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919B1 -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토닌 - Google Patents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토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919B1
KR101436919B1 KR1020110145887A KR20110145887A KR101436919B1 KR 101436919 B1 KR101436919 B1 KR 101436919B1 KR 1020110145887 A KR1020110145887 A KR 1020110145887A KR 20110145887 A KR20110145887 A KR 20110145887A KR 101436919 B1 KR101436919 B1 KR 101436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ginseng
gintonin
major
lp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7267A (ko
Inventor
나승열
최선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14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919B1/ko
Priority to PCT/KR2012/011853 priority patent/WO2013100741A1/ko
Publication of KR20130077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1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6Separation; Purification
    • C07H1/08Separation; Purification from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otan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glycolipoprotein) 진토닌(gintonin)을 구성하는 단백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ajor latex-like protein; MLP151)과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로 이루어진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진토닌의 단백질 조성이 확인됨으로써 리소포티딘산(LPA)와 결합하여 진토닌에 의한 리소포티딘산 수용체 활성을 통하여 진토닌의 다양한 생리 및 약리활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토닌{GINTONIN CONSIST OF GINSENG MAJOR LATEX­LIKE PROTEINS AND GINSENG 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 AS PROTEIN COMPONENT}
본 발명은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glycolipoprotein) 진토닌(gintonin)을 구성하는 단백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ajor latex-like protein; MLP151)과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로 이루어진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에 관한 것이다.
예부터 인삼은 일반적으로 장수/생명연장을 위한 강장제(tonic)로 이용되거나, 또는 아답토겐 시약(adaptogenic agent)으로서 각종 스트레스, 피로, 암, 당뇨병에 대항하여 생체기능을 향상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삼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천년 이상 동안 사용해 왔는데, 최근 인삼은 세계에서 소비되는 약초로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이다(Tyler, J. Pharm. Technol. 11, 214-220, 1995).
인삼 성분 중 인삼 사포닌으로 불리는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는 1960년대 초반에 분리되어 생리학적/약리학적 연구에서 대표적인 성분으로 알려진 뒤로 연구에 많이 이용되었으며(Shibata, et al. Tetraheadron Letters 1962, 1239-1245, 1963; Wagner-Jauregg and Roth, Pharm Acta Helv 37, 352-357, 1962), 이외에도 많은 연구를 통해 인삼에 다당류(polysaccharides), 폴리아세틸렌류(polyacetylenes) 등 알려지지 않은 다른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다(Nah, Kor. J. Ginseng Sci. 21, 1-12, 1997).
또한, 다른 약용 식물과 마찬가지로 인삼에도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많은 단백질들은 그 역할들이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다른 저분자 유효 성분들에 비하여 단백질들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단계에 있다.
인삼의 단백질 성분 확인에 대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삼은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ajor latex-like protein; MLP151)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을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un et al., Mol Biol Rep. 37, 2215-2222, 2010; Yoon et al., Comp Biochem Physiol. Part B 132, 551-557, 2002; Kim et al., J Plant Physiol. 161, 837-845, 2004).
다른 식물에서 발견되는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들(major latex-like proteins; MLPs)은 분자량이 다른 단백질에 비하여 크지 않으며, 식물에서 라텍스(latex)를 형성하여 식물에서 형성된 여러 생성물들을 분비하는 기능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essler et al., 79, 499-504, 1985). 또한, 그 외 식물에서 MLPs의 기능은 자세히 알려진 바 없으나, 세포내 병원성관련 단백질들(intracellular pathogenesis-related(IPR) proteins)과 아미노산 서열의 유사성이 있으며, 이들 단백들은 꽃가루의 성분으로서 사람에게 알러지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ufe et al., Planta 199, 413-415; Radauer et al., BMC Evol Biol 8, 286-304, 2008).
또 다른 중요한 특징으로는 MLPs은 다양한 종류의 소수성 식물 호르몬이나 지방산과 같은 식물 대사산물에 대한 소수성 리간드 결합(hydrophobic ligand binding sites)자리를 가지고 있고, 단백질 고리(loop)를 형성하여 인산기 (phosphate)을 가진 리간드 결합에 관여하는 글리신 고리(glycine rich-loop)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gensen et al., J Biol Chem. 277, 23684-23692, 2002; Lytle et al., Proteins 76, 237-243, 2009).
인삼 MLP151 역시 다른 식물에서 유래한 MLPs와 같은 유사한 아미노산 서열들과 특징들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특성들이 인삼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 가에 대하여서는 아직 보고된 바 없다. 인삼 MLP151이 MLPs과 구별되는 다른 성질은 세 곳의 N-글리코실화 부위(N-glycosylation sites)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Sun et al., Mol Biol Rep. 37, 2215-2222, 2010).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 Yoon et al., Comp Biochem Physiol. Part B 132, 551-557, 2002; Kim et al., J Plant Physiol. 161, 837-845, 2004)은 인삼에 존재하는 ginseng major protein(GMP)으로도 알려져 있다.
인삼에 존재하는 GMP의 아미노산 서열 및 구조적 특징은 식물에 존재하는 RNA 분해 효소인 RNase와 유사하나, 실제로 RNase 활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계절에 따라 이 단백질의 함량 변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어 인삼 성장에 필요한 저장(storage) 혹은 질소 성분을 제공하는 영양적(vegetative)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을 뿐 다른 역할에 대하여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Yoon et al., Comp Biochem Physiol. Part B 132, 551-557, 2002; Kim et al., J Plant Physiol. 161, 837-845, 2004). 또한, GMP의 경우에는 N-글리코실화 부위(N-glycosylation site) 및 당 성분 결합할 수 있는 자리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Kim et al., J Plant Physiol. 161, 837-845, 2004).
한편, 8-아닐리노-나프탈렌 설폰산(8-anilino-naphthalene sulfonic acid; ANS)는 동물 혹은 식물유래 단백질이 리간드(ligand) 결합자리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단백질의 소수성 영역을 나타내는 프로브(hydrophobic probe)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Matulis et al., Biopolymers 49, 451-458, 1999).
ANS의 특징은 수용액 상태에서는 형광을 띠지 않으나, 소수성 주머니(hydrophobic pocket)가 있는 단백질에 결합할 경우 물(H2O)이 소수성 주머니로부터 배척되고 주머니(pocket)에 있는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여 형광을 띠게 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Matulis et al., Biopolymers 49, 451-458, 1999). 따라서, ANS는 식물 및 동물 유래 단백질에 소수성 리간드(hydrophobic ligands)의 결합능력을 증명하는데 널리 활용되고 있는 물질이다(Cardamone and Puri, Biochem J. 282, 589-593, 1992; Mogensen et al., J Biol Chem. 277, 23684-23692, 2002; Kupers and Gruppen, J Agri Food Chem 55, 5445-5451, 2007; Togashi and Ryder, J Fluoresc 18, 519-526, 2008).
앞서 본 발명자들은 인삼에서 당, 지방 및 단백질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신규 당지질단백질(glycolipoproteins)의 분리 동정에 성공하였으며, 이를 진토닌(gintonin)이라 명명하였다(국내특허등록 제10-0973202호; Pyo et al., J Ginseng Res, 35, 92-103, 2011).
진토닌에 대한 초기 연구에서 진토닌은 인삼 기존에 알려진 인삼 사포닌(진세노사이드)와는 달리 아직 확인/규명 안 된 세포막 단백질과 상호 작용을 통한 신호 경로(membrane signal transduction pathway)를 통해 그 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예를 들면, 마우스 EAT(Ehrlich Ascites Tumor) 세포에 진토닌의 처리는 G 단백질 공역 수용체(G protein coupled receptors, GPCRs 혹은 7TM 수용체)들이 활성될 때 이루어지는 신호 전달 경로와 같이 인지질분해효소(phospholipase C, PLC)에 연결되어 있는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세포질내 유리 Ca2+(Free Ca2+)의 증가를 일시적으로 유발하고, 또한 진토닌을 개구리알(Xenopus oocytes)에 처리할 경우 PTX에 민감하지 않은 G 단백질→PLC→IP3→칼슘 저장고인 세포질세망(endoplasmic reticulum, ER)에서의 칼슘 방출을 통하여 칼슘 의존성 염소이온 채널(Ca2+-activated Chloride Channel, CaCC)이 활성화 된다(국내특허등록 제 10-0973202호; Pyo et al., J Ginseng Res, 35, 92-103, 2011).
계속된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최초로 인삼에서 생리학적/약리학적 활성이 있는 GPCR 리간드인 리소포스파티딘산들(LPAs), 특히 LPA C18:2이 다량 존재하며, 일시적으로 세포질내 유리 Ca2+(Free Ca2+)의 증가 활성을 유발하고, 유리 LPA(free LPA)에 비하여 세포질내 유리 Ca2+(Free Ca2+)의 증가 활성을 오랫동안 유지하여 주는 안정된 형태의 당 및 단백질과 복합체(complexes)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특허출원 제10-2011-0744070호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리소포스파티딘산 및 그 제조 방법").
이와 같이 선행연구를 통해 진토닌의 주요 생리 활성 및 약리활성 성분이 리소포스파티딘산임을 밝혀내고, 진토닌에 존재하는 리소포스파티딘산들이 G 단백질 공역 수용체(G protein coupled receptors, GPCRs 혹은 7TM 수용체)의 하나로 알려진 LPA 수용체 subtypes을 활성에 따른 효능들을 확인하였다(국내특허출원 제 10-2011-0094194호 "인삼에서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의 천연 약용 식물 유래 리간드로서의 용도").
또한, 진토닌을 구성하는 세 가지 성분 중 당 성분들 중 포도당이 대다수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yo et al., J. Ginseng Res. 35, 92-103, 2011), 진토닌의 생리/약리 활성 작용을 유발하는 성분이 리소포스파티딘산들임을 밝혀냈지만(국내특허출원 제 10-2011-0094194호 "인삼에서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의 천연 약용 식물 유래 리간드로서의 용도"), 진토닌을 구성하는 단백질 성분과 그 역할은 아직 밝혀진 바 없다.
진토닌은 당, 지질 및 단백질의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기영동 후 쿠마시 블루 염색을 실시할 경우 당 혹은 지질 성분이 간섭하여 잘 염색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염색을 하기 위하여서는 다량의 진토닌을 사용해야하는 등 단백질 성분의 조성을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진토닌을 메탄올 투석을 통하여 진토닌의 지질 성분을 진토닌의 단백질 성분으로부터 분리한 뒤, 전기영동 후 염색된 단백질 밴드를 잘라 낸 뒤 밴드의 조성을 단백질체학 분석방법(proteomic analysis method)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진토닌의 구성 단백질이 인삼 MLP151과 인삼 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임을 밝혀내고, 리소포스파티딘산(LPA)이 진토닌의 단백질 성분에 결합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ajor latex-like protein; MLP151)과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로 이루어진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ajor latex-like protein; MLP151)과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로 이루어진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LP151)은 서열번호 1 내지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LP151)은 세 곳의 N-글리코실화 부위(N-glycosylation sit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은 서열번호 6 내지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LP151)과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는 리소포스파티딘산(LPA)와 결합하여 진토닌의 생리/약리활성 효과를 발휘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진토닌은 인삼에 존재하는 당지질단백질로서 다른 성분들의 확인/동정은 이루어졌으나, 그동안 진토닌의 단백질 조성 및 역할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었다.
진토닌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확인 없이 진토닌의 생리 및 약리활성을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 진토닌의 단백질 조성이 확인됨에 따라 리소포티딘산(LPA)와 결합하여 진토닌에 의한 리소포티딘산 수용체 활성을 통하여 다양한 생리 및 약리활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토닌을 메탄올 추출 전과 후 투석막 내부와 외부에 존재하는 성분에 대한 전기영동 후 쿠마시블루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lane 1, Molecular mark; lane 2, 메탄올 추출 전 진토닌; lane 3, 메탄올 추출 후 투석막 내부 투석액; lane 4. 메탄올 추출 후 투석막 외부 투석액).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탄올 투석을 하지 않은 진토닌(GT), ANS와 결합한 진토닌(GT + ANS) 및 ANS 존재 하에 리소포스파티딘산(LPA)을 함께 처리한 진토닌(GT + AND + LPA)의 형광 흡수 강도 및 피크 이동(peak shift)을 확인한 것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탄올 투석한 진토닌(GT), ANS와 결합한 진토닌(GT + ANS) 및 ANS 존재 하에 리소포스파티딘산(LPA)을 함께 처리한 진토닌(GT + AND + LPA)의 형광 흡수 강도 및 피크 이동(peak shift)을 확인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ajor latex-like protein; MLP151)과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로 이루어진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gintonin)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LP151)은, 서열번호 1 내지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LP151)은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며, 세 곳의 N-글리코실화 부위(N-glycosylation site)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열번호 5:
mgltgklicq tgiksdgdvf helfgtrphh vpnitpaniq gcdlhegefg kvgsvviwny
sidgnamiak eeivaideed ksvtfkvveg hlfeefksiv fsvhvdtkge dnlvtwsidy
ekl nes vkdp tsyldfllsv trdieahhlp k
이때, 상기 서열 중 밑줄 친 부분은 단백질체학 분석을 통해 얻은 펩타이드 조각(서열번호 1~4)에 해당하는 부분이며, 이탤릭체 아미노산 부위는 N-글리코실화 되는 자리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은 서열번호 6 내지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며,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서열번호 11:
mraiyiisvi ivslsifswg gnarsdypwa mfalrlqwpa gfcevnnacd tksllntfti
hglypynakg tpalycdgta fdvnsvsdfl aemhlawpsh etntediqfw ehewkkhgrc
seallkqtdy frtalafrka fdivgllnqe giypnndlyr pkmikeaikk hlnavpeidf
tknenseyvl tdinvcvnqq atrfvdcptd datddyrlkf vrlpskmkfa dprtnsii
이때, 상기 서열 중 밑줄 친 부분은 단백질체학 분석을 통해 얻은 펩타이드 조각(서열번호 6~10)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LP151)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은 리소포스파티딘산(LPA)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LPA와 결합하여 LPA의 운반체(carrier) 역할을 하거나 또는/및 LPA들의 안정성(stability)을 높이는 작용을 하여 진토닌의 생리/약리 활성을 발휘하는데 기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진토닌의 메탄올 투석
인삼에서 진토닌을 분리하여(국내특허출원 제10-2010-0052913호 참조), 진토닌 200 ㎎을 100%(w/v) 메탄올 10~15 ㎖에 용해한 후, 용해된 진토닌을 투석막(pore size: 6,000~8,000, Sigma-Aldrich, St. Louis, USA)에 넣어, 30~50배 부피의 100% 메탄올을 이용하여 48시간 동안 투석하였다.
투석 중 메탄올은 2번 교환해 주었으며, 투석 후에는 투석막 안에 남아있는 투석막 내부 투석액(inner dialysate)과 투석막 밖으로 나간 투석막 외부 투석액(outer dialysate)을 따로 농축 건조하여 정량하였다.
실험예 1. In-gel tryptic digestion 실시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투석막 안에 남아있는 성분(투석막 내부 투석액)을 건조시킨 다음 100 ㎍/㎖을 10% SDS-PAGE를 실시하였다.
도 1은 메탄올 투석 전후의 진토닌의 전기영동 후 쿠마시 블루 염색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메탄올 투석 전의 진토닌 밴드(band)는 넓게 퍼져(broad) 있으면서 밴드의 염색도 강하게 되지 않은 형태로 나타나지만(도 1의 2 lane), 메탄올 투석 후 진토닌의 전기영동 후 쿠마시 블루 염색을 할 경우에는, 분자량의 큰 변화 없이 밴드를 넓게 퍼져 있으나 염색은 메탄올 투석전보다 훨씬 강하게 염색됨을 알 수 있다(도 1의 3 lane).
한편, 메탄올 투석 후 투석막 밖으로 빠져 나간 성분(투석막 외부 투석액)들은 쿠마시 블루에 염색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의 4 lane).
상기와 같은 결과는 진토닌의 지방 성분이 쿠마시 블루에 의한 단백질 염색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쿠마시 블루 염색을 실시하여 염색된 단백질 부분을 겔(gel)로부터 잘라낸 뒤 25 mM 중탄산암모늄(ammonium bicarbonate)과 50%(w/v)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이 함유되어 있는 용액에서 세척하였다. 겔 조각(gel piece)은 다시 40 mM 중탄산암모늄, 10%(w/v) 아세토니트릴 및 25 ㎍/㎖ 트립신(trypsin; Promega, Madison, WI, USA)에 넣은 후 37℃에서 18~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트립신 처리에 의하여 소화된 펩타이드는 50 mM 중탄산암모늄, 50% 아세토니트릴과 5%(w/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TFA)을 이용하여 2회 추출하였다. 이때 얻어진 펩타이드 추출물(peptide extracts)을 합친 다음 진공 원심분리기에서 동결건조하였고, 사용하기 전에 4℃에서 저장하였다.
실험예 2. Ion-mobility mass spectrometry(IM-MS) 분석 실시
In-gel tryptic digestion 후 진토닌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성분의 확인 동정은 서울 소재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소에서 실시하였다(Ono et al Mol. Cell Proteomics Sci. 5, 1338-1347, 2006; Gao et al., Mol. Cell Proteomics Sci. 7, 2399-2409, 2008).
상기 실험예 1에서 동결 건조한 펩타이드를 0.1% 포름산(formic acid) 20 ㎕에 녹인 후 NanoLockSpray 이온원(ion source)을 장착한 nanoACQUITY 초고압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ultra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UPLC)와 SynapQ-TOF(Time of fight) 질량분석계(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LC/MSE로 분석하였다(Waters, Manchester, UK).
구체적으로, 재부유된 펩타이드(resuspended peptides; 5 ㎕)는 0.1% 포름산이 있는 용액에서 5분 동안 유량(flow rate) 10 ㎕/min.의 조건으로 Waters Symmetry C18 trapping column(180 ㎛ i.d. × 20 ㎜ length with 5 ㎛ particle size)에 주입하였다.
펩타이드는 전치컬럼(pre-column)에서 용출되었고, 75 ㎛ i.d. × 250 ㎜ length column packed with BEH130 C18 레진(resin)과 1.7 ㎛ 입자크기(particle size; 용출속도 280 nl/min.)인 조건에서 55분 동안 선형 기울기(linear gradient) 3~45%(w/v) B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A: 0.1%(w/v) formic acid in water, B: 0.1%(w/v) formic acid in acetonitrile). 컬럼은 90%(w/v) B에서 25분 동안 세척하였다.
사용한 컬럼은 다시 다음 실험 실시 전에 3% B에서 20분 동안 다시 평행에 이르도록 하였다. 모든 컬럼의 온도는 35℃로 조정하고, 실시하는 Mass accuracy는 400 fmol/㎛와 유량 500 nl/min.을 유지하는 NanoACQUITY NanoLockSpray의 보조펌프(auxiliary pump)로 전달되는 펩타이드 [glu1]-피브리노펩타이드 B(fibrinopeptide B)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펩타이드는 양성 이온모드(positive ion mode)로 분석하였으며, 전형적인 분해능(typical resolving power) 10,000 fwhm를 지닌 v-모드에서 작동하도록 하였다. 분석에 앞서 TOF 분석기(analyzer)는 30 eV 충돌 에너지와 mass range 50~1990 m/z에서 얻어진 [glu1]-fibrinopeptide B 조각(fragments)을 표준삼아 보정(calibration) 하였다.
Q-TOP는 LC/MSE 획득 모드(acquisition mode)에서 작동하도록 하였으며, MSE 모드는 적당한 dual exact mass protocol에 따라 데이터를 획득하도록 프로그램화 하였다.
ProteinLynx Global SERVER version 2.4(PLGS 2.4)에 통합된 ProteinLynx Global SERVER version 2.4(PLGS 2.4)가 분석을 통해 얻어진 모든 원자료 파일(raw data file)을 프로세스(process) 하도록 하였다. 각각의 프로세스된 데이터 파일(processed data file)은 UniProt(www.uniprot.org, May 3, 2011 Released version, number of entries 3,213)에서 얻어진 아피알즈 단백질 데이터베이스(Apiales protein database)에서 검색(search)하였다.
각각의 시료의 low/high collision spectra로부터 얻어진 단백질 동정은 적어도 한 펩타이드가 3개 토막 이온(fragment ion)에 일치하거나, 단백질 하나가 7개의 토막 이온에 일치하거나, 그리고 한 단백질이 2개의 펩타이드와 일치하도록 요구하는 위계적 접근(hierarchical approach)을 통해 작동하도록 하였다.
인삼을 포함한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들을 동정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단백질 전기영동한 밴드 절편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성분을 단백질체학 분석(proteomic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Nam et al., Proteomics 3, 2351-2367, 2003).
하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토닌의 전기영동 결과 생긴 단백질 밴드(도 1 참조)에서 단백질 추출 후 트립신 소화(tryptic digestion) 후에 IM-MS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토닌에 함유된 단백질은 두 종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토닌을 구성하는 단백질에 해당하는 펩타이드 조각(peptide fragments)이 인삼 MLP151의 경우에는 4개의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삼 리보뉴클레아제-유사 저장 단백질(ribonuclease-like storage protein)의 경우에는 5개의 펩타이드 조각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토닌 단백질의 IM-MS 분광분석 결과 및 해당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
MW(kDa)/PI Amino acid sequences Protein Accession No.
16.87/4.9 RDIEAHHLPK(서열번호: 1) Ginseng
major latex-like
protein(MLP151)
EU939308
KDPTSYLDFLLSVTRD(서열번호: 2)
KEEIVAIDEEDKS(서열번호: 3)
KLNESVKD(서열번호: 4)
27.3/5.5 RSDYPWAM(서열번호: 6) Ginseng ribonuclease-like storage protein AAR88098
KAFDIVGLLNQEGIYPNNDLYRPKM(서열번호: 7)
KSLLNTFTIHGLYPYNAKG(서열번호: 8)
KHLNAVPEIDFTKN(서열번호: 9)
RTALAFRK(서열번호: 10)
다시 말해, 단백질체학 분석 방법을 이용한 결과, 진토닌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의 성분이 인삼 MLP151과 인삼 리보뉴클레아제-유사 저장 단백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단백질은 MLP151의 분자량이 약 17 kDa이고, 인삼 리보뉴클레아제-유사 저장 단백질의 분자량이 약 27 kDa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인삼 리보뉴클레아제-유사 저장 단백질의 경우에는, 인삼에서 C-말단(terminal) 일부 절단(trucation)된 분자량이 20~21 kDa의 리보뉴클레아제-유사 저장 단백질도 발견된다(Kim et al., J Plant Physiol. 161, 837-845, 2004).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토닌의 분자량은 약 13~15 kDa인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단백질체학 분석을 통해 얻어진 진토닌의 단백질 성분들의 분자량은 17~27 kDa인 것으로 나타나 실제 진토닌의 분자량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진토닌의 단백질 분석을 통해 밝혀진 단백질과 전기영동 결과로 얻어진 진토닌 분자량의 차이는 진토닌에는 단백질 성분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당 및 전하(charge)를 기질 성분이 같이 존재하여 이 성분들이 전기영동시 겔 이동(gel migration)에 영향을 미쳐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8-anilino-naphthalene sulfonic acid(ANS)와 LPA C18:2 결합 분석 실시
메탄올 투석을 하지 않은 진토닌과, 메탄올 투석을 통해 리소포스파티딘산(LPA)을 방출(release)한 진토닌에 8-아닐리노-나프탈렌 설폰산(8-anilino-naphthalene sulfonic acid; ANS)이 결합하는가를 분광형광광도계(spectrofluo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동결 건조한 메탄올 추출을 하지 않은 진토닌 또는 메탄올 추출 후 동결 건조한 진토닌과 ANS와의 반응은, 진토닌(100 ㎍/㎖, PBS pH 7.2)에 50 μM ANS를 처리한 후 2시간 배양(incubation)하여 평행에 이르도록 한 다음 형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메탄올 추출한 진토닌과 LPAC18:2의 결합 반응은 진토닌(100 ㎍/㎖)에 LPAC18:2(50 μM)을 1시간 동안 처리하고, 이어서 ANS를 처리하여 2시간 더 평형 결합(equilibrium binding)에 이르도록 배양한 후 형광 변화를 관찰하였으며(Cardamone and Puri, Biochem J. 282, 589-593, 1992), 이때, 형광변화 측정 조건을 다음과 같다.
Excitation (EX) wavelength: 350 ㎚
Emission (EM) wavelength range: 400~600 ㎚
Slit width: EX 5, EM 5로 하였다.
그 결과, 도 2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2)에 녹인 ANS(50 μM)를 단독으로 처리한 다음 형광 변화를 파장 400~600 ㎚에서 관찰한 경우(여기(excitation) 350 ㎚ 및 방출(emission) 450 ㎚), ANS는 약 515 ㎚에서 최대 형광 흡수를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토닌(100 ㎍/㎖)을 포함하고 있는 큐벳에 ANS(50 μM)를 추가한 다음 측정한 경우에는 ANS 단독으로 처리한 것에 비해 최대 흡수 피크(peak)를 보여주는 형광 파장이 왼쪽으로 이동(shift)하여 나타났으며, 형광의 정도 역시 ANS 단독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진토닌에 소수성 주머니(hydrophobic pocket)가 존재하고, 진토닌의 소수성 주머니에 ANS가 결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진토닌에 리소포스파티딘산(LPA)가 같이 존재하기 때문에 메탄올 투석을 통해 LPA를 제거한 진토닌에 LPAC18:2(50 μM)를 처리한 후 ANS를 추가로 처리하는 경우, ANS가 진토닌과 결합하면서 생기는 형광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진토닌에는 다른 LPA에 비하여 LPAC18:2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선행 연구에서 밝혀짐에 따라(국내특허출원 제10-2011-0744070호 참조), 본 발명에서는 LPA로서 LPAC18:2를 사용하였다.
먼저, 메탄올 투석을 하지 않은 진토닌에 ANS와 LPAC18:2가 결합하는가를 분석한 결과,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토닌에 ANS를 처리한 경우에는 ANS 단독 처리한 것에 비하여 관찰되는 형광의 변화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토닌(GT) + ANS에 추가로 LPAC18:2를 같이 처리한 경우(GT + ANS + LPA)에는 형광 피크 강도(intensity)가 약 1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2B는 메탄올 투석을 통하여 진토닌에 결합되어 있는 LPA를 방출시킨 후 ANS 결합 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토닌과 ANS를 같이 처리한 군에서 관찰되는 형광 강도 변화에 비해, LPAC18:2를 같이 처리한 경우에는 ANS에 의한 형광의 흡수 피크가 메탄올 투석을 하지 않는 진토닌에서 보다 더 크게 증가(36% 증가)하면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투석을 하지 않는 진토닌과 메탄올 투석을 실시한 진토닌에 ANS를 처리할 경우 ANS 단독 처리에 비해 형광 강도의 증가 및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의 이동은 진토닌에 리간드(ligand)가 결합할 수 있는 소수성 주머니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또한, ANS의 존재 하에 메탄올 추석을 하지 않은 진토닌에 비해 메탄올 투석을 실시한 진토닌에서 LPA 결합 반응 형광 강도 증가 비율이 3배 정도 더 크게 나온 것은, 메탄올 투석이 진토닌에 결합되어 있는 LPAs의 방출(release)을 유발하여 외부에서 들어온 LPA가 결합할 공간을 더 제공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메탄올 투석한 진토닌에서 진토닌(GT) + ANS의 경우 보다 진토닌(GT) + LPAC18:2 + ANS에서 형광 강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진토닌에 ANS 결합자리와 LPAC18:2 결합자리가 서로 다른 자리에 결합하여, LPAC18:2의 결합은 ANS에 의한 형광 흡수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NS와 같은 결합자리를 가지고 있는 물질을 ANS와 같이 처리할 경우에는 형광 흡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Kirk et al., Biochemical J 70, 69-83, 1996; Mahesha et al., FEBS J 273, 451-467, 2006).
그러나, 진토닌의 경우, MLP151과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식물유래 Bet v 1 단백질도 ANS에 결합하는데, 식물 호르몬을 ANS에 추가하면, 더욱 형광이 증가하여 Bet v 1 단백질에 ANS 결합자리와 식물 호르몬 결합자리가 다름을 증명하는 연구와 유사함을 보여주고 있다(Mogensen et al., J Biol Chem. 277, 23684-23692, 2002; Radauer et al., BMC Evol Biol 8, 286-304, 2008).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10> Konkuk University Industrial Cooperation Corp. <120> GINTONIN CONSIST OF GINSENG MAJOR LATEX LIKE PROTEINS AND GINSENG RNase LIKE MAJOR STORAGE PROTEIN AS PROTEIN COMPONENT <130> P11-E499 <160> 1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0 <212> PRT <213> Ginseng <400> 1 Arg Asp Ile Glu Ala His His Leu Pro Lys 1 5 10 <210> 2 <211> 16 <212> PRT <213> Ginseng <400> 2 Lys Asp Pro Thr Ser Tyr Leu Asp Phe Leu Leu Ser Val Thr Arg Asp 1 5 10 15 <210> 3 <211> 13 <212> PRT <213> Ginseng <400> 3 Lys Glu Glu Ile Val Ala Ile Asp Glu Glu Asp Lys Ser 1 5 10 <210> 4 <211> 8 <212> PRT <213> Ginseng <400> 4 Lys Leu Asn Glu Ser Val Lys Asp 1 5 <210> 5 <211> 151 <212> PRT <213> Ginseng <400> 5 Met Gly Leu Thr Gly Lys Leu Ile Cys Gln Thr Gly Ile Lys Ser Asp 1 5 10 15 Gly Asp Val Phe His Glu Leu Phe Gly Thr Arg Pro His His Val Pro 20 25 30 Asn Ile Thr Pro Ala Asn Ile Gln Gly Cys Asp Leu His Glu Gly Glu 35 40 45 Phe Gly Lys Val Gly Ser Val Val Ile Trp Asn Tyr Ser Ile Asp Gly 50 55 60 Asn Ala Met Ile Ala Lys Glu Glu Ile Val Ala Ile Asp Glu Glu Asp 65 70 75 80 Lys Ser Val Thr Phe Lys Val Val Glu Gly His Leu Phe Glu Glu Phe 85 90 95 Lys Ser Ile Val Phe Ser Val His Val Asp Thr Lys Gly Glu Asp Asn 100 105 110 Leu Val Thr Trp Ser Ile Asp Tyr Glu Lys Leu Asn Glu Ser Val Lys 115 120 125 Asp Pro Thr Ser Tyr Leu Asp Phe Leu Leu Ser Val Thr Arg Asp Ile 130 135 140 Glu Ala His His Leu Pro Lys 145 150 <210> 6 <211> 8 <212> PRT <213> Ginseng <400> 6 Arg Ser Asp Tyr Pro Trp Ala Met 1 5 <210> 7 <211> 25 <212> PRT <213> Ginseng <400> 7 Lys Ala Phe Asp Ile Val Gly Leu Leu Asn Gln Glu Gly Ile Tyr Pro 1 5 10 15 Asn Asn Asp Leu Tyr Arg Pro Lys Met 20 25 <210> 8 <211> 19 <212> PRT <213> Ginseng <400> 8 Lys Ser Leu Leu Asn Thr Phe Thr Ile His Gly Leu Tyr Pro Tyr Asn 1 5 10 15 Ala Lys Gly <210> 9 <211> 14 <212> PRT <213> Ginseng <400> 9 Lys His Leu Asn Ala Val Pro Glu Ile Asp Phe Thr Lys Asn 1 5 10 <210> 10 <211> 8 <212> PRT <213> Ginseng <400> 10 Arg Thr Ala Leu Ala Phe Arg Lys 1 5 <210> 11 <211> 238 <212> PRT <213> Ginseng <400> 11 Met Arg Ala Ile Tyr Ile Ile Ser Val Ile Ile Val Ser Leu Ser Ile 1 5 10 15 Phe Ser Trp Gly Gly Asn Ala Arg Ser Asp Tyr Pro Trp Ala Met Phe 20 25 30 Ala Leu Arg Leu Gln Trp Pro Ala Gly Phe Cys Glu Val Asn Asn Ala 35 40 45 Cys Asp Thr Lys Ser Leu Leu Asn Thr Phe Thr Ile His Gly Leu Tyr 50 55 60 Pro Tyr Asn Ala Lys Gly Thr Pro Ala Leu Tyr Cys Asp Gly Thr Ala 65 70 75 80 Phe Asp Val Asn Ser Val Ser Asp Phe Leu Ala Glu Met His Leu Ala 85 90 95 Trp Pro Ser His Glu Thr Asn Thr Glu Asp Ile Gln Phe Trp Glu His 100 105 110 Glu Trp Lys Lys His Gly Arg Cys Ser Glu Ala Leu Leu Lys Gln Thr 115 120 125 Asp Tyr Phe Arg Thr Ala Leu Ala Phe Arg Lys Ala Phe Asp Ile Val 130 135 140 Gly Leu Leu Asn Gln Glu Gly Ile Tyr Pro Asn Asn Asp Leu Tyr Arg 145 150 155 160 Pro Lys Met Ile Lys Glu Ala Ile Lys Lys His Leu Asn Ala Val Pro 165 170 175 Glu Ile Asp Phe Thr Lys Asn Glu Asn Ser Glu Tyr Val Leu Thr Asp 180 185 190 Ile Asn Val Cys Val Asn Gln Gln Ala Thr Arg Phe Val Asp Cys Pro 195 200 205 Thr Asp Asp Ala Thr Asp Asp Tyr Arg Leu Lys Phe Val Arg Leu Pro 210 215 220 Ser Lys Met Lys Phe Ala Asp Pro Arg Thr Asn Ser Ile Ile 225 230 235

Claims (8)

  1.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gintonin)을 포함하는 리소포스파티딘산(LPA) 운반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지질단백질 진토닌(gintonin)은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며, 세 곳의 N-글리코실화 부위(N-glycosylation)를 갖는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ajor latex-like protein, MLP15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포스파티딘산(LPA) 운반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지질단백질 진토닌(gintonin)은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포스파티딘산(LPA) 운반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지질단백질 진토닌(gintonin)은 서열번호 1 내지 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LP151)과 서열번호 6 내지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을 포함하는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당지질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포스파티딘산(LPA) 운반용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MLP151)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메이저 저장 단백질(RNAse-like major storage protein)에 리소포스파티딘산(LPA)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소포스파티딘산(LPA) 운반용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10145887A 2011-12-29 2011-12-29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토닌 KR101436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887A KR101436919B1 (ko) 2011-12-29 2011-12-29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토닌
PCT/KR2012/011853 WO2013100741A1 (ko) 2011-12-29 2012-12-31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토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887A KR101436919B1 (ko) 2011-12-29 2011-12-29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토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267A KR20130077267A (ko) 2013-07-09
KR101436919B1 true KR101436919B1 (ko) 2014-09-05

Family

ID=4869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887A KR101436919B1 (ko) 2011-12-29 2011-12-29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토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36919B1 (ko)
WO (1) WO2013100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635B1 (ko) 2015-09-08 2023-10-31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산화 중합형 불포화 수지용 경화촉진제, 인쇄 잉크 및 도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202B1 (ko) * 2009-11-17 2010-07-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한 당지질단백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110B1 (ko) * 2010-06-04 2012-07-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에 존재하는 당지질단백질 진토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202B1 (ko) * 2009-11-17 2010-07-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에서 분리 동정한 신규한 당지질단백질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ajor latex-like protein[panax ginseng]. GenBank ACH72969.1(2010.07.01.). *
Ribonuclease-like storage protein. UniProtKB/Swiss-Prot: P83618.2(2010.08.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0741A1 (ko) 2013-07-04
KR20130077267A (ko) 201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rby et al. Forensic determination of ricin and the alkaloid marker ricinine from castor bean extracts
Miao et 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iron-chelating peptides from casein hydrolysates
Pyo et al. Novel glycolipoproteins from ginseng
Kini et al. Morintides: cargo-free chitin-binding peptides from Moringa oleifera
KR20150003794A (ko) 펩티드 생성물의 방출 시험을 위한 불순물의 정량
KR20140022364A (ko) 알레르겐의 정량화 및 특성화
Wang et al.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in Panax ginseng with different growth age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Czubinski et al. Lupin seeds storage protein composition and their interactions with native flavonoids
Picariello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N-glycosylation of individual soybean β-conglycinin subunits
Santiago et al.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partial sequence of a pro‐inflammatory lectin from seeds of Canavalia oxyphylla Standl. & LO Williams
AU2011269726B2 (en)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seases
CN105784880B (zh) 用于检测β‑受体激动剂的组合检测试剂及其检测方法
Cheong et al. Cloning, overexpression, purification, and modeling of a lectin (Rhinocelectin) with antiproliferative activity from tiger milk mushroom, Lignosus rhinocerus
KR101436919B1 (ko) 구성 단백질이 인삼 메이저 라텍스 유사 단백질 및 인삼 리보뉴클레아제 유사 메이저 저장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토닌
Murugesan et al.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HPLC-fractionated Momordica charantia seed extract enriched in a novel napin-like protein in experimental diabetic rats and its validation with recombinant napin-like protein
Datta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rimary structure of an affinity-purified α-D-galactose-specific, jacalin-related lectin from the latex of mulberry (Morus indica)
CN110790819B (zh) 一种阿胶多肽及其制备方法
KR20150041298A (ko) 진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전구세포 증식 또는 신경세포 신생 촉진용 조성물
KR101651087B1 (ko) 에탄올 및 물 침전법을 이용하여 인삼으로부터 진토닌을 대량생산하는 방법
Bobey et al. A cyclotide isolated from Noisettia orchidiflora (Violaceae)
WO2022016809A1 (zh) 鸡内金特异性多肽及其在鉴定鸡内金中的应用
CN109942691A (zh) 芋螺毒素多肽CTx-btg01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268019B1 (ko) 인삼으로부터 분리 동정한 리소포스파티딘산 및 그 제조방법
Li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molecular composition and electro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venoms from two fishing spiders Dolomedes mizhoanus and Dolomedes sulfurous
CN110935006B (zh) 地龙蛋白肽在制备预防和/或治疗血栓性疾病的药物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