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397A - 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 Google Patents

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397A
KR20170116397A KR1020160044064A KR20160044064A KR20170116397A KR 20170116397 A KR20170116397 A KR 20170116397A KR 1020160044064 A KR1020160044064 A KR 1020160044064A KR 20160044064 A KR20160044064 A KR 20160044064A KR 20170116397 A KR20170116397 A KR 20170116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elastic fixing
main frame
sunglasses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0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08415B1 (en
Inventor
이신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트
Priority to KR1020160044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415B1/en
Publication of KR20170116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4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그라스를 인체가 아닌 사용자의 안경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며 얇은 필름 재질로 렌즈를 구성하여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고 휴대성을 높인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에 관한 것으로, 필름; 상기 필름이 끼워지는 바 형태의 주프레임; 상기 주프레임의 양측 말단 부위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에 체결될 수 있는 안경용 클립; 을 포함하며, 상기 안경용 클립은 안경다리에 상부 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ir of sunglasses for detaching wearing sunglasses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glasses of a user rather than a human body, and which constitutes a lens with a thin film material to reduce overall weight and improve portability. A main frame in the form of a bar into which the film is inserte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main frame; And an eyeglass clip that can be fasten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the eyeglass clip is coupled to the eyeglass leg in an upper mounting manner.

Description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본 발명은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에 관한 것으로, 선그라스를 인체가 아닌 사용자의 안경에 탈착할 수 있도록 하며 얇은 필름 재질로 렌즈를 구성하여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고 휴대성을 높인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nglass for wearing a specta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nglass for wearing a sunglass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 user's glasses, not a human body, and which has a lens made of a thin film material, .

선글라스는 등산 또는 낚시와 같이 장시간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 강한 햇빛과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많이 이용한다. Sunglasses are often used to protect your eyes from strong sunlight and ultraviolet rays when you are outdoors for a long time, such as mountain climbing or fishing.

그런데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시력에 맞는 시력교정용 안경알이 구비된 안경을 항시 착용한 상태로 생활하게 되는데, 이들이 야외 활동 등에서 강한 햇빛과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목적으로 선글라스를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 안경과 별도로 자신의 시력에 맞춘 선글라스용 시력교정 안경알이 구비된 선글라스를 더 준비해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people who wear glasses wear glasses with eyeglasses that are suitable for their eyesight, and they want to wear sunglasses to protect their eyes from strong sunlight and ultraviolet rays in outdoor activities. In add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carry and carry more sunglasses equipped with eyeglass-correcting eyeglasses for sunglasses that were tailored to their own eyesight separately from the glasses.

이 때문에 종래에는 안경과 선글라스를 상황에 따라 별도로 착용해야 하기 때문에 소지 및 이용상의 불편함이 많았다. 즉,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선글라스를 이용하지 않고자 할 경우 선글라스를 호주머니에 수납하거나 또는 그 밖의 선글라스 걸이용 고리를 이용하여 목에 선글라스를 걸고 다녔다.Because of this, conventionally, spectacles and sunglasses have to be worn separate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In other words, if you do not want to use sunglasses while wearing glasses, you can put sunglasses in your pocket or use other sunglasses hooks to hang sunglasses around your neck.

이러한 선글라스 휴대 및 착용 방식은 보행에 불편함을 주고, 부주의로 파손될 수 있는 등 휴대 및 보관상의 불편함이 있다.Such a method of carrying and wearing sunglasses may cause inconvenience to walking and may be inadvertently damaged, and there is inconvenience of carrying and stor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선그라스를 인체가 아닌 사용자의 안경에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으며 얇은 필름 재질로 렌즈를 구성하여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고 휴대성을 높인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sunglass which can selectively attach and detach sunglasses to a user's eyeglasses, a lens made of a thin film material, The sungla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안경을 벗지 않고 착용이 가능하며 굳이 선글라스용 시력교정 안경알이 필요없어 저렴한 비용으로 눈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particul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nglass wearing spectacles which can be worn without removing the glasses even if the wearer wears spectacles, and which can protect the eyes at low cost without the need for eyeglass correction glasses for sunglasses.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상기 필름이 끼워지는 바 형태의 주프레임; 상기 주프레임의 양측 말단 부위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에 체결될 수 있는 안경용 클립; 을 포함하며, 상기 안경용 클립은 안경다리에 상부 압입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A main frame in the form of a bar into which the film is inserte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main frame; And an eyeglass clip that can be fastened to the coupling member; And the eyeglass clip is coupled to the eyeglass legs by an upper press-fitting mounting method.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의 상부에는 상기 주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 형상의 장착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주프레임은 바 형태를 가지며,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입된 장착홈이 형성되고 장착홈에는 상기 필름의 장착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구비되어 돌기에 필름의 장착홀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필름과 주프레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t least on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m for engagement with the main frame. The main frame has a bar shape, and a mounting groove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nd the mount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hole of the film so that the mounting hole of the film is fitted to the projection so that the film and the main frame are coupl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적어도 둘 이상의 끼움홈이 일렬로 이격 형성된 폭 조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 중 하나에는 결합부재의 클램프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안경용 클립과의 결합 및 폭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frame is provided with a width adjusting portion formed with at least two or more fitting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ine, and a clamp of the engaging member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one of the fitting grooves, Is adjusted at the same time.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름은 가요성을 갖는 PET 필름이며, 하부의 중심에는 인체의 코가 끼워 걸려질 수 있는 코걸이 홈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film is a flexible PET film, and a nose pad groove in which a nose of a human body can be caught is formed at the center of a lower portion thereof.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프레임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판 형태의 지지편이 필름을 일측에서 지지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편은 수평 방향으로는 양측 옆면이 내측으로 함몰되고, 수직 방향으로는 양측 하부면에 기다란 돌출부가 사선 형태로 각각 돌출되며, 하부면의 중심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a plate-shaped support piece protruding downward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so as to support the film from one side thereof.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oth side faces are recessed inward,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of the protrusions protrudes obliquely from the surface,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has a shape recessed inward.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와 안경용 클립의 결합은 클립의 리브가 결합부재의 회동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핀이 상기 리브와 상기 회동부의 구멍을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engaging member and the spectacled clip ar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clip is fitted in the rotating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and the pin passes through the hole of the rotating portion and the rib.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경용 클립은 굴곡 형성된 거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이 거치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회동부와 결합하기 위한 리브가 돌출형성되며, 타측 하부에는 안경다리에 거치될 수 있는 2 개의 탄성 거치판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pectacle clip is constituted by a flexibly formed frame, a rib for engaging with the rotation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rame, and two ribs And the resilient mount plate is protruded.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탄성 거치판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2 개의 탄성 거치판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each resilient mounting plate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two resilient mounting pl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바람직하게는, 상기 2 개의 탄성 거치판의 배치에서 뿌리측 사이의 간격에 비해 자유단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pacing between free ends is narrow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root sides in the arrangement of the two elastic dock plates.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거치판에는 내부에 해당 탄성 거치판과 동일한 형상의 탄성홀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elastic fixing plate is formed with an elastic hol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elastic fixing pl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거치판은 뿌리측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elastic dock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s area decreases from the root side toward the free end.

본 발명에 따르면, 선그라스를 인체가 아닌 사용자의 안경에 탈착할 수 있게 되어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nglasses can be attached to and removed from the glasses of the user, not the human body.

또한 얇은 필름 재질로 렌즈를 구성하여 전체적인 중량이 가벼워져 휴대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the lens is composed of a thin film material, and the overall weight is lightened, thereby increasing the portability.

특히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안경을 벗지 않고 착용이 가능하며 굳이 선글라스용 시력교정 안경알이 필요없어 저렴한 비용으로 눈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In particular, even if the wearer wears glasses, it is possible to wear the glasses without removing them, and the eyeglass correcting eyeglasses for sunglasses are not required, and the eye can be protected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글라스의 필름 및 이를 지지하는 지지편의 벤딩 방지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글라스가 안경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unglasses for wearing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lm of a sun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bending prevention effect of a supporting piece for supporting the sam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sunglasses of the specta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sun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glasse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unglasses for wearing 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는, 눈을 보호하기 위한 얇은 연질의 필름(10)과, 상기 필름(10)이 끼워지는 바(bar) 형태의 주프레임(20)과, 상기 주프레임(20)의 양측 말단 부위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30)와, 상기 결합 부재(30)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안경용 클립(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a sun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in film 10 for protecting eyes and a main frame 20 in the form of a bar into which the film 10 is inserted. A coupling member 30 coupl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main frame 20 and a spectacles clip 40 selectively fastened to the coupling member 30.

여기에서 상기 안경용 클립(40)은 일반 안경의 안경다리에 상부 압입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선글라스를 일반 안경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Here, the eyeglass clip 40 is coupled to the eyeglass legs of the general eyeglasses by an upper press-fitting mounting method so that the sunglasses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general eyeglasses.

상기 필름(10)은 PET(Polyethylele Terephthalate) 재질의 시트를 베이스로 하는 PET 필름일 수 있으며, 여기에 강한 햇빛과 자외선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적외선 차단층, 스퍼터링층, 색상 코팅층 등이 다양하게 적층될 수 있다. 이 같은 필름(10)은 그 두께가 1 ~ 8 mil일 수 있으며, PET를 베이스로 해 경량인 동시에 연질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쉽게 구부러지고 탄성에 의해 원형을 회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The film 10 may be a PET film based on a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sheet. In order to protect the eyes from strong sunlight and ultraviolet rays, various layers such as an infrared ray blocking layer, a sputtering layer, Can be stacked. Such a film 10 may have a thickness of 1 to 8 mils, and it is lightweight and has soft characteristics based on PET and easily bends and restores the original shape due to elasticity.

상기 필름(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중심에는 인체의 코가 끼워 걸려질 수 있는 코걸이 홈(11)이 함몰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주프레임(20)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 형상의 장착홀(12)이 다수 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홀(12)은 상부의 중앙 부위와 양측 말단 부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lm 10 is formed with a nose pad groove 11 which can be engaged with a nose of a human body at the center of a lower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12 are formed. Preferably, the mounting holes 12 may be formed at the upper central portion and the opposite end portions, respectively.

상기 주프레임(20)은 전체적으로 기다란 바 형태를 가지며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주프레임(20)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입된 장착홈(21)이 형성되어 상기 필름(10)이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필름(10)의 장착홈(21) 내 고정을 위해 상기 장착홈(21)에는 상기 필름(10)의 장착홀(12)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도시 않음)가 구비되며, 이 돌기에 필름(10)의 장착홀(12)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필름(10)과 주프레임(2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 main frame 20 has a generally long bar shape and may be made of a light plastic material. Mounting grooves 21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ilm 10 can be inserted. In order to fix the film 10 in the mounting groove 21, the mounting groove 21 is provided with a projection (not show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hole 12 of the film 10, The film 10 and the main frame 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mounting hole 12 of the film 10 is fitted in the frame 10.

또한 주프레임(20)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적어도 둘 이상의 끼움홈(23)이 일렬로 이격 형성되어 폭 조절부(24)를 구성한다. 이 끼움홈(23)은 결합부재(30)의 클램프(31)가 선택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일렬로 다수개가 구성되어 안경용 클립(40)을 지지하는 클램프(31)의 결합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한다. At least two or more fitting grooves 23 are formed in a line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main frame 20 to constitute a width adjusting portion 24. The fitting grooves 23 are provided so that the clamps 31 of the coupling member 30 can be selectively inserted and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rows so as to change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clamp 31 supporting the spectacles clip 40 .

실제 사람마다 얼굴의 크기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안경의 사이즈 역시 서로 다르다. 보다 정확하게는 사람마다 얼굴의 좌우폭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에 따라 안경 다리 사이의 폭도 다르게 선택된다. 따라서 다양한 안경 사이즈에 따라 좌우 안경용 클립(40)의 폭을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주프레임(20)에는 일렬로 다수의 끼움홈(23)이 구비되는 폭 조절부(24)가 구성되어 안경용 클립(40)과의 결합 및 폭 조절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ize of the faces of real people, and the sizes of the glasses are also different from each other. More precise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idth of the face of each person, and accordingly, the width between the legs of the glasses is also differently select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widths of the left and right eyeglass clips 40 according to various glasses sizes. To this end, the width of the main body frame 20 is adjusted by the width adjusting part 24 having a plurality of fitting grooves 23, (40) and width adjustment can be performed together.

그리고 상기 주프레임(2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판 형태의 지지편(25)이 구성된다. 상기 필름(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PET를 베이스로 해 경량인 동시에 연질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바람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게 된다. 이 같은 필름(10)의 벤딩(구부러짐) 현상은 결국 필름(10)에 구부러진 흔적을 남겨 필름(10)의 외관을 손상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며 또한 이 같은 필름(10)의 벤딩에 의해 선글라스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에 상처를 줄 수도 있다. A plate-shaped support piece 25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2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lm 10 is lightweight and has soft characteristics based on PET, the film 10 is easily bent by external factors such as movement of the wearer or wind. Such a bending (bending) phenomenon of the film 10 is a major cause of damaging the appearance of the film 10 by leaving a trail on the film 10 and also the wearing of the sunglasses by the bending of the film 10 It may damage the face of one use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같은 연질의 필름(10)이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바람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판 형태의 지지편(25)이 필름(10)을 일측에서 지지하게 하는 특징을 갖는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like support pieces 25 support the film 10 from one side so that the flexible film 10 can not be bent easily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movement of the wearer or the wind .

상기 지지편(25)은 필름(10)이 끼워지는 주프레임(20)의 장착홈(21)을 기준으로 내측(착용시 얼굴측)에 구비되어 가요성을 갖는 필름(10)이 내측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supporting piece 25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face side when wor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groove 21 of the main frame 20 in which the film 10 is inserted so that the flexible film 10 is bent inward .

여기에서 지지편(25)은 위치상 착용자의 시선을 가리기 때문에 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Here, the support piece 25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because it is visually pointed to the wearer's position.

하지만 투명 재질의 지지편(25)이라 하더라도 착용자 시야를 어느 정도는 방해하는 것이 사실이며, 유색 재질로 주프레임(20)이 구성될 경우 이 지지편(25)도 동일한 유색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지지편(25)은 판 형태이기 때문에 그 크기가 클수록 필름(10)에 대한 벤딩 방지 효과는 커질 것이다. 하지만 지지편(25)은 기본적으로 시야를 제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 지지편(25)이 커질수록 사용자의 시야는 좁아질 것이다. However, even if the supporting piece 25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visual field of the wearer is disturbed to some extent. When the main frame 20 is made of a colored material, it is general that the supporting piece 25 is made of the same colored material to be. 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piece 25 is in the form of a plate, the larger the size of the support piece 25, the greater the effect of preventing bending of the film 10. However, since the supporting piece 25 is basically configured to restrict the view, the view of the user will be narrowed as the supporting piece 25 is larger.

따라서 지지편(25)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면서 동시에 이 지지편(25)으로 인한 필름(10) 지지기능을 커지게 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지지편(25)의 형태들을 가지고 착용자의 시야 넓이와 지지효과를 번갈아 실험하였으며 이를 최적화해 도면에 도시된 형태와 같은 지지편(25)의 형태를 도출하였다.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he overall size of the support piece 25 and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the support function of the film 10 due to the support piece 25.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wearer's field of view and the supporting effect are alternately experimented with the shapes of the various supporting pieces 25, and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iece 25 as shown in the figure is derived.

기본적으로 필름(10)은 착용자의 양측 눈을 모두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좌우 방향의 길이가 길며 상하 방향의 길이는 짧은 특성을 갖지만, 필름(10)이 좌우 길이 방향을 따라 주프레임(20)에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결국 필름(10)이 수직 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는 벤딩은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된다. 반면 필름(10)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비교적 짧지만 이 방향에 대하여 다른 지지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실제 대부분의 벤딩은 필름(10)이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는 벤딩이었다. 따라서 필름(10)의 배면에서 지지하는 상기 지지편(25)은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는 벤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는 길어야 하며, 좌우 방향의 길이는 착용자의 시야 넓이 확보를 위해 짧아야 한다. 또한 지지편(25)의 하부에는 인체의 코가 끼워 걸려질 수 있는 코걸이 홈(11)이 필름(10)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10)이 벤딩될 확률이 낮아 그 길이 역시 짧으면 좋다. Basically, the film 10 has a long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short length in the up-and-down direction because it needs to protect both eyes of the wearer. However, the film 10 is inserted into the main frame 20 along the left- The bending of the film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hardly caus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ength of the film 10 in the up-and-down direction is relatively short, but there is no other supporting structure for this direction, most of the bending was actually bending in which the film 10 was folded about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the supporting piece 25 suppor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m 10 should have a long length in the up-and-down direction so as to prevent bending folding about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ength in the left- do. In addition, since the nose pad groove 11 that can be caught by the nose of the human body is formed on the film 10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iece 25, the probability of bending the film 10 is low and the length thereof is also short.

이 같은 원리에 의해 제안된 지지편(25)의 바람직한 형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25)은 수평 방향으로는 착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양측 옆면이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를 가지며, 수직 방향으로는 필름(10)이 수평 방향을 중심으로 접히는 벤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측 하부면에 기다란 돌출부가 사선 형태로 각각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하부면의 중심부는 코걸이 홈(11)을 감안하여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A preferred form of the support piece 25 proposed by this principle i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2, the supporting piece 25 has a shape in which both side faces are recessed inwardly in order to secure the visibility of the wear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lm 10 is bent An elongated protrusion protrudes obliquely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so as to prevent the phenomen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has a shape recessed inward in consideration of the nose pad groove 11.

이러한 지지편(25)으로 인해 비록 연질의 필름(10)을 채용하더라도 필름(10)이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바람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는 벤딩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Even if the flexible film 10 is used, the support pieces 25 can prevent the film 10 from bending easily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movement of the wearer or the wind.

한편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주프레임(20) 상에 끼워져 결합되며 착용자의 안경 사이즈(안경 다리 사이의 폭)에 따라 폭 조절부(24)의 일렬 끼움홈(23)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The coupling member 30 is fitted on the main frame 20 and is selectively coupled to one of the row fitting grooves 23 of the width adjusting portion 24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wearer's glasses Respectively.

이 같은 결합부재(30)는 주프레임(20)의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끼움홈(23)에 끼워 결합할 수 있는 U자 형태의 클램프(31)가 하부에 구비되며, 이 클램프(3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회동부(32)가 형성되고, 이 회동부(32)에는 클립(40, 5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멍(33)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부(32)의 외면에는 원호상으로 된 외면을 따라 스플라인 돌기(34)가 일정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플라인 돌기(34)는 클립(40, 50)의 회전시 소정의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설정된 회전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재(30)와 클립(40, 50)의 결합은 클립(40, 50)의 리브(41, 51)가 결합된 상태에서 핀(35)이 리브(41, 51)와 구멍(33)을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The coupling member 30 is provided at its lower portion with a U-shaped clamp 31 that can be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23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main frame 20, There is formed a turning portion 32 which projects upward and a hole 33 is formed in the turning portion 32 so that the clips 40 and 50 are rotatably engaged. A spline protrusion 3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wivel portion 32 so as to protrud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arc. The spline protrusion 34 is for freely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clips 40 and 50 are rotated, and stably maintaining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member 30 with the clip 40 and 50 is achieved by the engagement of the ribs 41 and 51 with the ribs 41 and 51 of the clip 40 and 50, As shown in FIG.

따라서 사용자는 이 핀(35)을 넣고 빼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안경용 클립(40)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user can attach the eyeglass clip 40 only by a simple operation of inserting and removing the pin 35.

이러한 안경용 클립(40)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eyeglass clip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안경용 클립(40)은 일반 안경의 안경다리에 상부 압입거치 방식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선글라스를 일반 안경에 쉽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3 and 4, the eyeglass clip 40 is coupled to the eyeglass legs of the general eyeglasses in an upper press-fitting manner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sunglas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general eyeglasses.

상기 안경용 클립(40)은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 굴곡 형성된 거치 프레임(42)으로 구성되며, 이 거치 프레임(42)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재(30)의 회동부(32)와 결합하기 위한 리브(41)가 돌출형성되며, 타측 하부에는 안경다리에 압입거치될 수 있는 탄성 거치판(43)이 돌출형성된다. The eyeglass clip 40 is composed of a mounting frame 42 which is bent in a lattice form as a whole and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mounting frame 42 with a rib 41 are protruded, and an elastic fixing plate 43, which can be press-fitted to the eyeglass leg, is protrud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상기 리브(41)는 결합부재(30)의 회동부(32) 양면에 위치되도록 거치 프레임(42)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 리브(41)에는 회동부(32)의 구멍(33)과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리브(41)의 상부에는 안경용 클립(40)이 임의로 자유롭게 회전되지 않도록 스플라인 돌기(34)에 대응되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즉 돌기는 스플라인 돌기(3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안경용 클립(40)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안경용 클립(40)의 회전시 자유롭게 회전된다. The ribs 41 extend to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frame 42 so as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turning portion 32 of the engaging member 30. The rib (41) is provided with a hole corresponding to the hole (33) of the rotary part (32). A protrusion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 spline protrusion 34 is formed on the rib 41 so that the spectacle clip 40 is not freely rotated. In other words, the projections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line protrusions 34 so that the spectacle clip 40 is kept rotated by the user and freely rotated when the spectacle clip 40 is rotated.

여기에서 거치 프레임(42)이 ㄱ자 형태로 굴곡 형성된 이유는 착용자의 얼굴 전면에 대해 수평하게 위치되는 주프레임(20)과 착용자의 안경다리가 가지는 약 90°의 각도를 커버하기 위함이다. Here, the reason why the mounting frame 42 is bent in a L-shaped form is to cover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of the main frame 20 and the wearer's glasses legs, which are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front face of the wearer.

상기 탄성 거치판(43)은 전체적으로 판형이고 내부에 탄성홀(44)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 프레임(42)의 타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같은 탄성 거치판(43)은 하나의 거치 프레임(42)에 2 개가 돌출형성되며, 이 2 개의 탄성 거치판(43)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서 이 2 개의 탄성 거치판(43)의 사이 공간을 이용해 안경다리에 압입해 끼워지고 결과적으로 거치 프레임(42)이 안경 다리 위에 거치되게 되는 것이다. The elastic fixing plate 43 is generally plate-shaped, has elastic holes 44 formed therein,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mounting frame 42. Two such resilient mounting plates 43 are protruded from one mounting frame 42. The two resilient mounting plates 43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two elastic mounting plates 43 So that the mounting frame 42 is mounted on the legs of the glasses.

따라서 2 개의 탄성 거치판(43)을 이용해 안경 다리 위에 안경용 클립(40)을 상부 압입거치 방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인 선글라스의 안경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by attaching the spectacles clip 40 on the legs of the spectacles using the two elastic fixing plates 43 by the upper press-fitting mounting method, the glasses of the overall sunglasses can be mounted.

여기에서 2 개의 탄성 거치판(43)을 안경다리 위에 거치하게 되면, 착용자의 움직임이나 바람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선글라스가 안경에서 벗겨질 우려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상기 2 개의 탄성 거치판(43) 사이의 간격은 일반적인 안경다리의 두께와 같아야 한다. 하지만 단순히 안경다리의 두께와 탄성 거치판(43) 사이의 간격을 같게 만들면 탄성 거치판(43)에서 안경다리가 쉽게 빠져나오게 되며 결국 선글라스의 안정적인 결합은 어려워지게 된다. Here, when the two elastic fixing plates 43 are mounted on the glasses legs, there is a fear that the sunglasses are peeled off from the glasses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movement of the wearer and the win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basically,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elastic fixing plates 43 should be equal to the thickness of a general eyeglass leg. However, if the thickness of the eyeglass legs is made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elastic fixing plates 43, the legs of the eyeglasses can easily be pulled out from the elastic fixing plate 43. As a result, stable connection of the sunglasses becomes difficult.

먼저 본 발명에서는 서로 마주하는 2 개의 탄성 거치판(43) 사이의 끼워지는 안경다리가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양측 탄성 거치판(43)의 뿌리측 간의 간격은 안경다리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크게 배치하며 자유단으로 갈수록 양측 탄성 거치판(4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탄성 거치판(43)의 자유단은 외력에 의해 벌려지거나 좁혀지더라도 다시 원형으로 복귀하는 탄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즉, 양측 탄성 거치판(43)의 간격은 뿌리측에 비해 자유단 부분이 좁아지도록 만들어 안경다리를 끼우는 압입 과정에서는 안경다리의 두께에 비해 좁은 자유단이 압입하는 힘에 의해 벌어지면서 안경다리가 양측 탄성 거치판(43)의 자유단의 사이에 끼워질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끼워진 안경다리는 안경다리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크게 배치된 양측 탄성 거치판(43)의 뿌리측에 수용될 것이다. 또한 양측 탄성 거치판(43)의 뿌리측에 수용된 안경다리는 자유단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고 양측 탄성 거치판(43)의 뿌리측에 수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될 것이다. 결국 이 같은 2 개의 탄성 거치판(43)의 간격 배치를 통해 안경다리와의 결합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ing between the root sides of the elastic fixing plates 43 on both sides is set to be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yeglass legs so that the legs of the pair of elastic fixing plates 43 facing each other can not easily escape The gap between the elastic fixing plates 43 on both sides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ree end. Here, the free end of the elastic fixing plate 43 will have elasticity to return to a circular shape even if it is opened or closed by an external force. In other words, the spacing of the both-side elastic fixing plates 43 is made narrower than that at the root side, so that the free end narr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yeglass leg is stretched by the force of press- It will be sandwiched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both-side elastic fixing plate 43. The thus fitted glasses legs will be received on the root side of the both-side elastic fixing plate 43 which is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glasses legs. Also, since the space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glasses legs accommodated on the root side of the both-side elastic fixing plate 43 is narrow, the glass legs can not easily escape and the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root side of the elastic fixing plates 43 on both sides will be stably maintained. As a result, the coupling between the pair of elastic fixing plates 43 can be stably maintained through the spacing of the two elastic fixing plates 43.

여기에서 상기 탄성 거치판(43)의 돌출된 자유단은 수평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게 되지만 자유단이 가지는 탄성을 높이기 위해 탄성 거치판(43)의 내부에 탄성 거치판(43)과 동일한 형상의 탄성홀(44)을 천공하게 된다. 이 같은 탄성홀(44)은 탄성 거치판(43)을 보다 유연하게 만들어 탄성 거치판(43)의 자유단이 밖으로 벌어지고 다시 원형으로 복귀하는 탄성이 강화되도록 만들 것이다. 또한 이 같은 탄성홀(44)은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 위치해 클립을 쉽게 파지할 수 있게 만들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탄성 거치판(43)을 안경다리에 압입해 끼우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Here, the protruding free end of the elastic fixing plate 43 has a certain elasticity natur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elasticity of the free end, the elastic fixing plate 43 and the elastic fixing plate 43 The elastic holes 44 of the same shape are punched. Such an elastic hole 44 makes the elastic fixing plate 43 more flexible so that the free end of the elastic fixing plate 43 spreads out and is reinforced to return to the circular shape again. In addition, such a resilient hole 44 is located at the fingertip of the user to facilitate gripping of the clip, thereby assisting the user in easily inserting the elastic holder plate 43 into the eyeglass legs .

이때 상기 탄성 거치판(43)은 판형으로 형성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자유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이는 작은 힘만 가하더라도 탄성 거치판(43)을 쉽게 안경다리에 압입해 끼워넣을 수 있도록 만든다. 즉 탄성 거치판(43)에서 자유단의 면적이 좁아지기 때문에 탄성 거치판(43)을 안경다리에 압입해 끼우는 과정에서 안경다리와의 접촉면적이 작아져 압입시 가해지는 힘이 자유단 끝의 한 점에 온전히 전달되게 될 것이다. 또한 탄성 거치판(43)에서 뿌리측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거치된 안경다리와 탄성 거치판(43)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 클립이 안정적인 결합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elastic fixing plate 43 is formed in a plate shape, but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lastic fixing plate 43 has a shape that the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ree end as a whole.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press the elastic fixing plate 43 into the legs of the glasses even if only a small force is applied. In other words, since the area of the free end of the elastic fixing plate 43 is narrow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elastic fixing plate 43 and the eyeglass leg is reduced during the process of press-fitting the elastic fixing plate 43 into the eyeglass legs, It will be fully communicated to one point. In addition, since the area of the root side of the elastic fixing plate 43 is widene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mounted glasses leg and the elastic fixing plate 43 is widened, so that the clip can maintain a stable bonding posture after the connection is completed.

이 같은 탄성 거치판(43)은 자유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도록 삼각형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시 안정성과 편의성을 위해 자유단 끝을 라운드처리하는 것이 좋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ic fixing plate 43 has a triangular shape so that the area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ree end. In order to ensure stability and convenience in use, the free end is preferably rounded.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n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employed herein, they are us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필름 11 : 코걸이 홈
12 : 장착홀 20 : 주프레임
21 : 장착홈 23 : 끼움홈
24 : 폭 조절부 25 : 지지편
30 : 결합부재 31 : 클램프
32 : 회동부 33 : 구멍
34 : 스플라인 돌기 35 : 핀
40 : 안경용 클립 41 : 리브
42 : 거치 프레임 43 : 탄성 거치판
44 : 탄성홀
10: film 11: nose ring groove
12: mounting hole 20: main frame
21: mounting groove 23: fitting groove
24: width adjusting portion 25:
30: coupling member 31: clamp
32: turning portion 33: hole
34: Spline projection 35: Pin
40: eyeglass clip 41: rib
42: mounting frame 43: elastic mounting plate
44: Elastic hole

Claims (11)

필름;
상기 필름이 끼워지는 바 형태의 주프레임;
상기 주프레임의 양측 말단 부위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에 체결될 수 있는 안경용 클립; 을 포함하며,
상기 안경용 클립은 안경다리에 상부 거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film;
A main frame in the form of a bar into which the film is inserte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main frame; And
An eyeglass clip which can be fastened to the coupling member; / RTI >
Wherein the spectacles clip is coupled to the legs of the glasses in an upper mounting man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상부에는 상기 주프레임과의 결합을 위한 관통 형상의 장착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주프레임은 바 형태를 가지며,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입된 장착홈이 형성되고 장착홈에는 상기 필름의 장착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가 구비되어 돌기에 필름의 장착홀이 끼워지는 방식으로 필름과 주프레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through-hole mounting hole for coupling with the main frame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m,
Wherein the main frame has a bar shape, a mounting groove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bottom face, and a projection is provided on the mounting groov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hole position of the film, Wherein the film and the main fram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적어도 둘 이상의 끼움홈이 일렬로 이격 형성된 폭 조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끼움홈 중 하나에는 결합부재의 클램프가 선택적으로 끼워져 안경용 클립과의 결합 및 폭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frame and the rear frame of the main frame are each provided with a width adjusting part formed with at least two or more fitting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line and a clamp of the engaging member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one of the fitting grooves, Sunglasses to wear glasses wearing a distinctive fea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가요성을 갖는 PET 필름이며, 하부의 중심에는 인체의 코가 끼워 걸려질 수 있는 코걸이 홈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m is a flexible PET film, and a nose pad groove in which a nose of a human body can be caught by the nose is recess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프레임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판 형태의 지지편이 필름을 일측에서 지지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편은 수평 방향으로는 양측 옆면이 내측으로 함몰되고, 수직 방향으로는 양측 하부면에 기다란 돌출부가 사선 형태로 각각 돌출되며, 하부면의 중심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5. The method of claim 4,
A plate-shaped supporting piece protruding downward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frame,
Wherein the support pieces each have a shape in which both side faces are recessed in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rotruding elongated protrusions are formed in both lower faces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face is recessed inward Sunglasses wearing glass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안경용 클립의 결합은 클립의 리브가 결합부재의 회동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핀이 상기 리브와 상기 회동부의 구멍을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agement of the engagement member with the clip for spectacles is performed by fitting a pin through the hole of the rib and the rotation portion while the rib of the clip is fitted in the rotation portion of the engagement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용 클립은 굴곡 형성된 거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이 거치 프레임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회동부와 결합하기 위한 리브가 돌출형성되며, 타측 하부에는 안경다리에 거치될 수 있는 2 개의 탄성 거치판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ib for engaging with the turning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protrudes from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mounting frame, and two elastic fixing plates project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frame, And the sunglasses are attached to the sunglasses.
제 7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 거치판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2 개의 탄성 거치판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each of the elastic fixing plates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the two elastic fixing plates are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탄성 거치판의 배치에서 뿌리측 사이의 간격에 비해 자유단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a space between the free ends of the two elastic fixing plates is narrower than an interval between the root sides in the arrangement of the two elastic fixing plates.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거치판에는 내부에 해당 탄성 거치판과 동일한 형상의 탄성홀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n elastic hol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elastic fixing plate is formed in the elastic fixing pla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거치판은 뿌리측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의 탈착용 선글라스.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astic fixing plate has a smaller area from a root side toward a free end side.
KR1020160044064A 2016-04-11 2016-04-11 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KR1018084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064A KR101808415B1 (en) 2016-04-11 2016-04-11 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064A KR101808415B1 (en) 2016-04-11 2016-04-11 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397A true KR20170116397A (en) 2017-10-19
KR101808415B1 KR101808415B1 (en) 2017-12-14

Family

ID=6029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064A KR101808415B1 (en) 2016-04-11 2016-04-11 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4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289B1 (en) 2018-06-20 2020-01-20 남희정 Lens exchangeable glasser
KR102173696B1 (en) * 2020-03-17 2020-11-03 이왕호 Face shield mask having prevention of corona virus inf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17Y1 (en) 2011-01-31 2011-12-13 (주)로이츠나인 Mask for face protection and UV blocking, and Frame for using to fix mask-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415B1 (en) 201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9655A (en) System for magnetically attaching templeless eyewear to a person
US20170184872A1 (en) Interchangeable Eyeglass Lens Rim Using Magnetic Retaining Forces
US8366267B2 (en) Spectacle structure
US8820921B1 (en) Assembly for retaining eyeglasses on the head of a user in multiple positions
US9622528B1 (en) Ball cap with slotted bill for eyeglass retention
KR101808415B1 (en) 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KR101100586B1 (en) Headband type glass
KR101106877B1 (en) Glasse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glasses
US8876282B2 (en) Eyewear system
KR102068289B1 (en) Lens exchangeable glasser
US8684519B2 (en) Dual eyeglasses
KR20180032276A (en) Wide Use Auxiliary Glasses
JP5690907B1 (en) Glasses front frame with inner frame
KR20170017243A (en) Detachable sub-glasses frame
KR101808414B1 (en) Attachable sunglasses on spectacles and cap
KR20110002454A (en) An eyeglass frame hangable around the neck
WO2016011529A1 (en) Eyeglasses having flip-up lenses
US20160223832A1 (en) Eyewear device
US10962800B1 (en) Reconfigurable eyewear system
US20180120593A1 (en) Mounting fixture for wearable device
US10613354B2 (en) Protective covering attachable to eyewear
US10976570B2 (en) Paper glass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03557U (en) Glasses frame
KR200483592Y1 (en) Sunglasses that can be worn over regular glasses
US20130321760A1 (en) Cushion Covering For Eyeglass Nose Pa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