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737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737B1
KR101436737B1 KR1020130049371A KR20130049371A KR101436737B1 KR 101436737 B1 KR101436737 B1 KR 101436737B1 KR 1020130049371 A KR1020130049371 A KR 1020130049371A KR 20130049371 A KR20130049371 A KR 20130049371A KR 101436737 B1 KR101436737 B1 KR 10143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elastic
cas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강영성
신현석
Original Assignee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를 회로기판 등에 솔더링하지 않고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탄성구조의 조작부를 커넥터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손쉽게 단자부를 착탈할 수 있고, 안테나를 접속한 후 각종 불량이 발견된 경우 안테나만을 분리하여 교체 내지 수리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테나를 회로기판 등에 솔더링하지 않고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탄성구조의 조작부를 커넥터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손쉽게 단자부를 착탈할 수 있고, 안테나를 접속한 후 각종 불량이 발견된 경우 안테나를 분리하여 교체 내지 수리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은 이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형이며 가볍고 휴대하기 편리하여야 하고, 이동 중에 상대방과 무선접촉하고 통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antenna: ANT)를 필요로 한다.
안테나는 통신에 사용하는 무선주파수의 파장 길이에 비례하는 전기적 길이를 하는 경우 송수신 이득 또는 안테나 이득이 가장 우수하고 대기 중에 노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형상에 따라 다이폴, 헬리컬, 루프, 야기 등등의 종류가 있다.
휴대폰은 모바일 뱅킹 기능을 부가서비스로 제공하면서 USIM 카드에 탑재된 전자화폐 또는 신용카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비접촉 방식으로 송수신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결제 규격에서 정의된 13.56 MHz 대역의 루프(loop) 안테나가 탑재되고, 이러한 루프안테나는 휴대폰 내부에 장착된다.
근거리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 휴대폰에 도입 및 적용되면서 루프 안테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도 11은 종래 안테나가 배터리 팩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종래 PCM에 안테나 단자가 솔더링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안테나는 배터리몸체 일측에 스티커 형식으로 부착되고, 안테나 단자는 PCM 모듈과 솔더링된다. 그러나 안테나 단자가 솔더링되므로 불량 또는 성능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 PCM모듈과 안테나 단자를 손상없이 분리하기 어려워 PCM모듈과 안테나 단자를 모두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테나 단자를 솔더링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름 안테나를 회로기판 등에 솔더링하지 않고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구조의 조작부를 커넥터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손쉽게 필름 안테나의 단자부를 착탈할 수 있어 안테나를 접속한 후 각종 불량이 발견된 경우 안테나 또는 회로기판 등을 폐기하지 않고 안테나만을 분리하여 교체 내지 수리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구조의 안테나 단자부의 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단자와 결합홀이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전기접속소자를 결합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부와 결합하고, 일측에 상기 결합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단 및 상기 고정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탄성 구조의 탄성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접기접속소자는 필름형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안테나는 연성회로기판(FPCB),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안테나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및 이들의 조합된 형태의 안테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안테나는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이루어지는 루프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탄성부의 일측에는 상기 안테나의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접속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케이싱은 전(前)면에 상기 안테나 단자부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부 삽입홀이 형성되고, 후(後)면에는 자유단인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케이싱은 전(前)면이 개방되어 상기 안테나 단자부가 삽입되고, 후(後)면은 자유단인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부 이동홈이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탄성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탄성부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연장부보다 높은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탄성결합편은 상기 연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위로 볼록한 탄성 구조의 굴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케이싱의 후(後)면 또는 상면에는 상기 삽입된 단자부의 전단부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케이싱의 고정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전기접속소자, 예를 들어 필름 안테나를 회로기판 등에 솔더링하지 않고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탄성구조의 조작부를 커넥터 외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손쉽게 필름 안테나의 단자부를 착탈할 수 있어 안테나를 접속한 후 각종 불량이 발견된 경우 안테나 또는 회로기판 등을 폐기하지 않고 안테나만을 분리하여 교체 내지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다양한 구조의 안테나 단자부의 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되는 필름 안테나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안테나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안테나의 단자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도 9a의 안테나의 단자부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6실시예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7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 안테나가 배터리 팩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 PCM에 안테나 단자가 솔더링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 10의 A-A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적용되는 필름 안테나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전기접속소자 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기접속소자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필름형 안테나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안테나는 연성회로기판(FPCB),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안테나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및 이들의 조합된 형태의 안테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접속소자가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이루어지는 루프 안테나인 것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에 결합하는 필름 안테나(300)는 안테나 패턴(331)이 형성되는 필름 형상의 패턴부(330)와, 상기 패턴부(330)에서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단자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 안테나(300)는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이루어지는 루프 안테나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310)에는 상기 안테나 패턴(331)과 연결되고 전기 접속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노출되는 단자(311)와, 결합홀(3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자의 개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단자에 적용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3개 이상의 단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크게 케이싱(110)과, 탄성결합편(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0)은 커넥터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탄성결합편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싱은 전(前)면(111)에 상기 안테나 단자부(310)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부 삽입홀(113)이 형성되고, 후(後)면(115)에는 자유단인 상기 탄성부(140)의 타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탄성결합편(130,130')은 상기 케이싱(110) 내에 고정되어 안테나 단자부(310)를 고정 및 접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소재에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탄성결합편(130)은 크게 탄성부(140)와, 고정부(150)와, 연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50)는 상기 케이싱(110)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고정부(15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150)와 이격되어 탄성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60)는 상기 탄성부(140)의 일단 및 상기 고정부(150)의 일단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연결부(160)에서 연장되는 연장부(141)와, 상기 연장부(141)에서 연장되는 상기 결합돌기(143)와, 상기 결합돌기(143)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조작부(145)가 상기 연장부(141)보다 높게 위치하는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와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부(145)와 고정부(150)와의 이격거리를 더 크게 함으로써 탄성을 크게 하여 상기 조작부(145)의 상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조작부(145)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단자접속부(147)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단자접속부(147)와 상기 안테나의 단자(311)가 서로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결합편(130)은 상기 연결부(160)와 고정부(150) 사이에 위로 볼록한 탄성 구조의 굴곡부(155)를 더 형성함으로써, 충분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탄성결합편(130)은 상기 안테나의 단자(31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의 단자 및 결합홀이 각각 2개인 경우, 상기 탄성결합편(130,130')도 2개로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부(150,150')가 상기 케이싱(110)의 하면에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안테나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에 필름 안테나를 결합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탄성결합편(130)의 조작부(145)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결합돌기(143)에 안테나의 단자부(310)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도 4a 참조). 다음으로, 안테나의 단자부(310)를 케이싱의 단자부 삽입홀(113)을 통해 삽입하여 케이싱(110)의 후면(115)에 닿을 때까지 밀어넣는다(도 4b 참조). 그 다음으로, 상기 조작부(145)에 대한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탄성 작용에 의해 상기 탄성부(140)가 원상태로 상승하여 단자부(310)의 결합홀(313)에 결합돌기(143)가 삽입 고정되고, 단자(311)에 단자접속부(147)가 접촉되도록 한다(도 4c 참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a,100b)는 도 1과 달리, 상기 탄성부의 단자접속부만 상기 안테나의 단자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성된다면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구조에는 특별한 제한 없이 구성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a)과 각 탄성결합편(130a)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각각의 탄성결합편(130b)의 고정부(150b)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고정부(150)가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결합편은 2개가 형성되고 고정부는 1개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탄성결합편이 판 형상의 고정부(150b)를 통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2개의 탄성결합편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c)는 케이싱(110c)의 전(前)면이 전부 개방되어 상기 안테나 단자부(310)가 삽입되고, 후(後)면(115c)은 자유단인 상기 탄성부(140)의 타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부 이동홈(116)이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케이싱의 전(前)면이 일부 개방될 수도 있으며, 도 1과 같이 단자부 삽입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d)는 상기 케이싱의 후(後)면 내지 상면에는 상기 삽입된 단자부(310)의 전단부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단턱(1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자부(310)의 전단부는 상기 고정단턱(117)과 조작부(145)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조작부(145)의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조작부(145)의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단턱(117) 쪽으로 가압되어 밀접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단턱(117)은 상기 단자부(310)의 전단부가 삽입되면서 고정단턱(117)에 걸리지 않고 케이싱(110)의 후면까지 가이드되도록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에 고정단턱(117)을 형성함으로써, 충격 등에 의해 안테나의 단자와 단자접속부의 접속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안테나의 단자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도 9a의 안테나의 단자부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6실시예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7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e)에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의 단자부(310)는 2개의 단자와 1개의 결합홀(313e)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과 달리 상기 탄성결합편, 구체적으로 탄성부와 단자부(310)와 고정부(150)는 각각 1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탄성부의 결합돌기(143e) 및 단자접속부(147)는 각각 상기 결합홀(313) 및 단자(311)와 대응되도록 각각 1개씩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의 조작부(145e)도 1개로 이루어지며 그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부 이동홈(116e)도 1개로 이루어진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f)에 적용될 수 있는 안테나의 단자부는 결합홀(313f)이 도 1과 같이 단자부의 내측에 중공된 형태가 아닌 좌우 테두리에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140f)의 결합돌기(143f)도 상기 결합홀(313f)과 단자(311)의 위치에 맞추어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기존의 안테나와 달리 단자부에 결합홀(313f)이 형성됨에 따라 단자부의 안테나 패턴을 바꿔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즉, 기존 안테나 패턴에 따라 제조된 안테나의 단자부 좌우 테두리에 펀칭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결합홀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안테나 단자를 회로기판에 솔더링하여 접속하는 기존의 공정보다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를 접속한 후에 소정 테스트 등을 통해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 안테나를 손상없이 회로기판에서 분리하기 어려워 안테나 및/또는 회로기판을 폐기해야 하는 문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조작부를 통해 커넥터에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테나 접속불량 등의 경우 안테나만을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테나의 단자부를 제품 특성에 맞춰 다양하게 변형하더라도 그 단자부에 대응하도록 설계 변경이 용이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커넥터 110 : 케이싱
111 : 케이싱 전면 113 : 단자부 삽입홀
115 : 케이싱 후면 116 : 탄성부 이동홈
117 : 고정단턱 130 : 탄성결합편
140 : 탄성부 141 : 연장부
143 : 결합돌기 145 : 조작부
147 : 단자접속부 150 : 고정부
155 : 굴곡부 160 : 연결부
300 : 필름 안테나 310 : 단자부
311 : 단자 313 : 결합홀
330 : 안테나 패턴

Claims (12)

  1. 단자와 결합홀이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전기접속소자를 결합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단자부와 결합하고, 일측에 상기 결합홀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탄성부와, 상기 케이싱의 일면에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탄성부의 일단 및 상기 고정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탄성 구조의 탄성결합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기접속소자는 필름형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연성회로기판(FPCB),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안테나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안테나 및 이들의 조합된 형태의 안테나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루프 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일측에는 상기 안테나의 단자와 접속되는 단자접속부가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전(前)면에 단자부가 삽입될 수 있는 단자부 삽입홀이 형성되고, 후(後)면에는 자유단인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전(前)면이 개방되어 상기 단자부가 삽입되고, 후(後)면은 자유단인 상기 탄성부의 타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부 이동홈이 형성되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조작부가 상기 연장부보다 높은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결합편은 상기 연결부와 고정부 사이에 위로 볼록한 탄성 구조의 굴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후(後)면 또는 상면에는 상기 삽입된 단자부의 전단부의 이동을 제한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0049371A 2013-05-02 2013-05-02 커넥터 KR101436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371A KR101436737B1 (ko) 2013-05-02 2013-05-02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9371A KR101436737B1 (ko) 2013-05-02 2013-05-02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737B1 true KR101436737B1 (ko) 2014-09-02

Family

ID=51759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9371A KR101436737B1 (ko) 2013-05-02 2013-05-02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7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594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3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CN109616796A (zh) * 2019-01-08 2019-04-12 广东杰思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侧接连接器及其手机
KR102044029B1 (ko) 2018-12-07 2019-11-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자 제어 장치의 커넥터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123A (ko) * 2008-05-27 2009-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JP2010278750A (ja) 2009-05-28 2010-12-09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KR20100136002A (ko) * 2009-06-18 2010-12-28 주식회사 모비텍 안테나 커넥터 장치
KR20120012457A (ko) * 2010-01-04 2012-02-10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3123A (ko) * 2008-05-27 2009-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JP2010278750A (ja) 2009-05-28 2010-12-09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KR20100136002A (ko) * 2009-06-18 2010-12-28 주식회사 모비텍 안테나 커넥터 장치
KR20120012457A (ko) * 2010-01-04 2012-02-10 센젠 썬웨이 커뮤니케이션 씨오., 엘티디. 커넥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594A (ko) * 2016-10-04 2018-04-12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3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KR101927836B1 (ko) * 2016-10-04 2018-12-1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3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KR102044029B1 (ko) 2018-12-07 2019-11-12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전자 제어 장치의 커넥터 구조
CN109616796A (zh) * 2019-01-08 2019-04-12 广东杰思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侧接连接器及其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529B2 (en) Contact terminal
KR100883244B1 (ko) 메모리카드용 소켓
KR1019731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10355390B2 (en) Automatic opening of a connector self-closure system
US7488214B2 (en) Memory card connector
US8469747B2 (en) Card connector
US20100279694A1 (en)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SG183575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436737B1 (ko) 커넥터
US20120235868A1 (en) Antenna structure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74486B1 (ko) 배터리용 커넥터
US7357678B1 (en) SIM card connector
US8660620B2 (en) Antenna built in mobile terminal
JP4796904B2 (ja) データ通信装置
CN101432924A (zh) 天线
US8564486B2 (en) Holding device with an antenna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140239077A1 (en) Communication module, connector, and connector-equipped communication module
US10923803B2 (en) Loop antenna system and mobile terminal
KR20140130868A (ko) 안테나 커넥터를 구비한 배터리팩
EP2675240B1 (en) Portable terminal and wireless module
KR101003578B1 (ko) 휴대 무선 단말기의 멀티접속커넥터용 방송수신 안테나
JPH09147996A (ja) 切換スイッチ付コネクター
KR20070003438A (ko)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KR101921944B1 (ko) 터미널을 갖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CN210957011U (zh) 一种智能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