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6706B1 -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제어 방법, 및 기지국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제어 방법, 및 기지국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6706B1
KR101436706B1 KR1020127023719A KR20127023719A KR101436706B1 KR 101436706 B1 KR101436706 B1 KR 101436706B1 KR 1020127023719 A KR1020127023719 A KR 1020127023719A KR 20127023719 A KR20127023719 A KR 20127023719A KR 101436706 B1 KR101436706 B1 KR 101436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obile terminal
communication
radio resource
en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7490A (ko
Inventor
요시노리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7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7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이동 단말기(20)와 통신 가능함과 함께, 서로 통신 가능한 제1 및 제2 기지국(10a, 10b)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기지국은, 제2 기지국에 대해, 제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에 대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을 저감 가능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를 통지하는 제1 통지 수단(13)을 구비하고, 제2 기지국은, 제2 기지국 및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통지된 제1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1 할당 수단(13)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제어 방법, 및 기지국 및 이동 단말기{RADIO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AND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이나 이동 단말기, 및 통신 제어 방법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 있어서의 기지국간에서의 제어 신호의 전송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휴대 전화 등의 이동 단말기가, 하나의 기지국의 셀로부터 다른 기지국의 셀로 이동할 때에는, 핸드오버에 의해 통신하는 기지국을 절환하여, 통신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셀룰러 방식에 있어서의 셀의 통신 성능은, 예를 들면 자기 셀 내의 간섭, 또는 다른 셀로부터의 간섭(Inter-cell interference) 등에 의해 제한을 받는다. 이로 인해, 셀간에서의 주파수 반복법으로서, 예를 들면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의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기술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셀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이용하는 「1셀 반복법」이 채용되고 있다. 1셀 반복법에 따르면, 셀당 주파수 대역폭이 증대되므로, 스루풋의 향상이 예상되는 한편, 다른 셀 간섭이 증대되고, 특히 셀 단부에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에의 스루풋이 열화된다.
이러한 스루풋의 열화를 완화시키기 위해, LTE 통신 기술에서는, 셀마다 셀 단부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에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의 주파수를 인접 셀과는 다른 것으로 설정하는 FFR(Fractional Frequency Reuse : 부분 주파수 재이용) 방식 등에 의한 셀간 간섭 제어 기술(ICIC :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이 이용된다.
이하에 기재하는 선행 기술 문헌에는, 상술한 FFR 방식의 셀간 간섭 제어 기술이나, 기지국간 통신을 통해 셀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간섭을 억제시키는 핸드오버 수순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95318호 공보
비특허문헌 1 : 3GPP TR25. 913 비특허문헌 2 : 3GPP TR36. 913 비특허문헌 3 : 3GPP TS36. 423 비특허문헌 4 : D. Aziz, R. Sigle, "Improvement of LTE Handover Performance through Interference Coordination, " Proc. VTC2009 spring, 2009.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는, 핸드오버원 및 핸드오버처 각각의 기지국의 셀 경계 부근에서 행해진다. 이로 인해, 핸드오버원의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에서는 핸드오버처의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을 받기 쉽고, 핸드오버처의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에서는 핸드오버원의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을 받기 쉬워진다. 이러한 간섭에 의해, 각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서의 수신 품질이 저하되므로, 핸드오버에 따른 제어 신호가 올바르게 수신되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기술적인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신호가 적절하게 수신되지 않는 경우, 핸드오버를 행할 수 없어, 이동 단말기에서의 통신이 절단될 가능성도 있다.
그런데, 상술한 FFR 방식에서는, 하나의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과의 셀 경계 근방에 속해 있는 이동 단말기와의 통신에, 상기 다른 기지국에 있어서 송신 전력이 의도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다. 이로 인해, 셀 경계 근방에 있어서, 가장 셀간 간섭의 영향이 강한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FFR 방식에서는, 셀 단부의 이동 단말기에 할당되는 주파수는, 미리 설정되는 대역폭 중에서 정적 또는 준정적으로 설정된다. 이로 인해, 핸드오버하는 이동 단말기의 수에 따라서는, 필요한 주파수 대역 또는 그 밖의 무선 리소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어, 충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 기지국의 간섭을 저감시켜, 적절한 핸드오버의 실시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기지국 및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각각 이동 단말기와 통신 가능함과 함께, 서로 통신 가능한 제1 및 제2 기지국을 구비한다. 제1 기지국은, 해당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 제2 기지국에 대해, 제2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에 대한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를 통지하는 제1 통지 수단을 구비한다. 제2 기지국은, 제2 기지국 및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통지된 제1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1 할당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기지국은, 전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구비되는 제1 기지국과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제1 통지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전술한 제1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제1 기지국과 통신을 행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통신 제어 방법은, 상술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통지 수단이 실시되는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는 통지 공정과 함께, 전술한 제1 할당 수단이 실시하는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는 할당 공정을 구비한다.
상술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따르면, 제2 기지국이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1 기지국의 통지 수단으로부터 통지되는 제1 리소스 정보에 기초하여, 여(與)간섭이 작은 무선 리소스를 선택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적절히 변화시키면, 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여간섭이 작은 무선 리소스를 적절히 선택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리소스 정보가 통지된 제2 기지국은, 상기 제1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제2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 단말기가, 제1 기지국의 셀과 제2 기지국의 셀과의 경계 부근에 속해 있는 경우에 현저하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핸드오버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구성예
도 1은, 개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실시 형태인, 무선 통신 시스템(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예를 들면 LTE(Long Term Evolution)에 준거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동 관리 장치{MME : Mobility Management Entity(30)}에 접속하는 복수의 기지국{이후, eNB(evolved Node B)라고 기재함(10a, 10b, 10c)}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eNB(10a, 10b 및 10c)의 각각은, MME(30)와 S1이라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고, 또한 eNB(10a, 10b 및 10c)의 각각은 X2라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필요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이후, UE(User Equipment)라고 기재함(20)}는, 속해 있는 어느 하나의 eNB(10)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도 2를 참조하여, eNB(10a, 10b, 10c)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eNB(10a, 10b, 10c)는 각각 마찬가지의 구성이어도 되고, 이후 eNB(10a, 10b, 10c)를 구별 하지 않고 설명하는 경우에는 eNB(10)라고 하는 표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eNB(10)는, 「기지국」의 일 구체예이며,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셀을 형성하고, 해당 셀 내에 속해 있는 UE(2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eNB(10)는,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11), 송신 데이터 처리부(12), 무선 리소스 제어부(13), 제어부(14) 및 수신 데이터 처리부(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11)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의 송신을 행함과 함께,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 데이터 처리부(15)로 공급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제어부(14) 등의 동작에 의해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를 행한 후에, 파일럿 신호나 그 밖의 통지 정보 등과 다중화를 행한 후에 무선 송수신부(11)로 공급한다. 본 실시 형태의 eNB(10)에서는 특히,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드오버시의 제어 신호에 대해 여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다중하여 송신 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 정보라 함은, 해당 eNB(10)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에 의해, 다른 eNB(10)와 UE(20)와의 통신에 영향을 주는 간섭에 관련되는 정보이며, 이러한 간섭을 증대 또는 저감 가능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취지이다. 구체적으로는 eNB(10a)로부터 송신되는, eNB(10b)와 UE(20)와의 통신에 대한 여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 정보는, eNB(10b)와 UE(20)와의 통신에 적용됨으로써 eNB(10a)로부터의 여간섭을 저감 가능한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13)는, eNB(10)에 속해 있는 UE(20)에 대해, 특히 핸드오버시나 협조 통신시 등에 통신용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행한다. 또한, 무선 리소스 제어부(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른 eNB(10)로부터 통지되는 여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 정보를 이용하고, 특히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 UE(20)와의 사이의 통신용 무선 리소스의 할당을 행한다. 이로 인해 무선 리소스 제어부(13)는, 도시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eNB(10)와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형태여도 된다.
제어부(14)는, eNB(1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의 생성을 행함과 함께, 송신 데이터 처리부(12) 및 무선 송수신부(11)를 통해 송신하는 신호의 생성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14)는, 무선 송수신부(11)에 있어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을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의 eNB(10)에서는 특히, 제어부(14)는, 주위의 eNB(10)와 공동으로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함과 함께, 특히 해당 eNB(10)의 셀 단부에 속해 있는 UE(20)에 대해, 설정되는 일부의 주파수 대역을 RPB(Reduced Power Band)로 하여, 송신 전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한다.
여기에, RPB라 함은, 예를 들면 FFR 방식의 ICIC에 있어서 채용되는 개념이며, 네트워크 내의 각 eNB에 있어서 다른 eNB의 통신 에어리어(바꿔 말하면, 셀)로의 간섭을 저감하기 위해, 송신 전력의 출력이 미리 낮게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취지이다. FFR 방식을 채용하는 각 eNB는,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몇 개로 분할하고, 분할된 주파수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대역을 RPB로 하여 다른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여 송신 전력을 작게 설정한다.
하나의 eNB(10)가, 인접하는 다른 eNB(10)의 RPB인 주파수 대역을, 그 다른 eNB(10)과의 셀 경계 근방에 속해 있는 UE(20)와의 통신에 할당하는 경우, 그 다른 eNB(10)로부터의 간섭의 요인으로 되는 송신 전파는 송신 전력이 낮으므로, 간섭의 영향이 억제된다.
또한, 제어부(14)는, FFR 방식과 같이 반드시 미리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을 RPB로 하여 정적 또는 준정적으로 결정할 필요는 없고, 다른 인접하는 다른 eNB(10)와의 네고시에이션(negotiation)에 의해 동적으로 RPB로 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4)는, UE(20)로부터 공급되는 eNB(10)로부터의 신호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다른 eNB(10)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의 판단을 행한다.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4)는, 핸드오버처로 되는 다른 eNB(10)와의 사이에서 송수신하는 제어 신호의 생성을 행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15)는, 무선 송수신부(11)로부터 공급되는 수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에 대해, 복조 및 복호화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수신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eNB(10)에서는 특히, 취득된 수신 데이터에 다른 eNB(10)로부터 송신되는 여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수신 데이터 처리부(15)는, 무선 리소스 제어부(13)에 대해 해당 정보를 통지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여, UE(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UE(20)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이동 단말기」의 일 구체예이며, eNB(10)의 셀 내에 속해 있고, 해당 eNB(10)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
UE(20)는,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부(21), 수신 데이터 처리부(22), 무선 리소스 제어부(23), 제어부(24) 및 송신 데이터 처리부(2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21)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접속되는 eNB(10)와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때 무선 송수신부(21)는, 송신 데이터 처리부(25)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의 송신을 행함과 함께,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수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 데이터 처리부(22)로 공급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22)는, 무선 송수신부(21)로부터 공급된 수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여 수신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수신 데이터 처리부(22)는, eNB(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제어 정보를 제어부(24)로 공급한다.
무선 리소스 제어부(23)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22)에 있어서 처리되는 수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eNB(10)로부터 할당되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4)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의 생성을 행함과 함께, 송신 데이터 처리부(22) 및 무선 송수신부(21)를 통해 송신하는 신호의 생성을 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4)는, UE(20)를 특정하는 고유 제어 정보를 송신 데이터에 포함시키도록, 송신 데이터 처리부(25)로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24)는, 수신 데이터 처리부(22)로부터 공급되는 eNB(10)로부터의 신호의 송신 전력을 고유 제어 정보에 포함시켜, 송신 데이터 처리부(25)로 공급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25)는, 제어부(24) 등의 동작에 의해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변조를 행한 후에, 파일럿 신호나 그 밖의 통지 정보 등과 다중화를 행한 후에 무선 송수신부(21)로 공급한다.
(2) 동작예
무선 통신 시스템(1)에 있어서의 UE(20)의 핸드오버시의 일련의 처리에 대해, 도 4의 시퀀스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시퀀스도에서는,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UE(20)가 eNB(10a)의 셀로부터 eNB(10b)의 셀로 핸드오버할 때의 처리가 기술되어 있다.
우선, eNB(10a)와 통신 상태에 있는 UE(20)는, 상시 eNB(10a)에 대해 예를 들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등, eNB(10a) 및 eNB(10b)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여 송신하고 있다.
eNB(10a)는, UE(20)로부터 통지된 eNB(10a)로부터의 신호 수신 전력의 계측 정보가 임계값을 초과하여 낮아지고, 한편 다른 eNB(10b)로부터의 신호 수신 전력이 충분히 높은 경우, 해당 eNB(10a)로부터 eNB(10b)로의 핸드오버의 실시를 판단한다.
여기서 eNB(10a)는, 핸드오버처로 되는 eNB(10b)에 대해,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제어 신호와 함께, eNB(10a)로부터 eNB(10b)와 UE(20)와의 통신으로의 여간섭에 관련되는 하향 링크의 무선 리소스 정보를 다중하여 송신한다. 본 동작예에서는,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정보로서, eNB(10a)에 있어서 설정되는 RPB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이후, eNB(10a)의 RPB라고 기재}가 이용된다.
핸드오버 요구를 받은 eNB(10b)는, 핸드오버의 수용이 가능한 경우, eNB(10a)에 대해, 핸드오버 수용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와 함께, eNB(10b)로부터 eNB(10b)와 UE(20)와의 통신으로의 여간섭에 관련되는 하향 링크의 무선 리소스 정보를 다중하여 송신한다. 본 동작예에서는, 이러한 무선 리소스 정보로서, eNB(10b)에 있어서 설정되는 RPB의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정보{이후, eNB(10b)의 RPB라고 기재}가 이용된다.
핸드오버의 수용 응답을 받은 eNB(10a)는, 이후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의 UE(20)와의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해당 응답 신호에 다중되는 eNB(10b)의 RPB로 설정한다. 또한, eNB(10b)는, 이후의 핸드오버 처리에 있어서의 UE(20)와의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핸드오버 요구 신호에 다중되는 eNB(10a)의 RPB로 설정한다.
계속해서, eNB(10a)는, UE(20)에 대해, 핸드오버를 위한 무선 리소스의 재설정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통지한다. 그 통지는, 구체적으로는, 「RRC Reconfiguration」 등의 메시지 요소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때, eNB(10a)는, 해당 통지를 위한 신호와 함께, eNB(10b)의 RPB를 다중하여 송신한다. 또한, 해당 신호의 송신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되는, eNB(10b)에 있어서의 RPB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러한 신호를 받은 UE(20)는, 핸드오버처의 eNB(10b)에 대해 랜덤 액세스 처리를 실행하고, eNB(10a)의 RPB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상향 링크 동기 허가를 받아, eNB(10b)에 대한 상향 링크 및 하향 링크의 동기의 확립을 행한다.
또한, UE(20)는, 무선 리소스의 재설정이 완료된 것을 통지하기 위한 무선 리소스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UE(20)는, eNB(10b)에 대한 통지를 위한 무선 리소스 정보로서, eNB(10a)로부터 송신되는 eNB(10a)의 RPB를 취득한다.
그리고 UE(20)는, eNB(10b)에 대해, 무선 리소스의 재설정이 완료된 것을 통지한다. 그 통지의 구체적인 메시지 요소로는, 예를 들면 「RRC Reconfiguration Complete」가 이용된다. 또한, 이 통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되는, eNB(10a)에 있어서의 RPB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UE(20)는, eNB(10a)로부터 eNB(10b)로의 핸드오버 처리를 행한다.
(3) 효과의 설명
종래의 FFR 방식에 있어서, 핸드오버하는 이동 단말기에 응하여 RPB의 재설정을 행하는 구성도 생각된다. 그러나 FFR 방식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기지국간 모두에서의 사용 주파수 대역의 조정이 필요해지므로, 최종적으로 RPB가 수속할 때까지 많은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통신 시스템측에는 예기할 수 없는 이벤트인 핸드오버시에 있어서는, 처리가 제때에 이루어지지 않아 통신이 절단될 우려도 있다.
그런데,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1)의 동작에 따르면, eNB(10a)로부터 eNB(10b)에 대해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eNB(10a)는, eNB(10b)에 대해 송신하는,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제어 신호에 다중하여, eNB(10a)에 있어서의 RPB를 통지한다. 한편, eNB(10b)는, eNB(10a)에 대해 송신하는 핸드오버 수용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에 다중하여, eNB(10b)에 있어서의 RPB를 통지한다. 이로 인해, eNB(10a)는, eNB(10b)에 있어서의 RPB를 할당하여 UE(20)에 핸드오버 지시를 위한 무선 리소스의 재설정을 지시하는 신호를 UE(20)에 송신할 수 있어, 핸드오버처의 eNB(10b)로부터의 간섭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eNB(10a)로부터 eNB(10b)로의 핸드오버시의 UE(20)는, 기본적으로 eNB(10a) 및 eNB(10b)의 셀 경계 근방에 존재하고 있으므로, eNB(10a)의 주위의 기지국 중에서 eNB(10b)는 가장 강한 간섭을 미치는 기지국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eNB(10b)로부터의 간섭을 저감시킴으로써, eNB(10a)로부터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의 재설정을 지시하는 신호가 UE(20)에 있어서 적절하게 수신될 가능성이 대폭 높아진다.
마찬가지로, 랜덤 액세스 처리에 있어서의 UE(20)와 eNB(10b)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에서는, eNB(10a)로부터 통지되는 eNB(10a)에 있어서의 RPB를 할당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UE(20)와 eNB(10b)와의 사이에서의 통신에 대해서는, 주위의 기지국 중에서 eNB(10a)가 가장 강한 간섭을 미치는 기지국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eNB(10a)로부터의 간섭을 저감시킴으로써, 적절한 상하 링크의 확립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eNB(10a) 및 eNB(10b)는, 핸드오버시에 적절하게 서로 간섭을 억제 가능해져, UE(20)의 eNB(10a)로부터 eNB(10b)로의 핸드오버의 성공률을 적절히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FFR 방식에서는, 인접 기지국과의 간섭을 저감시키기 위해 각 기지국에 있어서 정적으로 RPB가 결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기지국의 셀 단부 부근의 이동 단말기에 할당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한정되어 있다. 또한,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인접 기지국 수에 따라서 감소되므로, 기지국의 설치 조건에 따라서는, 셀 단부에서의 스루풋의 저하가 현저해져, 주파수 대역 등의 무선 리소스가 부족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 전철에 의한 이동 등, 다수의 UE(20)가 동시에 핸드오버하는 경우 등에는, 할당 주파수 대역이 부족하여, 핸드오버가 실현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상술한 무선 통신 시스템(1)의 동작에 따르면, UE(20)에 핸드오버의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 eNB(10a)는, UE(20)에 대한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 eNB(10b)로부터 통지되는 간섭이 적은 RPB 등의 무선 리소스를 선택적 또한 일시적으로 할당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eNB(10b)는, UE(20)에 대한 핸드오버 수순에 있어서, eNB(10a)로부터 통지되는 간섭이 적은 RPB 등의 무선 리소스를 선택적 또한 일시적으로 할당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유한한 무선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핸드오버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eNB(10a) 및 eNB(10b) 사이의 무선 리소스 정보의 통지는, 본래의 핸드오버 수순에서 이용되는 제어 신호에 다중하여 행해지므로, 트래픽의 증가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전술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eNB(10a) 및 eNB(10b)는, RPB 대신에, UE(20)로의 여간섭에 관련되어, 적합하게는 여간섭을 저감 가능한 다른 무선 리소스 정보를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eNB(10a) 및 eNB(10b)가, 적응적으로 지향성의 신호 전파를 송신하는 기능, 또는 가변 지향성 기능을 갖추는 경우, 상기 지향성에 기초하는 여간섭을 저감 가능한 무선 리소스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eNB(10a) 및 eNB(10b)에 있어서 송신되는 UE(20)로의 여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 정보에 유효 기간이 설정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면 eNB(10a)로부터 통지되는 eNB(10a)의 RPB에 대해, eNB(10b)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유효 기한이 설정된다. 이때의 유효 기한은, 예를 들면 핸드오버 수순을 위한 일련의 처리에 필요로 하는 기간인 수 10마이크로초 정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eNB(10b)에서는, UE(20)의 핸드오버 수순을 실시하는 동안만 일시적으로 eNB(10a)로부터의 여간섭을 저감 가능한 무선 리소스를 이용한다고 하는 제어를 비교적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또한, eNB(10a) 및 eNB(10b)는, RPB 등의 무선 리소스 정보에 그 무선 리소스 정보의 유효 기간을 부기하여 송신하고, 그 무선 리소스 정보를 수신한 측이 유효 기간에 기초하는 처리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혹은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이동 단말기, 기지국 및 통신 제어 방법 등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1 : 무선 통신 시스템
10 : 기지국(eNB)
11 : 무선 송수신부(eNB측)
12 : 송신 데이터 처리부(eNB측)
13 : 무선 리소스 제어부(eNB측)
14 : 제어부(eNB측)
15 : 수신 데이터 처리부(eNB측)
20 : 이동 단말기(UE)
21 : 무선 송수신부(UE측)
22 : 수신 데이터 처리부(UE측)
23 : 무선 리소스 제어부(UE측)
24 : 제어부(UE측)
25 : 송신 데이터 처리부(UE측)

Claims (12)

  1. 이동 단말기와 통신 가능함과 함께, 서로 통신 가능한 제1 및 제2 기지국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해,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에 대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1 리소스 정보를 통지하는 제1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상기 통지된 상기 제1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1 할당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리소스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이용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무선 리소스와 비교하여 이용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리소스,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다른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여 송신 전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안테나의 지향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무선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할당 수단은,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고, 또한 상기 핸드오버하기 위해 필요한 통신에, 상기 통지된 상기 제1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지 수단은,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으로 상기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신호에 중첩하여 상기 제1 리소스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지국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에 대해,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에 대한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제2 리소스 정보를 통지하는 제2 통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기지국은,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상기 통지된 상기 제2 리소스 정보가 나타내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제2 할당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소스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이용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무선 리소스와 비교하여 이용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리소스,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다른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여 송신 전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기지국에 있어서 안테나의 지향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무선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지 수단은, 상기 제2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기지국으로 상기 핸드오버를 요구하는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에 중첩하여 상기 제2 리소스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정보에는,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사용 가능한 유효 기한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소스 정보에는, 상기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이동 단말기 및 다른 기지국과 통신 가능한 기지국으로서,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다른 기지국으로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 상기 다른 기지국에 대해, 상기 다른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에 대한 해당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는,
    해당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이용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무선 리소스와 비교하여 이용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리소스,
    해당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다른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여 송신 전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 및
    해당 기지국에 있어서 안테나의 지향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무선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서로 통신 가능한 제1 및 제2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해당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에 대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의 통지를 받는 수신 수단과,
    상기 통지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이용하여, 상기 제2 기지국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과 해당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이용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무선 리소스와 비교하여 이용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리소스,
    상기 제1 기지국과 해당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다른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여 송신 전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안테나의 지향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무선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이동 단말기와 통신 가능함과 함께, 서로 통신 가능한 제1 및 제2 기지국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시에,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2 기지국에 대해,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의 통신에 대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공정과,
    상기 제2 기지국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에, 상기 통지된 상기 제1 기지국으로부터의 간섭에 관련되는 무선 리소스를 할당하는 할당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무선 리소스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이용되지 않거나, 또는 다른 무선 리소스와 비교하여 이용되는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무선 리소스,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통신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다른 주파수 대역과 비교하여 송신 전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1 기지국에 있어서 안테나의 지향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무선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12. 삭제
KR1020127023719A 2010-03-17 2010-03-17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제어 방법, 및 기지국 및 이동 단말기 KR101436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4572 WO2011114461A1 (ja) 2010-03-17 2010-03-17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移動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7490A KR20120127490A (ko) 2012-11-21
KR101436706B1 true KR101436706B1 (ko) 2014-09-01

Family

ID=44648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3719A KR101436706B1 (ko) 2010-03-17 2010-03-17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제어 방법, 및 기지국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60562B2 (ko)
EP (1) EP2549800A4 (ko)
JP (1) JP5527399B2 (ko)
KR (1) KR101436706B1 (ko)
CN (1) CN102792734B (ko)
WO (1) WO2011114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09284B2 (ja) * 2010-11-05 2015-11-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実行方法
EP2768268A4 (en) * 2011-10-13 2015-12-02 Fujitsu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2014DN08128A (ko) * 2012-03-20 2015-05-01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JP2015519818A (ja) * 2012-05-10 2015-07-09 富士通株式会社 モビリティ設定のネゴシエーション方法および装置
JP5878134B2 (ja) * 2013-01-09 2016-03-08 株式会社Nttドコモ 上位基地局、下位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9769706B2 (en) * 2013-02-07 2017-09-19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reservation for handover signaling
EP3324670A3 (en) * 2013-02-15 2018-07-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RU2631251C2 (ru) * 2013-05-31 2017-09-20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пользователя
US9717091B2 (en) * 2013-09-16 2017-07-25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based fractional frequency re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963A (ko) * 2005-08-2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시스템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4215B2 (ja) 2006-04-26 2011-12-2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並びに無線基地局
WO2008007437A1 (fr) * 2006-07-14 2008-01-17 Fujitsu Limited Système de communication mobile et station de base
EP1892971A1 (en) * 2006-08-23 2008-02-27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Inter base station communication for joint resource management
CN101601320A (zh) * 2007-01-31 2009-12-09 夏普株式会社 移动通信系统、基站装置以及移动站装置
US20080268833A1 (en) * 2007-03-30 2008-10-30 Leping Huang System and Method for Self-Optimization of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JP5174520B2 (ja) * 2008-04-18 2013-04-03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チャネル割り当て方法
US8983388B2 (en) * 2008-09-30 2015-03-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preventing interference as between base stations sharing carrier resources
JP4964286B2 (ja) * 2009-11-11 2012-06-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3963A (ko) * 2005-08-2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위한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2734A (zh) 2012-11-21
US20120329464A1 (en) 2012-12-27
JP5527399B2 (ja) 2014-06-18
EP2549800A4 (en) 2015-07-08
CN102792734B (zh) 2015-11-25
US8660562B2 (en) 2014-02-25
JPWO2011114461A1 (ja) 2013-06-27
WO2011114461A1 (ja) 2011-09-22
EP2549800A1 (en) 2013-01-23
KR20120127490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7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통신 제어 방법, 및 기지국 및 이동 단말기
EP3029990B1 (en) Communications systems
US2019025394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heterogeneous network handover and apparatus therefor
JP5636132B1 (ja) 基地局、無線端末、及び方法
EP255783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1013065B2 (en) Downlink interference management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20180013862A (ko) 5g 및 lte 시스템 및 장치에서의 단절없는 이동
US9642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protected resource in a heterogeneous network
KR20150109839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수행 및 스몰 셀의 특수 기능 셀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EP3150016B1 (en) A method for operating a wireless network, a wireless network and a base station
US20150334755A1 (en) Metho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5767738B2 (ja)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無線端末
US10820309B2 (en)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ystem
JP569748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US20150319708A1 (en)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s method, and terminal device
JP5651181B2 (ja) 無線基地局、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KR2014013799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200033330A (ko)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WO2012081480A1 (ja) 基地局、及び干渉基地局情報送信方法
KR20140106365A (ko) 캐리어 병합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17122290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JP5654602B2 (ja)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CN111988107B (zh) 用于干扰协调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