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464B1 - Peripheral vision cover for improving concentration - Google Patents

Peripheral vision cover for improving concent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464B1
KR101437464B1 KR1020130041162A KR20130041162A KR101437464B1 KR 101437464 B1 KR101437464 B1 KR 101437464B1 KR 1020130041162 A KR1020130041162 A KR 1020130041162A KR 20130041162 A KR20130041162 A KR 20130041162A KR 101437464 B1 KR101437464 B1 KR 101437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field view
width
improve concentration
block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35238A (en
Inventor
이항무
Original Assignee
이항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항무 filed Critical 이항무
Publication of KR2014003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2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4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집중력 향상을 도모하도록 주변 환경으로부터 시야를 가리는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
2. 주요구성
본 발명이 개시하는 주변 시야 가리개는 안경테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어 시야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하면서 각도 조절수단 및 폭 조절수단을 겸비한 상단 차단부; 상기 안경테 측면에 위치한 안경다리에 결합되어 시야의 좌, 우측을 차단하도록 하는 측면 차단부; 상기 측면 차단부에 구비되어 안경다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3. 작용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의 각종 물체 및 움직임으로부터 시야를 차단하여 집중할 수 있도록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편리성과 안경의 형태와 사이즈에 맞게 폭을 가변시키는 폭 조절 및 시야의 범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 Technical Fiel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or that obscures the view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as to improve concentration.
2. Main configuration
The peripheral vision field shield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hield portion having an angle adjusting means and a width adjusting means, which are seated on an upper frame of the spectacle frame to block an upper portion of the field of view; A side blocking part coupled to the eyeglass frame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to block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sual field; And a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 blocking portion and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eyeglass leg.
3. 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ience of being easily attached to the eyeglasses in a detachable form so that the eye can be focused and blocked from various objects and movements around the eyeglasses, the width of the eyeglasses to be adjusted in width and width,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to be adjusted.

Description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PERIPHERAL VISION COVER FOR IMPROVING CONCENTRATION}{PERIPHERAL VISION COVER FOR IMPROVING CONCENTRATION}

본 발명은 집중력 향상을 도모하도록 주변 환경으로부터 시야를 가리는 가리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or that obscures the view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o as to improve concentration.

학생, 일부 사무직 및 기술직 종사자, 사격선수 들에게는 실력 향상이나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정신 집중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특히, 사람이 공부나 업무 등의 이유로 책이나 문서 등을 볼 때 필요한 시야는 전방 또는 하방(책상위에 책이 놓여있는 경우)이다. 그런데, 사람의 시야각은 이보다 넓어서 불필요한 측방의 시야까지 볼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것들까지 계속 보게 됨에 따라 집중하는데 방해가 되었다.For students, some office workers, technical workers, and shooting player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ir mental concentration to improve their skills and efficiency of work. In particular, when a person views a book or document for reasons such as studying or work, the necessary field of view is forward or downward (when the book is placed on the desk). By the way, the viewing angle of a person is wider than this, so that unnecessary side view can be seen.

학습 시 학습장소에서 나타나는 시각 집중력 저하의 요인들을 살펴보면, 학습방향 전방 상부의 천정조명에 의한 눈부심, 학습방향 전방 하부와 좌, 우 측면의 각종 물체 및 움직임으로부터의 불필요한 신경쓰임이나 시각적 혼란, 학습공간이 넓은 장소의 뒷좌석에서 학습을 받아야 할 경우에 나타나는 인체의 능력한계에 의한 시청각적 기능저하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이러한 시각 집중력 저하의 요인들을 해소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In terms of the factors of visual impairment that occur in the learning place during learning, there are many factors such as glare caused by ceiling lighting above the learning direction, unnecessary attention from visual objects and movements in the lower and left fronts of the learning direction,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solving the factors of visual impairment due to such problems as visual impairment due to limitations of the human body when the user has to learn in the back seat of this wide place.

양측 주변의 부위의 시야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20-0199601에는 "눈가리개가 구비된 안경"이 개시되어 있는데 눈가리개가 구비된 안경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눈가리개가 구비된 안경은 안경다리 양측에 회전축으로 눈가리개가 구성된다. 이 눈가리개는 회전을 하여 안경의 양측 시야를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나 좌, 우측의 시야를 차단하기에 눈가리개의 형태가 산만하며, 상단에 대한 시야 차단은 해결하지 못하고, 사용자의 안경에 장착할 수 없어 눈가리개를 별도로 구입해야하며, 시력보정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경우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electively blocking the field of view around the two sides,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99601 discloses a "eyeglass having a blindfold ", which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air of glasses provided with a blindfold,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eyeglass having a blindfold has a blindfol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yeglass legs with a rotation axis. This blindfold is designed to block both sides of the eyeglasses by rotating. However, since the blindfold shape is distracted due to blocking the view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blindfolding of the upper blind can not be solved and the blindfold And it is difficult to use it in the case of a user who needs correction of the eyesight.

따라서, 종래기술은 학습 시 시청각 집중력 증대를 꾀하는 데 효율적이지 못하다.Therefore, the prior art is not effective in enhancing the audiovisual concentration in learning.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편리성과 주변의 각종 물체 및 움직임으로부터 시야를 차단하여 높은 집중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ripheral visual field shield for convenience of being easily attached in a detachable form to spectacles and for enhancing concentration ability by blocking visibility from various objects and movements aroun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개시되는 주변 시야 가리개는, 안경테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어 시야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하면서 각도 조절수단 및 폭 조절수단을 겸비한 상단 차단부; 상기 안경테 측면에 위치한 안경다리에 결합되어 시야의 좌, 우측을 차단하도록 하는 측면 차단부; 상기 측면 차단부에 구비되어 안경다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단 차단부와 측면 차단부는 일부분이 연계된다. The peripheral visual field shield disclos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hield portion having an angle adjusting means and a width adjusting means which are seated on an upper rim of the spectacle frame to block an upper portion of the visual field, A side blocking part coupled to the eyeglass frame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to block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sual field; And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 blocking portion to detachably attach to the eyeglass leg. Here, the upper blocking portion and the side blocking portion are partly connected.

그리고 상단 차단부와 측면 차단부는 핀 볼트에 의해 조립을 이루고, 상단 차단부의 양 끝단이 측면 차단부와 회동 가능한 결합으로 상, 하 조절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한다. 폭 조절수단은, 안경테의 사이즈에 따라 넓이를 조절되도록 신축 가능하게 다수의 굴곡으로 형성된 주름부 또는 신축 가능한 탄성밴드인 것을 포함한다. The upper shielding portion and the side shielding portion are assembled by the pin bolts and include angle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shielding portion up and down by a rotation pivotable engagement with the side shielding portion. The width adjusting means includes a wrinkle portion formed by a plurality of bends so as to be stretchable or contractible so as to adjust the wid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ectacle frame, or a stretchable elastic band.

한편, 고정수단은, 안경다리에 걸림고리식으로 결속을 이루는 클립 또는 집게부인 것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ans includes a clip or a clamp which engages with the eyeglass leg in a hook-and-loop manner.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안경테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어 시야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하면서 각도 조절수단 및 폭 조절수단을 겸비한 상단 차단부; 상기 상단 차단부의 후단 양측에 형성된 C형 클립; 상기 안경테 측면에 위치한 안경다리에 결합되어 시야의 좌, 우측을 차단하도록 하는 측면 차단부; 상기 측면 차단부에 구비되어 안경다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 상기 상부 테두리에 놓이는 상단 차단부의 C형 클립이 고정되도록 하고, 양 측의 측면 차단부와 결합 및 폭을 가변시키도록 슬라이딩 이동하여 간격조절을 안내하는 조절 바를 포함한다.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yeglass frame comprising: an upper shield having an angle adjusting means and a width adjusting means, A C-shaped clip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upper shield; A side blocking part coupled to the eyeglass frame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to block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sual field;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 blocking portion to detachably attach to the eyeglass leg; And a control bar for slidingly moving the C-shaped clip of the upper blocking portion placed on the upper rim so as to fix the C-type clip and varying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side blocking portions on both sides.

그리고 측면 차단부는, 상부에 다수의 이동홈을 구비하며, 조절 바가 이동홈에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측면 차단부의 양측 위치를 가변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The side blocking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ving grooves on the upper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varying positions of both side portions of the side blocking portion according to a position at which the adjusting bar is mounted in the moving groove.

또한, C형 클립은, 내주면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길이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고, 조절 바는, C형 클립의 돌기를 내입하는 걸림홈을 외주연에 형성한다. 이 조절 바는, 양측으로 분할된 구성을 가지며, 일측에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끝단 외주연에 복수의 고정돌기를 형성한 제1 조절 바; 상기 제1 조절 바의 돌출부를 내입할 수 있는 내경을 일측에 형성하고 내벽에 고정돌기와 끼움되는 고정홈을 형성한 제2 조절 바를 포함한다. The C-shaped clip is form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t regular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control bar forms a catching groov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for inserting the protrusions of the C-type clip. The control bar includes a first adjustment bar having a configuration divided on both sides, a protrus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a diameter formed on one side, and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an outer periphery of an end of the protrusion; And a second adjusting bar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adjusting bar and having an inner diameter for allowing the protrusion of the first adjusting bar to be inserted therethrough and having a fixing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안경테 형상의 상부 테두리와 코받침을 형성한 프레임; 상기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어 시야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하면서 각도 조절수단을 겸비한 상단 차단부; 상기 프레임의 양 측면에 위치하여 시야의 좌, 우측을 차단하도록 안경다리를 일체로 형성한 측면 차단부를 포함한다.A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rame having an eyeglass frame-shaped upper frame and a nose receiver; An upper shield having an upper edge and an angle adjusting means for blocking an upper portion of the visual field; And a side blocking part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so as to block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sual field.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안경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쉽게 장착할 수 있는 편리성과 안경의 형태와 사이즈에 맞게 폭을 가변시키는 폭 조절 및 집중하기 위한 환경에 따라 시야의 범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convenience of being easily attached to the eyeglasses in a detachable form, and the angle adjustment for adjusting the range of view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for adjusting and focusing the width to vary the width and shape of the glasses . ≪ / RTI >

이와 같이 주변의 각종 물체 및 움직임으로부터 시야를 차단하여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하여 심리적으로 정서적 안정감 및 높은 집중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nd a high concentration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an atmosphere in which the visual field can be blocked and focused from various objects and movements around.

한편, 본 발명의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를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형성하여 길이 조절에 대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피톤치드(phytoncide) 재질로 형성하여 삼림욕 기능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학습 및 업무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Meanwhile, the peripheral visual field shield for improv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polyamide material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for controlling the length. Or phytoncide material so as to have a forest bath fun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learning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눈가리개가 구비된 안경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수평 절첩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수직 절첩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각도 조절수단 및 폭 조절수단에 대한 실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폭 조절수단에 대한 또 다른 실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고정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를 구비한 가리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조립도 및 폭 조절수단에 대한 실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폭 조절수단에 대한 또 다른 실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단 차단부와 조절 바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 바의 폭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 바의 폭 조절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고정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각도 조절수단 및 측면 차단부 이동과 수평 절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수직 절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를 구비한 가리개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사용 상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수평 절첩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수직 절첩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의 각도 조절수단에 대한 실시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피톤치드를 구비한 가리개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yeglass provided with a blindfol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vis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iel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of assembling the vi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horizontal folding means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vertical folding means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ngle adjusting means and the width adjusting means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dth adjusting means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ing device for a vis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vein provided with a phononchi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use state view of a shiel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iel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assembling view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width adjusting means.
Fig. 1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dth adjusting means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the upper blocking portion and the control b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dth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b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idth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ba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xing means of the shiel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ngle adjusting means and the side blocking portion moving and horizontal folding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vertical folding means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view showing a vein provided with a phononchi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2 is a use state view of a shiel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3 is a view showing the horizontal folding means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view showing the vertical folding means of the vis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angle adjusting means of a vis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view showing a vein provided with a phononchi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면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이하, '가리개'라 함)는 안경에 탈부착되는 구조이며, 시야의 상부를 차단하는 상단 차단부(110)와 좌, 우측을 차단하는 측면 차단부(120) 및 안경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 to 4, a peripheral vision field shiel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shield ") for improving the concentration of pow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glasses, A side blocking portion 120 blocking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fixing means for coupling to the glasses.

구체적으로, 상단 차단부(110)와 측면 차단부(1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체이며 안경테(10)의 상부 및 양 측면에 장착된다. 상기 상부 차단부(110)는 시야의 상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며 후측 끝단이 상단 테두리(20)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단 차단부(110)는 안경테(10)에 안착되어 시야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하면서 각도 조절수단 및 폭 조절수단을 겸비한다. Specifically, the upper shielding part 110 and the side shielding part 120 are plate-shaped bodie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 mounted on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spectacle frame 10. The upper shielding part 110 has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block the upper part of the visual field, and the rear end of the upper shielding part 110 is seated on the upper frame 20 and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The top blocking part 110 is seated on the spectacle frame 10 so as to block the upper part of the visual field, and has an angle adjusting unit and a width adjusting unit.

도 5을 참조하면, 측면 차단부(120)는 상단 차단부(110)와 일부분이 연계되며 안경테(10) 측면에 위치한 안경다리(30)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시야의 좌, 우측을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측면 차단부(120)에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안경다리(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안경에 가리개가 장착될 수 있다. 이 측면 차단부(120)는 일면에 절첩선(122)을 형성하여 일측으로 절첩되는 절첩수단을 구비한다. 절첩선(122)은 측면 차단부(120)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절첩선(122)이 수평인 경우 양측 측면 차단부(120)의 상부 측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절첩선(122)을 중심으로 양측의 측면 차단부(120)의 하부 측이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하여 가리개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 및 휴대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절첩선(122)이 수직인 경우 양측 측면 차단부(120)가 각각 반으로 절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절첩선(122)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전방 양측 시야를 차단하면서 얼굴 측의 양측 주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어느 일측을 개방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측면 차단부(120)의 절첩선(122)을 각각 달리 구성하였으나 제조 시 필요에 따라 수직 및 수평 절첩선(122)을 측면 차단부(120)에 겸비할 수 있다.5, the side blocking part 120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upper blocking part 110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spectacle frame 30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10 to block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sual field . The side shutters 120 may be provided with fixing mean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glasses legs 30, so that the glasses can be attached to the glasses. The side cutout portion 120 includes a folding line 122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folding means that is folded to one side. The fold line 122 may be form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to the side blocking portion 120. That is, when the fold line 122 is horizontal, it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h side surface blocking portions 120.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blocking portions 120 on both sides around the fold line 122 is inward So that the volume of the visor can be minimized, which makes it very easy to store and carry. Referring to FIG. 6, when the fold line 122 is vertical, the side blocking portions 120 may be respectively folded in half. The folding line 122 is folded around the folding line 122 so as to block the front side of both sides of the image and to selectively close both sides of the face side. Although the fold lines 122 of the side cut-off portion 120 ar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e vertical cut and the horizontal cut line 122 may be combined with the side cut-off portion 120 as necessary.

도 7을 참조하면, 측면 차단부(120)는 양측의 안경다리에 각각 장착을 이루면서 안경테(10)의 상부에 놓여지는 상단 차단부(110)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 차단부(110)의 각도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각도 조절수단으로 상단 차단부(110)의 양 끝단이 핀 볼트(130)에 의해 측면 차단부(12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 차단부(110)가 상, 하 방향으로 각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폭 조절수단은 상단 차단부(110)의 중심부 측에 신축 가능한 형태로 다수의 굴곡으로 형성된 주름부(140)를 마련하여 안경테(10)의 사이즈에 따라 넓이를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상단 차단부(110)는 주름부(14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신축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폭 조절수단을 신축 가능한 탄성밴드(150)로 구성할 수 있다. 이 탄성밴드(15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어느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길이방향으로 신축되어 넓이를 조절할 수 있다. 탄성력에 의해 늘어남에 따라 상단 차단부(110)와 연결된 측면 차단부(120)를 안경테(10)의 사이즈에 맞게 안경다리(3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7의 (b) 및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폭 조절수단을 상단 차단부(110)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주름부(140) 또는 탄성밴드(150)를 상단 차단부(110)의 중앙 또는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ide blocking part 12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pectacle frame 10 so as to adjust the angle of the upper blocking part 110, 110 can be changed variably. Both ends of the upper shielding part 110 are pivotally coupled to the side shielding part 120 by the pin bolts 130 by the angle adjusting means so that the upper shielding part 110 can adjust the angle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 In addition, the width adjust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lded corrugated portions 140 in a stretchable shape on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upper shielding portion 110 to adjust the wid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ectacle frame 10. The upper shielding portion 110 is expanded and contracted on both sides around the wrinkle portion 140. [ Referring to FIG. 8, the width adjusting means can be composed of an elastic band 150 that can be stretched or shrunk. The elastic band 150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when a force is applied in any one direction, the elastic band 150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djust the width. The side blocking portion 120 connected to the top blocking portion 110 can be fixed to the spectacle frame 30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spectacle frame 10. [ Referring to FIGS. 7B and 8B, the width adjusting means may be formed in one or more upper shielding portions 110. That is, the wrinkle 140 or the elastic band 15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r both sides of the upper shield 110.

한편, 측면 차단부(120)를 안경다리(30)에 장착하는 고정수단은 걸림고리식으로 결속을 이루는 클립(160) 또는 집게부(170)를 형성할 수 있다. 클립(160) 또는 집게부(170)는 측면 차단부(120)의 상단 일측에 부착된 상태로 구성되고, 안경다리(30)에 고정되어 상단 차단부(110)와 연계된 측면 차단부(120)를 안경테(10)에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클립(160)은 안경다리(30)에 걸리는 형태로 측면 차단부(120)를 안경다리(3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집게부(170)는 탄성수단을 가져 상단부에 집게의 형태로 누름부(172)가 각각 형성되어 누름부(172)를 눌러서 지지편(174)을 벌어지게 하여 안경다리(30)에 측면 차단부(120)을 간편하게 착용 및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집게부(170)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안경다리(3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집게부(170)는 안경다리(30)를 집을 때 깊게 집거나 또는 끝단으로 집게하여 측면 차단부(120)의 상, 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means for attaching the side shield 120 to the eyeglass leg 30 can form a clip 160 or a clamping unit 170 which is fastened by hooking. The clip 160 or the clamping unit 17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blocking part 120 and includes a side blocking part 120 Can be fixed to the frame 10. Referring again to FIG. 2, the clip 160 may secure the side blocking portion 120 to the eyeglass leg 30 in the form of being hooked on the eyeglass leg 30. Referring to FIG. 9, the clamping unit 170 has elastic means, and the clamping unit 172 is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clamp to press the clamping unit 172 to open the clamping piece 174, The side blocking portion 120 can be easily worn and detached from the side wall portions 30 and used. The clipper 17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grasp the eyeglass leg 30 by a restoring force. The eyeglass legs 30 may be deeply gripped or clamped at the ends so that the height of the side shields 120 can be adjusted.

상술한 바와 같이, 가리개는 렌즈를 구비한 안경 또는 렌즈가 구비되지 않은 안경에 장착될 수 있다. 상단 차단부(110)와 측면 차단부(120)가 조립된 상태로 안경의 상부 테두리(20)에 상단 차단부(110)가 안착되고, 측면 차단부(120)의 클립(160) 또는 집게부(170)가 안경다리(30)를 파지함에 따라 안경에 가리개가 장착된다. 이때, 안경의 사이즈에 따라 폭 조절수단의 주름부(140) 또는 탄성밴드(150)에 의해 상단 차단부(110)를 늘리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안경의 사이즈에 맞도록 장착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야 범위 조정에 따라 상단 차단부(110)의 상, 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ield may be attached to glasses with lenses or glasses without lenses. The upper blocking part 110 is seated on the upper frame 20 of the glasses while the upper blocking part 110 and the side blocking part 120 are assembled and the clip 160 of the side blocking part 120, The eyelid is fitted to the eyeglasses as the eyelid 170 grips the eyelid 30. At this tim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pectacles, the upper blocking part 110 may be stretched or reduced by the wrinkle part 140 or the elastic band 150 of the width adjusting device to fit the size of the spectacles. And the upper and lower angles of the upper shielding portion 1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field of view.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를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형성하여 길이 조절에 대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일종의 형상기억제품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가리개는 무게가 가볍고 안경테(10)의 사이즈에 따라 넓이 조절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hiel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polyamide material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for the length adjustment. The polyamide is used as a kind of shape memory product. Accordingly, the visor is light in weight and can be maintained in a deformed state by adjusting its wid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ectacle frame 10. [

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는 피톤치드(phytoncide) 재질로 형성하여 삼림욕 기능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학습 및 업무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리개의 전체 또는 일부를 피톤치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단 차단부(110) 또는 측면 차단부(120)를 일정기간이 지나면 각각 교체 사용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hiel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phytoncide material so as to have a forest bath function, thereby improving learning and work efficiency. At this time, all or part of the visor may be made of phytoncide material, and the upper shielding part 110 or the side shielding part 120 may be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이 피톤치드는 피톤치드가루 90%, 녹말가루 10%를 혼합하여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톤치드는 심리적인 안정감, 항균 작용, 알레르기 예방, 탈취 효과 이외에도 스트레스나 원인 모를 두통 해소에 효과적으로 특히 수험생의 스트레스에 의한 불면증, 성격장애 등에 피톤치드를 사용하면 정서안정과 집중력, 기억력을 높여 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The phytoncide may be formed into a square shape by mixing 90% of phytoncide powder and 10% of starch powder. These phytoncides are effective in relieving stress and unexplained headaches as well as psychological stability, antibacterial action, allergy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effect. Especially, when phytoncide is used for insomnia and personality disorder due to stress of examinee, it is possible to prevent emotional stability, concentration, It is effective.

도 10을 참조하면, 가리개에 피톤치드(180)를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가리개의 양측에 위치한 측면 차단부(120)의 내 측면에 피톤치드(18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구(182)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이 삽입구(182)는 피톤치드(180)를 내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양측에 상기 피톤치드(180)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184)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phytoncide 18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visor. Concretely, an insertion port 182 for inserting the phytoncide 180 in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blocking portion 12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visor. The insertion port 182 is open at one side to allow the phytoncide 180 to be inserted therein and a guide groove 184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phytoncide 180 can be formed at both sides.

한편, 도 1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변 시 가리개는 조립식으로 안경에 탈부착되는 구조이며, 안경테(10)의 상부 테두리(20)에 안착되는 상단 차단부(210)는 시야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하면서 각도 조절수단 및 폭 조절수단을 겸비한다. 11 and 22, the peripheral shiel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spectacles in a prefabricated manner, and includes a top blocking part (not shown) mounted on the top edge 20 of the spectacle frame 10 210 have an angle adjusting means and a width adjusting means while blocking the upper part of the visual field.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단 차단부(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체이며, 이 상단 차단부(210)의 중앙에는 폭 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폭 조절수단은 상단 차단부(210)의 중심부 측에 신축 가능한 형태로 다수의 굴곡으로 형성된 주름부(250)를 마련한다. 이 주름부(250)는 안경테(10)의 사이즈에 따라 양측으로 신축되어 넓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폭 조절수단을 신축 가능한 탄성밴드(260)로 구성할 수 있다. 이 탄성밴드(260)는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어느 일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길이방향으로 신축되어 넓이를 조절할 수 있다. 탄성력에 의해 늘어남에 따라 상단 차단부(210)와 연결된 측면 차단부(230)를 안경테(10)의 사이즈에 맞게 안경다리(3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3의 (b) 및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폭 조절수단을 상단 차단부(210)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주름부(250) 또는 탄성밴드(260)를 상단 차단부(210)의 중앙 또는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11 and 13, the upper shielding part 210 is a plate-shaped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 width adjusting unit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hielding part 210. That is, the width adjusting mean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lded corrugated portions 250 in a stretchable shape on the central portion side of the upper shielding portion 210. The corrugated part 250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on both sid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ectacle frame 10 to adjust the width thereof. Referring to FIG. 14, the width adjusting means can be configured as an elastic band 260 that can be stretched or shrunk. The elastic band 260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when the force is applied in any one direction, the elastic band 260 can be stretched and contra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adjust the width. The side shielding part 230 connected to the upper shielding part 210 can be fixed to the spectacle frame 3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ectacle frame 10. [ 13 (b) and 14 (b), the width adjusting means may be formed in the upper shielding portion 210 in at least one manner. That is, the wrinkle portion 250 or the elastic band 26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r both sides of the upper shielding portion 210.

도 15를 참조하면, 상단 차단부(210)의 후단 양측에는 조절 바(240)와 결합하기 위한 C형 클립(220)이 구성된다. 이 C형 클립(220)은 내주면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길이로 돌출된 돌기(222)를 형성한다. C형 클립(220)과 조립을 이루는 길이 조절 가능한 원형형태의 조절 바(240)는 C형 클립(220)의 돌기(222)를 내입하는 걸림홈(242)을 외주연에 형성한다. 걸림홈(242)은 조절 바(24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며, C형 클립(220)과 결합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C형 클립(220)의 돌기(222)가 걸림홈(24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단 차단부(210)는 조절 바(240)에서 시야 범위 조정으로 상, 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 C-shaped clip 220 for coupling with the control bar 2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upper shield 210. The C-shaped clip 220 forms a protrusion 22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 length adjustable circular control bar 240 assembled with the C-shaped clip 220 forms an engagement groove 242 for receiving the projection 222 of the C-shaped clip 220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The latching groove 242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engage with the C-shaped clip 220,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trol bar 240. The protrusion 222 of the C-type clip 220 moves along the latching groove 242 while the upper blocking portion 210 can adjust the up and down angle by adjusting the viewing range in the control bar 240.

도 16을 참조하면, C형 클립(220)과 조립되는 조절 바(24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제1 조절 바(246)와 제2 조절 바(248)로 분할된 구성을 가진다. 제1 조절 바(246)는 조절 바(240)의 몸체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돌출된 끝단 외주연에 복수의 고정돌기(245)를 형성하며, 제2 조절 바(248)는 제1 조절 바(246)를 내입할 수 있는 홀(Hole)(244)을 일측에 형성하고, 내벽에 고정돌기(245)와 끼움되는 고정홈(247)을 형성한다. 즉, 제1 조절 바(246)가 제2 조절 바(24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조절 바(246)를 어느 일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고정돌기(245)가 고정홈(247)을 따라 소정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선택적으로 길이 연장이 가능하다. 도 17를 참조하면, 상기 조절 바(240)는 신축 가능하게 다수의 굴곡으로 형성된 원형형태의 간격 주름부(249)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간격 주름부(249)는 안경테(10)의 사이즈에 따라 양측으로 신축되어 넓이를 조절할 수 있다. 16, the adjusting bar 240 assembled with the C-shaped clip 2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djusting bar 246 and the second adjusting bar 248 are divided and contracti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control bar 246 is formed to protrude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body diameter of the control bar 240 and form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245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truded end, A hole 244 through which the first control bar 246 can be inserted is formed at one side and a fixing groove 247 to be fitt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245 is formed on the inner wall. That is, when the first adjusting bar 246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djusting bar 248 and the first adjusting bar 246 is pressed in one direction, the fixing protrusion 245 is fixed to the fixing groove 247, So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extend the length. Referring to FIG. 17, the control bar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aced wrinkles 249 having a plurality of bends. The interval wrinkle portion 249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on both sid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pectacle frame 10 to adjust the width.

측면 차단부(230)는 조절 바(240)의 양측으로 핀 볼트(270)에 의해 조립되고, 안경테(10)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안경다리(30)에 결합되어 시야의 좌, 우측을 차단하도록 한다. 측면 차단부(230)에 구비된 고정수단으로 안경다리(3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이며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진다. 즉, 고정수단은 클립(280) 또는 집게부(290)를 형성할 수 있다. 클립(280) 또는 집게부(290)는 측면 차단부(230)의 상단 일측에 부착된 상태로 구성되고, 안경다리(30)에 고정되어 상단 차단부(210)와 연계된 측면 차단부(230)를 안경테(10)에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1을 참조하면, 클립(280)은 안경다리(30)에 걸리는 형태로 측면 차단부(230)를 안경다리(3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집게부(290)는 탄성수단을 가져 상단부에 집게의 형태로 누름부(292)가 각각 형성되어 누름부(292)를 눌러서 지지편(294)을 벌어지게 하여 안경다리(30)에 측면 차단부(230)을 간편하게 착용 및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집게부(290)는 복원력이 작용하여 안경다리(3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집게부(290)는 안경다리(30)를 집을 때 깊게 집거나 또는 끝단으로 집게하여 측면 차단부(230)의 상, 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side shielding part 230 is assembled by pin bolts 270 to both sides of the control bar 240 and is coupled to the spectacle legs 3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pectacle frame 10 to block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sual field . An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yeglass legs 30 by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 blocking part 230. The fixing means is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That is, the securing means may form the clip 280 or the claw 290. The clips 280 or the clamps 290 ar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side blocking part 230. The clip 280 or the clamping part 290 is fixed to the spectacle leg 30 and has a side blocking part 230 Can be fixed to the frame 10. Referring again to FIG. 11, the clip 280 may secure the side shield 230 to the eyeglass leg 30 in the form of being hung on the eyeglass leg 30. 18, the clamping unit 290 has elastic means, so that the clamping unit 292 is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in the form of a clamp to press the clamping unit 292 to open the clamping member 294, The side shielding part 230 can be easily worn and separated and used. The gripper 29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grasp the eyeglass leg 30 by a restoring force. The clip 290 can be adjusted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ide shield 230 by vertically gripping or pinching the glasses leg 30 when it is held.

도 19를 참조하면, 측면 차단부(230)는 상부에 다수의 이동홈(232)을 구비하며, 조절 바(240)가 이동홈(232)에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안경다리(30)에서 측면 차단부(23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측면 차단부(230)의 가변되는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측면의 시야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으면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차단부(230)는 일면에 절첩선(231)을 형성하여 일측으로 절첩되는 절첩수단을 구비한다. 이 절첩선(231)은 측면 차단부(230)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절첩선(231)이 수평인 경우 양측 측면 차단부(230)의 상부 측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절첩선(231)을 중심으로 양측의 측면 차단부(230)의 하부 측이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하여 가리개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 및 휴대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0을 참조하면, 절첩선(231)이 수직인 경우 양측 측면 차단부(230)가 각각 반으로 절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절첩선(231)을 중심으로 절첩되어 전방 양측 시야를 차단하면서 얼굴 측의 양측 주변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어느 일측을 개방할 수 있다. 실시예로서, 측면 차단부(230)의 절첩선(231)을 각각 달리 구성하였으나 제조 시 필요에 따라 수직 및 수평 절첩선(231)을 측면 차단부(230)에 겸비할 수 있다.19, the side blocking part 230 includes a plurality of moving grooves 232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side blocking part 230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of the spectacle frame 30, The position of the blocking portion 230 can be vari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lose the side view portion completely depending on the variable position of the side surface shut-off portion 230, and to open it. In addition, the side shielding part 230 has a folding line 231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has a folding unit that is folded to one side. The fold line 231 may be form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on the side cutout portion 230. That is, when the fold line 231 is horizontal, it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h side surface shielding part 230.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shielding parts 230 on both sides of the fold line 231 is inward So that the volume of the visor can be minimized, which makes it very easy to store and carry. Referring to FIG. 20, when the fold line 231 is vertical, the both side blocking portions 230 may be folded in half. It is possible to open one side so as to selectively close both sides of the face side while blocking the front side both side views by being folded around the fold line 231. [ Although the fold lines 231 of the side cutout portion 230 ar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fold lines 231 may be combined with the side cutout portions 230 as needed during manufacturing.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차단부(210)와 측면 차단부(230)는 조절 바(240)를 매개로 조립된다. 조절 바(240)의 양측으로 핀 볼트(270)에 의해 측면 차단부(230)가 조립되고, C형 클립(220)의 돌기(222)가 걸림홈(242)과 결합을 이루어 상단 차단부(210)는 조절 바(240)와 수평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단 차단부(210)는 안경테(10)의 상부 테두리(20)에 놓여 시야의 상측을 차단하고, 측면 차단부(230)는 안경테(10)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안경다리(30)에 결합되어 시야의 좌, 우측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단 차단부(210)는 C형 클립(220)을 이용해 상, 하 각도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차단부(230)는 고정수단에 의해 안경다리(30)에 탈부착 가능하면서 상, 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단 차단부(210)의 폭 조절수단과 조절 바(240)의 간격 조절에 의해 안경 사이즈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hielding part 210 and the side shielding part 230 are assembled through the adjustment bar 240. The side shield 230 is assembled to both sides of the control bar 240 by the pin bolts 270 and the protrusion 222 of the C-type clip 220 engages with the engagement groove 242, 210 may be assembled horizontally with the control bar 240. The upper shielding part 210 is placed on the upper frame 20 of the spectacle frame 10 to block the upper side of the visual field and the side shielding part 230 is coupled to the spectacle frame 3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pectacle frame 10. [ To block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sual field. The upper shield 210 can be adjusted up and down using the C-type clip 220. The side shielding part 23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eyeglass leg 30 by fixing means, and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can be adjusted. Further,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glasses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width adjusting means of the upper shielding portion 2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djusting bars 240.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를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가리개는 무게가 가볍고 안경테(10)의 사이즈에 따라 넓이 조절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shiel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polyamide material, so that the shield is light in weight and can be deformed by adjusting the wid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rame 10.

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는 피톤치드(phytoncide) 재질로 형성하여 삼림욕 기능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학습 및 업무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리개의 전체 또는 일부를 피톤치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단 차단부(210) 또는 측면 차단부(230)를 일정기간이 지나면 각각 교체 사용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hiel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phytoncide material so as to have a forest bath function, thereby improving learning and work efficiency. At this time, all or part of the visor may be made of phytoncide material, and the upper shielding part 210 or the side shielding part 230 may be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도 21을 참조하면, 가리개에 피톤치드(296)를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가리개의 양측에 위치한 측면 차단부(230)의 내 측면에 피톤치드(296)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297)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이 삽입부(297)는 피톤치드(296)를 내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양측에 상기 피톤치드(296)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298)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the phononchid 296 can be attached to the visor. The inserting portion 297 can be configured to insert the phytoncide 296 into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ide blocking portion 23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visor. The insertion portion 297 is open at one side so as to allow the phytoncide 296 to be inserted therein, and guide grooves 298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phytoncide 296 can be formed at both sides.

한편,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주변 시 가리개는 안경테를 일체로 구성한 구조로 시야의 상부를 차단하는 상단 차단부(320)와 좌, 우측을 차단하는 측면 차단부(330) 및 얼굴에 착용하기 위한 프레임(310)을 포함한다. 프레임(310)과 상단 차단부(320) 및 측면 차단부(33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사용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일 경우도 무테안경의 렌즈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렌즈 삽입하여 착용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2, the peripheral shiel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hield 320 for shie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visual field, and a side shield for shielding the left and right sides. (330) and a frame (310) for wearing on the face. The frame 310, the upper shielding part 320, and the side shielding part 330 may be integrally formed so that a user who does not wear glasses can be used conveniently. In the case of a wearer wearing glasses, it is possible to wear the lens by inserting the lens using the lens fixing device of the eyeglasses.

프레임(310)은 안경테 형상의 상부 테두리(312)와 코받침(314)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테두리(312)에 상단 차단부(320)가 결합하고, 프레임(310)의 양측에 측면 차단부(330)가 구성될 수 있다. The frame 310 may form an upper frame 312 in the form of an eyeglass frame and a nose receiver 314. The top blocking part 320 may be coupled to the top frame 312 and the side blocking part 33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310.

구체적으로 상단 차단부(320)와 측면 차단부(33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형체이며 프레임(310)의 상부 및 양 측면에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차단부(320)는 시야의 상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며 후측 끝단이 상부 테두리(20)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단 차단부(320)는 각도 조절수단을 겸비한다. Specifically, the upper shielding part 320 and the side shielding part 330 are plate-shaped bodies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frame 310. The upper blocking portion 320 has a predetermined width so as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visual field, and the rear end of the upper blocking portion 320 is seated on the upper frame 20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The top blocking portion 320 also has an angle adjusting means.

측면 차단부(330)는 상단 차단부(320)와 일부분이 연계되고, 수직한 형태로 프레임(310) 양 측면으로 결합되며 시야의 좌, 우측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 측면 차단부(330)는 시야의 측면을 차단할 수 있는 소정의 폭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면서 일측에 안경다리(322)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면에 절첩선(334)을 형성하여 일측으로 절첩되는 절첩수단을 구비한다. 이 절첩선(334)은 측면 차단부(330)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절첩선(334)이 수평인 경우 양측 측면 차단부(330)의 상부 측에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절첩선(334)을 중심으로 양측의 측면 차단부(330)의 하부 측이 내측으로 절첩되도록 하여 가리개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보관 및 휴대가 매우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4를 참조하면, 절첩선(334)이 수직인 경우 양측 측면 차단부(330)가 각각 반으로 절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절첩선(334)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절첩되어 보관가능하다. 실시예로서, 측면 차단부(330)의 절첩선(334)을 각각 수직 또는 수직으로 달리 구성하였으나 제조 시 필요에 따라 수직 및 수평 절첩선(334)을 측면 차단부(330)에 겸비할 수 있다.The side shielding part 330 is connected to the upper shielding part 320 in a part thereof and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rame 310 in a vertical shape to block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sual field. The side shields 33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eyeglass leg 322 while being verticall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to block the side of the visual field. Referring to FIG. 23, a folding line 33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olding line, and folding means is folded to one side. The fold line 334 may be form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on the side blocking portion 330. That is, when the fold line 334 is horizontal, it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th side surface blocking portions 330. The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blocking portions 330 on both sides around the fold line 334 is inwardly So that the volume of the visor can be minimized, which makes it very easy to store and carry. Referring to FIG. 24, when the fold line 334 is vertical, the both side blocking portions 330 may be folded in half. Folded inward around the fold line 334 and can be stored. Although the fold lines 334 of the side cutout portions 330 ar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vertically or verticall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fold lines 334 may be combined with the side cutout portions 330, .

도 25를 참조하면, 측면 차단부(330)는 상단 차단부(320) 및 프레임(310)의 양측으로 각각 결합을 이루면서 상단 차단부(320)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단 차단부(320)의 각도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각도 조절수단으로 상단 차단부(320)의 양 끝단이 핀 볼트(336)에 의해 측면 차단부(33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단 차단부(320)가 상, 하 방향으로 각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다. 25, the side blocking part 330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blocking part 320 and the frame 310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with the upper blocking part 320, 320 can be changed variably. Both ends of the upper shield 320 are pivotably coupled to the side shield 330 by the pin bolts 336 by the angle adjusting means so that the upper shield 320 can adjust the angle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를 폴리아미드(polyamide)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가리개는 무게가 가볍고 안경테(10)의 사이즈에 따라 넓이 조절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shiel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polyamide material, so that the shield is light in weight and can be deformed by adjusting the width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rame 10.

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가리개는 피톤치드(phytoncide) 재질로 형성하여 삼림욕 기능을 가지도록 함에 따라 학습 및 업무능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리개의 전체 또는 일부를 피톤치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단 차단부(320) 또는 측면 차단부(330)를 일정기간이 지나면 각각 교체 사용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shiel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phytoncide material so as to have a forest bath function, thereby improving learning and work efficiency. At this time, all or a part of the visor may be made of phytoncide material, and the upper blocking part 320 or the side blocking part 330 may be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도 26을 참조하면, 가리개에 피톤치드(340)를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가리개의 양측에 위치한 측면 차단부(330)의 내 측면에 피톤치드(34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342)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이 삽입부(342)는 피톤치드(340)를 내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양측에 상기 피톤치드(340)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344)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the phononchid 340 can be attached to the visor. Specifically, the inserting portion 342 may be configured to insert the phonogram 340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blocking portion 33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visor. The insertion portion 342 may be opened at one side so as to allow the phytoncide 340 to be inserted therethrough and formed with guide grooves 344 for guiding insertion of the phytoncide 340 to both sides thereof.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variations.

10:안경테 20:상부 테두리
30:안경다리 110:상단 차단부
120:측면 차단부 122:절첩선
130:핀 볼트 140:주름부
150:탄성밴드 160:클립
170:집게부 172:누름부
174:지지편 180:피톤치드
182:삽입부 184:가이드 홈
210:상단 차단부 220:C형 클립
222:돌기 230:측면 차단부
231:절첩선 232:이동홈
240:조절 바 242:걸림홈
244:홀 245:고정돌기
246:제1 조절 바 247:고정홈
248:제2 조절 바 249:간격 주름부
250:주름부 260:탄성밴드
270:핀 볼트 280:클립
290:집게부 292:누름부
294:지지편 296:피톤치드
297:삽입부 298:가이드 홈
310:프레임 312:상부 테두리
314:코받침 320:상단 차단부
330:측면 차단부 322:안경다리
334:절첩선 336:핀 볼트
340:피톤치드 342:삽입부
344:가이드 홈
10: eyeglass frame 20: upper frame
30: eyeglass leg 110: upper blocking part
120: side blocking portion 122: fold line
130: pin bolt 140:
150: elastic band 160: clip
170: clamping unit 172:
174: Support piece 180: Phytoncide
182: inserting portion 184: guide groove
210: upper blocking part 220: C-shaped clip
222: projection 230: side blocking portion
231: fold line 232: moving groove
240: control bar 242:
244: Hole 245: Fixing projection
246: first adjustment bar 247: fixing groove
248: second adjusting bar 249:
250: wrinkle portion 260: elastic band
270: Pin Bolt 280: Clip
290: clamping unit 292:
294: Support piece 296: Phytoncide
297: insertion portion 298: guide groove
310: frame 312: upper border
314: Nose support 320:
330: side blocking portion 322: eyeglass leg
334: fold line 336: pin bolt
340: Phytoncide 342:
344: Guide groove

Claims (4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안경테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되어 시야의 상부를 차단하도록 하면서 각도 조절수단 및 폭 조절수단을 겸비한 상단 차단부;
상기 상단 차단부의 후단 양측에 형성된 C형 클립;
상기 안경테 측면에 위치한 안경다리에 결합되어 시야의 좌, 우측을 차단하도록 하는 측면 차단부;
상기 측면 차단부에 구비되어 안경다리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
상기 상부 테두리에 놓이는 상단 차단부의 C형 클립이 고정되도록 하고, 양 측의 측면 차단부와 결합 및 폭을 가변시키도록 슬라이딩 이동하여 간격조절을 안내하는 조절 바
를 포함하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An upper shield having an angle adjusting means and a width adjusting means which are seated on an upper edge of the spectacle frame to block an upper portion of the visual field;
A C-shaped clip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upper shield;
A side blocking part coupled to the eyeglass frame located on the side of the spectacle frame to block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isual field;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 blocking portion to detachably attach to the eyeglass leg;
A C-type clip of an upper blocking portion placed on the upper rim is fixed, and a control bar slidably moves to vary the width and the width of the side blocking portion on both sides,
A peripheral vision shield for improved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신축 가능하게 다수의 굴곡으로 형성된 주름부인,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width adjusting means,
Which is formed by a plurality of bends,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신축 가능한 탄성밴드인,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width adjusting means,
Elastic band which can be stretched,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수단은,
상단 차단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2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or 19,
The width adjusting means,
And at least one of them is formed in the upper blocking portion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차단부와 조절 바는 핀 볼트에 의해 조립되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ide blocking portion and the control bar are assembled by a pin bolt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차단부는,
상부에 다수의 이동홈을 구비하며,
조절 바가 이동홈에 장착되는 위치에 따라 측면 차단부의 위치를 가변하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ide-
And has a plurality of moving grooves on its upper portion,
The position of the side blocking por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trol bar is mounted in the moving groove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차단부는,
절첩수단을 포함하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side-
Including folding means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수단은,
측면 차단부의 일면에 절첩선을 형성하며,
상기 절첩선은 수평 또는 수직인,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24. 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folding means comprises:
A fold lin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ide blocking portion,
The fold line may be horizontal or vertical,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형 클립은,
내주면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정 길이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한,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
A protrusion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안경다리에 걸림고리식으로 결속을 이루는 클립인,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Clip on the legs of the glasses,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집게부인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Wife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바는,
C형 클립의 돌기를 내입하는 걸림홈을 외주연에 형성한,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bar comprises:
And a latching groove into which the projection of the C-type clip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바는,
양측으로 분할된 구성을 가지며,
일측에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돌출된 끝단 외주연에 복수의 고정돌기를 형성한 제1 조절 바;
상기 제1 조절 바를 내입할 수 있는 홀을 일측에 형성하고, 내벽에 고정돌기와 끼움되는 고정홈을 형성한 제2 조절 바
를 포함하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bar comprises:
Has a configuration divided into two sides,
A first adjustment bar formed to protrude at one side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and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protruded end outer periphery;
A second adjusting bar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adjusting bar can be inserted and having a fixing groove fitted in the inner wall of the fixing bar,
A peripheral vision shield for improved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바는,
신축 가능하게 다수의 굴곡으로 형성된 간격 주름부인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ntrol bar comprises:
A spacer wrinkle formed by a plurality of bends to be stretchable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차단부와 측면 차단부는 폴리아미드 재질인
집중력 향상을 위한 주변 시야 가리개.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upper blocking portion and the side blocking portion are made of polyamide
Surrounding field view to improve concentr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41162A 2012-09-13 2013-04-15 Peripheral vision cover for improving concentration KR1014374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1622 2012-09-13
KR1020120101622 2012-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238A KR20140035238A (en) 2014-03-21
KR101437464B1 true KR101437464B1 (en) 2014-09-04

Family

ID=5064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162A KR101437464B1 (en) 2012-09-13 2013-04-15 Peripheral vision cover for improving concent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46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631B1 (en) 2019-05-22 2020-06-24 옵투협동조합 Concentration enhanced glasses with a blocking shiel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3248A (en) * 2019-08-21 2021-03-01 とべる工房株式会社 Concentration maintenance/enhancement tool
KR102333455B1 (en) 2020-04-02 2021-11-30 노재용 Paper Glasses With Sunscreen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2335A (en) * 1997-01-13 1998-07-28 Takehara Nobuaki Goggle
KR100290300B1 (en) 1994-10-11 2001-05-15 허쉬만 리차드 Improved method and assembly set for attaching side shields to the glasses legs
KR200261651Y1 (en) * 2001-06-08 2002-01-23 최순철 Sunshade around the eyes
KR20120092312A (en) * 2011-02-11 2012-08-21 이승일 Glasses for improving concentr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300B1 (en) 1994-10-11 2001-05-15 허쉬만 리차드 Improved method and assembly set for attaching side shields to the glasses legs
JPH10192335A (en) * 1997-01-13 1998-07-28 Takehara Nobuaki Goggle
KR200261651Y1 (en) * 2001-06-08 2002-01-23 최순철 Sunshade around the eyes
KR20120092312A (en) * 2011-02-11 2012-08-21 이승일 Glasses for improving concent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631B1 (en) 2019-05-22 2020-06-24 옵투협동조합 Concentration enhanced glasses with a blocking sh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238A (en)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6436A3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10732433B2 (en) Eyewear with adjustable strap
US20030071961A1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magnifying lens
US5692234A (en) Clip-on glasses/shield for caps with bills
KR101437464B1 (en) Peripheral vision cover for improving concentration
US6948812B2 (en) Cap visor eye shield
JPH0490508A (en) Cover sunglass spectacles
KR101469013B1 (en) Protective glasses
KR20190049869A (en) A pair of perspective frames
US20150009468A1 (en) Eyewear system with a tensioner
EP2818065A1 (en) Cap having incorporated glasses
KR20150130700A (en) Apparatus for helping user with concentration
CA2738528C (en) Multiple lens geometries for safety glasses
CN210401894U (en) Metal front-hanging glasses
KR20150145830A (en) Apparatus Of Glasses For Improving Concentration
KR20170116397A (en) 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US20110289641A1 (en) Visor With Sunglasses
CN205139497U (en) Adjustable spectacles
CN206039070U (en) Incident light intensity adjustable glasses
US20190243163A1 (en) Eyeglasses clip
KR200462297Y1 (en) The hat which spectacles are put together with
JP3220120U (en) Glasses that allow easy lens removal and installation.
CN209182594U (en) A kind of movement sunglasses
JP3169816U (en) Sun protection face cover
US1918264A (en) Eyesh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