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790B1 -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 Google Patents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790B1
KR101436790B1 KR1020140012344A KR20140012344A KR101436790B1 KR 101436790 B1 KR101436790 B1 KR 101436790B1 KR 1020140012344 A KR1020140012344 A KR 1020140012344A KR 20140012344 A KR20140012344 A KR 20140012344A KR 101436790 B1 KR101436790 B1 KR 101436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side wall
wall plate
long side
hous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진
전용원
박창근
한기주
박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인텍
Priority to KR102014001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790B1/ko
Priority to CN201420261998.6U priority patent/CN203895271U/zh
Priority to PCT/KR2014/006886 priority patent/WO201511934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4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0Housing; Encapsulation
    • H01G2/106Fixing the capacitor in a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관한 것으로, 유전체 필름이 권취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전도성의 용사면이 형성된 커패시터 소자(100)들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눕힌 상태로 내장, 배열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비한 하우징 케이스(200)와,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의 용사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부스바 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구획벽(15)이 세로방향으로 세로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이 안치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획 형성하는 바닥판(10)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의 용사면과 마주보는 장측벽판(20)과, 상기 장측벽판(20)의 양단을 연결하는 횡벽판(30, 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 Housing Molding Type Capacitor }
본 발명은 발열 능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기용, 진상용, 전자기기용 커패시터 등은 각종 산업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패시터는 유전체로 폴리에칠렌텔레프타레이트(PET) 수지, 폴리프로필렌(PP) 수지, 폴리에칠렌나프탈레이트(PEN)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수지 등의 프라스틱필름을 사용하여, 프라스틱필름의 한 면 또는 양면에 금속을 증착한 증착필름을 권취하고, 권취된 증착필름의 양면에는 아연, 아연 합금, 주석 또는 1차 아연 2차 주석을 용사하여, 용사면을 만들어 커패시터 소자를 제조한다.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은 커패시터의 용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다른 N극부스바와 P극 부스바에 커패시터 소자 (이하 소자)의 갯수를 가감하여 결선하여 커패시터를 제조하게 되는데, 작은 용량의 커패시터는 적은 수량의 소자를 결선하고 대용량 커패시터는 다수의 소자를 결선하여 커패시터를 제조한다.
공개특허 특2001-0072178호(파나소닉)는 커패시터 및 커패시터 제조방법을 게시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방열 특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작동에도 과열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우징 사출 후 냉각에 의한 변형이 적고 커패시터 조립 후 에폭시 몰딩 공정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우징의 형성 변형으로 최소화 하여 제품 정밀도와 작동성을 최대화 시킬수 있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는, 유전체 필름이 권취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전도성의 용사면이 형성된 커패시터 소자(100)들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눕힌 상태로 내장, 배열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비한 하우징 케이스(200)와,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의 용사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부스바 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구획벽(15)이 세로방향으로 세로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이 안치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획 형성하는 바닥판(10)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의 용사면과 마주보는 장측벽판(20)과, 상기 장측벽판(20)의 양단을 연결하는 횡벽판(30, 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바닥판(10)의 구획벽(15)은, 상기 바닥판(10)의 일지점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상향 경사부(12)와, 상기 상향 경사부(12)의 상단이 만나서 형성하는 리지부(Ridge, 13)와, 상기 상향 경사부(11a)의 하면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발열홈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열홈부(14)는 상기 바닥판(10)의 하면에서 복수개가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장측벽판(20)은, 수직 보강살(25)이 상기 장측벽판(20)의 일지점에서 내입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보강살(25)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내입홈(26)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보강살(25)은 상기 장측벽판(20)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방열 특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작동에도 과열되지 않으며 내구성이 뛰어난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가 제공된다. 또한, 하우징 사출 후 냉각에 의한 변형이 적고 커패시터 조립 후 에폭시 몰딩 공정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우징의 형성 변형으로 최소화 하여 제품 정밀도와 작동성을 최대화 시킬수 있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케이스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케이스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케이스 평면도.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 커패시터 구성도 및 회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케이스 상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케이스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케이스 평면도이고,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Y 커패시터 구성도 및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는, 유전체 필름이 권취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전도성의 용사면이 형성된 커패시터 소자(100)들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눕힌 상태로 내장, 배열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비한 하우징 케이스(200)와,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의 용사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부스바 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하우징 케이스(200)는, 구획벽(15)이 세로방향으로 세로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이 안치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획 형성하는 바닥판(10)과, 커패시터 소자(200)들의 용사면과 마주보는 장측벽판(20)과, 상기 장측벽판(20)의 양단을 연결하는 횡벽판(30, 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바닥판(10)의 구획벽(15)은, 바닥판(10)의 일지점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상향 경사부(12)와, 상향 경사부(12)의 상단이 만나서 형성하는 리지부(Ridge, 13)와, 상향 경사부(11a)의 하면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발열홈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열홈부(14)는 상기 바닥판(10)의 하면에서 복수개가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장측벽판(20)은, 수직 보강살(25)이 상기 장측벽판(20)의 일지점에서 내입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직 보강살(25)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내입홈(26)이 형성되고, 수직 보강살(25)은 상기 장측벽판(20)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보강살(25)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호 또는 "ㄷ"자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바닥판(10)의 구획벽(15)은, 바닥판(10)의 일지점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상향 경사부(12)와, 상향 경사부(12)의 상단이 만나서 형성하는 리지부(Ridge, 13)와, 상향 경사부(11a)의 하면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발열홈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수직 보강살(25)은 상기 구획벽(15)이 형성된 위치에 같이 형성되고, 수직 보강살(25)은 상기 장측벽판(2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리지부(Ridge, 13)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는 커패시터가 입력단자와 분리된 경우 커패시터에 충전되어 있는 잔류 전하를 방전시켜 감전 사고를 방지하는 방전 저항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방전 저항기는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의 장측벽판(20)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상기 장측벽판(20) 외면에 형성된 방전저항기 탑재용 단턱부(80)를 포함하고, 상기방전저항기 탑재용 단턱부(80)는 수평하게 외곽으로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어 대향되는 두개의 제1, 제2 단턱(81, 85)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는 전자기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Y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하우징 케이스(200)는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의 종방향 일측에 형성된 Y 커패시터 장착부(60)를 더 포함하되, Y 커패시터 장착부(60)는, Y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두개의 Y 커패시터 소자(S1, S2)가 안치, 내장되는 제1, 제2 Y 커패시터홈(61a, 63a)과, 제1, 제2 Y 커패시터홈(61a, 63a)과 소자 안치공간(H) 사이에 형성된 제1, 제2 보조분리벽(61, 63)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 횡벽판(30)과 상기 제1, 제2 보조분리벽(61, 63) 사이에 갭(64a)이 형성되고 상기 갭(64a)는 상기 제1, 제2 Y 커패시터홈(61a, 63a)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네 귀퉁이에 커패시터를 모체에 고정시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 중의 하나인 제1 고정편(70)은, 일측 횡벽판(30)에 고정된 후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 연장되는 수평몸체편(71)과, 수평몸체편(71)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홀(72)과, 수평몸체편(71)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향으로 직립 돌출된 보강편(7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편(75)은 만곡진 보강결합편(75a)과 상기 보강결합편(75a)으로부터 수평몸체편(71)을 따라 연장된 평평한 연장편(75b)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분리벽(63)과 상기 장측벽판(20) 사이에 제3보조분리벽(6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횡벽판(30, 40) 중 하나의 횡벽판(30)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지지돌기(91)가 돌출형성되어 입력단자의 후방을 지지하고, 횡벽판(30, 40) 중 하나의 횡벽판(30) 외측에 수평으로 보조수평판(95)이 돌출되고 상기 보조수평판(95)의 상부에 상기 입력단자가 서로 횡으로 움직이지 않게 분리 지지하는 분리돌기(9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커패시터 소자
200 : 하우징 케이스
300 : 제1, 제2 부스바 형성부
10 : 바닥판 12 : 상향 경사부
13 : 리지부 14 : 발열홈부
15 : 구획벽 20 : 장측벽판
25 : 수직 보강살 26 : 수직내입홈
30, 40 : 횡벽판 H : 소자 안치공간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유전체 필름이 권취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전도성의 용사면이 형성된 커패시터 소자(100)들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눕힌 상태로 내장, 배열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비한 하우징 케이스(200)와,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의 용사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부스바 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구획벽(15)이 세로방향으로 세로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이 안치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획 형성하는 바닥판(10)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의 용사면과 마주보는 장측벽판(20)과,
    상기 장측벽판(20)의 양단을 연결하는 횡벽판(30, 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장측벽판(20)은,
    수직 보강살(25)이 상기 장측벽판(20)의 일지점에서 내입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보강살(25)의 외측에 형성된 수직내입홈(26)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보강살(25)은 상기 장측벽판(20)의 내벽에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보강살(25)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호, "ㄷ"자형, "V"자형, 또는 끝이 날카로운 송곳 모양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의 구획벽(15)은,
    상기 바닥판(10)의 일지점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상향 경사부(12)와,
    상기 상향 경사부(12)의 상단이 만나서 형성하는 리지부(Ridge, 13)와,
    상기 상향 경사부(11a)의 하면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발열홈부(14),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 보강살(25)은 상기 구획벽(15)이 형성된 위치에 같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보강살(25)은 상기 장측벽판(20)의 상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리지부(Ridge, 13)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6. 유전체 필름이 권취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전도성의 용사면이 형성된 커패시터 소자(100)들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눕힌 상태로 내장, 배열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비한 하우징 케이스(200)와,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의 용사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부스바 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구획벽(15)이 세로방향으로 세로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이 안치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획 형성하는 바닥판(10)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의 용사면과 마주보는 장측벽판(20)과,
    상기 장측벽판(20)의 양단을 연결하는 횡벽판(30, 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바닥판(10)의 구획벽(15)은,
    상기 바닥판(10)의 일지점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돌출되는 상향 경사부(12)와,
    상기 상향 경사부(12)의 상단이 만나서 형성하는 리지부(Ridge, 13)와,
    상기 상향 경사부(12)의 하면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발열홈부(14),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열홈부(14)는 상기 바닥판(10)의 하면에서 복수개가 이격된 상태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는 커패시터가 입력단자와 분리된 경우 커패시터에 충전되어 있는 잔류 전하를 방전시켜 감전 사고를 방지하는 방전 저항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전 저항기는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의 장측벽판(20) 외면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상기 장측벽판(20) 외면에 형성된 방전저항기 탑재용 단턱부(80)를 포함하고, 상기방전저항기 탑재용 단턱부(80)는 수평하게 외곽으로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어 대향되는 두개의 제1, 제2 단턱(81, 85)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7. 유전체 필름이 권취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전도성의 용사면이 형성된 커패시터 소자(100)들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눕힌 상태로 내장, 배열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비한 하우징 케이스(200)와,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의 용사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부스바 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구획벽(15)이 세로방향으로 세로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이 안치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획 형성하는 바닥판(10)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의 용사면과 마주보는 장측벽판(20)과,
    상기 장측벽판(20)의 양단을 연결하는 횡벽판(30, 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는 전자기 간섭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Y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의 종방향 일측에 형성된 Y 커패시터 장착부(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Y 커패시터 장착부(60)는,
    Y 커패시터를 구성하는 두개의 Y 커패시터 소자(S1, S2)가 안치, 내장되는 제1, 제2 Y 커패시터홈(61a, 63a)과,
    상기 제1, 제2 Y 커패시터홈(61a, 63a)과 소자 안치공간(H) 사이에 형성된 제1, 제2 보조분리벽(61, 6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8. 제7항에 있어서,
    일측 횡벽판(30)과 상기 제1, 제2 보조분리벽(61, 63) 사이에 갭(64a)이 형성되고 상기 갭(64a)는 상기 제1, 제2 Y 커패시터홈(61a, 63a)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9. 제3항에 있어서,
    사각 형상의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네 귀퉁이에 커패시터를 모체에 고정시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중의 하나인 제1 고정편(70)은,
    일측 횡벽판(30)에 고정된 후 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 연장되는 수평몸체편(71)과,
    상기 수평몸체편(71)의 단부에 형성된 체결홀(72)과,
    상기 수평몸체편(71)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향으로 직립 돌출된 보강편(75),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75)은 만곡진 보강결합편(75a)과 상기 보강결합편(75a)으로부터 상기 수평몸체편(71)을 따라 연장된 평평한 연장편(75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조분리벽(63)과 상기 장측벽판(20) 사이에 제3보조분리벽(6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12. 유전체 필름이 권취되어 형성되고 양측에 전도성의 용사면이 형성된 커패시터 소자(100)들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이 복수열로 나란하게 눕힌 상태로 내장, 배열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비한 하우징 케이스(200)와,
    상기 커패시터 소자(100)들의 용사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제2 부스바 형성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 케이스(200)는,
    구획벽(15)이 세로방향으로 세로로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이 안치되는 소자 안치공간(H)를 구획 형성하는 바닥판(10)과,
    상기 커패시터 소자(200)들의 용사면과 마주보는 장측벽판(20)과,
    상기 장측벽판(20)의 양단을 연결하는 횡벽판(30, 4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횡벽판(30, 40) 중 하나의 횡벽판(30) 외측에 수직방향으로 지지돌기(91)가 돌출형성되어 입력단자의 후방을 지지하고,
    상기 횡벽판(30, 40) 중 하나의 횡벽판(30) 외측에 수평으로 보조수평판(95)이 돌출되고 상기 보조수평판(95)의 상부에 상기 입력단자가 서로 횡으로 움직이지 않게 분리 지지하는 분리돌기(9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KR1020140012344A 2014-02-04 2014-02-04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KR101436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44A KR101436790B1 (ko) 2014-02-04 2014-02-04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CN201420261998.6U CN203895271U (zh) 2014-02-04 2014-05-21 外壳内置型电容器
PCT/KR2014/006886 WO2015119342A1 (ko) 2014-02-04 2014-07-28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344A KR101436790B1 (ko) 2014-02-04 2014-02-04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276A Division KR101643537B1 (ko) 2014-06-24 2014-06-24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790B1 true KR101436790B1 (ko) 2014-09-11

Family

ID=5172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344A KR101436790B1 (ko) 2014-02-04 2014-02-04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36790B1 (ko)
CN (1) CN203895271U (ko)
WO (1) WO201511934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417B1 (ko) * 2015-11-03 2017-05-24 주식회사 뉴인텍 출력단자 전방 인출식 커패시터용 하우징 케이스
CN114242453A (zh) * 2021-12-20 2022-03-25 安徽铜峰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电容器注塑用的下定位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40030A (zh) * 2015-09-23 2015-12-09 纽茵泰克株式会社 提高散热性与轻量化的异种材料外壳内置型电容器
CN105244164B (zh) * 2015-11-13 2020-09-01 纽茵泰克株式会社 改善了散热性及轻量化的外壳内置型电容器的放电电阻器加装结构
CN105355426B (zh) * 2015-11-13 2020-05-12 纽茵泰克株式会社 改善了散热性及轻量化的输出端子前方引出式电容器用外壳
KR20180051162A (ko) * 2016-11-08 2018-05-16 (주)호이스 박막형태의 내장형 축전기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박막형태의 내장형 축전기
KR102331490B1 (ko) * 2020-11-06 2021-12-01 (주)뉴인텍 메탈 케이스 커패시터
KR102332168B1 (ko) * 2020-12-10 2021-12-01 (주)뉴인텍 충진면 수평도 개선 케이스 몰딩 커패시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988A (ja) * 2007-02-16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キャパシタ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83882B1 (ko) 2008-07-07 2010-09-27 주식회사 뉴인텍 커패시터용 부스바 조립방법 및 그 제품
KR20110135233A (ko) * 2010-06-10 2011-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인버터용 커패시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988A (ja) * 2007-02-16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キャパシタ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83882B1 (ko) 2008-07-07 2010-09-27 주식회사 뉴인텍 커패시터용 부스바 조립방법 및 그 제품
KR20110135233A (ko) * 2010-06-10 2011-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인버터용 커패시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3417B1 (ko) * 2015-11-03 2017-05-24 주식회사 뉴인텍 출력단자 전방 인출식 커패시터용 하우징 케이스
CN114242453A (zh) * 2021-12-20 2022-03-25 安徽铜峰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电容器注塑用的下定位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19342A1 (ko) 2015-08-13
CN203895271U (zh)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790B1 (ko)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KR102162968B1 (ko) 확장형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US10679792B2 (en) Film capacitor
US10796852B2 (en) Film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ilm capacitor
US7638237B2 (en) Terminal-linking member of secondary battery module
JP5336547B2 (ja) 電池モジュール
US10468646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nergy storage apparatus
KR101436787B1 (ko) 하우징 내장형 자동차 인버터용 저 인덕턴스 커패시터
KR102092268B1 (ko) 클램핑 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KR200493291Y1 (ko) 울트라 캐패시터 모듈 하우징 및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KR20160062447A (ko) 차량용 인버터의 필름 커패시터 모듈
KR20140057967A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의 제조방법
KR20140118759A (ko) 축전 장치
US9842697B2 (en) Capacitor housing case with output terminal withdrawn forward for the improved heat dissipation and lightweight
KR101643537B1 (ko)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
KR101098297B1 (ko) 커패시터 모듈
JP5484268B2 (ja) コンデンサ
KR20170034956A (ko) 이종 재료 케이스 내장형 커패시터
CN105244164B (zh) 改善了散热性及轻量化的外壳内置型电容器的放电电阻器加装结构
WO2018074138A1 (ja) コンデンサ
CN110140232B (zh) 蓄电装置
KR101733417B1 (ko) 출력단자 전방 인출식 커패시터용 하우징 케이스
CN105355426B (zh) 改善了散热性及轻量化的输出端子前方引出式电容器用外壳
KR101729632B1 (ko) 하우징 내장형 커패시터의 방전 저항기 장착 구조
KR20150080399A (ko) 하우징 내장형 자동차 인버터용 저 인덕턴스 커패시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