 고정되어 정렬된 제1전극층(11)과, 전극재료(7)들의 일 단부가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10)에 서로 밀착되어 맞닿으며 일측 방향으로 직립되도록 고정되어 정렬된 한 쌍의 제2전극층(12)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 고정부재(10)는 전도성을 가지는 판상의 금속편이 내부에 상기 심재(C)가 수용되도록 절곡형성된 "ㄷ" 자 형상의 프레임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금속편이 상기 심재(C)를 감싸면서 절곡되어 "ㄷ"자 형상의 프레임형상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2차전지 2 : 이온전도체
3 : 음극 4 : 양극
5 : 전지케이스 6 : 전극단자
7 : 전극재료 8 : 고정수단
9 : 탄소나노튜브층 10 : 고정부재
11 : 제1전극층 12 : 제2전극층
S : 실리콘층 C : 전도성 심재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중앙에 전도성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심재(C)를 구비하고, 상기 심재(C)의 외주면에 탄소나노튜브가 도포된 탄소나노튜브층(9)과, 탄소나노튜브층(9)의 외주에 형성된 실리콘층(S)으로 된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를 이용하며,
    상기 심재(C)가 고정되는 고정수단(8)에 의해 실리콘층(S)의 외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맞닿도록 정렬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8)을 구성하는 고정부재(10)들의 사이 공간에서 심재(C)들의 실리콘층(S)이 서로 밀착되어 맞닿도록 고정되어 정렬된 제1전극층(11)과, 전극재료(7)들의 일 단부가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10)에 서로 밀착되어 맞닿으며 일측 방향으로 직립되도록 고정되어 정렬된 한 쌍의 제2전극층(12)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6. 삭제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8)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심재(C)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9. 삭제
  10. 제 5항에 기재된 전극구조체를 이용하여 음극(3) 전극구조체와 양극(4) 전극구조체를 형성하고, 음극(3) 전극구조체와 양극(4) 전극구조체의 사이에 이온전도체(2)가 끼워져 형성된 전극군;
    상기 전극군이 삽입되어 밀봉되는 전지케이스(5); 및
    상기 음극(3) 전극구조체와 양극(4) 전극구조체가 각각 접속되게 형성된 전극단자(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3) 전극구조체와 양극(4) 전극구조체는 이온전도체(2)를 사이에 두고 평면상으로 적층되어, 다수 개가 정렬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3) 전극구조체와 양극(4) 전극구조체는 이온전도체(2)를 사이에 두고 와선형으로 감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2차전지.
KR1020120040996A 2012-04-19 2012-04-19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KR101437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996A KR101437476B1 (ko) 2012-04-19 2012-04-19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996A KR101437476B1 (ko) 2012-04-19 2012-04-19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087A KR20130118087A (ko) 2013-10-29
KR101437476B1 true KR101437476B1 (ko) 2014-09-03

Family

ID=4963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996A KR101437476B1 (ko) 2012-04-19 2012-04-19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4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231A (ko) * 2005-07-15 2007-01-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직조가 쉬운 실 형태의 가변형 전지
KR20120000744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KR20120024855A (ko) * 2009-05-27 2012-03-14 암프리우스,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 전극용의 코어-셸 고용량 나노와이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231A (ko) * 2005-07-15 2007-01-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직조가 쉬운 실 형태의 가변형 전지
KR20120024855A (ko) * 2009-05-27 2012-03-14 암프리우스, 인코포레이티드 배터리 전극용의 코어-셸 고용량 나노와이어
KR20120000744A (ko) * 2010-06-28 2012-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케이블형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하는 케이블형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087A (ko)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38042B2 (ja) 非水系リチウム型蓄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528678A (ja) セパレータフリー型シリコン‐硫黄電池用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グラフェンハイブリッド構造
JP2010113966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とその利用
JP2005285447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819840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10015852A (ja) 二次電池
JP4430778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426571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6709991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072123B2 (ja) 扁平形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437476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2차전지
KR101437477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 상기 전극재료를 포함하는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KR101368226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KR102028677B1 (ko) 그래핀 전극을 적용한 적층형 리튬 이온 커패시터
CN113424336A (zh) 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KR101437474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
KR101468732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KR101383251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CN106784643B (zh) 锂离子二次电池
KR101463970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전극재료를 포함하는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KR100606487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396792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KR101383250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KR101374783B1 (ko)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KR101205846B1 (ko) 플레이트형 집전체를 갖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